KR20180019944A -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944A
KR20180019944A KR1020160104273A KR20160104273A KR20180019944A KR 20180019944 A KR20180019944 A KR 20180019944A KR 1020160104273 A KR1020160104273 A KR 1020160104273A KR 20160104273 A KR20160104273 A KR 20160104273A KR 20180019944 A KR20180019944 A KR 2018001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reinforcing lay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심
김하균
김대호
박예진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944A/ko
Publication of KR2018001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는, 스위치 및 전기 소자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의 한 쪽이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한 쪽만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인서트시킨 일면이 개구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케이스 및 케이스의 개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데코부를 포함하며, 데코부는 스위치 및 전기 소자에 대응하여 수용부가 음각 성형되고 수용부 중 상기 스위치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스위치와 마주하는 면에 누름자가 양각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형 보강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용이하고 개선된 스위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Slim smart ke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용이하고 개선된 스위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보안 편의 장치는 자동차 산업의 초창기 차량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도어에 도어락(Door Lock)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스티어링락(Steering Lock)을 시동 스위치와 연동시킨 턴 키 방식의 도난 방지 장치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보안 편의를 더욱 강화시킨 전자인증방식의 스마트키 시스템이 도입되어 실차에 적용되는 추세에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와 차량 측 통신장치가 무선으로 암호화된 정보를 주고받아 스마트키로 원하는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를 위해 스마트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원격제어를 위한 상기 스마트키를 포함한다. 스마트키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는데, 고객의 요구(Needs)에 따라 최근에는 지갑이나 주머니 등에 넣어 휴대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더욱 소형화하고 박형화하는 추세이다.
스마트키는 구조나 입력방식에 따라 크게, 기구타입과 터치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구타입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힘에 스위칭 작동되는 기구식 스위치를 구비하며, 터치타입은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만으로 원하는 동작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터치타입의 경우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구식 스위치와 같이 물리적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구타입에 비해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제작단가가 비싸고 회로구성이 복잡하며, 의도치 않은 조작까지도 정상터치로 인식해 동작명령을 출력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현장에서는 아직까지도 기구타입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구타입의 경우 그 크기와 두께가 소형화되고 박형화될수록 그만큼 내부의 물리적인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어려워 기능성을 확장함에 있어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68166호(공개일 2015. 06. 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용이하고 개선된 스위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 및 전기 소자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의 한 쪽이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한 쪽만을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인서트시킨 일면이 개구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데코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코부는, 스위치 및 전기 소자에 대응하여 수용부가 음각 성형되고 수용부 중 상기 스위치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스위치와 마주하는 면에 누름자가 양각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형 보강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데코부는, 상기 판형 보강층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부 위치에 대응하여 스위치의 기능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특정 이미지가 새겨진 시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 위치에 대응되는 판형 보강층 표면부에는, 스위치의 기능 정보를 사용자가 촉감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영역 마다 다른 패턴으로 음각 또는 양각 성형된 오목부 또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데코부 보강층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양면 테이프를 통해 접착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평면부 너비(W1)가 스위치의 너비(W2)보다 크고, 상기 누름자의 너비(W3)가 스위치의 접점부 너비(W4)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좌, 우 측면부가 아래로 갈수록 상기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와 스위치 사이의 갭(G)이 적어도 상기 접점부의 작동 거리(S)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가 스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구간의 거리(D2)가 평면부가 스위치와 중첩되는 구간의 거리(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위치 인접 측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광원 및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판형 보강층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균일한 휘도로 외부에 조광되도록 상기 수용부 둘레에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 투과성 수지재질의 도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체는,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입광면을 형성하는 입광부, 상기 입광부 상단에서 임의 곡률로 둘 이상의 갈래로 분기되는 분기부, 그리고 상기 분기부 말단에서 수평방향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부면이 상기 판형 보강층 표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표출부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에 의하면, 제작단가 및 구성의 단순화 측면에서 유리한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데코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로 인해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스마트키의 기능성 확장에 유리한 구조이며, 수용부와 스위치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보다 개선된 물리적인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코부 표면에 기능 심볼 등 다양한 이미지가 입혀진 시트층이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키의 전체적인 강성 보완 및 심미감 개선을 통해 상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수용부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기능 조작을 위해 입력된 외력에 대하여 내부의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의도치 않은 조작에 따른 기능 명령 출력과 같은 오조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광원을 실장하고 데코부에 도광체를 인서트시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도광체를 경유하여 균일한 휘도로 버튼 `입력부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됨으로써,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능 버튼의 식별성과 시인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형 스마트키의 데코부를 절개 도시한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카드형 스마트키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광체의 바람직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형 스마트키의 데코부를 절개 도시한 종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카드형 스마트키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2)을 내장한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2)에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14) 및 해당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명령을 출력을 위해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콤(Micom)을 비롯해 각종 전기 소자(도시 생략)가 실장된다.
스위치(14) 및 전기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2)은 한 쪽, 바람직하게는 스위치(14)를 실장한 면이 노출되도록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 제작되는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케이스(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의 다른 한 쪽만을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인서트시킨 일면이 개구(100)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얇고 평평한 카드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개구(100)에는 데코부(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데코부(20)는 상기 개구(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케이스(1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12)의 노출부를 덮어 보호하도록 개구(100) 바깥 쪽에서 상기 개구(100)를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데코부(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 보강층(22)만으로 구성된 단층형 또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판형 보강층(22) 표면에 시트층(24)을 입힌 적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판형 보강층(22)의 일면 구체적으로는, 인쇄회로기판(12)과 마주하는 면에는 인쇄회로기판(12)에 실장된 스위치(14) 및 전기 소자에 대응하여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오목한 형태로 수용부(220)가 음각 성형된다. 그 중 케이스(10)와 결합 후 스위치(14)를 수용하는 부분의 수용부(220) 일면(스위치와 마주하는 면)에는 소정 높이의 볼록한 형태로 누름자(222)가 양각 성형된다.
판형 보강층(22)은 연성을 가진 무른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을 통해 소정의 크기와 두께, 바람직하게는 0.4 ~ 0.6mm 두께의 판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판형 보강층(22)만으로 데코부(20)를 구성할 경우 수용부(220) 위치에 대응되는 판형 보강층(22) 표면부에는 각각의 스위치(14)에 대한 기능 정보를 사용자가 촉감을 통해 인식할 수 있게 기능식별수단(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기능식별수단은 바람직하게, 구체적인 예시는 없으나 사용자의 직접적인 접촉, 예컨대 버튼 입력부(242)에 손가락을 접속시켰을 때 느껴지는 촉감으로 버튼 별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영역 마다 다른 패턴으로 양각 성형된 돌기부나 음각 성형된 오목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관련 심볼을 입체적으로 성형한 돌기 또는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판형 보강층(22) 표면에 시트층(24)을 형성한 적층형 구조로 데코부(20)를 형성한 경우에는, 판형 보강층(22) 단독으로 데코부(20)를 구성할 때와 같은 기능식별수단이 상기 시트층(24)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식별수단은 상기 수용부(220) 위치에 대응된 버튼 입력부(242) 영역에 스위치(14)의 기능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특정 이미지를 새겨 넣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ML(In Mold Label) 방식과 같이 성형 시 플라스틱 필름 안쪽에 플라스틱용 도료와 잉크 등으로 특정 이미지가 인쇄된 데코필름을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시트층(24)에 기능식별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물론 IML 방식으로 시트층(24)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공지의 열 성형(Heat forming), 진공 성형(Vacuum forming), 압공 성형(Air pressure formin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시트층(24)의 두께는 0.1 ~ 0.2mm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시트층(24)과 판형 보강층(22)으로 적층형 데코부(20)를 구성할 경우 그 두께는 0.6 ~ 0.8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론 제안된 수치는 슬림한 카드형 스마트키를 구현함에 있어 바람직한 수치일 뿐, 특별히 그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키의 기능 확장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2)과 데코부(20) 보강층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도 2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21)나 액상의 접착제를 통해 수용부(2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틈새 없이 긴밀하게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 조작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방수기능이 발휘되어 데코부(20) 가장자리 케이스(10)와의 경계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인쇄회로기판(12)까지 스며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데코부(20)에 형성된 수용부(220)의 평면부(220A) 너비(W1)는 스위치(14)의 너비(W2)보다 당연히 크고, 누름자(222)의 너비(W3)는 스위치(14)의 접점부(140) 너비(W4)와 같거나 조금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20)의 좌, 우 측면부(220L, 220R)는 아래로 갈수록 상기 스위치(14)의 외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버튼 입력부(242)를 통해 입력된 외력에 대하여 내부의 스위치(14), 바람직하게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항상 일정한 버튼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서, 여기에 더하여 상기 평면부(220A)와 스위치(14) 사이의 갭(G)을 적어도 상기 접점부(140)의 작동 거리(S)보다 크게 하면, 보다 직관적이고 개선된 물리적인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의 예시와 같이 평면부(220A)가 스위치(14)와 중첩되지 않는 구간의 거리(D2)를 상기 평면부(220A)가 스위치(14)와 중첩되는 구간의 거리(D1)보다 크게 함으로써, 정해진 버튼 조작 위치를 벗어난 영역을 누를 경우 스위치(14)가 눌리지 않도록 하여 버튼 오작동의 가능성, 즉 의도치 않은 조작에 따른 기능 명령 출력과 같은 오작동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작단가 및 구성의 단순화 측면에서 유리한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데코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로 인해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스마트키의 기능성 확장에 유리한 구조이며, 수용부와 스위치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보다 개선된 물리적인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코부의 표면에 기능 심볼 등 다양한 이미지가 입혀진 시트층이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키의 전체적인 강성 보완 및 심미감 개선을 통해 상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수용부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기능 조작을 위해 입력된 외력에 대하여 내부의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의도치 않은 조작에 따른 기능 명령 출력과 같은 오조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광체의 바람직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드형 스마트키는, 전술한 일 실시 예의 구성에 더하여, 인쇄회로기판(12)에 광원(30)을 실장하고, 상기 광원(30)에서 조사된 광이 균일한 휘도로 버튼 `입력부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되도록 데코부(20)를 구성하는 판형 보강층(22)에 일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도광체(40)를 인서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카드형 스마트키를 기반으로 하면서, 스위치(14) 인접 측부의 인쇄회로기판(12)에 실장되는 광원(30) 및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판형 보강층(22)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광원(30)에서 조사된 광이 균일한 휘도로 외부에 조광되도록 상기 수용부(220) 둘레에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 투과성 수지재질의 도광체(40)를 더 포함한다.
도광체(40)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광원(30)과 마주하는 입광면(401)을 형성하는 입광부(400), 입광부(400) 상단에서 임의 곡률로 둘 이상의 갈래로 분기되는 분기부(402), 그리고 상기 분기부(402) 말단에서 수평방향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부면이 상기 판형 보강층(22) 표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수용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둘 이상의 표출부(404)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물론 도 6에 예시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원(30)과 판형 보강층(22) 표면부에 걸쳐 직선상으로 뻗은 단일 기둥형태 또는 광원(30)과 마주하는 측에서 반대편의 판형 보강층(22) 표면 측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가진 형태 등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 예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도광체를 경유하여 균일한 휘도로 버튼 `입력부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기능 버튼의 식별성과 시인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12 : 인쇄회로기판
14 : 스위치 20 : 데코부
21 : 양면 테이프 22 : 판형 보강층
24 : 시트층 30 : 광원
40 : 도광체 140 : 접점부
220 : 수용부 222 : 누름자
242 : 버튼 입력부 400 : 입광부
401 : 입광면 402 : 분기부
404 : 표출부

Claims (10)

  1. 스위치(14) 및 전기 소자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12)의 한 쪽이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의 다른 한 쪽만을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인서트시킨 일면이 개구(100)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케이스(10);
    케이스(10)의 개구(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100)를 덮도록 결합되는 데코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데코부(20)는, 스위치(14) 및 전기 소자에 대응하여 수용부(220)가 음각 성형되고 수용부(220) 중 상기 스위치(14)가 수용되는 수용부(220)의 스위치(14)와 마주하는 면에 누름자(222)가 양각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형 보강층(22)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2. 스위치(14) 및 전기 소자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12)의 한 쪽이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의 다른 한 쪽만을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인서트시킨 일면이 개구(100)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100)를 덮도록 결합되는 데코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데코부(20)는,
    상기 스위치(14) 및 전기 소자에 대응하여 수용부(220)가 음각 성형되고 수용부(220) 중 상기 스위치(14)가 수용되는 수용부(220)의 스위치(14)와 마주하는 면에 누름자(222)가 양각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형 보강층(22)과,
    상기 판형 보강층(22)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부(220) 위치에 대응하여 스위치(14)의 기능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특정 이미지가 새겨진 시트층(24)으로 구성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20) 위치에 대응되는 판형 보강층(22) 표면부에는, 스위치(14)의 기능 정보를 사용자가 촉감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영역 마다 다른 패턴으로 음각 또는 양각 성형된 오목부 또는 돌기부가 형성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과 데코부(20)의 판형 보강층(22)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양면 테이프(21)로 접착시킨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20)의 평면부(220A) 너비(W1)가 스위치(14)의 너비(W2)보다 크고,
    상기 누름자(222)의 너비(W3)가 스위치(14)의 접점부(140) 너비(W4)와 같거나 큰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20)의 좌, 우 측면부(220L, 220R)가 아래로 갈수록 상기 스위치(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220A)와 스위치(14) 사이의 갭(G)이 적어도 상기 접점부(140)의 작동 거리(S)보다 큰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220A)가 스위치(14)와 중첩되지 않는 구간의 거리(D2)가 평면부(220A)가 스위치(14)와 중첩되는 구간의 거리(D1)보다 큰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4) 인접 측부의 인쇄회로기판(12)에 실장되는 광원(30); 및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판형 보강층(22)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광원(30)에서 조사된 광이 균일한 휘도로 외부에 조광되도록 상기 수용부(220) 둘레에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 투과성 수지재질의 도광체(4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40)는,
    상기 광원(30)과 마주하는 입광면(401)을 형성하는 입광부(400);
    상기 입광부(400) 상단에서 임의 곡률로 둘 이상의 갈래로 분기되는 분기부(402); 및
    상기 분기부(402) 말단에서 수평방향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부면이 상기 판형 보강층(22) 표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수용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둘 이상의 표출부(404);로 구성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KR1020160104273A 2016-08-17 2016-08-17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KR20180019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73A KR20180019944A (ko) 2016-08-17 2016-08-17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73A KR20180019944A (ko) 2016-08-17 2016-08-17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44A true KR20180019944A (ko) 2018-02-27

Family

ID=6139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273A KR20180019944A (ko) 2016-08-17 2016-08-17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9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93B1 (ko) * 2019-04-05 2020-05-26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방수성 및 내구 신뢰성을 갖는 접속단자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
US10994699B2 (en) 2018-12-18 2021-05-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rd key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4699B2 (en) 2018-12-18 2021-05-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rd key for vehicle
KR102097993B1 (ko) * 2019-04-05 2020-05-26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방수성 및 내구 신뢰성을 갖는 접속단자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7760B1 (en)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CN109076710B (zh) 具有嵌入式多层电子器件的多层结构
CN109076690B (zh) 具有嵌入光源的照明多层结构
US8514545B2 (en) In-molded capacitive switch
US9576755B2 (en) In-molded resistive and shielding elements
CN101300742B (zh)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前盖和具有前盖的便携式电子装置
US9894794B2 (en) Portable wireless key
US9959688B2 (en) Portable wireless key
EP3250421B1 (en) Vehicle emblem incorporating capacitive switch and led lighting
JP2004312621A (ja) 携帯型送信機
US11958219B2 (en) Foam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96614B1 (ko) 차량용 포브 키
KR20180019944A (ko)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JP4932385B2 (ja) 携帯電子機器
KR20170033204A (ko) 차량용 카드키
JP4767792B2 (ja) 電子機器
WO2022018998A1 (ja) 加飾パネル
CN113133311A (zh) 具有集成的功能元件的运载工具安装件
KR101866849B1 (ko)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JP4767793B2 (ja) 電子機器
JP2017059420A (ja) タッチ操作受付装置及び収納装置
US20220342968A1 (en) Sensing apparatus and keycap
KR101516375B1 (ko) 배터리 모듈에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JP2003193705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組立体
JP2016103327A (ja) スイッチボタン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