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042A - 미용 기구 - Google Patents
미용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6042A KR20150136042A KR1020157014329A KR20157014329A KR20150136042A KR 20150136042 A KR20150136042 A KR 20150136042A KR 1020157014329 A KR1020157014329 A KR 1020157014329A KR 20157014329 A KR20157014329 A KR 20157014329A KR 20150136042 A KR20150136042 A KR 201501360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ase
- main body
- wall
- h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 A61F2007/0078—Details of power supply with a batt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피부면에 온열 자극 혹은 냉열 자극을 줄 수 있는 미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는, 본체 케이스 (1) 에 온열 헤드 (2) 를 설치한다. 온열 헤드 (2) 는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되는 통상의 헤드 케이스 (20) 와, 헤드 케이스 (20) 의 외개구를 막는 전열체 (21) 와,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 구조를 포함한다.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은, 외개구의 측으로부터, 본체 케이스 (1) 에 대한 장착 기부 (24) 의 측을 향해 작아지도록 설정하여, 발열 구조의 열이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면에 온열 자극이나 냉열 자극을 주고, 추가로 피부면에 전류를 공급하여 미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피부면에 온열 자극 또는 냉열 자극을 부여하는 미용 기구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본체부를 그립부와, 그립부 상단의 해머 헤드상의 헤드부로 구성하고 있고, 헤드부의 일측단에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온열부를 설치하고, 타측단에 펠티에 소자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부를 설치하고 있다. 헤드부의 내부에는, 펠티에 소자의 온열을 방출하는 방열핀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립부의 내부에 냉각풍을 방열핀을 향해 송급 (送給) 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다. 온열부 및 냉각부의 온도 상태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온열부를 45 도로 가열할 때, 냉각부를 5 도로 냉각할 수 있다. 사용 시에는, 온열부와 냉열부를 피부면에 교대로 접촉시켜, 온열 자극과 냉열 자극을 피부면에 준다.
이러한 종류의 미용 기구에 관해서, 본 출원인은 피부면에 냉각 자극을 주는 미용 기구를 앞서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 특허문헌 2 에서는, 본체 케이스의 전방면 상부에, 피부면을 냉각하는 헤드부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냉열을 생성하는 펠티에 소자를 설치하고 있다. 헤드부는, 환통상의 헤드 케이스와, 헤드 케이스의 돌출단 개구면을 막는 접촉판과, 접촉판을 고정 유지하는 유지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펠티에 소자나, 펠티에 소자의 냉열을 접촉판에 전하는 냉열 블록 등이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의 미용 기구는, 접촉판을 피부면에 대어 냉열 자극을 줄 수 있고, 또한 접촉판과 본체 케이스의 외면 좌우에 설치한 전극판을 통하여 피부면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미용 기구의 전체를 진동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의 미용 기구는, 본 출원인의 제안에 관련된 특허문헌 3 에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미용 기구에 의하면, 피부면에 온열 자극과 냉열 자극을 교대로 주어 피부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환통상 헤드부의 돌출단면에 온열부를 설치하므로, 온열부의 내부에 설치한 히터의 열이 케이스 구조를 통하여 헤드부의 중앙측이나 그립부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히터에서 생성된 열의 일부가 쓸데없이 소비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의 미용 기구는, 피부면에 냉열 자극을 줄 수 있고, 또한 피부면에 미약한 펄스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미용 기구와는 상이하게, 냉열 자극 기능만을 구비하고, 온열 자극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미용 기구의 유저로부터 온열 자극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면에 온열 자극 혹은 냉열 자극을 주어 피부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미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의 열이 온열 헤드의 케이스 구조를 통하여 본체부로 전동 (傳動) 하는 것을 최대한 피해, 온열 헤드에 있어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열 자극 기능과 냉열 자극 기능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피부면에 전류를 공급하여 미용 효과를 향상시키는 미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는, 본체 케이스 (1) 에 온열 헤드 (2) 가 설치되어 있다. 온열 헤드 (2) 는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되는 통상의 헤드 케이스 (20) 와, 헤드 케이스 (20) 의 외개구를 막는 전열체 (21) 와,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 구조를 포함한다.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은, 외개구의 측으로부터, 본체 케이스 (1) 에 대한 장착 기부 (24) 의 측을 향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헤드 케이스 (20) 는, 장착 기부 (24) 를 포함하는 주통벽부 (22) 와, 주통벽부 (22) 에 연속되어 밖을 향해 돌출되는 외통벽부 (23) 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기부 (24) 는, 본체 케이스 (1) 의 장착자리 (13) 에 장착 고정되어, 주통벽부 (22) 및 외통벽부 (23) 가 본체 케이스 (1) 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통벽부 (22) 는, 장착 기부 (24) 로부터 외개구의 측을 향해 확개 (擴開)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열 구조는, 히터 유닛 (36) 과, 히터 유닛 (36) 을 고정 지지하는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홀더 (35) 를 고정 지지하는 히터 프레임 (34) 을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 (1) 의 장착자리 (13) 에 장착한 헤드 케이스 (20) 와, 장착자리 (13) 의 자리벽 (13a) 과, 동 자리벽 (13a) 의 내면에 배치한 히터 프레임 (34) 의 체결자리 (40) 의 3 자를, 체결자리 (40) 의 측으로부터 헤드 케이스 (20) 에 비틀어박은 체결구 (63) 로 함께 체결 고정한다. 상기 3 자 (20·13·34) 를 체결구 (63) 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히터 유닛 (36) 이, 전열체 (21) 와 히터 홀더 (35) 에 의해 협지 고정되어 있다.
히터 프레임 (34) 에,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열이동을 방지하는 단열용의 면벽 (38) 이 형성되어 있다.
단열용의 면벽 (38) 은 주통벽부 (22) 의 장착 기부 (24) 쪽의 내면에 배치되어,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를 내외로 구분하고 있다.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사이에 바이브레이터 (50) 를 배치한다. 바이브레이터 (50) 는, 히터 홀더 (35) 에 설치한 장착부 (45) 에 장착 고정한다.
바이브레이터 (50) 를, 체결구 (61) 로 체결된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에 의해 협지 고정한다.
히터 홀더 (35) 는, 히터 유닛 (36) 을 지지하는 원반상의 부착벽 (44) 과, 부착벽 (44) 의 히터 프레임 (34) 과의 대향면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용의 장착부 (45) 를 구비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 (50) 의 주위가 부착벽 (44) 과, 장착부 (45) 에 설치한 방음벽 (48) 으로 덮여 있다.
히터 홀더 (35) 및 히터 유닛 (36) 과 전열체 (21) 사이에, 열전도성을 구비한 탄성 시트 (37) 를 배치한다. 바이브레이터 (50) 에 의해 기진된 진동을, 상기 탄성 시트 (37) 를 통하여 전열체 (21) 로 전동한다.
바이브레이터 (50) 는, 모터 (51) 와, 모터 (51) 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편심추 (52) 를 구비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 (50) 는, 모터 (51) 의 중심축선이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과 평행이 되는 상태로 장착부 (45) 에 장착 고정해, 바이브레이터 (50) 에 의해 기진된 진동에 의해,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을 전열면 (21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본체 케이스 (1) 에 냉열부 (3) 를 설치한다. 냉열부 (3) 는, 열전 변환 소자 (70)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의 편면에 배치되어 냉열을 출력하는 냉열 헤드 (71)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의 타면에 배치되어 온열을 방출하는 히트 싱크 (72) 를 구비하고 있다. 히트 싱크 (72) 는 장축상으로 형성한다. 히트 싱크 (72) 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케이스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 (72) 는, 판벽상의 싱크 베이스 (88) 와, 싱크 베이스 (88) 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 돌기 (89·90) 를 구비하고 있다. 방열 돌기 (89·90) 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방향의 케이스축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히트 싱크 (72) 의 상하 길이 (H2) 는,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길이 (H1) 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냉열 헤드 (71)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의 홀더 (73) 와, 히트 싱크 (72) 는, 히트 싱크 (72) 의 측으로부터 냉열 헤드 (71) 에 비틀어박은 체결구 (97) 에 의해 함께 체결 고정되어 유닛 부품화되어 있다. 히트 싱크 (72) 의 상부의 좌우 양측, 및 하부를 체결구 (99) 로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 고정한다.
히트 싱크 (72) 와 대향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내외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히트 싱크 (72) 로부터 전도된 열의 방출을 촉진하는 금속제의 방열판 (104) 을 배치한다.
히트 싱크 (72) 의 과반 하부는, 본체 케이스 (1) 의 내면벽에 대해 간극 (E) 을 개재하여 대향시킨다. 간극 (E) 은,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 두께보다 작게 설정한다.
히트 싱크 (72) 와 본체 케이스 (1) 사이에 환상 벽 (94) 으로 둘러싸인 방열 구획 (95) 을 형성한다. 환상 벽 (94) 과 접촉하는 히트 싱크 (72) 또는 본체 케이스 (1) 사이를 패킹 (102) 으로 시일한다.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벽에 방열구 (103) 를 형성한다.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싱크 베이스 (88) 에, 싱크 베이스 (88) 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오목부 (105) 를 형성한다.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싱크 베이스 (88) 에, 방열핀 (90) 과 오목부 (105) 를 교대로 형성한다.
환상 벽 (94) 은 히트 싱크 (72) 와 일체로 형성되고,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벽에 방열구 (103) 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벽 (94) 과 본체 케이스 (1) 사이를 패킹 (102) 으로 시일한다.
전열체 (21) 는 피부 전극 (32) 을 겸하고 있고, 그립을 겸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외면에 그립 전극 (11) 을 형성한다. 피부 전극 (32) 과 그립 전극 (11) 에 의해 피부면에 전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에서는,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되는 통상의 헤드 케이스 (20) 와, 헤드 케이스 (20) 의 외개구를 막는 전열체 (21) 와,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 구조 등으로 온열 헤드 (2) 를 구성했다. 또,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을, 외개구의 측으로부터, 장착 기부 (24) 의 측을 향해 작아지도록 설정했다. 이와 같이,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이 본체 케이스 (1) 에 근접할수록 작게 설정하면, 발열 구조에서 발생된 열이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으로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구조의 열을 전열체 (21) 를 통하여 피부면에 효과적으로 전도해, 온열 헤드 (2) 에 있어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주통벽부 (22) 와 외통벽부 (23) 로 헤드 케이스 (20) 를 구성하고, 주통벽부 (22) 를 외개구의 측을 향해 확개 통상으로 형성하면, 전열체 (21) 의 열이 헤드 케이스 (20) 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 (1) 의 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확개 통상의 부분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해,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배치한 전기 부품 등이 과열 상태에 빠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열 구조는, 히터 프레임 (34) 과, 히터 홀더 (35) 와, 히터 유닛 (36) 등으로 구성한다. 또한, 헤드 케이스 (20) 와, 장착자리 (13) 의 자리벽 (13a) 과, 히터 프레임 (34) 의 체결자리 (40) 를, 체결구 (61) 로 함께 체결 고정하여, 히터 유닛 (36) 을 전열체 (21) 와 히터 홀더 (35) 에 의해 협지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전열체 (21) 를 지지하는 헤드 케이스 (20) 와, 히터 유닛 (36) 을 지지하는 히터 홀더 (35) 및 히터 프레임 (34) 을 함께 체결 고정하면, 히터 유닛 (36) 을 전열체 (21) 와 히터 홀더 (35) 로 단단히 협지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유닛 (36) 에서 생성한 열을 전열체 (21) 에 더욱 효율적으로 전도할 수 있다.
히터 프레임 (34) 에 단열용의 면벽 (38) 을 설치하면, 히터 유닛 (36) 의 열이 히터 홀더 (35) 를 통하여 히터 프레임 (34) 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단열용의 면벽 (38) 으로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열이동을 저지해,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단열용의 면벽 (38) 을 주통벽부 (22) 의 장착 기부 (24) 쪽의 내면에 배치해,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를 내외로 구분하면,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면벽 (38) 에서 방해해, 발열 구조의 열이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통벽부 (22) 의 장착 기부 (24) 쪽의 내면, 요컨대 단면적이 작은 부분에 면벽 (38) 을 배치하므로, 면벽 (38) 을 소형화해 히터 프레임 (34) 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히터 홀더 (35) 에 설치한 장착부 (45) 에 바이브레이터 (50) 를 장착 고정하면, 히터 홀더 (35) 를 이용하여 바이브레이터 (50) 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전용 홀더를 준비하는 경우에 비해 가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피부면에 접촉하는 전열체 (21) 의 바로 인근에 바이브레이터 (50) 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피부면을 바이브레이터 (50) 로 효과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 (50) 를, 제 2 체결구 (61) 에 의해 체결된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으로 협지 고정하면,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50) 를 자기의 진동에 의해 움직일 여지가 없는 상태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 (50) 의 진동을, 히터 홀더 (35) 와 히터 유닛 (36) 을 통하여 전열체 (21) 에 적확하게 출력할 수 있다.
히터 홀더 (35) 에 원반상의 부착벽 (44) 과, 바이브레이터용의 장착부 (45) 를 설치하고, 바이브레이터 (50) 의 주위를 부착벽 (44) 과, 장착부 (45) 의 방음벽 (48) 으로 덮으면,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발생한 진동 소음이 헤드 케이스 (20) 의 외부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 (50) 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용하여 정음성이 우수한 미용 기구를 얻을 수 있다.
히터 홀더 (35) 및 히터 유닛 (36) 과 전열체 (21) 사이에, 열전도성을 구비한 탄성 시트 (37) 를 배치하면,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기진된 진동에 의해, 각 부재의 인접 부분에 있어서 채터링 소음이 생기려고 하는 것을 탄성 시트 (37) 에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기진된 진동을, 탄성 시트 (37) 를 통하여 전열체 (21) 로 확실하게 전동하면서, 미용 기구의 정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모터 (51) 와 편심추 (52) 로 바이브레이터 (50) 를 구성하고,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기진된 진동에 의해,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을 전열면 (21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면, 피부면을 효과적으로 두드려 미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피부면에 이온 도입용 또는 이온 도출용의 전류 자극을 주면서 미용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피부면을 전열면 (21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드려 미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냉열부 (3) 를 구비하고 있는 미용 기구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긴 장축상의 히트 싱크 (72) 를,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케이스축을 따라 배치하면, 열전 변환 소자 (70) 로부터 히트 싱크 (72) 로 전도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 변환 소자 (70) 에 의한 냉열의 공급을 확실하게 실시해, 냉열부 (3) 에 의한 미용 처리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또, 판벽상의 싱크 베이스 (88) 와, 다수개의 방열 돌기 (89·90) 로 히트 싱크 (72) 를 구성하고, 방열 돌기 (89·90) 를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축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하면, 상하로 긴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히트 싱크 (72) 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 변환 소자 (70) 에 의한 냉열 공급을 더욱 확실하게 실시해, 냉열부 (3) 에 의한 미용 처리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히트 싱크 (72) 의 상하 길이 (H2) 가,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길이 (H1) 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면,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 (72) 의 표면적을 충분히 큰 면적으로 해, 열전 변환 소자 (70) 로부터 히트 싱크 (72) 로 전도된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냉열 헤드 (71) 와 홀더 (73) 와 히트 싱크 (72) 를 일체화해 유닛 부품화함과 아울러, 히트 싱크 (72) 상부의 좌우 양측과 하부를 제 5 체결구 (99) 로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 고정하면, 히트 싱크 (72) 의 열을 냉열 헤드 (71) 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진 위치에서 본체 케이스 (1) 로 전도해 방열할 수 있다. 히트 싱크 (72) 상부의 좌우 양측은, 홀더 (73) 를 개재하여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 (1) 에의 열전도가 적어, 냉열 헤드 (71) 에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또, 히트 싱크 (72) 의 하부측은, 체결구 (99) 로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냉열 헤드 (71) 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열을 전도해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냉열 헤드 (71) 에 대한 열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히트 싱크 (72) 와 대향하는 본체 케이스 (1) 에 금속제의 방열판 (104) 을 배치하면, 히트 싱크 (72) 로부터 본체 케이스 (1) 로 전도된 열을, 본체 케이스 (1) 에 비해 열전도성이 우수한 방열판 (104) 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로써, 방열판 (104) 주위의 본체 케이스 (1) 의 온도, 혹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적확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히트 싱크 (72) 의 과반 하부를 본체 케이스 (1) 의 내면벽에 대해 간극 (E) 을 개재하여 대향시키고, 간극 (E) 을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 두께보다 작게 설정하면, 본체 케이스 (1) 가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가 되는 것을 피하면서, 히트 싱크 (72) 의 열을 효과적으로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방사 작용으로 전도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히트 싱크 (72) 가 본체 케이스 (1) 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트 싱크 (72) 와 접촉하고 있는 케이스 온도가 다른 곳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간극 (E) 의 값이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히트 싱크 (72) 로부터 방출된 열이, 본체 케이스 (1) 를 통하여 케이스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케이스 내부에 가득 차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히트 싱크 (72) 와 본체 케이스 (1) 사이에 방열 구획 (95) 을 형성하고, 동 구획 (95) 에 임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벽에 방열구 (103) 를 형성하면, 방열구 (103) 를 통하여 방열 구획 (95) 내로 외기를 받아들여, 히트 싱크 (72) 와 외기 사이의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 싱크 (72) 로부터 방출된 열이,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가득 차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열전 변환 소자 (70) 에 접촉하고 있는 수열부 (93) 와, 방열 구획 (95) 내에 임하는 히트 싱크 (72) 사이의 온도 낙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방열해야 할 열을 방열 구획 (95) 을 향해 최단 거리로 전도시켜 적확하게 방열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벽 (94) 의 접촉 부위를 패킹 (102) 으로 시일하므로, 외기와 함께 방열 구획 (95) 으로 들어간 진애, 혹은 물, 미용용 액 등이 방열 구획 (95) 주위의 케이스 내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 전기 회로의 단락이나 작동 불량 등의 진애 등의 부착에 따른 고장을 해소할 수 있다.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싱크 베이스 (88) 에 오목부 (105) 를 형성하면, 싱크 베이스 (88) 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히트 싱크 (72) 의 방열 작용을 촉진할 수 있어, 방열 구획 (95) 에 의한 열방출 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싱크 베이스 (88) 에, 방열핀 (90) 과 오목부 (105) 를 교대로 형성하면, 방열 구획 (95) 에 있어서의 열방출 부위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히트 싱크 (72) 에 의한 방열 작용을 촉진해, 방열 구획 (95) 에 의한 열방출 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환상 벽 (94) 을 금속제의 히트 싱크 (72) 와 일체로 형성하면, 환상 벽 (94) 을 본체 케이스 (1) 와 일체화하는 경우에 비해, 환상 벽 (94) 의 구조 강도를 증강시켜, 낙하 충격 등을 받아 환상 벽 (94) 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열체 (21) 를 이용하여 피부 전극 (32) 으로 하고, 피부 전극 (32) 과 본체 케이스 (1) 에 형성한 그립 전극 (11) 사이에 인체를 통하여 피부면에 미약한 펄스 전류를 공급하면, 온열 자극이나 냉열 자극에 병행하여 이온 도입이나 이온 도출 등의 미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미용 기구에 비해, 다양하고 보다 효과적인 미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미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도 3 에 있어서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 는 미용 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는 온열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 은 온열 헤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있어서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냉열부 및 방열 구획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있어서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11 은 히트 싱크와 후방 케이스의 대응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 은 각 기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4 는 열전 변환 소자의 구동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5 는 열전 변환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6 은 미용 기구의 재치 (載置) 스탠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미용 기구의 재치 스탠드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있어서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19 는 재치 스탠드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8 과 동등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다른 변형 실시예에 관련된 재치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관련된 재치 스탠드의 재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0 에 관련된 재치 스탠드의 다른 재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미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4 는 도 23 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25 는 미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6 은 미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 는 미용 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는 온열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 은 온열 헤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있어서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냉열부 및 방열 구획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있어서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11 은 히트 싱크와 후방 케이스의 대응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 은 각 기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4 는 열전 변환 소자의 구동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5 는 열전 변환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6 은 미용 기구의 재치 (載置) 스탠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미용 기구의 재치 스탠드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있어서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19 는 재치 스탠드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8 과 동등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다른 변형 실시예에 관련된 재치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관련된 재치 스탠드의 재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0 에 관련된 재치 스탠드의 다른 재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미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4 는 도 23 에 관련된 미용 기구의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25 는 미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6 은 미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기구와, 미용 기구용 재치 스탠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 상하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교차 화살표와, 각 화살표의 근방에 표기한 전후, 좌우, 상하의 표시에 따른다.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 미용 기구는, 그립을 겸하는 세로로 긴 본체 케이스 (본체부) (1) 와, 본체 케이스 (1) 의 전방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온열 헤드 (2) 와, 본체 케이스 (1) 의 후방면 상부에 팽출되는 냉열부 (3)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 (1) 의 전방면의 하부에는 하트형의 스위치 패널 (4) 이 설치되어 있고, 그 표면에 전원 투입용의 전원 버튼부 (5) 와,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버튼부 (6) 와, 인가 전압의 강도를 전환하는 전환 버튼부 (7)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스위치 패널 (4) 상측의 케이스면에는, 운전 모드의 상위에 따라 점등되는 4 개의 모드 표시등 (LED) (8) 과, 전류 자극의 강도의 상위에 따라 점등되는 3 개의 강도 표시등 (LED) (9) 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 (1) 는, 전후로 분할 형성된 전방 케이스 (1a) 와 후방 케이스 (1b) 로 구성되어 있고,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 케이스 (1a·1b) 를 3 개의 비스 (제 1 체결구) (10) 로 체결해 세로로 긴 중공 케이스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 (1) 의 전방면 상부에는, 온열 헤드 (2) 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의 장착자리 (13) 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도 4 참조), 본체 케이스 (1) 의 후방면 상부에는, 냉열부 (3) 를 케이스 외면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원형의 장착창 (14) 이 개구되어 있다. 또, 본체 케이스 (1) 의 하단에는, 급전잭 (15) 을 접속시키기 위한 소켓 (16) 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 (1) 의 후방면 하부에는, 방열판 (104) 을 겸하는 상하로 긴 계란형의 그립 전극 (11) 이 노출되어 있다. 전방 케이스 (1a) 의 내면에는 제어 기판 (17) 이 배치되어 있고, 제어 기판 (17) 에는, 온열 헤드 (2), 냉열부 (3), 후술하는 바이브레이터 (50) 등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가 실장되고, 또한 앞서의 각 버튼부 (5·6·7) 에 대응하는 스위치 (18), 및 각 표시등 (8·9) 등이 실장되어 있다.
(온열 헤드의 구조)
도 1,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 헤드 (2) 는,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되는 통상의 헤드 케이스 (20) 와, 헤드 케이스 (20) 의 외개구를 막는 전열체 (21) 와,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설치한 발열 구조 등으로 구성한다.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헤드 케이스 (20) 는, 벨 마우스상으로 형성되는 주통벽부 (22) 와, 주통벽부 (22) 에 연속되어 밖을 향해 돌출되는 환통상의 외통벽부 (23) 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주통벽부 (22) 의 내개구측의 개구 직경 (d) 에 비해, 외통벽부 (23) 의 외개구측의 개구 직경 (D) 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이, 주통벽부 (22) 에 있어서 외개구의 측으로부터, 본체 케이스 (1) 에 대한 장착 기부 (24) 의 측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주통벽부 (22) 의 내단의 장착 기부 (24) 를 본체 케이스 (1) 의 장착자리 (13) 에 끼워넣어 체결함으로써, 헤드 케이스 (20) 가 본체 케이스 (1) 와 일체화되어 있다. 외통벽부 (23) 의 외면은 전열체 (21) 용 부착부 (25) 로 되어 있고, 부착부 (25) 의 기단 부분에 플랜지 (캡 장착부) (26) 가 돌출되어 있다. 벨 마우스상의 주통벽부 (22) 에 관해서, 벨 마우스상이란 테이퍼통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열체 (21) 는, 티탄판재를 소재로 하는 캡상의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열면 (21a) 에 원형의 액 유지부 (29) 의 일군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18 개의 액 유지부 (29) 를 써클상으로 배치해, 화장수 등의 미용용 액을 각 액 유지부 (29) 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전열체 (21) 는, 그 통상의 주위벽이 외통벽부 (23) 의 외면에 외감 장착되어, 플랜지 (26) 에 고정한 유지링 (30) 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미용용 액이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통벽부 (23) 에 끼워넣어 장착한 O 링 (31) 으로, 전열체 (21) 의 주위벽과 외통벽부 (23) 의 간극을 시일하고 있다.
전열체 (21) 는 피부 전극 (전극부) (32) 을 겸하고 있고, 앞서의 그립 전극 (11) 과 협동해, 인체를 통하여 피부면에 미약한 펄스 전류를 작용시켜, 이온 도입용 또는 이온 도출용의 전류 자극을 준다. 그 때문에, 전열체 (21) 는, 그 내면에 가압되는 스프링 전극 (65) 을 개재하여 전류 조정 회로와 접속되고, 또한 그립 전극 (11) 은, 그 내면에 가압되는 스프링 전극 (66) 을 개재하여 전류 조정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발열 구조는,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되는 히터 프레임 (34) 과, 히터 프레임 (34) 의 외면에 체결되는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홀더 (35) 의 외면에 장착되는 히터 유닛 (36) 과, 히터 유닛 (36) 의 외면에 고정되는 탄성 시트 (37) 등으로 구성한다. 히터 프레임 (34) 및 히터 홀더 (35) 는 모두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히터 프레임 (34) 은, 원판상으로 형성되는 단열용의 면벽 (38) 과, 면벽 (38) 의 주위 2 군데에 설치한 다리편 (39) 과, 다리편 (39) 의 돌출단에 설치한 체결자리 (40) 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히터 홀더 (35) 를 지지하는 면벽 (38) 의 외면측의 3 군데에는 비스자리 (41) 가 밖을 향해 팽출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편 (39) 은, 원판상의 면벽 (38) 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그 단면은 부분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리편 (39) 을 부분 원호상으로 오목하게 하는 것은, 헤드 케이스 (20) 의 장착 기부 (24) 의 내면에 형성한 나사 보스 (27) 를 다리편 (39) 에 맞물리게 하여, 헤드 케이스 (20) 를 임시 위치 결정시키기 위해서이다. 또, 다리편 (39) 의 단면을 부분 원호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다리편 (39) 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켜, 히터 홀더 (35) 및 히터 유닛 (36) 을 강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히터 홀더 (35) 는, 히터 유닛 (36) 을 지지하는 원반상의 부착벽 (44) 과, 부착벽 (44) 의 히터 프레임 (34) 과의 대향면에 설치되는 장착부 (45) 와, 앞서의 비스자리 (41) 에 대응해 장착부 (45) 의 주위에 형성되는 나자 보스 (46) 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부착벽 (44) 의 외면에는, 히터 유닛 (36) 을 수용하는 히터 오목부 (47) 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 (45) 는 바이브레이터 (50) 를 수용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바이브레이터 (50) 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음벽 (48) 과, 방음벽 (48) 의 내면에 설치한 수용 리브 (49) 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이브레이터 (50) 는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의 단열용의 면벽 (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 (50) 는, 모터 (51) 와, 모터 (51) 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편심추 (52) 로 구성한다. 모터 (51) 에 외감한 모터 홀더 (53) 를 앞서의 방음벽 (48) 의 내부에 장착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 (50) 는 히터 홀더 (35) 에 고정된다. 히터 프레임 (34) 및 히터 홀더 (35) 를 본체 케이스 (1) 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의 바이브레이터 (50) 는, 모터 (51) 의 중심축선이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과 평행이 되는 상태로 장착부 (45) 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기진된 진동의 주된 방향은,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과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요컨대,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기진된 진동으로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을, 전열면 (21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켜, 온열 헤드 (2) 에서 미용 처리를 실시할 때에,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에서 피부면을 두드리도록 해 진동시킬 수 있다.
히터 유닛 (36) 은 원형의 면상 히터 (56) 와, 면상 히터 (56) 를 내외로부터 사이에 두는 1 쌍의 전극판 (57·58) 으로 구성한다. 면상 히터 (56) 는 PTC 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 오목부 (47) 에 수용되는 전극판 (58) 에는 3 개의 스프링 팔 (59) 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스프링 팔 (59) 로 면상 히터 (56) 를 전극판 (57) 을 향해 가압 바이어싱하고 있다. 외측의 전극판 (57) 은, 그 둘레가장자리의 록킹 클로 (60) 가 히터 홀더 (35) 의 부착벽 (44) 의 둘레가장자리에 록킹되어 면상 히터 (56) 를 위치 유지하고 있고, 록킹 클로 (60) 의 클로 길이의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탄성 시트 (37) 는 열전도성이 풍부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의 전극판 (57) 과 전열체 (21)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 유닛 (36) 의 열을 전열체 (21) 에 전도하고, 바이브레이터 (50) 에서 기진된 진동을 전열체 (21) 로 전동한다.
온열 헤드 (2) 는 다음과 같이 해 전방 케이스 (1a) 에 조립한다. 히터 유닛 (36), 탄성 시트 (37), 및 바이브레이터 (50) 를 히터 홀더 (35) 에 조립하고, 히터 프레임 (34) 과 히터 홀더 (35) 를, 나사 보스 (46) 에 비틀어박은 비스 (제 2 체결구) (61) 로 체결해, 유닛 부품화된 발열 구조를 얻는다. 이 상태에서, 모터 홀더 (53) 가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에 의해 단단히 협지 고정되어 있다 (도 6 참조). 헤드 케이스 (20) 의 장착 기부 (24) 를 전방 케이스 (1a) 의 외면으로부터 장착자리 (13) 에 끼워넣어 고정하고, 또한 유닛 부품화된 발열 구조를 전방 케이스 (1a) 의 내면측으로부터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삽입하고, 히터 프레임 (34) 의 체결자리 (40) 가 장착자리 (13) 의 자리벽 (13a) 의 내면에 접합되는 상태로 임시 조립한다.
다음으로, 체결자리 (40) 와 자리벽 (13a) 에 삽입 통과한 비스 (제 3 체결구) (63) 를, 헤드 케이스 (20) 의 내면에 형성한 나사 보스 (27) 에 비틀어박음으로써, 헤드 케이스 (20) 와 자리벽 (13a) 과 히터 프레임 (34) 의 체결자리 (40) 를 함께 체결 고정한다.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된 헤드 케이스 (20) 는, 그 주통벽부 (22) 의 대부분의 부분이 본체 케이스 (1) 의 전방 (외면) 으로 돌출되고, 통 중심축이 비스듬하게 위를 향해 약간 경사져 있다. 헤드 케이스 (20) 의 주통벽부 (22) 와, 본체 케이스 (1) 의 장착자리 (13) 사이에는, 주통벽부 (22) 의 외면에 끼워넣어 장착한 O 링 (62) 으로 시일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 케이스 (20) 와 발열 구조를 본체 케이스 (1) 와 일체화한 체결 상태에서는, 히터 프레임 (34) 의 면벽 (38) 이, 헤드 케이스 (20) 의 주통벽부 (22) 의 장착 기부 (24) 쪽의 내면에 위치해,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를 내외로 구분하고 있다. 이로써, 히터 유닛 (36) 에서 가열된 공기가,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면벽 (38) 은 가열 공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단열용의 구분벽으로서 기능해,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열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또, 앞서의 체결 상태에서는, 히터 유닛 (36) 과 탄성 시트 (37) 가, 전열체 (21) 와 히터 홀더 (35) 의 부착벽 (44) 에 의해 협지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의 히터 유닛 (36) 은, 탄성 시트 (37) 를 개재하여 전열체 (21) 의 단벽에서 수용되어, 내측의 전극판 (58) 의 스프링 팔 (59) 이 약간 탄성 변형되는 상태로, 히터 오목부 (47) 의 내부 바닥에 압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의 전극판 (57) 의 록킹 클로 (60)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 홀더 (35) 의 부착벽 (44) 의 둘레가장자리의 후방면측으로부터 떠서 떨어져 있고, 이 떠서 떨어진 거리만큼 전극판 (57) 은 전열체 (21) 의 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이, 전극판 (57) 을 밖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은, 전열체 (21) 가 히터 유닛 (36) 에 의해 가열되어 밖을 향해 열팽창할 때, 히터 유닛 (36) 을 전열체 (21) 의 팽창 변형에 추종해 이동시켜, 전열체 (21) 에 대한 열전도를 적확하게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온열 헤드 (2) 의 내부에 히터 유닛 (36) 을 설치하면, 면상 히터 (56) 의 열이 유동해, 전열체 (21) 와 헤드 케이스 (20) 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주통벽부 (22) 가 잘록부를 구비한 벨 마우스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을, 외통벽부 (23) 의 외개구의 측으로부터 장착 기부 (24) 의 측을 향해 서서히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전도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열체 (21) 를 면상 히터 (56) 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냉열부의 구조)
도 1 및 도 8 에 있어서, 냉열부 (3) 는 정방형상의 펠티에 소자 (열전 변환 소자) (70) 와, 펠티에 소자 (70) 의 외면 (편면) 에 배치되어 냉열을 출력하는 냉열 헤드 (71) 와, 펠티에 소자 (70) 의 내면 (타면) 에 배치되어 온열을 방출하는 히트 싱크 (72) 등으로 구성한다. 펠티에 소자 (70) 는 소자 홀더 (73) 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냉열면과 온열면의 각각에 전열 시트 (74) 가 첩부 (貼付) 되어 있다. 소자 홀더 (73) 는, 원판상의 유지벽 (75) 과, 유지벽 (75) 의 주위 2 군데에 연결 돌출되는 체결팔 (76) 을 일체로 구비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유지벽 (75) 의 중앙에 펠티에 소자 (70) 를 수용하기 위한 사각형의 유지 구멍 (77)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벽 (75) 의 히트 싱크측의 판면에는, 비스 삽입 통과용의 보스 (78) 가 형성되어 있다. 전열 시트 (74) 는, 앞서의 탄성 시트 (37) 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냉열 헤드 (71) 는, 원반 블록상의 축열부 (81) 와, 축열부 (81) 의 펠티에 소자 (70) 와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수열부 (82) 와, 수열부 (82) 의 주위 2 군데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 보스 (83) 와, 플랜지부 (84) 를 일체로 구비한 알루미늄제의 다이 캐스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냉열 헤드 (71) 는, 축열부 (81) 를 후방 케이스 (1b) 의 장착창 (14) 에 케이스 내면측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후방 케이스 (1b) 에 고정되고, 이 상태의 축열부 (81) 의 외단의 전열면 (81a) 은 장착창 (14) 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다 (도 1 참조). 히트 싱크 (72) 는 장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케이스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 (72) 는, 판벽상의 싱크 베이스 (88) 와, 싱크 베이스 (88) 의 전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전방핀 (방열 돌기) (89) 의 일군과, 싱크 베이스 (88) 의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방핀 (방열 돌기) (90) 의 일군을 일체로 구비한, 알루미늄제의 다이 캐스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 베이스 (88) 는, 베이스 상부에 설치한 통상의 상부 베이스 (91) 와, 상부 베이스 (91) 의 하측의 측벽에 연속되어 수직으로 연결 돌출되는 하부 베이스 (92) 로 이루어지고, 상부 베이스 (91) 의 세로벽의 후방면측에 사각형상의 수열부 (93)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베이스 (91) 의 좌우에는 비스 삽입 통과 구멍 (96)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참조). 방열 돌기 (89·90) 는, 판벽상의 핀 구조일 필요는 없고, 둥근 막대상 혹은 각진 막대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92) 의 후방면에는, 사각 프레임상의 환상 벽 (94) 을 설치해 사각형상의 방열 구획 (95) 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핀 (89) 은, 상부 베이스 (91) 의 상측의 측벽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베이스 (92) 의 하단쪽에 걸쳐서 앞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후방핀 (90) 은, 상부 베이스 (91) 의 하측의 측벽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베이스 (92) 의 하단쪽에 걸쳐서 뒤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방핀 (90) 의 돌출단 가장자리는, 후방 케이스 (1b) 의 만곡 형상을 따라 만곡되어 있고, 환상 벽 (94) 의 돌출단과, 동 벽 (94) 에 대향하는 후방 케이스 (1b) 의 내면에는, 각각 사각 프레임상의 시일 홈 (113·114) 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전방핀 (89) 및 후방핀 (90) 은, 각각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방향의 케이스축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 (72) 의 상하 길이 (H2) 가,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길이 (H1) 의 절반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펠티에 소자 (70) 에서 생성된 온열을 표면적이 큰 히트 싱크 (72) 에서 확실하게 방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싱크 베이스 (88) 의 체적을 냉열 헤드 (71) 의 체적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해, 히트 싱크 (72) 의 단위시간당 열전도량 (열용량) 을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냉열부 (3) 를 사용하는 경우에, 펠티에 소자 (70) 에서 생성된 온열을 효과적으로 히트 싱크 (72) 측으로 전도시켜 적확하게 방열할 수 있다.
냉열부 (3) 는 다음과 같이 해 후방 케이스 (1b) 에 조립한다. 먼저, 소자 홀더 (73) 의 유지 구멍 (77) 에 펠티에 소자 (70) 를 조립하고, 그 전후면에 전열 시트 (74) 를 첩부한다. 이 상태의 소자 홀더 (73) 의 전방측에 히트 싱크 (72) 를, 후방측에 냉열 헤드 (71) 를 각각 조립하고, 비스 삽입 통과 구멍 (96) 및 보스 (78) 에 삽입 통과한 2 개의 비스 (제 4 체결구) (97) 를 나사 보스 (83) 에 비틀어박아 (도 1 참조), 유닛 부품화된 냉열 구조를 얻는다. 다음으로, 후방 케이스 (1b) 의 환상 벽 (94) 과의 대향 부분에 사각형상의 패킹 (102) 을 장착하고, 냉열 헤드 (71) 의 축열부 (81) 를 장착창 (14) 에 끼워넣으면서, 냉열 구조의 전체를 후방 케이스 (1b) 에 대어 위치 결정한다.
소자 홀더 (73) 의 좌우의 체결팔 (76) 과, 히트 싱크 (72) 의 하부 중앙에 형성한 비스 삽입 통과 구멍 (98) 에 삽입 통과한 비스 (제 5 체결구) (99) 를, 후방 케이스 (1b) 에 형성한 나사 보스 (100) (도 4 및 도 11 참조) 에 비틀어박은 냉열 구조를 후방 케이스 (1b) 에 고정한다. 축열부 (81) 와 장착창 (14) 사이의 간극은, O 링 (101) 으로 시일하고 있다. 이 상태의 후방 케이스 (1b) 와, 온열 헤드 (2) 및 제어 기판 (17) 등이 조립된 전방 케이스 (1a) 를 덮개 맞춤상으로 접합하고, 양 케이스 (1a·1b) 를 비스 (10) 로 체결함으로써, 온열 헤드 (2) 와 냉열부 (3) 를 구비한 미용 기구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히트 싱크 (72) 상부의 좌우 양측과 하부를 제 5 체결구 (99) 로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 고정하면, 히트 싱크 (72) 의 열을 냉열 헤드 (71) 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진 위치에서 본체 케이스 (1) 에 전도해 방열할 수 있다. 이것은, 히트 싱크 (72) 상부의 좌우 양측은, 홀더 (73) 를 개재하여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 (1) 로의 열전도가 적어, 냉열 헤드 (71) 에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또, 히트 싱크 (72) 의 하부측은, 체결구 (99) 로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냉열 헤드 (71) 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열을 전도해 방열할 수 있고, 따라서 냉열 헤드 (71) 에 대한 열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냉열 구조를 본체 케이스 (1) 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는, 히트 싱크 (72) 의 과반 하부에 설치한 후방핀 (90) 이, 후방 케이스 (1b) 의 내면벽에 대해 간극 (E) 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도 8 참조). 또, 환상 벽 (94) 의 돌출단이 패킹 (102) 에 밀착되어, 후방 케이스 (1b) 와 하부 베이스 (92) 사이에 환상의 방열 구획 (95) 을 형성하고 있다.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후방 케이스 (1b) 의 케이스벽에는, 다수개의 방열구 (103)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열 구획 (95) 에 있어서의 열교환을 촉진해, 히트 싱크 (72) 의 열을 본체 케이스 (1) 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 방열구 (103) 의 하측에 배치한 금속제의 그립 전극 (11) 은 방열판 (104) 으로서 기능하므로, 후방 케이스 (1b) 로 전도한 히트 싱크 (72) 의 열을, 방열판 (104) 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히트 싱크 (72) 의 하방 부분과 정면으로 대향하는 후방 케이스 (1b) 의 외면에 방열판 (104) 을 설치하므로, 히트 싱크 (72) 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 (72)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방열판 (104) 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열 면적을 크게 해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히트 싱크 (72) 의 하단을 체결하는 비스 (99) 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방열판 (104) 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히트 싱크 (72) 의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하부 베이스 (92) 에는, 후방핀 (방열핀) (90) 과 오목부 (105) 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핀 (90) 과 후방 케이스 (1b) 사이의 간극 (E) 은, 후방 케이스 (1b) 의 케이스 두께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극 (E) 을 형성하고, 추가로 간극 (E) 을 후방 케이스 (1b) 의 케이스 두께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은, 후방핀 (90) 이 후방 케이스 (1b) 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방핀 (90) 과의 접촉부의 온도가 다른 곳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 간극 (E) 의 값이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후방핀 (90) 으로부터 방사 작용으로 방출된 열이, 후방 케이스 (1b) 를 통하여 케이스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케이스 내부에 가득 차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본체 케이스 (1) 가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가 되는 것을 회피하면서, 히트 싱크 (72) 의 열을 효과적으로 본체 케이스 (1) 측으로 전도하기 위해서, 간극 (E) 을 후방 케이스 (1b) 의 케이스 두께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후방 케이스 (1b) 의 두께 치수는 2.0 ㎜ 이고, 간극 (E) 의 값은 1.0 ∼ 1.8 ㎜ 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는, 히터 유닛 (36), 바이브레이터 (50), 및 펠티에 소자 (70) 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회로 (106) 와, 이온 도입용 또는 이온 도출용의 미약한 펄스 전류를 조정해, 그립 전극 (11) 및 피부 전극 (32) 에 대해 펄스 전류를 출력하는 피부 전류 제어 회로 (107) 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미용 기구의 운전 모드, 및 각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각 기기의 제어의 상세를 설명한다. 모드 표시등 (8) 이나 강도 표시등 (9) 의 점등 상태는 기기 제어 회로 (106) 로 제어하고 있다.
미용 기구는, 전원 버튼부 (5) 를 온 조작한 후, 모드 버튼부 (6) 를 누름 조작할 때마다 제 1 부터 제 4 의 운전 모드로 전환되고, 각 모드마다 각 기기의 작동 상태를 기기 제어 회로 (106) 에서 제어한다 (도 12 참조). 또, 필요에 따라, 피부 전류 제어 회로 (107) 에서 조정된 미약한 펄스 전류를 그립 전극 (11) 및 피부 전극 (32) 에 대해 출력하거나, 혹은 그 극성을 전환한다. 미용 기구의 사용 시에는, 필요에 따라 화장수가 함침된 면 매트 (시트상 흡액체) (110) 를 피부 전극 (32) 의 외면에 대고, 그 주위를 헤드 케이스 (20) 의 플랜지 (캡 장착부) (26) 에 압박해 넣어 장착되는 캡 (111) 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111) 은 전후면이 개구되는 링상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기단측의 링벽의 내면의 4 군데에, 플랜지 (26) 에 걸리고 풀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맞물림 클로 (11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운전 모드)
제 1 운전 모드에서는, 화장수가 함침된 면 매트 (110) 를 피부 전극 (32) 에 장착해, 얼굴 피부의 주름, 모공 등에 잠입하고 있는 미세한 오염을 떨어뜨리는 이온 도출 처리를 실시한다. 상세하게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부 (5) 를 온 조작하면, 최상부의 등색의 모드 표시등 (8) 이 점등되고, 동시에 좌단의 강도 표시등 (9) 이 점등되고, 동시에 도시 생략한 발음체가 「삑」이란 소리를 낸다. 또한, 전원 버튼부 (5) 가 온 조작된 후 소정 시간 t1 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그립 전극 (11) 및 피부 전극 (32) 에 대해, 오프 시간이 긴 피부 검지용의 미약한 펄스 전류가 공급된다. 본체 케이스 (1) 및 그립 전극 (11) 을 한손으로 잡고, 피부 전극 (32) 을 얼굴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앞서의 펄스 전류가 인체를 통과한다. 이 상태가 피부 검지 상태이다. 피부 검지용의 펄스 전류가 공급되는 데에 병행해, 전원 버튼부 (5) 가 온 조작되고, 또한 운전 모드가 전환된 후, 소정 시간 t2 (5 초) 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히터 유닛 (36) 에 대한 구동 전류의 공급이 개시된다. 또한, 전원 버튼부 (5) 가 온 조작되고, 또한 운전 모드가 전환되기까지의 시간 t1 은, 미용 기구의 사용자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므로 임의의 시간이 된다.
전원 버튼부 (5) 가 온 조작된 후, 피부 전극 (32) 이 얼굴 피부에 접촉해, 피부 전극 (32) 과 그립 전극 (11) 이 도통한 시점 (피부 검지 상태) 에서, 피부 전극 (32) 에 플러스 극성의 펄스 전류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 (50) 가 기동된다. 소정 시간 t3 은, 피부 검지 상태가 인식될 때까지의 임의의 시간이고, 사용자가 피부 전극 (32) 을 얼굴 피부에 접촉시킬 때까지의 시간이 된다. 사용자는 피부 전극 (32) (전열체 (21)) 에 장착한 면 매트 (110) 를 얼굴 피부에 압박하거나, 혹은 압박한 상태에서 피부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미세한 오염을 면 매트 (110) 로 포착할 수 있다. 그 동안에, 피부면에 대한 전류 자극이 작은 경우에는, 전류 자극의 강도를 전환하는 전환 버튼부 (7) 를 조작해, 기호의 자극 강도로 조정할 수 있다. 피부 전극 (32) 에 플러스 극성의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나서, 3 분이 경과하면 펄스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동시에 히터 유닛 (36), 및 바이브레이터 (50) 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모드 표시등 (8) 및 강도 표시등 (9) 이 소등된다. 이때 발음체가 「삐삐」라고 소리를 내어, 제 1 운전 모드가 종료한 것을 고지한다. 덧붙여서, 전원 버튼부 (5) 가 온 조작된 후, 3 분이 경과해도 피부 검지용의 신호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을 오프해 대기 상태로 되돌린다.
(제 2 운전 모드)
제 2 운전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제 1 운전 모드와 동일하게 해 화장수가 함침된 면 매트 (110) 를 피부 전극 (32) (전열체 (21)) 의 외면에 장착해 이온 도입 처리를 실시하고, 화장수를 피부면에 침투시켜 보습 효과를 높인다. 제 2 운전 모드에 있어서도, 제 1 운전 모드와 마찬가지로 피부 검지 상태가 된 시점에서, 피부 전극 (32) 에 플러스 극성의 펄스 전류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 (50) 가 기동된다. 단, 앞서의 제 1 운전 모드에서는, 피부 전극 (32) 에 플러스 극성의 펄스 전류를 공급했지만, 제 2 운전 모드에서는, 피부 전극 (32) 에 마이너스 극성의 펄스 전류를 공급해, 화장수의 침투를 촉진하는 점이 제 1 운전 모드와 상이하다. 제 2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위로부터 2 번째의 등색의 모드 표시등 (8) 이 점등한다. 피부 전극 (32) 에 마이너스 극성의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나서, 3 분이 경과하면 펄스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동시에 히터 유닛 (36), 및 바이브레이터 (50) 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동시에, 모드 표시등 (8) 및 강도 표시등 (9) 을 소등하고, 발음체에서 제 2 운전 모드가 종료한 것을 고지한다.
제 2 운전 모드에서는, 화장수가 함침된 면 매트 (110) 를 사용하지 않고, 점성이 높은 젤상의 화장수나, 유액 등의 미용 용액을 온열 헤드 (2) 에 도포해, 전열면 (21a) 의 전체에 펴바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열면 (21a) 에 오목하게 형성한 액 유지부 (29) 에서, 미용 용액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면 매트 (110) 를 사용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문제 없이 미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부 전극 (32) 을 얼굴 피부에 압박하거나, 혹은 압박한 상태에서 피부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얼굴 피부의 넓은 범위에 미용용 액을 침투시킬 수 있다. 또, 액 유지부 (29) 가 써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부 전극 (32) 을 이용하여 피부면의 손질을 실시할 때에, 액 유지부 (29) 의 액 저류 효과에 의해, 미리 피부면에 도포한 미용 용액을 전방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넓게 펴바를 수 있다. 또한, 히터 유닛 (36)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 액 유지부 (29) 를 써클상으로 형성하므로, 액 유지부 (29) 의 오목부와 히터 유닛 (36) 이 내외에서 간섭하는 것을 피해, 온열 헤드 (2) 의 전후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3 운전 모드)
제 3 운전 모드에서는, 위로부터 3 번째의 등색의 모드 표시등 (8) 이 점등되어 있고, 얼굴 피부에 펄스 전류를 공급하고, 히터 유닛 (36) 을 작동시켜, 제 1 운전 모드와 마찬가지로, 피부 검지 상태가 된 시점에서, 피부 전극 (32) 에 플러스 극성의 펄스 전류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 (50) 를 기동한 상태에서 미용 처리를 실시해 피부면을 정돈한다. 단, 제 3 운전 모드에서는, 피부 전극 (32) (전열체 (21)) 에 대해 플러스 극성의 펄스 전류와 마이너스 극성의 펄스 전류를 교대로 작용시킨 상태에서 미용 처리를 실시한다. 또, 제 3 운전 모드에서는, 화장수가 함침된 면 매트 (110) 를 사용하지 않고, 얼굴 피부를 시트 마스크로 덮은 상태, 혹은 유액을 얼굴 피부에 도포한 상태에서 미용 처리를 실시한다. 제 3 운전 모드는, 피부 전극 (32) 에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나서 3 분이 경과하면, 펄스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동시에 히터 유닛 (36), 및 바이브레이터 (50) 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동시에, 모드 표시등 (8) 및 강도 표시등 (9) 을 소등하고, 발음체에서 제 3 운전 모드가 종료한 것을 고지한다.
(제 4 운전 모드)
제 4 운전 모드에서는, 최하부의 청색의 모드 표시등 (8) 이 점등되어 있고, 냉열 헤드 (71) 를 펠티에 소자 (70) 로 냉각한 상태에서 미용 처리를 실시한다. 전원 버튼부 (5) 를 온 조작한 후, 모드 버튼부 (6) 를 조작해, 운전 모드가 제 4 운전 모드로 전환되면, 펠티에 소자 (70) 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냉열 헤드 (71) 의 냉각이 개시된다. 냉열 헤드 (71) 의 냉각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T1 (40 초) 이 경과할 때까지는, 펠티에 소자 (70) 에 2.7 V 의 전류를 연속해 공급하여 냉열 헤드 (71) 를 급속히 냉각한다.
그러나, 펠티에 소자 (70) 를 앞서의 전압 그대로 연속해서 구동하면, 냉열 헤드 (71) 가 지나치게 냉각되어, 히트 싱크 (72) 측의 열이 냉열 헤드 (71) 측으로 피드백되어, 냉열 헤드 (71) 를 소정의 온도 상태로 냉각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냉열 헤드 (71) 의 냉각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T1 (40 초) 이 경과할 때까지의 전압 V1 을 2.7 V 로 하고, 냉각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40 초) 이 경과한 시점에서, 펠티에 소자 (70)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펄스화해, 펄스 전류를 펠티에 소자 (70) 에 공급한다. 이때의 인가 전압 V2 는, 1 차 냉각 시의 2.7 V 로부터 2 V 로 제한하고 있다. 이후, 2 차 냉각 시간 (80 초) 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2.0 V 의 펄스 전류로 펠티에 소자 (70) 가 구동된다.
사용자는 냉열 헤드 (71) 의 냉각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T1 이 경과한 시점에서 미용 기구의 사용을 개시하고, 2 차 냉각 시간 T2 가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미용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제 4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여 얼굴 피부를 패팅하는 것과 동일한 요령으로, 냉열 헤드 (71) 의 전열면 (81a) 을 얼굴 피부에 대거나, 혹은 얼굴 피부로부터 떼는 처리를, 얼굴 피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로 반복한다. 제 4 운전 모드는, 펠티에 소자 (70) 에 전류가 공급되고 나서 2 분이 경과하면,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동시에, 모드 표시등 (8) 및 강도 표시등 (9) 을 소등하고, 발음체에서 제 4 운전 모드가 종료한 것을 고지한다.
이상은, 제어 회로에 의한 각 운전 모드마다의 제어예이지만, 제어 회로는 각 운전 모드가 종료할 때마다 전회 사용한 운전 모드를 기억하고 있어, 차회에 전원 버튼부 (5) 가 온 조작된 경우에는, 전회 사용한 운전 모드의 다음의 운전 모드를, 개시 운전 모드로 해 제어를 실시한다. 또, 반복하여 제 4 운전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냉열 헤드 (71) 를 냉각하는 1 차 냉각 시간 T1 을 서서히 변경해, 히트 싱크 (72) 측의 열의 피드백 영향을 해소해, 냉열 헤드 (71) 를 소정의 냉열 온도로까지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실온이 25 ℃ 이었던 경우에는, 1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펠티에 소자 (70) 에 2.7 V 의 구동 전류를, 1 차 냉각 시간 T1 (40 초) 이 경과할 때까지 공급하여, 25 ℃ 의 냉열 헤드 (71) 를 15 ℃ 로까지 저하시킨다. 계속해 2 차 냉각 시간 T2 가 경과할 때까지, 2 V 의 펄스 전류로 펠티에 소자 (70) 를 구동한다. 그 때문에, 1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가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 (72) 는, 35 ℃ 전후로까지 가열된 상태에 있고, 1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의 종료 후에, 2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펠티에 소자 (70) 에 대해 히트 싱크 (72) 의 열이 피드백되어 버린다. 따라서, 2 회째에 1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와 동일한 조건 (1 차 냉각 시간 T1 = 40 초) 으로 펠티에 소자 (70) 를 구동해도, 냉열 헤드 (71) 의 온도를 15 ℃ 로까지 저하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히트 싱크 (72) 에 의한 열의 피드백 작용에 대처하기 위해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차 냉각 시간 T1 을, 1 회째의 40 초를 기준으로 하여, 2 회째는 60 초, 3 회째는 120 초로 서서히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한 경우라도, 1 차 냉각 시간 T1 과 2 차 냉각 시간 T2 의 합은 항상 일정 (120 초) 하고, 1 차 냉각 시간 T1 이 증가한 만큼 2 차 냉각 시간 T2 는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4 운전 모드는 3 회까지 반복해 사용할 수 있지만, 4 회째는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냉열 헤드 (71) 를 반복해 3 회 사용하는 데에 따라, 히트 싱크 (72) 에 축열되는 열량이 한도를 넘어, 예를 들어 펠티에 소자 (70) 를 구동했다고 해도, 히트 싱크 (72) 의 열이 피드백해, 냉열 헤드 (71) 를 소정의 온도 상태로까지 냉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 4 운전 모드가 4 회째에 선택된 경우에는, 모든 표시등 (8·9) 이 점멸되고, 또한 발음체가 「삐, 삐」라고 소리를 단속시켜 경고를 실시한다.
또한, 2 회째 및 3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1 차 냉각 시간 T1 의 변경, 및 4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의 사용 제한은, 1 회째의 제 4 운전 모드를 개시한 후의 경과 시간이 60 분 이내인 경우에 실시된다. 이것은, 앞서의 경과 시간이 60 분을 넘은 경우에는, 히트 싱크 (72) 의 열이 방열되어 실온 정도로까지 저하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펠티에 소자 (70) 의 제어는 이하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냉열 헤드 (71)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와, 히트 싱크 (72)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냉각 미용 기구로서,
제어 회로는, 열전 변환 소자 (70) 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구동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T1 이 경과하는 동안과, 2 차 냉각 시간 T2 가 경과하는 동안에서 상이하도록 제어하고 있고,
열전 변환 소자 (70) 의 구동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T1 이 경과하는 동안에는, 제어 회로는 소정의 전압 V1 의 구동 전류를 열전 변환 소자 (70) 에 대해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있고,
2 차 냉각 시간 T2 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는, 구동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고, 또한 구동 전류의 전압을 상기 소정의 전압 V1 보다 낮은 전압 V2 로 설정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미용 기구.
1 회째의 열전 변환 소자 (70) 의 구동이 종료한 후, 열전 변환 소자 (70) 에 다시 구동 전류를 공급해 냉열 헤드 (71) 를 냉각할 때에,
차회에 열전 변환 소자 (70) 를 구동할 때의 1 차 냉각 시간 T1 이, 전회에 열전 변환 소자 (70) 를 구동했을 때의 1 차 냉각 시간 T1 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다.
1 회째의 열전 변환 소자 (70) 의 구동이 종료한 후, 열전 변환 소자 (70) 에 다시 구동 전류를 공급해 냉열 헤드 (71) 를 냉각할 때에,
차회에 열전 변환 소자 (70) 를 구동할 때의 2 차 냉각 시간 T2 가, 전회에 열전 변환 소자 (70) 를 구동했을 때의 2 차 냉각 시간 T2 보다 짧게 설정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열 헤드 (71) 의 냉각 개시로부터 1 차 냉각 시간 T1 이 경과할 때까지는, 펠티에 소자 (70) 에 2.7 V 의 전류를 공급해 냉열 헤드 (71) 를 급속히 냉각한다. 또, 2 차 냉각 시간 T2 에 있어서는, 냉열 헤드 (71) 가 지나치게 냉각되는 데에 따른, 히트 싱크 (72) 의 열의 피드백을 방지할 필요상, 펠티에 소자 (70)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펄스화하고, 추가로 인가 전압 V2 를 2.0 V 로 제한하지만, 그 근거는 이하와 같다.
냉열 헤드 (71) 가 지나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차 냉각 시간 T2 에 있어서 펠티에 소자 (70)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전압 V1 (2.7 V) 은 그대로, 구동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면 된다. 혹은,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차 냉각 시간 T2 에 있어서 펠티에 소자 (70)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전압 V2 (2.0 V) 를 저하시키는 경우에도, 냉열 헤드 (71) 가 지나치게 냉각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펠티에 소자 (70) 에 의한 전력 소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구동 전류를 단순히 펄스 전류화하는 경우에는, 펄스 전류가 오프 된 상태에 있어서, 히트 싱크 (72) 의 열이 냉열 헤드 (71) 로 전도되기 때문에, 냉열 헤드 (71) 가 냉각되기 어려워진다. 펄스 전류의 펄스폭을 작게 하면, 오프 시간이 짧아지므로, 냉열 헤드 (71) 가 냉각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기기 제어 회로 (106) 에 설치한 제어용 컴퓨터 칩의 스펙 오버가 되기 때문에, 보다 고가의 제어용 컴퓨터 칩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 구동 전류의 전압 V2 를 단순히 저하시키는 경우에는, 냉열 헤드 (71) 가 지나치게 냉각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지만 충분하지 않고, 예를 들어 펠티에 소자 (70) 가 반복하여 구동되는 경우에, 냉열 헤드 (71) 가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냉각되어 버린다. 구동 전류의 전압 V2 를 더 저하시키면, 냉열 헤드 (71) 가 지나치게 냉각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전압을 저하시키기 위한 저항의 발열 작용으로 다이오드 등의 회로 부품이 발열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상의 이유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 차 냉각 시간 T2 에 있어서 펠티에 소자 (70)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전압 V2 를, 1 차 냉각 시간 T1 에 있어서의 구동 전류의 전압 V1 보다 저하시키고, 추가로 구동 전류를 펄스 전류화해 펠티에 소자 (70) 를 구동하고 있다.
도 16 내지 도 18 은, 미용 기구를 보관할 때에 재치하거나, 혹은 사용 도중의 미용 기구를 재치하기 위한 재치 스탠드 (120) 를 나타내고 있다. 재치 스탠드 (120) 는, 좌우로 긴 용기상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 쌀알상으로 형성되는 둘레측벽 (121) 과, 둘레측벽 (121)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속되는 상벽 (122) 과, 상벽 (122) 에 연속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재치자리 (123) 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 재치자리 (123) 의 하면측에는, 캡 (111) 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캡 수납부 (12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측벽 (121) 의 하단면은 면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재치 스탠드 (120) 의 다리부를 겸하고 있고, 테이블 등에 재치한 상태에 있어서, 재치 스탠드 (120) 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상벽 (122) 은 도 16 을 마주볼 때 좌단측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고, 우단측으로 근접하는 데에 따라 높이가 저하되는, 완만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재치자리 (123) 는, 좌우 가로로 긴 얕은 홈통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지지자리 (125) 와, 본체 지지자리 (125) 에 연속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 오목부 (126) 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지지자리 (125) 는, 수용 오목부 (126)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측에 수용 오목부 (126) 의 하면측의 공간보다 충분히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앞서의 캡 수납부 (124)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지지자리 (125) 는 횡와 자세로 한 본체부 (1) 를 지지한다. 또, 수용 오목부 (126) 는, 위를 향해 개구되는 통상 오목부로 구성되고, 그 통벽의 직경이 전극부 (32) 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캡 수납부 (124) 는, 본체 지지자리 (125) 의 하측의 공간을 이용하여, 아래를 향해 개구되는 환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벽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유지 리브 (127) 가 형성되어 있다. 미사용 시의 캡 (111) 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 클로 (112) 가 본체 지지자리 (125) 의 자리벽과 정면으로 대향하는 자세로 캡 수납부 (124) 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의 캡 (111) 의 링벽 및 맞물림 클로 (112) 는, 유지 리브 (127) 에 의해 약간 탄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캡 (111) 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일은 없다. 또한, 수용 오목부 (126) 에는, 캡 (111) 이 장착된 상태의 전극부 (32) 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2 개째의 스페어의 캡 (111) 을 캡 수납부 (124) 에 수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재치 스탠드 (120) 는, 미용 기구를 도 16(a) 에 나타내는 제 1 수납 자세와, 도 16(b) 에 나타내는 제 2 수납 자세 중 어느 횡와 자세로 재치할 수 있다. 제 1 수납 자세에 있어서는, 본체부 (1) 가 본체 지지자리 (125) 에 의해 지지되고, 전극부 (32) 가 횡와 자세로 한 본체부 (1) 의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냉열부 (3) 의 팽출 부분이 수용 오목부 (126) 에 들어가 있다. 이 제 1 수납 자세는, 미용 처리가 종료된 미용 기구를 보관하는 데에 적합하다. 제 2 수납 자세에 있어서는, 본체부 (1) 가 본체 지지자리 (125) 에 의해 지지되고, 전극부 (32) 가 수용 오목부 (126) 의 내바닥과 대향하고, 냉열부 (3) 의 팽출 부분이 본체부 (1) 의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제 2 수납 자세는, 사용 도중의 미용 기구를 임시로 두는 데에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미용 기구는 제 1 수납 자세와 제 2 수납 자세 중 어느 자세로 수납할 수 있지만, 어느 경우에도 본체부 (1) 를 잡기 쉽게 하기 위해서, 재치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 (1) 의 그립단 (128) 을, 재치 스탠드 (120) 의 외곽선의 밖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 본체부 (1) 의 그립단 (128) 을, 재치 스탠드 (120) 의 재치면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그립단 (128) 과 재치 스탠드 (120) 의 재치면 사이에 손가락을 거는 간극 (G) 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재치 스탠드 (120) 에 임시로 둔 본체부 (1) 를, 보관 시에 비해 잡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 2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그립단 (128) 의 돌출 치수 L2 를, 제 1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그립단 (128) 의 돌출 치수 L1 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제 1 수납 자세에 있어서도, 그립단 (128) 은 재치 스탠드 (120) 의 외곽선의 밖으로 돌출되지만, 그 돌출 치수 L1 은 제 2 수납 자세 시의 돌출 치수 L2 보다 작기 때문에, 보관 시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해, 그립단 (128) 이 방해가 되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수납 자세에 있어서는, 냉열부 (3) 의 팽출 부분이 수용 오목부 (126) 에 들어가, 수용 오목부 (126) 의 개구면이 본체부 (1) 에 의해 막혀 있다. 그 때문에, 보관 시에 수용 오목부 (126) 의 내부에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수납 자세에 있어서는, 수용 오목부 (126) 의 통벽의 직경이 전극부 (32) 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부 (32) 및 본체부 (1) 와 수용 오목부 (126) 의 개구면 사이에 큰 통기 간극 (F) 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미용 기구를 제 2 수납 자세로 임시로 둔 상태에 있어서, 피부 전극 (32) 에 장착한 면 매트 (110) 로부터 미용용 액이 수용 오목부 (126) 내로 적하되는 일이 있어도, 수용 오목부 (126) 내의 미용액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9 는, 캡 수납부 (124) 를 변경한 재치 스탠드 (120) 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거기서는, 캡 수납부 (124) 를 아래를 향해 개구되는 환통상으로 형성하고, 통벽의 하단에서 돌출된 플랜지 (131) 에, 캡 (111) 의 맞물림 클로 (112) 를 맞물릴 수 있도록 했다. 이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캡 (111) 은 캡 수납부 (124) 의 통벽에 외감하는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 는, 재치 스탠드 (120) 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거기서는, 도 16 ∼ 도 18 에서 설명한 재치 스탠드 (120) 의 본체 지지자리 (125) 를 생략하고, 전극부 (32)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126) 만으로 재치 스탠드 (120) 를 캡상으로 구성했다. 상세하게는, 전후 1 쌍의 보호벽 (133) 과 좌우 1 쌍의 걸림벽 (134) 과 바닥벽 (135) 으로 수용 오목부 (126) 를 사각 용기상으로 구성하고, 수용 오목부 (126) 의 안쪽의 바닥벽 (135) 에, 캡 (111) 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캡 수납부 (124) 를 형성하도록 했다. 또한, 앞서의 바닥벽 (135) 에 기립 스탠드 (136) 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동 스탠드 (136) 의 전후에 1 쌍의 다리부 (137) 를 돌출 형성했다.
1 쌍의 보호벽 (133) 은 터널 단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 벽의 대향면에 전극부 (32), 및 냉열 헤드 (71) 를 수용하는 탄성 시트 (138) 가 고정되어 있다. 캡 수납부 (124) 에는 4 개의 맞물림 클로 (139)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맞물림 클로 (139) 에 캡 (111) 의 소경 개구부를 맞물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립 스탠드 (136) 는, 본체부 (1) 의 그립단 (128) 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단 (128) 을 기립 스탠드 (136) 에 끼워넣음으로써, 미용 기구를 재치 스탠드 (120) 에 의해 기립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재치 스탠드 (120) 는, 도 21 에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와 자세로 한 본체부 (1) 를 1 쌍의 걸림벽 (134) 으로 지지하는 횡와 수납 자세로 수납할 수 있다. 또, 도 21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케이스 (20) 가 편측의 걸림벽 (134) 에 걸려, 그립단 (128) 이 재치면에 의해 지지되는 경사 수납 자세로 수납할 수 있다. 어느 자세도 사용 도중의 미용 기구를 임시로 두는 데에 적합하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 (1) 의 대부분이 재치 스탠드 (120) 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본체부 (1) 를 적확하게 잡아 유지할 수 있다.
미용 처리가 종료한 미용 기구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1) 의 상부에 수용 오목부 (126) 를 장착해, 전극부 (32) 및 냉열 헤드 (71) 를, 탄성 시트 (138) 를 개재하여 1 쌍의 보호벽 (133) 으로 덮은 상태로 한다. 또,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단 (12) 을 기립 스탠드 (136) 에 끼워넣어, 미용 기구를 재치 스탠드 (120) 에 의해 기립 유지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매장에서 미용 기구를 기립 유지한 상태로 진열할 때에도, 재치 스탠드 (120)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치 스탠드 (120) 를 구비한 미용 기구는, 이하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립을 겸하는 세로로 긴 본체부 (1) 와, 본체부 (1) 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부면에 미약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부 (32) 를 구비하고 있는 미용 기구와, 미용 기구가 횡와 자세로 재치되는 재치 스탠드 (120) 를 구비하고 있는 미용 기구로서,
재치 스탠드 (120) 의 재치자리 (123) 에 본체부 (1) 를 횡와 자세로 재치 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 (1) 의 그립단 (128) 이 재치 스탠드 (120) 의 외곽선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구.
본체부 (1) 를 재치 스탠드 (120) 에 횡와 자세로 재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그립단 (128) 이, 재치 스탠드 (120) 의 재치면보다 상방에 위치해, 그립단 (128) 과 재치면 사이에 손가락을 거는 간극 (G) 이 확보되어 있다.
본체부 (1) 는, 전극부 (32) 가 횡와 자세로 한 본체부 (1) 의 상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수납 자세와, 전극부 (32) 가 수용 오목부 (126) 내에 수용되는 제 2 수납 자세 중 어느 수납 자세로 재치 스탠드 (120) 에 재치할 수 있고,
제 2 수납 자세에 있어서 재치 스탠드 (120) 의 외곽선으로부터 돌출되는 그립단 (128) 의 돌출 치수 L2 가, 제 1 수납 자세에 있어서 재치 스탠드 (120) 의 외곽선으로부터 돌출되는 그립단 (128) 의 돌출 치수 L1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126) 가 위를 향해 개구되는 통상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고,
미용 기구를 재치 스탠드 (120) 에 제 2 수납 자세로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전극부 (32) 및 본체 케이스 (1) 와 수용 오목부 (126) 사이에 통기 간극 (F) 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126) 가 위를 향해 개구되는 통상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고,
미용 기구를 재치 스탠드 (120) 에 제 1 수납 자세로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1) 가 수용 오목부 (126) 의 상측 개구를 막고 있다.
전극부 (32) 의 외면을 덮는 시트상 흡액체 (110) 가, 전극부 (32) 의 캡 장착부 (26) 에 장착한 캡 (111) 에 의해 유지 고정되어 있고,
재치 스탠드 (120) 의 내면에, 상기 캡 (111) 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캡 수납부 (124) 가 형성되어 있다.
재치자리 (123) 가, 본체부 (1) 를 수용하는 본체 지지자리 (125) 와, 전극부 (32)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126) 를 포함하고,
캡 수납부 (124) 가, 본체 지지자리 (125) 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캡 수납부 (124) 는 아래를 향해 개구되는 통벽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캡 (111) 이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재치 스탠드 (120) 가, 전극부 (32) 의 외면을 덮는 보호 캡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재치 스탠드 (120) 에, 전극부 (32)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126) 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 (126) 의 안쪽에, 캡 (111) 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캡 수납부 (124) 가 형성되어 있다.
재치 스탠드 (120) 의 바닥벽에 기립 스탠드 (136) 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동 스탠드 (136) 의 주위에 다리부 (137) 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 (1) 의 하부를 기립 스탠드 (136) 로 지지해, 미용 기구를 재치 스탠드 (120) 에 의해 기립 유지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 은, 온열 헤드 (2) 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냉각 기능만을 구비한 미용 기구의 실시예와, 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4 의 미용 기구는, 본체 케이스 (1) 의 상부 전방면에 냉열부 (3) 용 장착창 (14) 을 개구하고, 장착창 (14) 에 조립한 냉열 헤드 (71) 를 앞을 향해 노출시키도록 했다.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는 2 차 전지 (142) 가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 (72) 는, 싱크 베이스 (88) 와, 동 베이스 (88) 의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방핀 (90) 을 구비하고 있고, 싱크 베이스 (88) 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뒤를 향해 돌출되는 환상 벽 (94) 을 주회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열쇠구멍형의 방열 구획 (95) 을 형성했다. 싱크 베이스 (88) 는,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상부 베이스 (91) 와, 수직의 하부 베이스 (92) 로 구성되어 있고, 방열 구획 (95) 측에 한해 후방핀 (90) 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케이스 (1b) 의 외면에는, 동 케이스 (1b) 의 상단쪽으로부터 하단쪽에 걸쳐서 그립 전극 (11) 을 겸하는 방열판 (104) 이 고정되어 있고, 앞서의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후방 케이스 (1b) 의 케이스벽과 방열판 (104) 에, 일군의 방열구 (103) 가 개구되어 있다. 냉열 헤드 (71) 는 피부 전극 (32) 을 겸하고 있고, 앞서의 그립 전극 (11) 과 협동해, 인체를 통하여 피부면에 미약한 펄스 전류를 공급하고, 이온 도입용 또는 이온 도출용의 전류 자극을 준다. 그 때문에, 냉열 헤드 (71) 와 그립 전극 (11) 은, 도시 생략한 전극을 통하여 피부 전류 제어 회로 (107) 의 전류 조정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싱크 베이스 (88) 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환상 벽 (94) 을 주회상으로 돌출 형성하면, 방열 구획 (95) 이 싱크 베이스 (88) 의 후방면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므로, 히트 싱크 (72) 로부터 방출되는 온열을 본체 케이스 (1) 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 방열판 (104) 을 겸하는 그립 전극 (11) 의 면적이 큰 만큼, 후방 케이스 (1b) 로 전도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다른 것은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한다.
도 25 의 미용 기구는, 기본적으로 도 23 에서 설명한 미용 기구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하지만, 후방 케이스 (1b) 의 내면에 패킹 (102) 을 겸하는 시일층 (143) 을 형성해, 시일층 (143) 으로 환상 벽 (94) 과 후방 케이스 (1b) 의 접합면을 시일하도록 했다. 시일층 (143) 은 후방 케이스 (1b) 에 대해, 2 색 성형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냉열 헤드 (71) 도 피부 전극 (32) 을 겸하고 있고, 그립 전극 (11) 과 협동하여 인체를 통하여 피부면에 미약한 펄스 전류를 작용시켜, 이온 도입용 또는 이온 도출용의 전류 자극을 준다.
도 26 의 미용 기구는, 뒤를 향해 개구되는 상부 베이스 (91) 와, 앞을 향해 개구되는 하부 베이스 (92) 로 싱크 베이스 (88) 를 구성하고, 상부 베이스 (91) 의 측에 후방핀 (90) 을 설치하고, 하부 베이스 (92) 의 측에 전방핀 (89) 을 설치하도록 했다. 또, 하부 베이스 (92) 에 설치한 환상 벽 (94) 으로 방열 구획 (95) 을 구성하고, 전방 케이스 (1a) 의 내면에 설치한 시일 리브 (144) 를, 환상 벽 (94) 에 형성한 시일 홈 (145) 에 끼워넣어, 환상 벽 (94) 과 전방 케이스 (1a) 의 접합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 케이스 (1a) 및 방열판 (104) 에 형성한 방열구 (103) 로부터 방열 구획 (95) 의 열을 방출하므로, 전원 버튼부 (5) 나 스위치 (18) 등은, 후방 케이스 (1b) 의 상부에 배치하도록 했다. 또, 싱크 베이스 (88) 는, 전방 케이스 (1a) 의 내면에 설치한 나사 보스 (100) 에 비스 (99) 로 체결하도록 했다. 필요하다면, 시일 리브 (144) 를 시일 홈 (145) 에 열용착시켜,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일 리브 (144) 와 시일 홈 (145) 으로 방열 구획 (95) 을 시일하는 경우에는, 패킹 (102) 을 시일 요소로 하는 경우의 완전한 방수 효과는 얻어지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방진, 방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실용상은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통벽부 (22) 를 벨 마우스상으로 형성했지만, 그럴 필요는 없고, 주통벽부 (22) 는 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의 테이퍼 통상, 혹은 다단 통상 등 확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펠티에 소자 (70) 의 온열을 히트 싱크 (72) 의 방열 작용만으로 방출하도록 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열교환용의 공기를 히트 싱크 (72) 를 향해 송급하는 송풍 팬을 배치해, 온열을 강제적으로 본체 케이스 (1) 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환상 벽 (94) 은 본체 케이스 (1) 의 측에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미용 기구에 있어서의 체결구 (10·61·63·97·99) 는, 모두 금속제의 비스로 이루어져 열을 전달하기 쉽다. 특히, 히트 싱크 (72) 를 후방 케이스 (1b) 에 체결하는 체결구 (99) 는, 히트 싱크 (72) 의 열을 후방 케이스 (1b) 로 효과적으로 전도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고 있다.
헤드 케이스 (20) 와 전열체 (21) 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경우의 형성 소재는 금속과 플라스틱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 헤드 케이스 (20) 를 플라스틱 성형할 때에 금속제의 전열체 (21) 를 아웃서트해,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경우의 형성 소재는 금속과 플라스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1 : 본체 케이스 (본체부)
2 : 온열 헤드
3 : 냉열부
13 : 장착자리
14 : 장착창
20 : 헤드 케이스
21 : 전열체
22 : 주통벽부
23 : 외통벽부
24 : 장착 기부
32 : 피부 전극 (전극부)
34 : 히터 프레임
35 : 히터 홀더
36 : 히터 유닛
50 : 바이브레이터
70 : 열전 변환 소자 (펠티에 소자)
71 : 냉열 헤드
72 : 히트 싱크
88 : 싱크 베이스
89 : 전방핀
90 : 후방핀
91 : 상부 베이스
92 : 하부 베이스
94 : 환상 벽
95 : 방열 구획
2 : 온열 헤드
3 : 냉열부
13 : 장착자리
14 : 장착창
20 : 헤드 케이스
21 : 전열체
22 : 주통벽부
23 : 외통벽부
24 : 장착 기부
32 : 피부 전극 (전극부)
34 : 히터 프레임
35 : 히터 홀더
36 : 히터 유닛
50 : 바이브레이터
70 : 열전 변환 소자 (펠티에 소자)
71 : 냉열 헤드
72 : 히트 싱크
88 : 싱크 베이스
89 : 전방핀
90 : 후방핀
91 : 상부 베이스
92 : 하부 베이스
94 : 환상 벽
95 : 방열 구획
Claims (21)
- 본체 케이스 (1) 에, 온열 헤드 (2) 가 설치되어 있는 미용 기구로서,
온열 헤드 (2) 는 본체 케이스 (1) 에 고정되는 통상의 헤드 케이스 (20) 와, 헤드 케이스 (20) 의 외개구를 막는 전열체 (21) 와,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 구조를 포함하고,
헤드 케이스 (20) 의 통 단면적이, 외개구의 측으로부터, 본체 케이스 (1) 에 대한 장착 기부 (24) 의 측을 향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 케이스 (20) 가, 상기 장착 기부 (24) 를 포함하는 주통벽부 (22) 와, 주통벽부 (22) 에 연속되어 밖을 향해 돌출되는 외통벽부 (23)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착 기부 (24) 는, 본체 케이스 (1) 의 장착자리 (13) 에 장착 고정되어, 주통벽부 (22) 및 외통벽부 (23) 가 본체 케이스 (1) 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주통벽부 (22) 가, 상기 장착 기부 (24) 로부터 상기 외개구의 측을 향해 확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발열 구조가, 히터 유닛 (36) 과, 히터 유닛 (36) 을 고정 지지하는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홀더 (35) 를 고정 지지하는 히터 프레임 (34) 을 포함하고,
본체 케이스 (1) 의 장착자리 (13) 에 장착한 헤드 케이스 (20) 와, 상기 장착자리 (13) 의 자리벽 (13a) 과, 동 자리벽 (13a) 의 내면에 배치한 히터 프레임 (34) 의 체결자리 (40) 의 3 자가, 상기 체결자리 (40) 의 측으로부터 헤드 케이스 (20) 에 비틀어박은 체결구 (63) 에 의해 함께 체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3 자 (20·13·34) 를 체결구 (63) 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히터 유닛 (36) 이, 전열체 (21) 와 히터 홀더 (35) 에 의해 협지 고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히터 프레임 (34) 에,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열이동을 방지하는 단열용의 면벽 (38) 이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단열용의 면벽 (38) 이 주통벽부 (22) 의 장착 기부 (24) 쪽의 내면에 배치되어, 헤드 케이스 (20) 의 내부를 내외로 구분하고 있는 미용 기구.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사이에 바이브레이터 (50) 가 배치되어 있고,
바이브레이터 (50) 가, 히터 홀더 (35) 에 형성한 장착부 (45) 에 장착 고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6 항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 (50) 가, 체결구 (61) 로 체결된 히터 홀더 (35) 와 히터 프레임 (34) 에 의해 협지 고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히터 홀더 (35) 가, 히터 유닛 (36) 을 지지하는 원반상의 부착벽 (44) 과, 부착벽 (44) 의 히터 프레임 (34) 과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바이브레이터용 장착부 (45) 를 구비하고 있고,
장착부 (45) 의 장착한 바이브레이터 (50) 의 주위가 부착벽 (44) 과, 장착부 (45) 에 형성한 방음벽 (48) 으로 덮여 있는 미용 기구. -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터 홀더 (35) 및 히터 유닛 (36) 과 전열체 (21) 사이에, 열전도성을 구비한 탄성 시트 (37) 가 배치되어 있고,
바이브레이터 (50) 로 기진된 진동을, 상기 탄성 시트 (37) 를 통하여 전열체 (21) 로 전동하고 있는 미용 기구. -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 (50) 가, 모터 (51) 와, 모터 (51) 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편심추 (52) 를 구비하고 있고,
바이브레이터 (50) 는, 모터 (51) 의 중심축선이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과 평행이 되는 상태로 장착부 (45) 에 장착 고정되어 있고,
바이브레이터 (50) 로 기진된 진동에 의해, 전열체 (21) 의 전열면 (21a) 을, 전열면 (21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미용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1) 에 냉열부 (3) 가 설치되어 있고,
냉열부 (3) 는, 열전 변환 소자 (70)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의 편면에 배치되어 냉열을 출력하는 냉열 헤드 (71) 와, 열전 변환 소자 (70) 타면에 배치되어 온열을 방출하는 히트 싱크 (72) 를 구비하고 있고,
히트 싱크 (72) 는 장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히트 싱크 (72) 가,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내부에 케이스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1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 (72) 가, 판벽상의 싱크 베이스 (88) 와, 싱크 베이스 (88) 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 돌기 (89·90) 를 구비하고 있고,
방열 돌기 (89·90) 가,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방향의 케이스축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 (72) 의 상하 길이 (H2) 가, 본체 케이스 (1) 의 상하 길이 (H1) 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열 헤드 (71) 와, 열전 변환 소자 (70) 의 홀더 (73) 와, 히트 싱크 (72) 는, 히트 싱크 (72) 의 측으로부터 냉열 헤드 (71) 에 비틀어박은 체결구 (97) 에 의해 함께 체결 고정되어 유닛 부품화되어 있고,
히트 싱크 (72) 의 상부의 좌우 양측, 및 하부가 체결구 (99) 로 본체 케이스 (1) 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 (72) 와 대향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내외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히트 싱크 (72) 로부터 이동한 열의 방출을 촉진하는 금속제의 방열판 (104) 이 배치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 (72) 의 과반 하부가, 본체 케이스 (1) 의 내면벽에 대해 간극 (E) 을 개재하여 대향되어 있고,
상기 간극 (E) 이,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 (72) 와 본체 케이스 (1) 사이에 환상 벽 (94) 으로 둘러싸인 방열 구획 (95)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 벽 (94) 과 접촉하는 히트 싱크 (72) 또는 본체 케이스 (1) 와의 사이가 패킹 (102) 으로 시일되어 있고,
상기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벽에 방열구 (103) 가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싱크 베이스 (88) 에, 싱크 베이스 (88) 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오목부 (105) 가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싱크 베이스 (88) 에, 방열핀 (90) 과 오목부 (105) 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벽 (94) 이 히트 싱크 (72) 와 일체로 형성되고, 방열 구획 (95) 에 임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케이스벽에 방열구 (103)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 벽 (94) 과 본체 케이스 (1) 사이가 패킹 (102) 으로 시일되어 있는 미용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열체 (21) 가 피부 전극 (32) 을 겸하고 있고, 그립을 겸하는 본체 케이스 (1) 의 외면에 그립 전극 (11) 이 형성되어 있고,
피부 전극 (32) 과 그립 전극 (11) 에 의해 피부면에 전류를 공급하는 미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60967 | 2013-03-22 | ||
JP2013060967A JP6082632B2 (ja) | 2013-03-22 | 2013-03-22 | 美容器具 |
PCT/JP2013/067630 WO2014147855A1 (ja) | 2013-03-22 | 2013-06-27 | 美容器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6042A true KR20150136042A (ko) | 2015-12-04 |
KR101985569B1 KR101985569B1 (ko) | 2019-06-03 |
Family
ID=5157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4329A KR101985569B1 (ko) | 2013-03-22 | 2013-06-27 | 미용 기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082632B2 (ko) |
KR (1) | KR101985569B1 (ko) |
CN (1) | CN104869951B (ko) |
HK (1) | HK1210404A1 (ko) |
WO (1) | WO201414785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1012A (ko) * | 2016-02-26 | 2017-09-05 | 서문성 | 갈바닉 피부 마사지 장치 |
KR20220001137U (ko) * | 2020-11-13 | 2022-05-20 | 닝보 이노 헬스케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미세 전류를 기반으로 한 미용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184162A1 (en) * | 2014-12-30 | 2016-06-30 | L'oreal | Combined sonic and heat skin care device |
JP6556528B2 (ja) * | 2015-07-01 | 2019-08-07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美容器具 |
CN105055156A (zh) * | 2015-08-24 | 2015-11-18 | 洪道生 | 一种保健热疗仪 |
JP6588297B2 (ja) * | 2015-10-09 | 2019-10-09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美容器具 |
CN105250067A (zh) * | 2015-11-13 | 2016-01-20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按摩器 |
JP6695694B2 (ja) * | 2016-01-08 | 2020-05-20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美容器具 |
WO2017150381A1 (ja) * | 2016-03-03 | 2017-09-08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美容器具 |
CN105726286B (zh) * | 2016-04-22 | 2018-05-04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按摩器的控制电路及按摩器 |
CN106038233A (zh) * | 2016-06-29 | 2016-10-26 | 深圳可思美科技有限公司 | 冷热美容仪 |
CN106361556A (zh) * | 2016-10-20 | 2017-02-01 | 渲美美健(深圳)科技股份有限公司 | 人体按摩器 |
JP6806537B2 (ja) * | 2016-11-16 | 2021-01-06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美容器具 |
JP7012228B2 (ja) * | 2017-06-13 | 2022-01-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美容器具 |
CN107335103B (zh) * | 2017-07-18 | 2023-09-12 | 广州市全海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负压拔罐头及多功能通络仪 |
JP2019037451A (ja) * | 2017-08-24 | 2019-03-1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美容器具 |
CN109498409B (zh) * | 2017-11-16 | 2021-04-30 | 英特士雷德贸易有限公司 | 面膜仪 |
CN108451704B (zh) * | 2018-04-11 | 2024-10-18 | 伊德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脸部按摩仪 |
JP7143204B2 (ja) * | 2018-12-18 | 2022-09-28 | マクセル株式会社 | 小型電気機器 |
EP3938034A1 (en) * | 2019-03-13 | 2022-01-19 | Fabrizio ROGNONE | Electromedical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skin aging and pathological areas of the human body |
JP7281765B2 (ja) * | 2019-04-10 | 2023-05-26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美容器具 |
JP6666502B2 (ja) * | 2019-04-16 | 2020-03-13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美容器具 |
CN110074959B (zh) * | 2019-04-23 | 2024-03-15 | 广东罗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浮动式美容仪 |
US11877976B2 (en) | 2019-11-06 | 2024-01-23 | Threesixty Sourcing Limited | Physical therapy device with percussion, cooling, and heating |
CN111281782B (zh) * | 2020-03-17 | 2024-08-09 |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补水导入仪 |
KR102175098B1 (ko) * | 2020-04-20 | 2020-11-05 | (주)아주르852 | 가슴의 탄력 및 보습을 촉진하는 가슴 마사지 장치 |
KR102505552B1 (ko) * | 2020-08-20 | 2023-03-03 | 주식회사 이루다 |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거치대 |
CN112535619B (zh) * | 2020-12-01 | 2022-10-21 | 昌乐中医院 | 一种神经科用手部神经按摩恢复装置 |
KR102342012B1 (ko) * | 2021-03-25 | 2021-12-23 | 주식회사 수본 | 다기능 통합형 스킨 뷰티 디바이스 |
US12102583B2 (en) | 2021-05-17 | 2024-10-01 | MerchSource, LLC | Temperature-controlled massage node light indicator |
CN115804640B (zh) * | 2021-09-13 | 2024-04-02 | 广州星际悦动股份有限公司 | 美容仪 |
KR102703021B1 (ko) * | 2022-05-16 | 2024-09-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의료기기 표면 쾌속 살균장치 |
JP7289573B1 (ja) | 2022-08-29 | 2023-06-13 | 株式会社Kalos Beauty Technology | 美容器具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57556A (ja) | 1987-04-15 | 1988-10-25 | 松下電工株式会社 | 温冷美顔器 |
JPH06245973A (ja) * | 1993-02-23 | 1994-09-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温熱マッサージ機 |
JPH0739814U (ja) * | 1993-12-28 | 1995-07-18 | 東京ラヂエーター製造株式会社 | 携帯用冷温器 |
JP2012061251A (ja) | 2010-09-17 | 2012-03-29 | Kyushu Hitachi Maxell Ltd | 美容器具 |
JP2012152306A (ja) * | 2011-01-25 | 2012-08-16 | Hitachi Maxell Ltd | 美容器具 |
JP2012152307A (ja) | 2011-01-25 | 2012-08-16 | Hitachi Maxell Ltd | 美容器具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38416U (ko) * | 1988-03-16 | 1989-09-21 | ||
JP3914503B2 (ja) * | 2003-03-06 | 2007-05-16 | 三立電機株式会社 | 美顔器 |
JP4330936B2 (ja) * | 2003-06-18 | 2009-09-16 | 三立電機株式会社 | 美顔器 |
JP4345817B2 (ja) * | 2007-01-15 | 2009-10-14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肌ケア装置 |
CN202637735U (zh) * | 2012-05-31 | 2013-01-02 | 张克现 | 手持式多功能美容仪 |
-
2013
- 2013-03-22 JP JP2013060967A patent/JP6082632B2/ja active Active
- 2013-06-27 WO PCT/JP2013/067630 patent/WO201414785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6-27 KR KR1020157014329A patent/KR1019855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6-27 CN CN201380068273.3A patent/CN104869951B/zh active Active
-
2015
- 2015-10-28 HK HK15110608.6A patent/HK1210404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57556A (ja) | 1987-04-15 | 1988-10-25 | 松下電工株式会社 | 温冷美顔器 |
JPH06245973A (ja) * | 1993-02-23 | 1994-09-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温熱マッサージ機 |
JPH0739814U (ja) * | 1993-12-28 | 1995-07-18 | 東京ラヂエーター製造株式会社 | 携帯用冷温器 |
JP2012061251A (ja) | 2010-09-17 | 2012-03-29 | Kyushu Hitachi Maxell Ltd | 美容器具 |
JP2012152306A (ja) * | 2011-01-25 | 2012-08-16 | Hitachi Maxell Ltd | 美容器具 |
JP2012152307A (ja) | 2011-01-25 | 2012-08-16 | Hitachi Maxell Ltd | 美容器具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1012A (ko) * | 2016-02-26 | 2017-09-05 | 서문성 | 갈바닉 피부 마사지 장치 |
KR20220001137U (ko) * | 2020-11-13 | 2022-05-20 | 닝보 이노 헬스케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미세 전류를 기반으로 한 미용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869951B (zh) | 2017-05-17 |
JP2014184001A (ja) | 2014-10-02 |
KR101985569B1 (ko) | 2019-06-03 |
WO2014147855A1 (ja) | 2014-09-25 |
HK1210404A1 (en) | 2016-04-22 |
JP6082632B2 (ja) | 2017-02-15 |
CN104869951A (zh) | 2015-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5569B1 (ko) | 미용 기구 | |
JP6150590B2 (ja) | 美容器具 | |
JP6096819B2 (ja) | 美容器具 | |
JPH07222782A (ja) | 美容器具 | |
KR101056950B1 (ko) | 교체가능한 매체를 이용한 휴대용 냉온 마사지 장치 | |
JP6096570B2 (ja) | 美容器具 | |
US20230372730A1 (en) | Skin care assembly | |
KR20170098577A (ko) | 복합 미용기기 | |
KR20170003668U (ko) | 복합 미용기기 | |
KR100556230B1 (ko) | 자기 치료기용 코일 냉각장치 | |
KR20120010550A (ko) | 냉온 겸용 피부 미용기 | |
JP5995369B2 (ja) | 美容器具 | |
JP2000037412A (ja) | 美肌器 | |
JP5649991B2 (ja) | 美容器具 | |
KR20170057921A (ko) | 복합기능 미용기기의 헤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기능 미용기기 | |
JP6095451B2 (ja) | 美容器具 | |
JP5769221B2 (ja) | 美容器具 | |
JP6460755B2 (ja) | 美容器具 | |
JP6008454B2 (ja) | 美容器具 | |
JP6153369B2 (ja) | 美容器具 | |
JP6086785B2 (ja) | 美容器具システム | |
JP6086785B6 (ja) | 美容器具システム | |
JP7071795B2 (ja) | 美容器 | |
JP7143204B2 (ja) | 小型電気機器 | |
KR20210057250A (ko) | 휴대용 냉온 마사지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