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184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184A
KR20150133184A KR1020157024456A KR20157024456A KR20150133184A KR 20150133184 A KR20150133184 A KR 20150133184A KR 1020157024456 A KR1020157024456 A KR 1020157024456A KR 20157024456 A KR20157024456 A KR 20157024456A KR 20150133184 A KR20150133184 A KR 20150133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light
pixel
insulating film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219B1 (ko
Inventor
코지 키쿠치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3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01L27/321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01L27/3244
    • H01L51/527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01L22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화소 사이에 마련됨과 함께,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구비한 것으로,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는 화소마다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넨스(EL ; Electro Luminescence) 현상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이 가속됨에 따라, 고도의 성능을 갖는 표시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차세대 표시 소자로서 주목되고 있는 유기 EL 소자는, 자발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 EL 소자(발광 소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TFT에 접속된 배선층, 정공을 주입하는 양극, 발광층, 전자를 주입하는 음극, 수지, 컬러 필터 층 및 화소 분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는, 양극측 및 음극측부터 각각 정공 및 전자가 발광층에 주입되고, 이 정공 및 전자가 재결합함에 의해 발광한다. 발광층을 끼워지지하는 양극 및 음극의 어느 일방은 반사 미러로서도 작용하고, 발광 각도나 파장에 응하여 다른 간섭 효과를 낳는다. 이 때문에, 발광 소자의 발광 강도는 발광 각도 및 파장에 따라 크게 다르다.
예를 들면, 발광 각도가 큰 경우에는, 발광광은 디바이스 내를 전파하고, 패널의 밖으로 나올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복수 마련된 발광 소자를 분리하는 절연막으로서 굴절률이 다른 2종의 광학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용함에 의해 절연막측에게 누설된 성분광을 유기층으로 되돌리는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공진부를 구비한 발광 소자의 광학적 거리를 소자마다 설정한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0-153127호 공보 일본 특개2006-3025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 효율은 개선되지만, 시야각에 의해 색 재현도에 편차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표시 장치에서는 색 재현성은 향상하는 것이지만, 제조 공정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이한 방법으로 색 재현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휘도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의 한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발광광(發光光)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화소 사이에 마련됨과 함께,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구비한 것으로,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는 화소마다 설정되어 있다.
본 기술의 한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를 배치하는 것과, 복수의 화소 사이에,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가짐과 함께, 반사면의 각도가 화소마다 설정된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한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기술의 한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에서는, 화소 사이에,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마련하고, 그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를 화소마다 설정하여 분별하여 형성함에 의해, 각 화소에서의 발광 강도가 높은 발광광을 임의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기술의 한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절연막의 반사면 각도를 화소마다 설정하여 분별하여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화소에서 높은 발광 강도를 갖는 발광광의 사출 방향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각 화소의 색 재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화소에서의 발광 휘도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는 비교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발광광의 광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발광광의 광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화소 구동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게 계속된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c는 도 8b에게 계속된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a는 변형례 1에 관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변형례 2에 관한 화소의 형상(A)∼(D)의 예.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화소 형상(C)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의 한 예.
도 13a는 비교례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3b는 본 개시의 실시례 1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4a는 비교례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4b는 본 개시의 실시례 2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5a는 비교례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5b는 본 개시의 실시례 3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례 4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7a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화소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적용례 1의 표측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b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의 화소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적용례 1의 이측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적용례 2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a는 적용례 2의 표측에서 본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b는 적용례 2의 이측에서 본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적용례 3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적용례 4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a는 적용례 5의 닫은 상태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상면도 및 하면도.
도 22b는 적용례 5의 연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의 형태
1-1. 기본 구성
1-2.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
1-3. 제조 방법
1-4. 작용·효과
2. 변형례
변형례 1(개구율을 화소마다 조정한 예)
변형례 2(화소 형상의 예)
변형례 3(절연막의 반사율을 조정한 예)
3. 실시례
4. 적용례(전자 기기의 예)
<1.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표시 장치(1A))의 평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표시 장치(1A)는, 카메라의 파인더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 영역(110)에 복수의 화소(2)를 예를 들면 도트형상으로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각 화소(2)는, 예를 들면, 적화소(2R), 녹화소(2G) 및 청화소(2B)의 3색의 부화소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화소(2R, 2G, 2B)에는 각각 대응하는 단색광을 발생하는 발광 소자(적색의 단색광을 발생한 적색 발광 소자(10R)(적화소(2R)), 녹색의 단색광을 발생한 녹색 발광 소자(10)G(녹화소(2G)) 및 청색의 단색광을 발생한 청색 발광 소자(10B)(청화소(2B)))가 마련되어 있다(모두 도 2 참조).
(1-2. 기본 구성)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하나의 화소(2)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화소(2)는, 여기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화소(2R), 녹화소(2G) 및 청화소(2B)의 3색의 부화소로 구성되고, 각각 절연막(13)(13RG, 13GB, 13BR)에 의해 구획된 발광 영역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각 부화소(2R, 2G, 2B)의 발광 영역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절연막(13)은 각 발광 소자(10R, 10G, 10B)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이른바 격벽이고, 각 부화소(2R, 2G, 2B)에서의 발광 영역으로서 개구부(1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부(13A)에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각각 대응하는 발광 소자(10R, 10G, 10B)를 구성하는 발광층(14C)(적색 발광층(14CR), 녹색 발광층(14CG), 청색 발광층(14CB))을 포함하는 유기층(14)이 마련되어 있다. 절연막(1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노볼락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를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무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2, SiO, SiC, SiN을 들 수 있다. 절연막(13)은, 예를 들면 상기 유기 재료에 의한 단층막으로서 형성하여도 좋지만,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를 조합시킨 경우에는, 유기막과 무기물막과의 적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절연막(13)의 단면의 형상은,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이나 사각형상을 가지며, 측면은 각 발광층(14CR, 14CG, 14CB)으로부터 발하여진 발광광(LR, LG, LB)에 대한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발광광(LR, LG, LB)은, 이 반사면에 의해 각각 반사되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1점 파선과 같이 상방으로 사출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절연막(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적화소(2R), 녹화소(2G) 및 청화소(2B)를 둘러싸는 측면마다 설정된 반사면 각도(θ)를 갖는다. 여기서 반사면 각도(θ)란 예를 들면 제1 전극(12)의 상면과 절연막(13)의 측면이 이루어지는 각(角)이고, 예를 들면 45° 이상 90° 이하면 좋다.
발광층(14CR, 14CG, 14CB)으로부터의 발광광은, 각각 발광 각도나 파장에 응하여 다른 간섭 효과를 낳는다. 이 때문에, 발광 강도가 높은 광의 발광 방향은 발광 소자(10R, 10G, 10B)마다 다르다. 도 3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시 장치(100)의 단면 구성 및 각 발광 소자(110R, 110G, 110B)로부터의 발광광(LR, LG, LB)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발광광(LR, LG, LB) 중, 실선은 발광 강도가 높은 광이고, 파선은 발광 강도가 낮은 광이다.
표시 장치(100)에서는, 발광 소자(110R, 110G, 110B) 사이에 마련된 절연막(113)은 일률적으로 형성, 즉각 발광 소자(110R, 110G, 110B) 사이에 마련된 절연막(113)의 반사면 각도(θ)는 각각 같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110R, 110G, 110B)의 발광층(114CR, 114CG, 114CB)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장마다 발광 강도가 다르다. 이 때문에, 각 발광층(114CR, 114CG, 114CB)으로부터 발하여진 발광광(이른바, 발광 강도가 높은 광 및 약한 광)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113)의 반사면에 의해 각각 각(各) 파장마다 다른 방향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발광 소자(110R, 110G, 110B) 사이에서 시야각에서의 색 어긋남이나,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휘도의 편차가 생긴다.
도 4a는 본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1A)에서의 발광광(LR, LG, LB)의 사출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광(LR, LG, LB)의 반사면이 되는 절연막(13)의 경사각, 즉 반사면 각도(θ)는 각 부화소(2R, 2G, 2B)마다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광(LR, LG, LB)의 발광 강도가 높은 광은 개략 동일 방향으로 사출되게 된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R, 10G, 10B)애서 거의 균일한 시야각 특성을 갖게 된다. 즉, 각 부화소(2R, 2G, 2B) 사이에서의 색 어긋남이나, 휘도의 편차가 해소된다.
또한, 각 발광광(LR, LG, LB)에 대한 절연막(13)이 최적의 반사면 각도(θ)는 반사하는 발광광의 파장 외에 각 발광 소자(10)를 구성하는 제1 전극(12)나 발광층(14C)을 포함하는 유기층(14)의 막두께,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에 의해 최적의 각도는 변화한다. 이 때문에, 각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반사면 각도(θ)는, 예를 들면, 발광 강도가 강한 각도를 φ로 한 하기 식(1)을 이용하여 대강의 값(θ)을 산출하여 샘플을 형성한 후, 각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를 다시 조정함에 의해, 보다 시야각에 의한 색 어긋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식) θ=90-φ/2(°) … (1)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각 부화소(2R, 2G, 2B)마다 다른 반사면 각도(θ)를 갖는 절연막(13)은, 상세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를 사용하여, 포토 리소그래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광투과율이 단계적으로 다른 포토 마스크나 대응하는 측벽 각도로 조정한 가공용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드라이 에칭과 조합시킴에 의해 임의의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절연막(13)의 반사면을 적화소(2R), 녹화소(2G) 및 청화소(2B)마다 각각 최적의 각도로 조정하였지만, 어느 2개의 부화소를 같은 반사 각도로서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를 설계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표시 장치(1B)와 같이, 적화소(3R) 및 청화소(3B)를 같은 반사면 각도(θ)로 하고, 적화소(3R) 및 청화소(3B)와 녹화소(3G)와의 사이에서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를 설계하고, 각 발광광의 사출 방향을 조정하여도 상관없다. 각 화소(3R, 3G, 3B)마다 반사 각도를 설정한 편이 보다 높은 색 재현성을 얻을 수 있지만, 색 재현성은 3개의 부화소 중 어느 2개의 부화소의 반사면 각도(θ)를 같은 각도로서 조정하여도 충분히 개선된다. 또한, 절연막(13)의 반사면의 각도 형성을 보다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에서는 절연막(13)의 상면을 구동 기판(10)에 대해 수평한 상태에서 기재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요철 또는 곡면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절연막(13)의 두께는 제1 전극(12)의 두께보다도 두꺼우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발광층(14C)으로부터 사출되는 발광광의 평면 방향의 광을, 예를 들면 상면 방향으로 반사 가능한 막두께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12)의 상면부터 격벽(13)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1㎛ 이상이면 좋다. 또한, 상한은 특히 묻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소 사이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
도 6은, 표시 장치(1A)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표시 장치(1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R, 10G, 10B)로서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의 파인더 등의 중소형의 표시 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표시 영역(110)의 주변에, 영상 표시용의 드라이버인 신호선 구동 회로(120) 및 주사선 구동 회로(130)를 갖고 있다.
표시 영역(110) 내에는 화소 구동 회로(140)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화소 구동 회로(140)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화소 구동 회로(140)는, 후술하는 제1 전극(12)의 하층에 형성된 액티브형의 구동 회로이다. 즉, 이 화소 구동 회로(140)는, 구동 트랜지스터(Tr1) 및 기록 트랜지스터(Tr2)와, 이들 트랜지스터(Tr1, Tr2)의 사이의 커패시터(유지 용량)(Cs)와, 제1의 전원 라인(Vcc) 및 제2의 전원 라인(GND)의 사이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r1)에 직렬로 접속된 발광 소자(10R)(또는 10G, 10B)를 갖는다. 구동 트랜지스터(Tr1) 및 기록 트랜지스터(Tr2)는, 일반적인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 구성은 예를 들면 역스태거 구조(이른바 보텀 게이트형)라도 좋고 스태거 구조(톱 게이트형)라도 좋고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 구동 회로(140)에서, 열방향으로는 신호선(120A)이 복수 배치되고, 행방향으로는 주사선(130A)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신호선(120A)과 각 주사선(130A)과의 교차점이, 발광 소자(10R, 10G, 10B)의 어느 하나(부화소)에 대응하여 있다. 각 신호선(120A)은, 신호선 구동 회로(120)에 접속되고, 이 신호선 구동 회로(120)로부터 신호선(120A)을 통하여 기록 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에 화상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각 주사선(130A)은 주사선 구동 회로(130)에 접속되고, 이 주사선 구동 회로(130)로부터 주사선(130A)을 통하여 기록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발광 소자(10R, 10G, 1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술한 화소 구동 회로(140)의 구동 트랜지스터(Tr1), 평탄화 절연막(도시 생략)이 마련된 구동 기판(11)의 측부터, 양극으로서의 제1 전극(12), 절연막(13), 발광층(14C)을 포함하는 유기층(14), 및 음극으로서의 제2 전극(1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1)는, 평탄화 절연막에 마련된 접속구멍(도시 생략)을 통하여 제1 전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10R, 10G, 10B)는, 보호층(16)에 의해 피복되고, 또한 이 보호층(16)상에 접착층(17)을 통하여, 밀봉 기판(19)이 전면에 걸쳐서 맞붙여져 있다. 또한, 밀봉 기판(19)에는 컬러 필터(18A) 및 블랙 매트릭스(18B)를 가지며, 컬러 필터(18A)는, 발광 소자(10R, 10G, 10B)상에 대응하는 색의 컬러 필터(적색 필터(18AR), 녹색 필터(18AG), 청색 필터(18A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보호층(16)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 또는 금속 산화물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착층(17)은, 예를 들면 열 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전극(12)은, 반사층으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고, 가능한 한 높은 반사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발광 효율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전극(12)이 양극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전극(12)은 정공 주입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전극(12)으로서는, 예를 들면, 적층 방향의 두께(이하, 단지 두께라고 말한다)가 100㎚ 이상 1000㎚ 이하이고, 크롬(Cr), 금(Au), 백금(Pt), 니켈(Ni), 구리(Cu), 텅스텐(W) 또는 은(Ag) 등의 금속 원소의 단체 또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제1 전극(12)의 표면에는, 인듐과 주석의 산화물(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알루미늄(Al) 합금과 같이, 반사율이 높아도, 표면의 산화피막의 존재나, 일 함수가 크지 않음에 의한 정공 주입 장벽이 문제가 되는 재료에서도, 적절한 정공 주입층을 마련함에 의해 제1 전극(12)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연막(13)은,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5)과의 절연성을 확보함과 함께 발광 영역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막(13)은 제1 전극(12)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고, 제1 전극(12) 중 절연막(13)으로부터 노출한 영역, 즉 절연막(13)의 개구부(13A)가 발광 영역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막(13)의 측면은 각각 적화소(2R), 녹화소(2G) 및 청화소(2B)마다 설정된 경사각, 즉 반사면 각도(θ)를 갖고 있다. 또한, 유기층(14) 및 제2 전극(15)은, 절연막(13)의 위에도 마련되어 있지만, 발광이 생기는 것은 발광 영역뿐이다.
유기층(14)은, 예를 들면, 제1 전극(12)의 측부터 차례로, 정공 주입층(14A), 정공 수송층(14B), 발광층(14C), 전자 수송층(14D) 및 전자 주입층(14E)을 적층한 구성을 갖는다. 이들 중 발광층(14C) 이외의 층은 필요에 응하여 마련하면 좋다. 유기층(14)은, 발광 소자(10R, 10G, 10B)의 발광색에 의해 각각 구성이 달라도 좋다. 정공 주입층(14A)은, 정공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임과 함께,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버퍼층이다. 정공 수송층(14B)은, 발광층(14C)으로의 정공 수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발광층(14C)은, 전계를 걸음에 의해 전자와 정공과의 재결합이 일어나, 광을 발생하는 것이다. 전자 수송층(14D)은, 발광층(14C)으로의 전자 수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전자 주입층(14E)은, 전자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발광 소자(10R)의 정공 주입층(14A)은, 예를 들면, 두께가 5㎚ 이상 300㎚ 이하이고, 예를 들면 헥사아자트리페닐렌 유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10R)의 정공 수송층(14B)은, 예를 들면, 두께가 5㎚ 이상 300㎚ 이하이고, 비스[(N-나프틸)-N-페닐]벤지딘(α-NP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10R)의 발광층(14C)은, 예를 들면, 두께가 10㎚ 이상 100㎚ 이하이고, 8-퀴놀리놀알루미니움 착체(Alq3)에 2,6-비스[4-[N-(4-메톡시페닐)-N-페닐]아미노스티릴]나프탈렌-1,5-디칼보니토릴(BSN-BCN)을 40체적% 혼합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10R)의 전자 수송층(14D)은, 예를 들면, 두께가 5㎚ 이상 300㎚ 이하이고, Alq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10R)의 전자 주입층(14E)은, 예를 들면, 두께가 0.3㎚ 정도이고, LiF, Li2O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전극(15)은, 예를 들면, 두께가 10㎚ 정도이고,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또는 나트륨(Na)의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마그네슘과 은과의 합금(Mg-Ag 합금)은, 박막으로의 도전성과 흡수의 작음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Mg-Ag 합금에서의 마그네슘과 은과의 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막두께비로 Mg:Ag=20:1∼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전극(15)의 재료는, 알루미늄(Al)과 리튬(Li)과의 합금(Al-Li 합금)이라도 좋다.
제2 전극(15)은, 또한, 반투과성 반사층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제2 전극(15)이 반투과성 반사층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10R)는 공진기 구조(MC1)를 가지며, 이 공진기 구조(MC1)에 의해 발광층(14C)에서 발생한 광을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5)과의 사이에서 공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공진기 구조(MC1)는, 제1 전극(12)과 유기층(14)과의 계면을 반사면(P1), 중간층(18)과 전자 주입층(14E)와의 계면을 반투과 반사면(P2)으로 하고, 유기층(14)을 공진부로 하여, 발광층(14C)에서 발생한 광을 공진시켜서 반투과 반사면(P2)의 측부터 취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진기 구조(MC1)를 갖도록 하면, 발광층(14C)에서 발생한 광이 다중 간섭을 일으켜, 반투과 반사면(P2)의 측부터 취출되는 광의 스펙트럼의 반치폭(半値幅)이 감소하고, 피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정면 방향에서의 광반사 강도를 높여, 발광의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기판(19)측에서 입사한 외광에 대해서도 다중 간섭에 의해 감쇠시킬 수가 있어서, 컬러 필터(23)와의 조합에 의해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외광의 반사율을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1-3. 제조 방법)
다음에, 표시 장치(1A)의 제조 방법을 도 8a∼도 8c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판(11)에 제1 전극(12) 및 구동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하는 화소 구동 회로(140)를 형성한 후, 전면에 감광성 수지를 도포함에 의해 평탄화 절연막을 형성한다. 노광 및 현상에 의해 평탄화 절연막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함과 함께 접속 구멍을 형성하고, 소성(燒成)한다.
뒤이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퍼터법에 의해,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12)을 형성하고, 웨트 에칭에 의해 제1 전극(12)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발광 소자(10R, 10G, 10B)마다 분리한 후, 구동 기판(11)의 전면에 걸쳐서 절연막(13)이 되는 감광성 수지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포토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개구부를 마련하고, 소성함에 의해, 절연막(13)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성 수지상에게 각 화소(2R, 2G, 2B)마다 광투과율이 다른 포토 마스크(21A)를 형성한 후 노광하고, 각각 고유의 경사각을 갖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형성하다. 또한, 이 포토 마스크(21A)는 예를 들면 글라스 기판(21a)의 하면에 차광성의 레지스트막(21b)을 도포하고, 소정의 위치에 슬릿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에,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마스크로 하여 드라이 에칭을 행하여,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사면 각도(θ)가 각각 다른 절연막(13)을 형성한다.
또한, 여기서는 각 화소(2R, 2G, 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슬릿이 형성된 포토 마스크(21A)를 이용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광투과율을 얻을 수 있도록 경사각이 형성된 포토 마스크(21B)를 이용하여 절연막(13)의 가공을 행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증착법에 의해, 상술한 두께 및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층(14)의 정공 주입층(14A), 정공 수송층(14B), 발광층(14C) 및 전자 수송층(14D)을 형성한다. 다음에, 예를 들면 증착법에 의해, 상술한 두께 및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15)을 성막한다. 이에 의해,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광 소자(10R, 10G, 10B)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CVD법 또는 스퍼터법에 의해, 발광 소자(10R, 10G, 10B)의 위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6)을 형성한다. 다음에, 보호층(16)의 위에, 접착층(17)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17)을 사이에 두고 컬러 필터(18A) 및 블랙 매트릭스(18B)를 구비한 밀봉 기판(19)을 맞붙인다. 이상에 의해,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표시 장치(1A, 1B)가 완성된다.
이 표시 장치(1A)에서는, 각 화소(2)에 대해 주사선 구동 회로(130)로부터 기록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을 통하여 주사 신호가 공급됨과 함께, 신호선 구동 회로(120)로부터 화상 신호가 기록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유지 용량(Cs)에 유지된다. 즉, 이 유지 용량(Cs)에 유지된 신호에 응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r1)가 온 오프 제어되고, 이에 의해, 발광 소자(10R, 10G, 10B)에 구동 전류(Id)가 주입됨에 의해,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발광이 일어난다. 이 광은, 예를 들면,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5)과의 사이에서 다중 반사하고, 또는, 제1 전극(12)에서의 반사광과 발광층(14C)에서 발생한 광이 간섭에 의해 마부 강화하여, 제2 전극(15), 컬러 필터(23) 및 밀봉 기판(19)을 투과하여 취출된다.
(1-4. 작용·효과)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부화소(2R, 2G, 2B)를 분리하는 절연막(13)의 측면을 발광층(14C)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반사면으로 하고, 그 반사면의 각도(반사면 각도(θ))를 각 부화소(2R, 2G, 2B)마다 설정하도록 하였다. 각 부화소(2R, 2G, 2B)마다 다른 반사면 각도(θ)를 갖는 절연막(13)은, 각 화소(2R, 2G, 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를 행함에 의해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각 발광 소자(10R, 10G, 10B)의 발광광 중, 특히 파장마다 사출 방향이 다른 발광 강도가 높은 발광광을 임의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각 부화소(2R, 2G, 2B) 사이에서의 발광 강도가 높은 발광광이 거의 동일 방향으로 반사되게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1A)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각 부화소(2R, 2G, 2B)를 각각 구획함과 함께, 발광층(14C)으로부터의 발광광의 반사면이 되는 절연막(13)의 경사면(측면)을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각 화소(2R, 2G, 2B)마다 다른 반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각 부화소(2R, 2G, 2B)의 각 절연막(13)의 경사면을, 각 발광 소자(10R, 10G, 10B)의 발광광(LR, LG, LB)에 적합한 각도, 구체적으로는 파장마다 다른 높은 발광 강도를 갖는 발광광의 반사 방향을 각 부화소(2R, 2G, 2B) 사이에 있어서 개략 동일 방향으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한 각도(반사면 각도(θ))로 분별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각 부화소(2R, 2G, 2B)에서의 색 어긋남의 발생이 억제되어, 색 재현도가 향상한다.
또한, 발광 강도가 높은 발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각 부화소(2R, 2G, 2B)의 휘도의 편차가 억제됨과 함께, 휘도가 향상한다. 또한, 발광 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변형례>
다음에, 상기 실시의 형태에 관한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례 1)
도 10a는 변형례 1에 관한 표시 장치(1C)를 구성하는 화소(4)(부화소(4R, 4G, 4B))의 단면 구성을, 도 10b는 각 부화소(4R, 4G, 4B)의 발광 영역, 즉 개구부(13AR, 13AG, 13AB)의 개구의 크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표시 장치(1C)는 발광 소자(10R, 10G, 10B)의 발광 영역, 즉 각 화소(4R, 4G, 4B)의 개구부(13AR, 13AG, 13AB)의 개구율이 각각 다른 이외는, 상기 표시 장치(1A, 1B)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각 화소(4R, 4G, 4B)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청화소(4B)가 높고, 적화소(4R)는 낮다. 이것은 각 발광 소자(10R, 10G, 10B)의 각각의 발광층(14CR, 14CG, 14CB)을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의한다. 이와 같이 화소(4R, 4G, 4B)마다 출력이 다른 표시 장치에서는 시야각에 의해 색 재현성의 편차, 이른바 착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변형례에서는 절연막(13)의 개구부(13AR, 13AG, 13AB)의 개구율을 화소마다 조정,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녹화소(4G)의 개구부(13AG)를 기준으로, 적화소(4R)에서의 절연막(13)의 개구부(13AR)를 크게, 청화소(4B)에서의 절연막(13)의 개구부(13AB)를 작게 하였다. 즉,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화소(4R), 녹화소(4G) 및 청화소(4B)의 순서로 개구율을 감소(발광 영역을 좁게)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화소(4R, 4G, 4B)에서의 휘도를 정돈함에 의해, RGB의 발광 레벨이 정돈되고, 시야각에 의한 착색이 억제된다.
(변형례 2)
도 11은 상기 표시 장치(1A∼1C)를 구성하는 화소(2∼4)의 화소 형상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 1에서는 화소(2)의 형상, 즉 발광 영역을 원형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상, 또는 도 11(B),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 형상 또는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략 사각형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은 원형형상에서는 각 화소를 도트상에 배치하였지만, 도 11(C)와 같이 화소(2)를 세로로 기다란 사각형으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상(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다.
(변형례 3)
또한, 상기 표시 장치(1A∼1C)를 구성하는 절연막(13)은, 반사면 각도(θ)를 부화소(2R, 2G, 2B)마다 설계하는 외에, 절연막의 구성 재료를 바꾸는, 예를 들면 굴절률이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절연막을 형성함에 의해 각 발광층(14CR, 14CG, 14CB)으로부터의 발광광의 사출 방향을 조정하여도 좋다.
굴절률이 다른 재료로서는, 이하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질화규소(Si3N4),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크롬(Cr2O3), 산화갈륨(Ga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니켈(Ni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인듐주석(ITO), 산화란탄(La2O3), 산화니오브(Nb2O5), 산화탄타륨(Ta2O5), 산화이트륨(Y2O3), 산화텅스텐(WO3), 1산화티탄(TiO), 2산화티탄(TiO2), 산화지르코늄(ZrO2)을 들 수 있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SiO2), 불화알루미늄(AlF3), 불화칼슘(CaF2), 불화세륨(CeF3), 불화란탄(LaF3), 불화리튬(LiF), 불화마그네슘(MgF2), 불화네오디뮴(NdF3), 불화나트륨(NaF)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질화규소(Si3N4)와 산화규소(SiO2)이다.
<3. 실시례>
이하, 본 개시의 표시 장치에 관한 실시례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례 1)
본 실시례에서는, 표준 샘플로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한 화소 구성으로 표시 장치(1A)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소자(10R, 10G, 10B)는, 발광층(14C)을 포함하는 각 층의 막두께를 각 부화소(2R, 2G, 2B)에서 공통으로 하였다. 이 조건으로, 각 화소(2R, 2G, 2B) 사이에서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가 공통의 샘플(1)(비교례)과,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를 각 부화소(2R, 2G, 2B)마다 조정, 구체적으로는, 녹화소(2G)에서의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를 70°로 하고, 적화소(2R) 및 청화소(2B)의 반사면 각도(θ)를 80°로 한 샘플(2)(실시례)을 작성하였다. 이 샘플(1) 및 샘플(2)은 각각 각 시야각에서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도 13a, 도 13b는 각각 샘플(1, 2)에서의 시야각과 휘도(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13a에서는 녹색 발광광과 적색 및 청색 발광광과의 편차가 큼에 대해, 도 13b에서는 각 화소(2R, 2G, 2B)에서의 각 시야각에서의 휘도의 값은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a와 비교하여 시야각 0°에서의 휘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함을 알 수 있다.
(실시례 2)
본 실시례에서는, 제1 전극(12)의 두께를 발광 소자마다 바꾼 점이 상기 실시례와 다르다. 도 14a는 비교례로서의 샘플(3)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고, 도 14b는 실시례로서의 샘플(4)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또한, 샘플(4)의 각 화소(2R, 2G, 2B)에서의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는 각각 80°, 70°, 70°로 하였다.
도 14a로부터 제1 전극(12)의 막두께를 각 화소(2R, 2G, 2B)마다 조정함에 의해 휘도의 향상이 얻어졌지만, 각 화소(2R, 2G, 2B) 사이에서의 시야각에서의 휘도의 편차가 현저하였다. 이에 대해, 도 14b에서는 상기 실시례 1의 샘플(2)과 마찬가지로 부화소(2R, 2G, 2B)의 각 시야각에서의 휘도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례 3)
본 실시례에서는, 발광층(14C)의 막두께를 바꾼 점이 상기 실시례와 다르다. 도 15a는 비교례로서의 샘플(5)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고, 도 15b는 실시례로서의 샘플(6)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또한, 샘플(6)의 각 화소(2R, 2G, 2B)에서의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는 각각 70°, 70°, 80°로 하였다.
도 15a로부터 유기층(14)의 막두께를 각 화소(2R, 2G, 2B)마다 조정함에 의해 샘플(1)과 비교하여 휘도의 향상이 얻어졌지만, 샘플(3)과 마찬가지로 각 화소(2R, 2G, 2B) 사이에서의 시야각에서의 휘도의 편차가 현저하여졌다. 이에 대해, 도 14b에서는 상기 실시례 1의 샘플(2, 4)과 마찬가지로 화소(2R, 2G, 2B)의 각 시야각에서의 휘도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실시례 2, 3으로부터, 발광 소자(10R, 10G, 10B)의 제1 전극(12) 등의 두께를 부화소마다 바꾸었다고 하여도 시야각에 의한 색 어긋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시례 4)
본 실시례(샘플(7))에서는, 샘플(6)의 발광 영역의 크기를 화소마다 조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샘플(6)의 적화소(2R)의 발광 영역을 3% 크게, 청화소(2B)의 발광 영역을 3% 작게 하였다. 도 16은 샘플(7)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화소(2R, 2G, 2B)마다 절연막(13)의 반사면 각도(θ)를 조정하는 것에 더하여, 발광 영역도 조정함에 의해, 보다 각 화소(2R, 2G, 2B)의 시야각에 의한 색 어긋남을 저감하고, 최적화시킴을 알 수 있다.
<4. 적용례>
상기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 1∼3에서 설명한 화소(2∼4)를 구비한 표시 장치(1A∼1C)는, 특히, 카메라의 파인더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또는 영상) 표시를 행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에 탑재할 수도 있다.
도 17a, 도 17b는, 스마트 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스마트 폰은, 예를 들면, 표시부(110)(표시 장치(1A)) 및 비표시부(몸체)(120)와, 조작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30)는, 비표시부(120)의 전면(前面)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상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도 18은 텔레비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텔레비전 장치는, 예를 들면, 프런트 패널(210) 및 필터 글라스(220)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화면부(200)(표시 장치(1A))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a, 19b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각각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예를 들면, 플래시용의 발광부(310)와, 표시부(320)(표시 장치(1A))와, 메뉴 스위치(330)와, 셔터 버튼(34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0은,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퍼스널 컴퓨터는, 예를 들면, 본체(410)와, 문자 등의 입력 조작용의 키보드(420)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30)(표시 장치(1A))를 구비하고 있다.
도 21은,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비디오 카메라는, 예를 들면, 본체부(510)와, 그 본체부(510)의 전방 측면에 마련된 피사체 촬영용의 렌즈(520)와, 촬영시의 스타트/스톱 스위치(530)와, 표시부(540)(표시 장치(1A))를 구비하고 있다.
도 22a, 22b는,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a는, 각각 휴대 전화기를 닫은 상태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하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각각 휴대 전화기를 연 상태의 정면 및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기는, 예를 들면, 상측 몸체(610)와 하측 몸체(620)가 연결부(힌지부)(620)에 의해 연결된 것이고, 디스플레이(640)(표시 장치(1A∼1C))와, 서브 디스플레이(650)와, 픽처 라이트(660)와, 카메라(670)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 1∼3을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의 형태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층의 재료 및 두께, 또는 성막 방법 및 성막 조건 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재료 및 두께로 하여도 좋고, 또는 다른 성막 방법 및 성막 조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층은 반드시 전부 마련할 필요는 없고, 적절히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 설명한 층 이외의 층을 추가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청색 발광 소자(10B)의 전하 수송층(17)과 청색 발광층(14CB)과의 사이에, 일본 특개2011-233855호 공보에 기재된 공통 정공 수송층과 같이 정공 수송능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 층을 1층 또는 복수층 추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층을 추가함에 의해, 청색 발광 소자(10B)의 발광 효율 및 수명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등에서는 화소를 구성하는 부화소를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3종류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3종의 부화소에 더하여, 백화소, 또는 황화소를 추가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는 상기 화소마다 설정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적화소, 녹화소 및 청화소를 가지며, 상기 반사면 각도(θ)는 서로 다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적화소, 녹화소 또는 청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 화소와, 상기 제1 화소와는 다른 색의 제2 화소를 가지며, 상기 제1 화소의 상기 반사면 각도(θ)는 상기 제2 화소와는 다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반사면 각도(θ)는 상기 발광광 중 발광 강도가 강한 각도(φ)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복수의 화소는 각각 개구율이 다른, 상기 (1) 내지 (4)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절연막의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화소마다 굴절률이 다른, 상기 (1) 내지 (5)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를 배치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상기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반사면의 각도가 상기 화소마다 설정된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상기 절연막의 상기 반사면의 각도는 광투과율이 단계적으로 다른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상기 (7)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는 상기 화소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자 기기.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서 2013년 3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2013-58492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응하여, 여러 가지의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할 수 있는데, 그들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9)

  1.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는 상기 화소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화소, 녹화소 및 청화소를 가지며, 상기 반사면 각도(θ)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화소, 녹화소 또는 청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 화소와, 상기 제1 화소와는 다른 색의 제2 화소를 가지며, 상기 제1 화소의 상기 반사면 각도(θ)는 상기 제2 화소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 각도(θ)는 상기 발광광 중 발광 강도가 강한 각도(φ)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각각 개구율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화소마다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를 배치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상기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반사면의 각도가 상기 화소마다 설정된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상기 반사면의 각도는 광투과율이 단계적으로 다른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발광광을 발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발광광에 대한 반사면을 갖는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의 반사면의 각도는 상기 화소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57024456A 2013-03-21 2014-03-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206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8492 2013-03-21
JPJP-P-2013-058492 2013-03-21
PCT/JP2014/055675 WO2014148263A1 (ja) 2013-03-21 2014-03-05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597A Division KR20190143465A (ko) 2013-03-21 2014-03-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184A true KR20150133184A (ko) 2015-11-27
KR102060219B1 KR102060219B1 (ko) 2019-12-27

Family

ID=515799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597A KR20190143465A (ko) 2013-03-21 2014-03-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20157024456A KR102060219B1 (ko) 2013-03-21 2014-03-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597A KR20190143465A (ko) 2013-03-21 2014-03-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0334692B2 (ko)
JP (1) JP6332265B2 (ko)
KR (2) KR20190143465A (ko)
CN (1) CN105191501B (ko)
TW (1) TW201442226A (ko)
WO (1) WO20141482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95A (ko) * 2017-11-28 2019-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71428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866467B2 (en) 2016-10-19 2020-12-15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projection display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4671B (zh) * 2013-05-28 2019-10-1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機器
KR102114398B1 (ko) * 2013-07-01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3002797B1 (en) * 2014-09-30 2020-04-29 Novaled GmbH A light emitting organic device and an active OLED display
KR102331566B1 (ko) * 2014-12-31 2021-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102408938B1 (ko) * 2015-07-17 2022-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8012335A1 (ja) * 2016-07-12 2018-01-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CN106897691B (zh) * 2017-02-22 2021-0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和电子设备
JP2019114484A (ja) * 2017-12-26 2019-07-1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素子、及び電子機器
JP6915874B2 (ja) * 2018-04-09 2021-08-04 株式会社Joled 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電界発光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KR102579252B1 (ko) * 2018-06-27 2023-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R3085232B1 (fr) * 2018-08-21 2020-07-1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ixel d’un micro-ecran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organiques
KR102075728B1 (ko) * 2018-12-17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US20200266389A1 (en) * 2019-02-19 2020-08-20 Int Tech Co., Ltd. Light emitting panel
WO2020195273A1 (ja) * 2019-03-26 2020-10-0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30067687A (ko) * 2020-09-21 2023-05-1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광학 아웃-커플링 효율들을 갖는 유기 전기발광 디바이스들
JP2022069135A (ja) 2020-10-23 2022-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および移動体
CN112436043A (zh) * 2020-11-26 2021-03-02 合肥视涯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有机发光显示装置
US11456443B2 (en) * 2020-12-01 2022-09-27 Sharp Kabushiki Kaisha High on-axis brightness and low colour shift QD-LED pixel with equal layer thicknesses between colour pixel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691A (ja) * 1999-02-26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有機el表示装置
US20050218792A1 (en) * 2004-03-31 200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030250A (ja) 2004-07-12 2006-02-02 Fuji Xerox Co Ltd 無線機能付メモリモジュールを含む装置
US20070145892A1 (en) * 2005-12-27 2007-06-28 Kuang-Jung Ch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153127A (ja) 2008-12-24 2010-07-08 Sony Corp 表示装置
WO2012049719A1 (ja) * 2010-10-15 2012-04-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表示装置
KR20120113302A (ko) * 2009-12-22 2012-10-15 파나소닉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297B2 (ja) * 2002-12-12 2009-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光素子およびこの発光素子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4205974A (ja) * 2002-12-26 2004-07-22 Fuji Photo Film Co Ltd 2次元マトリクス素子、2次元マトリクス平面表示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WO2008069219A1 (en) *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WO2010023839A1 (ja) * 2008-08-29 2010-03-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3011A (ko) 2008-10-17 2010-04-2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장치, 유기 el 장치의 제조 방법, 전자 기기
US9240435B2 (en) 2009-06-11 2016-01-19 Joled Inc Organic EL display
US8729534B2 (en) * 2009-06-29 2014-05-20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 display panel
JP5649371B2 (ja) 2010-08-25 2015-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WO2012049716A1 (ja) 2010-10-15 2012-04-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表示装置
KR20150113302A (ko) 2014-03-27 2015-10-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노이즈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691A (ja) * 1999-02-26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有機el表示装置
US20050218792A1 (en) * 2004-03-31 200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97120A (ko) * 2004-03-31 200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30250A (ja) 2004-07-12 2006-02-02 Fuji Xerox Co Ltd 無線機能付メモリモジュールを含む装置
US20070145892A1 (en) * 2005-12-27 2007-06-28 Kuang-Jung Ch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153127A (ja) 2008-12-24 2010-07-08 Sony Corp 表示装置
KR20120113302A (ko) * 2009-12-22 2012-10-15 파나소닉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WO2012049719A1 (ja) * 2010-10-15 2012-04-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6467B2 (en) 2016-10-19 2020-12-15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projection display unit
KR20190061695A (ko) * 2017-11-28 2019-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71428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63092A1 (en) 2018-09-13
US20220167474A1 (en) 2022-05-26
CN105191501B (zh) 2017-12-22
US10368418B2 (en) 2019-07-30
JPWO2014148263A1 (ja) 2017-02-16
WO2014148263A1 (ja) 2014-09-25
US20240224388A1 (en) 2024-07-04
KR102060219B1 (ko) 2019-12-27
US20160021718A1 (en) 2016-01-21
KR20190143465A (ko) 2019-12-30
JP6332265B2 (ja) 2018-05-30
TW201442226A (zh) 2014-11-01
US11284483B2 (en) 2022-03-22
US20190327815A1 (en) 2019-10-24
US10334692B2 (en) 2019-06-25
US11968754B2 (en) 2024-04-23
CN105191501A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754B2 (en) Display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415808B1 (ko)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KR101936345B1 (ko) 표시 장치
JP6019997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227978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color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008225179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5146304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259416A (ja)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9064703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20230163374A (ko) 표시 장치, 전자 기기, 그리고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2156136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