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446A - 트라이시클 - Google Patents

트라이시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446A
KR20150130446A KR1020157028383A KR20157028383A KR20150130446A KR 20150130446 A KR20150130446 A KR 20150130446A KR 1020157028383 A KR1020157028383 A KR 1020157028383A KR 20157028383 A KR20157028383 A KR 20157028383A KR 20150130446 A KR20150130446 A KR 2015013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ycle
arm
tricycles
rear whee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348B1 (ko
Inventor
조한 니어만
Original Assignee
엔.쥐.엠. 에스피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1839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304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엔.쥐.엠. 에스피알엘 filed Critical 엔.쥐.엠. 에스피알엘
Publication of KR2015013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62H1/04Substantially U-shaped stands for embracing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5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dditional wheels for use when folded or collap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Handcart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접힘식 트라이시클(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라이시클(1)은 전방 휠(2), 2개의 후방 휠(3), 및 상기 휠(2, 3)들에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후방 휠(3)을 수용하는 2개의 암(7)을 포함한다. 암(7)은 상기 암(7)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따라서, 트라이시클(1)의 길이와 폭은 조절가능하다. 암(7)의 모든 위치에서, 후방 휠(3)이 위치되는 10개의 평면이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1)이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트라이시클{TRICYCLE}
본 발명은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접힘식 트라이시클(foldable tricycle)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라이시클은:
- 실질적으로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배열된 전방 휠;
- 2개의 후방 휠;
- 상기 휠들에 결합된 접힘식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방 휠과 결합된 전방 섹션; 중앙 섹션; 및 후방 휠과 결합된 후방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섹션은 결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섹션은 2개의 암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암의 제1 단부는 결속 부분에 연결되고 각각의 암의 제2 단부는 후방 휠을 수용하며;
각각의 암과 결속 부분이 연결되면 각각의 암이 결속 부분에 대한 2개 이상의 위치, 즉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암에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제1 위치, 및 트라이시클의 세로축과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제2 위치를 가지고, 2개의 암이 모두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후방 휠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맞은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며 트라이시클은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을 따라 대칭 평면을 가진다.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은 트라이시클의 움직임의 일반적인 방향축이다. 트라이시클의 세로방향은 트라이시클의 움직임의 일반적인 방향이며, 트라이시클의 길이는 트라이시클의 움직임의 일반적인 방향의 트라이시클의 수치이다. 일반적인 트라이시클의 길이는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트라이시클의 움직임의 일반적인 방향축은 트라이시클의 휠들의 지지 평면(support plane)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트라이시클로 운행/주행할 때, 휠들의 지지 평면은 통상 트라이시클이 움직이는 도로의 표면이다. 트라이시클의 폭 방향은 트라이시클의 움직임의 방향의 세로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트라이시클의 휠들의 휠들의 지지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이다. 트라이시클의 폭은 트라이시클의 폭 방향에 따른 트라이시클의 수치이다. 일반적인 트라이시클의 폭은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큰 것은 트라이시클의 길이가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가 크면 트라이시클의 폭이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트라이시클은 종종 트라이시클의 안정성(stability) 때문에 그 밖의 차량, 가령, 자전거(bicycle)에 비해 더 바람직하다. 트라이시클의 2개의 후방 휠로 인해, 트라이시클은 매우 안정적이며, 트라이시클이 전복될 위험은 최소이다. 이것은 정지 위치(stationary position)에서, 가령, 트라이시클이 작동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적색등에 정지했을 때, 특히 유용한데, 그 이유는 운전자가 트라이시클로부터 내리거나 또는 트라이시클이 작동되는 도로 위에 한 발을 내려둘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라이시클과 관련된 몇몇 단점들이 있다. 트라이시클을 보관할 때, 트라이시클이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관 목적에 있어서, 길이와 폭은 가능한 최대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라이시클이 사용될 때에는, 가령, 트라이시클을 운행할 때에는, 2개의 후방 휠들이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맞은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트라이시클의 폭 방향으로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공간이 크면 클수록, 트라이시클의 안정성이 커진다. 대부분의 트라이시클에서, 후방 휠들 사이의 공간 및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 그리고, 따라서, 트라이시클의 폭과 길이는 조절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특정 길이를 가진 트라이시클은 동일한 길이를 가진 자전거보다 더 큰 공간을 차지하는데, 그 이유는 자전거는 단일의 후방 휠을 가지며, 따라서 자전거의 폭은 트라이시클의 폭보다 작기 때문이다.
상기 보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EP 1937541에 기술되어 있다. 공보 EP 1937541는 전방 휠, 2개의 후방 휠 및 접힘식 프레임을 포함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을 기술하고 있다. 접힘식 프레임의 이점은 프레임, 따라서 트라이시클의 수치들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트라이시클을 보관할 때 수치들을 줄일 수 있다. 프레임은 2개의 암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암은 후방 휠을 수용한다(carry). 각각의 암은 2개 이상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rest)에 연결된다. 제1 위치, 즉 사용 위치에서, 트라이시클이 운행되면, 2개의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 및 2개의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며, 따라서, 트라이시클의 수치 즉 길이 및 폭도 최대이다. 이에 따라, 트라이시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제2 위치, 즉 보관 위치에서, 2개의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 및 2개의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는 최소이고, 따라서 트라이시클의 수치들도 최소이다. 이러한 트라이시클의 단점은 보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굴러가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트라이시클이 주행될 수 없다는 것이다. 보관 공간에서, 트라이시클이 보관 위치에 있으면서도, 종종, 트라이시클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EP 1937541에 기술된 트라이시클에 대해서, 이렇게 이동시켜야 되는 것은, 트라이시클을 끌거나(drag) 또는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일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조작은 약간 무거운 트라이시클에 있어서는 매우 어렵다.
몇몇 경우에서, 작동 중에는, 트라이시클의 폭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좁은 통로에서 또는 교통이 막히는 곳에서는, 종종, 후방 휠들 사이의 공간이 많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휠들의 거리가 서로 가까우면, 트라이시클은 좁은 도로에서, 그리고, 교통이 막히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EP 1937541에 기술된 트라이시클에 대해서는,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 트라이시클이 운행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트라이시클을 보관하는 문제에 대한 그 외의 다른 해결책들이 공보 US 2009/0115168 및 DE 20 2011 002 811에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트라이시클들은 사람을 이동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트라이시클의 보관 위치에서 3개의 휠 위에 정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트라이시클들은 보관 위치에서는 트라이시클로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US 2009/0224495에 기술된 트라이시클도 이러한 보관 문제에 대해 해결하지만, 이러한 트라이시클은 사람을 이동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며 보관 위치에서는, 그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으며 즉 하중(load)을 이동시킬 수 없다.
공보 US 2008/0001374 및 US 2007017066에 기술된 트라이시클의 폭은 조절가능하다. 하지만, 폭이 감소하면 길이는 증가되고, 또한,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컴팩트한 위치를 가질 수 없어서 보관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라이시클의 수치를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주행/운행되는 트라이시클의 사용 기능을 절충하지 않고서도 길이 및 폭이 조절가능한 트라이시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접힘식 트라이시클(foldable tricycle)을 제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트라이시클은:
- 실질적으로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배열된 전방 휠;
- 2개의 후방 휠;
- 상기 휠들에 결합된 접힘식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방 휠과 결합된 전방 섹션; 중앙 섹션; 및 후방 휠과 결합된 후방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섹션은 결속 부분(attachment part)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섹션은 2개의 암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결속 부분에 연결되고 각각의 암의 제2 단부는 후방 휠을 수용하며;
각각의 암과 결속 부분이 연결되면 각각의 암이 결속 부분에 대한 2개 이상의 위치, 즉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암에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제1 위치, 및 트라이시클의 세로축과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제2 위치를 가지고, 2개의 암이 모두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후방 휠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맞은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laterally) 배열되며 트라이시클은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을 따라 대칭 평면(plane of symmetry)을 가지며,
상기 연결은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암의 모든 위치들에서, 후방 휠이 위치되는 평면들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암과 결속 부분의 상기 연결은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제1 단부는 중간 부분에 의해 결속 부분에 대해 연결되며,
- 각각의 중간 부분은 각각의 중간 부분이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속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rotatably connected),
- 각각의 암은 암이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pivotally connected).
암들의 모든 위치들에서, 후방 휠들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후방 휠들은 서로 평행할 필요는 없다. 트라이시클이 실질적으로 대칭이어서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을 따라 대칭 평면을 가질 때, 전방 휠과 각각의 후방 휠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똑같다. 주행을 위해 트라이시클을 사용하는 가능성은, 암의 모든 위치에서, 후방 휠들이 트라이시클의 움직임의 일반적인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기 때문에 트라이시클이 굴러갈 때, 후방 휠들이 똑같은 방향으로 구르도록, 절충되지 않는다. 이것은, 암들의 모든 위치에서, 트라이시클을 운행/주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트라이시클의 길이와 폭이 최소가 되도, 트라이시클이 보관되도록 적절할 때, 트라이시클은 보관 영역에서 원하는 위치로 굴릴 수 있거나, 혹은 트라이시클이 보관 영역에서 원하는 위치로 갈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트라이시클을 끌거나(drag) 또는 들어올릴(lift)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트라이시클의 폭과 길이는 트라이시클이 운행될 때 최대이며, 큰 수치를 가진 트라이시클이 보다 안정적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트라이시클을 이용하여 좁은 도로 또는 교통이 막히는 곳을 통과하는 경우, 트라이시클의 폭이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시클의 폭은 트라이시클을 운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기능과 절충되지 않고도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암의 2개 이상의 위치 사이를 변경할 수 있는데, 각각의 암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타의 폭은 최대이고, 각각의 암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트라이시클의 폭은 최소이다.
각각의 암은 결속 부분에 대한 2개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움직임은 트라이시클의 세로방향으로의 움직임이다. 이 움직임은 각각의 중간 부분이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암이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암의 상응하는 중간 부분이 중간 부분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때, 상응하는 후방 휠을 지지하는 암은 트라이시클의 전방을 향해 또는 후방을 향해 움직인다. 따라서,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두 암이 모두 움직이는 경우에도, 트라이시클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움직임은 트라이시클의 폭 방향으로의 움직임이다. 이 움직임은 암이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암이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응하는 후방 휠을 수용하는 암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때, 암은 트라이시클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며, 따라서, 후방 휠은 다른 후방 휠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거나 또는 후방 휠을 향해 움직인다. 따라서, 트라이시클의 폭은 상기 제2 움직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2개의 움직임으로 인해, 트라이시클의 수치들은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회전축의 위치로 인해, 즉 한 축은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다른 축은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후방 휠들은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이는 움직임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평행한 휠이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인 이점은 트라이시클의 길이와 폭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관 목적에 대해, 폭과 길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좁은 통로 또는 교통이 막히는 곳을 통해 주행하기 위해서는, 트라이시클의 안정성과 절충되지 않도록 오직 폭만이 줄어든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여기서 가능하다.
암의 제1 위치에서, 상응하는 후방 휠이 위치되는 평면이 후방 휠 위에 배열되는 높이에서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을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암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트라이시클은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후방 휠이 경사져 있을 때 더 우수한 조작성을 제공한다.
트라이시클은 상기 암을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대해 차단하기(blocking)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주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암이 트라이시클의 폭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위험이 없다. 고정 수단은 사용 동안에 트라이시클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은 중간 부분의 일부분인 돌출 부분, 및 상기 돌출 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암의 홀(hole)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상기 암의 제1 위치에서 돌출 부분은 홀 내에 수용된다(housed). 암의 제1 위치에서,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상기 암에 상응하는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는 최대이다. 암들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과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다른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돌출 부분은 상기 다른 위치들에서 홀 내에 수용된다. 트라이시클을 운행할 때, 트라이시클의 폭은 일반적으로 최대이다. 따라서, 암들이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돌출 부분을 홀 내에 삽입함으로써, 운행 동안, 충분히 견고하고 단단한 클램핑고정(clamping)이 구현된다. 이러한 연결은 손으로 쉽게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견고하지만 성인에 의해 쉽게 탈착될 수 있는 연결이 구현된다. 물론, 그 외의 다른 연결, 가령, 예를 들어, 스레드구성 연결(threaded connection)도 가능하다. 물론, 암의 제2 위치에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대해 상기 암을 차단하거나, 또는 암의 그 외의 다른 위치에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대해 상기 암을 차단하는 고정 수단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트라이시클은 결속 부분에 대해 중간 부분을 차단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이 운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암이 트라이시클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위험이 없어진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사용 동안 트라이시클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 부분은 2개의 표면을 가지는데, 2개의 표면의 평면들은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으로부터 똑같은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중간 부분은 결속 부분의 상응하는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2개의 표면들의 평면들은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으로부터 똑같은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데, 그 이유는 중간 부분을 상기 표면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용이하여, 각각의 중간 부분은 중간 부분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간 부분은 상기 표면들에 연결된다. 견고한 요소(solid element), 가령, 표면에 대한 연결이 쉽게 구현되며, 이 연결은 강력하고 트라이시클이 사용되는 동안에는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결속 부분의 표면은 똑같은 수치들을 가진 원형의 표면이며, 중간 부분은 상기 수치들과 똑같은 수치를 가진 원형의 표면을 가져서 결속 부분의 표면과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은 결속 부분의 상응하는 표면의 중심에 위치된 피벗(pivot) 주위에서 결속 부분의 상응하는 표면에 연결된다. 똑같은 수치를 가진 원형의 표면들은 상기 피벗이 상기 표면들의 중심에 있을 때 쉽게 회전될 수 있다(turned). 중간 부분은 다양한 회전 위치에서 두 표면을 모두 전체적으로 덮는다(cover). 이러한 형상은 심미적으로 수려하다.
이상적으로는, 각각의 암은 연결 표면(connecting surface)을 가지고, 각각의 중간 부분은 암의 연결 표면에 상호보완적인(complementary) 연결 표면을 가지며, 각각의 암은 힌지 핀(hinge pin)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 핀은 암의 연결 표면의 외측 에지(outer edge) 위에 위치되며, 상기 암의 제1 위치에서, 암의 연결 표면 및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은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placed against).
암들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상기 암에 상응하는 후방 휠들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그 외의 다른 위치들에도 배치될 수 있는데,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과 암의 연결 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암은 상기 암이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대해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 핀은 이러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힌지 핀 주위로 피벗회전 하는 동안, 암은 트라이시클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된다. 힌지 핀이 암의 표면의 외측 에지 위에 위치되는 경우, 암의 연결 표면은 암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응하는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향해 움직인다. 힌지 핀이 암의 표면의 외측 에지 위에 위치되지 않으면, 암의 연결 표면의 한 부분은 항상 상응하는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을 향해 움직여야 하며, 암의 표면의 한 부분은 암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응하는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여야 한다. 이는, 물론, 상기 회전을 복합적으로 만든다(complicate).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과 암의 연결 표면은 상호보완적이다. 따라서, 이 위치는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과 암의 연결 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위치이다. 여기서, 이 위치는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암에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1 위치이다. 트라이시클의 운행은 두 암이 모두 암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 중간 부분의 연결 표면과 암의 연결 표면이 서로에 대해 배열될 때,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대해 암을 차단하기 쉽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부분은 바(bar)에 의해 연결된다. 운전자가 트라이시클의 길이를 짧게 하기를 원한다면, 2개의 암은 트라이시클 길이 방향으로 전방 휠을 향해 움직여야 한다. 중간 부분이 바에 의해 연결될 때, 운전자는 단순히 2개의 암 중 하나를 전방 휠을 향해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동시에, 다른 암도 전방 휠을 향한 움직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트라이시클의 길이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의 세로축과 각각의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똑같을 때, 트라이시클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대칭 평면을 가지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후방 휠과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트라이시클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대칭 평면을 가지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대안으로, 암들은 트라이시클의 길이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바는 중간 부분의 회전축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속 부분의 표면들은 중간 부분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거리에 슬롯(slot)을 가져서, 중간 부분이 상기 중간 부분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중간 부분과 바 사이가 연결될 수 있게 하며, 슬롯의 수치는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한된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의 길이 방향에서 암들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트라이시클의 길이를 늘이고/줄이는 암의 움직임은 후방 휠이 트라이시클이 움직이는 도로/지면과의 접촉을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클 수 없다. 후방 휠이 도로/지면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으면, 트라이시클은 운행될 수 없다. 모든 위치에서, 후방 휠이 도로/지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속 부분은 원하는 위치에서 바를 차단하기 위해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이 운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암이 트라이시클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위험이 없다. 클램프는 사용 동안에는 트라이시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암은 상응하는 중간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detachably connected)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가 트라이시클을 보관하기를 원한다면, 트라이시클은 보관 영역에서 원하는 위치로 굴려지거나/운행된다. 암들은 트라이시클이 적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탈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상이한 암들을 트라이시클 위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스탠드(stand)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를 사용하면, 후방 휠이 트라이시클이 움직이는 도로/지면과 더 이상 접촉되지 않도록 프레임과 후방 휠을 동시에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암 또는 암들의 모든 움직임을 가능한 최대한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휠이 도로/지면과 접촉될 때, 도로/지면 및 후방 휠들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된다. 이 마찰은 복합적이며(complicate) 암의 변위(displacement)를 방지한다. 스탠드를 사용하면 상기 마찰이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가 중앙 스탠드(central stand)이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은 프레임의 양쪽 면 위에서 폭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는 트라이시클의 안정성을 강화시키며, 각각의 암은 똑같은 높이로 올라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스탠드는 2개의 휠을 포함하며, 2개의 휠은 중앙 스탠드가 프레임을 올릴 때 트라이시클의 베이스(base)에 위치된다. 스탠드가 트라이시클의 베이스에 위치될 때, 이것은 트라이시클이 상기 휠들에 의해 지지되며, 트라이시클이 굴러가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암들이 결속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때 매우 유용한데, 그 이유는 이런 방식으로 암들이 트라이시클로부터 탈착될 때 트라이시클이 굴러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트라이시클을 기술한 하기 내용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기 상세한 기술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시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그의 추가적인 이점과 세부내용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발명의 내용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도면부호들을 사용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트라이시클의 한 부분의 분해도로서, 결속 부분, 중간 부분 및 2개의 암 중 하나가 도시되고;
- 도 2는 트라이시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한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중간 부분 및 2개의 암 중 하나가 도시되며;
- 도 3은 트라이시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투시도로서, 2개의 암 중 하나가 도시되고, 상기 암들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고 상기 후방 휠 및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제1 위치에 있으며;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트라이시클의 투시도로서, 스탠드는 펼쳐져 있고;
-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트라이시클의 한 투시도로서, 2개의 암 중 하나가 도시되고, 상기 암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고 상기 후방 휠 및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제3 위치에 있으며;
- 도 6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트라이시클의 한 부분의 투시도로서, 2개의 암 중 하나가 도시되고, 상기 암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고 상기 후방 휠 및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제4 위치에 있으며;
- 도 7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트라이시클의 한 부분의 투시도로서, 2개의 암 중 하나가 도시되고, 상기 암은 트라이시클의 세로축 및 상응하는 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고 상기 후방 휠 및 전방 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제2 위치에 있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접힘식 트라이시클(1)은 실질적으로 상기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배열된 전방 휠(2),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대해 맞은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후방 휠(3), 및 상기 휠(2, 3)들과 결합되는 접힘식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7에서는 오직 단일의 후방 휠(3) 만이 도시되는데, 후방 휠(3)은 트라이시클(1)의 프레임의 암(7)에 의해 지지된다. 트라이시클(1)의 길이는 후방 휠(3)과 전방 휠(2)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트라이시클(1)의 폭은 후방 휠(3)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트라이시클(1)의 접힘식 프레임은 전방 휠(2)에 결합된 전방 섹션(5), 중앙 섹션(6a, 6b) 및 후방 휠(3)에 결합된 2개의 암(7)을 포함한다. 중앙 섹션(6a, 6b)은 발판(footrest)을 지지하는 제1 섹션(6a), 및 휠(2, 3)의 지지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좌골 지지부(ischiatic support)를 지지하는 아케이드(6b)를 포함하는데, 상기 아케이드(6b)의 최상측 부분은 결속 부분(8)이다. 각각의 암(7)의 제1 단부(25)는 상기 결속 부분(8)에 연결되고 각각의 암(7)의 제2 단부는 후방 휠(3)을 수용한다(carry). 트라이시클(1)의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발판과 좌골 지지부 위에 눌러진다. 암(7)의 형태는 아치형이다(arcuate). 이런 방식으로, 일정 높이의 암(7)이 구현되는데, 암(7)은 2개의 후방 휠(3) 사이의 폭을 초과하지 않고도,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암(7)은, 트라이시클(1)의 폭(후방 휠(3)들 사이의 거리), 및 트라이시클(1)의 길이(전방 휠(2)과 후방 휠(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암(7)을 결속 부분(8)에 대해 이동시키기에 적절하도록 결속 부분(8)에 연결된다. 암(7)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암(7)에 상응하는 후방 휠(3)들 사이의 거리는 최대이고 전방 휠(2)과 후방 휠(3) 사이의 거리는 최대이며, 암(7)의 제2 위치에서, 후방 휠(3)들 사이의 거리는 최소이고 전방 휠(2)과 후방 휠(3) 사이의 거리는 최소이다. 2개의 암(7)이 둘 다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후방 휠(3)은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대해 맞은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트라이시클(1)은 실질적으로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을 따라 대칭 평면을 가진다. 2개의 암(7)이 둘 다 암(7)의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후방 휠(3)의 평면들은 후방 휠(3) 위에 배열된 높이에서 교차된다(intersect). 이런 방식으로, 암(7)의 제1 위치의 안정성 및 조작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트라이시클(1)의 폭과 길이에 상관없이, 후방 휠(3)이 위치되는 평면들은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1)의 폭과 길이와 상관없이 트라이시클(1)을 운전/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트라이시클(1)은, 특히 구체적으로, 모터에 의해, 또는 발로 지면을 밀어서 추진되는 트라이시클(1)이다. 하지만, 그 외의 다른 트라이시클(1)도 가능하다.
결속 부분(8)은 2개의 표면(15)을 가지는데, 여기서, 2개의 표면(15)의 평면들은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으로부터 똑같은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암(7)과 결속 부분(8)의 연결부(connection)는 결속 부분(8)과 암(7) 사이에 위치된 중간 부분(10)을 포함하며, 중간 부분(10)은 피벗(16)에 의해 결속 부분(8)의 상응하는 표면(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중간 부분(10)은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결속 부분(8)의 표면(15)은 똑같은 수치(dimension)들을 가진 원형의 표면(15)이며, 중간 부분(10)은 상기 수치들과 똑같은 수치를 가진 원형의 표면을 가져서 결속 부분(8)의 표면(15)과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10)은 결속 부분(8)의 상응하는 표면(15)의 중심에 위치된 피벗(16) 주위에서 결속 부분(8)의 상응하는 표면(15)에 연결된다. 중간 부분(10)은 상기 똑같은 수치들을 가진 원형의 표면들을 가져서 결속 부분(8)의 표면(15)과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고, 피벗(16)들은 결속 부분(8)의 상기 원형의 표면(15)의 중심에 위치된다. 결속 부분(8)의 원형의 표면(15)은 항상 중간 부분(10)에 의해 덮힌다. 이 형상은 심미적으로 수려하다.
중간 부분(10)들은 바(18)에 의해 연결된다. 이것은 2개의 중간 부분(10) 중 하나가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될 때, 다른 중간 부분(10)도 똑같은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암(7)은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연결되며, 중간 부분(10)이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될 때, 암(7)은 트라이시클(1)의 세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중간 부분(10)이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하면, 후방 휠(3) 및 전방 휠(2)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며, 따라서 이렇게 회전되면 트라이시클(1)의 길이도 변경된다. 따라서, 암(7)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암(7)이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 부분(10)은 트라이시클(1)의 전방을 향하여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된다.
바(18)는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위치되며, 결속 부분(8)의 표면(15)은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으로부터 상기 거리에 슬롯(19)을 가져서, 중간 부분(10)이 상기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중간 부분(10)과 바(18) 사이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슬롯(19)의 수치는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한된다. 중간 부분(10)은 상기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360°만큼 회전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운전자가 오직 트라이시클(1)의 길이만을 변경시키고 싶어하며, 또한 후방 휠(3)은 트라이시클(1)이 이동하는 지면/도로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암(7)은 힌지 핀(17)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암(7)은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1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각각의 암(7)은 연결 표면을 가지며 각각의 중간 부분(10)도 연결 표면을 가지는데, 여기서 암(7)의 연결 표면과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은 상호보완적이다(complementary). 힌지 핀(17)은 암(7)의 연결 표면의 외측 에지 위치 위에 위치되며, 상기 암(7)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암(7)의 연결 표면과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은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placed against). 암(7)의 제2 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암(7)은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힌지 핀(17) 주위로 회전시켜, 상기 암(7)의 연결 표면과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은 더 이상 서로에 대해 위치되지 않는다. 암(7)은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과 상응하는 후방 휠(3)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고 전방 휠(2)과 후방 휠(3)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아닌 그 외의 다른 위치들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 위치들에서, 암(7)의 연결 표면과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은 서로에 대해 위치된다.
회전축(11, 12),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 및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12) 중 3개의 회전축으로 인해, 서로에 상관 없이 트라이시클(1)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암(7) 및 따라서 트라이시클(1)은 4개의 말단 위치(extreme position)를 가질 수 있다. 제1 말단 위치(도 3 및 4 참조)에서 트라이시클(1)의 폭과 길이는 최대이고, 제2 말단 위치(도 7 참조)에서 트라이시클(1)의 폭과 길이는 최소이며, 제3 말단 위치(도 5 참조)에서 트라이시클(1)의 길이는 최대이고 트라이시클(1)의 폭은 최소이며, 제4 위치(도 6 참조)에서 트라이시클(1)의 길이는 최소이고 트라이시클(1)의 폭은 최대이다. 암(7)은 물론 상기 말단 위치들 사이에서 그 외의 다른 위치들에도 위치될 수 있다.
제1 말단 위치는 트라이시클(1)로 주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인데, 그 이유는 제1 위치가 가장 큰 안정성을 제공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좁은 도로에서 또는 교통이 막히는 상황에서 트라이시클(1)을 사용할 때, 제1 말단 위치에서의 트라이시클(1)의 폭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라이시클(1)은 제3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트라이시클(1)의 길이는 최대이고 트라이시클(1)의 폭은 최소이다. 트라이시클(1)의 제3 말단 위치에서 트라이시클(1)의 안정성은 충분한데, 그 이유는 트라이시클(1)의 길이는 최대이지만 트라이시클(1)의 폭이 최소이기 때문에 좁은 도로에서 또는 교통이 막히는 상황에서의 조작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제2 말단 위치는 제2 말단 위치는 트라이시클(1)을 보관할 때 가장 중요한 위치인데, 그 이유는 상기 위치에서 트라이시클(1)은 많은 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트라이시클(1)은 중간 부분(10)의 일부분인 돌출 부분(13a), 및 홀(13b)을 포함하는데, 상기 홀(13b)은, 상기 암(7)을 제1 위치, 제4 위치 및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 및 상응하는 후방 휠(3)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그 외의 다른 위치들에서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대해 차단하기 위해, 상응하는 암(7)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 부분(13a)에 상응한다. 암(7)의 상기 위치들에서, 돌출 부분(13a)은 홀(13b) 내에 고정된다(lodged). 트라이시클(1)을 운행하는 동안, 트라이시클(1)의 폭은 일반적으로 최대에 있다. 따라서, 암(7)이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대해 고정되어 트라이시클(1)이 주행되는 중에 상기 암(7)이 트라이시클(1)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돌출 부분(13a)을 홀(13b) 내에 삽입하면, 트라이시클(1)을 주행하는데 있어서 견고하고 단단하게 클램핑고정된다(clamping).
물론, 트라이시클(1)은 암(7)의 제2 위치 및/또는 암(7)의 그 외의 다른 위치들에서 상기 암(7)을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대해 차단하기 위한 고정 수단(13a, 13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라이시클(1)은 바(18)를 차단하기 위해 클램프(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4)는 트라이시클(1)이 상기 트라이시클(1)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위치(암(7)의 제1 및 제3 위치)에 있을 때 결속 부분(8)에 대해 바(18)를 차단한다. 트라이시클(1)을 운행할 때, 트라이시클(1)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최대이다. 따라서, 중간 부분(10)을 차단하여, 트라이시클(1)이 주행되는 중에 상기 암(7)이 트라이시클(1)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물론, 트라이시클(1)은, 트라이시클(1)의 길이가 최대가 아닌 트라이시클(1)의 그 외의 다른 위치들에서 바(18)를 차단하기 위한 고정 수단(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암(7)은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detachably connected). 이런 방식으로, 암(7)을 탈착하여 트라이시클(1)을 위해 필요한 보관 공간을 줄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다른 암(7)은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 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결속 부분(8)의 표면(15)은,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들과 암(7)의 연결 표면들이 암(7)의 제2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위치되는 그 외의 다른 암들이 결속 부분(8)에 결부될 수 있도록(attached), 추가적인 슬롯(190)을 포함한다.
트라이시클(1)은 결속 부분(8)에 대한 암(7)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탠드(4)를 포함한다. 스탠드(4)를 사용하면, 트라이시클(1)이 주행되는 도로/지면과 후방 휠(3)이 더 이상 접촉하지 않도록 후방 휠(3)과 프레임을 동시에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로/지면 및 후방 휠(3) 사이의 마찰은 후방 휠(3)이 올라갈 때 제거된다. 이러한 마찰은 복합적이며(complicate) 암(7)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탠드(4)는 두 후방 휠(3)이 모두 똑같이 올라가도록 중앙 스탠드(4)이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1)의 안정성은 절충되지(compromised) 않는다. 스탠드(4)는 2개의 휠(21)을 포함하는 접힘식 스탠드(4)이며, 여기서, 2개의 휠(21)은 스탠드(4)가 펼쳐져서 프레임을 올릴 때 트라이시클(1)의 베이스(base)에 위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트라이시클(1)의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암(7)을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에 따라 트라이시클(1)의 나머지 부분으로 굴려야 하는 가능성과 절충하지 않고도 보관될 수 있다.

Claims (15)

  1.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접힘식 트라이시클(1)로서, 상기 트라이시클(1)은:
    -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배열된 전방 휠(2);
    - 2개의 후방 휠(3);
    - 상기 휠(2, 3)들에 결합된 접힘식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방 휠(2)과 결합된 전방 섹션(5); 중앙 섹션(6a, 6b); 및 후방 휠(3)과 결합된 후방 섹션(7)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섹션(6a, 6b)은 결속 부분(8)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섹션(7)은 2개의 암(7)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암(7)의 제1 단부(25)는 결속 부분(8)에 연결되고 각각의 암(7)의 제2 단부는 후방 휠(3)을 수용하며;
    각각의 암(7)과 결속 부분(8)이 연결되면 각각의 암(7)이 결속 부분(8)에 대한 2개 이상의 위치, 즉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 및 암(7)에 상응하는 후방 휠(3)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제1 위치, 및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과 후방 휠(3)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제2 위치를 가지고, 2개의 암(7)이 모두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후방 휠(3)은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대해 맞은편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며 트라이시클(1)은 대칭으로 구성되어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을 따라 대칭 평면을 가지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후방 휠(3)과 전방 휠(2)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암의 모든 위치들에서, 후방 휠(3)이 위치되는 평면들은 트라이시클(1)의 세로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암(7)과 결속 부분(8)의 상기 연결은 중간 부분(10)을 포함하고, 상기 암(7)의 제1 단부(25)는 중간 부분(10)에 의해 결속 부분(8)에 대해 연결되며,
    - 각각의 중간 부분(10)은 각각의 중간 부분(10)이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속 부분(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 각각의 암(7)은 암(7)이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2. 제1항에 있어서, 트라이시클(1)은 상기 암(7)을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대해 차단하기 위한 고정 수단(13a, 1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13a, 13b)은 중간 부분(10)의 일부분인 돌출 부분(13a), 및 상기 돌출 부분(13a)에 상응하는 상기 암(7)의 홀(13b)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상기 암(7)의 제1 위치에서 돌출 부분(13a)은 홀(13b)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라이시클(1)은 결속 부분(8)에 대해 중간 부분(10)을 차단하기 위한 고정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속 부분(8)은 2개의 표면(15)을 가지는데, 2개의 표면(15)의 평면들은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으로부터 똑같은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중간 부분(10)은 결속 부분(8)의 상응하는 표면(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6. 제5항에 있어서, 결속 부분(8)의 표면(15)은 똑같은 수치들을 가진 원형의 표면(15)이며, 중간 부분(10)은 상기 수치들과 똑같은 수치를 가진 원형의 표면을 가져서 결속 부분(8)의 표면(15)과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10)은 결속 부분(8)의 상응하는 표면(15)의 중심에 위치된 피벗(16) 주위에서 결속 부분(8)의 상응하는 표면(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암(7)은 연결 표면을 가지고, 각각의 중간 부분(10)은 암(7)의 연결 표면에 상호보완적인(complementary) 연결 표면을 가지며, 각각의 암(7)은 힌지 핀(17)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 핀(17)은 암(7)의 연결 표면의 외측 에지 위에 위치되며, 상기 암(7)의 제1 위치에서, 암(7)의 연결 표면 및 중간 부분(10)의 연결 표면은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10)은 바(1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9. 제5항, 6항 또는 7항 및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18)는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위치되며, 결속 부분(8)의 표면(15)은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으로부터 상기 거리에 슬롯(19)을 가져서, 중간 부분(10)이 상기 중간 부분(10)의 회전축(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중간 부분(10)과 바(18) 사이가 연결될 수 있게 하며, 슬롯(19)의 수치는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결속 부분(8)은 원하는 위치에서 바(18)를 차단하기 위해 클램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암(7)은 상응하는 중간 부분(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스탠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탠드(4)는 중앙 스탠드(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14. 제13항에 있어서, 중앙 스탠드(4)는 2개의 휠(21)을 포함하며, 2개의 휠(21)은 중앙 스탠드(4)가 프레임을 올릴 때 트라이시클(1)의 베이스(base)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7)의 제1 위치에서, 상응하는 후방 휠(3)이 위치되는 평면은 후방 휠(3) 위에 배열된 높이에서 트라이시클(1)의 대칭 평면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트라이시클(1).
KR1020157028383A 2013-03-11 2014-03-10 트라이시클 KR102233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BE20130156 2013-03-11
BE2013/0156A BE1021568B1 (fr) 2013-03-11 2013-03-11 Tricycle
PCT/IB2014/059589 WO2014141042A1 (en) 2013-03-11 2014-03-10 Tri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446A true KR20150130446A (ko) 2015-11-23
KR102233348B1 KR102233348B1 (ko) 2021-03-31

Family

ID=4818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383A KR102233348B1 (ko) 2013-03-11 2014-03-10 트라이시클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9469365B2 (ko)
EP (1) EP2969720B1 (ko)
JP (1) JP6167371B2 (ko)
KR (1) KR102233348B1 (ko)
CN (1) CN105189267B (ko)
AU (1) AU2014229334B2 (ko)
BE (1) BE1021568B1 (ko)
BR (1) BR112015020615A2 (ko)
CA (1) CA2899877A1 (ko)
DK (1) DK2969720T3 (ko)
ES (1) ES2619695T3 (ko)
HK (1) HK1214219A1 (ko)
IL (1) IL240259A0 (ko)
MA (1) MA38468B1 (ko)
MX (1) MX354565B (ko)
MY (1) MY176975A (ko)
NZ (1) NZ710666A (ko)
PH (1) PH12015501922A1 (ko)
PL (1) PL2969720T3 (ko)
PT (1) PT2969720T (ko)
RU (1) RU2653440C2 (ko)
TW (1) TWI593591B (ko)
WO (1) WO201414104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9322A1 (en) * 1998-12-30 2001-07-26 Shui-Te Tsai Collapsible skateboard
US20030141695A1 (en) * 2002-01-25 2003-07-31 Ting-Hsing Chen Child tricycle folding structure
US20070182124A1 (en) * 2004-04-29 2007-08-09 Heinz Kettler Folding frame for a tricycle, scooter or child's bicycle
JP2008013169A (ja) * 2006-07-03 2008-01-24 Joy Ride Technology Co Ltd 乗り物
CN201633852U (zh) * 2009-12-31 2010-11-17 厦门松尼亚多功能车有限公司 折叠式自行车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487U (ja) * 1983-06-09 1984-12-20 ニチゾウモデ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折畳み式シヤ−シ−
JPH0654923B2 (ja) 1985-04-09 1994-07-20 日本電気株式会社 変復調装置の動作制御方式
US5240267A (en) * 1991-09-20 1993-08-31 Peter Owsen Tricycle
FI107604B (fi) * 1997-08-15 2001-09-14 Kone Corp Geneettinen menetelmä hissiryhmän ulkokutsujen allokoimiseksi
JP4005465B2 (ja) * 2002-09-25 2007-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機構付き3輪車
WO2004045941A1 (ja) * 2002-11-15 2004-06-03 Kinya Kanou 前二輪式三輪車とこれに用いるフロントフレーム
US6966572B2 (en) * 2003-11-25 2005-11-22 Radio Flyer Inc. Folding riding vehicle
CA2514207A1 (en) * 2004-07-29 2006-01-29 Gerald W. Tasma Trike swinger
RU2274575C1 (ru) * 2004-10-15 2006-04-20 Олег Семенович Баженов Складной веломобиль
US20070017066A1 (en) 2005-07-19 2007-01-25 Sota Biti Corp. Overmolding organic objects
US20080277901A1 (en) 2005-09-29 2008-11-13 Artsana S.P.A. Size-Reducible Folding Tricycle for Children
US20070096427A1 (en) * 2005-10-14 2007-05-03 James Knaub Powered attachment for a wheelchair
US20070152422A1 (en) * 2005-12-30 2007-07-05 Stephanie Lin Pivotable device for bicycles or tricycles
US7681895B2 (en) * 2006-01-21 2010-03-23 Shane Chen Side movement propelled scooter device having expanded foot platform
US7552931B2 (en) * 2007-11-06 2009-06-30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Golf cart collapsible device
TWM339340U (en) * 2007-11-07 2008-09-01 Zhi-Hao Qiu Multi-functional skateboard
US20090224495A1 (en) * 2008-03-06 2009-09-10 Anderson Janice S Collapsible shopping caddy
DE202011002811U1 (de) * 2011-02-16 2011-04-21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Yung Kang Klappvorrichtung für Golftaschenwagen
US20130193668A1 (en) * 2012-01-20 2013-08-01 Ronald Decker Adult tricycle
SE537198C2 (sv) * 2012-11-22 2015-03-03 Kent Edlund Fordon med drivanordning som kopplas in när föraren sätter sig
JP5955306B2 (ja) * 2013-12-09 2016-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車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9322A1 (en) * 1998-12-30 2001-07-26 Shui-Te Tsai Collapsible skateboard
US20030141695A1 (en) * 2002-01-25 2003-07-31 Ting-Hsing Chen Child tricycle folding structure
US20070182124A1 (en) * 2004-04-29 2007-08-09 Heinz Kettler Folding frame for a tricycle, scooter or child's bicycle
JP2008013169A (ja) * 2006-07-03 2008-01-24 Joy Ride Technology Co Ltd 乗り物
CN201633852U (zh) * 2009-12-31 2010-11-17 厦门松尼亚多功能车有限公司 折叠式自行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4219A1 (zh) 2016-07-22
PH12015501922A1 (en) 2016-01-18
AU2014229334B2 (en) 2016-12-22
KR102233348B1 (ko) 2021-03-31
MY176975A (en) 2020-08-28
MX2015012051A (es) 2016-10-03
BE1021568B1 (fr) 2015-12-14
AU2014229334A1 (en) 2015-08-20
MA38468A1 (fr) 2016-07-29
JP6167371B2 (ja) 2017-07-26
WO2014141042A1 (en) 2014-09-18
NZ710666A (en) 2017-12-22
DK2969720T3 (da) 2017-04-03
EP2969720A1 (en) 2016-01-20
PT2969720T (pt) 2017-03-17
US20160023710A1 (en) 2016-01-28
PL2969720T3 (pl) 2017-08-31
EP2969720B1 (en) 2017-01-11
RU2015143196A (ru) 2017-04-17
CN105189267B (zh) 2018-02-09
MX354565B (es) 2018-03-08
ES2619695T3 (es) 2017-06-26
MA38468B1 (fr) 2017-02-28
JP2016509975A (ja) 2016-04-04
US9469365B2 (en) 2016-10-18
CN105189267A (zh) 2015-12-23
CA2899877A1 (en) 2014-09-18
BR112015020615A2 (pt) 2020-01-07
IL240259A0 (en) 2015-09-24
RU2653440C2 (ru) 2018-05-10
TWI593591B (zh) 2017-08-01
TW201509739A (zh)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7685T3 (es) Patinete
JP3158460U (ja) 揺動式スクーター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WO2015173523A1 (fr) Vehicule personnel conduisible avec les pieds
JP2010540306A5 (ko)
US9457862B2 (en) Support system and cycle equipped with the support system
JP5323839B2 (ja) 拡張足置き台を有する側方移動推進スクーター装置
ES2304487T3 (es) Chasis adecuado para fijar un asiento infantil en un asiento de vehiculo, un ensamblaje y un asiento infantil de vehiculo.
KR102233348B1 (ko) 트라이시클
WO2010050803A2 (en) Blockable hinge construction
JP2004506574A (ja) 自転車前輪の片側ばね付きアーム
KR20190069807A (ko) 전동 킥보드
KR200282316Y1 (ko) 킥보드의 조향장치
GB2369807A (en) A scooter
KR101015452B1 (ko) 자전거 핸들 지지장치
KR20230142665A (ko)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KR100559777B1 (ko) 조향장치를 구비한 스쿠터
TW201618997A (zh) 體感式移動載具
JP2008087720A (ja) 自転車の手動式両脚スタンド
KR20120063733A (ko) 카빙 선회방식의 트라이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