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665A -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665A
KR20230142665A KR1020220041405A KR20220041405A KR20230142665A KR 20230142665 A KR20230142665 A KR 20230142665A KR 1020220041405 A KR1020220041405 A KR 1020220041405A KR 20220041405 A KR20220041405 A KR 20220041405A KR 20230142665 A KR20230142665 A KR 2023014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footrest
front wh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22004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665A/ko
Publication of KR2023014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157146, 10-2019-0017658)이 적용된 이동수단을 부피가 작은 형태로 접을 수 있게 개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1몸체와 일단이 제1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 일단이 상기 제12몸체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1몸체와 제21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제2몸체; 일단이 제21몸체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되는 제31몸체와 제31몸체 타단에 결합되는 후륜으로 구성되는 제3몸체; 가운데 부위가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제1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된 전륜부; 중간 부위가 제1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발판프레임과 발판프레임 뒷단에 결합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는 발판부; 및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한 전륜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프레임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수단을 접을때는,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후 제3몸체와 제2몸체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접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Folding reverse three-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삼륜 이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접어서 휴대성과 보관성이 좋아지게 한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이라 함은 탑승자의 이동이나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자전거나 스쿠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틸팅되는 3륜 이동수단은 주행 중에 중심을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틸팅 안 되는 3륜 이동수단은 코너를 주행할 때 전복되는 위험이 있어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코너를 주행할 때는 틸팅되고 직진 주행할 때와 저속 주행할 때는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선행기술(특허 출원번호 10-2019-0157146, 10-2019-0017658)이 개발되었지만 부피가 커서 휴대성과 보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선행기술(특허 출원번호 10-2019-0157146, 10-2019-0017658)은 휴대성과 보관성이 좋아지게 개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157146, 10-2019-0017658)이 적용된 이동수단을 접이식으로 개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1몸체와 일단이 제1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 일단이 제12몸체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1몸체와 제21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제2몸체; 일단이 제21몸체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되는 제31몸체와 제31몸체 타단에 결합되는 후륜으로 구성되는 제3몸체; 가운데 부위가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제1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된 전륜부; 및 제11몸체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수단을 접을때는,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후 제3몸체와 제2몸체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접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판부는 중간 부위가 제1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발판프레임과 발판프레임 뒷단에 결합되는 발판 및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은 전륜프레임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프레임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다음 제2몸체와 제3몸체를 전륜 쪽으로 접으면 후륜이 전륜프레임 상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판프레임 부위 중 앞뒤로 연장된 부위는 앞쪽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제3몸체가 접히는 방향은 발판프레임 반대쪽으로 접힘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어서 세우면 전륜과 제2몸체 후부가 지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후 제3몸체와 제2몸체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접은 후 앞에서 보았을 때 후륜은 제11몸체 측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이식 이동수단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157146, 10-2019-0017658)이 적용된 이동수단을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 휴대성과 보관성이 좋아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2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발판이 펴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의 후면도이다.
도 2에서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발판이 접힌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가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가 펴졌을 때 연결부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4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가 접혔을 때 연결부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몸체가 제2몸체 쪽으로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사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몸체가 제2몸체 쪽으로 접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진이다.
도 7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와 제3몸체를 전륜 쪽으로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에서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와 제3몸체를 전륜 쪽으로 접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에서 a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가 제1몸체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8에서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가 펴졌을 때 제2몸체가 제1몸체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동수단의 요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조작부(100), 제1몸체(300), 제2몸체(400), 제3몸체(500), 전륜부(200), 발판부(600) 및 연결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0)는 핸들(110)과 핸들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110)은 양 끝단이 양 측방으로 연장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0)은 제1핸들프레임(121)과 제2핸들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핸들프레임(121)은 일단이 핸들(110) 가운데 부위뒤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제2핸들프레임 상부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접으면 상단이 제2핸들프레임 가까운 지점까지 이동된다.
제1핸들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켜고 제1핸들프레임을 제2핸들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구조는 현재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자전거 핸들 높낮이 조절하는 구조와 똑같게 구성됨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핸들프레임(122)은 상부가 제1핸들프레임(121) 하부에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중간 부위가 후술하는 제11몸체(310)에 끼움 결합되어 하단과 상단은 제11몸체(310) 하방과 상방으로 조금 돌출된다. 제2핸들프레임(122) 하단은 앞뒤로 벌어지게 구성되고 앞뒤로 벌어진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전륜프레임(21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부(200)는 전륜프레임(210)과 전륜(220)으로 구성되고 핸들조작부(10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핸들조작부(100)와 같이 회전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프레임(210)은 중간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전륜프레임(210) 구멍 부위를 제2핸들프레임(122) 하단 갈라진 사이에 끼운 다음 제2핸들프레임(122) 구멍과 전륜프레임(210) 구멍에 핀을 끼워서 제2핸들프레임(122) 하단에 전륜프레임(210)을 결합시키고 전륜프레임(210)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프레임(120) 양 측방에 위치한 전륜프레임(210) 부위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각각 마련된다.
전륜프레임(210)에는 걸이부(214)가 마련된다.
상기 걸이부(214)는 양쪽 홈 사이에 위치한 전륜프레임(210) 부위에서 하방으로 조금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는 앞뒤로 벌어지게 구성된다.
걸이부(214)가 결합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발판부(60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접은 다음 연결부재(700) 중간 부위를 걸이부(214) 벌어진 부위에 걸었을 때 발판부(600)가 내려오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220)은 전륜프레임(210) 양 끝단에 외삽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몸체(300)는 제11몸체(310)와 제12몸체(3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1몸체(310)는 제2핸들프레임(122)에 외삽 결합된다. 즉 제2핸들프레임(122) 중간 부위가 제11몸체(310)에 끼움 결합되고 제2핸들프레임(122) 상단과 하단은 제11몸체(310)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다.
제11몸체가 제2핸들프레임에 외삽 결합되는 구조는 기존의 핸들 높낮이 조절되는 자전거와 똑같게 구성됨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1몸체(310)에는 발판결합부(31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결합부(311)는 일단이 제11몸체(310)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조금 연장된다. 그리고 타단 좌우측 부위 중 어느 한쪽 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이 마련되고 상기 축은 후술하는 발판부(600)가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2몸체(320)는 일단이 제11몸체(310)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조금 연장된다.
제12몸체(320)에는 외삽부(321)와 탈착부(324)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삽부(321)는 도 8과 같이 제12몸체(320) 뒷단에서 후방으로 조금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좌우로 벌어지게 구성된다. 좌우로 벌어진 부위 중 하부에는 좌우로 관통된 제1구멍(322)이 마련되고 제1구멍(322) 수직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는 좌우로 관통된 제2구멍(323)이 마련된다. 제2구멍(323) 형상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게 구성하여 후술하는 탈착부(324)가 제2구멍(32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탈착부(324)는 좌우로 길게 구성된다. 탈착부(324) 중간 부위와 타단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구멍(323)에 끼워져서 제2구멍(3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탈착부(324) 일단은 외삽부(321)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는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하여 탈착부(324) 일단을 잡고 탈착부(32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400)는 제21몸체(410)와 안장부(4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1몸체(410)는 일단이 제12몸체(320)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1몸체(410)에는 삽입부(411)가 마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삽입부(411)는 제21몸체(410) 앞단에서 전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제3구멍(413)이 마련된다. 삽입부(411)를 외삽부(321) 벌어진 부위 사이에 끼운 다음 제1구멍(322)과 제3구멍(413)에 핀을 끼워서 외삽부(321)에 삽입부(411)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2몸체(400)는 핀을 중심축으로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2몸체(40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핸들조작부(100) 쪽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된다.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가 펴졌을 때와 접혔을 때 삽입부(411) 부위 중 제3구멍(413) 수직 상방에 위치한 상부에는 위쪽에서 제3구멍(413) 쪽으로 들어간 요입홈(412)이 마련된다.
상기 요입홈(412)은 양 측방이 트이게 구성되고 입구에서 아래쪽으로 들어갈수록 앞뒤 폭이 조금씩 좁아지게 구성하여 탈착부(324)가 요입홈(412) 아래쪽까지 끼워졌을때 탈착부(324) 앞뒤 부위가 요입홈(412) 앞뒤 부위에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탈착부(324)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탈착부(324) 가운데 부위가 요입홈(412)에 끼워지고 탈착부(32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탈착부(324)가 요입홈(412)에서 분리되어 제2몸체(40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거나 상방으로 회전시킬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제2몸체(400)를 폈거나 접었을때에는 탈착부(324)를 요입홈(412)에 끼워서 제2몸체(400)를 제1몸체(300)에 고정시키고 제2몸체(400)를 전륜(220) 쪽으로 접거나 상방으로 펼때에는 탈착부(324)를 요입홈(412)에서 분리시킨 다음 제2몸체(400)를 접거나 펼수 있게 구성된다.
제21몸체(410)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타단과 가까운 부위에서 절곡되어 하방과 후방 사이로 조금 더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부(420)는 안장프레임(421)과 안장(42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프레임(421)은 일단이 제21몸체(410) 후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422)은 통상의 전동스쿠터 안장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안장프레임(421)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제1구멍(322)에서 안장부(420) 뒷단까지 길이는 제1구멍(322)에서 지면에 접촉된 전륜(220)까지 길이와 같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은 다음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를 제1몸체(300) 쪽으로 접었을 때 핸들조작부(100)는 수직 상태로 세워지고 전륜(220)과 안장부(420) 뒷단이 지면에 접촉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몸체(500)는 제31몸체(510)와 후륜(5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1몸체(510)는 일단이 제21몸체(410)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되며 중간 부위에서 타단까지 부위는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게 구성하여 후륜(520)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31몸체(510)는 옆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된다.
제31몸체(510) 일단과 제21몸체(410)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구조는 도 6과 같이 일반 접이식 자전거가 옆으로 접히는 구조와 똑같게 구성됨으로 제3몸체(500)와 제2몸체(400)가 결합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옆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하여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은 다음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를 전륜(220) 쪽으로 접을 때 후륜(520)이 제11몸체(31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쪽으로 접었을 때 후륜(520) 중심 부위가 제21몸체(410)보다 조금 아래쪽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은 다음 제3몸체(500)와 제2몸체(400)를 전륜(220) 쪽으로 접으면 후륜(520) 중심 부위가 핸들조작부(100) 측방까지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3몸체(500)는 후술하는 발판프레임(610) 반대쪽으로 접히게 구성하여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은 다음 제3몸체(500)와 제2몸체(400)를 전륜(220) 쪽으로 접을 때 후륜(520)이 발판부(60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었을 때 안장부(420) 뒷단에서 후륜(520)까지 길이는 전륜(220) 반지름보다 길게 구성하여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고 제3몸체(500)와 제2몸체(400)를 핸들조작부(100) 쪽으로 접었을 때 후륜(520)이 전륜프레임(210)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륜(520)은 제31몸체(510) 부위 중 양 옆으로 벌어진 부위 사이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후륜(520)은 제31몸체(510) 뒷단에 중심축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륜(520)은 인력 구동이 아닌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모터가 후륜(52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600)는 발판프레임(610)과 발판(6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프레임(610)은 중간 부위가 발판결합부(311)에 마련된 축에 외삽 결합되고 일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다.
발판프레임(610) 일단은 옆에서 보았을 때 후술하는 수직연장선(P)까지 연장된 다음 90도 절곡되어 앞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선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발판프레임(610) 부위 중 수직연장선(P)에 위치한 부위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연장선(P)은 핸들조작부(100)와 전륜부(200)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전륜부(200) 회전중심 지점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가상의 직선이다.
발판프레임(610) 타단에서 절곡된 부위까지 부위는 앞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300)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발판프레임(610)이 회전될 때 제1몸체(30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620)은 제1발판(621)과 제2발판(62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발판(621)은 일단이 발판프레임(610)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결합부(311) 반대 방향쪽에 위치한 측방으로 연장된다.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둥근 봉 형태로 구성하여 탑승자가 발을 얹을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발판(622)은 일단이 제1발판(621) 일단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1발판(621) 반대쪽 측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90도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조금 더 연장되고 다시 90도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1발판(621) 쪽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되고 하방으로 회전하여 제1발판(621)과 수평 상태가 되면 절곡되어 내려간 부위가 제1발판(621) 일단에 걸리면서 더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제2발판은 상기와 같이 제1발판에 결합될 수도 있고 발판프레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제2발판은 일단이 발판프레임 타단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1발판 반대쪽으로 연장된다. 제2발판 형상은 상기 제1발판에 결합된 제2발판 형상과 같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1발판 쪽으로 접을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회전하여 제1발판과 수평상태로 되면 제1발판 일단 부위가 발판프레임 타단에 걸리면서 더 안 내려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위쪽에서 보았을 때 제21몸체(410)에서 제2발판(622) 타단까지 길이와 제21몸체(410)에서 제1발판(621) 타단까지 길이는 서로 같게 구성된다.
발판부(600)를 상방으로 접을 때 제2발판(622)을 제1발판(621) 쪽으로 접은다음 발판부(600)를 상방으로 접어서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을때 제2발판(622)이 제3몸체(50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발판결합부(311)에 결합된 발판부(600) 부위에서 발판부(600) 뒷단까지 길이는 발판결합부(311)에 결합된 발판부(600) 부위에서 발판부(600) 앞단까지 길이의 2배정도 더 길게 구성된다.
또한, 발판프레임(610)은 뒷단에서 발판결합부(311)에 결합된 부위까지는 직선으로 연장되다가 발판결합부(311)에 결합된 부위에서 상방으로 조금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함으로써 발판부(600)를 상방으로 접을 때 발판부(600) 앞단이 전륜프레임(210)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700)는 발판프레임(610) 앞단을 전륜프레임(210)에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발판프레임(610) 앞단과 전륜프레임(210)을 연결부재(700)로 연결시키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선행기술(특허 출원번호 : 10-2019-0157146)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음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한다.
양쪽 연결부재(700)는 일단이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o) 양 측방에 위치한 전륜프레임(210)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프레임(610) 앞단에 마련된 홈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양쪽 연결부재(700) 길이는 서로 같게 구성되고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o)에서 양쪽 연결부재(700)가 결합된 전륜프레임(210) 부위까지 길이도 서로 같게 구성하여 핸들조작부(100)와 발판부(6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연결부재(700)에 인장력이 걸리게 구성된다.
연결부재(700)가 결합된 발판프레임(610) 부위는 수직연장선(P)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핸들조작부(100)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수직연장선(P)에 위치한 연결부재(700) 부위가 비틀어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700)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700)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700)는 발판부(600)가 펴진 상태에서는 걸이부(214)에 안 걸리고 발판부(600)를 접었을때는 걸이부(214)에 걸려서 발판부(600) 후부가 내려가지 않게 구성된다.
이동수단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와 같이 제2발판(622)을 제1발판 (621)쪽으로 접은 다음 도 3과 같이 발판부(600)를 상방으로 접는다. 도 4와 같이 연결부재(700)를 걸이부(214)에 걸어서 발판부(600)가 내려오지 않게 한다. 도 5와 같이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는다. 도 8에서 b와 같이 탈착부(324)를 요입홈(412)에서 분리시키고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를 전륜(220) 쪽으로 접는다. 도 8에서 c와 같이 탈착부(324)를 요입홈(412)에 끼워서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가 펴지지 않게 한다. 제1핸들프레임(121)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보관할 때는 부피가 작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핸들조작부(100), 전륜부(200), 제1몸체(300) 및 발판부(6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110)과 제1핸들프레임(121)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2핸들프레임(122)은 상부가 제1핸들프레임(121) 하부에 외삽 결합되고 중간 부위가 후술하는 상부몸체(312)에 끼움 결합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부몸체(312) 상방과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1몸체(310)는 상부몸체(312)와 하부몸체(31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부몸체(312)는 제2핸들프레임(120)에 외삽 결합된다. 그리고 상단과 하단은 상부몸체(312) 상방과 하방으로 조금 돌출된다.
상부몸체(312)가 제2핸들프레임(122)에 결합되는 구조는 기존의 핸들 높낮이 조절되는 자전거와 똑같게 구성됨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결합부(311)는 상부몸체(312) 중간 부위에서 후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뒷단 좌우측 부위 중 어느 한쪽 부위에 측방으로 조금 돌출된 축이 마련된다. 상기 축은 발판프레임(610)이 외삽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하부몸체(313)는 일단이 상부몸체(312) 하단 후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조금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2몸체(32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전륜프레임(210)은 제1전륜프레임(211)과 제2전륜프레임(212) 및 바퀴결합부(21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전륜프레임(211)은 중간 부위가 하부몸체(313) 상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2전륜프레임(212)은 중간 부위가 하부몸체(313) 하단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바퀴결합부(213)는 제1전륜프레임(211) 양 끝단 부위와 제2전륜프레임(212) 양 끝단 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하부몸체(313)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하부몸체(313)와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몸체(313)가 기울어질 때 제1전륜프레임(211)과 제2전륜프레임(212)은 하부몸체(313)가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평 상태로 유지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전륜(220)은 양쪽 바퀴결합부(213) 바깥쪽에 각각 결합되고 바퀴결합부(213)가 기울어질 때 전륜(220)도 같이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륜부(200)는 이미 제품화된 기술이고 많이 응용되는 기술이라 전륜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또한, 핸들조작부(100) 하부가 제1실시예와 조금 다르게 구성되고 핸들조작부(100) 하부를 전륜(220)에 연결하여 핸들조작부(100)를 회전시켜서 전륜(22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 추가되지만 상기와 같이 조향하기 위해서 추가되는 구성도 이미 제품화된 기술이고 많이 응용되는 기술이라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전륜프레임(212)에 결합부(2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15)는 제2전륜프레임(212) 좌우측 부위에서 후방으로 각각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는 연결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결합부(215)는 상기와 같이 제2전륜프레임(212)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1전륜프레임(211) 좌우측 부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프레임은(610)은 중간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고, 구멍 부위가 발판결합부(311)에 마련된 축에 외삽 결합된다. 발판프레임(610) 일단은 결합부(215) 타단 상방까지 연장된 후 앞단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더 연장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에는 연결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발판프레임(610) 타단은 탑승자가 안장에 착석했을 때 탑승자 발이 위치한 지점까지 연장된다.
발판프레임(610) 후부는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조금 기울어지면 상부몸체(312)에 걸리게 구성된다.
즉 상부몸체(312) 중간 부위에서 발판프레임(610) 쪽으로 조금 돌출된 돌출부(312)가 구비되고 발판프레임(610) 후부를 상방으로 회전시켰을 때 발판부(600)가 돌출부(314)에 걸려 내려오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제3몸체(500)를 제2몸체(400) 쪽으로 접은 다음 제3몸체(500)와 제2몸체(400)를 전륜(220) 쪽으로 접었을 때 후륜(520)은 발판프레임(610) 앞단 좌우 양쪽으로 연장된 부위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제3몸체(500)와 제2몸체(400)를 접을때 후륜(520)이 발판프레임(610) 앞단에 걸리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620)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결부재(70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양쪽 결합부(215) 후단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발판프레임(610) 일단 양쪽 홈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접는 과정은 발판부(60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돌출부(314)에 걸리게 하는것만 제1실시예와 다르고 다른 과정은 제1실시예와 같다.
상기 제2실시예같이 구성하여 보관할 때는 작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된 예제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핸들조작부 110 : 핸들
120 : 핸들프레임 121 : 제1핸들프레임
122 : 제2핸들프레임 200 : 전륜부
210 : 전륜프레임 211 : 제1전륜프레임
212 : 제2전륜프레임 213 : 바퀴결합부
214 : 걸이부 215 : 결합부
220 : 전륜 300 : 제1몸체
310 : 제11몸체 311 : 발판결합부
312 : 상부몸체 313 : 하부몸체
314 : 돌출부 320 : 제12몸체
321 : 외삽부 322 : 제1구멍
323 : 제2구멍 324 : 탈착부
400 : 제2몸체 410 : 제21몸체
411 : 삽입부 412 : 요입홈
413 : 제3구멍 420 : 안장부
421 : 안장프레임 422 : 안장
500 : 제3몸체 510 : 제31몸체
520 : 후륜 600 : 발판부
610 : 발판프레임 620 : 발판
621 : 제1발판 622 : 제2발판
700 : 연결부재
o :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P : 수직연장선

Claims (6)

  1.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1몸체와 일단이 상기 제11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몸체로 구성되는 제1몸체;
    일단이 상기 제12몸체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1몸체와 상기 제21몸체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제2몸체;
    일단이 상기 제21몸체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방과 후방 사이로 연장되는 제31몸체와 상기 제31몸체 타단에 결합되는 후륜으로 구성되는 제3몸체;
    가운데 부위가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 또는 상기 제11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으로 구성된 전륜부; 및
    제11몸체에 결합되는 발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수단을 접을때는,
    상기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후 상기 제3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접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발판부는 중간 부위가 상기 제11몸체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프레임 뒷단에 결합되는 발판 및 한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은 상기 전륜프레임 좌우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판프레임 앞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다음 상기 제2몸체와 상기 제3몸체를 상기 전륜 쪽으로 접으면 상기 후륜이 상기 전륜프레임 상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 부위 중 앞뒤로 연장된 부위는 앞쪽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몸체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몸체가 접히는 방향은 상기 발판프레임 반대쪽으로 접힘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접어서 세우면 상기 전륜과 상기 제2몸체 후부가 지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를 옆으로 접은 후 상기 제3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접은 후 앞에서 보았을 때 상기 후륜이 상기 제11몸체 측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수단.
KR1020220041405A 2022-04-02 2022-04-02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KR20230142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05A KR20230142665A (ko) 2022-04-02 2022-04-02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05A KR20230142665A (ko) 2022-04-02 2022-04-02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665A true KR20230142665A (ko) 2023-10-11

Family

ID=8829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405A KR20230142665A (ko) 2022-04-02 2022-04-02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6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8442B (zh) 折叠小型摩托车
US8162090B2 (en) Powered foldable scooter
KR101270756B1 (ko) 접철식 퀵보드
JP3647383B2 (ja) 三輪スケータ
ES2829926T3 (es) Un vehículo plegable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CN106672141B (zh) 折叠式滑板车
US11453456B2 (en) Personal mobility apparatus
KR20230142665A (ko)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KR20120030859A (ko) 리컴번트 자전거의 조향 장치
JPH08332984A (ja) 折畳み自転車
KR20220104385A (ko) 접이식 역삼륜 이동수단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KR20210032333A (ko) 앉아서 타는 접이식 삼륜 이동수단
KR102123161B1 (ko) 이동수단용 폴딩구조
CN205872314U (zh) 一种可折叠叉式结构及折叠式滑板车
KR20210025027A (ko) 앉아서 타는 접이식 삼륜 이동수단
CN216508818U (zh) 一种多功能电动滑板车
KR20220104398A (ko) 이동카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스쿠터
KR20210004901A (ko) 완충 기능이 있는 접이식 이동수단
KR20220104410A (ko) 역삼륜 전동스쿠터
KR102358414B1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478824B1 (ko) 선형액츄에이터를 이용한 폴딩형 전동킥보드
CN209270782U (zh) K型活动板架结构的四轮滑板车
KR20210004903A (ko) 발판 접이식 이동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