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16A -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 Google Patents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16A
KR20150121316A KR1020140046475A KR20140046475A KR20150121316A KR 20150121316 A KR20150121316 A KR 20150121316A KR 1020140046475 A KR1020140046475 A KR 1020140046475A KR 20140046475 A KR20140046475 A KR 20140046475A KR 20150121316 A KR20150121316 A KR 20150121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lever
upright
frame
body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092B1 (ko
Inventor
최덕순
도현대
고광명
이봉규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0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레버 등과 같은 조작레버를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더불어 구조적 강성을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용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들을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사이드프레임의 일측에는 직립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립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클러치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직립프레임은 주행차량의 조종좌석에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앙기용 차체프레임{THE BODY FRAME OF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레버 등과 같은 조작레버를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더불어 구조적 강성을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이앙기는 못자리나 육묘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작업을 하는 장비로서, 이앙(모내기)시기에 많은 노동력을 기계로 대체함으로써 이앙작업의 효율을 높이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이앙기는 이식하는 모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주행차량과, 이 주행차량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복수의 이식기구 및 모 재치대를 가진 이식장치와, 주행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주행 및 이식기구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행차량은 차체프레임과, 이 차체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차체 커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이식기구는 주행차량의 후방에 폭방향(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이앙조수(이식조수)를 복수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앙기는 복수의 이식기구에 의한 이앙조수에 따라 4조, 6조, 8조 등의 사양으로 구분되고, 이앙기에는 이앙조수의 가변을 위한 조 정지 클러치기구(이앙조수 가변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 정지 클러치기구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135445호 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식기구에 대한 동력전달을 단속하여 이앙조수를 가변하도록 구성된다. 각 조 정지 클러치기구는 각 이식기구 또는 한 쌍의 이식기구 마다 설치되며, 조 정지 클러치 기구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135445호의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이식기구에 대해서 공통의 구동축에 엔진으로부터 동력 전달되는 종동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끼우고, 이 종동 기어에 종동측 클러치 클로를 설치하는 한편, 구동축에 종동측 클러치 클로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클러치체를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클러치체를 구동축에 끼워 설치한 스프링의 바이어싱(biasing)에 의해 종동측 클러치 클로에 상시 맞물림으로써 이식기구를 회전 구동하고, 또한, 클러치체에는 경사캠면을 설치하고, 이 경사 캠면에 전동 케이스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한 조작핀의 선단을 접촉함으로써 클러치체가 그 스프링에 저항하여 종동측 클러치 클로로부터 빠지도록 후퇴 이동하고, 이에 한 쌍의 이식 기구들은 그 회전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조 정지 클러치기구를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레버가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좌석의 근방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클러치레버를 후방으로 회전조작함에 따라 하나 또는 한 쌍의 이식기구에 대한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그 이앙조수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술한 이앙조수 가변기구의 클러치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차체프레임의 조종좌석에 인접한 부분에 "ㄷ"자형상의 문형프레임을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하고, 차체프레임에 볼트 등에 의해 브래킷이 설치되며, 브래킷은 문형프레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브래킷에는 핀을 매개로 클러치레버가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클러치레버를 장착하기 위하여 문형프레임 및 브래킷등을 차체프레임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장착하여야 함에 따라 클러치레버의 설치작업이 번거로워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문형프레임 및 브래킷이 차체프레임에 볼트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체프레임의 강성이 전체적으로 취약해져 클러치레버의 지지강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12-0135445(2012.12.1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 클러치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직립프레임이 차체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일체화시킴으로써 클러치레버의 설치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하여 그 설치작업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차체프레임에 직립프레임을 일체화시킨 구조를 통해 차체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용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들을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사이드프레임의 일측에는 직립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직립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클러치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직립프레임은 주행차량의 조종좌석에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립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클러치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지지핀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레버의 하단에는 관통공을 가진 보스가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관통공이 상기 직립프레임의 회전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클러치레버는 직립프레임의 회전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레버의 보스 둘레에는 제1스토퍼면과 제2스토퍼면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직립프레임의 회전지지축에 인접한 일측에는 클러치레버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접촉함으로써 클러치레버의 회전각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부재의 단부에는 클러치레버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과 접촉하여 클러치레버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턱이 형성되고, 상기 규제턱은 상향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클러치레버의 제1스토퍼면이 상기 규제부재의 규제턱에 걸려져 접촉함에 따라 그 회동이 규제되고,
상기 클러치레버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클러치레버의 제2스토퍼면이 규제부재의 규제턱에 걸려져 접촉함에 따라 그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직립프레임들 사이를 가로질러 제1크로스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직립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각 직립프레임의 상단에는 안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재에는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부가 안착된 이후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립프레임의 상단에는 마감재가 용접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마감재에는 안착부재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재에는 상부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제1크로스부재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직립프레임이 차체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일체화시킴으로써 클러치레버의 설치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하여 그 설치작업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차체프레임에 직립프레임을 일체화시킨 구조를 통해 차체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프레임의 일측에 회전지지핀을 일체로 마련함과 더불어 클러치레버에 보스를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클러치레버를 직립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클러치레버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 및 규제부재에 의해 클러치레버의 회전범위가 적당하게 규제되면서 그 전후방향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클러치레버의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규제부재의 단부에 규제턱이 상향 수직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규제턱에 클러치레버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이 선택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클러치레버의 전후방 회동이 적절히 규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직립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부재를 용접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직립프레임 사이에 제1크로스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재가 마감재를 매개로 각 직립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안착부재에는 제1크로스부재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의 장착작업을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이 적용된 이앙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에 조종좌석 및 연료탱크가 분해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에서 좌석장착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의 직립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레버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용 차체프레임(40)이 적용된 이앙기(10)의 일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앙기용 차체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기는 전륜(13)과 후륜(1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주행차량(10)과, 이 주행차량(1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복수의 이식기구(21) 및 모 재치대(22)를 가진 이식장치(20)와, 주행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되어 비료를 시비하는 시비장치(30)를 구비한다.
주행차량(10)의 전방에는 주행차량(10)의 주행, 이식장치(20) 및 시비장치(3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주행차량(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40)과, 이 차체프레임(40)의 상부를 덮는 차체 커버(12)을 구비한다. 차체 커버(12)의 일측에는 엔진(미도시)을 덮는 보닛(16, bonnet)이 마련되고, 차체 커버(12)의 타측에는 조종좌석(15)의 하부 둘레를 덮는 후방 커버부(18)가 마련된다. 그리고, 보닛(16)의 좌우 양측에는 예비 모종을 적재할 수 있는 예비 모종 적재대(17)가 설치되고, 후방 커버부(18)에는 클러치레버, 변속레버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레버가 조작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차체프레임(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차량(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41, 42)과, 이들 사이드프레임(41, 42)들을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프레임(43, 45)을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41, 42)은 주행차량(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사이드프레임(41)과 제2사이드프레임(42)으로 이루어진다.
크로스프레임(43, 45)은 사이드프레임(41, 42)들의 전방부에 주행차량(10)의 폭방향으로 연결된 전방측 크로스프레임(43)과, 사이드프레임(41, 42)들의 후방부에 주행차량(10)의 폭방향으로 연결된 후방측 크로스프레임(45)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인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프레임(41, 42)들의 중간부에 주행차량(10)의 폭방향으로 연결된 중간측 크로스프레임(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차체프레임(40)의 전체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이드프레임(41, 42)의 전방 내측에는 복수의 엔진장착브래킷(48)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엔진장착브래킷(48)들에는 엔진(30)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각 사이드프레임(41, 42)의 전방 외측에는 전방스탭지지대(49a)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전방측 보조프레임(46)이 배치되고, 각 사이드프레임(41, 42)의 후방 외측에는 중간스탭지지대(49b)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후방측 보조프레임(47)이 배치된다.
그리고, 후방측 보조프레임(47)들은 그 중간이 절곡되어 후방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고, 후방측 보조프레임(47)들의 후방부에는 복수의 후방 스탭 스테이(48a, 48b)가 차체프레임(40)의 폭방향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후방 스탭 스테이(48a, 48b)는 차체프레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40)의 후방에는 조종좌석(15)이 좌석장착유닛(80)에 의해 장착되고, 조종좌석(15)의 하부에는 연료탱크(50)가 차체프레임(40)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연료탱크(90)의 상면에는 주입구(51)가 형성되고, 이 주입구(51)를 통해 연료탱크(50) 내로 연료가 주입될 수 있다.
한편, 각 사이드프레임(41, 42)의 일측에는 직립프레임(51, 52)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직립프레임(51, 52)에는 클러치레버(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직립프레임(51, 52)은 조종좌석(15)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후방 커버부(18)에 의해 커버된다.
복수의 이식기구(21)는 6조, 8조 등과 같이 그 이앙조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한 쌍의 이식기구(21)에 대하여 조 정지 클러치기구(미도시)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조 정지 클러치기구(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하나 또는 한 쌍의 이식기구(21)로의 동력전달이 개별적으로 단속됨으로써 이앙조수가 가변된다. 한편, 조 정지 클러치기구는 이앙기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러치레버(60)는 조 정지 클러치기구(미도시)에 와이어, 링크 등을 통해 연결되어 조 정지 클러치기구(미도시)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좌석(15)의 근방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클러치레버(6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한 쌍의 이식기구(21)들은 구동하고, 클러치레버(6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하나 또는 한 쌍의 이식기구에 대한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그 이앙조수를 가변할 수 있다.
제1직립프레임(51)이 제1사이드프레임(41)의 일측에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성형되거나 제1직립프레임(51)이 제1사이드프레임(41)의 일측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화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직립프레임(51)은 제1사이드프레임(41)의 일측에 일체화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직립프레임(52)이 제2사이드프레임(42)의 일측에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화되게 성형되거나 제2직립프레임(52)이 제2사이드프레임(42)의 일측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직립프레임(52)은 제2사이드프레임(42)의 일측에 일체화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직립프레임(51, 52)에는 클러치레버(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지지핀(51a, 52a)이 일체로 마련된다. 특히, 2개의 회전지지핀(51a, 52a)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프레임(51, 52)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클러치레버(6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레버(60)의 회전작동 시에 클러치레버(60)와 사이드프레임(41, 42)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전지지핀(51a, 52a)은 사이드프레임(41, 42)의 상면에서 일정간격으로 충분히 이격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클러치레버(60)의 하단에는 관통공(61a)을 가진 보스(61, boss)가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보스(61)의 관통공(61a)이 직립프레임(51, 52)의 회전지지핀(51a, 52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클러치레버(60)는 직립프레임(51, 52)의 회전지지핀(51a, 5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러치레버(60)의 보스(61) 둘레에는 제1스토퍼면(64a)과 제2스토퍼면(64b)이 일정각도(a)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직립프레임(51, 52)의 회전지지축(51a, 52a)에 인접한 일측에는 클러치레버(60)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64a, 64b) 중에서 어느 하나와 접촉함으로써 클러치레버(60)의 회전각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56)가 고정된다. 규제부재(56)의 단부에는 클러치레버(60)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64a, 64b)과 접촉하여 클러치레버(60)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턱(56a)이 형성되며, 각 규제턱(56a)은 상향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스토퍼면(64a)과 제2스토퍼면(64b)의 교차각(a)에 의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러치레버(60)의 회전범위가 결정된다. 예컨대, 교차각(a)이 90°또는 그에 가까운 각도가 되면 클러치레버(60)의 회전범위 또한 대략 90°또는 그에 가까운 각도가 된다.
이러한 클러치레버(60)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64a, 64b)과 규제부재(56)에 의해, 클러치레버(60)는 일정한 회전범위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규제될 수 있다. 클러치레버(60)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도 8과 같이 클러치레버(60)의 제1스토퍼면(64a)이 규제부재(56)의 규제턱(56a)에 걸려져 접촉함에 따라 그 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클러치레버(60)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도 9와 같이 클러치레버(60)의 제2스토퍼면(64b)이 규제부재(56)의 규제턱(56a)에 걸려져 접촉함에 따라 그 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클러치레버(60)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62)가 마련되고, 클러치레버(60)의 중간부에는 절곡부(63)가 형성된다. 특히 클러치레버(60)의 절곡부(63)는 그 절곡각이 90°이하의 예각으로 이루어진 서양낫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직립프레임(51)과 제2직립프레임(52)을 가로질러 주행차량(10)의 폭방향으로 제1크로스부재(53)가 설치되고, 제1크로스부재(53)의 양단부는 제1 및 제2 직립프레임(51, 52)의 상단에 용접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크로스부재(53)는 원통형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직립프레임(51, 52)의 상단에는 안착부재(55)가 마련되며, 이 안착부재(55)에는 제1크로스부재(53)의 양단부가 용접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직립프레임(51, 52)의 상단 각각에는 마감재(57)가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이 마감재(57)에는 안착부재(55)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안착부재(55)에는 상부로 돌출한 한 쌍의 돌출부(55a)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 돌출부(55a)에는 제1크로스부재(53)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55b)이 형성된다. 이에 제1크로스부재(53)의 각 단부는 한 쌍의 안착홈(55b)들에 안착된 이후에 용접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직립프레임(51, 52)의 상단들을 가로질러 제1크로스부재(53)가 연결된 구조에 의해 한글 디귿자 형상인 "ㄷ" 구조(문형 프레임)를 구성하고, 제1크로스부재(53)의 중간부에는 조종좌석(15)을 차체프레임(40)에 장착시키는 좌석장착유닛(80)의 하부 일측이 지지되게 설치된다.
좌석장착유닛(80)은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부재(83, 84)와, 한 쌍의 지지부재(83, 84)의 후방단 하면에 폭방향으로 연결된 제1고정브래킷(81)과, 한 쌍의 지지부재(83, 84)의 전방단 하면에 폭방향으로 연결된 제2고정브래킷(82)과, 한 쌍의 지지부재(83, 84)의 전방단 상면에 폭방향으로 연결된 장착브래킷(85) 등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63, 64)들 사이에는 연료탱크(50)의 주입구(51)가 배치되고, 이에 연료탱크(50)의 주입구(51)는 조종좌석(15)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고정브래킷(81)은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후방 스탭 스테이(48b)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제2고정브래킷(82)은 제1크로스부재(53)의 중간부에 체결구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착브래킷(85)에는 조종좌석(15)의 전방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조종좌석(15)을 외측으로 회동시킨 후에 연료탱크(50)의 주입구(51)에 연료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지부재(83, 84)의 후방에는 완충부재(83a, 84a)가 각각 형성되어 장착브래킷(85)을 매개로 장착되는 조종좌석(15)의 후방 하부를 완충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프레임(41, 42)의 제1 및 제2 직립프레임(51, 52)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제1 및 제2 결합부(54a, 54b)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결합부(54a, 54b)들 사이에는 제2크로스부재(58)가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부(54a, 54b)에는 결합공(59a)이 각각 형성되고, 제1 및 제2 결합부(54a, 54b)의 상단에는 체결공(59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 결합부(54a, 54b)의 각 결합공(59a)에는 제2크로스부재(58)의 양단부가 삽입된 이후에 체결공(59b)에 체결구(59c)가 수직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제2크로스부재(58)는 제1 및 제2 결합부(54a, 54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크로스부재(58)의 중간부에는 장착부(58c)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58c)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90)의 전방단에는 전방측 플랜지부(92)가 형성되고, 연료탱크(90)의 후방단에는 후방측 플랜지부(93)가 형성된다. 연료탱크(90)의 전방측 플랜지부(92)는 제2크로스부재(58)의 장착부(58c)에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연료탱크(90)의 후방측 플랜지부(93)는 차체프레임(40)의 후방측 크로스프레임(45)에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레버(6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직립프레임(51, 52)이 차체프레임(4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일체화시킴으로써 클러치레버(60)의 설치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하여 그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차체프레임(40)에 직립프레임(51, 52)을 일체화시킨 구조를 통해 차체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프레임(51, 52)의 일측에 회전지지핀(51a, 52a)을 일체로 마련함과 더불어 클러치레버(60)에 보스(61)를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클러치레버(60)를 직립프레임(51, 5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클러치레버(60)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64a, 64b) 및 규제부재(56)에 의해 클러치레버(60)의 회전범위가 적당하게 규제되면서 그 전후방향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클러치레버의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규제부재(56)의 단부에 규제턱(56a)이 상향 수직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규제턱(56a)에 클러치레버(60)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64a, 64b)이 선택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클러치레버의 전후방 회동이 적절히 규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직립프레임(51, 52)의 상단에 안착부재(55)를 용접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직립프레임(41, 42) 사이에 제1크로스부재(53)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재(55)가 마감재(57)를 매개로 각 직립프레임(51, 52)의 상단에 설치되고, 안착부재(55)에는 제1크로스부재(53)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55b)이 형성됨에 따라 제1크로스부재(53)의 장착작업을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40: 차체 프레임 41: 제1사이드프레임
42: 제2사이드프레임 43: 전방측 크로스프레임
44: 후방측 크로스프레임 51: 제1직립프레임
52: 제2직립프레임 51a, 52a: 회전지지핀
53: 제1크로스부재 56: 규제부재
56a: 규제턱 58: 제2크로스부재
60: 클러치레버 61: 보스
64a: 제1스토퍼면 64b: 제2스토퍼면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들을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사이드프레임의 일측에는 직립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직립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클러치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직립프레임은 주행차량의 조종좌석에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립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클러치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지지핀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클러치레버의 하단에는 관통공을 가진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관통공이 상기 직립프레임의 회전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클러치레버는 직립프레임의 회전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레버의 보스 둘레에는 제1스토퍼면과 제2스토퍼면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직립프레임의 회전지지축에 인접한 일측에는 클러치레버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접촉함으로써 클러치레버의 회전각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의 단부에는 클러치레버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과 접촉하여 클러치레버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턱이 형성되고, 상기 규제턱은 상향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클러치레버의 제1스토퍼면이 상기 규제부재의 규제턱에 걸려져 접촉함에 따라 그 회동이 규제되고, 상기 클러치레버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클러치레버의 제2스토퍼면이 규제부재의 규제턱에 걸려져 접촉함에 따라 그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립프레임들 사이를 가로질러 제1크로스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직립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각 직립프레임의 상단에는 안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재에는 제1크로스부재의 양단부가 안착된 이후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KR1020140046475A 2014-04-18 2014-04-18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KR10166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75A KR101663092B1 (ko) 2014-04-18 2014-04-18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75A KR101663092B1 (ko) 2014-04-18 2014-04-18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16A true KR20150121316A (ko) 2015-10-29
KR101663092B1 KR101663092B1 (ko) 2016-10-07

Family

ID=5443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475A KR101663092B1 (ko) 2014-04-18 2014-04-18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7A (zh) * 2018-03-05 2018-07-27 东北农业大学 步行反转式水稻钵苗膜上开穴、移栽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602A (ja) * 2001-09-07 2003-03-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動農機
KR20110133471A (ko) * 2009-03-18 2011-12-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KR20120084761A (ko) * 2009-11-10 2012-07-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KR20120134160A (ko) * 2006-03-08 2012-12-1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이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602A (ja) * 2001-09-07 2003-03-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動農機
KR20120134160A (ko) * 2006-03-08 2012-12-1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이앙기
KR20120135445A (ko) 2006-03-08 2012-12-13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이앙기
KR20110133471A (ko) * 2009-03-18 2011-12-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및 그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
KR20120084761A (ko) * 2009-11-10 2012-07-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7A (zh) * 2018-03-05 2018-07-27 东北农业大学 步行反转式水稻钵苗膜上开穴、移栽机构
CN108323287B (zh) * 2018-03-05 2021-01-29 东北农业大学 步行反转式水稻钵苗膜上开穴、移栽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092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092B1 (ko)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JP2015113961A (ja) 作業車
CN105815022A (zh) 农用供给装置
JP2012000049A (ja) 管理機
KR20150121317A (ko) 이앙기용 클러치레버 설치구조
WO2002076179A1 (fr) Repiqueuse de riz a siege
CN108366529B (zh) 作业车辆
JP2011000932A (ja)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11220004A (ja) 作業車両
JP2011058479A (ja) ポンプ駆動装置
KR101355810B1 (ko)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JP7169955B2 (ja) 歩行型管理機
JP7170320B2 (ja) 代掻き作業機
JP2011062118A (ja) 乗用型農作業機
JP2010172220A (ja) 管理機
KR101723860B1 (ko)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JP2016086697A (ja) 刈取装置
JP2017023001A (ja) 水田作業機
JP2010215139A (ja) 乗用型農作業機及び乗用型田植機
JP4128921B2 (ja) トラクタ
JP6021778B2 (ja) 作業車両
JP2021052718A (ja) 歩行型管理機
JP2006042680A (ja) 移植機における施肥装置の取付構造
JP2014103869A (ja) 植付部のトルク平準化機構
JP5662691B2 (ja) 農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