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160A - 승용형 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160A
KR20120134160A KR1020127031624A KR20127031624A KR20120134160A KR 20120134160 A KR20120134160 A KR 20120134160A KR 1020127031624 A KR1020127031624 A KR 1020127031624A KR 20127031624 A KR20127031624 A KR 20127031624A KR 20120134160 A KR20120134160 A KR 2012013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lutch
mechanisms
transpla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스케 오마에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25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362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25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36266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에 대한 모종의 이식을 행하기 위한 모종 이식 기구(17)의 복수개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이 각 모종 이식 기구마다 또는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마다 그 구동을 단속 조작하는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를 설치하는 한편,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 좌석(8) 근방에 상기 각 조 정지 클러치 기구 각각 에 대한 클러치 레버(21, 22, 23)를 이것을 전방으로 회전했을 때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고, 후방으로 회전했을 때 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도록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 레버의 조작 위치를 언뜻 보고 용이하고 또한 적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서 조작성의 향상과 오조작의 저감을 꾀한다. 상기 각 클러치 레버를 상기 클러치 레버를 상기 조종 좌석의 좌우 양측에 배분해서 배치하고, 상기 각 클러치 레버는 측면으로 볼 때에 L자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형 이앙기{RIDING-TYPE RICE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승용형의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형 이앙기는 포장에 대한 모종의 이식을 행하기 위한 모종 이식 기구의 복수개를 주행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해서 이 각 모종 이식 기구를 엔진 등의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포장면에 대한 모종의 이식을 복수조에 걸쳐 행한다는 구성이며, 이 승용형 이앙기에는 예를 들면, 5조 이식, 6조 이식 또는 8조 이식 사양인 것을 이것보다 적은 이식 조수로 변경하도록 한 모종 이식 조수의 가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모종 이식 조수의 가변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모종 이식 기구에 대한 동력 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상기 각 모종 이식 기구마다 또는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마다 설치하는 한편, 이 각 조 정지 클러치 기구 각각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 좌석 근방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해서 상기 각 모종 이식 기구 중 임의의 모종 이식 기구 또는 임의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를 그 클러치 레버의 후방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정지함으로써 모종 이식 조수의 변경을 행한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1971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가변 장치는 상기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 조수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상기 각 클러치 레버를 이것을 전방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고, 후방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각 클러치 레버는 그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형상인 것에 의해 상기 클러치 레버 중 임의의 클러치 레버가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는 위치로 되어 있는지 또는 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는 위치로 되어 있는지를 언뜻 보고 순시에 분별할 수 없어 조작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오조작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소한 승용형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엔진 및 주행 미션을 탑재한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되며 또한 모종 탑재대 및 복수의 모종 이식 기구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기구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기구 중 1쌍마다 그 구동을 단속 조작하는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 좌석의 하방에 상기 각 조 정지 클러치 기구 대한 클러치 레버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 레버는 상기 조정 좌석의 좌우 양측에 배분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 클러치 레버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L자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하는 한편, 상기 모종 이식 장치에 설치한 복수의 전동 케이스 내에 동력 전달축을 배치하고, 상기 각 동력 전달축에 베벨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1쌍의 모종 이식 기구에 대하여 공통의 구동축을 연동 연결해서 상기 1쌍의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축에 상기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베벨 기어 중 상기 구동축측의 베벨 기어를 상기 동력 전달축측의 베벨 기어보다 대경으로 해서 상기 1쌍의 모종 이식 기구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식 부하 변동에 의해 장력이 변하는 전동 체인을 사용한 종래 구조에 비해 모종 이식 기구의 구동 부하 변동으로는 구동 속도가 거의 변화되지 않아 모종의 이식 자세가 안정된다. 모종 이식 장치의 최하류측에서 구동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모종 이식 기구의 구동 부하 변동이 상류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간단하게 저감시킬 수 있고, 모종 이식 기구의 구동 부하가 변동되기 쉬운 포장의 이식 작업이어도 소정의 구동 속도로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더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모종 이식 기구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6조 이식의 승용형 이앙기에 적용한 경우의 도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6조 이식의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고, 이 이앙기(1)는 좌우 한쌍의 전륜(3) 및 후륜(4)에 의해 지지된 주행기체(2)와, 이 주행기체(2)의 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포장면(5)에 대해서 모종 이식을 6조에 대해서 행하도록 한 모종 이식 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행기체(2)에는 전방부에 엔진(7)이 탑재됨과 아울러, 후방부에 조종 좌석(8)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적당히 변속해서 상기 각 차륜(3, 4)에 전달하기 위한 주행 미션(9)이 탑재되고,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적당한 속도로 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주행기체(2) 중 상기 조종 좌석(8)의 후방부 및 좌우 양측의 부분에는 커버 케이스(10)가 설치되고, 이 커버 케이스(10)의 상면은 이 위에 탑재된 상태의 기초이며 상기 주행기체(2)의 전방부 좌우 양측에 탑재된 모종 매트를 상기 모종 이식 장치(6)에 대해서 보급한다는 모종 추가 등과 같은 각종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 바닥면(1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 바닥면(11)에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이식 장치(6)에 의해 모종 이식을 행하는 각 이식 조 각각에 대해서 비료를 살포하기 위한 비료 살포 기구(12)를 탑재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상기 모종 이식 장치(6)는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2조 이식을 1단위로 하는 3개의 모종 이식 유닛, 즉, 제 1 모종 이식 유닛(13), 제 2 모종 이식 유닛(14) 및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을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합계로서 6조 이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각각은 상기 엔진(7)으로부터 동력 전달되는 전동 케이스(16)와, 이 전동 케이스(16)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 주지의 로터리식 모종 이식 기구(17)와, 상기 전동 케이스(16)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모종 탑재대(18)와, 상기 전동 케이스(16)의 하면에 상기 포장면(5)의 표면을 활주하도록 장착된 플로트(19)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종 탑재대(18)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것에 탑재된 모종 매트에 대한 종이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전동 케이스(16)에는 그 좌우 양측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동력 전달을 동시에 단속 조작하기 위한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해서 공통의 구동축(20a)에 상기 엔진(7)으로부터 동력 전달되는 종동 기어(20b)를 회전 가능하게 끼우고, 이 종동 기어(20b)에 종동측 클러치 클로(20c)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구동축(20a)에 상기 종동측 클러치 클로(20c)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클러치체(20d)를 스플라인 감합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클러치체(20d)를 상기 구동축(20a)에 끼워 설치한 스프링(20e)의 바이어싱(biasing)에 의해 상기 종동측 클러치 클로(20c)에 상시 맞물림으로써 상기 양 모종 이식 기구(17)를 회전 구동하고, 또한, 상기 클러치체(20d)에는 경사 캠면(20f)을 설치하고, 이 경사 캠면(20f)에 상기 전동 케이스(16)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한 조작핀(20g)의 선단을 접촉함으로써 상기 클러치체(20d)가 그 스프링(20e)에 저항해서 상기 종동측 클러치 클로(20c)로부터 빠지도록 후퇴 이동해서 상기 양 모종 이식 기구(17)를 회전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작핀(20g)의 기단을 상기 전동 케이스(16)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암(20h)의 선단에 핀(20i)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벗된 벨 크랭크형의 조작 레버(20j)의 일단에 연결해서 상기 조작핀(20g)을 상기 벨 크랭크 레버(20j)에 대해서 상기 핀(20i)에 끼워지도록 설치한 토션 스프링(20k)에 의해 상기 경사 캠면(20f)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고, 또한 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행기체(2)에 있어서의 커버 케이스(10)에는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각각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1, 22, 23)가 상기 조종 좌석(8)의 좌우 양측으로 양분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조종 좌석(8)의 우측에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중 주행 방향에 대해서 가장 우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1)와,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중 주행 방향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모종 이식 유닛(14)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2)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한편, 상기 조종 좌석(8)의 좌측에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중 주행 방향에 대해서 가장 좌외측에 위치하는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3)를 배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1)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모종 이식 유닛(14)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2)가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승용형 이앙기(1)를 상기 3개의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에 추가해서 이들 각 모종 이식 유닛과 마찬가지로 구성한 제 4 모종 이식 유닛을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합계로서 8조 이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조종 좌석(8)의 우측에 주행 방향에 대해서 우측으로부터 세서 제 1 모종 이식 유닛 및 제 2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제 1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조종 좌석(8)보다 먼 부위에, 제 2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조종 좌석(8)에 가까운 부위에 위치해서 배치하는 한편, 상기 조종 좌석(8)의 좌측에 주행 방향에 대해서 우측으로부터 세서 제 3 모종 이식 유닛 및 제 4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제 4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조종 좌석(8)보다 먼 부위에, 제 3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조종 좌석(8)에 가까운 부위에 위치해서 배치한다.
즉, 상기 복수의 각 모종 이식 유닛을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 중 주행 방향에 대해서 우측에 위치하는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에 대한 클러치 레버는 조종 좌석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 중 주행 방향에 대해서 좌측에 위치하는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에 대한 클러치 레버는 조종 좌석의 좌측에 위치한다는 바와 같이, 조종 좌석(8)의 좌우 양측으로 양분해서 배치하고, 또한,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 중 주행 방향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 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상기 조종 좌석으로부터 먼 부위에, 상기 외측의 모종 이식 유닛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상기 조종 좌석에 가까운 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1) 및 상기 제 2 모종 이식 유닛(14)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2)를 상기 커버 케이스(10) 내에 설치한 문형 프레임(24)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래킷(25)의 좌우 양측면에 상기 양 클러치 레버(21, 22)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핀(26, 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벗되는 한편, 상기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에 대한 클러치 레버(23)를 상기 문형 프레임(24)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래킷(28)의 우측면에 상기 클러치 레버(23)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핀(2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벗한다.
또한, 8조 이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래킷(28)에 있어서의 좌측면에 제 4 모종 이식 유닛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피벗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하나의 브래킷(25, 28)에 대해서 그 좌우 양측면에 2개의 클러치 레버를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대한 클러치 레버(21)의 하단부에 고착된 핀(21a)과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의 조작 레버(20j)의 하단 사이, 상기 제 2 모종 이식 유닛(14)에 대한 클러치 레버(22)의 하단부에 고착된 핀(22a)과 제 2 모종 이식 유닛(14)에 있어서의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의 조작 레버(20j)의 하단 사이 및 상기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에 대한 클러치 레버(23)의 하단부에 고착된 핀(23a)과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에 있어서의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의 조작 레버(20j)의 하단 사이 각각을 원격 조작용 와이어(30, 31, 32)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각 클러지 레버(21, 22, 23)를 전방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전방 스토퍼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 조작했을 때,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가 클러치 접속으로 되고,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를 후방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후방 스토퍼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 조작했을 때,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가 클러치 접속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 중 임의의 클러치 레버를 후방측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레버에 대응하는 모종 이식 유닛에 있어서의 양 모종 이식 기구(17)를 동시에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6조 이식으로부터 4조 이식 또는 2조 이식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를 전방으로 회전 조작했을 때,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의 토션 스프링(20k)에 의한 스프링력이 핀(26, 27, 29)보다 하측에 작용함으로써 전방 스토퍼에 접촉되는 상태, 즉, 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는 위치)로 유지되어 있지만, 이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를 후방으로 회전 조작으로 했을 때, 상기 토션 스프링(20k)에 의한 스프링력이 핀(26, 27, 29)보다 상측에 작용한다는 바와 같이 지점 초과됨으로써 후방 스토퍼에 접촉되는 상태, 즉, 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는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와이어(30, 31, 32)와 조 정지 클러치 기구(20)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20j)의 연결부에는 완충용 인장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를 측면에서 봄에 있어서 く자상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것을 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는 위치)로 회전 조작했을 때, 그 상단에 있어서의 파지부가 상기 커버 케이스(10)의 앞면에 돌출되어 있지만 이것을 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는 위치)로 회전 조작했을 때, 그 파지부가 상기 커버 케이스(10)의 상면에 있어서의 작업 바닥면(11)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 이 작업 바닥면(11)과 실질적으로 평행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가 되도록 후방을 향해서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 쓰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는 상기 조종 좌석(8)의 좌우 양측으로 양분되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각 클러치 레버(21, 22, 23) 전체가 상기 각 클러치 레버를 조종 좌석의 편측에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경우보다 조종 좌석(8)에 가까워지게 된다는 점에서 작업자는 조종 좌석(8)에 앉은 상태의 자세로 상기 전체의 클러치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는 이것을 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는 위치)로 회전 조작했을 때에는 그 상단에 있어서의 파지부가 상기 커버 케이스(10)의 앞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지만 이것을 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는 위치)로 회전 조작했을 때에는 그 파지부가 후방을 향해서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 쓰러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 중 임의의 클러치 레버가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하는 위치로 되어 있거나 또는 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언뜻 보고 용이하고 또한 적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를 후방 회전 위치(모종 이식 기구를 정지하는 위치)로 회전 조작한 상태에서 그 파지부는 상기 커버 케이스(10)의 상면에 있어서의 작업 바닥면(11)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 이 작업 바닥면(11)과 실질적으로 평행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이 각 클러치 레버(21, 22, 23)가 상기 작업 바닥면(10) 상에 있어서의 모종 추가 등의 각종 작업에 대해서 방해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중 주행 방향을 향해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1)는 상기 조종 좌석(8)의 우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 중 주행 방향을 향해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3)는 상기 조종 좌석(8)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우측에 위치하는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와, 좌측에 위치하는 제 3 모종 이식 유닛(15)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를 잘못해서 조작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종 좌석(8)의 우측에 위치하는 각 클러치 레버(21, 22)에 있어서는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 중 가장 우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모종 이식 유닛(13)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1)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모종 이식 유닛(13)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모종 이식 유닛(14)에 있어서의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17)에 대한 클러치 레버(22)가 내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이 각 클러치 레버(21, 22) 상호간에 있어서 외측과 내측에 대해서 잘못해서 조작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모종 탑재대(18)에는 이것에 탑재된 모종 매트에 대한 종이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종이송 기구는 상기 양 모종 이식 기구(17)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에 있어서 동시에 클러치 기구에 의해 종이송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의 하단부에 고착된 핀(21a, 22a, 23a) 각각에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각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종이송 기구용 크랙 기구를 원격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와이어(34, 35, 36)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 중 임의의 클러치 레버에 있어서의 후방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클러치 레버에 대응하는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양 모종 이식 기구(17)의 정지와, 이 정지된 모종 이식 기구(17)의 모종 탑재대(18)에 있어서의 종이송 기구의 정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승용형 이앙기에 따라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모종 이식 기구(17)에 의한 모종 이식 조에 대한 비료 살포 장치(12)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비료 살포 장치(12)는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모종 이식 기구(17) 중 정지된 모종 이식 기구에 의한 모종 이식 조에 대해서는 비료의 살포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 비료 살포 장치(12)에 있어서 각 모종 이식 조에 대한 비료의 살포를 정지하는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와이어(37, 38, 39)를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의 하단부에 고착된 핀(21a, 22a, 23a) 각각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각 클러치 레버(21, 22, 23) 중 임의의 클러치 레버에 있어서의 후방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클러치 레버에 대응하는 모종 이식 유닛(13, 14, 15)에 있어서의 양 모종 이식 기구(17)의 정지와, 이 정지된 모종 이식 기구(17)의 모종 탑재대(18)에 있어서의 종이송 기구의 정지와, 상기 정지된 모종 이식 기구(17)에 의한 모종 이식 조에 대한 비료 살포 정지의 3자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모종 이식 유닛에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를 설치하고, 이 한쌍의 모종 이식 기구마다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모종 이식 기구마다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설치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이앙기 2: 주행기체
3, 4: 차륜 5: 포장면
6: 모종 이식 장치 8: 조종 좌석
10: 커버 케이스 11: 작업 바닥면
13, 14, 15: 모종 이식 유닛 17: 모종 이식 기구
18: 모종 탑재대 19: 플로트
20: 조 정지 클러치 기구
20k: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스프링 수단)
21, 22, 23: 클러치 레버 30, 31, 32: 조작 와이어

Claims (1)

  1. 엔진 및 주행 미션을 탑재한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되며 또한 모종 탑재대 및 복수의 모종 이식 기구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기구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기구 중 1쌍마다 그 구동을 단속 조작하는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 좌석의 하방에 상기 각 조 정지 클러치 기구에 대한 클러치 레버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 레버는 상기 조정 좌석의 좌우 양측에 배분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 클러치 레버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L자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하는 한편,
    상기 모종 이식 장치에 설치한 복수의 전동 케이스 내에 동력 전달축을 배치하고, 상기 각 동력 전달축에 베벨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1쌍의 모종 이식 기구에 대하여 공통의 구동축을 연동 연결해서 상기 1쌍의 모종 이식 기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축에 상기 조 정지 클러치 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베벨 기어 중 상기 구동축측의 베벨 기어를 상기 동력 전달축측의 베벨 기어보다 대경으로 해서 상기 1쌍의 모종 이식 기구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이앙기.
KR1020127031624A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20120134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62523 2006-03-08
JPJP-P-2006-062524 2006-03-08
JP2006062523A JP2007236265A (ja) 2006-03-08 2006-03-08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苗植付け条数の可変装置
JP2006062524A JP2007236266A (ja) 2006-03-08 2006-03-08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苗植付け条数の可変装置
PCT/JP2007/052945 WO2007102301A1 (ja) 2006-03-08 2007-02-19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苗植付け条数の可変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39A Division KR101371000B1 (ko) 2006-03-08 2008-07-16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의 모종 이식 조수의 가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187A Division KR101513515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183A Division KR101513516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160A true KR20120134160A (ko) 2012-12-11

Family

ID=3847474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624A KR20120134160A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084A KR101513513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083A KR101513514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27031625A KR20120135445A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183A KR101513516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187A KR101513515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087017339A KR101371000B1 (ko) 2006-03-08 2008-07-16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의 모종 이식 조수의 가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084A KR101513513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083A KR101513514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27031625A KR20120135445A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183A KR101513516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147021187A KR101513515B1 (ko) 2006-03-08 2007-02-19 승용형 이앙기
KR1020087017339A KR101371000B1 (ko) 2006-03-08 2008-07-16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의 모종 이식 조수의 가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7) KR20120134160A (ko)
WO (1) WO20071023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16A (ko) * 2014-04-18 2015-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05B1 (ko) * 2012-03-20 2014-04-1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이앙기 각 조 클러치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082B2 (ja) * 1979-11-14 1985-06-17 井関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枕地植付操作装置
JPS5751522A (en) * 1980-09-10 1982-03-26 Iseki & Co Ltd Device for operating ride-type rice planter
JPS6046824U (ja) * 1983-09-06 1985-04-0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S6122536U (ja) * 1984-07-12 1986-02-10 株式会社 マルエム バイアル瓶
JPS61111615A (ja) * 1984-11-02 1986-05-2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用植付クラツチ装置
JPS63116022U (ko) * 1987-01-23 1988-07-26
JP3912728B2 (ja) * 2001-12-17 2007-05-09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作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16A (ko) * 2014-04-18 2015-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339A (ko) 2008-11-17
KR101513513B1 (ko) 2015-04-21
KR20120135445A (ko) 2012-12-13
KR20140101012A (ko) 2014-08-18
KR20140106747A (ko) 2014-09-03
KR101513515B1 (ko) 2015-04-21
KR20140106748A (ko) 2014-09-03
KR101513514B1 (ko) 2015-04-21
KR101371000B1 (ko) 2014-03-25
KR101513516B1 (ko) 2015-04-21
KR20140101013A (ko) 2014-08-18
WO2007102301A1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4160A (ko) 승용형 이앙기
JP2009022201A5 (ko)
JP2006230244A (ja) 移植機
JP4971219B2 (ja) 移植機
JP2006192961A (ja) シート支持構造
JP5523771B2 (ja) 移植機
JP3632418B2 (ja) 苗移植機
JP4046639B2 (ja) 苗植付装置
JP7086036B2 (ja) 水田作業機
JPH07327431A (ja) 乗用移植機における苗載台の横送り変速装置
JP7055110B2 (ja) 作業機
JP2007236266A (ja)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苗植付け条数の可変装置
JP7123008B2 (ja) 水田作業機
JP5682425B2 (ja) 移植機
JP3383388B2 (ja) 乗用田植機
JP2007236265A (ja)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苗植付け条数の可変装置
JP2020171225A (ja) 苗植付装置
JP2019195279A (ja) 作業車両
JP2008142036A (ja) 苗植機
JP5763150B2 (ja) 田植機の作業機変速装置
JP4782275B2 (ja) 管理機のレバー装置
CN115191190A (zh) 插秧机
JP2019115298A5 (ko)
JPH0746113Y2 (ja) 刈取結束機の前後進変速機構における変速操作レバー機構
JP2004275144A (ja) 乗用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28

Effective date: 201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