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860B1 -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860B1
KR101723860B1 KR1020150138845A KR20150138845A KR101723860B1 KR 101723860 B1 KR101723860 B1 KR 101723860B1 KR 1020150138845 A KR1020150138845 A KR 1020150138845A KR 20150138845 A KR20150138845 A KR 20150138845A KR 101723860 B1 KR101723860 B1 KR 10172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case
bracket
fix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관
Original Assignee
김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관 filed Critical 김성관
Priority to KR102015013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10Lifting or clea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커버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의 양측 구동축에 회동가능토록 일단은 축 결합되고 타단은 로터커버의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축브라켓; 상기 축브라켓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끼움결합되는 축부재;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면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봉에 힌지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은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브라켓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저면 중심이 힌지축 결합되고 몸체는 링크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축부재에는 로터가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터커버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를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축브라켓으로 로터커버에 장착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링크브라켓으로 상기 전동케이스를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써레의 상하구동에 따른 전동케이스의 입력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축부재와 축브라켓에 의해 부분화하여 상기 전동케이스의 입력축과 구동축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마모시 상기 전동케이스의 전부 교체가 아닌 부분별, 즉 필요에 따라 축부재 또는 축브라켓의 교체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FOR HARROW APPARATUF OF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커버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를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축브라켓으로 로터커버에 장착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링크브라켓으로 상기 전동케이스를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써레의 상하구동에 따른 전동케이스의 입력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축부재와 축브라켓에 의해 부분화하여 상기 전동케이스의 입력축과 구동축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마모시 상기 전동케이스의 전부 교체가 아닌 부분별, 즉 필요에 따라 축부재 또는 축브라켓의 교체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앙기는 못자리나 육묘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작업을 하는 장비로서, 이앙시기에 많은 노동력을 동력으로 대체함으로써 이앙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이앙기는 이식하는 모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주행차량과, 이 주행차량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모를 식부하는 식부장치와, 상기 주행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주행 및 식부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부장치에 논바닥의 경도(무른 논인지 굳은 논인지)에 따라 플로트 및 모 선반의 승강 제어감도를 조절하는 감도조절시스템이 설치되고, 주행차량에는 전륜 및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주행차량의 후륜과 식부장치 사이에는 써레(100)가 설치되고, 이러한 써레(100)에 의해 논의 표면을 정지하는 써레작업을 식부장치의 식부작업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써레(100)는 일반적으로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리어 액슬케이스(rear axle case)의 입력축에 전동케이스(120)를 통해 써레용 구동축(110)을 연결하고, 이 써레용 구동축(110)에는 복수의 써레용 로터(rotor;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써레용 구동축(11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써레용 로터(rotor;130)가 회전하면서 논의 표면을 정지하는 써레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써레용 로터(rotor;130)의 상부에는 써레용 로터(rotor)의 회전 시에 흙탕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커버(140)가 설치되고, 이러한 로터커버(140)의 외측면에는 로터커버(140)의 휨 또는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1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케이스(120)는 보강부재(145)에 고정브라켓(125)을 통해 직접 고정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가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상기 써레의 상하이동에 따라 조인트의 고무보트가 일자로 유지되지 못하고 구부러지므로 전동케이스의 입력축에 압력을 가할 뿐더러 상기 전동케이스(120)의 구동축에 로터(130)가 직접 결합되므로 상기 로터(130)의 회전에 따른 전동케이스의 구동축 부위의 마모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경우 불가피하게 상기 전동케이스(12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터커버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를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축브라켓으로 로터커버에 장착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링크브라켓으로 상기 전동케이스를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써레의 상하구동에 따른 전동케이스의 입력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축부재와 축브라켓에 의해 부분화하여 상기 전동케이스의 입력축과 구동축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마모시 상기 전동케이스의 전부 교체가 아닌 부분별, 즉 필요에 따라 축부재 또는 축브라켓의 교체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는, 로터커버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의 양측 구동축에 회동가능토록 일단은 축 결합되고 타단은 로터커버의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축브라켓; 상기 축브라켓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끼움결합되는 축부재;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면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봉에 힌지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은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브라켓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저면 중심이 힌지축 결합되고 몸체는 링크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축부재에는 로터가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로터커버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를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축브라켓으로 로터커버에 장착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 힌지축 결합되는 링크브라켓으로 상기 전동케이스를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써레의 상하구동에 따른 전동케이스의 입력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상기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축부재와 축브라켓에 의해 부분화하여 상기 전동케이스의 입력축과 구동축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마모시 상기 전동케이스의 전부 교체가 아닌 부분별, 즉 필요에 따라 축부재 또는 축브라켓의 교체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이앙기용 써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종래의 이앙기용 써레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3 - 본 발명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는, 로터커버(A)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10)의 양측 구동축(11)에 회동가능토록 일단은 축 결합되고 타단은 로터커버(A)의 보강부재(B)에 고정되는 축브라켓(20); 상기 축브라켓(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동케이스(10)의 구동축(10)에 끼움결합되는 축부재(30); 상기 전동케이스(10)의 상면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봉(50)에 힌지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40);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일단은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브라켓(60)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50); 상기 지지봉(50)에 저면 중심이 힌지축 결합되고 몸체는 링크(C)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축부재(30)에는 로터(D)가 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동케이스(10)는 입력축(12)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고 구동축(11)에 결합된 써레(D)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공지의 구성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축브라켓(20)는 전동케이스(10)를 로터커버(A)의 중앙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축브라켓(20)의 일단은 구동축(11)에 회동가능토록 축 결합되고 타단은 로터커버(A)의 보강부재(B)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축브라켓(20)의 일단에는 축공(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판(2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22)에는 보강부재(B)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브라켓(20)에 축 결합된 전동케이스(10)가 소정각도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는 유압실린더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링크(C)에 의해 써레(D)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종래(도 2 참조)에는 상기 써레(D)의 상하위치에 따라 조인트(E)의 고무보트 부위가 구부러졌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D)의 상하위치에 상관없이 축브라켓(20)의 회동구조로 인해 조인트(E)는 항상 일자형을 유지하므로 전동케이스(10)의 입력축(11) 부위 및 조인트(E)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축부재(30)는 써레(D)의 회전에 따른 구동축(11)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축부재(30)는 축브라켓(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동축(11)에 끼움결합된다.
물론 상기 축부재(30)의 내부는 구동축(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30)에는 써레(D)가 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30)의 일단, 즉 축브라켓(20)에 접촉되는 끝단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는데, 이는 축브라켓(20)과 써레(D)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써레(D)의 회전에 따른 구동축(11) 부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써레(D)의 회전시 종래에는 상기 써레(D)가 전동케이스(10)에 직접 접촉되므로 구동축(11) 부위의 마모가 심하게 이루어졌으나, 상기 축부재(30)와 축부재(20)에 의해 써레(D)가 결합되므로 구동축(11) 부위의 마모는 최소화하고 상기 써레(D)의 회전에 따른 마모는 축부재(30)의 걸림턱(31)에서 이루어지므로 전동케이스(10)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마모에 따른 교체는 부분별, 즉 상기 전동케이스(10) 전체가 아닌 축브라켓(20) 또는 축부재(30)의 일부만 교체하면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0)은 전동케이스(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몸체(41)는 전동케이스(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소켓(42)은 지지봉(50)의 일단에 힌지축(42a) 결합된다.
물론 상기 몸체(41)에는 전동케이스(1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봉(50)은 고정브라켓(40)과 링크브라켓(60)의 힌지축(42a,62a) 결합을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일단은 상기 고정브라켓(40에 힌지축(42a)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브라켓(60)에 힌지축(62a) 결합된다.
상기 링크브라켓(60)은 링크(C)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몸체(61)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저면 중심에는 힌지축(62a) 결합을 위한 소켓(6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몸체(61)의 양측면에는 링크(C)로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고정브라켓(40)과 지지봉(50)의 힌지축 결합구조 및 상기 지지봉(50)과 링크브라켓(60)의 힌지축 결합구조는, 링크(C)와 써레(D)의 상하이동에 상관없이 전동케이스(10)의 입력축(11)에 결합되는 조인트(E)가 항상 일자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힌지축 결합구조, 즉 회동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E)의 일자형상의 유지를 위해 전동케이스(10) 또한 축브라켓(20)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동되어 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동케이스 20: 축브라켓
30: 축부재 40: 고정브라켓
50: 지지봉 60: 링크브라켓
A: 로터커버 B: 보강부재
C: 링크 D: 로터
E: 조인트

Claims (1)

  1. 로터커버(A)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동케이스(10)의 양측 구동축(11)에 회동가능토록 일단은 축 결합되고 타단은 로터커버(A)의 보강부재(B)에 고정되는 축브라켓(20); 상기 축브라켓(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동케이스(10)의 구동축(10)에 끼움결합되는 축부재(30); 상기 전동케이스(10)의 상면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봉(50)에 힌지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40); 상기 고정브라켓(40)에 일단은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브라켓(60)에 힌지축 결합되는 지지봉(50); 상기 지지봉(50)에 저면 중심이 힌지축 결합되고 몸체는 링크(C)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축부재(30)에는 로터(D)가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20150138845A 2015-10-02 2015-10-02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172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45A KR101723860B1 (ko) 2015-10-02 2015-10-02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45A KR101723860B1 (ko) 2015-10-02 2015-10-02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860B1 true KR101723860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845A KR101723860B1 (ko) 2015-10-02 2015-10-02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8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997A (ja) * 2005-12-22 2007-07-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農用作業機
JP2015119686A (ja) * 2013-12-24 2015-07-02 ヤンマー株式会社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997A (ja) * 2005-12-22 2007-07-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農用作業機
JP2015119686A (ja) * 2013-12-24 2015-07-02 ヤンマー株式会社 苗移植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684B1 (ko) 로터베이터용 복합 작업기
KR101723860B1 (ko) 이앙기용 써레의 전동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1790572B1 (ko)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JP6440576B2 (ja) 移植機
CN205430991U (zh) 苗移植机
KR20170074589A (ko) 이앙기 설치형 잡초제거기
JP6441578B2 (ja) 農作業機
JP2012090582A (ja) 草刈装置
KR101498782B1 (ko) 이앙기용 써레장치
KR101892701B1 (ko) 편심 조향 구조를 갖는 작기형 로터리를 구비한 승용 농업 작업기
JP2009207503A (ja) 田植機
KR102629193B1 (ko) 최소경운 이앙기의 로터리 착탈구조
JP6544825B2 (ja) 農作業機
US2498606A (en) Adjustable gearing
JP6908471B2 (ja) 植付作業機
JP5184859B2 (ja) 管理機の尾輪
JP2017212883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CN216451768U (zh) 转向扶手组件及田园管理机
KR20180091087A (ko) 작업 차량
JP3885016B2 (ja) 移植機における整地用ロータ
JP6909490B2 (ja) 農作業機
JP6123638B2 (ja) 作業車両
JP2003102219A (ja) 移植機
US2561236A (en) Grain drill
US2603172A (en) Implement lift and ungea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