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810B1 -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 Google Patents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810B1
KR101355810B1 KR1020120122995A KR20120122995A KR101355810B1 KR 101355810 B1 KR101355810 B1 KR 101355810B1 KR 1020120122995 A KR1020120122995 A KR 1020120122995A KR 20120122995 A KR20120122995 A KR 20120122995A KR 101355810 B1 KR101355810 B1 KR 10135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ther
rice
rice transplant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원기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102012012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탑재대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승용이앙기 전체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을 장착하여 마감하는 본네트와, 상기 본네트의 후방에 설치하여 주행과 모내기작업에 필요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작레버를 가지는 조정공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전륜과 후륜, 상기 프레임의 후미에 승강수단으로 연결되는 모탑재대를 유지하는 모탑재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앙부로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모탑재프레임은, 상단에 절곡부를 가지는 레프트바디와 라이트바디,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센터바디로 구성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의 하단 내측에 고정하여 식부기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주축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모탑재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센터바디에 하나 이상 돌출시키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과 연접될 수 있도록 상부브라켓의 상단에 구비하는 슈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SEED TRAY FRAME FOR RIDING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이앙기의 이앙부를 구성하는 모탑재대를 유지하는 모탑재프레임을 개선하여 간단하게 구성하면서 관련 부품과의 연결성을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모탑재프레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앙기는 보행형 이앙기와 승용형 이앙기로 구비되는데, 보행형 이앙기는 사용자가 보행(걸으면서)하면서 이앙기를 조작하는 타입을 말하며 승용형 이앙기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앙기를 조작하면서 이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에는 식모를 위한 수단이 4조로 승용형 이앙기의 경우에는 6조가 구비되는 것이 통례이며, 근자에 들어서는 날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실정을 감안하여 작업지를 자주 왕복하여야 하는 횟수를 줄여 보다 효율적인 이앙작업이 가능하도록 식모 수단을 12조로 한 광폭의 이앙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승용이앙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 1을 통하여 간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승용이앙기(100)는 금속재질로 용접, 볼트 또는 리벳팅으로 하나의 구조물 형태로 프레임(10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이 장착되어 본네트(102)로 마감되고, 상기 본네트(102)의 후방에는 주행과 모내기작업에 필요한 조작을 위한 수단으로 운전석(103)과 다수개의 조작레버(104)를 가지는 조정공간(105)을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륜(106)과 후륜(107)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1)의 후미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링크조합으로 구성되는 히치유니트로 연결되는 이앙부(110)가 연결된다.
상기 이앙부(110)는 모탑재프레임(115)의 하방에 논바닥과 연접되는 플로트(111)가 연결되고, 상기 모탑재프레임(115)의 외측에는 모를 적재하여 공급하기 위한 모탑재대(112)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모탑재프레임(115)의 하방 중앙에는 히치유니트로 유지되어 모탑재대(112)에 위치한 모를 논에 심는 식부기(114)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승용이앙기의 모탑재프레임은, 승용이앙기의 후방에 유압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히치유니트에 장착되어 모탑재대을 왕복시키고 식부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동력전달축에 각재를 용접 고정하여 상방으로 돌출시켜 모탑재대의 상부와 용접고정하고, 상기 각재의 하측에는 모탑재대의 하측과 용접고정을 통하여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의 예로서는 히치유니트를 구성하는 링크 또는 히치유니트와 여러 개의 각재를 이용하여 용접 고정을 통하여 모탑재대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용접고정을 통하여 모탑재대를 유지하기 때문에 모탑재대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수리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수행하여야 하는 데, 모탑재프레임과 모탑재대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수리의 용이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수단과도 연결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히치유니트 등과의 간섭이 심하여 초기 조립이 어려워 생산이 용이하지 못한 것은 물론, 승용이앙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장수리를 어렵게 하므로 유지보수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각재 등으로 모탑재대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비 등을 수행한 후에는 기 사용된 재료를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새로운 재료를 이용하여 완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규격화되지 않는 부품들로 인하여 이앙부의 전체적인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모탑재대에 모가 탑재된 상태에서 이앙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는 롤링현상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롤링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쉽게 비틀리게 되므로 이앙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을 장착하여 마감하는 본네트와, 상기 본네트의 후방에 설치하여 주행과 모내기작업에 필요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작레버를 가지는 조정공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전륜과 후륜, 상기 프레임의 후미에 승강수단으로 연결되는 모탑재대를 유지하는 모탑재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앙부로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모탑재프레임은, 상단에 절곡부를 가지는 레프트바디와 라이트바디,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센터바디로 구성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의 하단 내측에 고정하여 식부기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주축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모탑재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센터바디에 하나 이상 돌출시키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과 연접될 수 있도록 상부브라켓의 상단에 구비하는 슈우를 포함하여;
모탑재대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승용이앙기 전체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의 이앙부를 구성하는 모탑재대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쉽게 탈부착되어 조립과 생산이 용이하면서 모탑재대와 관련된 부위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이앙부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면서 이앙부를 구성하는 다은 부품들과의 간선현상을 배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승용이앙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을 도시한 간략적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과 모탑재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과 모탑재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승용이앙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을 도시한 간략적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과 모탑재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과 모탑재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승용이앙기(100)는 금속재질로 용접, 볼트 또는 리벳팅으로 하나의 구조물 형태로 프레임(10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이 장착되어 본네트(102)로 마감되고, 상기 본네트(102)의 후방에는 주행과 모내기작업에 필요한 조작을 위한 수단으로 운전석(103)과 다수개의 조작레버(104)를 가지는 조정공간(105)을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륜(106)과 후륜(107)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1)의 후미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링크조합으로 구성되는 히치유니트로 연결되는 이앙부(110)가 연결된다.
상기 이앙부(110)는 모탑재프레임(115)의 하방에 논바닥과 연접되는 플로트(111)가 연결되고, 상기 모탑재프레임(115)의 외측에는 모를 적재하여 공급하기 위한 모탑재대(112)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모탑재프레임(115)의 하방 중앙에는 히치유니트로 유지되어 모탑재대(112)에 위치한 모를 논에 심는 식부기(114)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탑재프레임(115)을 개선하여 모탑재대(112)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이앙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분해와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모탑재프레임(115)은, 각재 또는 환봉재로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라운드를 가지도록 절곡한 절곡부(116)를 가지는 레프트바디(117)와 라이트바디(118)를 구비하고,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117,118)의 상단부 사이를 직선형태의 센터바디(119)를 연결하여 프레임바디(120)를 구성한다.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117,118)의 상단부와 센터바디(119)의 연결은 체결공을 가지는 플랜지(121)를 고정하여 볼트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쉽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117,118)의 하단 내측에는 사이드프레임(122)을 고정하여 식부기(115)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주축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122)의 전방으로는 플로트(111)를 연결하면서 사이드프레임(122) 방향으로 흙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막이판(123)을 고정할 수 있는 흙막이브라켓(124)을 돌출시킨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22)의 양측으로는 모탑재대(112)가 주변 지형이나 나무 또는 돌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이프가드(125)를 결합할 수 있도록 가드바(126)를 더 돌출시킨다.
상기 가드바(126)에는 모탑재대(1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127)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브라켓(128)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센터바디(119)에도 모탑재대(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129)을 유지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상부브라켓(130)을 돌출시키고, 상기 상부브라켓(130)의 상단에는 상부가이드레일(129)과 연접될 수 있는 슈우(131)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117,118)의 중상부 위치와 센터바디(119)의 중간위치에는 히치유니트와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모탑재대(112) 롤링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132)와 고정브라켓(13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승용이앙기(100)를 구성하는 모탑재프레임(115)은 레프트바디(117)와 라이트바디(118) 및 센터바디(119)로 프레임바디(120)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생산과 조립이 용이한 것은 물론, 승용이앙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히치유니트 또는 모탑재대(112)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탑재대(112)를 장치한 프레임바디(120)가 고정바(132)와 고정브라켓(133)을 이용하여 히치유니트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 과정에서 승용이앙기(100)가 좌,우 방향으로 롤링이 발생하더라도 비틀려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없이 모탑재대(112)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이앙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프레임바디(120)를 구성하는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117,118)의 하단에 구비되는 사이드프레임(122)에 동력전달수단의 주축이 결합되어 한번 더 비틀림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탑재프레임(115) 전체의 내구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이드프레임(122)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흙막이브라켓(124)을 이용하여 사이드프레임(122)으로 흙이 비산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플로트(111)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사이드프레임(122)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가드바(126)에는 세이프가드(125)를 결합시켜 이동 또는 작업 중 모탑재대(112)가 주변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용이앙기(100) 전체의 품질을 높이면서 내구성과 수명을 길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탑재대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승용이앙기 전체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전체적인 외관이 수려한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100; 승용이앙기 101; 프레임
105; 조정공간 110; 이앙부
112; 모탑재대 115; 모탑재프레임
120; 프레임바디 122; 사이드프레임
124; 흙막이브라켓 126; 가드바
128; 하부브라켓 130; 상부브라켓
131; 슈우 132; 고정바
133; 고정브라켓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을 장착하여 마감하는 본네트와;
    상기 본네트의 후방에 설치하여 주행과 모내기작업에 필요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작레버를 가지는 조정공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전륜과 후륜;
    상기 프레임의 후미에 승강수단으로 연결되는 모탑재대를 유지하는 모탑재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앙부로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모탑재프레임은, 상단에 절곡부를 가지는 레프트바디와 라이트바디,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센터바디로 구성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의 하단 내측에 고정하여 식부기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주축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모탑재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센터바디에 하나 이상 돌출시키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과 연접될 수 있도록 상부브라켓의 상단에 구비하는 슈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전방으로는 플로트를 연결하면서 사이드프레임으로 흙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막이판을 고정할 수 있는 흙막이브라켓을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양측으로는 모탑재대가 주변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이프가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가드바를 더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 및 라이트바디와 센터바디에는 히치유니트와 고정시켜 모탑재대 롤링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정바와 고정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바에는 모탑재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하부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KR1020120122995A 2012-11-01 2012-11-01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KR10135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995A KR101355810B1 (ko) 2012-11-01 2012-11-01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995A KR101355810B1 (ko) 2012-11-01 2012-11-01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810B1 true KR101355810B1 (ko) 2014-01-28

Family

ID=5014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995A KR101355810B1 (ko) 2012-11-01 2012-11-01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8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513U (ja) * 1983-11-25 1985-06-15 三菱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におけるロ−リング規制装置
JP2006087361A (ja) 2004-09-24 2006-04-0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10110265A (ja) 2008-11-06 2010-05-20 Yanmar Co Ltd 田植機の植付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513U (ja) * 1983-11-25 1985-06-15 三菱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におけるロ−リング規制装置
JP2006087361A (ja) 2004-09-24 2006-04-0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10110265A (ja) 2008-11-06 2010-05-20 Yanmar Co Ltd 田植機の植付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21240T1 (de) Aufhängungsvorrichtung für ein mähwerk
JP4968879B2 (ja) 田植機の予備苗台構造
KR101355810B1 (ko) 승용이앙기용 모탑재프레임
CA2809455C (en) Agricultural caddy and trailer assembly
KR102032916B1 (ko) 농작업차의 보닛 개폐를 위한 힌지 조립체 및 이 힌지 조립체에 의한 농작업차 보닛의 힌지구조
US9016161B2 (en) Working vehicle
JP2013183709A (ja) 農業用トラクタ
CN107517652B (zh) 用于接近农业车辆的动力系的系统和方法
KR20150145034A (ko) 트랙터의 펜더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
US10011302B1 (en) Frame apparatus for agricultural vehicles
US20080284133A1 (en) Adaptable drawbar support assembly
KR20210149381A (ko) 양파정식기의 식부어셈블리 지지장치
KR101687192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CN108366529B (zh) 作业车辆
KR101663092B1 (ko) 이앙기용 차체프레임
JP2001197821A (ja) コンバインの倒伏引起装置
RU2545216C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трактор
CN216491988U (zh) 一种喷雾车用喷雾箱举升结构
JPH0729789Y2 (ja) 移動農機におけるスタンド装置
EP3563653B1 (en)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JPH076741Y2 (ja) 移動農機のバランスウェイト装着装置
KR101604229B1 (ko) 디젤엔진 승용이앙기용 메인프레임
EP3199012B1 (en) Rear support
JP2578411Y2 (ja) 農用管理作業車
JP3960938B2 (ja) 水田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