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071A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071A
KR20150119071A KR1020157024590A KR20157024590A KR20150119071A KR 20150119071 A KR20150119071 A KR 20150119071A KR 1020157024590 A KR1020157024590 A KR 1020157024590A KR 20157024590 A KR20157024590 A KR 20157024590A KR 20150119071 A KR20150119071 A KR 20150119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arm
winding drum
rotatio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719B1 (ko
Inventor
종린 이
인수 최
도모나리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19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end lock pre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웨빙을 권취했을 때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엔드 로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한다. 로크 기구는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작동하고,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규제 부재(56)는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정지의 반동에 의한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한다.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는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시에 로크 아암(40)에 접촉해서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하는 로크 아암(40)을 압박한다. 로크 아암(40)의 결합부(44)는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에 결합하고, 규제 부재(56)를 압박부(57)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압박한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권취 드럼에 시트 벨트의 웨빙을 권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시트에 앉은 탑승원을 보호하기 위해서, 리트랙터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탑승원은 리트랙터의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웨빙(시트 벨트)을 장착하고, 웨빙에 의해 시트에 구속된다. 탑승원의 이동에 의해 웨빙이 급격하게 인출되었을 때에는, 리트랙터의 로크 기구에 의해,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웨빙의 인출이 정지된다.
또한, 탑승원으로부터 제거된 웨빙은, 회전하는 권취 드럼에 권취되어서, 다음에 인출될 때까지 리트랙터에 수납된다. 그런데, 웨빙의 권취가 종료될 때에는, 권취 드럼의 회전 정지의 반동에 의해, 로크 기구가 잘못해서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로크 기구가 작동하면,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이 정지되어, 웨빙을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할 수 없게 된다. 동시에, 웨빙 전체가 권취되어 있으므로, 웨빙의 권취도 할 수 없어, 리트랙터에 엔드 로크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종래, 로크 기구를 작동하기 위한 플라이 휠의 회전을 마찰 스프링에 의해 억제하는 리트랙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리트랙터에서는, 마찰 스프링이 플라이 휠에 의해 압박되었을 때에, 마찰 스프링과 플라이 휠의 접촉 위치가 변화되어, 마찰 스프링이 회전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웨빙의 권취 속도에 대응해서 플라이 휠을 회전하는 힘이 커지면, 마찰 스프링에 의해 플라이 휠의 회전을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종래의 리트랙터에 관해서는, 로크 기구의 오작동에 의한 엔드 로크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일본 특허 제475896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웨빙을 권취했을 때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엔드 로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웨빙의 권취 방향과 인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권취 드럼과,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고, 또한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가속도에 따라서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변위 부재와, 변위 부재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작동하고,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로크 기구와,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의 회전 정지의 반동에 의한 변위 부재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며, 규제 부재가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 시에 변위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의 회전 시에 변위 부재에 접촉해서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하는 변위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부를 갖고, 변위 부재가 규제 부재의 압박부에 결합하고, 규제 부재를 압박부에 의해 변위 부재를 압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빙을 권취했을 때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엔드 로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완전히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완전히 분해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X1-X1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X2-X2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분해된 권취 드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분해된 클러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가동 파울을 수용한 권취 드럼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W3 방향으로부터 본 권취 드럼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가속도 센서, 메커니즘 커버 및 규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W4 방향으로부터 본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웨빙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웨빙의 권취 시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로크 아암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엔드 로크 시의 리트랙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엔드 로크 시의 리트랙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로크 아암과 정지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4의 W5 방향으로부터 본 리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작동 부재와 배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Y2부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이동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는 배치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이동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는 배치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이동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는 배치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하, 리트랙터라고 함)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의 웨빙을 권취하는 웨빙 권취 장치이며, 차량용 시트 벨트 장치에 설치된다. 리트랙터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시트에 앉은 탑승원을 웨빙(시트 벨트)에 의해 보호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해된 리트랙터(1)를 도 1의 W1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복수의 유닛으로 분해된 리트랙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에서는, 띠 형상의 웨빙(2)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3)과, 웨빙(2)의 권취 드럼(10)을 갖는 권취 드럼 유닛(4)과, 권취 스프링 유닛(5)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6)과, 웨빙(2)의 단부에 고정된 빠짐 방지 핀(7)을 구비하고 있다.
권취 드럼(10)이 하우징 유닛(3)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권취 스프링 유닛(5)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이 하우징 유닛(3)의 측면에 고정된다. 권취 스프링 유닛(5)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하우징 유닛(3)의 외측에서 권취 드럼 유닛(4)의 축 방향의 양단부를 덮고, 권취 드럼 유닛(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웨빙(2)이 권취 드럼(10)의 삽입부(11)에 삽입되고, 빠짐 방지 핀(7)에 의해, 웨빙(2)이 삽입부(11)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웨빙(2)의 단부가 권취 드럼(10)에 설치된다.
권취 스프링 유닛(5)은,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권취하는 권취 수단이며, 권취 드럼(10)을 웨빙(2)의 권취 시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권취 방향이라고 함)(M)으로 회전시킨다. 웨빙(2)은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에 권취되어서 리트랙터(1) 내에 수납된다. 그 상태로부터, 웨빙(2)은 권취 드럼(10)을 웨빙(2)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인출 방향이라고 함)(P)으로 회전하면서 리트랙터(1)로부터 인출된다.
권취 드럼 유닛(4)은 클러치 유닛(8)을 갖고, 리트랙터(1) 내에서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권취 드럼(10)은, 통상 시에 있어서는 클러치 유닛(8)과 함께 회전하고, 긴급 시 등에 있어서는 클러치 유닛(8)으로부터 독립하여 회전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권취 드럼 유닛(4)의 클러치 유닛(8)을 덮고, 클러치 유닛(8)과 함께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로크 기구(9)를 구성한다. 로크 기구(9)는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을 로크하는 로크 수단이다. 웨빙(2)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 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반응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로크 기구(9)에 의해 정지된다. 이 로크 기구(9)의 작동에 의해, 웨빙(2)의 인출이 정지된다.
도 3, 도 4는, 완전히 분해된 리트랙터(1)의 사시도이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리트랙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리트랙터(1)를 도 1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보고서 나타내고, 도 4는, 리트랙터(1)를 도 1의 W2 방향으로부터 보고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리트랙터(1)의 각 유닛(3 내지 6)이 조립된다. 또한, 복수의 유닛(3 내지 6)을 합체함으로써, 리트랙터(1)가 제조된다. 이하, 이들 리트랙터(1)의 각 부에 대해서, 순서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 유닛(3)은 권취 드럼(10)을 수납하는 하우징(20)과, 합성 수지로 형성된 프로텍터(3A)를 갖는다. 하우징(20)은 차체에 고정되는 배판부(21)와, 배판부(21)의 양 측연부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측벽부(22, 23)[제1 측벽부(22), 제2 측벽부(23)]와, 한 쌍의 측벽부(22, 23)에 고정된 고정판(24)으로 이루어진다. 프로텍터(3A)는 웨빙(2)의 통과부(3B)를 갖고, 배판부(21)의 상부 테두리부에 설치된다. 웨빙(2)은 프로텍터(3A)의 통과부(3B)에 통과되어, 권취 및 인출 시에 통과부(3B)를 통과한다.
하우징(20)은 제1 측벽부(22)에 형성된 원 형상의 제1 개구부(25)와, 제1 개구부(25)의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로크 톱니(26)와, 제2 측벽부(23)에 형성된 제2 개구부(27)를 갖는다. 복수의 로크 톱니(26)는 3각형 형상을 이루고, 제1 개구부(25)의 내주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권취 드럼 유닛(4)의 가동 파울(4A)이 로크 톱니(26)에 결합함으로써, 권취 드럼(10)이 로크되어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된다. 제2 개구부(27)는 제1 개구부(25)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제1 개구부(25)에 대향한다.
권취 드럼(10)은 제1 개구부(25)에 삽입되어서 하우징(20) 내에 수용된다. 또한, 권취 드럼(10)의 양단부는, 각각 제1 개구부(25)와 제2 개구부(27) 내에 배치되고, 클러치 유닛(8)은 제1 측벽부(22)의 측방에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이 제1 측벽부(22)에 설치되고, 권취 스프링 유닛(5)이 제2 측벽부(23)에 설치된다.
도 5는, 도 1의 X1-X1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리트랙터(1)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X2-X2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리트랙터(1)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의 축심이 제1 개구부(25)의 중심에 일치하는 상태에서, 권취 드럼(10)은 하우징(20), 제1 개구부(25) 및 제2 개구부(27) 내에서 회전한다. 또한, 권취 드럼(10)은 축심을 따라서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샤프트(12, 13)[제1 샤프트(12), 제2 샤프트(13)]를 갖는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은 클러치 유닛(8)에 조합되어, 제1 샤프트(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5)은, 제2 샤프트(13)에 연결되어서 제2 샤프트(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5)(도 3, 도 4 참조)은 스파이럴 스프링(5A)과, 스파이럴 스프링(5A)을 수용하는 스프링 케이스(5B)와, 하우징(20)의 제2 측벽부(23)에 접하는 스프링 시트(5C)와, 스프링 샤프트(5D)를 갖는다. 스파이럴 스프링(5A)의 외측 단부 K1은 스프링 케이스(5B)에 고정되고, 스파이럴 스프링(5B)의 내측 단부 K2는 스프링 샤프트(5D)에 고정된다. 스프링 시트(5C)는 스프링 케이스(5B)에 설치되어, 스프링 케이스(5B) 내의 스파이럴 스프링(5A)을 덮는다. 그 상태에서, 스프링 샤프트(5D)는 스프링 케이스(5B)와 스프링 시트(5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권취 드럼(10)의 제2 샤프트(13)는 지지 구멍(5E)에 삽입되어서 스프링 시트(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스프링 샤프트(5D)에 고정된다.
스프링 샤프트(5D)는 권취 드럼(10)과 일체로 회전하고, 또한 스파이럴 스프링(5A)의 가압력을 권취 드럼(10)에 전달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5)은 스파이럴 스프링(5A)에 의해, 권취 드럼(10)을 웨빙(2)의 권취 방향(M)으로 항상 가압한다. 또한, 웨빙(2)의 인출 시에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5A)이 감긴다. 웨빙(2)의 권취 시에는 스파이럴 스프링(5A)의 가압에 의해, 권취 드럼 유닛(4) 및 권취 드럼(10)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여,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권취된다.
도 7은, 분해된 권취 드럼 유닛(4)의 사시도이며, 권취 드럼(10)과 클러치 유닛(8)을 도 2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보고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분해된 클러치 유닛(8)의 사시도이며, 도 3의 클러치 유닛(8)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4)은 웨빙(2)의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으로 회전 가능한 권취 드럼(10)과, 하우징(20)의 로크 톱니(26)에 결합하는 가동 파울(4A)과, 클러치 유닛(8)과, 캡(17)을 갖는다. 가동 파울(4A)은 로크 톱니(26)에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4B)와, 측방으로 돌출된 연동 핀(4C)으로 이루어진다. 권취 드럼(10)의 단부에 형성된 파울 수용부(14)에 가동 파울(4A)이 수용되었을 때에, 연동 핀(4C)은 파울 수용부(14)의 유도부(관통부)(14A)로부터 클러치 유닛(8)을 향해 돌출된다.
도 9는, 가동 파울(4A)을 수용한 권취 드럼(10)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W3 방향으로부터 본 권취 드럼(10)의 측면도이다. 도 10에는, 하우징(20)의 로크 톱니(26)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파울(4A)은 파울 수용부(14) 내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파울 수용부(14)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때, 연동 핀(4C)이 유도부(14A)를 미끄럼 이동하여, 유도부(14A)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동 파울(4A)은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결합하지 않는 비로크 위치(도 10A에 나타내는 위치)와,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결합하는 로크 위치(도 10B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가동 파울(4A)이 로크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결합하고, 가동 파울(4A)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가동 파울(4A)에 의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이 압박되어, 권취 드럼(10)이 로크되고,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가동 파울(4A)은 클러치 유닛(8)과 함께, 로크 기구(9)의 일부를 이룬다.
클러치 유닛(8)(도 7, 도 8 참조)은 원 형상의 로킹 클러치(30)와, 로킹 클러치(30)에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 로크 아암(40)과, 리턴 스프링(8A)과, 센서 스프링(8B)을 갖는다. 로킹 클러치(30)는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하고, 또한 권취 드럼(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이다. 권취 드럼(10)의 제1 샤프트(12)가 로킹 클러치(30)의 중심 구멍(31)에 삽입되고, 캡(17)이 중심 구멍(31)으로부터 돌출된 제1 샤프트(12)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로킹 클러치(30)가 권취 드럼(10)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킹 클러치(30)는 권취 드럼(10)측에 형성된 스프링 홀더(32)를 갖고, 리턴 스프링(8A)은 스프링 홀더(32)에 설치된다. 제1 샤프트(12)를 중심 구멍(31)에 삽입할 때에, 리턴 스프링(8A)을 오므린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8A)과 스프링 홀더(32)가 권취 드럼(10)의 오목부(15) 내에 배치된다. 또한, 가동 파울(4A)의 연동 핀(4C)은 로킹 클러치(30)의 유도 홈(33)에 삽입되고, 권취 드럼(10)의 원기둥 형상의 돌기(16)(도 3 참조)는 로킹 클러치(30)의 관통 홈(34)에 삽입된다. 돌기(16)는 권취 드럼(10)의 측면에 형성되고, 관통 홈(34) 내를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킹 클러치(30)(도 7, 도 8 참조)는 리턴 스프링(8A)에 의해 웨빙(2)의 인출 방향(P)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통상 시에는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한다. 그때, 가동 파울(4A)은 파울 수용부(14) 내에서 비로크 위치에서 유지된다. 긴급 시 등에는, 로킹 클러치(30)가 로크된 상태에서, 정지된 로킹 클러치(30)에 대하여 권취 드럼(10)이 가동 파울(4A)과 함께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가동 파울(4A)의 연동 핀(4C)이 로킹 클러치(30)에 의해 압박되어, 유도 홈(33) 내를 이동한다. 연동 핀(4C)은 유도 홈(33)에 의해 유도되어서, 유도 홈(33)을 따라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연동 핀(4C)의 이동에 의해, 가동 파울(4A)이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가동 파울(4A)의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결합한다(도 10 참조).
결합 갈고리(4B)와 로크 톱니(26)의 결합 시에는,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접촉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결합 갈고리(4B)가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결합 갈고리(4B)는 로크 톱니(26)를 따라, 로크 톱니(26)의 저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의 저부에 도달했을 때에,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완전히 결합하여, 가동 파울(4A)[결합 갈고리(4B)]과 로크 톱니(26)의 결합이 완료된다. 결합 갈고리(4B)와 로크 톱니(26)는, 이와 같이, 하여 서로 결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9)는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으로 소정량만큼 회전하는 동안에, 이상과 같이 가동 파울(4A)을 이동시키고, 가동 파울(4A)을 로크 톱니(26)에 결합한다. 이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로크되어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된다. 로킹 클러치(30)의 로크가 해제된 후, 리턴 스프링(8A)의 가압에 의해(도 7, 도 8 참조), 권취 드럼(10)에 대하여 로킹 클러치(30)가 인출 방향(P)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연동 핀(4C)이 로킹 클러치(30)에 의해 압박되어, 유도 홈(33) 내를 이동한다. 연동 핀(4C)은 유도 홈(33)에 의해 유도되어서, 유도 홈(33)을 따라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가동 파울(4A)은 연동 핀(4C)의 이동에 의해 로크 톱니(26)로부터 이격되어서 비로크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9)에 의한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된다.
로킹 클러치(30)는 복수의 톱니(35)를 갖는 래칫 휠(36)과, 로크 아암(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37)와, 센서 스프링(8B)을 지지하는 지지 핀(38)을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36)은, 로킹 클러치(30)의 외주에 형성된 링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톱니(35)는, 래칫 휠(36)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을 멈추도록 경사져 있고, 래칫 휠(36)의 외주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40)은 길이 방향의 일단부(결합단부)(41)와 타단부(자유단부)(42) 사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43)을 갖고,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 지지부(37)를 관통 구멍(43)에 삽입함으로써, 로크 아암(40)이 아암 지지부(37)에 설치되어, 로킹 클러치(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크 아암(40)은 래칫 휠(36)의 내측에 배치되어, 아암 지지부(37)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센서 스프링(8B)은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와 지지 핀(38) 사이에 배치되어, 타단부(42)를 인출 방향(P)으로 가압한다. 이 가압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는 로킹 클러치(30)의 제1 스토퍼(39A)에 접촉한다.
로크 아암(40)은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 가능해지고 있으며, 권취 드럼(10) 및 로킹 클러치(30)와 함께 인출 방향(P)과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통상 시에는, 센서 스프링(8B)의 가압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는 로킹 클러치(30)의 제1 스토퍼(39A)에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웨빙(2)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했을 때에[즉,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회전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회전하는 로킹 클러치(30)에 대하여, 관성에 의한 지연이 로크 아암(40)에 발생한다. 그 결과, 로크 아암(40)이 센서 스프링(8B)을 압축하면서 회전하여,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수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트랙터(1)의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로크 아암(40)은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에 따라서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변위 부재이며, 가속도에 반응해서 소정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한다. 로크 작동 방향은, 로크 기구(9)를 작동하기 위한 방향이며, 여기에서는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는 방향이다. 로크 기구(9)는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한 로크 아암(40)에 의해 작동한다. 또한, 로크 아암(40)이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는, 로크 아암(40)이 변위해도 좋고, 로크 아암(40)이 권취 드럼(10) 및 로킹 클러치(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해도 좋다. 또는, 로크 아암(40)이 변위하면서 권취 드럼(10) 및 로킹 클러치(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해도 좋다. 따라서, 로크 아암(40)의 변위에는, 이와 같은 각 형태에서의 변위를 포함한다.
로크 아암(40)은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로킹 클러치(30)에 연결되어서 로킹 클러치(3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아암 지지부(37)는 변위 부재용 지지부이며, 회전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로크 아암(40)은 로크 작동 방향과 로크 작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양 방향으로 변위한다. 센서 스프링(8B)의 가압에 의해, 로크 아암(40)이 로크 작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회전)하고,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한다.
로크 기구(9)(도 2 참조)는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작동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게다가, 로크 기구(9)는 래칫 휠(36)의 인출 방향(P)의 회전 정지에 의해 작동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멈춘다.
구체적으로는, 리트랙터(1)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 내에,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한 로크 아암(40)을 정지하는 수단(로크 아암 정지 수단)과, 래칫 휠(36)의 회전을 정지하는 수단(래칫 휠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아암(40)의 정지 또는 래칫 휠(36)의 회전 정지에 수반하여, 로킹 클러치(30)가 정지된다. 그 상태에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의 가동 파울(4A)이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권취 드럼(10)이 로크된다. 이하, 각 정지 수단을 갖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6)(도 3, 도 4 참조)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50)와, 클러치 유닛(8)을 수용하는 메커니즘 커버(6A)와, 로크 아암(40)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56)와,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60)을 갖는다. 가속도 센서(50)는, 래칫 휠 정지 수단이며, 또한 차량의 긴급 시에 로크 기구(9)를 기동하는 긴급 로크 기동 장치이다. 또한, 가속도 센서(50)는 센서 홀더(51)와, 관성 질량체(52)와, 센서 레버(53)를 갖는다. 관성 질량체(52)는 금속제의 구체로 이루어지며, 센서 홀더(51)의 오목부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센서 레버(53)는 관성 질량체(52)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센서 홀더(5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은, 가속도 센서(50), 메커니즘 커버(6A) 및 규제 부재(56)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6A)는 로킹 클러치(30)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클러치 수용부(6B)와, 가속도 센서(50)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6C)와, 센서 수용부(6C) 내의 가속도 센서(50)를 덮는 센서 커버(6D)를 갖는다. 가속도 센서(50)가 센서 수용부(6C)에 설치된 상태에서, 센서 레버(53)의 로크 갈고리(54)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클러치 수용부(6B)의 개구(6E)에 배치된다.
도 12는, 도 11의 W4 방향으로부터 본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의 단면도이며, 클러치 수용부(6B) 내에 수용된 로킹 클러치(30)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성 질량체(52)는 센서 홀더(51)와 센서 레버(53)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차량의 긴급 사태(예를 들어, 충돌, 급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관성 질량체(52)는 관성력에 의해 센서 홀더(51) 위에서 이동하여, 센서 레버(53)를 위쪽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센서 레버(53)의 로크 갈고리(54)가 클러치 수용부(6B) 내로 이동하여,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린다.
래칫 휠(36)의 톱니(35)는 래칫 휠(36)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할 때만, 센서 레버(53)의 로크 갈고리(54)와 맞물린다. 로크 갈고리(54)에 의해, 래칫 휠(36)[로킹 클러치(30)]이 로크되어서, 래칫 휠(36)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해서 가동 파울(4A)에 의해 권취 드럼(10)을 로크한다.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웨빙(2)의 인출이 정지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50)와 로크 기구(9)는 차량 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반응해서 웨빙(2)의 인출을 정지하는 차체 감응식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차량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이하가 되었을 때에, 관성 질량체(52)는 중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권취 드럼(10)이 웨빙(2)의 부하로부터 해방되어서, 권취 방향(M)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권취 드럼(10)과 로킹 클러치(30)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함으로써, 로크 갈고리(54)가 래칫 휠(36)의 톱니(35)로부터 제거되어서, 클러치 수용부(6B) 밖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래칫 휠(36)[로킹 클러치(30)]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로크 기구(9)에 의한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되어, 웨빙(2)의 인출과 권취가 가능해진다.
메커니즘 커버(6A)(도 11 참조)는 클러치 수용부(6B) 내에 형성된 링 형상 벽(6F)과, 링 형상 벽(6F)의 내주에 형성된 정지부(6G)와, 링 형상 벽(6F)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지지부(6H)와, 중심 지지부(6H)를 관통하는 삽입 구멍(6I)을 갖는다. 제1 샤프트(12)에 고정된 캡(17)(도 7 참조)이 삽입 구멍(6I)에 삽입되어서, 권취 샤프트(10)의 제1 샤프트(12)가 중심 지지부(6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상태에서, 로킹 클러치(30), 래칫 휠(36) 및 로크 아암(40)이 클러치 수용부(6B) 내에 수용된다(도 11, 도 12 참조). 또한, 래칫 휠(36)이 클러치 수용부(6B)의 내주와 링 형상 벽(6F)의 외주 사이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40)이 링 형상 벽(6F)의 내측에 배치된다.
중심 지지부(6H)는 규제 부재(5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규제 부재용 지지부이기도 하며, 클러치 수용부(6B) 내로 돌출된 링 형상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규제 부재(56)는 로크 아암(40)을 압박하는 압박부(57)와, 중심 지지부(6H)에 설치되는 설치부(58)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를 절곡함으로써 규제 부재(56)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부(58)가 중심 지지부(6H)에 끼이게 되는 클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56)의 회전 시에, 설치부(58)와 중심 지지부(6H) 사이에 마찰(마찰력)이 발생하여, 규제 부재(56)에 회전에 대한 저항이 가해진다.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는 직선 형상을 이루어, 중심 지지부(6H)[설치부(58)]로부터 로킹 클러치(3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압박부(57)의 선단부는 로크 아암(40)을 향해 굴곡되고, 로크 아암(40)은 압박부(57)의 굴곡된 부분[접촉부(59)]에 접촉한다. 규제 부재(56)는 링 형상 벽(6F)의 내측에서 로크 아암(40)에 인접하고, 중심 지지부(6H)를 중심으로 권취 방향(M)과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권취 드럼(10)의 통상의 회전 시에는, 규제 부재(56)는 로킹 클러치(30)와 로크 아암(40)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정지부(6G)는 로크 아암 정지 수단이며, 링 형상 벽(6F)의 내주 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톱니(6J)를 갖는다. 결합 톱니(6J)는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한 로크 아암(40)과 결합하는 정지부(6G)의 결합부이며,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와 결합한다. 또한, 복수의 결합 톱니(6J)는 로크 아암(40)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로크 아암(40) 및 로킹 클러치(30)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을 멈추도록 기운다. 로킹 클러치(30)가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할 때만,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정지부(6G)의 결합 톱니(6J)에 걸리도록 해서 결합한다.
도 13은, 웨빙(2)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4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정지부(6G)의 일부와 클러치 유닛(8)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A에는,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로크 아암(40)이 회전에 의해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할 때에는,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정지부(6G)를 향해 변위하고,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가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를 향해 변위한다.
웨빙(2)의 통상의 인출 시에는(도 13A 참조), 권취 드럼(10)과 함께, 로킹 클러치(30) 및 로크 아암(40)이 인출 방향(P)으로 일체로 회전한다. 그때,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는 정지부(6G)[결합 톱니(6J)]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40)은 정지부(6G)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로부터 이격되어, 로킹 클러치(30)의 제2 스토퍼(39B)에 접촉한다. 제2 스토퍼(39B)에 의해 압박부(57)가 인출 방향(P)으로 압박되고, 규제 부재(56)가 로킹 클러치(30)와 함께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또한, 압박부(57)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 중은, 로크 아암(4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를 규제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어,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를 허용한다.
웨빙(2)의 급격한 인출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로크 아암(40)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가속도에 따라서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한다(도 13B 참조). 이에 수반하여, 로크 아암(40)이 회전에 의해 변위해서 로킹 클러치(30)의 제3 스토퍼(39C)에 접촉한다. 또한,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정지부(6G)에 접근해서 결합 톱니(6J)에 결합한다. 정지부(6G)는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한 로크 아암(40)과 결합하여, 로크 아암(40)을 정지시킨다.
로크 아암(40)이 정지부(6G)[결합 톱니(6J)]에 결합함으로써, 정지부(6G)가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한 로크 아암(40)을 보유 지지하고, 권취 드럼(10)과 함께 회전하는 로크 아암(40) 및 로킹 클러치(30)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로크 아암(40)이 정지부(6G)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아암(40)에 의해, 로킹 클러치(30)가 로크되어서, 로킹 클러치(3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해서 가동 파울(4A)에 의해 권취 드럼(10)을 로크한다.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되어, 웨빙(2)의 인출이 정지된다. 따라서, 로크 아암(40)의 정지부(6G)는 로크 기구(9)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정지부(6G)와 로크 기구(9)는 웨빙(2)이 급격한 인출에 반응해서 웨빙(2)의 인출을 정지하는 웨빙 감응식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결합 톱니(6J)로부터 제거되면, 로킹 클러치(30)의 로크가 해제된다. 로크 아암(40)은 정지부(6G)로부터 해방되어서 로크 작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후, 권취 드럼(10)이 웨빙(2)의 부하로부터 해방되어, 웨빙(2)의 권취에 따라서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로킹 클러치(30)가 권취 드럼(10)에 대하여 인출 방향(P)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로크 기구(9)에 의한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후, 웨빙(2)의 인출과 권취가 가능해진다.
도 14는, 웨빙(2)의 권취 시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4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정지부(6G)의 일부와 클러치 유닛(8)을 나타내고 있다.
웨빙(2)의 통상 권취 시에는(도 14A 참조), 권취 드럼(10)과 함께, 로킹 클러치(30) 및 로크 아암(40)이 권취 방향(M)으로 일체로 회전한다. 그때,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는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에 접촉하여, 타단부(42)에 의해 권취 방향(M)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56)는 로크 아암(40)과 함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웨빙(2)의 권취 종료에 수반하여(도 14B 참조), 권취 드럼(10)의 회전 정지의 반동에 의해, 로크 기구(9)가 잘못해서 작동할 우려가 있다. 즉, 회전을 정지한 로킹 클러치(30)에 대하여, 로크 아암(40)이 관성력에 의해 로크 작동 방향(L)[여기서는 권취 방향(M)]으로 변위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로크 기구(9)가 작동하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되어, 웨빙(2)을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없게 된다. 동시에, 웨빙(2) 전체가 권취되어 있으므로, 웨빙(2)의 권취도 할 수 없어, 리트랙터(1)에 엔드 로크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56)가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정지의 반동에 의한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를 규제하여, 로크 기구(9)의 작동을 방지한다.
도 15는, 로크 아암(40)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5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4B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5B는 도 15A의 Y1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접촉부(59)]는,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 시에 로크 아암(40)으로부터 이격된다.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시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부(57)가 로크 아암(40)에 접촉해서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하는 로크 아암(40)을 압박한다. 즉, 압박부(57)는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에 접촉하고,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중은, 로크 아암(40)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압박부(57)는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정지의 반동에 의해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하는 로크 아암(40)을 억제한다.
로크 아암(40)은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 시에,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에 결합하는 결합부(44)를 갖는다. 결합부(44)는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에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로크 작동 방향(L)측으로 돌출된다.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시에는, 먼저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는 로크 아암(40)의 결합부(44)로부터 이격된 위치[미끄럼 이동부(45)]에 접촉한다. 로크 아암(40)의 미끄럼 이동부(45)는 로크 아암(40)의 결합부(44)에 근접하는 부분이다. 압박부(57)는 미끄럼 이동부(45)를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부(44)에 근접하거나, 또는 결합부(44)로부터 이격된다. 그 상태에서는, 결합부(44)는 압박부(57)에 결합하지 않고, 규제 부재(56)는 미끄럼 이동부(45)를 미끄럼 이동하면서 로크 아암(40)과 함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다.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가 개시되었을 때에, 압박부(57)와 결합부(44)가 접근하고, 결합부(44)가 압박부(57)에 결합한다. 그때, 압박부(57)가,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이동부(45)를 결합부(44)를 향해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부(44)에 접촉한다. 또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44)가 압박부(57)의 접촉부(59)에 접촉해서 걸리거나, 압박부(57)의 이동을 멈추고, 압박부(57)에 결합한다. 결합부(44)는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를 구속하여, 압박부(57)의 이동(미끄럼 이동 및 회전을 포함함)을 저지한다. 결합부(44)에 의해, 압박부(57)의 이동이 저지되어서, 규제 부재(56)가 정지된다.
로크 아암(40)의 결합부(44)에 의해, 규제 부재(56)는 압박부(57)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압박하여 로크 아암(40)의 변위를 규제하는 상태(규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압박부(57)는 결합부(44)에 결합함으로써, 로크 아암(40)을 압박하는 상태로 유지되어서,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의 변위를 멈춘다. 규제 부재(56)는 로크 아암(40)과 함께 변위하는 결합부(44)를 압박부(57)에 의해 압박하고,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를 규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아암(40)의 결합부(44)는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에 접촉하는 결합면(46)을 갖고, 결합면(46)에서 압박부(57)에 결합한다. 결합면(46)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압박부(57)를 이동시키는 방향의 힘을 압박부(57)에 가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 부재용 지지부인 중심 지지부(6H)에 의해,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이 로크 아암(40)의 회전 중심 N2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결합부(44)의 회전 반경 R2는, 압박부(57)의 회전 반경 R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결합부(44)의 회전 반경 R2는, 로크 아암(40)의 회전 중심 N2로부터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접점까지의 거리이며, 압박부(57)의 회전 반경 R1은,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로부터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접점까지의 거리이다.
결합부(44)의 회전에 의한 변위 방향(회전 궤적) S2는, 압박부(57)[접촉부(59)]의 회전 방향(회전 궤적)(S1)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 개시에 수반하여, 결합부(44)는 로크 아암(40)과 함께 규제 부재(56)의 압박부(57)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변위 방향(S2)의 전방에 위치하는 압박부(57)에 결합한다. 계속해서, 결합부(44)가 압박부(57)에 가압되어, 압박부(57)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의 힘을 압박부(57)에 가한다.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접점에 있어서, 결합면(46)의 법선(T)은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을 통과한다. 그로 인해, 결합부(44)에 의해, 압박부(57)가 중심 지지부(6H)에 가압되어, 회전 중심 N1을 향하는 힘만이 압박부(57)에 가해지게 된다.
이 결합부(44)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압박부(57)의 이동이 저지되어서, 규제 부재(56)가 규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로크 아암(40)의 변위에 의한 로크 기구(9)의 작동이 방지되어서, 리트랙터(1)에 엔드 로크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로크 아암(40)을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시키는 관성력이 로크 아암(40)에 작용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 센서 스프링(8B)의 가압에 의해, 결합부(44)가 변위 방향(S2)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하여, 압박부(57)로부터 원활하게 이격된다. 이에 의해,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로크 아암(40)과 규제 부재(56)에 관해서, 압박부(57)의 결합부(44)에 접촉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평면 또는 코너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압박부(57)는 결합부(44)와 선으로 접촉해도 좋고, 결합부(44)와 점 또는 면으로 접촉해도 좋다. 결합면(46)의 법선(T)이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로부터 어긋나도록, 결합부(44)를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결합면(46)의 법선(T)을 로크 아암(40)의 회전 중심 N2측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결합부(44)로부터 압박부(57)에 회전 방향(S1)의 반대측의 힘이 가해진다. 또한, 압박부(57)의 회전에 간섭하는 부분(훅 형상부 등)을 결합부(44)에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합부(44)가 압박부(57)를 보다 확실하게 구속함과 함께, 규제 부재(56)가 압박부(57)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압박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에 반해, 압박부(57)와 결합부(44)의 정지 마찰력에 의해, 압박부(57)를 결합부(44)에 보유 지지하여, 결합부(44)를 압박부(57)에 결합하도록 해도 좋다.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정지 마찰 계수를 μ로 했을 때, 마찰각 θ는, μ와 θ의 관계식(μ=tanθ)으로부터 산출된다. 또한,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접점을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과 연결하여, 접점과 회전 중심 N1에 가상선을 긋는다. 이 가상선과 결합면(46)의 법선(T)이 이루는 각도(법선 각도)가 마찰각 θ 이하일 때에, 압박부(57)가 정지 마찰력에 의해 결합부(44)에 보유 지지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44)(폴리아세탈 수지)와 압박부(57)(스테인리스강)의 정지 마찰 계수 μ가 0.15일 경우에는, 마찰각 θ는 약 8.5도가 된다. 따라서, 법선 각도가 8.5도 이하이면, 결합면(46)의 법선(T) 방향에 관계없이 결합부(44)가 압박부(57)에 결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는, 법선(T)을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으로부터 압박부(57)의 회전 방향(S1)을 향해 어긋나게 해도 좋다. 또한, 법선 각도가 마찰각 θ 이하인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법선(T)의 방향을 변경해도 좋다. 법선 각도가 마찰각 θ 이하인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법선 각도에 오차가 발생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규제 부재(56)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변위를 규제해도,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속도나 웨빙(2)의 정지 방법 등에 따라서는, 로크 기구(9)가 작동하여, 리트랙터(1)에 엔드 로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엔드 로크가 발생했을 때에는(도 13 참조),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정지부(6G)의 결합 톱니(6J)에 결합함으로써, 로크 아암(40)이 정지부(6G)에 결합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는(도 3 참조), 로크 기구(9)가 작동하는 동안에,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가령, 리트랙터(1)에 엔드 로크가 발생했다고 해도, 해제 수단(18)에 의해,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을 해제하여, 리트랙터(1)의 엔드 로크를 해제한다. 해제 수단(18)은 권취 드럼(10)에 형성된 돌기(16)와, 로킹 클러치(30)에 형성된 관통 홈(34)을 갖는다. 돌기(16)는 권취 드럼(10)으로부터 로크 아암(40)을 향해 돌출되고, 관통 홈(34) 내를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돌기(16)는 관통 홈(34)을 관통하여, 로크 아암(40)에 접촉한다.
도 16, 도 17은, 엔드 로크 시의 리트랙터(1)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리트랙터(1)의 주요부를 도 12와 마찬가지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 도 17은, 정지부(6G)의 일부와 클러치 유닛(8)을 나타냄과 함께, 로크 아암(4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로킹 클러치(30)의 일부를 투시함으로써, 가동 파울(4A)과 로크 톱니(26)의 일부도 도 16, 도 17에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6)는 로크 아암(40)에 형성된 오목부(47) 내에 배치되고, 오목부(47) 내에서 이동해서 로크 아암(40)에 접촉한다.
엔드 로크 시에는(도 16A, 도 16B 참조), 로크 아암(40)이 로크 작동 방향(L)으로 변위하고, 정지부(6G)가 로크 아암(40)과 결합해서 로크 아암(40)을 정지시킨다. 이 로크 아암(40)에 의해, 로킹 클러치(30)가 로크되어서 정지된다. 그 상태에서, 웨빙(2)을 리트랙터(1)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한다. 또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의 작동이 개시되어, 로크 기구(9)가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때, 권취 드럼(10)이 로킹 클러치(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16)가 인출 방향(P)으로 이동해서 로크 아암(40)에 접촉한다(도 16C 참조). 따라서, 돌기(16)는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해서 로크 아암(40)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이다.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돌기(16)가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측의 부분을 인출 방향(P)으로 압박한다(도 16D 참조). 따라서, 돌기(16)는 로크 아암(40)을 직접 압박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로크 아암(40)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부재이기도 하다. 해제 수단(18)은 돌기(16)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로크 아암(40)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19)를 갖는다. 전달 기구(19)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정지부(6G)로부터 제거하여, 리트랙터(1)의 엔드 로크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기구(9)의 작동 개시로부터,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동안에, 전달 기구(19)가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회전의 힘)을 로크 아암(40)에 전달한다. 이 전달 기구(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16)로 이루어지는 회전 전달 부재를 갖는다. 돌기(16)가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크 아암(40)에 접촉해서 로크 아암(40)을 압박한다. 계속해서, 전달 기구(19)[돌기(16)]는 로크 아암(40)에 힘을 가하여, 로크 아암(40)을 정지부(6G)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해제 수단(18)의 전달 기구(19)에 의해, 로크 아암(40)이 정지부(6G)로부터 제거되어,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된다(도 17A 참조).
가동 파울(4A)이 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해제 수단(18)은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때,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동 파울(4A)이 로크 톱니(26)에 결합하는 상태에서,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된다. 여기에서는, 가동 파울(4A)의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를 따라 이동해서 로크 톱니(26)의 저부에 도달하고, 가동 파울(4A)과 로크 톱니(26)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에 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서,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리턴 스프링(8A)의 가압에 의해, 로킹 클러치(30)가 권취 드럼(10)에 대하여 인출 방향(P)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가동 파울(4A)이 비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단, 결합 갈고리(4B)는 로크 톱니(26)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크 톱니(26)에 접촉한다. 그 후,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동 파울(4A)과 로크 톱니(26)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18은,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수단(18)은 전달 기구(19)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압박하고, 로크 아암(40)을 정지부(6G)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그때, 먼저 전달 기구(19)의 돌기(16)가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를 정지부(6G)의 결합 톱니(6J)를 향해 압박한다(화살표 Q1). 이에 수반하여,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결합 톱니(6J)의 결합면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여, 결합 톱니(6J)의 선단부를 향해 이동한다(화살표 Q2).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의 이동에 연동하여, 로크 아암(40)이 아암 지지부(37)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함께, 로크 아암(40)의 아암 지지부(37)가 이동한다(화살표 Q3). 또한, 아암 지지부(37)가 이동하기 시작한 후, 로킹 클러치(30)가 아암 지지부(37)에 의해 권취 방향(M)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로크 아암(40)이 로킹 클러치(30)와 함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면서,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결합 톱니(6J)의 선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동시에, 로크 아암(40)이 회전 중심 N2[아암 지지부(37)] 주위로 로크 작동 방향(L)의 반대 방향(해제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 아암(40)의 전체가 결합 톱니(6J)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로크 아암(40)의 변위 시에, 전달 기구(19)의 돌기(16)는 로크 아암(40)의 오목부(47) 내에서, 로크 아암(40)의 접촉면(접촉부)(47A)에 접촉한다. 오목부(47)는 로크 아암(40)의 권취 드럼(10)측에 형성되고, 접촉면(47A)은 오목부(47)의 평활한 내면으로 이루어진다. 돌기(16)는 오목부(47) 내에서, 접촉면(47A)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돌기(16)는 로크 아암(40)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일 없이,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를 정지부(6G)의 결합 톱니(6J)를 향해 압박한다. 돌기(16)와 정지부(6G)의 결합 톱니(6J)에 의해, 로크 아암(40)과 로킹 클러치(30)가 회전하여, 로크 아암(40)이 변위한다.
해제 수단(18)은 정지부(6G)로부터 로크 아암(40)이 받는 힘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로킹 클러치(30)와 함께 정지부(6G)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여기서는 권취 방향(M)]으로 회전시키면서, 로크 아암(40)을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그때, 로크 아암(40)은 결합 톱니(6J)에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 톱니(6J)의 선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합 톱니(6J)는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로크 아암(40)을 이동시키면서, 로크 아암(40)에 힘을 가하여, 로크 아암(40)과 로킹 클러치(30)를 회전시킨다. 또한, 로크 아암(40)은 결합 톱니(6J)에 따른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 중심 N2 주위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결합 톱니(6J)는 로크 아암(40)과 결합한 상태에서,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로크 아암(40)을 선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키고, 또한 로크 아암(40)에, 로킹 클러치(30)와 함께 회전하는 힘을 가한다.
로크 아암(40)의 변위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일단부(41)가 정지부(6G)의 결합 톱니(6J)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로크 아암(40)이 정지부(6G)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수반하여, 로크 아암(40)은 로크 작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 17A, 도 17B 참조). 또한, 로킹 클러치(30)의 로크가 해제된다. 로크 기구(9)는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이 해제된 후에,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해제 수단(18)은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 후, 웨빙(2)을 권취함으로써, 권취 드럼(10)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고, 로킹 클러치(30)가 권취 드럼(10)에 대하여 인출 방향(P)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도 17C 참조). 웨빙(2)의 권취 전에 로킹 클러치(30)의 로크가 해제되고 있으므로, 권취 드럼(10)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한 후, 로킹 클러치(3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조기에 개시된다. 또한, 가동 파울(4A)의 연동 핀(4C)이 유도 홈(33)에 의해 유도되어서, 가동 파울(4A)의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로부터 제거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가동 파울(4A)이 이동하면, 로킹 클러치(30)가 급속하게 인출 방향(P)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가동 파울(4A)이 비로크 위치로 이동한다(도 17D 참조). 이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9)에 의한 권취 드럼(10)의 로크가 해제되고, 이후 웨빙(2)의 인출과 권취가 가능해진다.
또한, 엔드 로크의 발생과 동시에,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가속도 센서(50)가 작동하여, 센서 레버(53)의 로크 갈고리(54)가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해제 수단(18)에 의한 로킹 클러치(30)의 권취 방향(M)의 회전을 이용하여, 로크 갈고리(54)를 톱니(35)로부터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가속도 센서(50)에 의한 래칫 휠(36)의 정지가 해제된다.
해제 수단(18)과 전달 기구(19)에 관해서, 권취 드럼(10)의 돌기(16)를 로크 아암(40)의 외면에 접촉시켜서, 로크 아암(40)을 압박하도록 해도 좋다. 로크 아암(40)에 형성된 돌기(회전 전달 부재)를 권취 드럼(10)의 측면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로크 아암(40)에 전달해도 좋다. 권취 드럼(10)의 회전은 로크 아암(40)에 직접 전달하지 않고, 회전 전달 부재를 거쳐, 로크 아암(40)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동 파울(4A)의 연동 핀(4C)을 회전 전달 부재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를 부분적으로 유도 홈(33)을 향해 형성하고, 연동 핀(4C)을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를 향해 형성한다. 이와 같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와 연동 핀(4C)을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유도 홈(33) 내를 이동하는 연동 핀(4C)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타단부(42)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로크 아암(40)에 전달하여, 로크 아암(40)을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전달 기구(19)에 의한 로크 아암(40)의 변위와 동시에, 유도 홈(33) 내를 이동하는 가동 파울(4A)의 연동 핀(4C)에 의해, 로킹 클러치(30)를 권취 방향(M)으로 압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결합 갈고리(4B)가 로크 톱니(26)를 따라 이동해서 로크 톱니(26)의 저부에 도달할 때에, 연동 핀(4C)이 유도 홈(33) 내를 이동하면서 로킹 클러치(30)를 권취 방향(M)으로 압박한다. 또한, 로킹 클러치(30)가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함으로써, 로크 아암(40)이 정지부(6G)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로크 아암(40)과 정지부(6G)의 결합 해제가 보조된다. 로크 아암(40)이나 로킹 클러치(30)에 덜걱거림이 있을 때에는, 덜걱거림에 의해서도, 로크 아암(40)이 해제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어서,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60)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3, 도 4 참조). 전환 수단(60)에 의해, 리트랙터(1)의 상태가 사용 목적에 대응하여, 자동 로크 상태(ALR)와 긴급 로크 상태(ELR)로 전환된다. 자동 로크 상태에서는, 웨빙(2)을 인출할 수 없게 되어, 웨빙(2)의 권취만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차일드시트나 짐을 시트에 고정할 때에, 리트랙터(1)가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반해, 긴급 로크 상태에서는 웨빙(2)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하다. 단, 차량의 긴급 시에는,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로크된다. 그 결과,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이 정지되어, 웨빙(2)의 인출이 정지된다.
전환 수단(60)은 로크 기구(9)를 작동하는 작동 부재(61)와, 작동 부재(61)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아암 형상의 배치 부재(62)와, 배치 부재(62)를 이동하는 원반 형상의 이동 부재(70)와, 배치 부재용 가압 수단인 제1 가압 수단(63)과, 작동 부재용 가압 수단인 제2 가압 수단(64)과, 감속 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속 기구(80)는 구동 기어(81), 중간 기어(82) 및 종동 기어(83)를 갖고, 조합된 복수의 기어(81, 82, 83)에 의해, 권취 드럼(10)과 이동 부재(70)에 연결된다.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메커니즘 커버(6A)(도 3 참조)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회전용 축)(6K)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가압 수단(63)은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 부재(스프링, 고무, 탄성 부재 등)(여기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로 이루어지고, 배치 부재(62)와 메커니즘 커버(6A)에 설치된다. 제2 가압 수단(64)은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 부재(스프링, 고무, 탄성 부재 등)(여기서는, 비틀림 스프링)로 이루어지고, 작동 부재(61)와 메커니즘 커버(6A)에 설치된다. 이동 부재(70)의 중심 구멍(71)은 메커니즘 커버(6A)의 링 형상 지지부(6L)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부재(70)는 링 형상 지지부(6L)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샤프트(12)에 고정된 캡(17)은, 삽입 구멍(6I)에 삽입되어, 링 형상 지지부(6L) 내에 배치된다. 구동 기어(81)는 링 형상 지지부(6L) 내에서 캡(17)에 고정되고, 이동 부재(70)의 중심으로, 권취 드럼(10)의 제1 샤프트(12) 및 캡(17)과 일체로 회전한다. 종동 기어(83)는 이동 부재(70)의 내측 볼록부(72)에 형성된 내부 기어이며, 구동 기어(81) 및 중간 기어(82)보다도 큰 기어로 되어 있다. 중간 기어(82)는, 구동 기어(81)보다도 큰 제1 기어(82A)와, 제1 기어(82A)보다도 작은 제2 기어(82B)(도 4 참조)를 갖고, 외면 커버(6V)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기어(82A)는 구동 기어(81)에 맞물리고, 제2 기어(82B)는 종동 기어(83)에 맞물린다. 외면 커버(6V)는 메커니즘 커버(6A)에 설치되어, 전환 수단(60)을 덮는다.
도 19는, 도 4의 W5 방향으로부터 본 리트랙터(1)의 측면도이며, 외면 커버(6V)를 제거한 메커니즘 커버 유닛(6)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는 메커니즘 커버(6A)[클러치 수용부(6B)] 내에 수용된 로킹 클러치(30)의 래칫 휠(36)도 나타내고 있다. 래칫 휠(36)은 클러치 수용부(6B)의 개구(6M)에 있어서 노출된다. 또한, 도 19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이동한 작동 부재(61)의 일부와 배치 부재(62)의 일부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이 회전하면, 구동 기어(81)가 캡(17)과 일체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81)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82A)가 회전하고, 중간 기어(82)가 구동 기어(81)의 회전 속도보다도 늦은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중간 기어(82)의 제2 기어(82B)의 회전에 의해, 종동 기어(83)가 중간 기어(82)의 회전 속도보다도 늦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이동 부재(70)가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감속 기구(80)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을 감속해서 이동 부재(70)에 전달하고, 이동 부재(70)를 권취 드럼(10)의 회전 속도보다도 늦은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여기에서는, 웨빙(2)의 전체가 인출되는 동안에, 이동 부재(70)가 360°이하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또한, 이동 부재(70)는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회전축(6K)의 축 방향으로 겹치도록 1개의 회전축(6K)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동해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다. 그 상태에서, 작동 부재(61)가 이동 부재(70)에 대하여 래칫 휠(36)측에 배치되고, 배치 부재(62)가 이동 부재(70)의 내측 볼록부(72)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동 부재(70)는 회전에 의해 배치 부재(62)를 이동하는 캠 부재이며, 또한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이다.
배치 부재(62)는 이동 부재(70)에 종동하는 캠 종동절이며, 또한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레버이다.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연동하는 연동 부재이며, 또한 로크 기구(9)의 작동과 비작동을 전환하는 작동 스위치(전환 스위치)이다. 로크 기구(9)는 작동 부재(61)에 의해 작동하여,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을 멈추고,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을 허용한다. 여기에서는, 작동 부재(61)는 메커니즘 커버(6A) 내에서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이며, 톱니(35)에의 맞물림에 의해, 래칫 휠(36)의 인출 방향(P)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로크 기구(9)는 작동 부재(61)와 톱니(35)의 맞물림에 의한 래칫 휠(36)의 인출 방향(P)의 회전 정지에 수반하여 작동한다. 따라서, 작동 부재(61)를 구비한 전환 수단(60)은 래칫 휠 정지 수단이기도 하다.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회전축(6K)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리트랙터(1)는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를 회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회전 수단(65)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 수단(65)은 1개의 회전축(6K)을 갖는다. 배치 부재(62)는 회전 수단(65)에 의해, 작동 부재(61)와 함께 회전에 의해 이동(도 19의 화살표 H)한다. 또한, 배치 부재(62)의 이동(회전)에 연동하여, 작동 부재(61)는 로크 기구(9)를 작동하지 않는 비작동 위치 E1(도 19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로크 기구(9)를 작동하는 작동 위치 E2(도 19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회전)한다.
작동 부재(61)의 비작동 위치 E1는, 작동 부재(61)가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리지 않는 위치(비맞물림 위치)이다. 또한, 작동 부재(61)의 작동 위치 E2는 작동 부재(61)가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리는 위치(맞물림 위치)이다.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는 비작동 위치 E1(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 E2(맞물림 위치)로 이동해서 로크 기구(9)를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부재(62)의 이동에 수반하여, 작동 부재(61)는 래칫 휠(36)에 근접하거나, 또는 래칫 휠(36)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50)의 로크 갈고리(54)와 마찬가지로, 작동 부재(61)는 개구(6M)에 있어서, 클러치 수용부(6B) 내의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래칫 휠(36)의 회전이 정지되고, 로크 기구(9)가 작동한다.
제2 가압 수단(64)은 작동 부재(61)를 작동 위치 E2를 향해 항상 가압한다. 작동 부재(61)는 래칫 휠(36)에 접촉했을 때에, 제2 가압 수단(64)에 의해 래칫 휠(36)에 가압된다. 이에 반해, 배치 부재(62)는 제1 가압 수단(63)에 의해,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 E1로 이동하는 방향[작동 부재(61)를 래칫 휠(3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여기서는,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도 19에서는, 작동 부재(61)는 제2 가압 수단(6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고, 배치 부재(62)는 제1 가압 수단(6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력과 제2 가압 수단(64)의 가압력이 균형이 잡힌 상태(도 1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배치 부재(62)는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 볼록부(72) 근방의 제1 위치 F1(도 19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배치 부재(62)의 제1 위치 F1은,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 E1에 배치되는 위치이며,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의해 비작동 위치 E1에 배치된다. 그 상태로부터, 배치 부재(62)는 작동 부재(61)를 작동 위치 E2로 이동하는 방향[작동 부재(61)를 래칫 휠(36)에 접근시키는 방향][여기서는,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1 위치 F1의 외측의 제2 위치 F2(도 19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위치 F2는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 E2에 배치되는 위치이며,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위치 E2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 부재(62)는 회전 수단(65)의 회전에 의해, 제1 위치 F1과 제2 위치 F2에 배치된다. 동시에, 배치 부재(62)는 작동 부재(61)와 함께 이동하여,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 E1과 작동 위치 E2에 배치한다. 또한, 제1 가압 수단(63)은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 F1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 F2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이 제2 가압 수단(64)의 가압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배치 부재(62)가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제1 위치 F1로 이동하고,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 E1로 이동한다.
도 20은,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Y2부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부재(62)는 회전축(6K)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설치부(62A)와, 설치부(62A)로부터 돌출된 아암부(62B)와, 아암부(62B)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접촉부(62C)를 갖는다. 접촉부(62C)가 이동 부재(70)에 접촉해서 이동함으로써, 아암부(62B)가 설치부(62A)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배치 부재(62)가 이동한다.
작동 부재(61)는 회전축(6K)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설치부(61A)와, 설치부(61A)로부터 돌출된 아암부(61B)와, 아암부(61B)의 선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파울(61C)을 갖는다. 맞물림 파울(61C)은 작동 부재(61)에 형성된 맞물림부(맞물림 갈고리)이며, 작동 부재(61)와 일체로 이동한다. 설치부(61A)를 중심으로 아암부(61B)가 회전함으로써, 작동 부재(61)가 이동하고, 맞물림 파울(61C)이 래칫 휠(36)의 톱니(35)에 맞물린다.
맞물림 파울(61C)과 래칫 휠(36)의 톱니(35)는, 래칫 휠(36)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할 때만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파울(61C)은 로크 기구(9)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로크 기구(9)는 래칫 휠(36)과 맞물림 파울(61C)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부재(61)는 작동 위치 E2로의 이동에 의해 맞물림 파울(61C)을 톱니(35)에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하고, 비작동 위치 E1로의 이동에 의해 맞물림 파울(61C)을 톱니(35)에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로크 기구(9)는 톱니(35)와 맞물림 파울(61C)의 맞물림에 수반하여 작동한다. 래칫 휠(36)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할 때에는, 맞물림 파울(61C)은 톱니(35)의 외면을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톱니(35)의 선단부에 있어서 톱니(35)를 타고 넘는다.
작동 부재(61)의 설치부(61A)와 배치 부재(62)의 설치부(62A)를 회전축(6K)에 설치했을 때에, 설치부(61A, 62A)의 원호부(61D, 62D)가 조합된다. 그때, 제2 가압 수단(64)의 가압(도 21의 화살표 G)에 의해, 원호부(61D, 62D)의 일단부가 접촉함과 함께, 원호부(61D, 62D)의 타단부 사이에 간극(66)이 형성된다. 배치 부재(62)[도 21에서는, 원호부(62D)의 단면만 나타냄]가 제1 위치 F1로 이동할 때에는, 작동 부재(61)는 배치 부재(62)에 의해 압박하여 회전하고, 간극(66)을 유지하면서 비작동 위치 E1로 이동한다. 또한,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 F2로 이동할 때에는, 배치 부재(62)의 이동에 수반하여, 작동 부재(61)가 제2 가압 수단(64)의 가압에 의해, 간극(66)을 유지하면서 작동 위치 E2까지 이동한다.
작동 부재(61)의 맞물림 파울(61C)은,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는 래칫 휠(36)의 톱니(35)에만 맞물린다. 그 상태에서, 래칫 휠(36)이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파울(61C)이 톱니(35)에 의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 부재(61)가 간극(66)을 좁게 하면서 톱니(35)를 따라 변위하여, 복수의 톱니(35)를 순서대로 타고 넘는다.
따라서, 리트랙터(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작동 부재(61)의 변위 기구(67)를 구비한다.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 F2로 유지된 상태에서, 변위 기구(67)에 의해, 작동 부재(61)의 맞물림 파울(61C)은 권취 드럼(10)과 함께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는 래칫 휠(36)의 톱니(35)를 따라 변위한다. 이에 의해, 래칫 휠(36)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중에, 맞물림 파울(61C)이 복수의 톱니(35)에 맞물림 가능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래칫 휠(36)이 인출 방향(P)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파울(61C)이 다시 톱니(35)에 맞물린다.
배치 부재(62)(도 19 참조)는 작동 부재(61)와 함께 이동하여,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 E1과 작동 위치 E2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래칫 휠(36)의 회전 가능 방향을 제어함과 함께,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한다.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 E1로 이동하면, 래칫 휠(36)이 권취 방향(M) 및 인출 방향(P)으로 회전 가능해져, 리트랙터(1)의 상태가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배치 부재(62)에 의해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 E2로 이동하면, 래칫 휠(36)이 권취 방향(M)으로만 회전 가능해져, 리트랙터(1)의 상태가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이동 부재(70)에 의해, 배치 부재(62)는 제1 위치 F1과 제2 위치 F2에 배치되고, 작동 부재(61)를 비작동 위치 E1과 작동 위치 E2에 배치한다. 이동 부재(70)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하고,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 F1과 제2 위치 F2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동 부재(70)는 내측 볼록부(72)와, 내측 볼록부(72)를 둘러싸는 외측 볼록부(73)와,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 F1로 유지하는 제1 유지부(74)와, 변경부(75)와, 배치 부재(62)를 이동하는 이동부(76)와, 배치 부재(62)를 제2 위치 F2로 유지하는 제2 유지부(77)와, 해방부(78)를 갖는다.
내측 볼록부(72)는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링 형상 볼록부이다. 외측 볼록부(73)는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링 형상 볼록부이며, 이동 부재(70)의 한쪽 면에서 내측 볼록부(7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볼록부(72)의 중심과 외측 볼록부(73)의 중심은 이동 부재(70)의 회전 중심에 일치하고, 외측 볼록부(73)는 내측 볼록부(72)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지부(74)는 내측 볼록부(72)가 외측 볼록부(73)[제2 유지부(77)] 사이의 링 형상 경로로 이루어진다. 제1 유지부(74)에 있어서, 배치 부재(62)[접촉부(62C)]는 내측 볼록부(72)에 접촉하지 않고 내측 볼록부(72)의 근방에 배치되고, 내측 볼록부(72)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이동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는 배치 부재(62)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리트랙터(1)를 도 19와 마찬가지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C는, 도 22B의 X3-X3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리트랙터(1)의 단면도이며, 도 23B는, 도 23A의 X4-X4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리트랙터(1)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웨빙(2)의 인출 또는 권취에 의해 권취 드럼(10)이 인출 방향(P) 또는 권취 방향(M)으로 회전하면, 감속 기구(80)에 의해, 이동 부재(70)가 권취 드럼(1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동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이동 부재(70)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함께, 이동 부재(70)의 각 부(74 내지 77)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완전히 권취했을 때에는,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제1 유지부(74)에 배치된다(도 22A 참조). 이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제1 위치 F1로 유지되고,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 E1로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웨빙(2)의 인출에 의해 이동 부재(70)가 회전하면, 배치 부재(62)[접촉부(62C)]가 제1 유지부(74)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웨빙(2)의 인출과 권취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제1 유지부(74)에 있어서, 이동 부재(70)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 길이(소정의 인출 길이) 인출될 때까지, 접촉부(62C)가 제1 유지부(74)에 배치되어, 배치 부재(62)가 제1 유지부(74)에 의해 제1 위치 F1로 유지된다. 그 결과, 리트랙터(1)의 상태가 긴급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 길이 인출될 때에(도 22B, 도 22C 참조), 배치 부재(62)가 변경부(75)를 따라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변경부(75)에 의해, 배치 부재(62)의 위치가 제1 유지부(74)로부터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 변경된다.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는, 배치 부재(62)가 이동부(76)에 의해 이동 가능해지는 위치이다. 배치 부재(62)는 이동 위치까지 이동한 후, 이동부(76)에 의해 이동한다. 여기에서는, 변경부(75)는 제1 유지부(74)로부터 이동부(76)의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이며, 제1 유지부(74)의 종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웨빙(2)의 인출에 의한 이동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가 변경부(75)에 접촉하고, 이동부(76)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탄성 변형하여, 변경부(75)를 따라 이동 부재(7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계속해서(도 23A, 도 23B 참조), 배치 부재(62)가 이동부(76)를 타고 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접촉부(62C)가 이동부(76)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에, 변경부(75)에 의해, 배치 부재(62)의 위치가 제1 유지부(74)로부터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 변경된다. 따라서, 웨빙(2)이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배치 부재(62)는 제1 유지부(74)에 의해 제1 위치 F1로 유지된다.
소정 길이 인출된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권취할 때에, 이동 부재(70)의 이동부(76)가 이동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 F1로부터 제2 위치 F2로 이동시킨다(도 23C 참조). 이동부(76)는 제2 유지부(77)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내측 볼록부(72)로부터 외측 볼록부(73)[제2 유지부(77)]까지 형성되어 있다. 웨빙(2)의 권취에 의한 이동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이동부(76)에 접촉하고, 이동부(76)를 따라 점차로 이동하여, 이동부(76)에 의해 제1 위치 F1로부터 제2 위치 F2로 유도된다. 따라서, 이동부(76)는 배치 부재(62)를 제1 위치 F1로부터 제2 위치 F2로 유도하는 유도부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이동부(76)는 이동 부재(7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이동부(76)에 의한 이동 위치로부터 제2 유지부(77)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제2 유지부(77)의 전단부로 이어진다. 또한,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웨빙(2)을 권취 드럼(10)에 권취할 때에, 배치 부재(62)가 이동부(76)에 의해 이동한다. 그때,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가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이동부(76)에 가압된 상태에서, 이동부(76)에 의해 유도되어서, 제2 유지부(77)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1 위치 F1로부터 제2 위치 F2로 이동한다(도 24A 참조). 동시에, 작동 부재(61)가 비작동 위치 E1로부터 작동 위치 E2로 이동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가 긴급 로크 상태로부터 자동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제2 유지부(77)는 제1 유지부(74)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로 이루어지고, 제1 유지부(74)의 일부를 둘러싼다. 소정 길이 인출된 웨빙(2)의 권취 드럼(10)에의 권취 중에, 배치 부재(62)는 제2 유지부(77)에 접촉하여, 제2 유지부(77)에 의해 제2 위치 F2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제2 유지부(77)는 외측 볼록부(73)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호 형상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이동 부재(7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76)와 제2 유지부(77)가 이어지는 개소에서는, 외측 볼록부(73)가 부분적이지 않으므로,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이동부(76)로부터 제2 유지부(77)까지 원활하게 이동한다. 또한, 접촉부(62C)는 제2 유지부(77)에 접촉하고,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제2 유지부(77)에 가압된다. 접촉부(62C)가 제2 유지부(77)에 의해 가압되는 것으로, 배치 부재(62)가 제2 유지부(77)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완전히 인출된 웨빙(2)의 권취 중에,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 F2로 유지된다.
배치 부재(62)가 제2 위치 F2로 유지됨으로써,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 E2로 유지된다. 그 결과, 리트랙터(1)의 상태가 자동 로크 상태로 유지되고, 로크 기구(9)에 의해,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만이 정지된다. 웨빙(2)의 권취에 의한 이동 부재(7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접촉부(62C)]는 제2 유지부(77)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함과 함께,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 및 이동 부재(70)의 해방부(78)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24B 참조). 제2 유지부(77)에 의해, 배치 부재(62)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 길이(소정의 권취 길이) 권취될 때까지 제2 위치 F2로 유지된다. 또한,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 길이 권취되었을 때에, 배치 부재(62)는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로부터 제거되고, 해방부(78)에 의해 제1 유지부(74)를 향해 해방된다. 배치 부재(62)는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완전히 권취되기 전에, 종단부(79)로부터 제거된다.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에서는, 외측 볼록부(73)가 부분적이지 않으므로,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는 종단부(79)에 달한 후,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거된다. 이에 의해, 접촉부(62C)가 제2 유지부(77)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서, 배치 부재(62)가 제2 유지부(77)로부터 해방된다. 이동 부재(70)의 해방부(78)는, 종단부(79)에 이어지는 부분이며,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1 유지부(74)까지 형성된 해방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해방부(78)에 있어서, 배치 부재(62)는 이동 부재(70)에 접촉하지 않고, 이동 부재(7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1 유지부(74)까지 이동한다.
웨빙(2)이 권취 드럼(10)에 소정 길이 권취되어서, 배치 부재(62)가 제2 유지부(77)의 종단부(79)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 해방부(78)는 배치 부재(62)를 제2 유지부(77)로부터 제1 유지부(74)를 향해 해방한다(도 19 참조). 이 해방에 수반하여, 배치 부재(62)는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에 의해, 제2 유지부(77)(제2 위치 F2)로부터 제1 유지부(74)(제1 위치 F1)로 즉시 이동한다. 동시에, 작동 부재(61)가 작동 위치 E2로부터 비작동 위치 E1로 이동하여, 리트랙터(1)의 상태가 자동 로크 상태로부터 긴급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그 후, 웨빙(2)은 권취 드럼(10)에 권취되거나, 또는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리트랙터(1)에서는(도 15 참조), 결합부(44)에 의해, 규제 부재(56)가 압박부(57)에 의해 로크 아암(40)을 압박한 규제 상태로 유지된다. 그로 인해, 웨빙(2)을 권취했을 때에, 리트랙터(1)에 엔드 로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56)의 설치부(58)와 중심 지지부(6H)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규제 부재(56)를 규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1개의 규제 부재(56)에 의해 엔드 로크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리트랙터(1)의 부품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규제 부재(56)는 압박부(57)에 의해 결합부(44)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으로의 변위를 규제한다. 이에 의해, 결합부(44)를 압박부(57)에 결합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로크 아암(40)의 변위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4)가 압박부(57)에 걸리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므로,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결합과 결합의 해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결합부(44)가 압박부(57)를 구속해서 압박부(57)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로크 아암(40)의 로크 작동 방향(L)의 변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4)가 압박부(57)에 가압되어, 압박부(57)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의 힘을 압박부(57)에 가하기 때문에, 압박부(57)가 결합부(44)에 압박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규제 부재(56)의 설치부(58)와 중심 지지부(6H)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로크 아암(4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규제 부재(56)를 규제 상태로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규제 부재(56)의 회전 중심 N1을 로크 아암(40)의 회전 중심 N2와 다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결합부(44)와 압박부(57)의 결합에 수반하는 규제 부재(56)의 회전(이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결합부(44)의 변위 방향(S2)을 압박부(57)의 회전 방향(S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때에는, 결합부(44)의 변위 방향(S2)의 힘에 의해 규제 부재(56)가 회전하지 않고, 결합부(44)에 의해 규제 부재(56)를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들에 의해, 규제 부재(56)를 규제 상태로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압박부(57)가 로크 아암(40)의 결합부(4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접촉하므로, 통상의 권취 드럼(10)의 권취 방향(M)의 회전 시에, 결합부(44)가 압박부(57)에 결합되는 일이 없다. 또한, 권취 드럼(10)의 인출 방향(P)의 회전 시에는, 압박부(57)가 로크 아암(40)으로부터 확실하면서도 또한 원활하게 이격된다. 그 결과, 규제 부재(56)가 웨빙(2)의 인출 및 권취를 방해하지 않고, 또한 로크 아암(40)의 정상적인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한, 리트랙터(1)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60)(도 19 참조)에 관해서, 배치 부재(62)가 제1 위치 F1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1 가압 수단(63)의 가압력이 제2 가압 수단(64)의 가압력보다도 커지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배치 부재(62)의 접촉부(62C)가 제1 유지부(74)에 있어서 내측 볼록부(72)에 접촉하고, 내측 볼록부(72)에 의해 압박된다. 또한, 배치 부재(62)가 변경부(75)를 따라 상대적으로 변위할 때에, 배치 부재(62)가 탄성 변형하지 않고, 이동 부재(70)가 탄성 변형하도록 해도 좋다.
작동 부재(61)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작동 부재(61)는 작동 위치 E2로 이동했을 때에, 래칫 휠(36)의 톱니(35)에 압박되어 탄성 변형한다. 그때, 작동 부재(61)는 탄성력에 의해 작동 위치 E2를 향해 가압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61) 자체가 가압 수단이 되므로, 제2 가압 수단(64)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삭감된다. 또한,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수를 삭감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작동 부재(61)는 탄성 변형함으로써, 작동 위치 E2를 향해 가압된다.
권취 드럼(10)으로부터 웨빙(2)이 소정 길이 인출될 때까지, 이동 부재(70)의 제1 유지부(74)에 의해, 배치 부재(62)가 제1 위치 F1로 유지된다. 이 웨빙(2)의 소정 길이는, 임의의 길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소정 길이는 웨빙(2)의 전체 길이라도 좋고, 전체 길이 보다도 짧은 길이라도 좋다.
감속 기구(80)는, 본 실시 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감속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파울(61C)을 작동 부재(61)에 형성하지 않고, 맞물림 파울(61C)을 작동 부재(61)와는 다른 부재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작동 부재(61)가 맞물림 파울(61C)을 비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위치로 이동한다.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는 다른 회전축에 설치하여,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작동 부재(61)와 배치 부재(62)의 배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1 : 리트랙터, 2 : 웨빙, 3 : 하우징 유닛, 4 : 권취 드럼 유닛, 4A : 가동 파울, 4B : 결합 갈고리, 4C : 연동 핀, 5 : 권취 스프링 유닛, 6 : 메커니즘 커버 유닛, 6A : 메커니즘 커버, 6B : 클러치 수용부, 6C : 센서 수용부, 6D : 센서 커버, 6E : 개구, 6F : 링 형상 벽, 6G : 정지부, 6H : 중심 지지부, 6I : 삽입 구멍, 6J : 결합 톱니, 6K : 회전축, 6L : 링 형상 지지부, 6M : 개구, 6V : 외면 커버, 7 : 빠짐 방지 핀, 8 : 클러치 유닛, 9 : 로크 기구, 10 : 권취 드럼, 11 : 삽입부, 12 : 제1 샤프트, 13 : 제2 샤프트, 14 : 파울 수용부, 15 : 오목부, 16 : 돌기, 17 : 캡, 18 : 해제 수단, 19 : 전달 기구, 20 : 하우징, 21 : 배판부, 22 : 제1 측벽부, 23 : 제2 측벽부, 24 : 고정판, 25 : 제1 개구부, 26 : 로크 톱니, 27 : 제2 개구부, 30 : 로킹 클러치, 31 : 중심 구멍, 32 : 스프링 홀더, 33 : 유도 홈, 34 : 관통 홈, 35 : 톱니, 36 : 래칫 휠, 37 : 아암 지지부, 38 : 지지 핀, 39A, 39B, 39C : 스토퍼, 40 : 로크 아암, 41, 42 : 단부, 43 : 관통 구멍, 44 : 결합부, 45 : 미끄럼 이동부, 46 : 결합면, 47 : 오목부, 50 : 가속도 센서, 51 : 센서 홀더, 52 : 관성 질량체, 53 : 센서 레버, 54 : 로크 갈고리, 56 : 규제 부재, 57 : 압박부, 58 : 설치부, 59 : 접촉부, 60 : 전환 수단, 61 : 작동 부재, 62 : 배치 부재, 63 : 제1 가압 수단, 64 : 제2 가압 수단, 65 : 회전 수단, 66 : 간극, 67 : 변위 기구, 70 : 이동 부재, 71 : 중심 구멍, 72 : 내측 볼록부, 73 : 외측 볼록부, 74 : 제1 유지부, 75 : 변경부, 76 : 이동부, 77 : 제2 유지부, 78 : 해방부, 79 : 종단부, 80 : 감속 기구, 81 : 구동 기어, 82 : 중간 기어, 83 : 종동 기어, L : 로크 작동 방향, M : 권취 방향, P : 인출 방향

Claims (9)

  1. [보정 후]
    웨빙을 권취하는 권취 드럼과,
    한 쌍의 측벽부 사이에, 권취 드럼을 웨빙의 권취 방향과 인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과,
    권취 드럼과 함께 회전하고, 또한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가속도에 따라서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변위 부재와,
    변위 부재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여,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파울과,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의 회전 정지의 관성력에 의한 변위 부재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이며,
    규제 부재가 권취 드럼의 인출 방향의 회전 시에 변위 부재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의 회전 시에 변위 부재에 접촉해서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하는 변위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부를 갖고,
    변위 부재가 규제 부재의 압박부에 결합하고, 규제 부재를 압박부에 의해 변위 부재를 압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고,
    변위 부재의 결합부가 규제 부재의 압박부에 가압되어, 압박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의 힘을 압박부에 가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2. [삭제]
  3. [삭제]
  4. [보정 후]
    제1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의 압박부가 권취 드럼의 권취 방향의 회전 시에, 변위 부재의 결합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접촉하고,
    변위 부재의 결합부가 변위 부재의 로크 작동 방향으로의 변위가 개시되었을 때에, 압박부에 접촉해서 결합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5. [삭제]
  6. [보정 후]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변위 부재의 결합부가 규제 부재의 압박부에 걸리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7. [보정 후]
    제1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회전에 의해 변위 부재를 로크 작동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부재용 지지부와,
    규제 부재의 회전 중심을 변위 부재의 회전 중심과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 규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규제 부재용 지지부를 구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8. 제7항에 있어서, 변위 부재의 결합부의 회전에 의한 변위 방향이, 규제 부재의 압박부의 회전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9. [보정 후]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설치되어, 규제 부재용 지지부를 갖는 메커니즘 커버를 구비하고,
    규제 부재가 규제 부재용 지지부에 설치되어서 규제 부재용 지지부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설치부를 갖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0157024590A 2013-02-12 2014-02-10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149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4967 2013-02-12
JP2013024967A JP6138507B2 (ja) 2013-02-12 2013-02-12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CT/JP2014/053081 WO2014126060A1 (ja) 2013-02-12 2014-02-10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071A true KR20150119071A (ko) 2015-10-23
KR102149719B1 KR102149719B1 (ko) 2020-08-31

Family

ID=5135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590A KR102149719B1 (ko) 2013-02-12 2014-02-10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38507B2 (ko)
KR (1) KR102149719B1 (ko)
WO (1) WO2014126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8556B2 (ja) * 2015-02-12 2017-11-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438425B2 (ja) * 2016-03-28 2018-12-1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0696A (ja) * 2007-05-25 2008-12-04 Delphi Korea Corp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ロッキング防止装置
JP2009202809A (ja) * 2008-02-29 2009-09-1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7395B2 (ja) * 2006-09-19 2012-04-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180005B2 (ja) * 2008-03-24 2013-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0696A (ja) * 2007-05-25 2008-12-04 Delphi Korea Corp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ロッキング防止装置
JP4758967B2 (ja) 2007-05-25 2011-08-3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イビイ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ロッキング防止装置
JP2009202809A (ja) * 2008-02-29 2009-09-1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060A1 (ja) 2014-08-21
JP2014151842A (ja) 2014-08-25
KR102149719B1 (ko) 2020-08-31
JP6138507B2 (ja)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593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250427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468567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91739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312639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579738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489825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201515090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0821353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714617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9199605B2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119071A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20140142720A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6113562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H0572612U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748712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467634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40358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33203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7197074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303268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747239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66146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H061497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85878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