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474A -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474A
KR20150117474A KR1020140042965A KR20140042965A KR20150117474A KR 20150117474 A KR20150117474 A KR 20150117474A KR 1020140042965 A KR1020140042965 A KR 1020140042965A KR 20140042965 A KR20140042965 A KR 20140042965A KR 20150117474 A KR20150117474 A KR 20150117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erminal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connection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444B1 (ko
Inventor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오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환 filed Critical 오석환
Priority to KR102014004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4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2Clamping area to one side of screw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는,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전개되며,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 CONNECTION MEMBER OF ELECTRICAL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단자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베이스패널에 주배선차단기와 보조배선차단기 및 누전차단기등의 각종 차단기가 설치되고 그 차단기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이며, 건물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분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스바(bus-bar)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버스바는 상호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전송 및 분배한다.
특히, 2개의 버스바가 상호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경우, 버스바의 가공과정 중에 접촉면이 고르지 못하여 요철 등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이 형성된 접촉면을 상호 면접시키게 되면, 완전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면적이 작아지면서 접촉저항이 높아져 전기의 전도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과열 등이 발생하는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버스바 뿐만 아니라 전선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전기단자 상호간의 연결구조에서도 공극 등에 의해 접촉면적이 작아져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76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797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버스바, 전선 등의 전기단자의 접촉면에 요철, 공극 등이 형성된 경우에도 2개의 전기단자가 면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기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과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는,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전개되며,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는 막대 형상의 제1버스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막대 형상의 제2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에 타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에 타면에 면접촉하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 판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에 의해 압축되면서 측방향으로 확장된다.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볼트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 그 직경이 작아지되,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비노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접속부의 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면적(S2)보다 작아,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도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부로 비노출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1단자는 기둥형상의 제1버스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기둥형상의 제2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제2버스바의 외주면에 클램프가 접하여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결합하되,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 곡면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클램프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면서 측방향으로 확장된다.
상기 접속부의 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의 결합면적(S3)보다 작아, 상기 클램프에 의한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클램프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도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상기 클램프의 외부로 비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압축된 상기 접속부의 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의 측면과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부재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에 접착되는 접착성을 갖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1단자는 다수개의 소선(素線)으로 구성된 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피복이 박리된 상기 소선을 감싸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소선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압착에 의해 확장 전개되면서 상기 소선과 커넥터에 면접촉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의 가공방법은, 전도성, 연성 및 전성을 갖고, 압축되면서 접착성을 갖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가압장치의 접촉면에는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미부착되는 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코팅층이 상기 연결접속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가압되면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인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층은 테프론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버스바의 접촉면에 요철 등이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연결접속부재에 의해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와 면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기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과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압시 전개되어 확장되는 연결접속부재가 버스바 또는 클램프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된 연결접속부재를 제거해야하는 후가공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연결접속부재에 엠보싱부가 형성됨으로써, 버스바의 접촉면에 형성된 요철부위에 엠보싱부가 삽입되어, 연결접속부재와 버스바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전기단자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과정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과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연결접속부재는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전개되며,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에 면접촉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자는 막대 형상의 제1버스바(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막대 형상의 제2버스바(2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30)는, 막대형상의 제1버스바(10)와 막대형상의 제2버스바(20)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막대형상을 갖는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과 막대형상을 갖는 상기 제2버스바(20)의 타면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용이하게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확장되도록 하기 위해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31)의 면적(S1)이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면적(S2)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후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접착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기 연결접속부재(30)로는, 예를 들어 인듐, 무연납 등을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31)와, 관통공(32)과, 엠보싱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31)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20)의 타면에 면접촉한다.
상기 관통공(32)은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에 형성된 볼트구멍(11,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부(31)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32)의 직경은 상기 볼트구멍(11,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엠보싱부(33)는 상기 접속부(31)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엠보싱부(33)는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압출될 때, 눌려 거의 없어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엠보싱부(33)가 없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20)의 타면 사이에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1버스바(10)와 상기 제2버스바(20)에는 사전에 가공을 통해 상기 볼트구멍(11,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접속부재(30)에는 사전에 가공을 통해 상기 관통공(32)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접속부(31)의 일면 및 타면에는 상기 엠보싱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부(33)가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20)의 타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접속부재(3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2)의 직경은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에 형성된 볼트구멍(11,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31)의 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면적(S2)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가압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가 가압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 사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접속부(31)는 연성과 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압축되면서 상기 접속부(31)의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확장되면서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에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31)는 확장되어도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후가공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32)의 직경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31)가 확장됨에 따라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데, 상기 관통공(32)의 직경이 상기 볼트구멍(11,2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32)의 직경이 작아지더라도 상기 접속부(31)가 확장되어 상기 볼트구멍(11,21)을 통해 외부로 비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 또는 제2버스바(20)의 타면에 요철 등이 있더라도 상기 연결접속부(31)가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가 가압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접속부(31)는 압축되면서 확장되어 상기 요철 부위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접속부(31)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접속부(31)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엠보싱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결합할 때,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 또는 제2버스바(20)의 타면에 요철 등이 있더라도 상기 엠보싱부(33)가 그 요철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접속부(31)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에 보다 잘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31)의 측면을 따라 밀폐부재(40)를 배치하여, 상기 접속부(31)의 측면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밀폐부재(40)에 의해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40)는 상기 접속부(31)의 측면에 피막층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 사이를 따라 솔더링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접속부재(30)에 관통공(32)이 형성된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작은 크기의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다수개 준비하고 이러한 연결접속부재(30)를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 사이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접속부재(30)에 의해,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 또는 상기 제2버스바(20)의 타면에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연선 및 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형되면서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하여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접촉저항을 줄여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된다.
도 5(a)는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프레스(71)로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압연롤러(72)를 이용하여 압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압축되면서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의 프레스(71) 또는 압연롤러(72) 등의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가압할 경우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가압장치에 달라붙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접속부재(30)와 접촉되는 상기 가압장치의 접촉면에는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미부착되는 재질의 코팅층(73)이 형성된다.
즉 도 5(a)에서는 상기 프레스(71)의 하면에 상기 코팅층(73)이 형성되고, 도 5(b)에서는 상기 압연롤러(72)의 외주면에 상기 코팅층(73)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상기 코팅층(7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코팅층(73)이 상기 연결접속부재(30)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가압장치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73)은 테프론코팅층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납작하게 전개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롤링할 경우 그 사이에 크레프트지(미도시) 등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호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상기 버스바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롤링된 상기 연결접속부재(30)와 크레프트지를 함께 절단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의 하면이 상기 제1버스바(10)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연결접속부재(30)의 상면에 놓인 상기 크레프트지의 위에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압착되면서 접착성을 발생시켜 상기 제1버스바(10)의 상면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크레프트지를 제거하고, 상기 연결접속부재(30)의 상면에 상기 제2버스바(20)를 올려놓고,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가압하여 결합한다.
그 이후의 과정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버스바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과정도이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자는 기둥형상의 제1버스바(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기둥형상의 제2버스바(20)로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30)는, 기둥형상의 제1버스바(10)와 기둥형상의 제2버스바(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는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5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버스바(10)의 외주면과 상기 제2버스바(20)의 외주면에 상기 클램프(50)가 접하여,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클램프(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가 상호 접하여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5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전도성,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5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31)의 면적(S1)이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50)의 결합면적(S3)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클램프(5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클램프(50)의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후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접착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클램프(50)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버스바(10)의 외주면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31)와 엠보싱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31)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50)의 내주면에 면접촉한다.
이러한 상기 접속부(31)는 상기 클램프(50)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면서 측방향으로 확장된다.
상기 엠보싱부(33)는 상기 접속부(31)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엠보싱부(33)의 기능 및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제1버스바(10)의 외주면과 상기 제2버스바(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외주면을 감싸도록 절곡시킬 수도 있고, 곡면 형상으로 절곡된 상기 연결접속부재(30)에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그 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접속부재(30)의 외주면을 상기 클램프(50)가 감싸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접속부재(30)의 면적 즉 상기 접속부(31)의 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50)의 결합면적(S3)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31)의 일면 및 타면에는 상기 엠보싱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부(33)가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5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50)를 강하게 체결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50)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가압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31)는 연성과 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압축되면서 상기 접속부(31)의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확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31)는 확장되어도 상기 클램프(5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후가공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31)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엠보싱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에 요철 등이 있더라도 상기 엠보싱부(33)가 그 요철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접속부(31)가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에 보다 잘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31)의 측면을 따라 밀폐부재(40)를 배치하여, 상기 접속부(31)의 측면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부재(40)는 상기 접속부(31)의 측면에 피막층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버스바(10) 및 제2버스바(20)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50) 사이를 따라 솔더링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접속부재(30)에 의해, 상기 제1버스바(10)의 일면 또는 상기 제2버스바(20)의 타면에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에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하여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20)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전기단자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과정도이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자는 다수개의 소선(素線,61)으로 구성된 전선(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피복이 박리된 상기 소선(61)을 감싸는 커넥터(65)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30)는, 상기 전선(60)의 소선(61)과 상기 커넥터(6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피복이 박리된 상기 소선(61)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터(65)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65)의 압착에 의해 확장 전개되면서 상기 소선(61)과 커넥터(65)에 면접촉하여 상기 전선(60)과 커넥터(65)의 전기적 접촉면적을 증대시킨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복이 박리된 다수개의 상기 소선(61)을 준비하고,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소선(61)을 감싸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전개되면서 다수개의 상기 소선(61) 상호간의 간극에 메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접속부재(30)를 크레프트지 등이 감싸도록 하여,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가압되면서 접착성을 발생시켜 상기 소선(61)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그 후에는 상기 크레프트지를 제거한다.
위와 같이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상기 소선(61)을 감싸면서 결합하게 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접속부재(30)가 결합된 상기 소선(61)을 상기 커넥터(65)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 후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65)를 압착시키게 되면, 상기 커넥터(65)와 소선(61)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상기 연결접속부재(30)는 더욱 전개되면서 상기 소선(61)과 상기 커넥터(65)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접속부재(30)의 접착성에 의해 상기 전선(60)과 상기 커넥터(65)를 더욱 강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버스바, 11 : 볼트구멍,
20 : 제2버스바, 21 : 볼트구멍,
30 : 연결접속부재, 31 : 접속부, 32 : 관통공, 33 : 엠보싱부,
40 : 밀폐부재,
50 : 클램프,
60 : 전선, 61 : 소선, 65 : 커넥터,
71 : 프레스, 72 : 압연롤러, 73 : 코팅층,

Claims (14)

  1.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연성 및 전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전개되며,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막대 형상의 제1버스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막대 형상의 제2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에 타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면과 상기 제2버스바에 타면에 면접촉하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 판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에 의해 압축되면서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볼트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 그 직경이 작아지되,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비노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6.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면적(S2)보다 작아,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도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부로 비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기둥형상의 제1버스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기둥형상의 제2버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제2버스바의 외주면에 클램프가 접하여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결합하되,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 곡면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클램프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면서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연결접속부재.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의 외주면과 상기 클램프의 결합면적(S3)보다 작아,
    상기 클램프에 의한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결합시 상기 클램프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확장되어도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상기 클램프의 외부로 비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9. 청구항2 또는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엠보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10. 청구항2 또는 청구항7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접속부의 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의 측면과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결합시 압축되면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에 접착되는 접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1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다수개의 소선(素線)으로 구성된 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는 피복이 박리된 상기 소선을 감싸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상기 소선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압착에 의해 확장 전개되면서 상기 소선과 커넥터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13. 전도성, 연성 및 전성을 갖고, 압축되면서 접착성을 갖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가압장치의 접촉면에는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미부착되는 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코팅층이 상기 연결접속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가 가압되면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의 가공방법.
  14.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부재는 인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층은 테프론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의 가공방법.
KR1020140042965A 2014-04-10 2014-04-10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KR10158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965A KR101581444B1 (ko) 2014-04-10 2014-04-10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965A KR101581444B1 (ko) 2014-04-10 2014-04-10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74A true KR20150117474A (ko) 2015-10-20
KR101581444B1 KR101581444B1 (ko) 2015-12-31

Family

ID=5439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965A KR101581444B1 (ko) 2014-04-10 2014-04-10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4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9191A1 (it) * 2015-12-16 2017-06-16 Bticino Spa Dispositivo pr la giunzione di conduttori a barre.
EP3273557A1 (en) * 2016-07-21 2018-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cooling interface for electrical joints
CN109217225A (zh) * 2018-11-01 2019-01-15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110千伏支座式电缆终端头用的双回电缆终端杆
KR101966591B1 (ko) * 2018-06-22 2019-04-05 김강민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159B1 (ko) 2021-06-28 2023-07-27 오석환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버스바의 결합 구조체, 결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519A (ko) * 1998-12-29 2000-07-15 윤종용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접착제필름 부착장치
KR20040087631A (ko) 2003-04-07 2004-10-15 (주)제일피앤피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JP2005129326A (ja) * 2003-10-23 2005-05-19 Yazaki Corp 接続キャップを用いた電線接続方法
KR20100137979A (ko)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
JP2011159544A (ja) * 2010-02-02 2011-08-18 Nec Corp 給電構造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519A (ko) * 1998-12-29 2000-07-15 윤종용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접착제필름 부착장치
KR20040087631A (ko) 2003-04-07 2004-10-15 (주)제일피앤피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JP2005129326A (ja) * 2003-10-23 2005-05-19 Yazaki Corp 接続キャップを用いた電線接続方法
KR20100137979A (ko)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
JP2011159544A (ja) * 2010-02-02 2011-08-18 Nec Corp 給電構造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9191A1 (it) * 2015-12-16 2017-06-16 Bticino Spa Dispositivo pr la giunzione di conduttori a barre.
EP3273557A1 (en) * 2016-07-21 2018-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cooling interface for electrical joints
CN107645074A (zh) * 2016-07-21 2018-01-30 通用电气公司 用于电气接头的热冷却接口
US10153629B2 (en) 2016-07-21 2018-12-11 Abb Schweiz Ag Thermal cooling interface for electrical joints
CN107645074B (zh) * 2016-07-21 2021-08-03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电气接头的热冷却接口
KR101966591B1 (ko) * 2018-06-22 2019-04-05 김강민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레일
CN109217225A (zh) * 2018-11-01 2019-01-15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110千伏支座式电缆终端头用的双回电缆终端杆
CN109217225B (zh) * 2018-11-01 2023-12-01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110千伏支座式电缆终端头用的双回电缆终端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444B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444B1 (ko) 전기단자의 연결접속부재 및 그 가공방법
CN102089940A (zh) 具有端子接头的电线和制造具有端子接头的电线的方法
GB2472953A (en) Circuit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TE528796T1 (de) Elektrische verbindungsstruktur und verfahren zu ihrer bildung
BRPI0616016A8 (pt) dispositivo eletrônico interdigital
MX353784B (es) Método y aparato para plegar una terminal eléctrica con un alambre eléctrico.
JP2020013633A (ja)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22311A (ja) 電線接続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3338328A (ja) 溶接端子及びその溶接装置
JP2014211953A (ja) 電線の接続方法,接続装置
CA2449959A1 (en) Method for conductively connect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ductors
KR20150027821A (ko) 단자 부착 알루미늄 전선
JP2013149426A (ja) フラット回路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9437958B2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terminal connecting method
JP6220559B2 (ja) 電線の接続方法,接続装置
TW200719550A (en)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JP2017126520A (ja) 端子付電線および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
KR101975935B1 (ko) 다중 조인트 연결 장치
JP2019106316A (ja) 端子付電線
PT1518303E (pt) Método para a ligação electricamente condutiva de fios envernizados
JPH11354968A (ja) 電磁波シールドの接地構造
KR102490979B1 (ko) 고 전도성과 방열성을 갖는 부스바 및 이의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수배전반
JP6123739B2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端子付き電線および圧着治具
JPH0722149A (ja) 電線の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CN103891051B (zh) 多极电缆连接件以及多极电缆连接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