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435A - 상부구동형 착즙기 - Google Patents

상부구동형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435A
KR20150117435A KR1020140042889A KR20140042889A KR20150117435A KR 20150117435 A KR20150117435 A KR 20150117435A KR 1020140042889 A KR1020140042889 A KR 1020140042889A KR 20140042889 A KR20140042889 A KR 20140042889A KR 20150117435 A KR20150117435 A KR 2015011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drum
shaft
juice dru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630B1 (ko
Inventor
김영기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14004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630B1/ko
Priority to TW103218450U priority patent/TWM503171U/zh
Priority to TW103135952A priority patent/TWI581741B/zh
Priority to PCT/KR2015/002012 priority patent/WO2015156503A1/ko
Priority to EP15776897.9A priority patent/EP3130261A4/en
Priority to US15/302,970 priority patent/US20170027364A1/en
Priority to JP2016561796A priority patent/JP6385456B2/ja
Priority to CN201811250594.6A priority patent/CN109330340B/zh
Priority to CN201510128936.7A priority patent/CN104720550B/zh
Publication of KR2015011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630B1/ko
Priority to JP2018018416A priority patent/JP6535772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축의 장착 위치와 구동축의 승강구조를 개선한 상부 구동형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구동력 발생수단과 일측에 착즙드럼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착즙드럼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착즙드럼; 착즙드럼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그 중앙에는 연통공이 구비되는 뚜껑; 착즙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동력연결부가 형성된 스크류; 및 일단은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동력연결부와 연결되어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스크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부구동형 착즙기{JUICE SQUEEZING EXTRACTOR OF A UPPER POWERED TYPE}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즙기에서 구동축의 장착 위치와 구동축의 승강구조를 개선한 상부구동형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웰빙과 유기농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채소, 과일 또는 곡물 등으로부터 즙을 내어 마시는 것은 이미 일반화된 일상이 되어 가고 있다. 이에 가정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주서기에 대한 개발과 출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시판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주서기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개관하여 보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착즙드럼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모터 구동축이 착즙드럼 하면을 관통하고 스크류의 하면과 체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되어 있는 '착즙주스기'가 있다.
이러한 하부구동형 착즙기는 착즙드럼과 모터 구동축 사이 또는 스크류와 모터 구동축 사이로 즙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패킹이 노후되거나 손상되면, 하부로 강하게 압착되는 즙이 패킹 사이로 스며들어 착즙드럼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주서기 외관의 오염문제를 넘어서, 전원이 제공되는 모터로 즙이 유입될 경우 감전이나 합선에 의한 사고, 고장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더욱 문제되는 것이었다. 또한 착즙드럼의 하단면 구조는 중앙부에 모터 구동축이 위치하는 관계로 찌꺼기배출구의 위치, 구조 및 크기가 제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찌꺼기배출구를 형성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찌꺼기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착즙 효율을 떨어뜨리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본 발명은 착즙드럼 하면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다양하고 제한 없는 착즙드럼 하부의 구조설계가 가능해 짐에 따라 찌꺼기 배출이 원활하고 착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즙드럼이 본체에서 손쉽게 착탈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상부 구동형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착즙드럼 안착부와 착즙드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부 구동형 착즙기는, 구동력 발생수단과 일측에 착즙드럼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착즙드럼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착즙드럼; 착즙드럼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그 중앙에는 연통공이 구비되는 뚜껑; 착즙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동력연결부가 형성된 스크류; 및 일단은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동력연결부와 연결되어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스크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력전달모듈 일단은 구동력 발생수단의 회전축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어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동력전달모듈 타단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를 더 구비하여 동력연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부는, 상하이동에 따라 일단이 동력연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샤프트; 샤프트가 관통하되, 샤프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 치가 형성된 샤프트가이드; 일단은 샤프트에 지지되고 타단은 샤프트가이드에 지지되어 샤프트가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게 하는 스프링; 및 샤프트가이드를 관통한 샤프트 타단과 연결되어 샤프트와 동력연결부와의 체결 또는 분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샤프트 타단에 결합되며, 샤프트의 상하이동을 유도하는 작동돌출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작동돌출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조절가이드홈이 형성된 조절가이드; 및 조절가이드를 내삽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며, 상면 일측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좌우 회동에 따라 작동돌출부가 경사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경사면의 최상단부에는 상승고정턱이 구비되어 작동돌출부를 상승 고정시키는 조절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절부의 작동부재, 조절가이드 및 조절드럼은 좌우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즙드럼 안착부 상면은 일측에 한 개 이상의 결합턱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착즙드럼 하면은 결합턱 또는 결합홈에 대응한 위치에 결합홈 또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착즙드럼과 착즙드럼 안착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즙드럼 안착부 상면은 착즙드럼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폭이 커지는 결합가이드턱이 형성되고, 착즙드럼 하면은 결합가이드턱에 대응한 위치에 결합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착즙드럼과 착즙드럼 안착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뚜껑에는 착즙드럼의 내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투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재료투입구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즙드럼의 하면 중앙에는 착즙드럼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하부와 대응되는 찌꺼기배출구가 구비되고, 착즙드럼의 일측에는 즙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즙드럼은 내부에 스크류 외면을 둘러싸고, 상하가 개방된 망드럼을 포함하고, 망드럼의 하면 일측에는 찌꺼기하강공이 구비되고, 망드럼이 안착되는 착즙드럼의 하면에는 찌꺼기하강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찌꺼기배출구는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망드럼이 안착되는 영역 밖으로 찌꺼기 배출구와 이격되어 즙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즙배출구는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즙배출구에는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즙개폐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찌꺼기 하강공 또는 찌꺼기 배출구에는 찌꺼기 배출을 제어하는 패킹 또는 개폐기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를 착즙드럼의 직하부가 아닌 측부(또는 측상부)에 장착되도록 한 후 구동모터와 스크류 사이를 본체 및 뚜껑 상부에 걸쳐 구비되는 동력전달모듈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착즙드럼 하면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다양하고 제한 없는 착즙드럼 하부의 구조설계가 가능해 짐에 따라 찌꺼기 배출이 원활하고 균일하며, 착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류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모듈 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즙드럼이 본체에서 손쉽게 착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즙드럼 안착부 상면에 결합턱(또는 결합홈)과 결합가이드턱(또는 결합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한 위치의 착즙드럼 하면에 결합홈(또는 결합턱)과 결합가이드홈(또는 결합가이드턱)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본체의 착즙드럼 안착부와 착즙드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고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구동형 착즙 주서기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구동형 착즙 주서기의 승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구동형 착즙 주서기의 승강부를 결합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구동형 착즙 주서기의 착즙드럼 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구동형 착즙 주서기의 착즙드럼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A-A방향에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구동형 착즙기는 본체(100), 착즙드럼(200), 뚜껑(300), 망드럼(400), 스크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구동력 발생수단인 구동모터(110)와 착즙드럼 안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동모터(110)는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112)를 구비하고 이하에서 설명될 스크류(50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착즙기의 형태, 용도 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구동모터(110)는 후술할 착즙드럼(200)이 장착되는 위치의 연직 상부도 아니고 직하부도 아닌 착즙드럼(200)이 장착되는 위치의 측면부(A)나 그보다 낮은 위치인 측면하부(B)에 해당하는 본체(10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체(100) 자체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동시에 본체(100) 좌우의 무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구동모터(110) 작동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는 구체적으로 후술할 동력전달모듈(600)과 연결되는 상부바디(130)와 지면과 접하여 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지지다리(142)를 구비한 하부바디로(140)로 나눌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10)는 상부바디(130) 또는 하부바디(14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하부바디(140) 쪽 공간의 활용여부 및 지지다리(142)의 돌출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제작자가 선택할 수 있다. 즉, 하부바디(140) 쪽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상부바디(130) 내측에 구동모터(110)를 설치할 경우, 하부바디(140)에 구동모터(110)를 설치한 경우보다 무게중심이 상부에 있으므로, 지지다리(142)의 돌출길이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일한 수준의 진동방지를 이룰 수 있다.
착즙드럼 안착부(120)는 후술할 착즙드럼(200)이 본체(100)에 장착 및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 본체(100) 일측에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착즙드럼(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착즙드럼(200)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본체(100)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수평면과 나란한 판형상으로 중심부에는 찌꺼기배출구(220)와 연통된 개방공(128)이 형성된다.
즉, 착즙드럼 안착부(120)는 상부바디(130)와 하부바디(140) 사이에 설치되어 착즙드럼(200)을 지지하고, 개방공(128) 하부에는 찌꺼기를 수거하기 위한 통(미도시)이 위치하게 된다.
착즙드럼(200)은 본체(100) 일측에 구비된 착즙드럼 안착부(120)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스크류(500)와 망드럼(400)을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착즙드럼(200)의 하부에는 즙배출구(210)와 찌꺼기배출구(220)가 각각 이격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즙배출구(210)는 전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즙이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찌꺼기배출구(220)는 착즙드럼(200) 하단에 스크류(500) 하면과 대응되는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찌꺼기배출구(220)는 착즙드럼(200) 하부와 후술할 스크류(500) 하부가 서로 근접하여 이루는 링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설치가 가능한 찌꺼기 패킹(240)은 찌꺼기배출구(220)를 탄성력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찌꺼기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종래 모터 등의 구동축이 위치하던 착즙드럼(200) 하단 중심부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 설계변경 함으로써, 찌꺼기배출구(220)를 따라 찌꺼기가 링형태의 공간을 통해 배출되므로, 찌꺼기 배출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서 착즙 효율과 생성된 즙의 품질을 높이게 된다.
뚜껑(300)은 착즙드럼(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그 하부가 착즙드럼(2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 하면은 개방된 형태이고 그 상면 일측에는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재료투입구(310)가 뚜껑(300)의 개방된 하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300)에는 스크류(500) 상면에 위치하는 동력연결부(520)와 동력전달모듈(600)이 상호 동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통공(320)이 형성된다. 이때 연통공(320)은 뚜껑(3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투입구(310)는 연통공(320)이 위치한 중심에서 일정 거리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스크류(500)의 회전과 재료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망드럼(400)은 착즙드럼(2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광하협의 형태이다. 이러한 망드럼(400)은 재료투입구(310)를 통해 착즙드럼(200) 내로 투입된 재료가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500)와 망드럼(400) 사이에서 압축, 압착 또는 분쇄되면서 생성된 즙이 망드럼(400)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다.
망드럼(400)의 측벽으로 즙이 빠져나가고,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라 망드럼(40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즙되고 남은 찌꺼기는 망드럼(400)의 하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망드럼(400)의 하면이 개방되어 있어 망드럼(40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서 찌꺼기가 직접 찌꺼기배출구(220)로 걸림 없이 원활히 배출된다.
따라서, 길거나 질긴 섬유질을 포함하는 재료의 찌꺼기도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고 착즙이 용이해 지고, 착즙 후 망드럼 내부에 재료가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재료 손실도 줄일 수 있으며, 뚜껑도 힘들이지 않고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스크류(500)는 망드럼(4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류(500)와 망드럼(400) 사이 투입된 재료가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라 압축, 압착 또는 분쇄되도록 하여 즙이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크류(500) 외면에는 망드럼(400) 내부와 접하여 투입재료를 파쇄하면서 틈이 좁은 하측으로 이송하여 압착시키는 복수의 스크류 나선(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동력연결부(520)는 구동모터(110)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동력전달모듈(600)을 통해 스크류(5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스크류(500) 상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동력연결부(520)는 구동모터(110)와 연결되는 일단과 대향되는 동력전달모듈(600)의 타단과 결착되어 구동력을 스크류(50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동력전달모듈(600)의 타단을 다각형의 기둥형상인 샤프트(710)로 제작하고, 이와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스크류(500) 상면에 형성하는 방식으로 동력연결부(520)를 구현한다.
이때, 동력전달모듈(600) 타단에 형성된 샤프트(710)가 이에 대응하는 홈인 동력연결부(52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샤프트(710)와 홈이 서로 인접하는 단부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각각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샤프트(710)를 동력연결부(520)와 면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테이퍼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반대로, 스크류(500)의 동력연결부(520)를 상방으로 돌출된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제작하고, 동력전달모듈(600)의 타단이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도록 제작하여 동력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동력전달모듈(600)은 본체(100) 및 뚜껑(300) 상부에 구비되되, 일단이 구동모터(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동력연결부(52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스크류(50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동력전달모듈(600) 일단은 구동모터(110)의 회전축(112)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어 조합(610: 610a, 610b, 61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어(610a, 610b, 610c)는 착즙기의 크기, 주로 사용되는 재료의 경도, 기어비 등을 고려하여 베벨기어, 나사기어, 원통웜기어 또는 평행축기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기어 조합(6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구동모터(110)의 회전축(112)과 치합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회전력을 동력전달모듈(600)의 타단까지 전달하기 위해 복수 개의 기어(610a, 610b, 610c)를 서로 맞물리게 하였다.
이러한 동력전달모듈(600)이 구비됨으로써 구동모터(110)는 착즙드럼(200)의 측면부(A)나 측면하부(B)에 해당하는 본체(100) 내측에 설치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모듈(600) 타단은 스크류(500)의 동력연결부(52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700)에 의해 동력전달모듈(600)의 타단부가 상승한 경우, 착즙드럼(200)은 착즙드럼 안착부(120)에 쉽게 안착될 수 있고, 스크류(500)의 동력연결부(520)와 동력전달모듈(600)의 타단부는 연결이 해제되어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안정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7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력전달모듈(600) 전체를 승강시키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바디(130)와 구동모터(110)와 인접하는 동력전달모듈(600) 측을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동력전달모듈(60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동력전달모듈(600)이 상방으로 회동 시 구동모터(110)의 회전축(112)과 인접한 기어(610a)가 간섭하지 않도록 구동모터(110)의 회전축(112)과 인접한 기어(610a)가 서로 이격되는 기작(mechanism)이 발동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또는 회전축(112)과 인접한 기어(610a)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어 단면을 곡면 처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700)는 대략 샤프트(710), 샤프트가이드(720), 스프링(730) 및 조절부(7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710)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스크류(500)에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전체적으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일단은 스크류(500)의 동력연결부(520)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후술할 스프링(730), 샤프트가이드(720)를 순차로 관통한 후 조절부(740) 일측과 결합한다.
샤프트가이드(720)는 샤프트(7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구동모터(1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받아 샤프트(71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룬다.
샤프트가이드(720)는 샤프트(710)와 인접하는 일측에 샤프트가이드홈(722)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샤프트가이드홈(722)에 샤프트돌기(712)가 끼워진 상태에서 샤프트(710)가 상하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샤프트가이드홈(722)과 대향되는 타측 외주면에는 구동모터(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 치(724)를 형성한다.
스프링(730)은 샤프트(710)가 하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샤프트(710)와 샤프트가이드(720) 사이에 위치시켜 일단이 샤프트(710)를 지지하고 타단이 샤프트가이드(720)를 지지토록 하여 항상 샤프트(710)가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압력)을 받도록 한다. 샤프트 하단부의 각형축과 스크류 상단부의 각형축공이 각도가 일치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각형축과 각형축공이 잘 끼워지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730)의 탄성력에 의해 각형축이 회전하기만 하면 바로 각형축공에 끼워지게 된다. 즉, 스프링(730)은 각형축이 회전하여 각형축공에 바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각형축은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축이며 이에 대응하는 각형축공은 상기 각형축에 대응되는 육각형축공이다. 단,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각형축과 사각형축공으로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샤프트 하단부에 각형축공을 형성하고 이 각형축공에 끼워지는 각형축이 스크류 상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절부(740)는 샤프트(710)와 동력연결부(520)와의 체결 또는 분리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샤프트가이드(720)를 관통한 샤프트(710) 타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조절부(740)를 통한 샤프트(710)와 동력연결부(520)의 체결 또는 분리는 다양한 작동방식 또는 기작(mechanis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샤프트(710)를 상방으로 당긴 후 고정할 수 있는 걸쇠 등과 같은 잠금장치를 통해 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샤프트(710)의 타단과 접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한 볼트형식의 부재를 통해 샤프트(710)를 상하로 이동시켜 동력연결부(520)와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의 조절부(740)는 대략 작동부재(750), 조절가이드(760) 및 조절드럼(7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부재(750)는 샤프트(710) 타단과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샤프트(710)의 상하이동을 유도하는 작동돌출부(752)가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조절가이드(760)는 작동부재(75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작동부재(750)를 내부에 수용하고, 작동돌출부(752)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조절가이드홈(762)을 원통형상 일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한다.
조절드럼(770)은 좌우 회동에 따라 작동부재(750)를 승강시키고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요소로, 경사면(772) 및 상승고정턱(77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드럼(770)은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조절가이드(760)가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다.
경사면(772)은 조절드럼(77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드럼(770)의 좌우 회동에 따라 조절가이드홈(762)의 안내를 받는 작동돌출부(75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즉, 경사면(772)의 높이조절을 통해 샤프트(710)의 상하이동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승고정턱(774)은 작동돌출부(752)가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경사면(772)의 최상단부에 작동돌출부(752)가 거치될 수 있도록 수평면과 나란하게 형성하거나, 경사면(772)에 인접한 쪽에 약간의 턱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절부(740)의 작동부재(750), 조절가이드(760) 및 조절드럼(770)은 좌우 대칭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샤프트(710)의 상하 조절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작동부재(750) 일측에 형성된 작동돌출부(752)를 대향되는 타측에도 형성하여 좌우대칭인 2개의 작동돌출부(752)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도 2a 및 도 2b 참조), 나아가, 좌우대칭을 이루는 4개의 작동돌출부(752)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조절가이드(760)의 조절가이드홈(762)과 조절드럼(770)의 경사면(772) 및 상승고정턱(774)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 좌우대칭의 작동돌출부(752)에 대응하여 작동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며, 이로 인해, 샤프트(710)는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되고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조절부(740)에 대한 작동방식을 도 2b를 참조하여 요약 설명하면, 조절드럼(77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돌출부(752)는 조절가이드홈(762)의 안내에 의해 경사면(772)을 따라 연직 상승하게 된다.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돌출부(752)는 상승고정턱(774)에 이르러 거치되게 된다. 이러한 기작을 통해서 샤프트(710)는 상승 고정이 가능해진다.
샤프트(710)가 상승 고정된 상태에서 착즙드럼(200)은 착즙드럼 안착부(12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이후에 조절드럼(77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73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샤프트(710)는 하강하여 스크류(500)의 동력연결부(520)와 체결된다.
이후 전원스위치(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110)를 회전시키면 동력전달모듈(600)을 통해 적절한 감속이 이루어지고, 구동모터(110)와 스크류(500) 상호간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착즙이 이루어지게 된다. 각형축과 각형축공이 서로 끼워질 때 항상 원활하게 끼워진다면 스프링(730)이 생략되어도 무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러한 경우는 희박하기 때문에 스프링(730)을 구비하여 각형축과 각형축공이 서로 잘 끼워지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드럼(200)과 이를 안착시키는 착즙드럼 안착부(120)는 유격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착즙시 드럼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호간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착즙드럼 안착부(120) 상면 일측에 결합턱(122)과 결합가이드턱(124)을 각각 형성하고, 착즙드럼(200) 하면 일측에 결합홈(230)과 결합가이드홈(232)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반대로, 착즙드럼 안착부(120) 상면 일측에 결합홈과 결합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착즙드럼(200) 하면 일측에 결합턱과 결합가이드턱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착즙드럼 안착부(120)의 결합턱(122)은 이와 대응한 위치의 착즙드럼(200) 결합홈(230)과 서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호간 용이하게 끼워지기 위해 결합턱(122)과 결합홈(230)은 서로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즙드럼 안착부(120)의 결합가이드턱(124)은 삽입방향(C)을 따라 돌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이와 대응한 위치와 형상의 결합가이드홈(232)은 착즙드럼(200) 하면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가이드턱(124)은 착즙드럼(200)이 삽입방향(C)을 따라 수평으로 착즙드럼 안착부(120)에 삽입될 때, 원활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서로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턱(122)은 착즙드럼(200) 삽입위치(C)와 가장 먼 착즙드럼 안착부(120) 내측에 형성되고, 결합가이드턱(124)은 중심에서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착즙드럼 안착부(120) 상면과 이와 대응하는 착즙드럼(200) 하면의 결합구조와 배치는 착즙드럼(200)이 착즙드럼 안착부(120)에 원활하고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사방에서 견고하게 착즙드럼(200)을 결착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즙기 작동을 도모하는데 기여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부 구동형 착즙기는, 즙과 찌꺼기가 착즙드럼으로부터 직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모두 착즙드럼 하면에 구비되는 착즙드럼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착즙드럼과 망드럼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드럼(200')은 그 내부에 스크류(500)와 망드럼(400')을 수용한다. 여기서 망드럼(400')은 스크류(50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광하협의 형태이다. 이러한 망드럼(400')은 뚜껑(300)의 재료투입구(310)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를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라 압축, 압착 또는 분쇄하면서 생성된 즙이 망드럼(400') 외부로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다. 망드럼(400') 하단은 링형태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면 일측에는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찌꺼기하강공(420)을 구비한다. 또한, 찌꺼기 하강공(420) 또는 찌꺼기 배출구(220')에는 찌꺼기 배출을 제어하는 패킹 또는 개폐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망드럼(400')이 안착되는 착즙드럼(200')의 하면에는 즙배출구(210')와 찌꺼기 배출구(220')가 이격되어 직하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찌꺼기 배출구(220')는 망드럼(400')에 구비된 찌꺼기하강공(420)과 연통되도록 찌꺼기하강공(42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착즙드럼(200')의 하면에 구비된다. 이때 찌꺼기하강공(420)은 착즙드럼(200')의 하면에서 직하방으로 관통되어 개방된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즙배출구(210')는 착즙드럼(200')의 하면에서 찌꺼기 배출구(22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즙배출구(210')는 착즙드럼(200') 하면에서 망드럼(400')이 안착되는 영역의 밖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즙배출구(210')는 재료투입구(310)를 통해 착즙드럼(200') 내부로 투입된 재료가 착즙된 후 망드럼(400') 밖으로 빠져 나온 즙이 배출될 수 있도록 착즙드럼(200')의 하면에서 직하방으로 관통되어 개방된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착즙드럼 안착부(120)에 구비되는 개방공(128)은 착즙드럼 안착부(120)가 착즙드럼(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즙배출구(210') 또는 찌꺼기배출구(220')로부터 즙 또는 찌꺼기가 낙하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구비되거나, 원형이 아닌 아령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즙배출구에는 즙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즙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착즙드럼(200')의 직하방으로 즙배출구(210')와 찌꺼기배출구(220')가 구비되어 즙과 찌꺼기가 모두 착즙드럼(20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 인해, 착즙드럼(200')의 하부공간에 즙수거통(800)과 찌꺼기 수거통(810)을 구비하여 착즙드럼 하부공간의 공간활용도가 증대되고, 착즙기 작동 중에도 찌꺼기 수거통이나 즙 수거통이 착즙드럼 하부에 배치되어 외관상으로도 사용자에게 정렬된 인상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본체 110:구동모터
112:회전축 120:착즙드럼 안착부
122:결합턱 124:결합가이드턱
128:개방공 130:상부바디
140:하부바디 142:지지다리
200, 200'착즙드럼 210, 210'즙배출구
220, 220'찌꺼기배출구 230:결합홈
232:결합가이드홈 240:찌꺼기 패킹
300:뚜껑 310:재료투입구
320:연통공 400, 400'망드럼
420:찌꺼기하강공 500:스크류
510:스크류 나선 520:동력연결부
600:동력전달모듈 610a,610b,610c:기어
700:승강부 710:샤프트
712:샤프트돌기 720:샤프트가이드
722:샤프트가이드홈 724:기어 치
730:스프링 740:조절부
750:작동부재 752:작동돌출부
760:조절가이드 762:조절가이드홈
770:조절드럼 772:경사면
774:상승고정턱 800:즙수거통
810:찌꺼기수거통

Claims (15)

  1. 구동력 발생수단과 일측에 착즙드럼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착즙드럼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착즙드럼;
    상기 착즙드럼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그 중앙에는 연통공이 구비되는 뚜껑;
    상기 착즙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동력연결부가 형성된 스크류; 및
    일단은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동력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스크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모듈 일단은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의 회전축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어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모듈 타단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동력연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하이동에 따라 일단이 상기 동력연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되, 상기 샤프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 치가 형성된 샤프트가이드;
    일단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샤프트가이드에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가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게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샤프트가이드를 관통한 상기 샤프트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동력연결부와의 체결 또는 분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샤프트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하이동을 유도하는 작동돌출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돌출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조절가이드홈이 형성된 조절가이드; 및
    상기 조절가이드를 내삽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며, 상면 일측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좌우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돌출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부에는 상승고정턱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돌출부를 상승 고정시키는 조절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상기 작동부재, 상기 조절가이드 및 상기 조절드럼은 좌우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 안착부 상면은 일측에 한 개 이상의 결합턱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즙드럼 하면은 상기 결합턱 또는 결합홈에 대응한 위치에 결합홈 또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상기 착즙드럼과 상기 착즙드럼 안착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 안착부 상면은 상기 착즙드럼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폭이 커지는 결합가이드턱이 형성되고,
    상기 착즙드럼 하면은 상기 결합가이드턱에 대응한 위치에 결합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착즙드럼과 상기 착즙드럼 안착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착즙드럼의 내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투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재료투입구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착즙드럼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크류의 하부와 대응되는 찌꺼기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에는 즙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은 내부에 상기 스크류 외면을 둘러싸고 상하가 개방된 망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망드럼의 하면 일측에는 찌꺼기하강공이 구비되고, 상기 망드럼이 안착되는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찌꺼기하강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배출구는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상기 망드럼이 안착되는 영역 밖으로 찌꺼기 배출구와 이격되어 즙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즙배출구는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14.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즙배출구에는 상기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즙개폐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하강공 또는 찌꺼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를 제어하는 패킹 또는 찌꺼기 개폐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동형 착즙기.
KR1020140042889A 2014-04-10 2014-04-10 상부구동형 착즙기 KR10159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89A KR101597630B1 (ko) 2014-04-10 2014-04-10 상부구동형 착즙기
TW103135952A TWI581741B (zh) 2014-04-10 2014-10-17 上動力型果汁壓榨萃取器
TW103218450U TWM503171U (zh) 2014-04-10 2014-10-17 上動力型果汁機壓榨萃取器
EP15776897.9A EP3130261A4 (en) 2014-04-10 2015-03-03 Top drive type juicer
PCT/KR2015/002012 WO2015156503A1 (ko) 2014-04-10 2015-03-03 상부구동형 착즙기
US15/302,970 US20170027364A1 (en) 2014-04-10 2015-03-03 Upper powered type juice squeezing extractor
JP2016561796A JP6385456B2 (ja) 2014-04-10 2015-03-03 上部駆動型搾汁機
CN201811250594.6A CN109330340B (zh) 2014-04-10 2015-03-23 上部通电榨汁机
CN201510128936.7A CN104720550B (zh) 2014-04-10 2015-03-23 上部通电榨汁机
JP2018018416A JP6535772B2 (ja) 2014-04-10 2018-02-05 上部駆動型搾汁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89A KR101597630B1 (ko) 2014-04-10 2014-04-10 상부구동형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35A true KR20150117435A (ko) 2015-10-20
KR101597630B1 KR101597630B1 (ko) 2016-02-25

Family

ID=5344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889A KR101597630B1 (ko) 2014-04-10 2014-04-10 상부구동형 착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27364A1 (ko)
EP (1) EP3130261A4 (ko)
JP (2) JP6385456B2 (ko)
KR (1) KR101597630B1 (ko)
CN (2) CN104720550B (ko)
TW (2) TWM503171U (ko)
WO (1) WO2015156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30B1 (ko) * 2014-04-10 2016-02-25 김재원 상부구동형 착즙기
US20170231414A1 (en) * 2016-02-12 2017-08-17 Nuwave, Llc Slow Juicer
KR101803295B1 (ko) * 2016-07-18 2017-12-0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
CN108013726A (zh) * 2016-11-02 2018-05-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机
KR20230020004A (ko) * 2017-10-31 2023-02-09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102417129B1 (ko) * 2020-03-05 2022-07-06 주식회사 엔젤 착즙기
FR3117312B1 (fr) * 2020-12-10 2022-12-23 Photo Me Ltd Dispositif pour la production de jus de fruits ou de legumes entiers
CN113229703B (zh) * 2021-06-25 2022-08-16 河南享智技术转移有限公司 一种医疗护理用榨汁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74B1 (ko) * 2012-02-17 2012-07-2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
KR20130098701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해피콜 착즙기
KR101311995B1 (ko) * 2012-05-30 2013-09-27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8482A (en) * 1982-12-06 1984-12-18 Cottrell Thoma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loe vera gel
JP2537594Y2 (ja) * 1991-01-25 1997-06-04 株式会社国盛化学 小型電動調理装置
JPH0761387A (ja) * 1993-08-30 1995-03-07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後部キャリア装置
JPH07313387A (ja) * 1994-05-30 1995-12-05 Tec Corp 調理器
KR20010101547A (ko) * 2001-07-16 2001-11-14 오세택 녹즙기의 구동방법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EP1989980A1 (en) * 2007-05-11 2008-11-12 Erna-Mas Makina Ticaret Ve Sanayi A.S. Kitchen robot having a movable drive unit
KR101010912B1 (ko) * 2008-10-17 2011-01-2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전기녹즙기
KR101506071B1 (ko) * 2010-05-13 2015-03-2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게이트웨이 장치, 기지국, 모바일 관리 서버, 및 통신 방법
EP2510842B1 (en) * 2010-09-17 2015-04-29 Young Ki Kim Combined smoothie maker and juicer
KR101045107B1 (ko) * 2011-03-10 2011-06-29 김재훈 상부 구동식 주서기
CN103202654B (zh) * 2012-01-17 2015-07-15 唐锋机电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榨汁机
TWI516239B (zh) * 2012-06-29 2016-01-11 金煐麒 果汁壓榨萃取機
KR101343600B1 (ko) * 2013-06-07 2013-12-20 김재원 착즙 주서기
CN203378925U (zh) * 2013-07-02 2014-01-08 韩伟杰 电动榨汁机及其一体式榨汁网组件
CN203458194U (zh) * 2013-07-09 2014-03-05 余姚市菲尔浦电器有限公司 螺旋挤压榨汁机
CN203388668U (zh) * 2013-07-19 2014-01-15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慢速榨汁机
KR101597630B1 (ko) * 2014-04-10 2016-02-25 김재원 상부구동형 착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74B1 (ko) * 2012-02-17 2012-07-2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
KR20130098701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해피콜 착즙기
KR101311995B1 (ko) * 2012-05-30 2013-09-27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8109A (zh) 2015-10-16
WO2015156503A1 (ko) 2015-10-15
JP6535772B2 (ja) 2019-06-26
TWM503171U (zh) 2015-06-21
CN104720550A (zh) 2015-06-24
EP3130261A1 (en) 2017-02-15
US20170027364A1 (en) 2017-02-02
CN109330340A (zh) 2019-02-15
CN104720550B (zh) 2019-03-01
KR101597630B1 (ko) 2016-02-25
JP2018099527A (ja) 2018-06-28
JP6385456B2 (ja) 2018-09-05
JP2017510383A (ja) 2017-04-13
EP3130261A4 (en) 2018-01-10
CN109330340B (zh) 2021-01-29
TWI581741B (zh)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630B1 (ko) 상부구동형 착즙기
JP6686010B2 (ja)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101597631B1 (ko)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US20210345831A1 (en) Blender
ES2253994A1 (es) Aparato de procesamiento de alimentos.
KR20200000717U (ko) 착즙기
US20210338013A1 (en) Blender
RU2544129C2 (ru)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с поворотной консолью
CN105496251B (zh) 多功能果蔬处理器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08541186U (zh) 一种切碎器
KR20120081052A (ko)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의 구동장치 및 구성요소
CN206371961U (zh) 一种震动小的食品加工机
KR20200000719U (ko) 착즙기
JP6159882B2 (ja) パルプ量調節可能なジューサー
KR20120133947A (ko) 착즙기
CN215838341U (zh) 一种榨汁机刀座的防误装互锁装置
CN214510708U (zh) 储料装置及烹饪器具
KR20170055891A (ko) 스크류 부상방지수단이 구비된 원액기
KR20210000248U (ko) 착즙기
JP3085333U (ja) ジューサ
JP3102475U (ja) 野菜,果物等の破砕器
CN113953041A (zh) 一种奶茶饮品破壁粉碎方法
CN110063666A (zh) 一种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