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968A - 오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968A
KR20150113968A KR1020157023162A KR20157023162A KR20150113968A KR 20150113968 A KR20150113968 A KR 20150113968A KR 1020157023162 A KR1020157023162 A KR 1020157023162A KR 20157023162 A KR20157023162 A KR 20157023162A KR 20150113968 A KR20150113968 A KR 2015011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tate
oil
lubricating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642B1 (ko
Inventor
도모미 이시카와
가즈히토 에노모토
가즈유키 노다
사토시 니시오
게이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7/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ubricating systems or devices
    • B60R17/02Systems, e.g.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60K6/543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the transmission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60K6/547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the transmission being a stepp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60L11/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54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by controlling transmissions or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6Electric machines and gearing, i.e. joint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F16H61/0031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using auxiliary pumps, e.g. pump driven by a different power source than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mbustion engines
    • B60L2240/44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2061/0037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characterised by controlled fluid supply to lubrication circuits of the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15Specific drive or transmission adapted for hev
    • Y10S903/917Specific drive or transmission adapted for hev with transmission for changing gear ratio

Abstract

결합 장치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에 차량용 구동 장치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유압 펌프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실현할 수 있는 오일 공급 장치가 요구된다. 오일 공급 장치(10)는 제1 유압 펌프(21), 전용의 구동력원(23)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유압 펌프(22), 결합 장치(C0, C1)를 윤활하기 위한 윤활 유로(61),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1 결합 유로(51)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결합 유로(52)를 구비한다. 공급 상태 제어부(10)는, 결합 장치(C0, C1)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할 경우에,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에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윤활 유로(61)에 적어도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오일 공급 장치 {OIL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 부재와,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와, 차륜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 부재와, 변속용 결합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입력 부재의 회전을 변속해서 출력 부재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입력 부재를 변속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용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구동 장치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 전기기기의 토크에만 의해 차량을 주행시키는 전동 주행 모드를 실행할 때에, 분리용 결합 장치를 해방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내연 기관을 차륜으로부터 분리해서 내연 기관의 드래그 손실에 기인하는 에너지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구동 장치로서, 예를 들어 독일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2009042933호 명세서(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분리용 결합 장치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켜서 차량을 주행시킬 경우에, 차량용 구동 장치가 필요로 하는 유량이 많아지고, 내연 기관 또는 회전 전기기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는, 이 경우의 유량에 따라서 설계된다. 전동 주행 모드에 의해 차량을 주행시킬 경우에는, 차량용 구동 장치가 필요로 하는 유량은 적어지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설계된 비교적 대형의 유압 펌프를 구동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차량용 구동 장치가 전동 주행 모드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유량에 따라서 설계된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경우에 비해,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해서 큰 토크가 필요해지고, 에너지 효율이 그만큼 저하된다. 이 점에서, 특허문헌 1의 기술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독일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2009042933호 명세서
따라서, 결합 장치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에 차량용 구동 장치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유압 펌프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실현할 수 있는 오일 공급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연 기관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 부재와,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와, 차륜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 부재와, 변속용 결합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을 변속해서 상기 출력 부재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변속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용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구동 장치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장치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입력 부재에 연동하는 제1 연동 부재와 상기 회전 전기기기에 연동하는 제2 연동 부재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유압 펌프의 구동력원과는 다른 구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유압 펌프와,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 및 상기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윤활 유로와,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에 대하여 결합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1 결합 유로와,
상기 변속용 결합 장치에 대하여 결합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2 결합 유로와,
상기 제1 유압 펌프 및 상기 제2 유압 펌프의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각 유로에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공급 상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유로 및 상기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상기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윤활 유로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가 제1 공급 상태이며,
상기 제2 결합 유로에 대하여 상기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제1 결합 유로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 또는 상기 제1 결합 유로 및 상기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제2 공급 상태이며,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 및 상기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을 상기 출력 부재에 전달할 경우에, 상기 제1 공급 상태로 하고,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상기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에, 상기 제2 공급 상태로 하는 점에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구동 연결」이라 함은, 2개의 회전 요소가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가리키고, 당해 2개의 회전 요소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상태, 또는 당해 2개의 회전 요소가 1 또는 2 이상의 전동 부재를 개재해서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 부재로서는, 회전을 같은 속도로 또는 변속해서 전달하는 각종 부재가 포함되어, 예를 들어 축, 기어 기구, 벨트, 체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전동 부재로서, 회전 및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결합 장치, 예를 들어 마찰 결합 장치나 맞물림식 결합 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회전 전기기기」는 모터(전동기), 제네레이터(발전기) 및 필요에 따라 모터 및 제네레이터의 양쪽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제네레이터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연동」이라 함은, 2개의 회전 요소 사이에서 어떠한 부재를 개재해서 구동력이 전달되고, 한쪽 회전 요소의 회전에 따라서 다른 쪽의 회전 요소도 회전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분리용 결합 장치 및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입력 부재의 회전을 출력 부재에 전달할 경우에는, 비교적 다량의 오일을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 상기 특징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공급 상태 제어부에 의해 오일의 공급 상태가 제1 공급 상태로 제어된다. 이 제1 공급 상태에서는, 제1 결합 유로 및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윤활 유로에 대하여 적어도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즉, 제1 결합 유로 및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공급하는 오일을 토출하는 제1 유압 펌프와는 다른 제2 유압 펌프에 의해, 윤활 유로에 필요한 오일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제1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윤활 유로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유압 펌프에 대해서는, 제1 공급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 유로나 제2 결합 유로에 대하여 공급하는 오일을 토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특징 구성에 의하면, 분리용 결합 장치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를 출력 부재에 전달시킬 경우에는, 공급 상태 제어부에 의해 오일의 공급 상태가 제2 공급 상태로 제어된다. 이 제2 공급 상태에서는, 제2 결합 유로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제1 결합 유로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 또는 제1 결합 유로 및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에,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2 결합 유로에 대하여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특징 구성에 의하면, 분리용 결합 장치 및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에 차량용 구동 장치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의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실현할 수 있다. 즉, 내연 기관의 정지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시킬 때에 제2 결합 유로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변속 장치에 윤활용의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서, 제2 유압 펌프는 필수적이지만, 이러한 필수적인 제2 유압 펌프를 이용하여, 제1 유압 펌프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분리용 결합 장치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즉 전동 주행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 구동되는 제1 유압 펌프가 소형화되는 분량 만큼, 전동 주행 모드의 실행 시의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제1 유압 펌프의 토출구 하류에 설치된 제1 역지 밸브와, 상기 제2 유압 펌프의 토출구 하류에 설치된 제2 역지 밸브와, 상기 제1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와 상기 제2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결합 유로와 상기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는 합류 유로와, 상기 제2 유압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제2 역지 밸브를 접속하는 접속 유로로부터 분기한 유로인 분기 유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와,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 유로와 윤활 유로가 연통되도록 연통 상태 제어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2 역지 밸브나 합류 유로의 상류측 부분을 개재하지 않고,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압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윤활 유로까지 오일을 공급할 때의 압력 손실이나 오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이 결과, 제2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유압 펌프의 상태에 관계없이, 제2 유압 펌프에 의해 분리용 결합 장치 및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가 상기 제1 역지 밸브와, 상기 제2 역지 밸브와, 상기 합류 유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와, 상기 밸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합류 유로로부터 분기해서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윤활 분기 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윤활 분기 유로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 유로가 윤활 유로에 연통하도록 분기 제어 밸브부를 제어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가 윤활 유로에 연통하도록 윤활 제어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과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양쪽을,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유로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 유로가 제1 결합 유로와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접속되는 합류 유로를 개재하지 않고, 나아가 비교적 높은 유압이 공급되는 윤활 분기 유로도 개재하지 않고,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분기 유로로부터 윤활 유로에 오일을 공급할 때에 제2 유압 펌프에 요구되는 토출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제2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유압 펌프로부터 많은 양의 오일을 윤활 유로에 공급할 수 있는 분량 만큼, 제1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가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유압 펌프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2 역지 밸브를 개재해서 합류 유로에 공급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분기 유로와 윤활 유로가 비연통의 상태가 되도록 분기 제어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효율적으로 합류 유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가 상기 제1 역지 밸브와, 상기 제2 역지 밸브와, 상기 합류 유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와, 상기 밸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합류 유로로부터 분기해서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윤활 분기 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윤활 분기 유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 유로가 윤활 분기 유로를 개재해서 윤활 유로에 연통되도록 연통 상태 제어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과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양쪽을,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유로에 대하여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 유로가 제1 결합 유로와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접속되는 합류 유로를 개재하지 않고 윤활 유로에 접속되므로, 분기 유로로부터 윤활 유로에 오일을 공급할 때에 제2 유압 펌프에 요구되는 토출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제2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유압 펌프로부터 많은 양의 오일을 윤활 유로에 공급할 수 있는 분량 만큼, 제1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가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또한 상기 윤활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 및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으로의 공급 필요성에 따라, 적절한 양의 오일을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가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가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유압 펌프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2 역지 밸브를 개재해서 합류 유로에 공급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분기 유로와 윤활 분기 유로가 비연통의 상태가 되도록 분기 제어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효율적으로 합류 유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가 상기 윤활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윤활 제어 밸브부는, 상기 윤활 분기 유로로부터 상기 윤활 유로에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1 유량과, 당해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간소한 구성의 윤활 제어 밸브부를 사용하여,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되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용 결합 장치 및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으로의 공급 필요성에 따라, 적절한 양의 오일을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가 상기 제1 역지 밸브와, 상기 제2 역지 밸브와, 상기 합류 유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와, 상기 밸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제2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를, 윤활 유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연통 상태 제어 밸브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각각의 유로에 있어서의 유압의 제어성을 높이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 유로가 상기 제2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 유로가 윤활 유로에 연통하도록 연통 상태 제어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윤활 유로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압 펌프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2 역지 밸브를 개재해서 합류 유로에 공급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분기 유로와 윤활 유로가 비연통의 상태가 되도록 연통 상태 제어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효율적으로 합류 유로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구동 장치가
(1) 상기 회전 전기기기는 상기 차량용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변속 장치 사이에 구동 연결되고,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회전 전기기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동 부재는 상기 입력 부재와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상기 제2 연동 부재는 상기 회전 전기기기와 항상 연결된 부재인 구성 또는,
(2) 상기 회전 전기기기는 상기 변속 장치를 개재하지 않고 차륜에 구동 연결되고, 상기 제1 연동 부재는 상기 입력 부재와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상기 제2 연동 부재는 상기 출력 부재와 항상 연결된 부재인 구성이면 적합하다.
이들 (1) 또는 (2)의 구성에 의하면, 내연 기관이 동작 중이며 입력 부재에 연동하는 제1 연동 부재의 회전이 회전 전기기기에 연동하는 제2 연동 부재의 회전보다도 높은 상태에서는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에 의해 제1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고, 내연 기관이 정지 중이며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에 의해 차륜을 구동하는, 소위 전동 주행 모드에서는, 직접 또는 차륜이나 출력 부재를 개재해서 제2 연동 부재에 전달되는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에 의해 제1 유압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내연 기관이 정지한 전동 주행 모드에서도, 제1 유압 펌프를 구동해서 결합 장치의 결합에 필요한 유압이나 변속 장치의 윤활에 필요한 유압 등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압 펌프에 의한 오일의 토출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제2 유압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오일 공급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제1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의 유온과 공급 유량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구체예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구체예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제2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구동 장치의 개략 구성(제3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1.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1. 차량용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
처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10)의 오일 공급 대상인 차량용 구동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구동 장치(1)는, 내연 기관(E)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축(I)과, 차륜(W)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축(O)과, 분리용 결합 장치(C0)와,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MG)와, 변속 장치(TM)와, 기어 기구(C)와, 차동 기어 장치(DF)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용 결합 장치(C0), 회전 전기기기(MG), 변속 장치(TM), 기어 기구(C) 및 차동 기어 장치(DF)는, 입력축(I)과 출력축(O)을 잇는 동력 전달 경로에 설치되어 있고, 차량의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이들은 입력축(I)의 측으로부터 기재된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즉, 입력축(I)과 출력축(O)을 잇는 동력 전달 경로에, 입력축(I)의 측부터 차례대로 분리용 결합 장치(C0), 회전 전기기기(MG) 및 변속 장치(TM)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축(I)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부재」에 상당하고, 출력축(O)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출력 부재」에 상당한다.
내연 기관(E)은, 기관 내부에 있어서의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되어서 동력을 취출하는 원동기(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축(I)이 내연 기관(E)의 출력축(크랭크 샤프트 등)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동 연결되어 있다. 입력축(I)이, 댐퍼 등을 개재해서 내연 기관(E)의 출력축에 구동 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전기기기(MG)는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스테이터(St)와, 스테이터(St)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Ro)를 갖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Ro)는 스테이터(St)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기기(MG)에는 제4 윤활 유로(64) 및 제5 윤활 유로(65)를 개재해서 냉각을 위한 오일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4 윤활 유로(64)를 개재해서 공급된 오일은, 회전 전기기기(MG)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중력을 이용해서 공급되고, 당해 오일에 의해 예를 들어 스테이터(St)의 코일 엔드부 등이 냉각된다. 또한, 제5 윤활 유로(65)를 개재해서 공급된 오일은, 회전 전기기기(MG)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축심측)으로부터 원심력을 이용해서 공급되고, 당해 오일에 의해 예를 들어 로터(Ro)에 구비된 영구 자석이나 스테이터(St)의 코일 엔드부 등이 냉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기기(MG)의 로터(Ro)는 로터 지지 부재(16)를 개재해서 중간축(M)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동 연결되어 있다.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입력축(I)을 변속 장치(TM)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결합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축(I)과 변속 장치(TM)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회전 전기기기(MG)가 설치되고,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입력축(I)과 회전 전기기기(MG)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입력축(I)을 회전 전기기기(MG) 및 변속 장치(TM)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결합 장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입력축(I)에 구동 연결된 입력측 결합 부재와, 회전 전기기기(MG)의 로터(Ro)에 구동 연결된 출력측 결합 부재를 갖는다.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연 기관(E)과 회전 전기기기(MG) 및 중간축(M) 사이에서의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가 되고,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해방된 상태(해방 상태)에서는, 내연 기관(E)과 회전 전기기기(MG) 및 중간축(M) 사이에서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결합 장치에 대해서 「결합한 상태」라 함은, 결합 장치에 전달 토크 용량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 즉 결합 장치의 전달 토크 용량이 0보다 큰 상태이다. 「결합한 상태」에는, 결합 장치의 결합 부재 사이에 회전 속도차가 없는 「직결 결합 상태」와, 결합 장치의 결합 부재 사이에 회전 속도차가 있는 「미끄럼 결합 상태」가 포함된다. 또한, 결합 장치에 대해서 「해방 상태」라 함은, 결합 장치에 전달 토크 용량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결합 장치의 전달 토크 용량이 0인 상태이다. 또한, 결합 장치가 마찰 결합 장치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전달 토크 용량을 발생시키는 지령이 내려져 있지 않아도, 결합 부재(마찰 부재)끼리의 드래그에 의해 전달 토크 용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달 토크 용량을 발생시키는 지령이 내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드래그에 의해 전달 토크 용량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도, 「해방 상태」에 포함한다.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서 동작하는 유압 서보 기구를 구비한 유압 구동식의 결합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토크의 전달을 행하는 마찰 결합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습식 다판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습식의 마찰 결합 장치이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결합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이 공급되는 작동 유압실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유압실에는, 제1 결합 유로(51)를 개재해서 오일이 공급된다. 작동 유압실의 유압을 제어하여, 결합 부재(마찰 부재)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결합 상태가 제어된다.
또한, 분리용 결합 장치(C0)에는 제1 윤활 유로(61)를 개재해서 윤활을 위한 오일이 공급된다. 제1 윤활 유로(61)를 개재해서 공급된 오일은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결합 부재에 공급되고, 결합 부재의 표면을 흐르는 오일에 의해 결합 부재가 윤활됨과 함께, 당해 오일에 의해 결합 부재가 냉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윤활 유로(61)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유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결합 부재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축심측)으로부터 원심력을 이용해서 오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부재를 윤활한 후의 오일은, 예를 들어 배출 구멍이나 배출 유로 등을 개재해서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외부로 배출되어, 오일 저류부(도시하지 않음)로 복귀된다. 오일 저류부는, 예를 들어 오일 팬 등에 의해 구성된다.
변속 장치(TM)는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입력축(I)의 회전을 변속해서 출력축(O)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장치(TM)는 변속비를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기구(예를 들어 자동 유단 변속 기구나 자동 무단 변속 기구 등)로 구성되고, 중간축(M)(변속 입력축)의 회전 속도를 현시점의 변속비로 변속하여, 기어 기구(C)로 전달한다. 즉, 변속 장치(TM)는 입력축(I) 또는 회전 전기기기(MG)의 회전을 변속해서 출력축(O)에 전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장치(TM)는 복수의 변속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1 또는 2 이상의 유성 기어 기구 등의 기어 기구와, 이 기어 기구의 회전 요소의 결합 또는 해방을 행하여 변속단을 전환하기 위한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하고 있다. 변속 장치(TM)는 복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하고, 당해 복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각각의 결합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변속단이 전환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복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1개만을 나타내고 있다. 변속 장치(TM)에는 제3 윤활 유로(63)를 개재해서 윤활을 위한 오일이 공급된다. 제3 윤활 유로(63)를 개재해서 공급된 오일은, 변속 장치(TM)가 구비하는 기어 기구나 베어링 등의 윤활 및 냉각에 사용된다.
변속용 결합 장치(C1)는 유압 구동식의 결합 장치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찰 결합 장치이다. 변속용 결합 장치(C1)는, 예를 들어 습식 다판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습식의 마찰 결합 장치가 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변속용 결합 장치(C1)는 결합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이 공급되는 작동 유압실을 구비하고, 당해 작동 유압실에는 제2 결합 유로(52)를 개재하여 오일이 공급된다. 작동 유압실의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결합 상태가 제어된다.
기어 기구(C)(본 예에서는 카운터 기어 기구)는 차동 기어 장치(출력용 차동 기어 장치)(DF)를 개재해서 좌우 2개의 출력축(O)에 구동 연결되어 있고, 변속 장치(TM)의 측으로부터 기어 기구(C)로 전달된 회전 및 토크는, 차동 기어 장치(DF)를 개재해서 좌우 2개의 출력축(O)[즉, 좌우 2개의 차륜(W)]으로 분배되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차량용 구동 장치(1)는 내연 기관(E) 및 회전 전기기기(MG) 중 한쪽 또는 양쪽의 토크를 차륜(W)에 전달시켜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즉, 이 차량용 구동 장치(1)는 하이브리드 차량용의 구동 장치로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1 모터 패러렐 방식의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1-2. 오일 공급 장치의 구성
이어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오일 공급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일 공급 장치(10)는 차량용 구동 장치(1)에 오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공급 장치(10)는 제1 유압 펌프(21)와, 제2 유압 펌프(22)와, 제1 윤활 유로(61)와, 제1 결합 유로(51)와, 제2 결합 유로(52)와,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의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각 유로에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공급 상태 제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공급 장치(10)는,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장치(TM)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3 윤활 유로(63)와, 회전 전기기기(MG)에 대하여 냉각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4 윤활 유로(64) 및 제5 윤활 유로(65)를 구비하지만, 도 2에서는, 간소화를 위해, 이들 제3 윤활 유로(63), 제4 윤활 유로(64) 및 제5 윤활 유로(65)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유압 펌프(21)는, 차륜(W)의 구동력으로서의 내연 기관(E) 또는 회전 전기기기(MG)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기계식 펌프)이다.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에 연동하는 제1 연동 부재(17) 및 회전 전기기기(MG)에 연동하는 제2 연동 부재(18)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동 부재(17)는 입력축(I)과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입력축(I) 그 자체가 해당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연동 부재(18)는 회전 전기기기(MG)와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로터 지지 부재(16)가 해당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 펌프(21)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2)는, 제1 원웨이 클러치(11)를 개재해서 입력축(I)[제1 연동 부재(17)]에 구동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제2 원웨이 클러치(12)를 개재해서 로터 지지 부재(16)[제2 연동 부재(18)]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부재(2)에 대한 입력축(I)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방향과, 구동 부재(2)에 대한 로터 지지 부재(16)의 상대 회전의 규제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이 되도록, 제1 원웨이 클러치(11) 및 제2 원웨이 클러치(12)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과 로터 지지 부재(16) 중 규제 방향측으로의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된다. 즉, 제1 유압 펌프(21)는 내연 기관(E)으로부터 입력축(I)을 개재하여 제1 원웨이 클러치(11)에 전달되는 회전과, 회전 전기기기(MG)로부터 로터 지지 부재(16)를 개재하여 제2 원웨이 클러치(12)에 전달되는 회전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회전 속도의 고저 비교는, 동일 부재에 전달된 경우의 회전 속도(환산 회전 속도)에 의해 행한다. 즉,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 및 회전 전기기기(MG) 중, 동일 부재[여기서는 제1 원웨이 클러치(11) 및 제2 원웨이 클러치(12)의 양쪽에 구동 연결된 구동 부재(2)]에 전달된 경우의 회전 속도(환산 회전 속도)가 높은 부재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이나 회전 전기기기(MG)는 다른 축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유압 펌프(21)의 구동축(21b)은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하여 구동 부재(2)와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구동 연결되어 있다. 제1 유압 펌프(21)가 입력축(I)이나 회전 전기기기(MG)와 동일축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유압 펌프(22)는, 제1 유압 펌프(21)의 구동력원과는 다른 구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유압 펌프(22)는 전용 구동력원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전용 구동력원이라 함은, 제2 유압 펌프(22)의 구동 전용으로 설치되는 구동력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압 펌프(22)는 전용 구동력원으로서의 회전 전기기기[전동 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펌프이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의 각각은, 오일 저류부(예를 들어 오일 팬 등)에 스트레이너를 개재해서 접속된 흡입구를 구비하고, 오일 저류부에 저류된 오일을 흡입구로부터 흡인해서 유압을 발생시킨다. 제1 유압 펌프(21)나 제2 유압 펌프(22)로서, 예를 들어 내접 기어 펌프, 외접 기어 펌프, 또는 베인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윤활 유로(61)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윤활 유로(61)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유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결합 부재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축심측)으로부터 오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윤활 유로(61)에는 공급 상태 제어부(13)가 실현하는 공급 상태에 따라서,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 중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윤활 유로(6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윤활 유로」에 상당한다.
제1 결합 유로(51)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에 대하여 결합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이다. 이 제1 결합 유로(51)는, 상류측의 합류 유로(43)에 대하여 제1 공급 제어 밸브(55)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1 결합 유로(51)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유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작동 유압실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공급 제어 밸브(55)는 상류측으로부터의 유압(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인압)을 압력 조절해서 작동 유압실에 공급하는 유압을 제어하는 압력 조절 밸브(예를 들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후술하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1 공급 제어 밸브(55)의 출력 유압이 제어됨으로써, 제1 결합 유로(51)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어되고,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결합 상태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에만 의해 차량을 주행시키는 전동 주행 모드의 실행 중은,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기본적으로 해방 상태로 제어된다. 내연 기관(E) 및 회전 전기기기(MG)의 양쪽 토크에 의해 차량을 주행시키는 하이브리드 주행 모드의 실행 중은,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기본적으로 직결 결합 상태로 제어된다. 또한, 예를 들어 언덕길 등에 있어서 내연 기관(E)의 토크를 차륜(W)에 전달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정지시켜 둔 경우나, 내연 기관(E)의 토크에만 의해 차량을 발진시킬 경우에는,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적어도 분리용 결합 장치(C0)[기본적으로 분리용 결합 장치(C0)만]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결합 유로(52)는, 변속 장치(TM)가 구비하는 복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각각에 대하여 결합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이다. 이 제2 결합 유로(52)는 상류측 합류 유로(43)에 대하여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2 결합 유로(52)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유로는,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작동 유압실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 장치(TM)는 복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하고 있고, 오일 공급 장치(10)는 변속용 결합 장치(C1)와 동일한 수의 제2 결합 유로(5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복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1개만을 대표적으로 나타냄과 함께, 당해 하나의 변속용 결합 장치(C1)에 접속되는 하나의 제2 결합 유로(52)만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2 공급 제어 밸브(56)는 상류측으로부터의 유압(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인압)을 압력 조절해서 작동 유압실에 공급하는 유압을 제어하는 압력 조절 밸브(예를 들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후술하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2 공급 제어 밸브(56)의 출력 유압이 제어됨으로써, 제2 결합 유로(52)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어되고,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결합 상태가 제어된다.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상술한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및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추가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역지 밸브(31)와, 제2 역지 밸브(32)와, 합류 유로(43)와, 압력 조절 장치(80)와, 분기 유로(45)와,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와, 밸브 제어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또한 윤활 분기 유로(5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역지 밸브(31)는, 제1 유압 펌프(21)의 토출구인 제1 토출구(21a)의 하류에 설치되고,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의 유로인 제1 토출 유로(41)에 있어서, 상류측을 향하는 오일의 유통을 규제한다. 즉, 제1 역지 밸브(31)는 제1 토출 유로(41)에 있어서의 오일의 역류를 규제(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제2 역지 밸브(32)는 제2 유압 펌프(22)의 토출구인 제2 토출구(22a)의 하류에 설치되고,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의 유로인 제2 토출 유로(42)에 있어서, 상류측을 향하는 오일의 유통을 규제한다. 즉, 제2 역지 밸브(32)는 제2 토출 유로(42)에 있어서의 오일의 역류를 규제(실질적으로 방지)한다.
합류 유로(43)는 제1 역지 밸브(31)의 하류 유로와 제2 역지 밸브(32)의 하류 유로의 양쪽에 접속됨과 함께, 제1 공급 제어 밸브(55)를 개재해서 제1 결합 유로(51)에 접속되고,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제2 결합 유로(52)에 접속되는 유로이다. 합류 유로(43)는, 제1 토출 유로(41)와 제2 토출 유로(42)가 합류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1 토출 유로(41)와 제2 토출 유로(42)는 합류 유로(43)의 상류측에 대하여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합류 유로(43)의 하류측에 대하여, 제1 결합 유로(51)와 제2 결합 유로(52)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윤활 분기 유로(53)는 합류 유로(43)로부터 분기부(53a)에 있어서 분기되어,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는 유로이다. 그리고 제2 토출구(22a)와 제2 역지 밸브(32)를 접속하는 접속 유로(44)[환언하면, 제2 토출 유로(42)에 있어서의 제2 역지 밸브(32)보다 상류측 부분]로부터 분기하는 유로인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되어 있다. 즉, 분기 유로(45)는 합류 유로(43)를 경유하지 않고[즉, 합류 유로(43)를 바이패스해서] 윤활 분기 유로(53)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 유로(45)는 윤활 분기 유로(53)에 있어서의 제1 윤활 유로(61)와의 접속부보다도 상류측의 접속부(45b)에 있어서,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분기 유로(45)를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유압 펌프(22)가 토출한 오일을, 합류 유로(43)를 거치지 않고,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압력 조절 장치(80)는 합류 유로(43)에 있어서의 적어도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상류측 부분의 유압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조절 장치(80)는 합류 유로(43)의 상기 부분의 유압을, 라인압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에 대하여, 압력 조절 장치(8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압(즉, 라인압)이 공급된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압력 조절 장치(80)에 의해 압력 조절된 유압이 윤활 분기 유로(53)에 공급되는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후술하는 도 4에 도시한 구체예와 같이, 압력 조절 장치(80)와는 별도로, 윤활 분기 유로(53)에 있어서의 적어도 분기 유로(45)의 접속부(45b)를 포함하는 부분의 유압을 조정하는 압력 조절 장치[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압력 조절 밸브(82)]를 설치해도 좋다.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 제어 장치(14)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에 추가하여, 제1 결합 유로(51)의 상류에 설치된 제1 공급 제어 밸브(55)의 상태나, 제2 결합 유로(52)의 상류에 설치된 제2 공급 제어 밸브(56)의 상태도 제어한다.
밸브 제어 장치(14)는 C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를 핵심 부재로서 구비함과 함께, RAM이나 ROM 등의 기억 장치 등을 갖고 구성된다. 그리고 ROM 등에 기억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또는 별도로 설치된 연산 회로 등의 하드웨어, 또는 그들의 양쪽에 의해, 밸브 제어 장치(14)가 실행하는 각 기능이 실현된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밸브 제어 장치(14)는 차량 전체를 통합해서 제어하는 차량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서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밸브 제어 장치(14)와 차량 제어 유닛은, 각종 정보를 공유함과 함께 협조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차량 제어 유닛은, 밸브 제어 장치(14) 외에도, 회전 전기기기(MG)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회전 전기기기 제어 장치나 내연 기관(E)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 사이에서도 서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차량에 구비된 각종 센서(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 차속 센서, 유온 센서 등)에 의한 검출 결과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14)는 직접 또는 차량 제어 유닛을 개재하여, 제2 유압 펌프(22)의 구동력원인 전동 모터(23)의 동작 제어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제어 장치(14)는, 차량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용 구동 장치(1)의 제어 상태에 따라, 각 밸브의 상태를 제어함과 함께, 제2 유압 펌프(22)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작동 전압 등)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유로(45)는 윤활 분기 유로(53)의 접속부(45b)보다 하류측의 부분을 개재해서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된 상태는,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를 연통한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를 연통한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러한 연통 상태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84)와,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8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분기 제어 밸브부(84)와 윤활 제어 밸브부(85)가 서로 독립된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분기 제어 밸브부(84)는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연통하는 상태와,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분기 제어 밸브부(84)는 밸브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제어 신호, 또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제어되는 다른 밸브(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 유압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 밸브이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분기 제어 밸브부(84)는 분기 유로(45)에 설치되어 있다. 분기 제어 밸브부(84)는 분기 유로(45)에 있어서의 분기 제어 밸브부(84)보다 상류측 부분에 접속된 입력 포트(84a)와, 분기 유로(45)에 있어서의 분기 제어 밸브부(84)보다 하류측 부분에 접속된 출력 포트(84b)와, 이들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체(스풀)를 갖는다.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체의 위치에 따라, 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포트(84a)와 출력 포트(84b)가 연통하는 상태와,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포트(84a)와 출력 포트(84b)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가 전환된다. 입력 포트(84a)와 출력 포트(84b)가 연통하는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연통하는 상태가 되고, 입력 포트(84a)와 출력 포트(84b)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의 상태가 된다.
윤활 제어 밸브부(85)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1 유량과, 당해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윤활 제어 밸브부(85)도, 분기 제어 밸브부(84)와 마찬가지로, 밸브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제어 신호, 또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제어되는 다른 밸브(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 유압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 밸브이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윤활 제어 밸브부(85)는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량은, 예를 들어 제1 유량의 10분의 1의 유량 또는 20분의 1의 유량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2 유량을 0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윤활 제어 밸브부(85)는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와,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 후자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윤활 제어 밸브부(85)는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된 입력 포트(85a)와,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출력 포트(85b)와, 이들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체(스풀)를 갖는다.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체의 위치에 따라, 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포트(85a)와 출력 포트(85b)가 연통하는 상태와,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포트(85a)와 출력 포트(85b)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가 전환된다. 입력 포트(85a)와 출력 포트(85b)가 연통하는 상태에서는,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환언하면,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인 상태]가 되고, 입력 포트(85a)와 출력 포트(85b)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에서는,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의 상태[환언하면,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인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밸브 제어 장치(14)는, 윤활 제어 밸브부(85)의 상태를,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윤활 제어 밸브부(85)의 상태를 제어하여,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인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발열량이 큰 경우에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많은 오일을 공급하여,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적절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내연 기관(E) 및 회전 전기기기(MG) 중 적어도 한쪽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 중 적어도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된다. 그로 인해, 제1 윤활 유로(61)에는 합류 유로(43) 및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합류 유로(43)를 개재하여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및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대해서도 공급된다. 이때, 변속용 결합 장치(C1)는 직결 결합 상태 또는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된다. 따라서,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하여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한편,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윤활 제어 밸브부(85)의 상태를 제어하여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0)인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발열량이 작은 경우에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공급하는 오일의 양을 줄이거나, 또는 0으로 함으로써, 분리용 결합 장치(C0)에서의 오일의 교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드래그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합류 유로(43)를 개재해서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및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대해서도 공급된다. 이때, 변속용 결합 장치(C1)는 직결 결합 상태 또는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된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해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제2 결합 유로(52)에만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고,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직결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제어하여,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연통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도 구동되어,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분기 유로(45) 및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발열량이 큰 경우에,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에 추가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냉각 성능을 적절하게 확보하면서,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제어하여,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는 기본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분기 유로(45)에 다른 유로[후술하는 도 4에 도시한 구체예에서는 제4 윤활 유로(64)]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유압 펌프(22)를 구동시켜서,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윤활 분기 유로(53)에는 공급되지 않고 당해 다른 유로에 공급되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밸브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 중 적어도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제1 공급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급 상태에 있어서,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 및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양쪽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연 기관(E)의 토크에만 의해 차량을 발진시킬 경우에,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입력축(I)의 회전이 출력축(O)에 전달된다. 즉, 밸브 제어 장치(14)를 갖는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내연 기관(E)의 회전 운전 중에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할 경우에, 환언하면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입력축(I)의 회전을 출력축(O)에 전달하는 경우에, 제1 공급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온이 높아짐에 따라서 오일의 점도가 저하되고, 펌프의 내부, 밸브의 내부, 또는 유로의 접속부 등에 있어서 오일이 누설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도 3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차량용 구동 장치(1)에 공급할 수 있는 오일의 공급 유량은, 유온이 높아짐에 따라서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유압 펌프(22)는 전동 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펌프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모터(23)로서 회전 전기기기(MG)보다 소형의 회전 전기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전동 모터(23)는 회전 전기기기(MG) 또는 내연 기관(E)에 비하여 장시간 연속해서 출력 가능한 토크의 최댓값이 작다. 즉, 전동 모터(23)는 회전 전기기기(MG) 및 내연 기관(E)보다 출력 가능 토크가 낮지만 최고 회전 속도가 높은 고회전 저토크형의 회전 전기기기이다. 따라서, 제2 유압 펌프(22)는 제1 유압 펌프(21)에 비하여, 토출압이 낮지만 공급 유량을 많이 확보하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제2 유압 펌프(22)에 대해서는, 유온이 높고 오일의 점도가 저하된 상태에서도, 펌프 로터의 회전 속도를 높게 해서 공급 유량을 확보하기 쉽고, 한편 유온이 낮고 오일의 점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펌프 로터의 구동 토크의 부족에 의해 공급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도 3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차량용 구동 장치(1)에 공급할 수 있는 오일의 공급 유량은, 유온이 낮아짐에 따라서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에 비추어,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연통하는 상태로 전환하지만, 유온이 미리 정해진 암계치보다 낮아진 경우에는,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로 전환하여, 제2 유압 펌프(22)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유압 펌프(21)의 토출 용량은, 제2 유압 펌프(22)의 토출 용량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의 양쪽이 구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역지 밸브(32)는 기본적으로 폐쇄 상태가 되고,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합류 유로(43)에는 공급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분기 유로(45)에만 공급된다. 즉,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2 유압 펌프(22)의 동작 상태에 상관없이,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를 출력축(O)에 전달시킬 경우(즉, 전동 주행 모드를 실행할 경우)에는, 제1 유압 펌프(21)가 회전 전기기기(MG)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2 역지 밸브(32)가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출력 토크를 출력축(O)에 전달시키기 위해서, 제1 공급 제어 밸브(55)에 의해 제1 결합 유로(51)에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함과 함께,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의해 제2 결합 유로(52)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를 출력축(O)에 전달시킬 경우에는, 제2 결합 유로(52)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제1 결합 유로(51)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제2 공급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내연 기관(E) 및 회전 전기기기(MG)의 양쪽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유압 펌프(21)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이 상태에서 차량용 구동 장치(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2 유압 펌프(22)를 구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유압 펌프(22)를 구동할 경우에는,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제어 상태에 상관없이,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제어하여,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합류 유로(43)와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동 주행 모드에서 차량을 발진시킬 경우에는, 제1 유압 펌프(21)의 토출압이 어느 정도 높아질 때까지의 동안에는, 제2 유압 펌프(22)를 작동시킴과 함께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를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로 전환하여, 제2 결합 유로(52)에 대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공급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제1 역지 밸브(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그 후, 회전 전기기기(MG)의 회전 속도가 상승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1 유압 펌프(21)의 토출압이 제2 유압 펌프(22)의 토출압보다 높아지면, 제1 역지 밸브(31)가 개방 상태, 제2 역지 밸브(32)가 폐쇄 상태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공급 상태가 된다.
1-3. 오일 공급 장치의 구체예
이어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오일 공급 장치(10)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가 분기 제어 밸브부(84)와 윤활 제어 밸브부(85)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1개의 전환 밸브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89)(도 4의 예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는 제어 밸브(8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유압에 따라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는 분기 유로(45)에 있어서의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보다 상류측 부분에 접속된 제1 입력 포트(83a)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된 제2 입력 포트(83b) 및 제3 입력 포트(83c)와, 분기 유로(45)에 있어서의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보다 하류측 부분에 접속된 제1 출력 포트(83d)와, 제5 윤활 유로(65)에 접속된 제2 출력 포트(83e)와,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제3 출력 포트(83f)와, 이들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체(스풀)를 갖는다. 그리고 제어 밸브(89)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체의 위치에 따라,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입력 포트(83a)와 제1 출력 포트(83d)가 연통함과 함께 제2 입력 포트(83b)와 제3 출력 포트(83f)가 연통하는 제1 전환 상태와,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2 입력 포트(83b)와 제2 출력 포트(83e)가 연통함과 함께 제3 입력 포트(83c)와 제3 출력 포트(83f)가 연통하는 제2 전환 상태가 전환된다.
제1 전환 상태는, 도 2에 있어서 분기 제어 밸브부(84) 및 윤활 제어 밸브부(85)의 각각을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 상당하고,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연통하는 상태가 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인 상태가 된다. 한편, 제2 전환 상태는, 도 2에 있어서 분기 제어 밸브부(84) 및 윤활 제어 밸브부(85)의 각각을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 상당하고, 분기 유로(45)와 윤활 분기 유로(53)가 비연통의 상태가 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인 상태가 된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제2 유량은 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윤활 분기 유로(53)에 있어서의 제2 입력 포트(83b)와의 접속 부분에 제1 오리피스(91)를 설치하고, 윤활 분기 유로(53)에 있어서의 제3 입력 포트(83c)와의 접속 부분에 제1 오리피스(91)보다도 직경(유로 직경)이 작은 제2 오리피스(92)를 설치함으로써, 제2 유량을 제1 유량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제2 전환 상태에 있어서 제2 입력 포트(83b)와 제2 출력 포트(83e)가 연통하므로, 제5 윤활 유로(65)에 대하여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오일이 공급된다. 이때의 오일의 공급 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오리피스(93)가 제5 윤활 유로(65)에 있어서의 제2 출력 포트(83e)와의 접속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한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 제어에 대해서는,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하지만, 본 구체예에서는 분기 제어 밸브부(84)의 상태와 윤활 제어 밸브부(85)의 상태가 연동해서 전환된다. 그리고 본 구체예에서는, 도 2의 경우와는 달리,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즉, 제2 전환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유압 펌프(21) 또는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된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분기 유로(45)에 상류측을 향하는 오일의 유통을 규제하는 제3 역지 밸브(33)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분기 유로(45)에는 제4 윤활 유로(64)가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에 상관없이, 제2 유압 펌프(22)를 구동함으로써, 제4 윤활 유로(64)에 대하여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회전 전기기기(MG)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압력 조절 장치(80)로서 제1 압력 조절 밸브(81)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압력 조절 밸브(81)는 합류 유로(43)의 유압을 라인압으로 압력 조절하는 밸브이며, 윤활 분기 유로(53)에 있어서의 분기부(53a)와 접속부(45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제1 압력 조절 밸브(81)로부터의 잉여 오일의 유압을 라인압보다도 낮은 설정 유압으로 압력 조절하는 제2 압력 조절 밸브(8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압력 조절 밸브(82)는 윤활 분기 유로(53)의 제1 압력 조절 밸브(81)보다 하류측 부분의 유압을 상기 설정 유압으로 압력 조절하는 밸브이며, 본 구체예에서는 제2 압력 조절 밸브(82)로부터의 잉여 오일이 쿨러를 개재하여 제3 윤활 유로(63)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제1 압력 조절 밸브(81)나 제2 압력 조절 밸브(82)는, 압력 조절에 수반하는 드레인 오일을 석션 유로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석션 유로는, 오일을 제1 유압 펌프(21)나 제2 유압 펌프(22)의 흡입 유로에 있어서의 스트레이너보다 하류측으로 복귀시키는 유로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므로, 본 구체예에서는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에 있어서의 제2 압력 조절 밸브(82)에 의한 압력 조절 대상 부분에 접속된다. 따라서, 분기 유로(45)가 제1 압력 조절 밸브(81)에 의한 압력 조절 대상 부분에 접속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분기 유로(45)를 개재하여 윤활 분기 유로(53)에 공급할 때에 제2 유압 펌프(22)에 요구되는 토출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를 제1 전환 상태로 전환해서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과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양쪽을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할 때에,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많은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상태 제어부(13)가 윤활 분기 유로(5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유로(45)가 제2 역지 밸브(32)의 하류 유로[예를 들어 합류 유로(43)]를 거치지 않고,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와,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있다.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는, 분기 유로(45)에 접속된 입력 포트(83g)와,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출력 포트(83h)와, 이들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체(스풀)를 갖는다.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체의 위치에 따라, 도 5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포트(83g)와 출력 포트(83h)가 연통하는 상태와, 도 5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포트(83g)와 출력 포트(83h)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가 전환된다. 입력 포트(83g)와 출력 포트(83h)가 연통하는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가 되고, 입력 포트(83g)와 출력 포트(83h)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의 상태가 된다.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를 제어하여,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도 구동되고,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분기 유로(45)를 개재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제1 윤활 유로(61)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급 상태에 있어서,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 및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 중,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만이 공급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윤활 유로(61)에, 예를 들어 하류측으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1 유량과, 당해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전환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를 제어하여,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의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는 기본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14)는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유압 펌프(22)를 구동할 경우에, 기본적으로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의 상태를 제어하여,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제1 윤활 유로(61)에는 공급되지 않고, 합류 유로(43)와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하여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공급된다.
3.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분리용 결합 장치(C0)만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구동 장치(1)가, 상황에 따라,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한쪽 또는 양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입력축(I)의 회전을 출력축(O)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10)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와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양쪽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여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는 일 없이 직접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4에 도시한 구체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공급 장치(10)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1 윤활 유로(61)에 추가하여, 변속용 결합 장치(C1)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2 윤활 유로(62)를 구비하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제1 윤활 유로(61)에의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와, 제2 윤활 유로(62)에의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의 양쪽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윤활 유로」에 상당하고,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 및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의 양쪽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통 상태 제어 밸브」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 분기 유로(53)는 합류 유로(43)로부터 분기부(53a)에 있어서 분기한 후,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에 각각 접속된다. 즉, 윤활 분기 유로(53)는, 그 하류측에 있어서,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를 개재하여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는 유로와,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개재하여 제2 윤활 유로(62)에 접속되는 유로로 병렬로 분기한다. 마찬가지로, 분기 유로(45)도 접속 유로(44)로부터 분기한 후,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에 각각 접속된다. 즉, 분기 유로(45)는, 그 하류측에 있어서,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를 개재하여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는 유로와,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개재하여 제2 윤활 유로(62)에 접속되는 유로로 병렬로 분기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유로(45)는 접속 유로(44)로부터 분기한 후,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는 일 없이,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에 각각 접속된다. 밸브 제어 장치(14)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 제1 공급 제어 밸브(55), 제2 공급 제어 밸브(56)의 상태를 제어한다.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는,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윤활용 유로인 제1 윤활 유로(61)에의 오일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87)와,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1 윤활 유로(61)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88)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는 분기 제어 밸브부(87)와 윤활 제어 밸브부(88)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1개의 전환 밸브로 되어 있다. 분기 제어 밸브부(87)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와,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윤활 제어 밸브부(88)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1 유량과, 당해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의 상태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8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유압에 따라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는 분기 유로(45)에 있어서의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보다 상류측 부분에 접속된 제1 입력 포트(86a)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된 제2 입력 포트(86b) 및 제3 입력 포트(86c)와,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제1 출력 포트(86d)와, 제5 윤활 유로(65)에 접속된 제2 출력 포트(86e)와,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제3 출력 포트(86f)와, 이들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체(스풀)를 갖는다. 그리고 제어 밸브(89)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체의 위치에 따라,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입력 포트(86a)와 제1 출력 포트(86d)가 연통함과 함께 제2 입력 포트(86b)와 제3 출력 포트(86f)가 연통하는 제1 전환 상태와,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2 입력 포트(86b)와 제2 출력 포트(86e)가 연통함과 함께 제3 입력 포트(86c)와 제3 출력 포트(86f)가 연통하는 제2 전환 상태가 전환된다.
제1 전환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연통하는 상태가 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인 상태가 된다. 한편, 제2 전환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가 비연통의 상태가 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인 상태가 된다. 도 4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제2 오리피스(92)의 직경(유로 직경)을 제1 오리피스(91)보다도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2 유량은 제1 유량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는,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윤활용의 유로인 제2 윤활 유로(62)에의 오일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는,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95)와, 윤활 분기 유로(53)와 제2 윤활 유로(62)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96)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는 분기 제어 밸브부(95)와 윤활 제어 밸브부(96)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1개의 전환 밸브로 되어 있다. 분기 제어 밸브부(95)는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가 연통하는 상태와,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윤활 제어 밸브부(96)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1 유량과, 당해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의 상태는, 밸브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유압에 따라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는 분기 유로(45)에 있어서의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보다 상류측 부분에 접속된 제1 입력 포트(94a)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된 제2 입력 포트(94b) 및 제3 입력 포트(94c)와, 제2 윤활 유로(62)에 접속된 제1 출력 포트(94d)와, 제2 윤활 유로(62)에 접속된 제2 출력 포트(94f)와, 이들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의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체(스풀)를 갖는다. 그리고 제어 밸브(90)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체의 위치에 따라,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입력 포트(94a)와 제1 출력 포트(94d)가 연통함과 함께 제2 입력 포트(94b)와 제2 출력 포트(94f)가 연통하는 제1 전환 상태와,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3 입력 포트(94c)와 제2 출력 포트(94f)가 연통하는 제2 전환 상태가 전환된다.
제1 전환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가 연통하는 상태가 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인 상태가 된다. 한편, 제2 전환 상태에서는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가 비연통의 상태가 됨과 함께,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인 상태가 된다.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와 마찬가지로,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라도 제2 오리피스(98)의 직경(유로 직경)을 제1 오리피스(97)보다도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2 유량은 제1 유량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제어 장치(14)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 및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의 상태를,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각각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를,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전환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의 윤활 제어 밸브부(88)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이 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발열량이 큰 경우에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많은 오일을 공급하여,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적절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내연 기관(E) 및 회전 전기기기(MG) 중 적어도 한쪽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된다. 그로 인해, 제1 윤활 유로(61)에는 합류 유로(43) 및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를 제1 전환 상태로 함으로써, 분기 제어 밸브부(87)가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를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도 구동되고,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분기 유로(45)를 개재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발열량이 큰 경우에,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에 추가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냉각 성능을 적절하게 확보하면서,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의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밸브 제어 장치(14)는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를,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2 전환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의 윤활 제어 밸브부(88)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이 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발열량이 작은 경우에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에 대하여 공급하는 오일의 양을 줄임으로써, 분리용 결합 장치(C0)에서의 오일의 교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드래그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를 제2 전환 상태로 함으로써, 분기 제어 밸브부(87)가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를 비연통으로 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의 상태에 따라서 제2 윤활 유로(62)에 공급됨과 함께, 제4 윤활 유로(64)를 개재하여 회전 전기기기(MG)에 공급된다.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 및 분리용 결합 장치(C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밸브 제어 장치(14)는 변속용 결합 장치(C1)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전환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의 윤활 제어 밸브부(96)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1 유량이 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발열량이 큰 경우에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에 대하여 많은 오일을 공급하여,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적절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변속용 결합 장치(C1)가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내연 기관(E) 및 회전 전기기기(MG) 중 적어도 한쪽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된다. 그로 인해, 제2 윤활 유로(62)에는 합류 유로(43) 및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제1 전환 상태로 함으로써, 분기 제어 밸브부(95)가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를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 유압 펌프(22)도 구동되고, 제2 윤활 유로(62)에 대하여 분기 유로(45)를 개재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따라서,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발열량이 큰 경우에,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에 추가하여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제2 윤활 유로(62)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냉각 성능을 적절하게 확보하면서,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의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밸브 제어 장치(14)는 변속용 결합 장치(C1)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2 전환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의 윤활 제어 밸브부(96)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이 제2 유량이 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변속용 결합 장치(C1)의 발열량이 작은 경우에는, 윤활 분기 유로(53)로부터 제2 윤활 유로(62)에 대하여 공급하는 오일의 양을 줄임으로써, 변속용 결합 장치(C1)에서의 오일의 교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드래그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를 제2 전환 상태로 함으로써, 분기 제어 밸브부(95)가 분기 유로(45)와 제2 윤활 유로(62)를 비연통으로 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됨과 함께, 제4 윤활 유로(64)를 개재하여 회전 전기기기(MG)에 공급된다.
또한,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은, 합류 유로(43)를 개재해서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및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대해서도 공급된다. 그리고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미끄럼 결합 상태 또는 직결 결합 상태로 제어되고, 변속용 결합 장치(C1)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분리용 결합 장치(C0)가 해방 상태로 제어되고, 변속용 결합 장치(C1)가 직결 결합 상태 또는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제2 공급 제어 밸브(56)를 개재해서 제2 결합 유로(52)에만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적어도 한쪽이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밸브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이렇게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적어도 한쪽이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 중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되는 결합 장치에 대응하는 유로에 대하여 적어도 제2 유압 펌프(22)[여기에서는 제1 유압 펌프(21) 및 제2 유압 펌프(22)의 양쪽]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제1 공급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연 기관(E)의 토크를 사용해서 차량을 발진시킬 경우에,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입력축(I)의 회전이 출력축(O)에 전달된다. 즉, 밸브 제어 장치(14)를 갖는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내연 기관(E)의 회전 운전 중에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할 경우에, 환언하면,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입력축(I)의 회전을 출력축(O)에 전달할 경우에, 제1 공급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유압 펌프(21)의 토출 용량은, 제2 유압 펌프(22)의 토출 용량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역지 밸브(32)는 기본적으로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제1 유압 펌프(21)가 구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2 유압 펌프(22)의 동작 상태에 상관없이,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및 제2 공급 제어 밸브(56)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를 출력축(O)에 전달시킬 경우(즉, 전동 주행 모드를 실행할 경우)에는, 제1 유압 펌프(21)가 회전 전기기기(MG)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2 역지 밸브(32)가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직결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출력 토크를 출력축(O)에 전달시키기 위해서, 제1 공급 제어 밸브(55)에 의해 제1 결합 유로(51)에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함과 함께,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의해 제2 결합 유로(52)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상태 제어부(13)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를 출력축(O)에 전달시킬 경우에는, 제2 결합 유로(52)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제1 결합 유로(51)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제2 공급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당해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되는 결합 장치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과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양쪽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되어서 발열량이 커지는 결합 장치를 적절하게 윤활 및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분리용 결합 장치(C0)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미끄럼 결합 상태 이외의 상태, 즉 해방 상태 또는 직결 결합 상태로 제어될 경우에는, 그러한 결합 장치에 대하여 공급하는 오일의 양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량이 작은 결합 장치에 다량의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억제하고, 당해 결합 장치에서의 오일의 교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드래그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분기 유로(45)는 접속 유로(44)로부터 분기한 후,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는 일 없이,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에 각각 접속된다. 즉, 분기 유로(45)는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86)가 제1 전환 상태인 경우에는 직접 제1 윤활 유로(61)에 연통하고,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94)가 제1 전환 상태인 경우에는 직접 제2 윤활 유로(62)에 연통한다. 한편,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되는 구성에서는,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윤활 분기 유로(53)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2 유압 펌프(22)에 의해 윤활 분기 유로(53) 내의 유압[여기서는 제2 압력 조절 밸브(82)에 의한 설정 유압] 이상의 유압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지 않고, 오리피스(91, 97)의 하류 제1 윤활 유로(61) 또는 제2 윤활 유로(62)에 분기 유로(45)를 접속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비하여, 제2 유압 펌프(22)에 요구되는 토출압을 더 낮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압 펌프(21)에 비하여 토출압이 낮지만 공급 유량을 많이 확보하기 쉽다고 하는 제2 유압 펌프(22)의 특성을, 한층 더 살릴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4. 차량용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오일 공급 장치(10)가 적용되는 차량용 구동 장치(1)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구동 장치(1)의 구성을 제1 구성으로 하고,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을 제2 구성으로 하고, 도 8에 나타내고 있는 것을 제3 구성으로 한다.
먼저, 도 7의 제2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차량용 구동 장치(1)는 상기 제1 구성과는 달리,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MG)가 내연 기관(E) 및 변속 장치(TM)가 구동 연결된 제1 차륜(W1)과는 다른 제2 차륜(W2)에 구동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연 기관(E)이 변속 장치(TM)를 개재해서 차량의 전후 한쪽 차륜인 제1 차륜(W1)(예를 들어 후륜)을 구동하고, 회전 전기기기(MG)가 변속 장치(TM)를 개재하는 일 없이 차량의 전후 다른 쪽 차륜인 제2 차륜(W2)(예를 들어 전륜)을 구동하는 구성이 된다. 이 제2 구성에서도, 차량용 구동 장치(1)는 내연 기관(E)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축(I)과,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MG)와, 제1 차륜(W1)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축(O)과,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함과 함께 입력축(I)의 회전을 변속해서 출력축(O)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TM)와, 입력축(I)을 변속 장치(TM)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차량용 구동 장치(1)는 입력축(I)으로부터 제1 차륜(W1)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를 따라 입력축(I)측으로부터, 분리용 결합 장치(C0),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한 변속 장치(TM), 출력축(O), 제1 차동 기어 장치(DF1), 제1 차륜(W1)의 순으로 구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 전기기기(MG)는 제2 차동 기어 장치(DF2)를 개재해서 제2 차륜(W2)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입력축(I)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부재」에 상당하고, 출력축(O)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출력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에 연동하는 제1 연동 부재(17) 및 회전 전기기기(MG)에 연동하는 제2 연동 부재(18)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구성에서는, 제1 연동 부재(17)는 입력축(I)과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제2 연동 부재(18)는 출력축(O)과 항상 연결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2 구성에서는 제1 유압 펌프(21)의 구동축이 구동 부재(2)와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부재(2)가 제1 원웨이 클러치(11)를 개재해서 입력 구동 부재(25)에 구동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제2 원웨이 클러치(12)를 개재해서 출력 구동 부재(2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 구동 부재(25)와 출력 구동 부재(26)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된다. 입력 구동 부재(25)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해서 입력축(I)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항상 연결되어 있다. 출력 구동 부재(26)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해서 출력축(O)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항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하고,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를 제2 차륜(W2)에 전달해서 차량을 주행시키고 있는 상황에서는, 제2 차륜(W2)에 전달된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 및 회전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면을 거쳐 제1 차륜(W1)에 전달되고,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출력축(O)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출력 구동 부재(26)는 출력축(O), 제1 차륜(W1),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면 및 제2 차륜(W2)을 개재하여, 회전 전기기기(MG)에 연동한다. 따라서, 이 제2 구성에서는, 입력 구동 부재(25)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연동 부재(17)」에 상당하고, 출력 구동 부재(26)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연동 부재(18)」에 상당한다. 또한, 도 7에서는,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이나 회전 전기기기(MG)와는 다른 축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유압 펌프(21)가 입력축(I)이나 회전 전기기기(MG)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제2 구성에 있어서도, 제2 유압 펌프(22)는 제1 유압 펌프(21)의 구동력원과는 다른 구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용의 구동력원으로서의 회전 전기기기[전동 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펌프이다.
이어서, 도 8의 제3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차량용 구동 장치(1)는, 상기 제1 구성과는 달리,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MG)가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변속 장치(TM)와 차륜(W) 사이에 구동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3 구성에서도, 차량용 구동 장치(1)는 내연 기관(E)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축(I)과,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MG)와, 제1 차륜(W1)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축(O)과,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함과 함께 입력축(I)의 회전을 변속해서 출력축(O)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TM)와, 입력축(I)을 변속 장치(TM)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차량용 구동 장치(1)는 입력축(I)으로부터 차륜(W)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를 따라 입력축(I)측으로부터, 분리용 결합 장치(C0),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구비한 변속 장치(TM), 회전 전기기기(MG) 및 출력축(O), 차동 기어 장치(DF), 차륜(W)의 순으로 구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 전기기기(MG)는 로터가 출력축(O)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입력축(I)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부재」에 상당하고, 출력축(O)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출력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에 연동하는 제1 연동 부재(17) 및 회전 전기기기(MG)에 연동하는 제2 연동 부재(18)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3 구성에서는, 상기 제2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1 연동 부재(17)는 입력축(I)과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제2 연동 부재(18)는 출력축(O)과 항상 연결된 부재이다. 즉, 이 제3 구성에서도, 입력 구동 부재(25)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해서 입력축(I)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항상 연결되어 있다. 출력 구동 부재(26)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해서 출력축(O)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항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유압 펌프(21)의 구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 부재(2)가 제1 원웨이 클러치(11)를 개재해서 입력 구동 부재(25)에 구동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제2 원웨이 클러치(12)를 개재해서 출력 구동 부재(2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 구동 부재(25)와 출력 구동 부재(26)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1 구성 및 제2 구성에서는, 제1 원웨이 클러치(11)와 제2 원웨이 클러치(12)가 직경 방향에서 보아서 겹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었지만, 제3 구성에서는 이들이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제3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하고,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를 차륜(W)에 전달해서 차량을 주행시키고 있는 상황에서는, 회전 전기기기(MG)의 토크 및 회전은, 그것과 일체 회전하는 출력축(O)에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 구동 부재(26)는 출력축(O)과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해서 회전 전기기기(MG)에 연동한다. 따라서, 이 제3 구성에서는 입력 구동 부재(25)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연동 부재(17)」에 상당하고, 출력 구동 부재(26)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연동 부재(18)」에 상당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제1 유압 펌프(21)는 입력축(I)이나 회전 전기기기(MG)와는 다른 축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유압 펌프(21)가 입력축(I)이나 회전 전기기기(MG)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제3 구성에 있어서도, 제2 유압 펌프(22)는 제1 유압 펌프(21)의 구동력원과는 다른 구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용의 구동력원으로서의 회전 전기기기[전동 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펌프이다.
이 제2 구성(도 7) 및 제3 구성(도 8)에서는, 회전 전기기기(MG)가 변속 장치(TM)를 개재하는 일 없이 차륜(W)[제2 차륜(W2)]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연 기관이 정지 중이며 분리용 결합 장치(C0)를 해방 상태로 제어하고, 회전 전기기기(MG)의 출력 토크에 의해 차륜을 구동하는, 소위 전동 주행 모드에 있어서, 회전 전기기기(MG)의 출력 토크를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서 변속 장치(TM)가 구동력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이들의 구성에서는, 구동 주행 모드에 있어서, 분리용 결합 장치(C0)는 해방 상태가 됨과 함께, 변속 장치(TM)는 변속단을 형성하지 않는 뉴트럴 상태가 되므로 변속용 결합 장치(C1)도 해방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분리용 결합 장치(C0)에 대하여 결합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1 결합 유로(51) 및 변속용 결합 장치(C1)에 대하여 결합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2 결합 유로(52) 중 어느 곳에도 유압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들 제2 구성 및 제3 구성에서는, 상기 제1 구성과는 달리,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제2 공급 상태이다. 이들 제어는, 상술한 제1 공급 제어 밸브(55) 및 제2 공급 제어 밸브(56)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제1 공급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 유로(51) 및 제2 결합 유로(52)의 양쪽에 대하여 제1 유압 펌프(21)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제1 윤활 유로(61) 및 제2 윤활 유로(62) 중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되는 결합 장치에 대응하는 유로에 대하여 적어도 제2 유압 펌프(22)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로 하는 것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5. 그 밖의 실시 형태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관한 그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기 유로(45)가 윤활 분기 유로(53)를 개재하는 일 없이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분기 제어 밸브부(84)는 분기 유로(45)와 제1 윤활 유로(61)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2)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4에 도시하는 구체예에서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되는 입력 포트를 2개 구비하고,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는 출력 포트를 1개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통 상태 제어 밸브(83)가 윤활 분기 유로(53)에 접속되는 입력 포트를 1개 구비함과 함께, 제1 윤활 유로(61)에 접속되는 출력 포트를 2개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제1 전환 상태와 제2 전환 상태에서 당해 1개의 입력 포트에 연통하는 출력 포트가 2개의 출력 포트 사이에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출력 포트로부터 제1 윤활 유로(61)에 공급되는 유량을,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오리피스에 의해 서로 다른 양으로 설정할 수 있다.
(3)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공급 장치(10)가 제4 윤활 유로(64) 및 제5 윤활 유로(65)의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오일 공급 장치(10)가 제4 윤활 유로(64) 및 제5 윤활 유로(65) 중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4) 상기 제1 실시 형태(도 2 및 도 4의 예) 및 제2의 실시 형태(도 5의 예)에서는, 모두 기본적으로 분리용 결합 장치(C0)만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하는 것을 상정하고, 분리용 결합 장치(C0)에만 대해서 윤활 유로[제1 윤활 유로(61)]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분리용 결합 장치(C0) 대신에, 기본적으로 변속용 결합 장치(C1)를 미끄럼 결합 상태로 하고, 변속용 결합 장치(C1)에 대해서만 윤활 유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적합하다.
(5)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출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 부재와, 회전 전기기기와, 차륜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 부재와, 입력 부재 또는 회전 전기기기의 회전을 변속해서 출력 부재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입력 부재를 회전 전기기기 및 변속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용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구동 장치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차량용 구동 장치
10 : 오일 공급 장치
13 : 공급 상태 제어부
14 : 밸브 제어 장치
16 : 로터 지지 부재
17 : 제1 연동 부재
18 : 제2 연동 부재
21 : 제1 유압 펌프
21a : 제1 토출구(토출구)
22 : 제2 유압 펌프
22a : 제2 토출구(토출구)
23 : 전동 모터(전용 구동력원)
31: 제1 역지 밸브
32 : 제2 역지 밸브
43 : 합류 유로
44 : 접속 유로
45 : 분기 유로
51 : 제1 결합 유로
52 : 제2 결합 유로
53 : 윤활 분기 유로
61 : 제1 윤활 유로(윤활 유로)
62 : 제2 윤활 유로(윤활 유로)
80 : 압력 조절 장치
81 : 제1 압력 조절 밸브(압력 조절 장치)
83 : 연통 상태 제어 밸브
84 : 분기 제어 밸브부
85 : 윤활 제어 밸브부
86 : 제1 연통 상태 제어 밸브(연통 상태 제어 밸브)
94 : 제2 연통 상태 제어 밸브(연통 상태 제어 밸브)
C0 : 분리용 결합 장치
C1 : 변속용 결합 장치
E : 내연 기관
I : 입력축(입력 부재)
MG : 회전 전기기기
O : 출력축(출력 부재)
TM : 변속 장치
W : 차륜

Claims (11)

  1. 내연 기관에 구동 연결되는 입력 부재와, 차륜 구동용의 회전 전기기기와, 차륜에 구동 연결되는 출력 부재와, 변속용 결합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을 변속해서 상기 출력 부재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변속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용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구동 장치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 장치이며,
    상기 입력 부재에 연동하는 제1 연동 부재와 상기 회전 전기기기에 연동하는 제2 연동 부재 중 회전 속도가 높은 쪽의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유압 펌프의 구동력원과는 다른 구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유압 펌프와,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 및 상기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윤활 유로와,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에 대하여 결합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1 결합 유로와,
    상기 변속용 결합 장치에 대하여 결합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2 결합 유로와,
    상기 제1 유압 펌프 및 상기 제2 유압 펌프의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각 유로에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공급 상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유로 및 상기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상기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윤활 유로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가 제1 공급 상태이며,
    상기 제2 결합 유로에 대하여 상기 제1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제1 결합 유로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 또는 상기 제1 결합 유로 및 상기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대하여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제2 공급 상태이며,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 및 상기 변속용 결합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미끄럼 결합 상태로 제어해서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을 상기 출력 부재에 전달할 경우에, 상기 제1 공급 상태로 하고,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를 해방 상태로 제어해서 상기 회전 전기기기의 출력 토크를 차륜에 전달시킬 경우에, 상기 제2 공급 상태로 하는, 오일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제1 유압 펌프의 토출구 하류에 설치된 제1 역지 밸브와,
    상기 제2 유압 펌프의 토출구 하류에 설치된 제2 역지 밸브와,
    상기 제1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와 상기 제2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결합 유로와 상기 제2 결합 유로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는 합류 유로와,
    상기 제2 유압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제2 역지 밸브를 접속하는 접속 유로로부터 분기한 유로인 분기 유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연통 상태 제어 밸브와,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의 상태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오일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합류 유로로부터 분기해서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윤활 분기 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윤활 분기 유로를 개재하는 일 없이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오일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오일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상태 제어부는 상기 합류 유로로부터 분기해서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윤활 분기 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윤활 분기 유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분기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오일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또한 상기 윤활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는 윤활 제어 밸브부를 구비하는, 오일 공급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제어 밸브부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가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분기 유로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오일 공급 장치.
  8.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제어 밸브부는 상기 윤활 분기 유로로부터 상기 윤활 유로로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1 유량과, 당해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오일 공급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제2 역지 밸브의 하류 유로를 개재하는 일 없이 상기 윤활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오일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상태 제어 밸브는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연통하는 상태와, 상기 분기 유로와 상기 윤활 유로가 비연통이 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오일 공급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기기는 상기 차량용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변속 장치 사이에 구동 연결되고, 상기 분리용 결합 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회전 전기기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동 부재는 상기 입력 부재와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상기 제2 연동 부재는 상기 회전 전기기기와 항상 연결된 부재이거나 또는
    상기 회전 전기기기는 상기 변속 장치를 개재하는 일 없이 차륜에 구동 연결되고, 상기 제1 연동 부재는 상기 입력 부재와 항상 연결된 부재이며, 상기 제2 연동 부재는 상기 출력 부재와 항상 연결된 부재인, 오일 공급 장치.
KR1020157023162A 2013-03-29 2014-03-28 오일 공급 장치 KR101750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4835 2013-03-29
JPJP-P-2013-074835 2013-03-29
PCT/JP2014/059333 WO2014157689A1 (ja) 2013-03-29 2014-03-28 油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968A true KR20150113968A (ko) 2015-10-08
KR101750642B1 KR101750642B1 (ko) 2017-06-23

Family

ID=5162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162A KR101750642B1 (ko) 2013-03-29 2014-03-28 오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22642B2 (ko)
EP (1) EP2930079B1 (ko)
JP (1) JP6048576B2 (ko)
KR (1) KR101750642B1 (ko)
CN (2) CN107415674B (ko)
WO (1) WO2014157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4363B2 (en) 2016-04-28 2019-09-17 Hyundai Motor Company Oil supply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4078B2 (en) * 2014-02-10 2019-04-30 Honda Motor Co., Ltd. Hydraulic circuit for transmission
US20160061071A1 (en) * 2014-08-27 2016-03-03 Hyundai Motor Company Bypass apparatus of oil-coo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7062012A (ja) * 2015-09-25 2017-03-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6288059B2 (ja) 2015-12-09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CN106956586B (zh) * 2016-01-08 2019-06-0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耦合机构冷却润滑装置及其控制方法
JP6394627B2 (ja) * 2016-03-09 2018-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係合機構の潤滑装置
JP6485477B2 (ja) * 2017-03-16 2019-03-20 マツダ株式会社 可変容量オイルポンプを備えた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20200011410A1 (en) * 2017-03-31 2020-01-09 Aisin Aw Co., Ltd. Oil supply device
DE102017213901A1 (de) * 2017-08-09 2019-02-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uereinheit für ein automatisiertes Schaltgetriebe und zumindest eine Kupplung
JP6572958B2 (ja) * 2017-11-09 2019-09-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装置
CN108128135A (zh) * 2017-12-20 2018-06-08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汽车的动力总成布置结构
JP6954183B2 (ja) * 2018-02-28 202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US11739834B2 (en) 2018-04-27 2023-08-29 Aisin Corporation Oil supply device and vehicle drive transmission device
US10843702B2 (en) * 2018-06-06 2020-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oil leak determination
WO2020090550A1 (ja) * 2018-11-01 2020-05-07 Kyb株式会社 作動流体供給装置
JP7028141B2 (ja) * 2018-11-14 2022-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両用トランスファ
CN113396091A (zh) * 2019-02-06 2021-09-14 株式会社爱信 车辆用驱动装置的控制装置
KR20220022506A (ko) * 2020-08-18 2022-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오일 펌프의 제어방법
DE102022109970A1 (de) * 2022-04-26 2023-10-26 Audi Aktiengesellschaft Getriebemotor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m Getriebemo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713B2 (ja) * 2000-12-28 2010-11-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オイルポンプの駆動制御装置
CN2850703Y (zh) * 2005-12-02 2006-12-27 贵阳铝镁设计研究院 球磨机液压系统
DE102009042933A1 (de) 2008-11-13 2010-05-20 Daimler Ag Antriebsstranganordnung
JP5086232B2 (ja) * 2008-12-16 2012-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
CN102414483B (zh) * 2009-05-13 2015-04-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无级变速器的液压装置
JP5786216B2 (ja) * 2010-11-02 2015-09-30 ジヤトコ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5501937B2 (ja) * 2010-11-02 2014-05-28 ジヤトコ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CN103269932A (zh) * 2011-03-30 2013-08-28 爱信艾达株式会社 混合动力驱动装置
JP5557044B2 (ja) * 2011-03-31 2014-07-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5578127B2 (ja) * 2011-03-30 2014-08-2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4363B2 (en) 2016-04-28 2019-09-17 Hyundai Motor Company Oil supply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8576B2 (ja) 2016-12-21
US20150367793A1 (en) 2015-12-24
EP2930079A4 (en) 2016-06-01
KR101750642B1 (ko) 2017-06-23
JPWO2014157689A1 (ja) 2017-02-16
CN105026233A (zh) 2015-11-04
US9522642B2 (en) 2016-12-20
CN107415674A (zh) 2017-12-01
WO2014157689A1 (ja) 2014-10-02
CN107415674B (zh) 2019-11-05
EP2930079B1 (en) 2017-04-19
EP2930079A1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642B1 (ko) 오일 공급 장치
US10124756B2 (en) Hybrid vehicle
US10183567B2 (en) Vehicle drive device
US9803658B2 (en) Vehicle hydraulic control device
WO2013065677A1 (ja) 車両用駆動装置
CN107336597B (zh) 车辆的供油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555845B (zh) 车辆用动力传递装置的冷却装置
US9777828B2 (en) Fluid supply device
CN110431332B (zh) 油供给装置
JP6130688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装置
JP201012604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
WO2013097880A1 (en) Hydraulically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vehicular drive line provided with an engine
WO2008130059A1 (ja) 油圧制御装置
US20180135743A1 (en) Multi-pressure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ly variable automatic transmission
US20160201796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0557547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JP2015197175A (ja) オイル供給装置
JP5115465B2 (ja) 駆動装置
JP6005384B2 (ja) 変速機の潤滑油供給装置
CN115717646A (zh) 变速器液压系统和用于操作液压系统的方法
JP5940844B2 (ja) 油圧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1052795A (ja) 車両用伝動機構の油圧制御装置
JP6943203B2 (ja) 油供給装置
JP2014126070A (ja) 油圧供給装置
KR20200047337A (ko) 유압 기어 박스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