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352A - 액면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액면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352A
KR20150109352A KR1020157018163A KR20157018163A KR20150109352A KR 20150109352 A KR20150109352 A KR 20150109352A KR 1020157018163 A KR1020157018163 A KR 1020157018163A KR 20157018163 A KR20157018163 A KR 20157018163A KR 20150109352 A KR20150109352 A KR 20150109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rame
circuit board
float arm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835B1 (ko
Inventor
데츠야 사토
아키라 사카마키
다카유키 야마우라
시게키 고이데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0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means to prevent fault-level readings due to turbulence of the fluid, e.g. special floa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3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홀더를 프레임에 강고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면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액면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로기판을 회전시키는 홀더(2)와, 회로기판(4)의 전극부와 접촉되는 접점부(5A)를 구비한 탄성편(5D)을 갖는 단자(5)와, 단자(5)의 일부를 내장하는 프레임(1)을 구비한 액면검출장치(F)에서, 프레임(1)의 외주 부분에 홀더(2)에 유지되는 플로트 아암(3)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14)를 구비하고, 홀더(2)에 베어링부(14)를 사이에 배치하는 상부편(2A)과 하부편(2B2)을 갖는 유지부(2B)를 구비하고, 프레임(1)은 홀더(2)의 유지부(2B)의 하부편(2B2)이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안내부(17)와, 유지부(2B)의 하부편(2B2)이 홀더(2)이 회전축(S)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안내부(18)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액면검출장치{LIQUID-SURFAC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내의 연료의 액면을 검출하는 액면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면검출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액먼검출장치는 액면에 뜨는 플로트를 구비한 플로트 아암과, 플로트 아암을 유지하고 플로트 아암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아암 홀더와, 아암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액면검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베어링부를 설치하고, 아암 홀더에 베어링부에 삽입되는 축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부에 걸림고정조를 구비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고정편을 설치하며, 축부를 베어링부에 삽입하고, 걸림고정조로 베어링부의 걸어맞춤부에 걸어 고정하고, 아암 홀더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41553호
그러나, 종래의 액면검출장치는 홀더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는 아암 홀더에 설치한 걸림고정조로, 프레임의 베어링부의 걸어맞춤부에 걸어 고정할 뿐이고, 보다 강고하게 홀더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홀더를 프레임에 강고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면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면검출장치는 액면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기판을 회전시키는 홀더와, 회로기판의 전극부와 접촉되는 접점부를 구비한 탄성편을 갖는 단자와, 상기 단자의 일부를 내장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액면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주부분에 상기 홀더에 유지되는 플로트 아암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베어링부를 사이에 배치하는 상부편과 하부편을 갖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홀더의 유지부의 하부편이 상기 홀더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안내부와, 상기 유지부의 하부편이 상기 홀더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안내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부는 상기 홀더측으로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프레임의 제2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를 안내하는 제3 안내부를 상기 홀더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유지부의 상부편과 하부편에 상기 플로트를 일단부에 유지한 플로트 아암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홀더의 표면에 상기 홀더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개구하고, 상기 플로트 아암을 유지하는 제1 걸림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트 아암이 제1 걸림고정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용 제2 걸림고정부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아암 홀더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제2 스토퍼부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 측면을 따라서 뻗어있는 수하부를 상기 홀더에 설치하고, 상기 수하부에 제1, 제2 스토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설치하며, 상기 제1, 제2 스토퍼부와 상기 수하부의 접촉면이 이루는 각도를 거의 직교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제1, 제2 스토퍼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보다 낮은 볼록 형상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제2 스토퍼부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제1, 제2 스토퍼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벽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홀더를 프레임에 강고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면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액면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액면검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단자와 배선코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단자와 배선코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의 프레임과 배선코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실시형태의 부착부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의 프레임과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프레임과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형태의 액면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실시형태의 액면검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 중 A-A선의 액면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액면검출장치(F)는 프레임(1), 홀더(2), 플로트 아암(3), 회로기판(4) 및 단자(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5)에는 배선코드(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면검출장치(F)는 연료펌프나 부착 스테이 등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부착부(7)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은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11), 스토퍼부(12), 후크부(13) 및 베어링부(1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1)에는 단자(5)의 일부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내장하고 있다.
베이스부(11)는 홀더(2)의 회전축(S) 방향(도 13 중의 상하 방향)으로 개구한, 4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제1~제4 개구부(1A~1D)를 구비하고 있고, 제1 개구부(1A)와 제3 개구부(1C), 제2 개구부(1B)와 제4 개구부(1D)가, 1조가 되어 2개의 각 단자(5)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제1, 제3 개구부(1A, 1C)에는 후술하는 단자(5)의 접점부(5A)를 구비한 탄성편(5D)이 노출되어 있고, 단자(5)의 접점부(5A)와 탄성편(5D)의 포밍 형성시에 사용된다. 제2, 제4 개구부(1B, 1D)는 후술하는 단자(5)의 코킹부(5B)가 노출되어 있고, 코킹부(5B)의 코킹 작업시에 사용된다.
제2, 제4 개구부(1B, 1D)는 프레임(1)으로부터 일체로 형성한 보호벽(15)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단자(5)의 코킹부(5B)를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이 보호벽(15)에는 배선코드(6)를 보호벽(15)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코드 인출부(16)로서,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코드 인출부(16)는 관통 구멍이어도 좋다.
또한, 제1 개구부(1A)의 부착부(7)측에는 후술하는 부착부(7)의 위치결정부(7B)가 끼워지는 슬라이드 가이드(1A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가이드(1A1)는 위치결정부(7B)와 동일하게 T자 형상이고, 위치결정부(7B)가 끼워지도록 위치결정부(7B)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12)는 홀더(2)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고, 제1 스토퍼부(12A)와 제2 스토퍼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토퍼부(12A)는 배선코드(6)를 인출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베이스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이다. 제2 스토퍼부(12B)는 베어링부(14)와는 반대측에, 베이스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이다.
또한,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는 돌출된 볼록형상부이다. 상기 볼록형상부의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의 두께는 프레임(1) 측면의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다.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의 두께는 프레임(1)의 측면의 두께의 약 1/2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성형에 의한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의 변형을 억제하고, 양호한 평면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에 의해 홀더(2)의 회전각도, 즉 플로트 아암(3)의 동작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스토퍼부(12A, 12B)를 볼록 형상으로 함으로써, 홀더(2)의 회전각도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 근방에는 홀더(2)가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12A2, 12B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탈방지벽(12A2, 12B2)은 홀더(2)의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여, 홀더(2)보다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후크부(13)는 걸림고정부(13A)와 탄성편(13B)을 구비하고 있고, 탄성편(13B)은 탄성 변형 가능하며, 베이스부(11)의 제2 스토퍼부(12B)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며, 단자(5)의 코킹부(5B)측을 향하여, 또한 부착부(7)의 부착면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상기 탄성편(13B)의 선단에 걸림고정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13A)는 부착부(7)에 설치되는 걸림고정부(7A)에 걸어 맞추어지고, 프레임(1)이 부착부(7)에 고정된다.
프레임(1)을 부착부(7)에 고정하는 데에는 부착부(7)의 위치결정부(7B)를 슬라이드 가이드(1A1)에 삽입하고,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C방향으로 프레임(1)을 부착부(7)의 부착면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걸림고정부(13A)를 걸어맞춤부(7A)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고정이 완료된다. 또한, 도 1의 7C는 제2 위치결정부이고, 프레임(1)을 부착부(7)에 고정시킬 때의 이동방향(도 1 중의 화살표 C방향)에 대해서 부착부(7)의 부착면을 따른 수직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베어링부(14)는 프레임(1)의 외주부분에 설치되어 홀더(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플로트 아암(3)의 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관통구멍(14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부(14)는 회전축(S) 방향에서 홀더(2)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4B)는 홀더(2)를 프레임(1)에 부착할 때,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1)에는 제1 안내부(17)와 제2 안내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안내부(17)는 홀더(2)의 후술하는 유지부의 하부편이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홈이다. 상기 제1 안내부(17)는 베어링부(14)의 관통구멍(14A)보다 프레임(1)의 내측, 다시 말하면 단자(5)의 길이방향과 회전축(S)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근접한 위치까지 움푹 들어가 있다. 또한, 제2 안내부(18)는 홀더(2)의 후술하는 유지부의 하부편이,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단자(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홈이다. 상기 제2 안내부(18)는 베어링부(14)의 관통구멍(14A)보다 프레임(1)의 내측, 다시 말하면 단자(5)의 길이방향과 회전축(S)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근접한 위치까지 움푹 들어가 있고, 상기 제2 안내부(18)에 베어링부(14)의 부착부(7)측의 관통구멍(14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안내부(18)와 제1 안내부(17)는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부(11)에 설치된 2개의 구멍(11A)은 프레임(1)에 단자(5)를 인서트 성형할 때 단자(5)를 위치 결정하는 핀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구멍(11A)들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 구멍(11B)은 프레임(1)의 성형시에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에 의해 일체였던 단자(5)의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멍(11B)에 절단하는 용구를 삽입하고, 단자(5)를 분단하는 것이다.
홀더(2)는 액면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로기판(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홀더(2)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4)을 배치하는 판형상의 회로기판 수납부(2A)와, 프레임(1)의 베어링부(14)를 사이에 배치하는 "コ"자 형상의 유지부(2B)와, 플로트 아암(3)을 유지하는 제1, 제2 걸림고정부(2C1, 2C2)와, 프레임(1)의 스토퍼부(12)에 접촉되는 접촉면(2D)을 갖는 수하부(2E)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기판 수납부(2A)는 회로기판(4)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전극부를 표면에 노출시키도록 배치하고, 또한 수납부(2A)에서 복수의 후크부(2A1)에 의해 회로기판(4)의 외주부를 고정한다.
유지부(2B)는 상부편을 겸용하는 회로기판 수납부(2A)와 하부편(2B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회로기판 수납부(2A)와 하부편(2B2) 사이에 베어링부(14)가 배치된다. 회로기판 수납부(2A)와 하부편(2B2)에는 각각 관통구멍(2A2, 2B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2A2, 2B3)에는 플로트 아암(3)의 단부가 삽입된다. 플로트 아암(3)을 프레임(1)과 홀더(2)의 관통구멍(14A, 2A2, 2B3)에 삽입함으로써 플로트 아암(3)이 관통구멍(14A) 및 관통구멍(2A2, 2B3)을 관통하고, 홀더(2)가 프레임(1)의 베어링부(14)에 조합되며, 플로트 아암(3)의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홀더(2)가 프레임(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걸림고정부(2C1)와 제2 걸림고정부(2C2)는 홀더부(2)의 회로기판 수납부(2A)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고정부(2C1)는 홀더(2)의 표면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2C3)를 구비한 C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플로트 아암(3)을 홀더(2)의 표면을 따른 수평방향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다.
제2 걸림고정부(2C2)는 플로트 아암(3)을 제1 걸림고정부(2C1)에 장착한 후, 플로트 아암(3)이 제1 걸림고정부(2C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빠짐방지부이고,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구성이다. 따라서, 플로트 아암(3)을 제1 걸림고정부(2C1)에 끼워넣을 때, 제2 걸림고정부(2C2)가 회로기판(4)측으로 변형하여 플로트 아암(3)을 제1 걸림고정부(2C1)로 유도 가능하게 하고, 플로트 아암(3)을 제1 걸림고정부(2C1)에 고정한 후, 제2 걸림고정부(2C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플로트 아암(3)이 제1 걸림고정부(2C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수하부(2E)는 홀더(2)를 프레임(1)에 부착했을 때, 프레임(1)의 측면을 따라서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수하부(2E)는 홀더(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가 되는, 홀더(2)의 회로기판 수납부(2A)의 모서리부에 직각인 L자 형상의 벽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접촉면(2D)은 이 수하부(2E)의 홀더(2)의 회전축(S) 방향으로 연장된 단면이고, 각각 프레임(1)의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와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면(2D)이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와 접촉되는 각도는 제1, 제2 스토퍼부(12A, 12B)의 볼록 형상부(12A1, 12B1)의 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각도이다
홀더(2)의 회로기판 수납부(2A)의 회로기판(4)을 수납한 측에는 프레임(1)의 베어링부(14)의 돌출부(14B)를 안내하는 제3 안내부(2F)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안내부(2F)는 회로기판(4)의 주위의 벽(2G), 벽(2H) 및 유지부(2B)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이다. 또한, 도 4 중, 홀더(2)의 외주에 설치한 벽(2H)은 홀더(2)를 프레임(1)에 부착했을 때, 돌출부(14B)의 이동을 규제하고, 프레임(1)의 관통구멍(14A)과 홀더(2)의 관통구멍(2A2, 2B3)을 대략 동일 직선상으로 배치하고, 플로트 아암(3)이 관통구멍(14A, 2A2, 2B3)을 통과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플로트 아암(3)은 경강선(hard steel wire)으로 이루어지고, 홀더(2)에 장착하거나 연료 탱크 형상에 맞추기 위해 소정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 아암(3)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로트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로트는 NBR/페놀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연료 등의 액면에 뜨고, 액면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것이다.
회로기판(4)은 도시하지 않은 전극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전극부를 구성하는 도체재료나 저항재료가 절연기판상에 인쇄, 소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4)은 홀더(2)에 부착되어 액면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플로트에 연동하는 것이다.
단자(5)는 예를 들어 양은재로 이루어진 것이고,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단자(5)는 회로기판(4)의 전극부에 접촉하는 접점부(5A)를 구비한 탄성편(5D)과, 배선코드(6)를 유지하는 코킹부(5B)와, 탄성편(5D)과 코킹부(5B)를 접속하는 중계부(5C)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다.
탄성편(5D)은 그 선단부분에 회로기판(4)의 전극부에 접촉되고, 또한 이 전극부상을 슬라이딩하는, 예를 들어 파라듐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접점부(5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편(5D)은 그 선단부인 접점부(5A)가 프레임(1)의 홀더(2)측의 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접점부(5A)가 회로기판(4)에 접하고 있다.
코킹부(5B)는 배선코드(6)의 심선(6A)을 유지하는 한쌍의 제1 팔 부재(5B1)와, 배선코드(6)의 피복부(6B)를 유지하는 한쌍의 제2 팔 부재(5B2)를 구비하고 있고, 어떤 팔 부재(5B1, 5B2)도 코킹 지그에 의해 강고하게 코킹되고, 배선 코드(6)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팔 부재(5B1, 5B2)는 부착부(7) 방향을 향하고 있다. 단자(5)가 프레임(1)의 홀더(2)측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부착부(7)의 위치 결정부(7B)를 프레임(1) 내에 수납할 수 있고, 또한 단자(5)가 프레임(1)의 홀더(2)측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코킹부(5B)도 프레임(1)의 홀더(2)측으로 배치되고, 제2 개구부(1B)와 제4 개구부(1D)에서, 코킹부(5B)와 프레임(1)의 부착부(7)측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코킹하기 전의 부착부(7) 방향을 향한 팔 부재(5B1, 5B2)를 수납할 수 있고, 액면검출장치(F)의 제조공정내의 유동시 등에서 코킹전의 팔부재(5B1, 5B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중계부(5C)는 탄성편(5D)과 코킹부(5B)를 접속하는 것이고, 중계부(5C)의 일부가 프레임(1)에 내장되어 있다. 중계부(5C)는 코킹부(5B)로부터 연결되는 부분에 걸쳐진 보강부(5C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강부(5C1)는 중계부(5C)의 양단을 절곡 형성한 벽을 구비한 단면 형상이 "コ"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보강부(5C1)를 설치함으로써, 인서트 성형에서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단자(5) 자체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2개의 단자(5)의 코킹부(5B)의 간격에 대해서 탄성편(5D)의 간격을 좁게 설정하고 있다. 이는 탄성편(5D)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회로기판(4)의 전극을 소형화하고, 더 나아가서는 회로기판(4)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때문에, 하나의 단자(5)는 탄성편(5D)과 코킹부(5B)가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오프셋된 형상이다.
중계부(5C)에는, 단자(5)를 프레임(1)에 인서트 성형할 때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핀이 끼워 맞추어지는 구멍부(5C3)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멍부(5C3)는 각 단자(5)의 탄성편(5D)의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구멍부(5C3)를 설치하는 위치가 단자(5)마다 다른 경우에 비하여, 탄성편(5D)의 포밍시에 탄성편(5D)의 굽힘 가공에 의한 편차를 억제하고 접점부(5A)의 접점 하중을 고르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선코드(6)는 접지선과 출력신호선의 2선으로 이루어지고, 구리 등의 금속의 심선(6A)을 내유성의 가교 폴리에틸렌의 피복부(6B)로 피복한 것이며, 단자(5)에 코킹에 의해 고정된다.
프레임(1)에 홀더(2)를 부착하는 방법을 도 9,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회로기판(4)의 길이방향과 단자(5)의 탄성편(5D)의 길이방향을 합치시키고, 홀더(2)를 도 9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홀더(2)의 유지부(2B)의 하부편(2B2)이 프레임(1)에 형성한 제1 안내부(17)를 따르도록, 프레임(1)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단자(5)의 접점부(5A)가 회로기판(4)에 접촉되고, 베어링부(14)의 돌출부(14B)가, 홀더(2)의 제3 안내부(2F)에 접촉된다.
다음에, 홀더(2)를 도 10에 도시한 위치까지 유지부(2B)의 하부편(2B2)을 프레임(1)의 제2 안내부(18)를 따라서 이동시키면, 접점부(5A)가 회로기판(4)의 도시하지 않는 전극부에 접촉된다.
그리고, 프레임(1)과 홀더(2)의 관통구멍(14A, 2A2, 2B3)을 맞추고, 플로트 아암(3)의 단부를 관통구멍(14A) 및 관통구멍(2A2, 2B3)에 삽입하고, 상기 관통구멍(14A) 및 관통구멍(2A2, 2B3)에 삽입한 플로트 아암(3)의 단부를 축으로 하여, 플로트 아암(3)을 회전시키고, 플로트 아암(3)을 제1 걸림고정부(2C1)와 제2 걸림고정부(2C2)에 의해 고정하고, 홀더(2)의 프레임(1)으로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상에 의해, 홀더를 프레임에 강고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액면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탱크내의 각종 액체의 액면을 검출하는 액면검출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F: 액면검출장치 S: 회전축
1: 프레임 1A: 제1 개구부
1A1: 슬라이드 가이드 1B: 제2 개구부
1C: 제3 개구부 1D: 제4 개구부
2: 홀더 2A: 회로기판 수납부(상부편)
2A1: 후크부 2A2: 관통구멍
2B: 유지부 2B2: 하부편
2B3: 관통구멍 2C1: 제1 걸림고정부
2C2: 제2 걸림고정부 2D: 접촉면
2E: 수하부 2F: 제3 안내부
2G, 2H: 벽 3: 플로트 아암
4: 회로기판 5: 단자
5A: 접점부 5B: 코킹부
5B1: 제1 팔 부재 5B2: 제2 팔 부재
5C: 중계부 5C1: 보강부
5C3: 구멍부 5D: 탄성편
6: 배선코드 6A: 심선
6B: 피복부 7: 부착부
7A: 걸어맞춤부 7B: 위치결정부
7C: 제2 위치결정부 11: 베이스부
11A, 11B: 구멍 12: 스토퍼부
12A: 제1 스토퍼부 12B: 제2 스토퍼부
12A2, 12B2: 이탈방지벽 13: 후크부
13A: 걸림고정부 13B: 탄성편
14: 베어링부 14A: 관통구멍
14B: 돌출부 15: 보호벽
16: 코드 인출부 17: 제1 안내부
18: 제2 안내부

Claims (6)

  1. 액면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로기판을 회전시키는 홀더, 회로기판의 전극부와 접촉되는 접점부를 구비한 탄성편을 갖는 단자, 및 상기 단자의 일부를 내장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액면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주 부분에 상기 홀더에 유지되는 플로트 아암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상기 베어링부를 사이에 배치하는 상부편과 하부편을 갖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홀더의 유지부의 하부편이 상기 홀더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안내부와, 상기 유지부의 하부편이 상기 홀더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안내부를 구비하는, 액면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부는 상기 홀더측으로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프레임의 제2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를 안내하는 제3 안내부가 상기 홀더에 설치된, 액면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유지부의 상부편과 하부편에 상기 플로트를 일단부에 유지한 플로트 아암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표면에 상기 홀더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플로트 아암을 유지하는 제1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아암을 제1 걸림고정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용 제2 걸림고정부가 설치된, 액면검출장치.
  4.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홀더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제2 스토퍼부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측면을 따라서 뻗어있는 수하부가 상기 홀더에 설치되며, 상기 수하부에 제1, 제2 스토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스토퍼부와 상기 수하부의 접촉면이 이루는 각도를 거의 직교로 한, 액면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 제2 스토퍼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보다 낮은 볼록 형상부로 구성한, 액면검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토퍼부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제1, 제2 스토퍼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을 구비한, 액면검출장치.
KR1020157018163A 2013-01-21 2014-01-20 액면검출장치 KR101973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8032A JP6061137B2 (ja) 2013-01-21 2013-01-21 液面検出装置
JPJP-P-2013-008032 2013-01-21
PCT/JP2014/050930 WO2014112617A1 (ja) 2013-01-21 2014-01-20 液面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352A true KR20150109352A (ko) 2015-10-01
KR101973835B1 KR101973835B1 (ko) 2019-04-29

Family

ID=5120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163A KR101973835B1 (ko) 2013-01-21 2014-01-20 액면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2920B2 (ko)
EP (1) EP2947429B1 (ko)
JP (1) JP6061137B2 (ko)
KR (1) KR101973835B1 (ko)
CN (1) CN104919287B (ko)
WO (1) WO2014112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3578B2 (ja) * 2013-08-27 2017-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2016102729A (ja) * 2014-11-28 2016-06-02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JP6344222B2 (ja) * 2014-12-04 2018-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JP6344221B2 (ja) * 2014-12-04 2018-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JP6554871B2 (ja) * 2015-03-31 2019-08-07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JP2017138268A (ja) * 2016-02-05 2017-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固定装置
WO2018221399A1 (ja) * 2017-05-30 2018-12-06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JP6546619B2 (ja) * 2017-06-05 2019-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液位検出装置
KR20200126363A (ko) * 2018-02-22 2020-11-06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 검출 장치
WO2019163654A1 (ja) * 2018-02-22 2019-08-29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CN111157076B (zh) * 2020-02-20 2020-10-23 郑州富铭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水位监测的装置
WO2023074663A1 (ja) * 2021-10-29 2023-05-04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725A (ko) * 1999-11-30 2002-01-09 나가이 아츠오 액면검출장치
JP2005241553A (ja) 2004-02-27 2005-09-08 Nippon Seiki Co Ltd 液面検出装置
KR20120098535A (ko) * 2011-02-28 2012-09-0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KR20120102632A (ko) * 2009-11-30 2012-09-18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 검출 장치
KR20120127420A (ko) * 2010-01-21 2012-11-21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면 검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78A (en) * 1900-07-16 1901-04-16 Bradley & Hubbard Mfg Co Indicator for lamp-founts.
JPH0323541Y2 (ko) * 1986-10-24 1991-05-22
GB2197484B (en) 1986-10-24 1990-08-29 Yazaki Corp Liquid level indicator
DE19746276A1 (de) * 1997-10-20 1999-04-22 Mannesmann Vdo Ag Füllstandssensor
DE10064591A1 (de) * 2000-12-22 2002-06-27 Siemens Ag Füllstandsensor
JP3898913B2 (ja) * 2001-06-15 2007-03-28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センサ
JP3971130B2 (ja) * 2001-06-15 2007-09-05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センサ
JP3907185B2 (ja) * 2002-06-20 2007-04-18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センサ
JP4207122B2 (ja) * 2003-05-30 2009-01-14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JP5241020B2 (ja) * 2009-03-17 2013-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検出装置
JP5995118B2 (ja) * 2015-08-28 2016-09-21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725A (ko) * 1999-11-30 2002-01-09 나가이 아츠오 액면검출장치
JP2005241553A (ja) 2004-02-27 2005-09-08 Nippon Seiki Co Ltd 液面検出装置
KR20120102632A (ko) * 2009-11-30 2012-09-18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 검출 장치
KR20120127420A (ko) * 2010-01-21 2012-11-21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면 검출 장치
KR20120098535A (ko) * 2011-02-28 2012-09-0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7429B1 (en) 2019-05-08
US20150355013A1 (en) 2015-12-10
KR101973835B1 (ko) 2019-04-29
US9752920B2 (en) 2017-09-05
CN104919287A (zh) 2015-09-16
EP2947429A4 (en) 2016-10-26
CN104919287B (zh) 2018-11-13
WO2014112617A1 (ja) 2014-07-24
EP2947429A1 (en) 2015-11-25
JP6061137B2 (ja) 2017-01-18
JP2014139518A (ja)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835B1 (ko) 액면검출장치
KR100718787B1 (ko) 액면검출장치
JP4830662B2 (ja) 金属プレート付き樹脂成形品
CN111106580A (zh) 电气接线箱及其接地连接结构
CN108346881B (zh) 卡缘连接器
JP5995118B2 (ja) 液面検出装置
JP2014139517A (ja) 液面検出装置
JP6947764B2 (ja) 液位検出装置ユニット
JP2015042109A (ja) 端子台
JP2017198544A (ja) 液面検出装置
JP6554829B2 (ja) 液面検出装置
CN210101511U (zh) 安装组件、安装结构及车载电子装置
JP6124050B2 (ja) 液面検出装置
US20140231232A1 (en) Switch device
JP5019044B2 (ja) 液面検出装置
CN215377341U (zh) 一种触点继电器
JP7112642B2 (ja) 液面検出装置
CN210027237U (zh) 安装组件、安装结构及车载电子装置
JP7367536B2 (ja) 液面検出装置
JP6554871B2 (ja) 液面検出装置
JP2018080951A (ja) 液面検出装置
JP2022131353A (ja) 電気接続箱
CN106710917B (zh) 按钮开关
KR200451840Y1 (ko) 전기 커넥터
WO2016092752A1 (ja) 液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