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535A -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535A
KR20120098535A KR1020120020312A KR20120020312A KR20120098535A KR 20120098535 A KR20120098535 A KR 20120098535A KR 1020120020312 A KR1020120020312 A KR 1020120020312A KR 20120020312 A KR20120020312 A KR 20120020312A KR 20120098535 A KR20120098535 A KR 2012009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release
photographing
shak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스즈카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42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180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24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25259A/ja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광학계 내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는 전진/후퇴 링;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지지되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광축 상의 삽입 위치와 이탈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를 상기 삽입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삽입 유지 수단;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삽입 허용 위치와 강제 이탈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이탈 구동 부재; 및 삽입/이탈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회전축으로부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맞닿음 지점까지의 회전 반경이 제1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맞닿음 지점까지의 회전 반경보다 크다.

Description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POSITION CONTROLLER FOR REMOVABLE OPTICAL ELEMENT}
본 발명은 촬영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의 전환에 따라서 촬영 광축 상으로 이동되거나 촬영 광축으로부터 이탈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렌즈 경통(촬영 렌즈)의 소형화 기법, 특히 촬영을 하지 않는 렌즈 경통 수납 상태(완전 후퇴 상태)에서의 광축 방향의 후퇴가능한 렌즈 경통의 두께의 감소에 기여하는 기술로서, 촬영 광학계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촬영 광축계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가능하여, 촬영 광축 상의 위치로부터 촬영 광학계의 광축에서 반경방향으로 벗어난 이탈 위치로 이동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315861호에 개시된 후퇴가능한 촬영 렌즈에는, 촬영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퇴피 렌즈 그룹 지지 프레임(20)의 내부에, 광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요동)가능한 퇴피가능한 렌즈 프레임(21)이 구비되어 있다. 촬영 렌즈가 촬영 상태에서 렌즈 경통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 퇴피가능한 렌즈 그룹 지지 프레임(20)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하면, 먼저 CCD 프레임(11)의 위치 제어 캠 바(11a)가 퇴피가능한 렌즈 프레임(21)의 위치 제어 돌출부(21f)와 맞닿음하게 되고, 이어서 위치 제어 캠 바(11a)가 퇴피가능한 렌즈 프레임(21)을 촬영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으로 압압 회전시킨다.
일본 특허공개 2008-170650호에 개시된 후퇴가능한 촬영 렌즈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로서 기능하는 제3 렌즈 그룹(23)이 촬영 광로로부터 퇴피 구동될 때, 셔터 프레임(9)에 대한 제3 렌즈 그룹(23)의 광축 방향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촬영 렌즈는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0)의 피벗 지지 보스부(10a)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피벗 지지 보스부(10a)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0)의 피벗 지지 보스부(10a)에 끼워맞춤된 회전 구동 부재(35)를 구비하고 있고,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0)이 퇴피 위치로 퇴피 구동될 때, 회전 구동 부재(35)가 단면 캠(14)에 의해 압압되어, 회전 구동 부재(35)를 통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0)을 지지 축(52) 둘레로 회전시킨다.
일본 특허공개 2007-163961호에 개시된 후퇴가능한 촬영 렌즈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로서 제공되는 제3 렌즈 그룹(L3)이 흔들림 방지 동작(상흔들림 교정 동작/상흔들림 보정 동작)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촬영 렌즈에서는, 진동 부재(17)가 제3 렌즈 그룹 배럴(15) 내에 설치된 고정 부재(16)에 대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흔들림 보정 광학계 유지 부재(19)가 진동 부재(17)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촬영 상태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은 보이스 코일 모터(18)를 이용하여 진동 부재(17)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흔들림을 보정하도록 실행된다. 촬영 렌즈가 렌즈 경통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 제 3 렌즈 그룹 배럴(15)의 광축 방향 이동에 의해, CCD 장착대(4)의 구동 부재(4a)가 상흔들림 보정 광학계 유지부(19)의 맞닿음부(19b)와 맞닿음하게 되어, 상흔들림 보정 광학계 유지부(19)를 광축 상의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벗어난 방향으로 압압 회전시킨다.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은, 가능한 한 컴팩트한 구성으로 효율 좋게 고정밀도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이 이동 부재(촬영 광학계의 수납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의 광축 방향의 직선 이동력을 캠 기구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일본 특허공개 2003-315861호, 2008-170650호 및 2007-163961호에 개시된 촬영 렌즈와 같은 촬영 렌즈에서는, 퇴피 동작의 구동 효율(이동 부재의 단위 직선 이동량당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이동량)이 캠 기구의 캠 면의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일본 특허공개 2007-1639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유지 부재(상흔들림 보정 광학계 유지 부재(19))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과는 다른 목적(즉, 상흔들림 보정)을 위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구동되는 구성에서는, 흔들림 방지 동작(진동 차단 동작/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의해, 퇴피 구동을 위해 이루어지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캠(구동부(4a))과의 맞닿음 위치가 변화하여,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의 정밀도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유지 부재를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고 나서, 렌즈 경통의 수납 동작을 행하는 것과 같은 대책이 필요해진다. 하지만, 그와 같은 대책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용 퇴피 구동 기구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그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기 쉽고, 퇴피 구동 기구에 대한 조정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한다. 또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가 상흔들림 보정(흔들림 저감/상 안정화)과 다른 목적을 위해 이동되는 경우라도, 제조 스테이지 중에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광축 방향의 위치(예컨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회전 부재의 축 위치)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나 이와 유사한 조정이 실행될 때에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유지 부재와 캠 기구 사이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마찬가지의 대책이 필요해진다. 또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거나 이 직교 평면 내에서 위치가 조정가능한 유지 부재 상에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한 유지 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퇴피 광학 요소용의 컴팩트한 퇴피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촬영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의 전환에 따라서 촬영 광축 상으로 이동되거나 촬영 광축으로부터 이탈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로서, 컴팩트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이 효율 좋게 그리고 고정밀도로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영 상태와 촬영을 행해지지 않는 수납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촬영 광학계 내에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는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촬영 광학계가 렌즈 경통 수납 상태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전진/후퇴 링;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전진/후퇴 링 내에서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과 대략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 상에 위치되어 있는 삽입 위치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 상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있는 이탈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를 상기 삽입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삽입 유지 수단;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상기 광축과 대략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맞닿음하지 않는 삽입 허용 위치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맞닿음하여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를 상기 삽입 위치에서 상기 이탈 위치로 압압 회전시키는 강제 이탈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탈 구동 부재; 및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상기 삽입 허용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전진/후퇴 링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상기 삽입 허용 위치에서 상기 강제 이탈 위치로 회전시키는 삽입/이탈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탈 구동 부재의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상기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맞닿음 지점까지의 회전 반경이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제1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맞닿음 지점까지의 회전 반경보다 크다.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이탈 제어 수단은 상기 삽입 허용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전진/후퇴 링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와 맞닿음하여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강제 이탈 위치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제어장치는, 상기 삽입 위치와 상기 이탈 위치 사이의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회전과는 별도로, 상기 전진/후퇴 링에 대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위치 조정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위치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 및 상기 촬영 광학계에 가해지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를 구동시켜 상면에 결상된 상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흔들림 방지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가 상기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 상에 피벗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위치 변화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상기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클리어런스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상기 이탈 구동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부재는 코일부가 상기 제2 회전축 둘레에 위치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유지 수단은 상기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 상에 형성된 스프링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흔들림 방지 구동 수단은 전자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진/후퇴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어느 것도 광축 방향에 대해 하나의 특정 위치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각각 촬영 상태 또는 수납 상태에서 광축 위치가 바뀌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사실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상기 전진/후퇴 부재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줌 동작을 실행하는 줌 렌즈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가 촬영 상태에서 줌 동작을 하는 동안 광축 방향을 따르는 이동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위치는, 수납 상태에서 광축 방향을 따르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의 상기 전진/후퇴 부재의 임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는 별도로 전진/후퇴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부재인 이탈 구동 부재를 통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가 이탈 위치로 회전되기 때문에, 전진/후퇴 부재의 이동력을 이탈 구동 부재의 회전 동작으로 변환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밀도의 확실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맞닿음 지점까지의 이탈 구동 부재의 회전 반경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맞닿음 지점까지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회전 반경보다 크게 되도록,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이탈 구동 부재의 회전축 위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 구동 부재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회전량이 증대될 수 있어, 컴팩트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제어 장치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이 효율 좋게 그리고 고정밀도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후퇴가능한 촬영 렌즈를 가지고 있는 렌즈 셔터 카메라용으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의 한 실시예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센서 홀더와 직진 이동 링을 떼어낸 상태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렌즈 경통의 렌즈 경통 수납 동작의 도중에서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 및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렌즈 경통의 촬영 상태에서의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과 이탈 구동 레버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과 이탈 구동 레버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렌즈 경통의 촬영 상태에서의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과 이탈 구동 레버의 다른 각도에서 본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렌즈 경통의 촬영 상태에서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의 주요 부분을 상면(image plane)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7은 상흔들림 보정 동작 동안에 구동되는 도 6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의 여러 요소 및 도 6에 도시된 코일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의 구성 요소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렌즈 경통의 렌즈 경통 수납 상태(완전히 후퇴된 상태)에서의 도 6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의 주요 부분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상흔들림 보정 동작 동안에 구동되는 도 9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의 여러 요소 및 도 9에 도시된 코일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의 구성 요소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촬영 상태에서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을 직진 이동 링과 센서 홀더를 제거하고, 상면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Z1-Z1 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Z2-Z2 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에 관계하는 카메라의 전기 부품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은, 카메라에 내장된 렌즈 경통(촬영 렌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렌즈 경통의 촬영 광학계의 일부를 구성하는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퇴피 광학 요소)(12)를 내부에 지지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은 직진 이동 링(전진/후퇴 링)(14)을 구비하고 있고, 이 직진 이동 링(14) 내에 셔터 유닛(전진/후퇴 링)(16), 흔들림 방지 프레임(위치 조정 기구의 한 요소/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18),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20), 센서 홀더(22), 이탈 구동 레버(이탈 구동 부재)(24) 및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위치 조정 기구의 한 요소/흔들림 방지 구동 수단)(26)를 구비하고 있다.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이 내장되어 있는 렌즈 경통의 전체 구조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직진 이동 링(14)은 렌즈 경통 내측에서 촬영 광학계의 촬영 광축(O)에 따르는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로부터 렌즈 경통 수납 상태(완전히 후퇴된 상태)로 될 때, 렌즈 경통 구동 모터(도 15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피사체측(제1 위치)으로부터 상면(제2 위치)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광축 방향은 촬영 광축(O)을 따르는 방향 또는 촬영 광축(O)과 평행한 방향을 지칭하고, 전방과 후방은 상기 광축 방향에 대하여 전방(피사체측)과 후방(상면측)을 각각 지칭한다. 직진 이동 링(14)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주지의 캠 기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직진 이동 링(14)은 촬영 광축(O)을 둘러싸는 원통형부(14a)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형부(14a)의 안쪽에 셔터 유닛(16)이 고정되어 있다. 셔터 유닛(16)은 셔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는 셔터 하우징(16a)을 구비하고 있고, 광축 방향으로 셔터 하우징(16a)의 중심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촬영 개구(16b)(도 1 참조)를 가지고 있다. 셔터 유닛(16)에 내장된 셔터 액추에이터는 상기 셔터를 구동하여 촬영 개구(16b)를 개폐시킨다. 셔터 하우징(16a)은, 셔터 하우징(16a)의 외주부 상의 3개의 상이한 원주방향의 위치에 3개의 스프링 후크 돌출부(16c)(도 1 및 도 2에는 1개만 도시되어 있음)를 구비하고 있고, 셔터 하우징(16a)의 후면에는 2개의 이동 제한 돌출부(이동 제한 수단)(16d)와 3개의 볼 지지 구멍(16e)이 형성되어 있다. 볼 지지 구멍(16e)은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바닥부가 있는 구멍이다(도 13 참조).
셔터 유닛(16)의 후방에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유닛(16)에 대향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전방에 3개의 볼 접촉면(1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3개의 볼 접촉면(18a)과 3개의 볼 지지 구멍(16e)의 바닥면의 사이에 3개의 가이드 볼(28)이 각각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 유닛(16)에는 3개의 볼 지지 구멍(16e)이 형성되어 있고, 이 3개의 볼 지지 구멍(16e)에 대응하여 3개의 볼 접촉면(18a)과 3개의 가이드 볼(28)이 구비되어 있다. 3개의 볼 접촉면(18a)은 촬영 광축(O)과 대체로 직교하는 면에 놓여 있는 평면이다. 3개의 가이드 볼(28)은 3개의 볼 지지 구멍(16e)에 각각 헐겁게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가이드 볼(28)과 대응하는 볼 지지 구멍(16e)의 내측 벽 사이에는 촬영 광축(O)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리어런스가 존재한다. 각각의 가이드 볼(28)이 대응하는 볼 지지 구멍(16e)의 중앙 부근에 위치한 때에는, 각각의 가이드 볼(28)이 대응하는 볼 지지 구멍(16e)의 내측 벽과 접촉하지 않는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외주부의 3개의 상이한 원주방향 위치에 3개의 스프링 후크 돌출부(18b)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의 스프링 후크 돌출부(18b)와 상기 3개의 스프링 후크 돌출부(16c)의 사이에 3개의 인장 스프링(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3개의 인장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하여 셔터 유닛(16)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다시 말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3개의 볼 접촉면(18a)을 3개의 가이드 볼(28)에 각각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3개의 볼 접촉면(18a)이 3개의 가이드 볼(28)과 각각 점접촉하고 있고, 3개의 볼 접촉면(18a)을 3개의 가이드 볼(28)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또는, 3개의 가이드 볼(28)이 3개의 볼 지지 구멍(16e)의 내측 벽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3개의 가이드 볼(28)을 구름운동시키면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는 또한, 셔터 유닛(16)의 2개의 이동 제한 돌출부(16d)가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은 촬영 광축(O)과 대체로 직교하는 평면에서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인 직사각형이다. 이하에서는,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을 가로지르는 2개의 대각선 중의 한 대각선의 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고 다른 대각선의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한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에 이동 제한 돌출부(16d)가 각각 맞닿을 때까지의 범위에서,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셔터 유닛(16)(직진 이동 링(14))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하여 구동된다.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는, 셔터 유닛(1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2개의 코일(31, 32)과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2개의 영구 자석(34, 36)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 액추에이터이다. 2개의 영구 자석(34, 36)은 각각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자석 유지부(18d, 18e)에 고정되어 있다. 영구 자석(34, 36)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대체로 동일하다. 영구 자석(34, 36)은 각각 좁고 얇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이다. 영구 자석(34, 36)은 촬영 광축(O) 상에 놓여 있으며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상 평면(P)(도 6 내지 도 12 참조)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구 자석(34)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영구 자석(34)의 폭에 대해 영구 자석(34)의 대략적인 중심을 통과하는 영구 자석(34)의 자극 경계선(M1)(도 8 및 도 11 참조)의 양측이 N극과 S극으로 각각 자화되어 있고, 영구 자석(36)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영구 자석(36)의 폭에 대해 영구 자석(36)의 대략적인 중심을 통과하는 영구 자석(36)의 자극 경계선(M2)(도 8 및 도 11 참조)의 양측이 N극과 S극으로 각각 자화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자극 경계선(M1, M2)은 각각의 영구 자석(34, 36)의 N극과 S극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영구 자석(34)의 자극 경계선(M1)과 영구 자석(36)의 자극 경계선(M2)은, Y축 방향의 하단부로부터(후술하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삽입 위치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위쪽 방향으로(후술하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측으로) 갈수록 영구 자석(34)의 자극 경계선(M1)과 영구 자석(36)의 자극 경계선(M2) 사이의 거리(다시 말해서, 가상 평면(P)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서로 기울어져 있다. 가상 평면(P)에 대한 자극 경계선(M1, M2) 각각의 경사각은 대략 45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영구 자석(34, 36)의 길이 방향(자극 경계선(M1, M2))은 서로 대체로 직교한다.
도 1, 도 8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일(31, 32)은 각각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기다란 부분과 이 한 쌍의 기다란 부분을 각각의 단부에서 연결시키는 한 쌍의 만곡부(U자 형상부)를 포함하는 공심 코일(air-core coil)이다. 코일(31, 32)은 형상 및 크기가 서로 대체로 동일하다. 셔터 하우징(16a)의 후방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출부(16f) 및 한 쌍의 위치 결정 돌출부(16g)가 구비되어 있다(도 1 참조). 코일(31)은 코일(31)의 공심부에 한 쌍의 위치 결정 돌출부(16f)가 결합된 상태로 셔터 유닛(16)에 지지되어 있고, 코일(32)은 코일(32)의 공심부에 한 쌍의 위치 결정 돌출부(16g)가 결합된 상태로 셔터 유닛(16)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상태에서, 코일(31)의 길이 방향은 영구 자석(34)의 자극 경계선(M1)과 대체로 평행하고, 코일(32)의 길이 방향은 영구 자석(36)의 자극 경계선(M2)과 대체로 평행하다. 코일(31)과 코일(32)은 셔터 유닛(16)으로부터 뻗어나온 플렉시블 PWB(인쇄 배선 기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접속되고, 또한 렌즈 경통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플렉시블 PWB(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이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의 제어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 회로 기판상의 제어 회로(60)(도 15 참조)에 의하여 코일(31, 32)의 통전 제어가 행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서는, 코일(31)과 영구 자석(34)이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코일(31)에 전류가 흐르면,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영구 자석(34)의 자극 경계선(M1)과 대체로 직교하는(다시 말해서, 코일(3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구동력의 작용 방향은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 이중 화살표 F1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일(32)과 영구 자석(36)이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코일(32)에 전류가 흐르면,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영구 자석(36)의 자극 경계선(M2)과 대체로 직교하는(다시 말해서, 코일(3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구동력의 작용 방향은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 이중 화살표 F2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구동력 각각의 작용 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양 방향과 대략 45도의 각도로 교차하고, 각각의 코일(31, 32)을 통과하는 전류의 통전 제어에 의하여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 범위는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과 2개의 이동 제한 돌출부(16d)의 각각의 결합에 의해 제한된다.
직진 이동 링(14)의 내부에 위치되는 셔터 유닛(16)에 센서 홀더(22)가 고정되어 있다. 센서 홀더(22)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후방에 위치되고, 2개의 자석 유지부(18d, 18e)에 대향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2개의 영구 자석(34, 36)의 후방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38, 40)를 지지하고 있다. 위치 검출 센서(38, 40)는 자기 센서(홀 센서)이다. 위치 검출 센서(38, 40)는 셔터 유닛(16)으로부터 뻗어 나온 상기 플렉시블 PWB(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접속되고, 또한 렌즈 경통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플렉시블 PWB(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이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의 상기 제어 회로 기판 상의 제어 회로(60)에 접속되어 있다. 영구 자석(34)이 변위하면, 위치 검출 센서(38)의 출력이 변화하고, 영구 자석(36)이 변위하면, 위치 검출 센서(40)의 출력이 변화한다. 이 2개의 위치 검출 센서(38, 40)의 출력 변화에 의해, 제어 회로(60)가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해 구동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구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은, 촬영 광축(O)과 평행한 회전축(회전 축선)(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요동가능하게)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42)의 전방 단부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형성된 축 지지 구멍(18f) 속에 고정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회전축(42)의 후방 단부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고정된 유지 부재(44)에 고정되어 있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 축 베어링부(20b) 및 암부(20c)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는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를 유지하고, 축 베어링부(20b)에는 회전축(42)이 삽입되어 있고,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와 축 베어링부(20b)는 암부(20c)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도 2 내지 도 8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삽입 위치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이탈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요동가능하고),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형성된 스토퍼(삽입 유지 수단의 한 요소)(18g)와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에 형성된 스토퍼 맞닿음부(20d)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삽입 위치가 정해진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삽입 유지 수단의 한 요소)(46)에 의해 삽입 위치쪽으로 가압된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은, 양 단부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과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 각각 걸려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 광축 방향 가압 스프링(48)이 축 베어링부(20b)와 유지 부재(4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광축 방향 가압 스프링(48)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안정되어 있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가 촬영 광축(O) 위에 위치한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로 회전하면,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의 중심이 촬영 광축(O)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변위된다.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궤적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클리어런스 구멍(18h)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에 있을 때 클리어런스 구멍(18h) 내에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의 전방 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구멍(18h)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외주부의 일부분에서 개방(관통)되어 있고,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클리어런스 구멍(18h)의 상기 개방 부분 위에 보강 브리지(18i)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브리지(18i)는 후방으로 오프셋되어 있어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로 회전할 때에 원통형 렌즈 유지부(20a)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 연동하여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당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각각의 내벽의 삽입 위치측의 내벽의 단부(도 6 내지 도 12와 관련한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벽의 하단부)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 맞닿음하게 되는 Y축 방향의 이동단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도 9 참조). 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Y축 방향의 이동단을 이하 이탈 보조 위치라 하기로 한다.
직진 이동 링(14) 내에는 촬영 광축(O)과 평행한 회전축(회전 축선)(5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요동가능하게) 이탈 구동 레버(24)가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0)은 회전축(42)의 근처에 위치되도록 직진 이동 링(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회전축(50)은 이탈 구동 레버(24)의 축 베어링부(24a)를 관통하여 형성된 축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직진 이동 링(14)의 후방에는 유지 플레이트(52)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탈 구동 레버(24)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탈 구동 레버(24)는, 축 베어링부(24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암부(24b)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암부(24b)의 자유 단부 부근에,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암부(20c)에 형성된 피압압부(pressing-force receiving part)(20e)와 맞닿을 수 있는 이탈 압압부(24c)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피압압부(20e)와의 이탈 압압부(24c)의 맞닿음 지점이 도 9 내지 도 11에 작용점(T)으로 나타내져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맞닿음 지점을 여기에서는 "작용점"이라 칭하고 있지만, 피압압부(20e)와 이탈 압압부(24c)의 대향 영역은 광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지므로, 실제로는 피압압부(20e)와 이탈 압압부(24c)는 촬영 광축(O)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선상의 영역에서 서로 선접촉하게 된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의 가압력은 이탈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쪽으로(도 6 내지 도 1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회전하도록 가압하고 있고, 이탈 구동 레버(24)도, 이것과 동일한 방향(도 6 내지 도 1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탈 구동 레버 가압 스프링(삽입/이탈 제어 수단의 한 요소; 가압 부재)(54)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직진 이동 링(14)의 내측에는, 이탈 구동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 방향으로의 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한계를 결정하는 스토퍼(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의 가압 방향으로의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은, 스토퍼 맞닿음부(20d)와 스토퍼(18g)의 맞닿음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6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이탈 구동 레버(24)가 스토퍼(18g)와 상기한 직진 이동 링(14)의 스토퍼(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각각 맞닿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때 피압압부(20e)와 이탈 압압부(24c)가 작용점(T)에서 서로 맞닿음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피압압부(20e)와 이탈 압압부(24c)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셔터 유닛(16)에 대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 범위(다시 말해서,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에 이동 제한 돌출부(16d)가 맞닿을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는 피압압부(20e)가 이탈 압압부(24e)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은,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해서 실행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과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흔들림 방지 구동 동작을 이탈 구동 레버(24)가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이탈 구동 레버(2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삽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탈 구동 레버(24)는 축 베어링부(24a)의 부근에 피압압부(24d)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삽입/이탈 제어 수단의 한 요소; 압압 부재)(58)(도 3 참조)는 이탈 구동 레버(24)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렌즈 경통의 내측에는 고정되어 있는 고정 부재이다.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로부터 렌즈 경통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의 직진 이동 링(14)의 후방 이동에 의해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가 피압압부(24d)에 맞닿게 되고 이탈 구동 레버(24)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삽입 위치로부터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 방향으로 회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전방 단부에는 단면 캠(58a)이 형성되어 있고, 직진 이동 링(14)이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쪽으로 후퇴 이동하면 피압압부(24d)가 단면 캠(58a)에 맞닿게 된다. 이어서, 피압압부(24d)가 단면 캠(58a)에 맞닿은 상태로 직진 이동 링(14)이 후방으로 더 이동하면, 광축 방향 후방으로의 직진 이동 링(14)의 이동력으로부터 발생된 이탈 구동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대항하는 방향(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 방향)으로 이탈 구동 레버(24)를 회전시키는 분력이 생기고, 상기의 클리어런스에 대응하는 회전량만큼 이탈 구동 레버(24)가 단독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이탈 압압부(24c)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피압압부(20e)에 맞닿게 된다. 그 결과, 이탈 압압부(24c)와 피압압부(20e)를 통하여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 방향으로의 압압력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과 이탈 구동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양쪽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탈 구동 레버(24)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이탈 위치쪽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에 도달한 후, 촬영 광축(O)과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 렌즈 유지면(58b)이 피압압부(24d)의 측면에 맞닿고,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O)이 이탈 위치에 유지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의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이 내장된 카메라의 전기 부품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 내에는 카메라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60)가 설치되어 있다. 흔들림 검출 센서(63)는 각각의 X축과 Y축 둘레로의 카메라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흔들림 검출 센서(63)의 출력 신호가 제어 회로(60)로 입력된다. 흔들림 검출 센서(63)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취했을 때, 제어 회로(60)는 상흔들림을 캔슬시키기 위해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구동량과 구동 방향을 연산한다. 이어서, 구해진 연산치에 따라, 제어 회로(60)는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의 요소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31, 32)의 통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회로(60)는 위치 검출 센서(38, 40)를 통해 영구 자석(34, 36)의 위치 변화를 검출한다. 제어 회로(60)는 메인 스위치(62)의 온/오프에 따라 렌즈 경통 구동 모터(61)를 구동시켜, 렌즈 경통의 상태를 촬영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에서 변경시킨다.
아래에서는 상기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촬영 상태에서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의하여 삽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의 중심(광축)이 촬영 광축(O)과 일치하고 있다. 이 촬영 상태에서는, 촬영 광학계에 가해지는 흔들림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하여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를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면(image plane) 상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일그러짐(상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60)는 흔들림 검출 센서(63)를 통해 각각의 X축 및 Y축 둘레로의 카메라의 각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속도를 시간 분하여 이동 각도를 결정한다. 이어서, 이동 각도로부터, 제어 회로(60)는 결상면 상에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상의 이동량을 연산하고, 상흔들림을 캔슬시키기 위한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각각의 축방향의 구동량 및 구동 방향을 연산한다. 이어서, 이 연산치에 따라, 제어 회로(60)는 각각의 코일(31, 32)의 통전을 제어한다. 그 결과, 3개의 볼 접촉면(18a)에서 3개의 가이드 볼(28)에 의해 지지를 받으면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동된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동하면, 당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의해 유지되는 영구 자석(34, 36)이 변위하고, 이 변위가 위치 검출 센서(38, 40)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피드백 제어된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흔들림 방지 구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때,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스토퍼 맞닿음부(20d)가 스토퍼(18g)와 맞닿게 되는 삽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과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은 일체로 이동한다.
촬영 상태에서는, 2개의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대응하는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이 각각 맞닿아 있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 한계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검출 센서(38, 40)의 교정을 할 수 있다. 코일(31)과 영구 자석(34)의 조합 및 코일(32)과 영구 자석(36)의 조합에 의해서 각각 발생되는 2개의 구동력(F1, F2) 각각의 작용 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과 대략 45도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에 대한 X축 방향의 이동 한계(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각각의 축방향의 양쪽 코너(단부)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정해짐)는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을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기준 위치로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에 대한 Y축 방향의 이동 한계(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각각의 수직방향의 양쪽 코너(단부)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정해짐)는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을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기준 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촬영 상태에 있어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실용상의 흔들림 방지 구동 범위는, 각각의 이동 제한 돌출부(16d)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에 맞닿지 않는 범위 내로 정해진다.
메인 스위치(62)가 오프되면, 제어 회로(60)의 제어에 의해 렌즈 경통을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이행시키는 동작이 실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로부터 렌즈 경통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 렌즈 경통 전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시키는 렌즈 경통 구동 모터(61)에 의하여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직진 이동 링(14))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되고, 직진 이동 링(14)과 함께 후퇴하는 이탈 구동 레버(24)의 피압압부(24d)가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단면 캠(58a)과 맞닿게 된다. 직진 이동 링(14)이 더 후방으로 이동하면 피압압부(24d)가 단면 캠(58a)에 의해 압력을 받는다. 그 결과, 직진 이동 링(14)의 후퇴 이동력으로부터 분력이 생기고, 이탈 구동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탈 구동 레버(24)가 회전되어 이탈 압압부(24c)가 피압압부(20e)와 맞닿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에 의하여 삽입 위치쪽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고, 이탈 압압부(24c)가 피압압부(20e)와 맞닿은 상태에서 이탈 구동 레버(24)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삽입 위치로부터 이탈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부가적으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지지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는, 3개의 볼 접촉면(18a)을 3개의 가이드 볼(28)에 대해 누르는 방향으로 3개의 인장 스프링(30)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에 대해 각각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과 인장 스프링(30)이 저항력을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에 의해서 발생되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저항이, 인장 스프링(30)에 의하여 발생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 저항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쪽으로의 회전이 개시되기 전에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함께 이탈 위치쪽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 각각의 내측 벽의 Y축 방향의 삽입 위치측의 단부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과 맞닿는, 이탈 보조 위치(도 9 내지 도 11 참조)까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동된다. 상기한 촬영 상태에서의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실용상의 흔들림 방지 구동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측 벽이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 맞닿는 지점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탈 보조 위치는 실용상의 흔들림 방지 구동 범위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탈 보조 위치에 도달한 후 이탈 보조 위치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 직후에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삽입 위치에서 이탈 위치로 단독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의 이탈 위치로의 이동(도 9 내지 도 11 참조)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탈 보조 위치로의 Y축 방향의 이동과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로의 회전의 합성 이동으로서 행해진다.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탈 보조 위치로의 이동과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로의 회전으로 인해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로(촬영 광축(O)) 상의 위치로부터 이탈된다. 직진 이동 링(14)이 후방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이탈 렌즈 유지면(58b)이 이탈 구동 레버(24)의 피압압부(24d)와 맞닿게 되어(도 9 참조),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이탈 구동 레버(24)와 함께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에 의하여 이탈 위치에 유지되고 삽입 위치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렌즈 경통이 렌즈 경통 수납 상태에 도달하면,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부재(예를 들면, 촬영 상태에서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 외의 광학 요소)가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원통형 렌즈 유지부(20a))의 이탈에 의해 생긴 개방 공간으로 진입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복수의 광학 요소가 광축을 따라서 직선으로 후퇴하여 수납되는 타입의 렌즈 경통보다 렌즈 경통의 렌즈 경통 수납 상태에서의 광축 방향의 렌즈 경통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렌즈 경통이 렌즈 경통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스위치(62)가 온되면, 제어 회로(60)의 제어에 의해 렌즈 경통을 수납 상태에서 촬영 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실행된다. 렌즈 경통이 수납 상태에서 촬영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제어 회로(60)에 의해 렌즈 경통 구동 모터(61)가 렌즈 경통 전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직진 이동 링(14)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이탈 구동 레버(24)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이탈 구동 레버(24)가 이탈 구동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 돌아온다. 그 결과,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의하여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에서 삽입 위치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수반하여, 이탈 보조 위치에서의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유지도 해제되고,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에,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로 이동한 때에, 상기한 위치 검출 센서(38, 40)에 대한 교정 동작(calibration operation)이 행해진다.
상기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에서는,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를 지지하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 및 흔들림 방지 프레임(18)과는 별도로 이탈 구동 레버(24)가 직진 이동 링(14)에 의해 지지되고,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로부터 렌즈 경통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에 이탈 구동 레버(24)를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탈 구동 레버(24)가 강제 이탈 위치로 이동되고 이탈 구동 레버(24)를 통하여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이탈 위치로 가압 이동시킨다. 이탈 구동 레버(24)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아니라 직진 이동 링(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이탈 구동 레버(24)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0)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42)과 평행하므로 이탈 구동 레버(24)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은 촬영 광축(O)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광축 방향의 부하가 가해지는 부위는 이탈 구동 레버(24)까지 이고,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나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는 광축 방향의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탈 압압부(24c)와 피압압부(20e)는 촬영 광축(O)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어떠한 힘도 전달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 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에 의해 가압된 이탈 구동 레버(24)가 회전축(50)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더라도,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회전축(42)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지지 기구에 대한 부하가 경감되고 삽입/이탈가능한 상흔들림 보정 렌즈(12)의 고정밀도 구동이 보장된다.
또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42)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는 달리,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에 의해 가압되는 이탈 구동 레버(24)는 직진 이동 링(14) 내에서의 회전축(50)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이로 인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 및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위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이탈 구동 레버(24)와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 사이에 일정한 위치 관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탈 구동 레버(24)의 피압압부(24d)와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단면 캠(58a) 사이의 상대 위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탈 구동 레버(24)가 고정밀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탈 구동 레버(24)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 사이의 맞닿음 지점(작용점(T))은 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평면인 이탈 압압부(24c)와 원통형 돌출부의 외주면인 피압압부(20e) 상에 설정되기 때문에, 상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에 의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이탈 압압부(24c)가 피압압부(20e)에 확실하게 접촉되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을 이탈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축(42)과 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축(50)은 동일한 상한(quadrant) 즉 촬영 광축(O)을 중심으로 하여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설정된 4개의 상한(Q1, Q2, Q3, Q4) 중의 상한(Q1) 내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42)보다 회전축(50)이 촬영 광축(O)의 반경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더 먼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촬영 광축(O)으로부터 회전축(42)의 중심(회전축)(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중심)(K1)까지의 거리(A)가 촬영 광축(O)으로부터 회전축(50)의 중심(회전축)(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중심)(K2)까지의 거리(B)보다 더 짧다(즉, 조건 A<B가 충족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구동 레버(24)에 의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를 향해 압압 회전될 때, 이탈 구동 레버(24)의 이탈 압압부(24c)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피압압부(20e)의 맞닿음 지점은 작용점(T)이지만; 회전축(42)의 중심(K1)으로부터 작용점(T)까지의 거리(회전 반경)을 C, 회전축(50)의 중심(K2)으로부터 작용점(T)까지의 거리(회전 반경)를 D라고 하면, 거리(C, D)는 조건 C<D를 충족시킨다. 즉,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중심보다 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중심이 촬영 광축(O)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고 있고(즉, (A<B), 작용점(T)까지의 이탈 구동 레버(24)회전 반경이 작용점(T)까지의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반경보다 크다(즉, C<D).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축(42)의 위치는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에 의해 구동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구동 위치에 따라 변화하지만, 각각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내벽과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의 맞닿음에 의해 정해지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가동 범위 내에서는 상기 조건 A<B, C<D를 유지하도록, 회전축(42, 50)의 위치들이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각각의 이동 제한 돌출부(16d)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구멍(18c)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내지 도 11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2개의 이동 제한 구멍(18c)의 각각의 내벽의 Y축 방향의 일단부가 대응하는 이동 제한 돌출부(16d)와 맞닿음하게 하는 이탈 보조 위치까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도 6 내지 도 11의 모든 상태에서 조건 A<B가 유지된다. 또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가동 범위 내에서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탈 보조 위치에 있지 않을 때에도, 즉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도, 언제나 조건 C<D가 충족되어 유지된다. 하지만, 촬영 상태에서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은 서로 맞닿음하지 않기 때문에, 조건 C<D는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할 때 충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이탈 구동 레버(24)로부터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 압압력이 가해지는 작용점(T)에 대한 회전축(42)의 중심(K1)(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중심)과 회전축(50)의 중심(K2)(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중심)의 배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즉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반경과 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반경에 관하여 조건 C<D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조건 C=D(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이탈 구동 레버(24)가 대략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인 경우나 조건 C>D 인 경우에 비하여, 이탈 구동 레버(24)의 단위 회전각당의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량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구동 레버(24)의 적은 회전량으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량은,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의 직진 이동 링(14)의 광축 방향 이동량 및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의 단면 캠(58a)의 형상(경사각)과 같은 인자에 따라 결정되지만; 이탈 구동 레버(24)의 단위 회전각당의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이동량이 크면, 직진 이동 링(14)의 적은 이동량으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로 효율적으로 구동 이동될 수 있어, 구동 효율이 우수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를 성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광축(O)에 대한 회전축(42)의 중심(K1)(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중심)과 회전축(50)의 중심(K2)(이탈 구동 레버(24)의 회전 중심)의 배치 관계에 관하여 조건 A<B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조건 A=B나 조건 A>B가 충족되는 경우에 비하여, 이탈 구동 레버(24)의 위치를 반경방향으로 촬영 광축(O)에서 더 먼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직진 이동 링(14) 내에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 이외에도 흔들림 방지 프레임(18) 및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와 같은 요소가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보다 촬영 광축(O)에 더 가까이 이탈 구동 레버(24)와 같은 이탈 구동용 구조 요소를 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는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 A<B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의 조건 C<D를 충족시키면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 및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와 간섭하기 어려운 위치에 이탈 구동 레버(24)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 활용의 관점에서, 단지 조건 A<B를 충족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이동 링(14)의 내주면 부근에(직진 이동 링(14)의 내주면보다 촬영 광축(O) 쪽으로 더 가깝게) 회전축(5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회전축(50)이 직진 이동 링(14)의 주면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면,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 전체가 직경이 바람직하지 않게 증대될 수 있어, 흔들림 방지 렌즈 유닛(10)의 치수 증가를 막으면서, 공간 활용이 우수한 최적의 배치로서, 회전축(50)의 위치가 직진 이동 링(14)의 내주면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진/후퇴 링(직진 이동 링(14))의 광축 방향의 이동력을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를 이탈 위치를 향해 압압하는 힘으로 변환시키는 부재가 전진/후퇴 링에 대해 피벗 위치(회전축(50))가 변화되지 않는 이탈 구동 부재(이탈 구동 레버(24))이기 때문에,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의 위치가 약간 변위하더라도,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는 퇴피 위치로 확실하게 퇴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삽입/이탈 동작과 다른 목적으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계(렌즈 경통)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의 위치 조정이 상흔들림 보정용의 구동이고, 흔들림 방지 구동 액추에이터(26)의 구동력에 의해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수반하여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로 이동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흔들림 보정용의 이동을 성취하는 구성에만 효과적인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축(42)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한 구성(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4-233922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도 효과적이다. 조립시에 회전축(42)의 위치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O)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지만, 삽입/이탈 제어 돌출부(58)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O) 사이에 이탈 구동 레버(2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축의 위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직진 이동 링(14)의 광축 방향의 이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력을 확실하게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에 전달하는 성능의 관점에서 상기의 도시의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렌즈 경통이 수납될 때에 이탈 구동 레버(24)로부터 가압력을 받으면, 먼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이탈 보조 위치로 이동하고, 이어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단독으로 이탈 위치로 회전하였지만; 이러한 동작 순서가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 가압 스프링(46)에 의해 발생되는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회전 저항보다도, 인장 스프링(30)에 의하여 발생되는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이동 저항이 크게 설정될 수 있고, 또한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의 이탈 위치로의 회전 방향의 회전 한계를 결정하는 스토퍼가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경통이 수납될 때에 이탈 구동 레버(24)로부터 가압력을 받으면, 먼저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로 회전하고 그 결과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고 나서,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과 함께 이탈 보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구동 레버(24)에 의해 삽입/이탈가능한 프레임(20)이 이탈 위치로 압압 회전될 때의 작용점(T)(피압압부(20e)와 이탈 압압부(24c)의 맞닿음 지점)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서 약간 변화하지만, 흔들림 방지 프레임(18)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전술한 조건 A<B 및 C<D가 유지되도록 회전축(42)과 회전축(50)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자명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촬영 상태와 촬영을 행해지지 않는 수납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촬영 광학계 내에 설치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로서,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촬영 광학계가 렌즈 경통 수납 상태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전진/후퇴 링;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전진/후퇴 링 내에서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과 대략 평행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 상에 위치되어 있는 삽입 위치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 상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있는 이탈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를 상기 삽입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삽입 유지 수단;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상기 광축과 대략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맞닿음하지 않는 삽입 허용 위치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맞닿음하여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를 상기 삽입 위치에서 상기 이탈 위치로 압압 회전시키는 강제 이탈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탈 구동 부재; 및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상기 삽입 허용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전진/후퇴 링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상기 삽입 허용 위치에서 상기 강제 이탈 위치로 회전시키는 삽입/이탈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탈 구동 부재의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상기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맞닿음 지점까지의 회전 반경이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제1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맞닿음 지점까지의 회전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이탈 제어 수단은:
    상기 삽입 허용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전진/후퇴 링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이탈 구동 부재와 맞닿음하여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강제 이탈 위치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이탈 구동 부재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위치와 상기 이탈 위치 사이의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회전과는 별도로, 상기 전진/후퇴 링에 대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위치 조정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위치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전진/후퇴 링에 의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 및
    상기 촬영 광학계에 가해지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를 구동시켜 상면에 결상된 상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흔들림 방지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가 상기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 상에 피벗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광학계가 상기 촬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의 위치 변화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상기 이탈 구동 부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클리어런스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 유지 부재와 상기 이탈 구동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코일부가 상기 제2 회전축 둘레에 위치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지 수단은 상기 흔들림 방지 이동 부재 상에 형성된 스프링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구동 수단은 전자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KR1020120020312A 2011-02-28 2012-02-28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KR20120098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42027 2011-02-28
JP2011042027A JP5718094B2 (ja) 2011-02-28 2011-02-28 防振挿脱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2011162406A JP2013025259A (ja) 2011-07-25 2011-07-25 退避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JP-P-2011-162406 2011-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535A true KR20120098535A (ko) 2012-09-05

Family

ID=4669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312A KR20120098535A (ko) 2011-02-28 2012-02-28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30583B2 (ko)
KR (1) KR20120098535A (ko)
CN (2) CN102650794A (ko)
TW (1) TW201250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352A (ko) * 2013-01-21 2015-10-01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6358B2 (en) * 2011-02-28 2013-03-12 Hoya Corporation Optical device having an image-stabilizing insertable/removable optical element
JP5797570B2 (ja) * 2012-01-19 2015-10-21 Hoya株式会社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KR20140035672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JP6128821B2 (ja) * 2012-12-04 2017-05-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JP6116384B2 (ja) * 2013-06-04 2017-04-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391433B2 (ja) * 2013-12-17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部材を光路から退避可能な光学装置
EP3413119A1 (en) * 2014-12-17 2018-12-1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JP6593990B2 (ja) * 2014-12-24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および光学装置
EP3040753B1 (en) 2014-12-30 2024-02-21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EP3138655B1 (en) * 2015-09-02 2018-08-08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Optical station for exchanging optical elements
US10768437B2 (en) * 2016-01-07 2020-09-0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08474924B (zh) * 2016-01-19 2022-01-0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组及光学设备
JP2018106038A (ja) * 2016-12-27 2018-07-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の像ぶれを補正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量を較正するための方法
JP2019144336A (ja) * 2018-02-19 2019-08-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像装置
CN112637494B (zh) * 2020-12-21 2022-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终端设备
CN112839158A (zh) * 2021-03-09 2021-05-25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摄像模组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5930A (ja) * 1982-02-24 1983-08-31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系切替式カメラの切替機構
TWI229231B (en) 2002-02-21 2005-03-11 Pentax Corp Retractable lens system and method of retracting a retractable lens system
US7050713B2 (en) 2002-08-27 2006-05-23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JP4219183B2 (ja) 2003-02-03 2009-02-04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光学要素退避機構
US7477308B2 (en) * 2003-03-14 2009-01-13 Fujifilm Corporation Digital camera having collapsable lens barrel
JP2006017063A (ja) * 2004-07-05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
JP2006058455A (ja) 2004-08-18 2006-03-02 Nitto Kogaku Kk 鏡筒駆動機構
JP4967270B2 (ja) * 2005-07-28 2012-07-04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2007163961A (ja) 2005-12-15 2007-06-28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4765639B2 (ja) * 2006-01-26 2011-09-07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カメラシステム、及び、レンズ鏡筒調整装置
JP2008170650A (ja) 2007-01-10 2008-07-24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鏡筒
JP5611578B2 (ja) 2009-12-08 2014-10-22 Hoya株式会社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5611579B2 (ja) 2009-12-11 2014-10-22 Hoya株式会社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352A (ko) * 2013-01-21 2015-10-01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액면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30583B2 (en) 2014-09-09
CN102650794A (zh) 2012-08-29
TW201250325A (en) 2012-12-16
CN202494845U (zh) 2012-10-17
US20120218635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8535A (ko)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장치
EP1582900B1 (en) Optical apparatus
US8773762B2 (en) Lens barrel having an image-stabilizing insertable/removable optical element
JP5611579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US8396358B2 (en) Optical device having an image-stabilizing insertable/removable optical element
JP5611578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US8498528B2 (en) Position controller for image-stabilizing insertable/removable optical element
JP4830512B2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430074B2 (ja) 光学機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5797570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US8619145B2 (en) Position controller for image-stabilizing insertable/removable optical element
KR20070003674A (ko) 상흔들림 보정장치
JP4835095B2 (ja) レンズ鏡筒
US9563066B2 (en) Position controller for optical element
JP2011123360A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GB2427931A (en) Optical image stabilizer
JP5758201B2 (ja) 防振挿脱光学要素を有する光学機器
JP2013025259A (ja) 退避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5579659B2 (ja) 光学装置
JP5758167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2012203082A (ja) 防振挿脱光学要素を有するレンズ鏡筒
JP2014190983A (ja) 像振れ補正装置
JP5587012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201302526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1209650A (ja) 光学機器の防振装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