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875A -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875A
KR20150105875A KR1020140027993A KR20140027993A KR20150105875A KR 20150105875 A KR20150105875 A KR 20150105875A KR 1020140027993 A KR1020140027993 A KR 1020140027993A KR 20140027993 A KR20140027993 A KR 20140027993A KR 20150105875 A KR20150105875 A KR 2015010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organic solvent
chiral auxiliary
represented
chemic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148B1 (ko
Inventor
김택현
강병선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70One oxygen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661,3-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henyto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키랄 보조제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됨으로써 키랄 보조제의 분자 경제적인 효능을 만족하면서도 반응 종료 후에는 반응 생성물과 키랄 보조제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Soluble polymer supported 2-imidazolidinone chiral auxilia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분자에 지지된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활성 의약품의 규제강화와 더불어 비대칭 반응기술의 필요성은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키랄 보조제를 이용한 비대칭 반응은 비대칭 탄소-탄소 결합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반응이다. 이러한 키랄 보조제를 이용한 비대칭 반응기술은 키랄성이 없는 출발물질과 키랄 보조제를 결합하여 키랄 화합물로 전환한 다음, 키랄 보조제의 키랄성을 이용하여 최종 화합물에 새로운 키랄성을 도입하는 것을 기본 기술로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키랄 보조제를 고체상에 도입함으로써 키랄 보조제의 분리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연구가 다음 문헌에 보고된 바 있다[Tetrahedron Letters1996, 37, 8023; Tetrahedron Letters1997, 38, 8777; Tetrahedron Letters1998, 39, 2655]. 상기 문헌들에서는 아래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아래 (1)로 표시되는 키랄 보조제를 고체상에 결합시켜 회수가 용이한 아래 (3)으로 표시되는 고체에 지지된(solid supported) 키랄 보조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키랄 보조제의 경우에도 반응이 종결된 후, 키랄 보조제를 분리 회수할 때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반응 생성물로부터 키랄 보조제를 분리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남아있다. 또한, 키랄 보조제를 고체상 지지체에 결합시킨 고체 지지된(solid supported) 키랄 보조제의 경우, 비록 키랄 보조제의 분리가 용이할지라도 일반적으로 아주 소량의 키랄 보조제만이 고체상 지지체에 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당량을 사용하여야 하는 키랄 보조제를 이용한 비대칭 반응에서 이용되기에는 여전히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 반응기술에 사용되기 위한 키랄 보조제의 개발에 있어서, 키랄 보조제의 분자 경제적인 효능을 만족하고 반응 종료 후에는 반응 생성물과 키랄 보조제의 분리가 용이한 새로운 개념의 키랄 보조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Tetrahedron Letters, 1996, 37, 8023 Tetrahedron Letters, 1997, 38, 8777 Tetrahedron Letters, 1998, 39, 265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결합되는 형태의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20의 방향족, 및 벤질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P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별(*)표는 스테레오제닉(stereogenic) 중심을 나타냄)
본 발명의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THF, 클로로포름(CHCl3), Dichlromethane(CH2Cl2), 사염화탄소(CCl4), CHCl3, ether, benzene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m 과 n 의 비율이 1.5 내지 0.5 : 1 임)
본 발명의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m 과 n 의 비율이 1.5 내지 0.5 : 1 임)
본 발명의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에 있어서, 상기 m 과 n 의 비율이 1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 본 발명의 키랄 보조제는 아래 반응식 2와 같이 비대칭 알킬레이션에 이용 가능하다.
Figure pat00006
상기 반응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기 용매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로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4)를 아실기를 포함하는 아래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면 카보닐 그룹을 포함하는 아래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형성된다. 이를 아래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면 입체 선택성(regioselective)을 갖는 키랄 보조제로 인해 카이랄한 아래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형성되고, 이를 염기(NaOH 또는 KOH)와 반응시키면 카이랄 산(9)과 본래의 키랄 보조제(4)로 쉽게 분리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5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화학식 5]
Figure pat00007
[화학식 6]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5 또는 6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20의 방향족, 및 벤질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별(*)표는 스테레오제닉(stereogenic) 중심을 나타냄)
상기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에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를 혼합하고 140 내지 160 ℃에서 2 내지 4일 동안 환류(reflux)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7에 있어서, m 과 n 의 비율은 1.5 내지 0.5 : 1 임)
본 발명의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류 시키는 단계에서는 K2CO3 및 18-crown-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8]
Figure pat00010
본 발명의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9]
Figure pat00011
본 발명의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4000 Da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7000 Da이고, 분자량 분산도(중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가 1.8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키랄 보조제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됨으로써 키랄 보조제의 분자 경제적인 효능을 만족하면서도 반응 종료 후에는 반응 생성물과 키랄 보조제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의 1H-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카이랄 2- 이미다졸리디논의 합성
< 실시예 1-1>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아래 그림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2

L-Phenylalaninol((S)-(-)-2-Amino-3-phenyl-1-propanol)에 4-(Benzyloxy)phenyl isocyanate를 첨가하여 화합물 1A를 제조하였다. 상기 1A 화합물(2.47g, 1eq)이 담긴 250ml 둥근 플라스크에 Potassium tert-butoxide(1.92 g, 2.4eq)를 넣고, O℃ 질소 하에서 70ml의 dry THF를 넣은 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여기에 p-Toluene sulfonyl chloride(99%)(1.502g, 1.2eq)를 상온, 질소 하에서 2 mL의 dry THF로 녹인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saturated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하고 Diethyl ether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Magnesium sulfate로 dry 시킨 후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luent는, ethyl acetate : n-hexane = 5 : 5, R f = 0.3)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무색 고체 상태의 화합물 2A(수율 49%)를 얻었다.
hydrogenation chamber에 Pal1adium(10 wt% on activated carbon) 0.157g을 넣고, acetic acid glacial에 녹인 화합물 2A(1.57g, leq)를 천천히 가하였다. hydrogenolysis 반응기에 hydrogenation chamber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chamber 안의 기체를 수소 기체로 모두 채웠다. 이후 약 80mmHg 수소 기체 압력하에서 상온으로 24 시간 동안 격렬하게 반응시킨 후 hydrogenation chamber를 반응기에서 분리하고 용액을 여과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luent는, eltyl acetate : n- hexane = 5 : 5)률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밝은 갈색 고체 상태의 화합물 3A(수율 95%)를 얻었다.
상기 합성한 화합물 3A의 1H-NMR, 13C-NMR, 및 질량 분석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1H NMR(300 MHz, CDCl3) δ 7.20∼7.35 (m, 7H), 6.76∼6.78 (m, 2H), 5.06 (s, 1H), 4.13 (dd, J1 = 8.4Hz, J2 = 4.2Hz, 1H), 4.02(m, 1H), 3.94(dd, J1=5.1Hz, J2=5.4Hz, 1H), 2.89(m, 2H)
13C NMR(300 MHz, CDCl3) δ 171.3, 152.3, 136.5, 132.3, 129.1, 128.9, 127.1, 120.9, 115.7, 60.4, 51.4, 50.8, 42.1
C16H17N2O2 [M+H]+ m/z Calc. 269.18, found 269.18
< 실시예 1-2>
또 다른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아래 그림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3
먼저 O-benzyl-L-tyrosine의 -COOH 그룹을 LiAlH4를 이용하여 -CH2OH 그룹으로 환원시킨 후(1B), phenyl isocyanate를 첨가하였다(2B). 상기 화합물 2B(0.8g, 1eq)가 담긴 100ml 둥근 플라스크에 Potassium tert-butoxide(0.513g, 2.4eq)를 넣고, O℃ 질소 하에서 50ml의 dry THF를 넣은 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여기에 p-Toluene sulfonyl chloride(99%)(0.487g, 1.2eq)를 상온, 질소 하에서 2 mL의 dry THF로 녹인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saturated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하고 Diethyl ether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Magnesium sulfate로 dry 시킨 후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luent는, ethyl acetate : n-hexane = 5 : 5, R f = 0.36)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무색 고체 상태의 화합물 3B(수율 49%)를 얻었다.
hydrogenation chamber에 Pal1adium(10 wt% on activated carbon) 0.0054g을 넣고, acetic acid glacial에 녹인 화합물 3B(0.543g, leq)를 천천히 가하였다. hydrogenolysis 반응기에 hydrogenation chamber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chamber 안의 기체를 수소 기체로 모두 채웠다. 이후 약 80mmHg 수소 기체 압력하에서 상온으로 24 시간 동안 격렬하게 반응시킨 후 hydrogenation chamber를 반응기에서 분리하고 용액을 여과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luent는, eltyl acetate : n- hexane = 5 : 5)률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밝은 갈색 고체 상태의 화합물 4B(수율 90%)를 얻었다.
< 실시예 2> non - crosslinked chloromethylated polystyrenes ( NCPS )의 제조
4-Vinylbenzyl chloride 및 styrene의 비율을 조절하여 benzene 용매에 혼합한 후, 개시제로 AIBN(2,2'-Azobis(2-methylpropionitrile))을 첨가하고 70℃에서 3 일 동안 반응시켜 polystyrene을 합성하였다.
Figure pat00014

< 실험예 1> polystyrene 특성 측정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n 과 m의 비율에 따라 생성되는 polystyrene 고분자의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eed ratio
(m/n)
Yield(%) Loading
(mmol/g)
수평균
분자량
Mn (Da)
중량평균 분자량
Mw (Da)
분자량
분산도
(Mw/Mn)
NCPS11 1/1 46 3.89 3,180 5,992 1.9
NCPS21 2/1 40 4.89 4,436 7,370 1.7
NCPS10 1/0 52 6.55 8,604 11,817 1.4
상기 고분자들은 모두 THF, CH2Cl2, 또는 벤젠에 높은 용해도를 보인 반면 메탄올 또는 증류수에는 낮은 용해도를 보여, 비극성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3> 폴리스티렌으로 지지된 카이랄 2- 이미다졸리디논의 합성
< 실시예 3-1>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NCPS11에 연결하여 폴리스티렌으로 지지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3A(1.12g 1.5eq)가 담긴 50ml 2-necked flask에 무수 Potassium carbonate 1.54g(4eq), 18-crown-6(99%) O.368g(0.5eq), NCPSll 0.716g(leq)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reflux condenser를 연결하고 질소 하에서 10mL의 Dimethylformamide(anhydrous, 99.8%)를 첨가하였다. 150℃에서 2 일 동안 반응시킨 상기 화합물을 -78℃로 냉각시킨 200ml의 Methanol에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고 남은 고체를 증류수와 메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걸러진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 고체 화합물 4A(loading yield : 92%)를 얻었다.
Figure pat00015

< 실시예 3-2>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NCPS11에 연결하여 폴리스티렌으로 지지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4B(0.5g 1.5eq)가 담긴 50ml 2-necked flask에 무수 Potassium carbonate 0.69g(4eq), 18-crown-6(99%) O.16g(0.5eq), NCPSll 0.32g(leq)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reflux condenser를 연결하고 질소 하에서 10mL의 Dimethylformamide(anhydrous, 99.8%)를 첨가하였다. 150℃에서 2 일 동안 반응시킨 상기 화합물을 -78℃로 냉각시킨 200ml의 Methanol에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고 남은 고체를 증류수와 메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걸러진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 고체 화합물 5B(loading yield:95%)를 얻었다.
Figure pat00016

< 실험예 2> polystyrene 지지된 카이랄 2- 이미다졸리디논의 용해도 측정
실시예 2에서 제조된 NCPS21을 실시예 3-2와 동일하게 하게 polystyrene에 지지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을 합성하고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2에서 제조된 NCPS11로 지지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의 경우 THF, CH2Cl2, 및 벤젠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에 대해 높은 용해도를 보인 반면, NCPS21로 지지된 카이랄 2-이미다졸리디논의 경우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비대칭 알킬화 반응에서의 거울상 초과량 측정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화합물 4A를 키랄 보조제로 이용하여 비대칭 알킬화 반응을 아래 그림과 같이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17
화합물 4A(O.lg, leq)가 담긴 50ml 둥근 플라스크에 질소 하에서 10ml의 dry THF틀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Potassium tert-butoxide(O.276ml, 10eq)를 첨가하고 다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여기에 Propionyl chloride(O.18ml, 10eq), Phenylacetyl chloride 또는 Hydrocinnamoyl chloride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saturated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하고 Diethyl ether로 추출한 뒤, 추출한 유기층을 Magnesium sulfate로 dry 시킨 후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혼합물 상태의 화합물을 -78℃로 냉각시킨 메탄올에 혼합하여 침전시킨 후,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고 걸러진 고체 화합물을 메탄올과 증류수를 1:1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 및 메탄올로 세척하여 화합물 5A를 얻었다.
화합물 5A(0.03g, leq)가 담긴 50ml 둥근 플라스크에 질소 하에서 10ml의 dry THF를 첨가한 후 78℃에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여기에 sodium bis(trimethylsilyl)-amide(5eq)를 첨가하고, 2시간 후에 benzyl bromide(10eq), methyl iodide 또는 allyl iodide를 첨가하였다. 24시간 이후에 반응을 종료하고, saturated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Magnesium sulfate로 dry 시킨 후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혼합물 상태의 화합물을 -78℃로 냉각시킨 메탄올에 혼합하여 침전시킨 후,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고 걸러진 고체 화합물을 메탄올과 증류수를 1:1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 및 메탄올로 세척하여 화합물 6A를 얻었다. 필터에 남아 있는 고체상의 화합물 6A를 Dichloromethane에 녹인 후 과량의 Trifluoroacetic acid를 가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luent는, ethyl acetate : n-haxane = 2 : 8)를 진행하여, 화합물 7A를 얻었다.
아래 표 2는 HPLC(eluent는, 2-propanol : n-hexane = 5 : 95)를 이용하여 화합물 6A 및 7A의 거울상 초과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Entry R1 R2X Yield(%) de(%)
1 Me BnBr 58 >99
2 Ph BnBr 54 >99
3 Bn CH2=CHCH2I 53 >99
4 Bn CH3I 49 >99
< 실험예 4> 비대칭 알킬화 반응에서의 거울상 초과량 측정
화합물 6A(O.05g, 1eq)가 담긴 50ml 둥근 플라스크에 Dioxane 10ml를 넣고 여기에 2N NaOH 10ml를 천천히 가해준다. 2 시간 동안 100℃에서 reflux시킨 후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Dichloromethane 용액에 saturated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하고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agnesium sulfate로 dry 시킨 후 -78℃로 냉각시킨 약 200ml의 메탄올에 침전시켰다. 침전된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고 걸러진 고체를 메탄올과 증류수가 1:1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후 필터에 남아 있는 고체를 취하여 화합물 4A를 얻었다.
물층은 hydrogen chloride를 가하여 acidification(pH 2~3) 시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Ethyl acetate로 추출한 유기층을 Magnesium sulfate로 dry 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luent는, ethyl acetate : n-hexane + 2 : 8)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8A를 얻었다. 아래 표 3은 HPLC(eluent는, 2-propanol : n-hexane = 5 : 95)를 이용하여 화합물 8A의 거울상 초과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Entry R1 R2X Yield(%) ee(%)
1 Me BnBr 55 99
2 Ph BnBr 47 99
3 Bn CH2=CHCH2I 50 99
4 Bn CH3I 48 99
< 실험예 5> 비대칭 알킬화 반응에서의 거울상 초과량 측정
실시예 3-2에서 제조된 화합물 5B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비대칭 알킬화 반응을 아래 그림과 같이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18

아래 표 4는 HPLC(eluent는, 2-propanol : n-hexane = 5 : 95)를 이용하여 화합물 7B 및 8B의 거울상 초과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Entry R1 R2X Yield(%) de(%)
1 Me BnBr 40 >99
2 Ph BnBr 34 >99
3 Bn CH2=CHCH2I 36 >99
4 Bn CH3I 27 >99
< 실험예 6> 비대칭 알킬화 반응에서의 거울상 초과량 측정
실시예 3-2에서 제조된 화합물 5B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비대칭 알킬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아래 표 5는 HPLC(eluent는, 2-propanol : n-hexane = 5 : 95)를 이용하여 화합물 9B의 거울상 초과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Entry R1 R2X Yield(%) ee(%)
1 Me BnBr 55 99
2 Ph BnBr 43 99
3 Bn CH2=CHCH2I 46 99
4 Bn CH3I 36 99
< 실험예 7> 1 H- NMR 측정
실험예 3에서 R1으로 Me를 사용하고, R2X로 BnBr을 사용한 뒤, 각각 4A, 5A, 6A 화합물의 1H-NMR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예 5에서 R1으로 Me를 사용하고, R2X로 BnBr을 사용한 뒤, 각각 5B, 6B, 7B 화합물의 1H-NMR을 측정하였다. NMR 분석을 위해 용매로 CDCl3를 이용하였으며, 300 MHz 조건에서 1H-NMR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부착된 2-이미다졸리디논 및 R1 및 R2로 치환된 가용성 고분자에 부착된 2-이미다졸리디논의 경우 1H-NMR로 쉽게 분석 가능하였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
    [화학식 1]
    Figure pat00019

    [화학식 2]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20의 방향족, 및 벤질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P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별(*)표는 스테레오제닉(stereogenic) 중심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THF, 클로로포름(CHCl3), Dichlromethane(CH2Cl2), 사염화탄소(CCl4), CHCl3, ether, benzene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인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
    [화학식 3]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m 과 n 의 비율이 1.5 내지 0.5 : 1 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인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
    [화학식 4]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m 과 n 의 비율이 1.5 내지 0.5 : 1 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 과 n 의 비율이 1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되는 키랄 보조제.
  6. 하기 화학식 5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화학식 5]
    Figure pat00023

    [화학식 6]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5 또는 6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2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C1 내지 C12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20의 방향족, 및 벤질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별(*)표는 스테레오제닉(stereogenic) 중심을 나타냄)
    상기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에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를 혼합하고 140 내지 160 ℃에서 2 내지 4일 동안 환류(reflux)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 7]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7에 있어서, m 과 n 의 비율은 1.5 내지 0.5 : 1 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 시키는 단계에서는 K2CO3 및 18-crown-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것인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 8]
    Figure pat00026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6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것인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 9]
    Figure pat00027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4000 Da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7000 Da이고, 분자량 분산도(중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가 1.8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 보조제의 제조 방법.
KR1020140027993A 2014-03-10 2014-03-10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3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93A KR101631148B1 (ko) 2014-03-10 2014-03-10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93A KR101631148B1 (ko) 2014-03-10 2014-03-10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875A true KR20150105875A (ko) 2015-09-18
KR101631148B1 KR101631148B1 (ko) 2016-06-17

Family

ID=5424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993A KR101631148B1 (ko) 2014-03-10 2014-03-10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48B1 (ko)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etrahedron Letters, 1996, 37, 8023
Tetrahedron Letters, 1997, 38, 8777
Tetrahedron Letters, 1998, 39, 2655
Tetrahedron Letters, 2009, vol. 50, pp. 4015-40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48B1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7613B (zh) 钌催化杂环芳酮与二苯乙炔反应制备多芳取代萘衍生物的方法
JP2010001443A (ja) エポキシドと二酸化炭素との立体選択的交互共重合
TW201813959A (zh) 雙呋喃二鹵化物,用於製造雙呋喃二鹵化物的方法,及利用雙呋喃二鹵化物製造雙呋喃二酸、雙呋喃二醇或雙呋喃二胺的方法
JP5596258B2 (ja) カリックスアレーンダイマー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503382B (zh) 一种12位苯并环丁烯脱氢枞酸(β-甲基丙烯酰氧基乙基)酯、其制备方法及其应用
JP2009242484A (ja) ジビニルエーテル誘導体ポリマ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CN109535120B (zh) 7-取代-3,4,4,7-四氢环丁烷并香豆素-5-酮的制备方法
KR101631148B1 (ko)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고분자에 지지된 2-이미다졸리디논 키랄 보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010753A (zh) 一种水相中制备磷酸化偕二氟二烯烃化合物的方法
JPWO2005080364A1 (ja) 脂環式オキセタ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12153847A (ja) 新規高分子化合物及びその中間体
JPH023685A (ja) チオフェンエーテルの製造方法
Shimokawaji et al. Synthesis of partially bio‐based triepoxides from naturally occurring myo‐inositol and their polyadditions
CN105732338B (zh) 一种m-PEG聚合物的制备方法
WO2023042894A1 (ja) フランアクリル酸エステル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重合体の製造に用いる重合性モノ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63605A (ja) 分子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29963B1 (ko) 에베로리무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중간체
JP7125022B2 (ja) 化合物
JPWO2011111762A1 (ja) ジアリ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新規ビナフチル誘導体、アレーン誘導体の製造方法、及び新規アレーン誘導体
JP6920917B2 (ja) 6−ヒドロキシ−2−ナフトエ酸アルケニル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594582A (zh) 一种合成13c标记的4-三氟甲基甲酸芳酯的方法及应用
KR100601092B1 (ko) 광학활성을 갖는 엑소형태의 일치환 노르보넨 이성질체의제조방법
CN117510291A (zh) 一种丙烯酰胺类化合物的制备方法
CN105101960A (zh) 异己糖醇的单醚以及其制造方法
JP2022029075A (ja) チオエステル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