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83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83A
KR20150102483A KR1020140024413A KR20140024413A KR20150102483A KR 20150102483 A KR20150102483 A KR 20150102483A KR 1020140024413 A KR1020140024413 A KR 1020140024413A KR 20140024413 A KR20140024413 A KR 20140024413A KR 20150102483 A KR20150102483 A KR 2015010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ent
deck
mov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324B1 (ko
Inventor
김태석
고두영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3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선체, 선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내부 공간의 상부에 제공되는 데크 및 내부 공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운반 유닛을 포함하되 데크는 컨테이너가 통과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선박은 박스형의 컨테이너를 적하하기 위하여 데크(Deck)를 포함하지 않고, 해치 커버(Hatch Cover)를 사용하여 개구부(Opening) 구조를 덮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은 홀드(Hold) 내부까지 컨테이너 적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셀가이드를 포함하고,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적하한다.
그러나 컨테이너선이 대형화되면서 데크가 없는 형태의 구조는 강도부재의 부족으로 인해 데크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홀드 내부에 컨테이너를 원할히 적하하기 위해서는 데크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데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의 제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서 컨테이너의 적하를 위한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 제공되는 데크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운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데크는 상기 컨테이너가 통과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반 유닛은 제1방향으로 하나 이상 제공되는 레일 및 상기 컨테이너를 파지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동 부재는 양단에 상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파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180도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지 부재는 양방향으로 컨테이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데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에서 컨테이너의 적하를 위한 레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포함한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에서 개구부의 위치와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포함한 선박에서 컨테이너 적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포함한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10), 데크(120) 및 운반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와 데크(120) 사이의 내부 공간(R)에는 컨테이너가 적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120)는 선체(110)의 상단에 선체(110) 상부를 덮을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데크(120)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적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22)는 적하될 컨테이너보다 단면적이 넓게 제공될 수 있다. 개구부(122)는 운반 유닛의 이동 부재와 동일한 수 또는 그 이상의 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개구부(122)의 위치 및 배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운반 유닛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컨테이너를 내부 공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 유닛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에서 개구부의 위치와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운반 유닛의 이동 부재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하하기 위해서 개구부는 이동 부재의 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개구부는 컨테이너를 데크 상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단면적보다 넓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데크(120)는 좌우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고, 앞뒤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의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 개구부(122)는 데크(1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개구부(122)의 위치는 변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데크(220)는 좌우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고, 앞뒤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길이보다 긴 복수의 개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220)는 데크(22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개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서 도시된 개구부(222)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구부(222)의 위치는 변형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데크(320)는 좌우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고, 앞뒤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길이보다 긴 복수의 개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320)는 데크(32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개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서 도시된 개구부(322)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구부(322)의 위치는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운반 유닛(130)은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레일(13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132)은 컨테이너 적재 공간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선에서 컨테이너는 셀에 직각으로 선적되는데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나누어진 그룹을 베이(Bay)라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당 하나 이상의 레일(132)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132)은 베이 측면에 모노 레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132)은 베이와 베이 사이마다 모노 레일로 제공될 수 있고, 양 끝단의 베이에 각각 하나의 모노 레일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와 베이 사이에 배치된 모노 레일 상의 이동 부재(134)는 양쪽 컨테이너(C1, C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132)은 2개의 베이 사이마다 하나의 모노 레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와 베이 사이에 배치된 모노 레일 상의 이동 부재(134)는 양쪽 컨테이너(C1, C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132)은 하나의 베이마다 2개의 모노 레일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내지 도 3d의 모노 레일은 이중 레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유닛(130)의 이동 부재(13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는 레일마다 하나씩 제공되고, 레일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134)는 복수의 수직 가이드 부재(136) 및 복수의 수직 이동 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가이드 부재(136)의 일단은 레일(132)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직 가이드 부재(136)는 컨테이너의 무게를 버틸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제공될 수 있다. 수직 가이드 부재(136)는 컨테이너를 적하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이동 부재(138)는 서로 연결 부재(137)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이동 부재(138)는 파지 부재(139)를 포함할 수 있고, 파지 부재(139)는 컨테이너를 파지할 수 있다. 수직 이동 부재(138)는 수직 가이드 부재(136)에 배치되어 수직 가이드 부재(136)를 따라 컨테이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 이동 부재(138)는 컨테이너를 파지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높이에 맞게 길이가 변형될 수 있다. 파지 부재(139)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139)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139)는 수직 이동 부재(138) 양단에서 컨테이너를 파지하기에 적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139)는 수직 가이드 부재(136)의 중심축을 따라 180도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파지 부재(139)는 도 3b 및 도 3c의 레일에 배치되는 이동 부재(134)에 제공되어, 이동이 필요한 컨테이너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컨테이너(C)를 파지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139)는 레일 양쪽의 컨테이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파지 부재(139)는 도 3b 및 도 3c의 레일에 배치되는 이동 부재(134)에 제공되어 레일 양쪽의 컨테이너(C1, C2)를 파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포함한 선박에서 컨테이너 적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컨테이너는 크레인에 의해서 데크의 개구부를 통해 선체 내부 공간으로 옮겨진다. 이 때, 이동 부재는 개구부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옮겨진 컨테이너는 파지 부재에 의해서 이동 부재에 고정된다. 고정된 컨테이너는 현재 컨테이너의 적하상태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되고, 파지 부재는 컨테이너 고정을 해제한다. 이동 부재는 다시 개구부 아래로 이동하여 다음 컨테이너 적하를 준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여러 개로 분산된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선박
110: 데크
120: 개구부
130: 운반 유닛
132: 레일
134: 이동 부재
136: 수직 가이드 부재
137: 연결 부재
138: 수직 이동 부재
139: 파지 부재

Claims (4)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 제공되는 데크;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운반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데크는 상기 컨테이너가 통과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유닛은
    제1방향으로 하나 이상 제공되는 레일; 및
    상기 컨테이너를 파지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동 부재는 양단에 상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파지 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180도 회전 가능하며, 양방향으로 컨테이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선박.
KR1020140024413A 2014-02-28 2014-02-28 선박 KR10158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13A KR101581324B1 (ko) 2014-02-28 2014-02-28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13A KR101581324B1 (ko) 2014-02-28 2014-02-28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83A true KR20150102483A (ko) 2015-09-07
KR101581324B1 KR101581324B1 (ko) 2015-12-31

Family

ID=5424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413A KR101581324B1 (ko) 2014-02-28 2014-02-28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80B1 (ko) * 2022-10-18 2023-12-19 김정현 석탄재 선적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28U (ja) * 1991-09-18 1993-04-06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のコンテナ積卸し装置
KR20020082359A (ko) * 2001-04-23 2002-10-31 한종상 비닐 백용 필름 권취 장치
JP2006213229A (ja) * 2005-02-04 2006-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28U (ja) * 1991-09-18 1993-04-06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のコンテナ積卸し装置
KR20020082359A (ko) * 2001-04-23 2002-10-31 한종상 비닐 백용 필름 권취 장치
JP2006213229A (ja) * 2005-02-04 2006-08-1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80B1 (ko) * 2022-10-18 2023-12-19 김정현 석탄재 선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324B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9038C (en) Overhead guide track systems for automated material handling
US20180022263A1 (en) Logistics bracket for use in securing and decking freight
CA3015504A1 (en) Transport and handover system for storing and removing or relocating storage items in high-bay warehouses, and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KR101581324B1 (ko) 선박
Ambrosino et al. Using a bin packing approach for stowing hazardous containers into containerships
US20140158908A1 (en) Container Scanning System and Method
JP6424378B2 (ja) 貨物船の甲板に積載されて輸送される複数のコンテナを支えるための設備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200066898A (ko) 래싱 브릿지 운반장치
EP3450298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standardised containers between a container ship and a quay
EP2540654A1 (en) Ship to shore crane installation with offset cranes
KR102115781B1 (ko) 컨테이너 래싱장치
KR101586261B1 (ko) 이동식 거주구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667572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101909518B1 (ko) 화물 적재 선박
GB2509358A (en) Vessel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goods along its length
KR101644335B1 (ko)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Ward Simulation analysis for planning deltaport container terminal, Vancouver, B. C.
KR101689657B1 (ko)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KR101644451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10179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114740A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114753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