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335B1 -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335B1
KR101644335B1 KR1020140124446A KR20140124446A KR101644335B1 KR 101644335 B1 KR101644335 B1 KR 101644335B1 KR 1020140124446 A KR1020140124446 A KR 1020140124446A KR 20140124446 A KR20140124446 A KR 20140124446A KR 101644335 B1 KR101644335 B1 KR 10164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ntainer
storage unit
deck
contain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488A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는 해상구조물의 데크의 하측에 구비되며, 컨테이너가 저장되는 컨테이너저장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저장부; 상기 데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데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데크의 하측으로 옮겨진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저장부로 이송하는 캐리어;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가 수납되는 캐리어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리어수납부; 및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와 상기 캐리어수납부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Container Storing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선박 등 해상구조물의 데크 하부에 컨테이너를 이송시켜 저장하기 위한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리그선 등 해상구조물은 장시간 동안 해상에서 탐사, 시추 등 특수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필요한 장비, 소모품 등은 컨테이너에 저장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해상구조물의 데크(Deck) 상에서 보관되기도 하나, 컨테이너, 컨테이너에 보관된 장비, 소모품 등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크 하부에 보관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대략 25톤의 무게를 가지고, 20ft의 규격화된 길이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수의 컨테이너를 데크의 하부에 적재하는 경우, 대략 25톤의 컨테이너(C)를 이송시키 위해서 호이스트(50, Hoist)를 이용한다. 이러한 호이스트(50)는 컨테이너(C)를 들어올려 수평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호이스트(5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의 높이(c)에서 호이스트의 높이(l1),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야 할 높이(l2)가 필요하다. 즉, 컨테이너가 저장되는 공간의 높이는 컨테이너의 높이(c)에서 호이스트의 높이(l1),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야 할 높이(l2)를 합한 높이(L)가 필요하다.
이러한 높이(L)를 확보하기 위해서, 해상구조물의 데크 하부의 설계를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4229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테이너를 데크 하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의 데크의 하측에 구비되며, 컨테이너가 저장되는 컨테이너저장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저장부; 상기 데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데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데크의 하측으로 옮겨진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저장부로 이송하는 캐리어;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가 수납되는 캐리어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리어수납부; 및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와 캐리어수납부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가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캐리어바디; 상기 캐리어바디에 설치되며, 제1 기어치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 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기어는 하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부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는 상기 캐리어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의 홈과 대응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바디의 모서리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의 홈과 대응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는 캐리어수납부에 수납된 캐리어가 컨테이너를 안착시킨 후,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저장부로 이송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가 캐리어에 설치되면서 랙기어가 레일부에 설치됨으로써, 캐리어를 정밀하게 이송하게 되어 캐리어에 안착된 컨테이너가 캐리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캐리어와 레일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장치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상구조물은 예를 들어 해상에서 장시간 탐사, 시추 등 작업을 수행하는 선박 또는 다양한 플랫폼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는 컨테이너저장부(135), 캐리어(200), 캐리어수납부(125) 및 레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저장부(135)는 해상구조물의 데크(D)의 하측에 구비되며, 컨테이너(C)가 저장되는 컨테이너저장공간(130)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저장부(135)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C)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테이너저장공간(130)은 데크(D)의 개구(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200)는 컨테이너(C)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캐리어(200)는 데크(D)의 상측으로부터 데크의 하측으로 옮겨진 컨테이너(C)를 안착시킨 후, 컨테이너저장부(135)로 이송할 수 있다. 캐리어(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캐리어수납부(125)는 컨테이너저장부(135)와 연결되며, 캐리어(200)가 저장되는 캐리어저장공간(120)을 가질 수 있다. 캐리어수납부(125)는 복수 개의 캐리어(200)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수납부(125)는 개구(110)를 중심으로 컨테이너저장부(135)의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300)는 컨테이너저장부(125)와 캐리어수납부(135)에 설치되며, 캐리어(200)가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레일부(300)는 컨테이너저장부(125)의 하부와 캐리어수납부(135)의 하부에 설치되며, 컨테이너저장부(125)와 캐리어수납부(135)에서 동일선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200)는 캐리어수납부(125)에서 컨테이너저장부(135)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는 캐리어수납부(125)에 저장된 캐리어(200)를 레일부(300)를 따라 이송시킨 후, 컨테이너(C)를 안착시켜 컨테이너저장부(135)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와 달리, 캐리어(200)와 레일부(300)를 이용함에 따라, 컨테이너저장부(135)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즉, 캐리어(200)와 레일부(300)의 높이(h)와 컨테이너의 높이(c)를 합한 높이(H)은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C)가 저장되는 공간의 높이는 컨테이너의 높이(c)에서 호이스트의 높이(l1),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야 할 높이(l2)를 합한 높이(L)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캐리어와 레일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200)는 캐리어바디(210), 피니언기어(240) 및 구동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바디(210)는 컨테이너(C)가 안착될 수 있다. 캐리어바디부(210)의 넓이는 컨테이너(C)의 하부의 넓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바디(210)는 캐리어바디(210)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240)는 캐리어바디(210)에 설치되며, 제1 기어치가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다. 즉, 피니언기어(240)는 캐리어바디(210)의 연장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43)는 피니언기어(24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243)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구동부(243)는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피니언기어(2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구동부(243)는 피니언기어(240)의 중심에 연결된 회전축(24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300)는 제1 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 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300)는 캐리어수납부(125)와 컨테이너저장부(135)의 하부와 연결된 레일바디(310)와 레일바디(31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30)는 레일연장부(3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는 피니언기어(240)가 회전하면서 랙기어(330)에 맞물리게 됨에 따라, 레일부(30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랙기어(330)는 하?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캐리어(200)는 레일부(300)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롤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30)가 하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피니언기어(240)는 랙기어(330)와 맞물리도록 랙기어(3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부(230)는 레일부(300)의 상부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캐리어(200)의 전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240)는 레일부(300)를 기준으로 롤러부(230)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부(230)는 피니언기어(240)와 반대?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230)의 회전력과 피니언기어(240)이 회전력은 레일부(300)에 동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c)는 와이어(W)에 연결되어 데크(D) 상측에 개구(110)를 통하여 데크(D)의 하측으로 이송된다. 와이어(W)는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수납부(125)에 저장된 캐리어(200)는 구(110)의 하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컨테이너(c)는 상기 캐리어(200)에 안착된다.
컨테이너(c)가 안착된 캐리어(200)는 레일부(300)를 따라 컨테이너저장부(125)로 이송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저장부(125)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는 고정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50)는 캐리어바디(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컨테이너(C)의 하부의 홈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바디(210)의 모서리에는 고정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50)는 제1 고정돌기(251), 고정바디(253) 및 제2 고정돌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51)는 고정홈(212)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252)는 컨테이너(C)의 하부의 홈과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디(253)는 제1 고정돌기(251)와 제2 고정돌기(252) 사이에 구비되며, 캐리어바디(210)에 안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50)는 컨테이너(C)가 안착되어 이송시, 컨테이너(C)가 캐리어(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개구 120: 캐리어저장공간
125: 캐리어수납부 130: 컨테이너저장공간
135: 컨테이너저장부 200: 캐리어
210: 캐리어바디 212: 고정홈
220: 연장부 230: 롤러부
240: 피니어기어 250: 고정부
251: 제1 고정돌기 252: 제2 고정돌기
253: 고정바디 241: 회전축
243: 구동부 300: 레일부
310: 레일바디 320: 레일연장부
330: 랙기어 D: 데크

Claims (6)

  1. 해상구조물의 데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데크의 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컨테이너가 저장되는 컨테이너저장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저장부;
    상기 데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데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데크의 하측으로 옮겨진 복수 개의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저장부로 이송하며 상기 컨테이너와 함께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에 저장되는 복수 개의 캐리어;
    상기 데크의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크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컨테이너저장부로 이송되기 전 수납되는 캐리어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리어수납부; 및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와 상기 캐리어수납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저장부와 상기 캐리어수납부에서 동일선 상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가 상기 캐리어수납부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저장부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캐리어바디;
    상기 캐리어바디에 설치되며, 제1 기어치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 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하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부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의 홈과 대응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바디의 모서리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의 홈과 대응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KR1020140124446A 2014-09-18 2014-09-18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KR101644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46A KR101644335B1 (ko) 2014-09-18 2014-09-18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46A KR101644335B1 (ko) 2014-09-18 2014-09-18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88A KR20160033488A (ko) 2016-03-28
KR101644335B1 true KR101644335B1 (ko) 2016-08-01

Family

ID=5670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446A KR101644335B1 (ko) 2014-09-18 2014-09-18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726B2 (ja) * 1997-10-02 2001-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95U (ko) * 1989-06-08 1991-01-18
JP2979558B2 (ja) * 1989-12-14 1999-11-1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多層配線層間絶縁膜の形成方法
KR20110064229A (ko) 2009-12-07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2단 하역 장치 및 방법
KR20110074387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KR101739450B1 (ko) * 2010-08-10 2017-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726B2 (ja) * 1997-10-02 2001-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88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CN104379490B (zh) 包括起重机和位于起重机的主体中且用于保持和堆叠舱口盖的底座的在港口操作中装载和卸载的系统
KR20170113592A (ko) 연안 자재취급 시스템 및 자재취급 방법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101644335B1 (ko)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JP6424378B2 (ja) 貨物船の甲板に積載されて輸送される複数のコンテナを支えるための設備
JP2016527144A5 (ko)
JP2016179753A (ja) 二種類の荷役装置による同時荷役貨物船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CN1413157A (zh) 用船运送货卷的方法和构造;中间甲板以及在船的货舱中的中间甲板构造
KR20130061288A (ko) 선측에 구비되는 접이식 헬리데크
KR101580977B1 (ko) 래싱 브리지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70001627U (ko)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KR20140069465A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45276A (ko) 컨테이너 고박장치
KR101581324B1 (ko) 선박
CN211663665U (zh) 充电桩运输托盘
WO2007132416A2 (en) The displacement of containers with respect to a ship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20130056619A (ko)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KR102280807B1 (ko) 원유운반선의 복층 화물창 구조
KR20170001619U (ko) 크래들 기능을 갖는 스러스터 트렁크 해치 및 그 스러스터 트렁크 해치를 포함하는 스러스터 유지보수장치
KR102205482B1 (ko) 해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20130017855A (ko)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