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450B1 -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450B1
KR101739450B1 KR1020100076795A KR20100076795A KR101739450B1 KR 101739450 B1 KR101739450 B1 KR 101739450B1 KR 1020100076795 A KR1020100076795 A KR 1020100076795A KR 20100076795 A KR20100076795 A KR 20100076795A KR 101739450 B1 KR101739450 B1 KR 10173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ing device
container holding
car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680A (ko
Inventor
김상호
김철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4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홀드 내로 하역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로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카트; 및 상기 카트를 상기 홀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ONTAINER SHIP HOLD}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 재래의 화물선은 잡화를 하나하나 쌓았으나, 규격형의 상자인 컨테이너에 하물을 넣고 그것을 적하물(積荷物)로 하면, 하역의 수수(手數)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하역이 천후에 관계없이 되며, 하역 작업의 기계화가 되므로 정박 기간의 단축도 된다. 이로 인해 수송능력이 2배 이상으로 되고, 도난 예방도 되며 하물제작비도 대폭 절감되고 다시 철도 수송으로 직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전문으로 수송하는 특수한 구조의 풀 컨테이너선, 선창의 일부를 컨테이너 전용으로 만든 세미 컨테이너선의 두 종류가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선의 선체는 선수(bow), 선미(stern), 기관실(engine room), 선실(accommodation), 홀드(hold, 화물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선의 홀드는 컨테이너선의 갑판 하부에 구비되고, 이 홀드 내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된다.
한편,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작업은 주로 항구의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을 통해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후에 컨테이너선의 홀드의 셀 가이드를 이용하여 홀드의 바닥까지 하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하역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하역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홀드 내부로의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홀드 내로 하역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로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카트;상기 카트를 상기 홀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 및 상기 카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유닛은 상기 카트를 홀드 내의 셀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유닛은 컨테이너선의 상갑판 측에 설치된 윈치, 상기 홀드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 상기 카트의 후면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이송풀리, 상기 윈치로부터 복수의 가이드풀리 및 한 쌍의 이송풀리를 거쳐 설치된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그 양측면에 래크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의 하단면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래크치형부에 치합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카트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의 좌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홀드 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홀드의 셀가이드측에 설치되고, 상기 셀가이드는 상기 홀드의 격벽에 복수의 보강리브를 통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드의 상측에는 상기 카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복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된 이동대차 및 상기 홀드의 상측 격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바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대차는 그 좌우 양측 하부에 한 쌍의 척킹부가 설치되고, 상기 척킹부는 상기 카트의 좌우 양측을 해제가능하게 척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척킹부는 그 좌우 하단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진하는 척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척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척킹홈에는 상기 척킹부재가 전후진하면서 삽입 및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홀드 내로 하역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로서,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카트를 상기 홀드의 셀가이드를 따라 가이드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 및 상기 카트가 상기 홀드의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카트를 척킹한 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카트의 하단에는 스토퍼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홀드 내로 하역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로서, 상하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홀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수평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홀드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항구의 컨테이너 크레인이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의 홀드 상측으로 위치한 카트 측에 이송하면, 카트는 수평이동유닛 및 상하이동유닛에 의해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로 적절히 하역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C-C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E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D-D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의 수평이동유닛 측에 카트가 척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는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내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항구의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 컨테이너선의 상부로 이송된 컨테이너(1)를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내로 하역시킴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는 컨테이너(1)를 홀드(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2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1)는 한 쌍의 카트(10)에 의해 지지되고, 상하이동유닛(20)은 카트(10)를 홀드(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카트(10)는 컨테이너(1)의 좌우 양측면에 배치되고, 각 카트(10)의 하부에는 스토퍼(1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스토퍼(11)가 컨테이너(1)의 하단 가장자리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스토퍼(11)는 컨테이너(1)의 하단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고, 스토퍼(11)가 컨테이너(1)의 외측으로 후진함에 따라 스토퍼(11)는 컨테이너(1)의 하단 가장자리부터 이격됨으로써 컨테이너(1)는 홀드(100) 내에 하역된다.
스토퍼(1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면에 래크치형부(13)가 형성되고, 카트(10)의 하단면에는 구동모터(12a)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2)가 설치되며, 피니언기어(12)는 래크치형부(13)에 치합되어 있다. 이에 구동모터(12a)에 의해 피니언기어(12)가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11)의 래크치형부(13)가 직선운동하고, 이에 스토퍼(11)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스토퍼(11)가 전진함에 따라 컨테이너(1)의 하역 시에 컨테이너(1)의 하단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스토퍼(11)가 후진함에 따라 컨테이너(1)가 하역된다. 한편, 스토퍼(11)의 이동구조는 상술한 피니언기어(12) 및 래크치형부(13) 이외에도 다양한 이동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카트(10)의 좌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16)가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6)는 홀드(100) 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17)을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특히, 가이드롤러(16)는 가이드홈(16a)을 가지고, 가이드롤러(16)의 가이드홈(16a)은 가이드레일(17)을 따라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레일(17)은 홀드(100)의 셀가이드(110)측에 설치됨으로써 설치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셀가이드(110)는 홀드(100)의 격벽(120)에 복수의 보강리브(미도시)를 통해 이격되어 설치되고, 셀가이드(110)와 격벽(120)의 이격틈새를 따라 가이드롤러(16)가 이송될 수 있다.
상하이동유닛(20)은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상하방향으로 카트(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특히 카트(10)를 홀드(100) 내의 셀가이드(110)를 따라 이송시킴으로써 카트(10)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유닛(20)은 컨테이너선의 상갑판(2) 측에 설치된 윈치(21), 홀드(100)의 상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22), 카트(10)의 후면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이송풀리(23), 윈치(21)로부터 풀려져 복수의 가이드풀리(22) 및 한 쌍의 이송풀리(23)를 거쳐 설치된 와이어로프(24)를 포함한다.
윈치(21)는 윈치용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하고, 윈치(21)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로프(24)가 감기거나 풀려진다.
와이어로프(24)는 그 일단이 윈치(21)측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윈치(21)의 수평방향 반대측 고정앵커(21a)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하이동유닛(20)에 의해, 윈치용 모터(미도시)에 의해 윈치(21)가 회전구동함에 따라 윈치(21)측에 와이어로프(24)가 감기거나 풀려지고, 이에 와이어로프(24)는 가이드롤러(22)들 및 이송롤러(23)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트(1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는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상측에서 컨테이너(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평이동유닛(30)은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상측에서 카트(10)를 척킹한 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컨테이너(1)의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평이동유닛(30)은 홀드(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하이동유닛(20)에 의해 카트(10)가 홀드(100)의 상측에 위치하면, 수평이동유닛(30)은 카트(10)를 척킹한 후에 컨테이너선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수평이동유닛(30)은 복수의 이동바퀴(32)가 설치된 이동대차(31) 및 홀드(100)의 상측 격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한다.
이동대차(31)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동바퀴(32)를 회전구동시키고, 이동바퀴(32)는 가이드레일(33)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동대차(31)는 좌우 양측 하부에 한 쌍의 척킹부(35)가 설치되고, 척킹부(35)는 카트(10)의 좌우 양측을 척킹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척킹부(35)는 그 좌우 하단에 브라켓(35a)을 매개로 설치된 구동실린더(35b), 구동실린더(35b)에 의해 전후진하는 척킹부재(35c)를 포함한다.
척킹부재(35c)는 구동실린더(35b)에 의해 전후진함에 따라 카트(10)의 양측면을 가압 내지 해제함으로써 카트(10)의 척킹 및 해제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10)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척킹홈(18)이 형성되고, 이 척킹홈(18)에는 전후진하는 척킹부재(35c)의 단부가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카트(10)는 이동대차(31)측에 척킹 및 해제된다.
본 발명의 척킹부(35)는 상술한 구동실린더(35b)에 의해 구동하는 척킹부재(35c)에 한정되지 않고, 해제가능한 척킹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 그외 다양한 척킹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항구의 컨테이너 크레인은 컨테이너(1)를 이송하여 한 쌍의 카트(10)측에 올려 놓는다. 이에 한 쌍의 카트(10)는 수평이동유닛(3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홀드(100)의 적절한 상측에 위치하면, 수평이동유닛(30)의 이동대차(31)는 그 척킹부(35)가 해제작동하여 카트(10)를 해제한다.
그 후에, 카트(10)는 상하이동유닛(20)의 와이어로프(24) 구동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적절히 이동하고, 컨테이너(1)가 홀드(100) 내의 적절한 적재위치에 도달하면 카트(10)의 스토퍼(11)가 후진함에 따라 컨테이너(1)가 카트(10)로부터 분리되어 홀드(100) 내의 적절한 위치로 하역된다.
컨테이너(1)의 하역이 완료된 후에 상하이동유닛(20)에 의해 카트(10)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홀드(100)의 상측에 위치하면 수평이동유닛(30)의 이동대차(31)는 도 7과 같이 척킹부(35)의 척킹작동에 의해 카트(10)를 척킹한다. 이렇게 카트(10)가 척킹되면 이동대차(31)는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항구의 컨테이너 크레인이 컨테이너(1)를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상측으로 위치한 카트(10)측에 이송하면, 카트(10)는 수평이동유닛(30) 및 상하이동유닛(20)에 의해 컨테이너선의 홀드(100) 내로 적절히 하역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컨테이너 2: 상갑판
10: 카트 11: 스토퍼
12: 피니언기어 12a : 구동모터
13: 래크치형부 16: 가이드롤러
16a : 가이드홈 17: 가이드레일
18 : 척킹홈 20: 상하이동유닛
21: 윈치 22: 가이드풀리
23: 이송풀리 24: 와이어로프
30: 수평이동유닛 31: 이동대차
32: 이동바퀴 33: 가이드레일
100: 홀드 110: 셀가이드
120: 격벽

Claims (15)

  1. 컨테이너선의 홀드 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홀드 내로 하역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로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카트;
    상기 카트를 상기 홀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 및
    상기 카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상기 스토퍼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래크치형부; 및
    상기 카트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래크치형부에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크치형부가 직선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를 컨테이너 하단 가장자리 측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에 의해 컨테이너가 지지되며,
    상기 스토퍼를 컨테이너 하단 가장자리 측으로부터 후진시킴으로써, 컨테이너가 하역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유닛은 상기 카트를 홀드 내의 셀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3.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유닛은,
    컨테이너선의 상갑판 측에 설치된 윈치;
    상기 홀드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
    상기 카트의 후면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이송풀리;및
    상기 윈치로부터 복수의 가이드풀리 및 한 쌍의 이송풀리를 거쳐 설치된 와이어로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4. 삭제
  5.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트의 좌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홀드 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7.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홀드의 셀가이드측에 설치되고;
    상기 셀가이드는 상기 홀드의 격벽에 복수의 보강리브를 통해 이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8.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드의 상측에는 상기 카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유닛은 복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된 이동대차 및 상기 홀드의 상측 격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바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그 좌우 양측 하부에 한 쌍의 척킹부가 설치되고;
    상기 척킹부는 상기 카트의 좌우 양측을 해제가능하게 척킹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는 그 좌우 하단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진하는 척킹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척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척킹홈에는 상기 척킹부재가 전후진하면서 삽입 및 이탈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76795A 2010-08-10 2010-08-10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KR10173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795A KR101739450B1 (ko) 2010-08-10 2010-08-10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795A KR101739450B1 (ko) 2010-08-10 2010-08-10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680A KR20120014680A (ko) 2012-02-20
KR101739450B1 true KR101739450B1 (ko) 2017-06-08

Family

ID=4583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795A KR101739450B1 (ko) 2010-08-10 2010-08-10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14B1 (ko) * 2013-01-25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컨테이너 안내장치
KR101644335B1 (ko) * 2014-09-18 2016-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컨테이너 저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969A (ja) * 1998-10-16 2000-04-25 Cosmic Industry Co Ltd リフ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969A (ja) * 1998-10-16 2000-04-25 Cosmic Industry Co Ltd リフ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680A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2987A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KR20230106717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N107381083B (zh) 一种港口冷链运输系统
CN103818664B (zh) 一种集装箱扭锁自动摘挂装置
KR101697657B1 (ko) 자동 화물 시스템
KR101739450B1 (ko) 컨테이너선 홀드용 컨테이너 하역장치
KR101409616B1 (ko) 액체용기 디팔렛타이저 장치
JP5423168B2 (ja) 表面処理領域に対して被処理物を搬入及び搬出する装置並びに方法
CN211003656U (zh) 自动装车系统
CN110391475B (zh) 一种小物料循环倾倒系统
KR101086386B1 (ko) 승선용 사다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TWI736853B (zh) 用於容器的收納和轉移裝置、包含該收納和轉移裝置的系統,以及用於收納容器的方法
CN110683380A (zh) 自动装车系统及其装车方法
CN109775395A (zh) 一种全自动快速整车货物整体式装车系统
CN108945319A (zh) 一种便于搬运货物的物流运输船
CN209905872U (zh) 一种料匣式载板上下料装置
JP2012012195A (ja) 物品保管設備
CN108859913B (zh) 一种砖料运输车
JP2009023812A (ja) 搬送車システム
JP2020090212A (ja) 荷物の搬送装置
CN220865292U (zh) 一种焊接件转运装置
CN208326377U (zh) 一种货物输送提升设备
CN219098147U (zh) 一种箱式货物自动取放设备
CN218114829U (zh) 一种可转向的桥式起重机
CN212768172U (zh) 一种铁路扣件散料车用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