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855A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7855A KR20130017855A KR1020110080538A KR20110080538A KR20130017855A KR 20130017855 A KR20130017855 A KR 20130017855A KR 1020110080538 A KR1020110080538 A KR 1020110080538A KR 20110080538 A KR20110080538 A KR 20110080538A KR 20130017855 A KR20130017855 A KR 201300178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mi
- buoyancy casing
- moving
- buoyancy
- s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2—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influenced by the tide or by the movements of the ship, e.g. devices on pont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2001/04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with a small waterline area compared to total displacement, e.g. of semi-submersi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 사이 내측 폭보다 커서 적재가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부력 케이싱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운용 시간 및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40)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1)에서 추가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1과 같이 갑판(upper deck) 위 선미 부분에 설치하는 박스형 구조물이다.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부력 케이싱(40)을 설치하는 방식에는 다음의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도 2와 같이 선박의 선미 갑판 상부에 고정시켜 선체와 일체화 시키는 방식이 있고, 두 번째는 선체와 일체화 시키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형식으로 하여 화물의 특징에 따라 필요시 도 2처럼 선미 갑판 위에 부착하거나 아니면 도 3처럼 선미로부터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bulkhead) 쪽으로 옮겨서 부착한 후 운항하는 방식이 있다.
한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중량물, 즉 화물(2)을 적재하는 방식에는 다음의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선박을 수중에 반 잠수시킨 상태에서 물 위에 떠 있는 화물(2)을 선박 상갑판 위로 이동시킨 후 선박을 다시 물 위로 부상시키면서 적재하는 방식이 있고, 두 번째는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박의 선미를 접안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 두 번째, 즉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박의 선미를 접안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측면의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는 선박의 선미 갑판 상부에 부력 케이싱(40)을 고정시켜 선체와 일체화 시키는 방식의 경우(도 2)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선박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만약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40) 사이 내측 폭보다 클 경우 적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부력 케이싱(40)을 선체와 일체화 시키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의 경우(도 3)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선박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화물의 폭에 제한이 없기는 하지만 만약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40) 사이 내측 폭보다 클 경우에는 부력 케이싱(40)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이 때의 부력 케이싱(40)은 매우 큰 중량물이기 때문에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어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시간이 낭비되고 만다.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중량물, 즉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 중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박의 선미를 접안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 갑판 위 좌우 양쪽에 한 쌍이 설치되되,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위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을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제 2 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제 3 형)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중량물, 즉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 사이 내측 폭보다 커서 적재가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부력 케이싱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장비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짧은 시간에 부력 케이싱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운용 시간 및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기존의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배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보여주는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배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보여주는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보여준다(측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육상의 폭이 넓은 화물이나 대형 구조물(예: 선박 건조를 위한 대형 블록 구조물(mega-block)) 등 중량물(2)을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1)에 선적할 때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넓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러한 본 발명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supporter for buoyancy casing)(70) 및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측 바깥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는 공통의 특성을 갖는다.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 갑판(10) 위 좌우 양쪽에 한 쌍이 설치되되,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sponson deck)(20) 쪽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부력 케이싱(4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위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부력 케이싱 지지대(70)의 경우 레일 구조물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 갑판(10) 및 스폰슨 데크(20)에 걸쳐서 설치되며, 부력 케이싱(40)의 경우 레일 구조물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7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이 화물(2)의 선적을 위하여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미를 접안한 후 자체의 동력을 끄더라도 화물(2)의 선적을 위한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후속 작동이 무리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이고 작업시점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좌우 한 쌍이 선택에 따라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호 연계적’이라 함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좌우 이동 속도 및 거리가 상호 대칭되어 일치하는 것을 말하고, ‘상호 독립적’이라 함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좌우 이동 속도 및 거리가 상호 일치하지 않고 개별적인 것을 말한다. 이는 화물(2)의 종류나 선박의 접안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이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예기치 않은 이동으로 인하여 선적 화물(2)과의 충돌이나 간섭, 그리고 이로 인한 불측의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은 이하의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2.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보여주는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가. 제 1 형
제 1 형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대한 화물(중량물)(2)의 선적 시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이 모두 작용하는 경우이다.
제 1 형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설치된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으므로 제 1 형은 주로 폭이 아주 큰 대형 중량물(2)의 선적 시 실시의 이점이 크다. 이러한 제 1 형의 실시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a) 부두나 접안시설에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를 접안한다.
2a)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20)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3a)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부력 케이싱(40)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상의 과정을 거치면 대형 구조물 등의 중량물(2)을 선적하기 위한 부력 케이싱(40) 간의 최대 폭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4a)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이 벌어진 부력 케이싱(40) 사이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2)을 선적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60)를 이용하여 화물(2)을 선적하는 것이 좋다. 모듈 트랜스포터(60)는 화물(2)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반목(30) 위에 놓은 후 갑판(10)에서 빠져 나간다.
5a)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로써 화물(2)의 선적 과정이 완료된다.
나. 제 2 형
제 2 형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대한 화물(중량물)(2)의 선적 시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만 작용하고 부력 케이싱(40)은 작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제 2 형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설치된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최대로 넓힐 수는 없긴 하지만, 그다지 폭이 크지 않은 중량물(2)을 최소한의 작동으로 빠른 시간 내에 선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 2 형의 실시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b) 부두나 접안시설에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를 접안한다.
2b)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20)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본 단계에서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70)의 이동에 의하여 부력 케이싱(40)도 함께 이동하므로 중량물(2)을 선적하기 위한 부력 케이싱(40) 간의 적절한 폭 간격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3b) 간격이 벌어진 부력 케이싱(40) 사이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2)을 선적한다. 이 경우 모듈 트랜스포터(60)를 이용하여 화물(2)을 선적하는 것이 좋다. 모듈 트랜스포터(60)는 화물(2)을 반목(30) 위에 놓은 후 갑판(10)에서 빠져 나간다.
4b)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로써 화물(2)의 선적 과정이 완료된다.
다. 제 3 형
제 3 형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대한 화물(중량물)(2)의 선적 시 부력 케이싱(40)만 작용하고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작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제 3 형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설치된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최대로 넓힐 수는 없긴 하지만, 그다지 폭이 크지 않은 중량물(2)을 최소한의 작동으로 빠른 시간 내에 선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상술한 제 2 형의 경우와도 동일하며, 화물(2)의 종류나 선박의 접안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제 2 형 또는 제 3 형의 실시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선적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 3 형의 실시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c) 부두나 접안시설에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를 접안한다.
2c) 한 쌍의 부력 케이싱(40)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본 단계에서는 부력 케이싱(40)의 이동 자체만으로 중량물(2)을 선적하기 위한 부력 케이싱(40) 간의 적절한 폭 간격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3c) 간격이 벌어진 부력 케이싱(40) 사이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2)을 선적한다. 이 경우 모듈 트랜스포터(60)를 이용하여 화물(2)을 선적하는 것이 좋다. 모듈 트랜스포터(60)는 화물(2)을 반목(30) 위에 놓은 후 갑판(10)에서 빠져 나간다.
4c) 부력 케이싱(4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로써 화물(2)의 선적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2)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40)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2)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화물(2)을 적재하는 경우에 화물(2)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40) 사이 내측 폭보다 커서 적재가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부력 케이싱(40)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운용 시간 및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
2 : 중량물, 즉 화물(mega-block)
10 : 갑판(upper deck)
20 : 스폰슨 데크(sponson deck)
30 : 반목
40 :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
50 : 발라스트 물탱크(ballast water tank)
60 :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
70 : 부력 케이싱 지지대(supporter for buoyancy casing)
2 : 중량물, 즉 화물(mega-block)
10 : 갑판(upper deck)
20 : 스폰슨 데크(sponson deck)
30 : 반목
40 :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
50 : 발라스트 물탱크(ballast water tank)
60 :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
70 : 부력 케이싱 지지대(supporter for buoyancy casing)
Claims (31)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 갑판 위 좌우 양쪽에 한 쌍이 설치되되,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위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을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538A KR20130017855A (ko) | 2011-08-12 | 2011-08-12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538A KR20130017855A (ko) | 2011-08-12 | 2011-08-12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7855A true KR20130017855A (ko) | 2013-02-20 |
Family
ID=4789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0538A KR20130017855A (ko) | 2011-08-12 | 2011-08-12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1785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5023B1 (ko) * | 2013-08-01 | 2014-12-2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
-
2011
- 2011-08-12 KR KR1020110080538A patent/KR201300178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5023B1 (ko) * | 2013-08-01 | 2014-12-2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14306B (fi) |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 |
AU2012341140B2 (en) | Marine docking stations | |
US9463848B2 (en) |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 |
KR20120033854A (ko) |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 |
US10227115B2 (en) | Submersible vessel for dry docking a vessel | |
WO2004054872A1 (en) | Self-propelling barge | |
KR100914385B1 (ko) |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 |
KR20130017855A (ko)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
KR20100123438A (ko) |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 |
KR102007667B1 (ko) |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 |
WO2010098537A4 (ko) |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 |
US11795647B2 (en) |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 |
JP6379229B2 (ja) | 接合式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および拡張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 | |
KR101131573B1 (ko) |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 |
KR20100072798A (ko) |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 |
EP2907738B1 (en) | Cargo loading ship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 |
JP3414781B2 (ja) | 船の水平移動式荷役設備 | |
KR20100072808A (ko) |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 |
KR20110079443A (ko) |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 |
KR20100031833A (ko) | 이동항구 | |
KR101263247B1 (ko) | 이동 항구 | |
KR101466888B1 (ko)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
KR20040087633A (ko) | 조위차가 큰 부두의 폰툰식 화물 적치대 | |
KR101291247B1 (ko) | 솔리드형 밸러스트 장치 | |
JP2001315685A (ja) |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