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855A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855A
KR20130017855A KR1020110080538A KR20110080538A KR20130017855A KR 20130017855 A KR20130017855 A KR 20130017855A KR 1020110080538 A KR1020110080538 A KR 1020110080538A KR 20110080538 A KR20110080538 A KR 20110080538A KR 20130017855 A KR20130017855 A KR 2013001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buoyancy casing
moving
buoyancy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도
신성광
이상복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7855A/ko
Publication of KR2013001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2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influenced by the tide or by the movements of the ship, e.g. devices on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2001/04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with a small waterline area compared to total displacement, e.g. of semi-submersi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 사이 내측 폭보다 커서 적재가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부력 케이싱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운용 시간 및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the structure of self movable buoyancy casing of 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40)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1)에서 추가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1과 같이 갑판(upper deck) 위 선미 부분에 설치하는 박스형 구조물이다.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부력 케이싱(40)을 설치하는 방식에는 다음의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도 2와 같이 선박의 선미 갑판 상부에 고정시켜 선체와 일체화 시키는 방식이 있고, 두 번째는 선체와 일체화 시키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형식으로 하여 화물의 특징에 따라 필요시 도 2처럼 선미 갑판 위에 부착하거나 아니면 도 3처럼 선미로부터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bulkhead) 쪽으로 옮겨서 부착한 후 운항하는 방식이 있다.
한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중량물, 즉 화물(2)을 적재하는 방식에는 다음의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선박을 수중에 반 잠수시킨 상태에서 물 위에 떠 있는 화물(2)을 선박 상갑판 위로 이동시킨 후 선박을 다시 물 위로 부상시키면서 적재하는 방식이 있고, 두 번째는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박의 선미를 접안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 두 번째, 즉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박의 선미를 접안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측면의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는 선박의 선미 갑판 상부에 부력 케이싱(40)을 고정시켜 선체와 일체화 시키는 방식의 경우(도 2)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선박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만약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40) 사이 내측 폭보다 클 경우 적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부력 케이싱(40)을 선체와 일체화 시키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의 경우(도 3)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선박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화물의 폭에 제한이 없기는 하지만 만약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40) 사이 내측 폭보다 클 경우에는 부력 케이싱(40)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이 때의 부력 케이싱(40)은 매우 큰 중량물이기 때문에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어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시간이 낭비되고 만다.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중량물, 즉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 중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박의 선미를 접안시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 갑판 위 좌우 양쪽에 한 쌍이 설치되되,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위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을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제 2 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제 3 형)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중량물, 즉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화물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 사이 내측 폭보다 커서 적재가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부력 케이싱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장비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짧은 시간에 부력 케이싱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운용 시간 및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기존의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배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보여주는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보여준다(측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육상의 폭이 넓은 화물이나 대형 구조물(예: 선박 건조를 위한 대형 블록 구조물(mega-block)) 등 중량물(2)을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1)에 선적할 때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넓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러한 본 발명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supporter for buoyancy casing)(70) 및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측 바깥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는 공통의 특성을 갖는다.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 갑판(10) 위 좌우 양쪽에 한 쌍이 설치되되,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sponson deck)(20) 쪽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부력 케이싱(4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위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부력 케이싱 지지대(70)의 경우 레일 구조물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 갑판(10) 및 스폰슨 데크(20)에 걸쳐서 설치되며, 부력 케이싱(40)의 경우 레일 구조물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7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이 화물(2)의 선적을 위하여 부두나 접안시설에 선미를 접안한 후 자체의 동력을 끄더라도 화물(2)의 선적을 위한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후속 작동이 무리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이고 작업시점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좌우 한 쌍이 선택에 따라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호 연계적’이라 함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좌우 이동 속도 및 거리가 상호 대칭되어 일치하는 것을 말하고, ‘상호 독립적’이라 함은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좌우 이동 속도 및 거리가 상호 일치하지 않고 개별적인 것을 말한다. 이는 화물(2)의 종류나 선박의 접안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이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의 예기치 않은 이동으로 인하여 선적 화물(2)과의 충돌이나 간섭, 그리고 이로 인한 불측의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은 이하의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2.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을 보여주는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가. 제 1 형
제 1 형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대한 화물(중량물)(2)의 선적 시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이 모두 작용하는 경우이다.
제 1 형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설치된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으므로 제 1 형은 주로 폭이 아주 큰 대형 중량물(2)의 선적 시 실시의 이점이 크다. 이러한 제 1 형의 실시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a) 부두나 접안시설에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를 접안한다.
2a)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20)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3a)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부력 케이싱(40)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상의 과정을 거치면 대형 구조물 등의 중량물(2)을 선적하기 위한 부력 케이싱(40) 간의 최대 폭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4a)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이 벌어진 부력 케이싱(40) 사이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2)을 선적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60)를 이용하여 화물(2)을 선적하는 것이 좋다. 모듈 트랜스포터(60)는 화물(2)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반목(30) 위에 놓은 후 갑판(10)에서 빠져 나간다.
5a)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 및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로써 화물(2)의 선적 과정이 완료된다.
나. 제 2 형
제 2 형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대한 화물(중량물)(2)의 선적 시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만 작용하고 부력 케이싱(40)은 작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제 2 형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설치된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최대로 넓힐 수는 없긴 하지만, 그다지 폭이 크지 않은 중량물(2)을 최소한의 작동으로 빠른 시간 내에 선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 2 형의 실시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b) 부두나 접안시설에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를 접안한다.
2b)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20)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본 단계에서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70)의 이동에 의하여 부력 케이싱(40)도 함께 이동하므로 중량물(2)을 선적하기 위한 부력 케이싱(40) 간의 적절한 폭 간격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3b) 간격이 벌어진 부력 케이싱(40) 사이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2)을 선적한다. 이 경우 모듈 트랜스포터(60)를 이용하여 화물(2)을 선적하는 것이 좋다. 모듈 트랜스포터(60)는 화물(2)을 반목(30) 위에 놓은 후 갑판(10)에서 빠져 나간다.
4b)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로써 화물(2)의 선적 과정이 완료된다.
다. 제 3 형
제 3 형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대한 화물(중량물)(2)의 선적 시 부력 케이싱(40)만 작용하고 부력 케이싱 지지대(70)는 작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제 3 형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설치된 부력 케이싱(40) 사이의 폭을 최대로 넓힐 수는 없긴 하지만, 그다지 폭이 크지 않은 중량물(2)을 최소한의 작동으로 빠른 시간 내에 선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상술한 제 2 형의 경우와도 동일하며, 화물(2)의 종류나 선박의 접안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제 2 형 또는 제 3 형의 실시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선적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 3 형의 실시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c) 부두나 접안시설에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를 접안한다.
2c) 한 쌍의 부력 케이싱(40)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본 단계에서는 부력 케이싱(40)의 이동 자체만으로 중량물(2)을 선적하기 위한 부력 케이싱(40) 간의 적절한 폭 간격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3c) 간격이 벌어진 부력 케이싱(40) 사이로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선미로부터 화물(2)을 선적한다. 이 경우 모듈 트랜스포터(60)를 이용하여 화물(2)을 선적하는 것이 좋다. 모듈 트랜스포터(60)는 화물(2)을 반목(30) 위에 놓은 후 갑판(10)에서 빠져 나간다.
4c) 부력 케이싱(4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이 경우 부력 케이싱(40)은 레일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토퍼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 고정된다. 이로써 화물(2)의 선적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이 부두나 접안시설에 접안하여 선미로부터 화물(2)을 적재할 때 부력 케이싱(40)을 선체 폭 방향의 좌우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화물(2)의 적재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에 화물(2)을 적재하는 경우에 화물(2)의 폭이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부력 케이싱(40) 사이 내측 폭보다 커서 적재가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부력 케이싱(40)을 선수 거주구 뒷면 횡경벽 쪽으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대형 이동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1)의 운용 시간 및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
2 : 중량물, 즉 화물(mega-block)
10 : 갑판(upper deck)
20 : 스폰슨 데크(sponson deck)
30 : 반목
40 :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
50 : 발라스트 물탱크(ballast water tank)
60 :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
70 : 부력 케이싱 지지대(supporter for buoyancy casing)

Claims (31)

  1.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 갑판 위 좌우 양쪽에 한 쌍이 설치되되,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위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 케이싱;
    을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10.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0.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선체 좌우 측면의 스폰슨 데크 쪽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는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 지지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6.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으로서,
    부두나 접안시설에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를 접안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부력 케이싱을 선체 좌우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선미로부터 화물을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부력 케이싱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이동을 위한 레일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과는 독립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은 좌우 한 쌍이 상호 연계적으로 또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케이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KR1020110080538A 2011-08-12 2011-08-12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KR20130017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38A KR20130017855A (ko) 2011-08-12 2011-08-12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38A KR20130017855A (ko) 2011-08-12 2011-08-12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55A true KR20130017855A (ko) 2013-02-20

Family

ID=4789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538A KR20130017855A (ko) 2011-08-12 2011-08-12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7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23B1 (ko) * 2013-08-01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23B1 (ko) * 2013-08-01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AU2012341140B2 (en) Marine docking stations
KR20120033854A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AU2014412083B2 (en) A submersible vessel for dry docking a vessel
US9463848B2 (en)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WO2004054872A1 (en) Self-propelling barge
KR100914385B1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KR20130017855A (ko)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WO2010098537A4 (ko)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US11795647B2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JP6379229B2 (ja) 接合式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および拡張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
KR101131573B1 (ko)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00072808A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20100072798A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JPH06247563A (ja) 船の水平移動式荷役設備
KR10146688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JPS5963293A (ja) はしけ運搬船と該はしけ運搬船に、はしけを積み降ろしする方法
KR20040087633A (ko) 조위차가 큰 부두의 폰툰식 화물 적치대
KR101291247B1 (ko) 솔리드형 밸러스트 장치
RU2622162C2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