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798A -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 Google Patents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798A
KR20100072798A KR1020080131310A KR20080131310A KR20100072798A KR 20100072798 A KR20100072798 A KR 20100072798A KR 1020080131310 A KR1020080131310 A KR 1020080131310A KR 20080131310 A KR20080131310 A KR 20080131310A KR 20100072798 A KR20100072798 A KR 2010007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ybrid mobile
port module
eyepiece
floating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662B1 (ko
Inventor
알. 모리슨 제임스
이태식
김민성
김종회
성인경
신규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3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662B1/ko
Priority to PCT/KR2009/007688 priority patent/WO2010074493A2/ko
Publication of KR2010007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2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influenced by the tide or by the movements of the ship, e.g. devices on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에 관한 것으로서,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연결교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접안교량을 통해 상기 부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HYBRID MOBILE FLOATING PORT}
본 발명은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부두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경쟁력은 상품의 빠른 생산뿐 아니라, 상품의 신속한 이동 및 소비자로의 원활한 공급에 달려있다. 이를 위한 상품의 이동수단 중에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국제 교역의 많은 부분이 해상 운송을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이용되는 선박이 대형화되는 추세인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구를 새로이 건설하려면 많은 경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항구 건설을 위해서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이밖에도 많은 컨테이너를 야적시키기 위한 넓은 토지 및 부대 시설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환경파괴문제로 인해 대형 항구 의 설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컨테이너 항구의 물동량이 많아질수록, 항구 근처의 도로는 교통 체증이 유발되며, 먼 곳까지 이동하는 트레일러는 고속도로 및 국도의 주 파손 원인이 되어 막대한 비용을 국가나 지방단체에 부담시키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형 선박을 제한된 공간인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해상에 접안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구비하지 않은 소규모 항구 주변에서 대형 선박을 접안시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물의 하역을 연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화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형 선박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하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듈화되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해상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는,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연결교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접안교량을 통해 상기 부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포트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포트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보관용 포트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의 플랫폼, 상기 연결교량 및 상기 접안교량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는,
해상에 설치되며,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한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 모듈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며, 부두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트리(tree)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이 부두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각각은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전용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경로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의 포트 모듈의 접안부는 접안된 선박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상기 포트 모듈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접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안부에는 상기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은 예인수단 또는 추진장치를 통해 해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은 상기 내부 접안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은 평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대형 선박을 제한된 공간의 부두에 접안시키지 않고 해상에 설치된 이동항구에 접안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다.
둘째, 본 이동항구를 통해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구비하지 않은 소규모 항구 주변에서도 대형 선박을 접안시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본 이동항구를 통해 화물의 하역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화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형 선박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켜 하역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넷째, 포트 모듈을 이용하여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부두 연안의 해상에서 더 많은 선박을 이동항구에 접안시켜 해상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구성하고 있는 포트 모듈(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포트 모듈(10)은 부두(B)(육지를 포함한다)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며, 예인선(tug boat)과 같은 예인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프로펠러(미도시)와 같은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이동된다. 포트 모듈(10)은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공지의 계류장치를 이용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항구의 확장, 다른 포트 모듈과의 위치 조정, 부두와의 접속 변경 등 이동항구의 재배열이나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에, 포트 모듈(10)은 다시 새로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는, 이와 같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포트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항구를 포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붙여진 용어이다.
포트 모듈(10)은 선박(s)이 접안되는 접안부(2), 컨테이너 화물(c)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접안부(2)에는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 장치(3)가 구비될 수 있다. 크레인(4)은 복수개의 접안부(2)에 접근 가능하도록 포트 모듈(10)의 플랫폼(1) 상에 설치된 크레인 레일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접안부(2)는 포트 모듈(10)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어 동시에 여러 선박의 접안이 가능하다. 접안부(2)에 구비된 접안장치(3)는 포트 모듈(10)에 선박을 안정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포트 모듈(10)은 조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모듈(10)은 플랫폼(1)의 내부 무게 및 내부 부품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지만, 이 안정장치(6)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동적 안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포트 모듈(10)의 플랫폼(1) 상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9)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운반설비(9)는 예컨대, 철로(railroad track), 컨베이어벨트, 또는 차로(truck lanes)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포트 모듈(10)은 레일과 같은 운반설비(9) 상에서 활주 가능한 슬래브(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크레인(4)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은 별도의 재하역 작업없이 직접 슬래브(5) 상에 놓여져서 부두(B)로 직접 고속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포트 모듈(1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 모듈(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포트 모듈(10')에서는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가 포트 모듈(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접안부(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내부 접안부(2')에 접안된 선박은 그 길이방향 양측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른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접안부(2')에는 다양한 크기(폭)를 가진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킬 수 있도록, 내부 접안부의 폭방향(도 1(b)에서 작은 양쪽 화살표로 표시됨)으로 연장가능한 접안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함께, 내부 접안부를 형성하고 있는 측면부(2'x, 2'y)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접안부(2')의 길이 및 폭을 접안되는 선박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포트 모듈(10')에는 내부 접안부(2')의 바닥면과 개방된 측면을 각각 밀폐시키기 위한 바닥 게이트(8a) 및 측면 게이트(8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 접안부(2')에 접안된 선박은 외부 조류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접안될 수 있다. 바닥 게이트(8a) 역시 내부 접안부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를 이용하여 내부 접안부(2')가 밀페된 경우,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에 압력조절용 홀 또는 밸브를 설치하여 밀페된 내외부간의 압력차를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트 모듈(10)은 크레인을 통해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하는 작업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째로, 포트 모듈 간의 연결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결용 포트 모듈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2) 및 크레인(4)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복수개의 포트 모듈(1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용 포트 모듈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확장이나 재배치시에 설계의 유연성을 확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수심이 낮아 대형선박의 접안이 어려운 위치에 이 연결용 포트 모듈을 위치시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둘째로,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컨테이너 운송용 포트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와 부두 사이를 왕복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셋째로,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컨테이너 보관용 포트 모듈은, 포트 모듈(10)의 플랫폼(1) 상에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고 보관된 컨테이너 화물 을 다시 다른 선박에 하역(선적)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의 중간 창고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 모듈(10)이 복수개 구비되어 격자형으로 배열된 상태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를 구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포트 모듈(10)은 모듈화된 형태를 가지므로, 이 포트 모듈(10)을 복수개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모듈(10)을 격자형으로 배치시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가 이루어지는데, 복수개의 포트 모듈(10)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교량(1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포트 모듈(10)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 모듈은 접안교량(12)을 통해 부두(B)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교량(11) 및 접안교량(12)은 예상되는 컨테이너 화물의 물동량에 따라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각 포트 모듈(10)에서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c)은 연결교량(11)을 통해 접안교량(12)이 설치된 포트 모듈로 운반될 수 있고, 다시 접안교량(12)을 통해 부두(B)로 운반된다.
이를 위해, 연결교량(11) 및 접안교량(11)에는 철로, 컨베이어벨트, 또는 차로와 같은 운반설비(1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운반설비(13)는 포트 모듈(10)의 플랫폼에 설치된 운반설비(9)와 연결되어 있어서,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이 기관차, 차량, 컨베이어 벨트 또는 슬래브와 같은 운송수단을 통해 부두로 연속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화된 포트 모듈(10)을 부두의 연안에 복수개 설치하고 이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대형 선박을 제한된 공간인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서도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 하나의 포트 모듈(10c)은 직접 부두(B)에 맞닿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포트 모듈이 부두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에서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간을 연결시키는 연결교량 및 포트 모듈과 부두(B)를 연결시키는 접안교량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트 모듈의 개수를 3개로 예시하였으나, 포트 모듈의 개수는 요구조건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해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은 기다란 바(bar)의 형태로 부두(B)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Wa, Wb, Wc)이 부두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와 같이, 포트 모듈의 폭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은 공간 활용과 동시에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각각은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전용 경로(Pa1, Pa2, Pb1, Pb2, Pc1, Pc2)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이 부두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각 포트 모듈별 전용 경로는 서로 간섭없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용 경로에 전술한 바와 같은 운반설비(9)를 설치함으로써,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이 다른 포트 모듈의 하역 작업과 관계없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는 내부 접안부(2')가 구비된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을 포함하고 있다.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부두로부터 기다란 바 형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폭(W'a, W'b, W'c)은 부두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 역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각 포트 모듈별 전용 경로(P'a1, P'a2, P'b1, P'b2, P'c1, P'c2)에는 운반설비(9)가 설치되어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이 트리(tree) 형태로 부두로부터 연장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리 형태로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배열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더 많은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이동항구를 건설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Wa, Wb, Wc)이 부두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서도 각 포트 모듈별 전용 경로(P, 단순화를 위해 직선으로 표시함)가 서로 간섭없이 포트 모듈의 플랫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전용 경로(P) 상에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유식 항구를 구성하고 있는 포트 모듈은 내부 접안부를 가지고 있는 포트 모듈이며,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 더 많은 선박을 접안시켜 공간 활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트 모듈(10)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요구되는 조건에 맞게 이동항구를 손쉽게 건설할 수 있으며, 이동항구에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을 보다 빠르고 손쉽게 부두로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이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포트 모듈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포트 모듈이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배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포트 모듈이 트리(tree) 형태로 배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7)

  1.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연결교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접안교량을 통해 상기 부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격자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포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포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보관용 포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의 플랫폼, 상기 연결교량 및 상기 접안교량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7. 해상에 설치되며,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한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 모듈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며, 부두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트리(tree)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이 부두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각각은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전용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경로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의 포트 모듈의 접안부는 접안된 선박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상기 포트 모듈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접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4.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에는 상기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5.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은 예인수단 또는 추진장치를 통해 해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은 상기 내부 접안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7.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은 평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20080131310A 2008-12-22 2008-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06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10A KR101068662B1 (ko) 2008-12-22 2008-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PCT/KR2009/007688 WO2010074493A2 (ko) 2008-12-22 2009-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10A KR101068662B1 (ko) 2008-12-22 2008-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798A true KR20100072798A (ko) 2010-07-01
KR101068662B1 KR101068662B1 (ko) 2011-09-28

Family

ID=4228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310A KR101068662B1 (ko) 2008-12-22 2008-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8662B1 (ko)
WO (1) WO201007449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286A (zh) * 2016-04-21 2016-07-13 中山市凯兴达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娱乐、休闲或居住的水上建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14B1 (ko) 2014-11-27 2016-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급유 구조물
CN109110049B (zh) * 2018-08-19 2024-01-12 湖北东船重工有限公司 半潜式lng换装船及船用lng装船应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7588A (en) * 1976-02-10 1977-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Movable harbor facilities
JPS55113696U (ko) * 1979-02-06 1980-08-11
JPS5826694A (ja) * 1981-08-11 1983-02-17 Nippon Kokan Kk <Nkk> 荷役作業船
JPH1016880A (ja) * 1996-07-02 1998-01-20 Sumitomo Rubber Ind Ltd 浮桟橋
JP4038191B2 (ja) * 2004-05-10 2008-01-23 株式会社川崎造船 浮体式港湾施設
WO2008101512A1 (de) 2007-02-21 2008-08-28 Universität Duisburg-Essen Offshore-container-umladestation als teil eines logistik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286A (zh) * 2016-04-21 2016-07-13 中山市凯兴达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娱乐、休闲或居住的水上建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662B1 (ko) 2011-09-28
WO2010074493A3 (ko) 2010-10-07
WO2010074493A2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604B1 (ko)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KR20130058001A (ko) 인터모달 콘테이너들의 운송, 보관 및 인도 시스템
ATE402053T1 (de) System und betreibsverfahren einer einrichtung zum verladen von containern
KR101068662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WO2008068504A2 (en) Floating port and method of use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WO2011078420A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9766A (ko) 컨테이너 운송 장치 및 운송 방법
KR101192601B1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JP2001260981A (ja) 浮体式港湾施設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EP1359090A1 (en) Cargo transport including quick loading and unloading of a cargo ship
JP2000226122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6246644B2 (ja) 貨物海上中継用浮体、貨物海上中継システム、貨物海上輸送システム、貨物海上中継方法、及び、貨物海上輸送方法
KR20100123452A (ko)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KR20110074387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UA138059U (uk) Застосування вузлового точкового причалу нафтогазових продуктів для складування, зберігання і перевалки контейнері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