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619A -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 Google Patents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619A
KR20130056619A KR1020110122326A KR20110122326A KR20130056619A KR 20130056619 A KR20130056619 A KR 20130056619A KR 1020110122326 A KR1020110122326 A KR 1020110122326A KR 20110122326 A KR20110122326 A KR 20110122326A KR 20130056619 A KR20130056619 A KR 2013005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storage
storage unit
removable
s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광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6619A/ko
Publication of KR2013005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16Lashing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항지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데 드는 시간과 기항지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송 선박은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발라스팅을 유지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용이하게 선하적하기 위한 발라스트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내부에 복수개의 횡격벽과 상기 횡격벽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카고 홀드와 상기 카고 홀드 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을 가이드 하는 셀 가이드와 상부에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기 위한 해치와 상기 해치를 덮기 위한 풍우밀 해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외부에 해수로부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갑판에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과 래싱 아이(Lashing Eye)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래싱 아이에 걸기 위한 고박용 로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하거나 계류를 위한 계류 장치로서 볼라드, 촉(chock) 또는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Containership with Detachable Container Sta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항지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데 드는 시간과 기항지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은 주어진 선박의 갑판 아래와 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배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대규모로 발전한 수송방식으로서 당초에는 주로 미국의 시랜드 사(Sealand)와 매트손 내비게이션 사에 의하여 개발되었는데, 해상수송의 혁명이라고까지 불리고 있다. 하역시간을 단축하고 하역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잡화 또는 소포를 넣은 규격용기, 즉 컨테이너를 수송할 수 있도록 한 배이다. 컨테이너선의 종류로는 컨테이너를 전문으로 수송하는 특수한 구조의 풀 컨테이너선과 선창의 일부를 컨테이너 전용으로 만든 세미 컨테이너선의 두 종류가 있다. 컨테이너를 싣는 방법에 따라서 적재한 차량이 선박의 측면 또는 선미에 설치한 현문을 통해서 선내로 들어와 짐을 부리는 롤온 롤오프(Roll-On Roll-Off) 방식의 선박과 컨테이너를 선박 또는 안벽에 장치한 기중기로 들어서 배에 싣는 리프트온 리프트오프(Lift-On Lift-Off) 방식의 선박으로 나뉜다.
롤온 롤오프 방식의 배에서는 최상갑판을 포함한 전선 창이 다층 갑판으로 이루어져 트레일러나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스페이스로 이용되고 있다. 컨테이너는 트레일러나 포크 리프트에 의해 육상과 해상을 연결하는 램프를 통하여 수평으로 하역된다. 이 선박의 결점은 재래정기선보다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근거리 운송에서는 하역시간의 단축이나 하역 비의 절감으로 이러한 결점을 상쇄할 수 있어 오래 전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리프트온 리프트오프 방식의 배에는 컨테이너가 전후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컨테이너의 네 귀퉁이에 수직으로 레일이 장치되어 컨테이너가 그 안에 격납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갑판상에도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건조된다. 이러한 구조의 배에는 자체 크레인이 없으므로 육상의 크레인으로 적하역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출항지에서 항구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낱개로 컨테이너를 선적함으로써 배가 항구에 묶여 있는 시간이 길었었다.
또한 기항지에서 컨테이너 하적을 위하여 외항에 대기하는 시간도 길게 되고 또 내항에 접안했다고 하더라도 낱개로 하적함으로써 하적 시간도 길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없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출항지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데 드는 시간과 기항지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은, 용이하게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선적 및 하적할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발라스팅을 유지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용이하게 선하적하기 위한 발라스트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내부에 복수개의 횡격벽과 상기 횡격벽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카고 홀드와 상기 카고 홀드 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을 가이드 하는 셀 가이드와 상부에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기 위한 해치와 상기 해치를 덮기 위한 풍우밀 해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외부에 해수로부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갑판에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과 래싱 아이(Lashing Eye)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상기 래싱 아이에 걸기 위한 고박용 로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하거나 계류를 위한 계류 장치로서 볼라드, 촉(chock) 또는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선적 및 하적할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출항지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데 드는 시간과 기항지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하는데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운송 선박에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한 경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하지 않은 경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의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운송 선박에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한 경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하지 않은 경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컨데이터 운송 선박(300)은 크게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 및 반 잠수식으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 하부에 놓이는 발라스트 탱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는 배 한척당 3개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는 내부에 복수개의 횡격벽(40)과 상기 횡격벽(40)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카고 홀드(80)와 상기 카고 홀드(80) 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을 가이드 하는 셀 가이드(도시 않음)와 상부에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기 위한 해치(카고 홀드 구멍)와 상기 해치를 덮기 위한 풍우밀 해치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외부에 해수로부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막(도시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의 갑판에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20)과 래싱 아이(Lashing Eye; 1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래싱 아이(10)에 고박용 로프(30) 또는 밴드를 걸어 고정한다.
또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에 고정하거나 계류를 위한 계류 장치로서 볼라드(70), 촉(chock) 또는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은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선적하고 목적지를 향해 운항하는 동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3개로 구성되므로 나머지 2 개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출항지와 기항지에서 각각 컨테이너를 선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을 여러 척 운용할 경우는 위의 예와 같이 컨테이너 운송 선박 1척에 3개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개수이면 충분하다.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이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선적하고 기항지에 도착하게 되면, 외항에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떼어내어 터그보트(tug boat)로 상기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부두로 운송할 수 있다.
또한 기항지에서 미리 컨테이너가 선적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터그 보트로 예인해서 외항에서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이 반 잠수된 상태에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선적하고 처음 출항지로 운항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20)은 그 상단면이 선박 안쪽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이 반잠수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면에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의 한 모서리에만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네 모서리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에 선적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의 상기 발러스트 탱크(200)에 밸러스트 수가 가득 찬 상태에서 운송 선박(300)을 반 잠수 상태로 하여 바다에 떠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의 아래에 위치시키고 밸러스트 탱크에서 밸러스트 수를 빼면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가 상기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20)의 상단면의 경사면에 따라 미끄러지며 갑판에 안착되므로 용이하게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선적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으로부터 하적할 때는 다시 상기 발라스트 탱크(200)에 발라스트 수를 가득 채워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와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300)이 이격된 상태에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하적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컨테이너 저장부(100)를 하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선적 및 하적할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출항지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데 드는 시간과 기항지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하는데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래싱 아이 20: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
20a: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 상단면 30: 고박용 로프
40: 횡격벽 50: 해치 커버
60: 촉 또는 페어리드 70: 볼라드
80: 카고 홀드 100: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
200: 발라스트 탱크 300: 컨테이너 운송 선박

Claims (6)

  1. 용이하게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선적 및 하적할 수 있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발라스팅을 유지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용이하게 선하적하기 위한 발라스트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내부에 복수개의 횡격벽과 상기 횡격벽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카고 홀드와 상기 카고 홀드 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을 가이드 하는 셀 가이드와 상부에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기 위한 해치와 상기 해치를 덮기 위한 풍우밀 해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외부에 해수로부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갑판에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과 래싱 아이(Lashing Eye)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상기 래싱 아이에 걸기 위한 고박용 로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하거나 계류를 위한 계류 장치로서 볼라드, 촉(chock) 또는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은 3개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하고 목적지를 향해 운항하는 동안 나머지 2 개의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출항지와 기항지에서 각각 컨테이너를 선적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은 그 상단면이 선박의 내부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선적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상기 발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 수가 가득 찬 상태에서 상기 운송 선박을 반 잠수 상태로 하여 바다에 떠 있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의 아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서 밸러스트 수를 빼면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가 상기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의 상단면의 경사면에 따라 미끄러지며 갑판에 안착되게끔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으로부터 하적할 때는 상기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를 가득 채워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와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이 이격된 상태에서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하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이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선적하고 기항지에 도착하게 되면, 외항에서 상기 컨테이너 저장부를 떼어내어 터그보트(tug boat)로 상기 컨테이너 저장부를 부두로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항지에서 미리 컨테이너가 선적된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외항에서 반잠수 상태에서 선적하고 처음 출항지로 운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KR1020110122326A 2011-11-22 2011-11-22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KR20130056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326A KR20130056619A (ko) 2011-11-22 2011-11-22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326A KR20130056619A (ko) 2011-11-22 2011-11-22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619A true KR20130056619A (ko) 2013-05-30

Family

ID=4866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326A KR20130056619A (ko) 2011-11-22 2011-11-22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6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43A (ko) 2014-10-17 2016-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43A (ko) 2014-10-17 2016-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3610B (zh) 一种采用半潜船运输船舶的方法
CN1263652C (zh) 运输油和淡水的油轮的船体构造的使用方法
US3318276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3556036A (en) Deep sea cargo vessel
US3587505A (en) Partially submersible carrier vessel
RU2729919C2 (ru) Надводный корабль с трансформерным помещением
US2440307A (en) Ship hold
CN103228531A (zh) 载货船舶以及装载和卸载这种载货船舶的方法
PL108209B1 (pl) Hull of a cargo carrier kadlub frachtowca
US3273527A (en) Integrated barge and cargo ship construction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KR20130056619A (ko)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WO2014013584A1 (ja) 船舶
KR101938913B1 (ko)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US4292915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3499409A (en) Ship,in particular for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JP2012153334A (ja) 船舶
KR101136095B1 (ko)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방법
US3540399A (en) Timber carrying vessel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RU2384455C2 (ru) Способ выгрузки с судна на несамоход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о берега различных грузов "поплавок"
RU2100249C1 (ru) Плавучий причал-терминал
KR20090126782A (ko) 컨테이너 선박
GB2123354A (en) Barge carry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