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913B1 -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913B1
KR101938913B1 KR1020140099914A KR20140099914A KR101938913B1 KR 101938913 B1 KR101938913 B1 KR 101938913B1 KR 1020140099914 A KR1020140099914 A KR 1020140099914A KR 20140099914 A KR20140099914 A KR 20140099914A KR 101938913 B1 KR101938913 B1 KR 10193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uoy
ship
sea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765A (ko
Inventor
정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9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2/021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은, 일단부는 육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배치되며, 연료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연료배관; 및 상기 연료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배관의 타단부를 부양시키는 부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은, 육상에 선박이 접안하여 일측에서는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적하고, 선박의 타측에서는 선박의 운항을 위한 연료를 연료배관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하역작업과 연료공급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항구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선박의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Bunkerring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화물선과 여객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화물선은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으로, 비 여객선의 대부분은 선박안전법상 화물선이 될 수 있다. 화물선은 화물의 운송이 목적이므로 주거설비 공간을 최소로 하고 선창 설비공간(Cargo Hold)을 최대로 하며, 하역설비(Loading/Unloading Equipment)에 중점을 두어 일시에 대량의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화물선은, 곡물, 석탄, 광석물 등과 같이 별도로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분립상태로 적화 수송하는 산적화물선(Bulk Carrier)과, 액체화물운반선, 박스 형태의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선 등을 말한다.
화물선은 상갑판 상에 데크하우스가 마련되고, 상갑판의 하부에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복수의 화물창이 마련된다. 여기서, 화물창은 화물이 유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해치코밍이 마련되고, 해치코밍 상에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커버가 마련된다.
컨테이너선은 갑판 상은 물론, 선체 내에 복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컨테이너 화물창이 마련되는데,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화물창은 컨테이너 복수개가 일렬로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 화물창은 컨테이너가 수평방향으로 나열되게 구획되며, 각각의 컨테이너 화물창에는 컨테이너의 폭에 여유분을 더한 간격으로 쌍을 이루며 셀가이드가 마련된다.
이러한, 화물선은 육상에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것은 물론, 해상을 운항하는 동안 사용하여야 할 연료를 공급받거나, 해상을 운항하는 동안 사용한 연료를 보충받아 재 운항 준비를 이루어야 한다.
그런데, 하역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때, 선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물창이 마련되거나,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있고, 육상에 접안한 위치의 일측에서는 화물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연료공급 작업이 간섭되어 하역작업과 연료공급작업은 개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화물선의 하역작업과 연료 공급작업은 화물선이 대형의 구조물을 이루는 만큼 상당량의 연료를 공급하고, 상당량의 화물을 하역하게 되어 수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작업이 분리되어 접안시간이 길어져 선박의 운항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작업과 동시에 연료 공급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하역 및 연료공급을 위한 접안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은, 일단부는 육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배치되며, 연료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연료배관; 및 상기 연료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배관의 타단부를 부양시키는 부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이부에 연결되는 계류부; 및 해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이부가 해저면으로 당겨지거나 해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계류부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류부는, 상기 부이부와 상기 윈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부표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연료배관과 상기 부표부를 연결하되, 상기 부이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연료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배관을 해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윈치부와 상기 부표부를 연결하여, 상기 윈치부의 위치를 해수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육상에 선박이 접안하여 일측에서는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적하고, 상기 선박의 타측에서는 상기 선박의 운항을 위한 연료를 상기 연료배관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은, 육상에 선박이 접안하여 일측에서는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적하고, 선박의 타측에서는 선박의 운항을 위한 연료를 연료배관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하역작업과 연료공급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항구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선박의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의 벙커링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100)은 연료배관(110), 부이부(120), 계류부(130), 윈치부(140) 및 부표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100)은 육상(1, 일례로 항구)에 접안하여 선적/하적을 이루는 선박(10)이 하역 작업에 관계없이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선박(10)은 곡물, 광석물 등과 같이 별도로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운반하는 산적화물선이거나, 박스 형태의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선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선박(10)에는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연료공급장치(11)가 마련될 수 있다.
연료배관(110)은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1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지에 마련되는 연료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일단부는 육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배치된다.
이는, 선박(10)의 일측에서는 하역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선박(10)의 타측에서는 선박(10)의 운항에 필요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선박의 일측에 간섭되지 않도록, 연료배관(110)이 선박(10)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니다.
이와 같은 예를 들어, 연료배관(110)은 일부(일단부)가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결되어 육지 아래 매몰된 형태가 될 수 있고, 다른 일부(타단부)는 육지로부터 노출되어 바다에 구비되도록 해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배관(110)은 오일과 같은 연료의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육지의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선박(10)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연료배관(110)은 해수에 대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윈치부(140)에 의해 해수면과 해저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 합성비닐, 천 등의 재질이 복합되거나 겹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부이부(120)는 연료배관(110)이 선박(10)에 근접하도록 연료배관(1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연료배관(110)에 연결되어, 연료배관(110)를 부양시킨다.
부이부(120)는 일반적인 선박의 부양원리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이부(120)에는 펌프(도시하지 않음),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펌프의 구동에 의해 부이부(120)의 내부에서 외부로 해수를 배출하고, 부이부(120)에 마련되는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개방으로 해수를 채워, 해수의 저장 비중에 따라 잠수 및 부유가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부이부(120)는 선박(10)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쓰러스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위치조정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이부(120)는 선박(10)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선박(10)으로 연료배관(110)이 근접하도록 연료배관(110)을 해저면으로부터 해상으로 부유하여 지지한다. 예를 들어, 부이부(120)는 부상체(121)와 공급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부상체(121)는 해상에 부유하며 연료배관(110)이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해상에 부유하는 형태인 박스 형태, 튜브형태 등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급관(122)은 부상체(121)에 연결되되 연료배관과 연통되어 연료의 이동통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공급관(122)이나 연료배관(110) 또는 각각에는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이부(120)가 부상체(121)와 공급관(122)을 포함하여 연료배관(11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선박(10)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부이부(120)는 연료배관(110)을 지지하고, 연료배관(110)으로부터 선박(10)으로 직접 연료가 공급될 수도 있다.
계류부(130)는 윈치부(140)와 부이부(120)를 연결하는 매개물로서, 밧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계류부(130)는 제1 연결부재(131) 및 제2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1)는 부이부(120)와 윈치부(140)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재(132)는 후술되는 부표부(150)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131)의 일단부는 부이부(1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윈치부(140)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재(132)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윈치부(140)는 계류부(130)의 부유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해저면에 마련되어 부이부(120)가 해저면으로 당겨지거나 해수면에 위치하도록, 계류부(130)를 감거나 푼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10)이 육상(1)에 접안하는 경우, 윈치부(140)가 계류부(130)를 풀어 계류부(130)에 연결되는 부이부(120)가 해상에 놓여지면, 부이부(120)는 해수면에 부유하게 되고, 쓰러스터를 이용하여 선박(10)에 근접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10)이 접안을 준비하는 등과 같이, 해수면을 부이부(120)로부터 간섭되지 않도록, 부이부(120)를 해수면 아래 잠겨놓을 수 있다. 이때, 윈치부(140)가 계류부(130)의 길이를 줄여 부이부(120)를 해저면으로 당김으로써 부이부(120)를 해저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부이부(120)는 도어를 개방시켜 부이부(120) 내에 해수를 채움으로써 하중에 의해 잠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부표부(150)는 해수면 아래 잠긴 부이부(120)나 윈치부(14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부표부(150)는 제2 연결부재(132)에 연결되되 해수면에 부유하고 제2 연결부재(132)는 윈치부(1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표부(150)는 연료배관(110)이 해저면에 끌려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연료배관(110)이 부이부(120)에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되게 연료배관(110) 상에 연결되어 연료배관(110)의 중심부를 해저면으로부터 부유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는 부표부(150)와 연료배관(1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육상(1)에 선박(10)이 접안하여 일측에서는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적하고, 선박(10)의 타측에서는 선박(10)의 운항을 위한 연료를 연료배관(110)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하역작업과 연료공급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항구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선박의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육상 10: 선박
11: 연료공급장치 100: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110: 연료배관 120: 부이부
121: 부상체 122: 공급관
130: 계류부 131: 제1 연결부재
132: 제2 연결부재 140: 윈치부
150: 부표부

Claims (6)

  1. 컨테이너선에 LNG 연료를 공급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은 화물(컨테이너)의 선하적이 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선의 일측이 육지를 향하고, 상기 컨테이너선의 타측은 바다를 향하도록 상기 육지에 접안되고,
    상기 컨테이너선의 일측 방향인 상기 육지에 마련되는 연료저장탱크;
    상기 컨테이너선의 타측 방향인 상기 바다에 마련되는 부이부;
    일단부가 상기 육지의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바다의 상기 부이부에 연결되어, 해저면에 배치되어 LNG 연료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료배관;
    상기 연료배관의 타단부는,
    상기 컨테이너선의 타측 방향에서 상기 부이부에 의해서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부에 연결되는 계류부; 및
    해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이부가 해저면으로 당겨지거나 해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계류부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류부는,
    상기 부이부와 상기 윈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부표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연료배관과 상기 부표부를 연결하되, 상기 부이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연료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배관을 해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윈치부와 상기 부표부를 연결하여, 상기 윈치부의 위치를 해수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지에 컨테이너선이 접안하여 일측에서는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적하고, 상기 컨테이너선의 타측에서는 상기 컨테이너선의 운항을 위한 연료를 상기 연료배관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KR1020140099914A 2014-08-04 2014-08-04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KR10193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14A KR101938913B1 (ko) 2014-08-04 2014-08-04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14A KR101938913B1 (ko) 2014-08-04 2014-08-04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765A KR20160017765A (ko) 2016-02-17
KR101938913B1 true KR101938913B1 (ko) 2019-01-16

Family

ID=5545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914A KR101938913B1 (ko) 2014-08-04 2014-08-04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577B1 (ko) * 2017-12-27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KR102448837B1 (ko) * 2018-09-21 2022-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694A (ja) * 1994-02-25 199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係留ブイ用浮沈式送油ホース装置
NO301792B1 (no) * 1996-07-01 1997-12-08 Norske Stats Oljeselskap Fremgangsmåte og anlegg for flytendegjöring/kondisjonering av en komprimert gass/hydrokarbonström utvunnet fra en petroleumforekomst
US20020154725A1 (en) * 2001-04-23 2002-10-24 Hayman W. Z. (Zack) Seafloor power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765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289B1 (en) Water level and/or sub surface water transporter/storage systems for liquids and solids simultaneously or in single cargo
US7500442B1 (en) Submerged transporter and storage system for liquids and solids
US20190135379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a vessel for use a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CN108602549B (zh) 集装箱船
KR101938913B1 (ko)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JPH06255799A (ja) ばら物荷役設備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CN103129708A (zh) 具有输送潜在危险液体产品区域的船舶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JP6026168B2 (ja) 船舶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CN104520180A (zh) 船舶
KR101665405B1 (ko) 자연 유하식 적하역 장치
JP2012153334A (ja) 船舶
KR101580976B1 (ko) 채광선
US4292915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CN106542057B (zh) 浮式泥浆工厂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US4309953A (en) Cargo handling system for a marine cargo vessel
KR200492481Y1 (ko)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N107640293A (zh) 一种海上油气开发钻采物资存储供应装置
KR101498245B1 (ko) 잔유 액체화물 하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70120865A (ko) 동요 제어가 용이한 해상 부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