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105A -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의 드라이 필름 및 그의 경화물,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프린트 배선판 - Google Patents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의 드라이 필름 및 그의 경화물,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프린트 배선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2105A KR20150102105A KR1020157020481A KR20157020481A KR20150102105A KR 20150102105 A KR20150102105 A KR 20150102105A KR 1020157020481 A KR1020157020481 A KR 1020157020481A KR 20157020481 A KR20157020481 A KR 20157020481A KR 20150102105 A KR20150102105 A KR 20150102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sensitive resin
- resin composition
- alkali
- developable photosensitive
- c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5—Permanent coating compositions
- H05K3/287—Photosensitive composi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공 내성, 공포 내성 및 스루홀(이하,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우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희석 용제, (D)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및 (E) 탈크를 함유하고,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로서,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b)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폭시기의 에스테르화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포함하면서, 또한 (E) 탈크의 함유율이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의 솔더 레지스트 등의 형성에 적합한 알칼리 현상형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외선 노광 및 희알칼리 수용액에 의한 현상에서 화상 형성이 가능하고, 특히 폭공 내성, 공포 내성 및 TH(스루홀)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우수한, 경화 도막이 얻어지는 알칼리 현상형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과 그의 경화물, 및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부 민간용 프린트 배선판 및 그의 대부분의 산업용 프린트 배선판의 솔더 레지스트에는 고정밀도, 고밀도의 관점에서, 자외선 노광 후, 현상함으로써 화상 형성하고, 열 및 광 조사로 마무리 경화(본경화)하는 액상 현상형의 솔더 레지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 문제에의 배려로부터, 현상액으로서 희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알칼리 현상형의 액상 솔더 레지스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희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알칼리 현상형의 솔더 레지스트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과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반응 생성물에 다염기산 무수물을 부가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희석제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상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액상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을, 예를 들어 TH를 갖는 배선판에도 직접 충전하는 사양에서 사용하는 경우, 형성된 솔더 레지스트막은, 땜납 레벨러 시에 TH 주변이 부상되어 버린다는 현상(이하, 간단히 「공포」라고 함), 또는 후경화나 땜납 레벨링 시에 TH 내에 충전된 도막이 토출되어 버린다는 현상(이하, 간단히 「폭공」이라고 함)을 초래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구리 TH 배선판과 같은 배선판의 관통 구멍 전부를 액상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로 충전하는 사양의 배선판이 주류이며, 상기 공포나 폭공의 문제에 대응한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이 요구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또는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감광성과 알칼리 현상성을 갖는 비스페놀형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수지, 공중합형 수지를 병용하여 얻어지는 액상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프린트 배선판은, 해마다 경박단소화 및 다종다양의 구멍 직경을 갖는 프린트 배선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구멍 직경이 Φ500 이상인 프린트 배선판에 상기한 공포와 폭공 내성을 갖는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을 사용하면, TH 내의 구리와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의 계면과의 밀착성 부족에 의해 크랙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그 문제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플럭스 도포 시에 플럭스가 TH 내에 인입되기 쉬워져, 플럭스 도포면의 반대면까지 플럭스가 돌아 들어가 버려, 기판 표면의 오염, TH 내 잔류 플럭스가 후처리의 레벨러 시에 팽창된다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점에서, 폭공 내성, 공포 내성 및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우수한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폭공 내성, 공포 내성 및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우수한, 경화 도막이 얻어지는 알칼리 현상형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과 그의 경화물 및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주된 목적은,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우수한 프린트 배선판용의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에 적합한 알칼리 현상형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솔더 레지스트에 요구되는 폭공 내성, 공포 내성은 물론 종래 기술에서는 불충분했던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크랙 내성이 우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희석 용제, (D)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및 (E) 탈크를 함유하고,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로서,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b)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폭시기의 에스테르화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포함하면서, 또한 (E) 탈크의 함유율이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현상형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희석 용제, (D)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및 (E) 탈크를 함유하고,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로서,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b)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폭시기의 에스테르화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포함하면서, 또한 (E) 탈크의 함유율이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TH 충전 용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 탈크 이외의 (F)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 열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리 상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드라이 필름은, 상기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물은, 상기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구리 상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도막, 또는 해당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광경화성의 드라이 필름을 구리 상에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지는 도막을 광경화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은, 상기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도막, 또는 해당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광경화성의 드라이 필름을 기재 상에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지는 도막을 광경화시킨 후, 열경화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로서,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b)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폭시기의 에스테르화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포함하면서, 또한 (E) 탈크의 함유율이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에 최대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로서 가요성을 갖는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사용하면서, 또한 (E) 탈크의 함유율을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경화물의 경도를 부드럽게 하고, 그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유연성이 부여된다. 그 결과, 후경화 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경화될 때의 경화 수축을 완화시켜, 그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에 의해 TH 내의 구리 표면의 요철에 확실히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추종되어 경화될 수 있음으로써, TH 내의 구리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계면에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양호해져, 인쇄 시에 TH 내에의 매립성이 양호해지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공포 내성을 갖는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에서는, 공포 내성은 얻어지기는 하지만,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종래의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에서는,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과 (F) 충전제를 함유하기는 하지만, (F) 충전제에는 광물의 경도의 척도인 모스 경도가 높은 황산바륨(모스 경도; 3)이나 실리카(모스 경도; 7)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모스 경도의 경도의 척도는, 1부터 10까지의 정수값이 사용되고, 숫자가 클수록, 광물의 경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모스 경도가 높은 황산바륨이나 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그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유연성이 부여되지 않는다. 그 결과, 후경화 시의 경화 수축의 완화가 충분하지 않아, TH 내의 구리 표면의 요철에 충분히 추종되어 경화되는 것이 곤란해져,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서는 충분한 유연성이 부족하여,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모스 경도가 1이며, 광물 중에서 가장 부드러운 광물의 하나인 (E) 탈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개선을 도모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 폭공 내성, 공포 내성 및 크랙 내성이 우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TH의 구리와 도막에 박리 등 이상이 없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TH의 구리와 도막에 박리가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E) 탈크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서, 우선 (E) 탈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E) 탈크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E) 탈크는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E) 탈크로서는, 모암이 탄산마그네슘, 사문암, 실리카/실리카-알루미나, 마그네슘 퇴적물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소위, 규산염 광물의 1종이면 되고, 형상이 괴상일 수도 미분상일 수도 있다. 표면 처리에 관해서도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이들 (E) 탈크의 배합 비율은,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가 적당하다. 10중량% 미만이면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나빠져 인쇄 시에 TH 내에의 매립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먼저, 본 발명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인,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b)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폭시기의 에스테르화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의 제조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로서는, 비스페놀 A형 또는 비스페놀 F형의 알콜성 수산기에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에피할로히드린을 알콜성 수산기 1당량에 대하여 1당량 이상 사용하여 부가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에 부가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b)로서는,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2량체,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카프로락톤 부가물 등 수산기 함유 아크릴레이트의 불포화 이염기산 무수물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다. 이들 불포화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과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스테르화물 중의 알콜성 수산기와 반응시키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로서는, 메틸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염기산 무수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의 사용량은,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의 산가가 45 내지 120㎎KOH/g이 되는 범위 내에서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다른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열거하는 화합물(올리고머 및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1)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그 이외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1종류 이상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 수지,
(2)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그 이외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1종류 이상의 공중합체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나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나 (메트)아크릴산클로라이드 등에 의해,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펜던트로서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감광성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 수지,
(3)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나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그 이외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키고, 생성된 2급의 수산기에 다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감광성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 수지,
(4)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산 무수물과, 그 이외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감광성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 수지,
(5)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과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키고, 생성된 수산기에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6) 폴리비닐알코올 유도체 등의 수산기 함유 중합체에,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킨 후, 생성된 카르복실산에 1 분자 중에 에폭시기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산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
(7)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과,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1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알콜성 수산기와,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알콜성 수산기 이외의 1개의 반응성 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에,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8)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옥세탄환을 갖는 다관능 옥세탄 화합물에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변성 옥세탄 수지 중의 제1급 수산기에 대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및
(9) 다관능 에폭시 수지에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킨 후, 다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에, 분자 중에 1개의 옥시란환과 1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더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예시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상기 (2), (5), (7), (9)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다른 유사한 표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은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는 백본·중합체의 측쇄에 다수의 유리의 카르복실기를 갖기 때문에, 희알칼리 수용액에 의한 현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산가는 40 내지 200㎎KOH/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20㎎KOH/g의 범위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의 산가가 40㎎KOH/g 미만이면 알칼리 현상이 곤란해지고, 한편 200㎎KOH/g를 초과하면 현상액에 의한 노광부의 용해가 진행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라인이 가늘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노광부와 미노광부의 구별없이 현상액으로 용해 박리되어 버려, 정상적인 레지스트 패턴의 묘화가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수지 골격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2,000 내지 150,000, 더욱 5,000 내지 1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미만이면 기판에의 도포, 건조 후의 태크 프리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노광 후의 도막의 내습성이 나빠지고, 현상 시에 막감소가 발생하여, 해상도가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0을 초과하면, 현상성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저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배합량은, 전체 조성물의 20 내지 6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질량%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 도막 강도가 저하되거나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지거나, 도포성 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B)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중합 개시제 (B)로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과 벤조인알킬에테르류;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4-벤조일페닐술파닐)-2-메틸-2-(4-메틸페닐술파닐)프로판-1-온 등의 아세토페논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등의 아미노아세토페논류;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류;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류;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케탈류;
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또는 크산톤류;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등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각종 퍼옥시드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공지 관용의 광중합 개시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광중합 개시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이 사용되고, 시판품으로서는 시바가이기사제의 이르가큐어 907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 (B)의 배합 비율은,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질량부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질량부이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 조성물의 광경화성이 불량해지고, 한편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솔더 레지스트로서의 특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C) 유기 용제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용제 (C)는,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합성이나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또는 기판이나 캐리어 필름에 도포하기 위한 점도 조정을 위하여,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제로서는, 케톤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글리콜에테르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지방족 탄화수소, 석유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테트라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카르비톨, 메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옥탄, 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석유 에테르, 석유 나프타, 수소 첨가 석유 나프타, 솔벤트 나프타 등의 석유계 용제 등이다. 이러한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D)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D)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광경화되어,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를 알칼리 수용액에 불용화 또는 불용화를 돕는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류;
에틸렌글리콜, 메톡시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아크릴레이트류;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아크릴레이트류;
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등의 다가 아크릴레이트류;
페녹시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페놀류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등의 아크릴레이트류;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글리시딜에테르의 아크릴레이트류;
및 멜라민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아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각 메타크릴레이트류 중 적어도 어느 1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다관능 에폭시 수지에 아크릴산을 반응시킨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나, 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수산기에,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하프 우레탄 화합물을 더 반응시킨 에폭시우레탄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D)의 배합량은,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질량부의 비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질량부의 비율이다. 상기 배합량이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성이 저하되어, 활성 에너지선 조사 후의 알칼리 현상에 의해 패턴 형성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00질량부를 초과한 경우, 알칼리 수용액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거나, 경화 도막이 취성으로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F) 충전제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과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F)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F) 충전제로서는, 황산바륨, 티타늄산바륨, 산화규소분, 구상 실리카, 클레이,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운모분 등의 공지 관용의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를 들 수 있다. 이들 (F) 충전제에는 표면 처리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이들 (F) 충전제의 배합 비율은, 전량의 0.01중량% 이상 50중량% 이하가 적당하다. 0.01중량% 미만이면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내열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나빠져 인쇄 시에 TH 내에의 매립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G) 열경화성 성분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과 크랙 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반응기(환상 에테르기 및 환상 티오에테르기 중 적어도 어느 1종(이하, 환상 (티오)에테르기라고 약칭함))를 갖는 열경화성 성분 (G)를 배합한다.
열경화성 성분 (G)는, 분자 중에 3, 4 또는 5원환의 환상 에테르기, 또는 환상 티오에테르기 중 어느 한쪽 또는 2종류의 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즉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G-1),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 즉 다관능 옥세탄 화합물 (G-2),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오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즉 에피술피드 수지 (G-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G-1)로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에피코트 828, 에피코트 834, 에피코트 1001, 에피코트 1004, DIC제의 에피클론 840, 에피클론 850, 에피클론 1050, 에피클론 2055, 도토 가세이사제의 에포토토 YD-011, YD-013, YD-127, YD-128, 다우 케미컬사제의 D.E.R.317, D.E.R.331, D.E.R.661, D.E.R.664,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의 스미-에폭시 ESA-011, ESA-014, ELA-115, ELA-128, 아사히 가세이 고교사제의 A.E.R.330, A.E.R.331, A.E.R.661, A.E.R.664 등(모두 상품명)의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제의 에피코트 YL903, DIC제의 에피클론 152, 에피클론 165, 도토 가세이사제의 에포토토 YDB-400, YDB-500, 다우 케미컬사제의 D.E.R.542,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의 스미-에폭시 ESB-400, ESB-700, 아사히 가세이 고교사제의 A.E.R.711, A.E.R.714 등(모두 상품명)의 브롬화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에피코트 152, 에피코트 154, 다우 케미컬사제의 D.E.N.431, D.E.N.438, DIC제의 에피클론 N-730, 에피클론 N-770, 에피클론 N-865, 도토 가세이사제의 에포토토 YDCN-701, YDCN-704, 닛본 가야꾸사제의 EPPN-201, EOCN-1025, EOCN-1020, EOCN-104S, RE-306,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의 스미-에폭시 ESCN-195X, ESCN-220, 아사히 가세이 고교사제의 A.E.R.ECN-235, ECN-299 등(모두 상품명)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DIC제의 에피클론 830, 미츠비시 가가쿠사제 에피코트 807, 도토 가세이사제의 에포토토 YDF-170, YDF-175, YDF-2004 등(모두 상품명)의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도토 가세이사제의 에포토토 ST-2004, ST-2007, ST-3000(상품명) 등의 수소 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에피코트 604, 도토 가세이사제의 에포토토 YH-434,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의 스미-에폭시 ELM-120 등(모두 상품명)의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히단토인형 에폭시 수지; 다이셀 가가쿠 고교사제의 셀록사이드 2021 등(모두 상품명)의 지환식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YL-933, 다우 케미컬사제의 T.E.N., EPPN-501, EPPN-502 등(모두 상품명)의 트리히드록시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YL-6056, YX-4000, YL-6121(모두 상품명) 등의 비크실레놀형 또는 비페놀형 에폭시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 닛본 가야꾸사제 EBPS-200, 아사히 덴카 고교사제 EPX-30, DIC제의 EXA-1514(상품명) 등의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에피코트 157S(상품명) 등의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에피코트 YL-931 등(모두 상품명)의 테트라페닐올에탄형 에폭시 수지; 닛산 가가쿠 고교사제의 TEPIC 등(모두 상품명)의 복소환식 에폭시 수지; 닛본 유시사제 블렘머 DGT 등의 디글리시딜프탈레이트 수지; 도토 가세이사제 ZX-1063 등의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레노일에탄 수지; 신닛본 세테츠 가가쿠사제 ESN-190, ESN-360, DIC제 HP-4032, EXA-4750, EXA-4700 등의 나프탈렌기 함유 에폭시 수지; DIC제 HP-7200, HP-7200H 등의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 닛본 유시사제CP-50S, CP-50M 등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계 에폭시 수지; 나아가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에폭시 수지; 에폭시 변성의 폴리부타디엔 고무 유도체(예를 들어 다이셀 가가쿠 고교제 PB-3600 등), CTBN 변성 에폭시 수지(예를 들어 도토 가세이사제의 YR-102, YR-450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옥세탄 화합물 (G-2)로서는, 비스[(3-메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에테르, 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에테르, 1,4-비스[(3-메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메틸-3-옥세타닐)메틸아크릴레이트, (3-에틸-3-옥세타닐)메틸아크릴레이트, (3-메틸-3-옥세타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 (3-에틸-3-옥세타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그들의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등의 다관능 옥세탄류 외에, 옥세탄알코올과 노볼락 수지, 폴리(p-히드록시스티렌), 카르도형 비스페놀류, 칼릭스아렌류, 칼릭스레조르신아렌류, 또는 실세스퀴옥산 등의 수산기를 갖는 수지와의 에테르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옥세탄환을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환상 티오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G-3)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가가쿠사제의 비스페놀 A형 에피술피드 수지 YL70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합성 방법을 사용하여,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의 산소 원자를 황 원자로 치환한 에피술피드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환상 (티오)에테르기를 갖는 열경화성 성분 (G)의 배합량은,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의 카르복실기 1당량에 대하여 환상 (티오)에테르기가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0당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당량으로 되는 범위에 있다.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환상 (티오)에테르기를 갖는 열경화성 성분 (G)의 배합량이 0.6 미만인 경우, 솔더 레지스트막에 카르복실기가 잔존하여, 내열성, 내알칼리성, 전기 절연성 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2.0당량을 초과하는 경우, 저분자량의 환상 (티오)에테르기가 건조 도막에 잔존함으로써, 도막의 강도 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환상 (티오)에테르기를 갖는 열경화성 성분 (G)를 사용하는 경우, 열경화 촉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열경화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4-페닐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1-(2-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 유도체; 디시안디아미드, 벤질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N,N-디메틸벤질아민, 4-메톡시-N,N-디메틸벤질아민, 4-메틸-N,N-디메틸벤질아민 등의 아민 화합물,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세박산디히드라지드 등의 히드라진 화합물;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인 화합물 등, 또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코쿠 가세이 고교사제의 2MZ-A, 2MZ-OK, 2PHZ, 2P4BHZ, 2P4MHZ(모두 이미다졸계 화합물의 상품명), 산-아프로사제의 U-CAT3503N, U-CAT3502T(모두 디메틸아민의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상품명), DBU, DBN, U-CATSA102, U-CAT5002(모두 2환식 아미딘 화합물 및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폭시 수지나 옥세탄 화합물의 열경화 촉매, 또는 에폭시기 및 옥세타닐기 중 적어도 어느 1종과 카르복실기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면 되며,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 멜라민, 2,4-디아미노-6-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S-트리아진, 2-비닐-2,4-디아미노-S-트리아진, 2-비닐-4,6-디아미노-S-트리아진·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2,4-디아미노-6-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S-트리아진·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등의 S-트리아진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밀착성 부여제로서도 기능하는 화합물을 상기 열경화 촉매와 병용한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프탈로시아닌·블루, 프탈로시아닌·그린, 아이오딘·그린, 디스아조 옐로우, 크리스탈 바이올렛, 산화티타늄, 카본 블랙, 나프탈렌 블랙 등의 공지 관용의 착색제,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t-부틸카테콜, 피로갈롤, 페노티아진 등의 공지 관용의 열중합 금지제, 미분 실리카, 유기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공지 관용의 증점제, 실리콘계, 불소계, 고분자계 등의 소포제 및 레벨링제 중 적어도 어느 1종, 이미다졸계, 티아졸계, 트리아졸계 등의 밀착성 부여제나 실란 커플링제 등과 같은 공지 관용의 첨가제류를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프린트 배선판의 솔더 레지스트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도포 방법에 적합한 점도로 조정한 후, 이것을 예를 들어 미리 회로 형성된 프린트 배선판에 스크린 인쇄법, 커튼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롤 코팅법 등의 방법에 의해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약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건조 처리함으로써, 태크 프리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소정의 노광 패턴을 형성한 포토마스크를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 광선에 의해 노광하고, 미노광부를 알칼리 수용액에 의해 현상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추가로 예를 들어 약 140 내지 1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성분의 경화 반응에 더하여 감광성 수지 성분의 중합이 촉진되어, 얻어지는 레지스트 피막의 내열성, 내용제성, 내산성, 내흡습성, PCT 내성, 밀착성, 전기 특성 등의 여러 특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현상에 사용되는 알칼리 수용액으로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인산나트륨, 규산나트륨,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시키기 위한 조사 광원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반도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 크세논 램프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적당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및 그의 실시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부」 또는 「%」는 특기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본 실시예의 조성물의 성상값 시험을 행했다.
합성예 1
가스 도입관, 교반 장치, 냉각관, 온도계 및 연속 적하용의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카르복실산 당량 86g/당량의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86부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가가쿠사제, 에피코트 828, 에폭시 당량 189g/당량) 378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 하 110℃에서 용해시켰다. 그 후, 트리페닐포스핀 0.3부를 첨가하고, 반응 용기 내의 온도를 150℃까지 승온하고, 온도를 150℃에서 유지하면서, 약 90분간 반응시켜, 에폭시 당량 464g/당량의 에폭시 화합물을 얻었다. 다음에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40℃까지 냉각하고, 카르비톨아세테이트 390부를 첨가하고, 가열 용해하고, 메틸히드로퀴논 0.46부와, 트리페닐포스핀 1.38부를 첨가하고, 95 내지 105℃로 가열하고, 아크릴산 72부를 서서히 적하하고, 16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생성물을 80 내지 90℃까지 냉각하고,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190부를 첨가하고, 8시간 반응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는, 불휘발분 65%, 고형분의 산가 100㎎KOH/g이었다. 이하 이 수지 용액을 바니시 A라고 칭한다.
합성예 2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인 에피클론 N-695(DIC사제, 에폭시 당량=214) 214부를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카르비톨아세테이트 103부, 석유계 탄화수소 용제(재팬 에너지사제 상품명: 칵터스파인 SF-01) 103부를 첨가하여 가열 용해했다. 이어서, 중합 금지제로서 히드로퀴논 0.1부와, 반응 촉매로서 트리페닐포스핀 2.0부를 첨가했다. 이 혼합물을 95 내지 105℃로 가열하고, 아크릴산 72부를 서서히 적하하여, 16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80 내지 90℃까지 냉각하고,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91.2부를 첨가하여 8시간 반응시키고, 냉각 후, 취출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카르복실기 함유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은, 불휘발분 65%, 고형물의 산가 87.5㎎KOH/g이었다. 이하, 이 반응 생성물의 용액을 바니시 B라고 칭한다.
상기 합성예 1-2의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용액(바니시 A, 바니시 B)을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다양한 성분과 비율(질량부)로 배합하고, 교반기에서 예비 혼합한 후, 3축 롤밀로 혼련하여,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여기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분산도를 에릭센사제 그라인드미터에 의한 입도 측정으로 평가한 바, 15㎛ 이하였다.
성능 평가:
(1) 폭공 내성
상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각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Φ0.5, 0.8㎜t의 기판에 충전한 후, 광경화와 열경화시켜 경화한 도막을 JIS C6481의 시험 방법에 따라 로진계 및 수용성 플럭스를 사용하여 288℃의 땜납욕에 10초 3회 침지시켰다. 그 후 TH 부분의 도막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φ500의 TH500 구멍 중 도막의 돌출이 전혀 없는 것
△: φ500의 TH500 구멍 중 도막의 돌출이 5개 미만인 것
×: φ500의 TH500 구멍 중 도막의 돌출이 5개 이상인 것
(2) 공포 내성
상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각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Φ0.5, 0.8㎜t의 기판에 충전한 후, 광경화와 열경화시켜 경화한 도막을 JIS C6481의 시험 방법에 따라 로진계 및 수용성 플럭스를 사용하여 288℃의 땜납욕에 10초 3회 침지시켰다. 그 후 테이프 필링을 행하여 TH 주변의 박리 상태를 확인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φ500의 TH500 구멍 중 공포의 발생이 전혀 없는 것
△: φ500의 TH500 구멍 중 공포의 발생이 5개 미만인 것
×: φ500의 TH500 구멍 중 공포의 발생이 5개 이상인 것
(3)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각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Φ0.5, 0.8㎜t의 기판에 충전한 후, 광경화와 열경화시켜 경화 도막을 형성했다. 그 후 기판의 단면 상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단면 형상의 모식도를 도면에 도시하였다.
○: TH의 구리와 도막에 박리 등 이상이 없는 것
×: TH의 구리와 도막에 박리가 있는 것
(4) 크랙 내성
상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각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Φ0.5, 0.8㎜t의 기판에 충전한 후, 광경화와 열경화시켜 경화 도막을 형성시켰다. 그 후 TH 부분의 도막의 상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φ500의 TH500 구멍 중 크랙이 전혀 없는 것
△: φ500의 TH500 구멍 중 크랙의 발생이 5개 미만인 것
×: φ500의 TH500 구멍 중 크랙의 발생이 5개 이상인 것
상기 각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4의 조성으로 조정함으로써 폭공 내성, 공포 내성 및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우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비해, 비교예 1은 (E) 탈크의 함유율이 낮기 때문에 충분한 밀착성이 부족하여 그 결과,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2는 (E) 탈크의 함유율은 충분하기는 하지만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유연성이 부족하여 그 결과, 폭공 내성, 공포 내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3은 (E) 탈크를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밀착성과 유연성이 부족하여 그 결과, TH 내의 구리와의 밀착성과 크랙 내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1
잉크
2 구리
3 기재
2 구리
3 기재
Claims (8)
-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B) 광중합 개시제, (C) 희석 용제, (D)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및 (E) 탈크를 함유하고, (A)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로서, 적어도 1종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a)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b)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폭시기의 에스테르화 생성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A-1)을 포함하면서, 또한 (E) 탈크의 함유율이 전량의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스루홀(TH) 충전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E) 탈크 이외의 (F)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G) 열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구리 상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의 드라이 필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구리 상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도막, 또는 해당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광경화성의 드라이 필름을 구리 상에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지는 도막을 광경화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도막, 또는 해당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얻어지는 광경화성의 드라이 필름을 기재 상에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지는 도막을 광경화시킨 후, 열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310038669.5A CN103969947B (zh) | 2013-01-31 | 2013-01-31 | 碱显影型感光性树脂组合物、其干膜及其固化物以及使用其而形成的印刷电路板 |
CN201310038669.5 | 2013-01-31 | ||
PCT/CN2013/081148 WO2014117496A1 (zh) | 2013-01-31 | 2013-08-09 | 碱显影型感光性树脂组合物、其干膜及其固化物以及使用其而形成的印刷电路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2105A true KR20150102105A (ko) | 2015-09-04 |
KR101726114B1 KR101726114B1 (ko) | 2017-04-11 |
Family
ID=5123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0481A KR101726114B1 (ko) | 2013-01-31 | 2013-08-09 |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의 드라이 필름 및 그의 경화물,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프린트 배선판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118426B2 (ko) |
KR (1) | KR101726114B1 (ko) |
CN (1) | CN103969947B (ko) |
TW (1) | TWI516869B (ko) |
WO (1) | WO201411749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7675A (ko) * | 2016-03-16 | 2017-09-2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네가티브 감광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경화 패턴 |
US10283426B2 (en) | 2016-10-10 | 2019-05-0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03604B (zh) * | 2014-10-15 | 2020-08-11 |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 感光性树脂组成物、彩色滤光片的制造方法、彩色滤光片以及液晶显示装置 |
CN107490936A (zh) * | 2016-06-09 | 2017-12-19 | 株式会社田村制作所 | 固化涂膜的形成方法 |
JP6995469B2 (ja) * | 2016-09-02 | 2022-01-14 |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 硬化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
KR102189000B1 (ko) * | 2017-08-09 | 2020-12-09 |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다층 프린트 배선판 |
CN109976092B (zh) * | 2017-12-27 | 2022-04-01 | 太阳油墨(苏州)有限公司 | 固化性树脂组合物、干膜、固化物、及印刷电路板 |
KR102375289B1 (ko) * | 2018-10-30 | 2022-03-15 |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절연막형성용 수지 조성물, 절연막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드라이 필름, 프린트 배선판, 및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
JP7405768B2 (ja) * | 2018-12-19 | 2023-12-26 |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硬化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電子部品 |
CN118259540A (zh) * | 2022-12-28 | 2024-06-28 | 太阳油墨(苏州)有限公司 | 碱性显影型树脂组合物、其干膜及其固化物以及使用其而形成的印刷电路板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43869A (ja) | 1985-04-19 | 1986-10-30 | Taiyo Ink Seizo Kk | 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
JP2002256060A (ja) | 2001-02-28 | 2002-09-11 | Tamura Kaken Co Ltd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
JP2003059975A (ja) | 2001-08-08 | 2003-02-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ボンディング方法 |
JP2005152736A (ja) * | 2003-11-25 | 2005-06-16 | Mitsui Chemicals Inc | 配線基板の塗布方法 |
JP2007128059A (ja) * | 2005-10-04 | 2007-05-24 | Hitachi Chem Co Ltd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 |
JP2008116813A (ja) | 2006-11-07 | 2008-05-22 | Taiyo Ink Mfg Ltd | アルカリ現像可能な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
JP2010250127A (ja) * | 2009-04-16 | 2010-11-04 | Goo Chemical Co Ltd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JP2011231257A (ja) * | 2010-04-28 | 2011-11-17 | Kyocera Chemical Corp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68031B (ko) * | 1993-07-02 | 1996-01-11 | Ciba Geigy | |
JP2001048982A (ja) * | 1999-08-09 | 2001-02-20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感光性樹脂。 |
EP1413926A3 (en) * | 2002-09-30 | 2004-10-27 | Tamura Kaken Corporation |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printing wiring board |
JP2004300173A (ja) * | 2003-03-28 | 2004-10-28 | Taiyo Ink Mfg Ltd | 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
JP4471149B2 (ja) * | 2003-10-10 | 2010-06-02 | 日本化薬株式会社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の製造法 |
JP2007279489A (ja) * | 2006-04-10 | 2007-10-25 | Hitachi Chem Co Ltd | 感光性樹脂組成物、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電子部品 |
JP4783678B2 (ja) * | 2006-06-01 | 2011-09-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感光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感光性フィルム、感光性積層体、並びに、永久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基板 |
JP4978787B2 (ja) * | 2007-08-09 | 2012-07-18 | Dic株式会社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新規酸基含有ビニルエステル樹脂 |
CN100482752C (zh) * | 2008-01-30 | 2009-04-29 | 深圳市容大电子材料有限公司 | 一种感光防焊油墨组合物、其应用及含有其的线路板 |
CN101344724A (zh) * | 2008-09-01 | 2009-01-14 | 深圳市容大电子材料有限公司 | 一种感光成像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
JP5387896B2 (ja) * | 2009-06-05 | 2014-01-15 | 日立化成株式会社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エレメント |
JP5583941B2 (ja) * | 2009-09-30 | 2014-09-03 |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ドライフィルム及び硬化物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
JP5466522B2 (ja) * | 2010-02-08 | 2014-04-09 |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ドライフィルム及び硬化物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
JP5422427B2 (ja) * | 2010-02-08 | 2014-02-19 |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積層構造体及びそれに用いる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 |
-
2013
- 2013-01-31 CN CN201310038669.5A patent/CN103969947B/zh active Active
- 2013-05-24 TW TW102118413A patent/TWI516869B/zh active
- 2013-08-09 JP JP2015555545A patent/JP6118426B2/ja active Active
- 2013-08-09 WO PCT/CN2013/081148 patent/WO2014117496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8-09 KR KR1020157020481A patent/KR1017261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43869A (ja) | 1985-04-19 | 1986-10-30 | Taiyo Ink Seizo Kk | 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
JP2002256060A (ja) | 2001-02-28 | 2002-09-11 | Tamura Kaken Co Ltd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
JP2003059975A (ja) | 2001-08-08 | 2003-02-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ボンディング方法 |
JP2005152736A (ja) * | 2003-11-25 | 2005-06-16 | Mitsui Chemicals Inc | 配線基板の塗布方法 |
JP2007128059A (ja) * | 2005-10-04 | 2007-05-24 | Hitachi Chem Co Ltd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 |
JP2008116813A (ja) | 2006-11-07 | 2008-05-22 | Taiyo Ink Mfg Ltd | アルカリ現像可能な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
JP2010250127A (ja) * | 2009-04-16 | 2010-11-04 | Goo Chemical Co Ltd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JP2011231257A (ja) * | 2010-04-28 | 2011-11-17 | Kyocera Chemical Corp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7675A (ko) * | 2016-03-16 | 2017-09-2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네가티브 감광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경화 패턴 |
US10283426B2 (en) | 2016-10-10 | 2019-05-0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969947B (zh) | 2016-05-04 |
KR101726114B1 (ko) | 2017-04-11 |
CN103969947A (zh) | 2014-08-06 |
TWI516869B (zh) | 2016-01-11 |
JP6118426B2 (ja) | 2017-04-19 |
JP2016513268A (ja) | 2016-05-12 |
WO2014117496A1 (zh) | 2014-08-07 |
TW201430492A (zh) | 2014-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6114B1 (ko) |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의 드라이 필름 및 그의 경화물,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프린트 배선판 | |
KR101362489B1 (ko) | 광 경화성·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및 그것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인쇄 배선판 | |
JP5043516B2 (ja) | 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プリント配線 | |
JP6248139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ならびにプリント配線板 | |
JP4865911B2 (ja) | カルボキシル基含有樹脂を含有する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カルボキシル基含有樹脂を得る方法 | |
JP2008146043A (ja) | 感光性組成物 | |
JP5952904B2 (ja) | 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 |
JP5113298B2 (ja) | 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プリント配線板 | |
JP2010066444A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5484772B2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4167599B2 (ja) | 硬化性樹脂及びそれを含有する硬化性樹脂組成物 | |
JP2010078949A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2010031072A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2004085984A (ja) | 光硬化性組成物及び感光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硬化物 | |
CN118575131A (zh) | 碱性显影型树脂组合物、其光固化性的干膜及其固化物以及使用其而形成的印刷电路板 | |
CN118259549A (zh) | 碱性显影型树脂组合物、其干膜及其固化物以及使用其而形成的印刷电路板 | |
CN118749086A (zh) | 感光热固化显影性树脂组合物、其干膜及其固化物以及使用其而形成的印刷电路板 | |
JP2010013518A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2004295026A (ja) | 硬化性樹脂組成物 | |
JP2010066541A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2010078753A (ja) | アルカリ現像可能な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
JP2008233747A (ja) |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