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156A -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156A
KR20150099156A KR1020140020730A KR20140020730A KR20150099156A KR 20150099156 A KR20150099156 A KR 20150099156A KR 1020140020730 A KR1020140020730 A KR 1020140020730A KR 20140020730 A KR20140020730 A KR 20140020730A KR 20150099156 A KR20150099156 A KR 2015009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wireless receiver
sound data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647B1 (ko
Inventor
박종석
서상우
김태성
김유창
유현선
장유준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47B1/ko
Priority to US14/285,449 priority patent/US9420082B2/en
Priority to EP14188366.0A priority patent/EP2911374B1/en
Priority to CN201410566564.1A priority patent/CN104869223B/zh
Publication of KR2015009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8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synthesized vocal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위한 무선 리시버는, 이어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음향 데이터가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WIRELESS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하면, 사용자는 혼자서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향 데이터를 감상할 수 있다. 다만, 유선의 이어폰을 연결하는 경우, 거추장스럽고, 이어폰의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무선 리시버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블루투스 이어폰 및 블루투스 헤드셋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선 리시버의 예라 할 것이다.
다만, 현재의 무선 리시버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악 또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파일의 음향 데이터를 제공 받아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이다. 이에, 무선 리시버의 기능을 증대하여, 무선 리시버를 착용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전화를 건 발신인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어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음향 데이터가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리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어폰을 통해 상기 제 1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리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전화를 건 발신인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무선 리시버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무선 리시버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c는 무선 리시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줄 감개부를 회전시켜 이어폰의 케이블을 감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리시버에 구비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다양한 제스처 입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리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가 가변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리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가 가변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실시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무선 리시버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리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무선 리시버를 통해 특정 타입의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시간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미확인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사용자에 의해 출력할 메시지 내용이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무선 리시버에 통화 내용을 녹음할 것을 지시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은 무선 리시버에 가하여지는 제스처 입력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에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음성 명령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리시버(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리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로 음향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음향 출력부와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동시에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와 무선 리시버(200) 중 무선 리시버(200)에서만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무선 리시버(2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무선 리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리시버(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이어폰(220), 사용자 입력부(230), 마이크(240), 센싱부(250), 메모리(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무선 리시버(200)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는 대표적으로 블루투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리시버(200)와 이동 단말기(100)는 패어링(pairing)을 거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 기술뿐만 아니라, 여타의 근거리 통신 기술도 무선 리시버(200)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폰(220)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에는 좌우 한쌍의 이어폰(220)이 구비될 수도 있고, 좌우 어느 한쪽에 하나의 이어폰(220)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이어폰(220)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이어폰(220)에서 출력될 음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 사용자 입력부(230)는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의 음향 파일을 재생 또는 일시 정지를 조절하기 위한 재생 제어 버튼, 이동 단말기(100)에 걸려온 전화를 받기 위한 통화 버튼,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 및 무선 리시버(200)의 온오프를 조절하기 위한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푸쉬할 수 있는 버튼 형태를 띌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2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중인 경우, 사용자는 마이크(240)로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마이크(240)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센싱부(250)는 무선 리시버(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 센싱부(250)는 무선 리시버(200)에 가하여지는 압력, 무선 리시버(200)의 움직임, 무선 리시버(200)의 뒤틀림, 무선 리시버(200)의 이동 등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향 데이터 또는 제어부(270)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사용자 입력 수신시 생성될 다양한 제어 명령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무선 리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 예로,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어폰(22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수신 또는 착신호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진동 등의 피드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부(23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센싱부(250)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제스처 입력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리시버(200)는 진동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무선 리시버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c는 무선 리시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무선 리시버(200)는 일부분이 개방된 원형을 띌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무선 리시버(200)를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무선 리시버(200)는, 밴드 프레임(310),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320) 및 좌우 한쌍의 본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 프레임(310)은 무선 리시버(2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무선 리시버(200)가 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원형의 형태를 띠도록 한쪽이 개방된 곡선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밴드 프레임(310)은 어느 정도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 프레임(310)은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 프레임(310)의 모든 부분이 자유롭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진다면, 무선 리시버(200)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무선 리시버(2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밴드 프레임(310)의 좌측 프레임의 좌측 일부 및 우측 일부에는 고정 프레임(320)이 결합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20)은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밴드 프레임(310)과 고정 프레임(320)이 결합한 부분은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밴드 프레임(310)의 모든 부분이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밴드 프레임(310)의 모든 부분이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하여, 밴드 프레임(310)의 모든 부분이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변형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해 형성된 개방된 공간의 크기 역시 그 크기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목의 굵기가 큰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를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밴드 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프레임(320)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두어, 개방된 영역의 크기가 어느 정도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밴드 프레임(310)의 좌측 일부 및 우측 일부는 한쌍의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밴드 프레임(310)의 중앙부는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밴드 프레임(310)의 중앙부가 휘어짐에 따라, 밴드 프레임(310)과 연결된 한쌍의 본체부(330) 사이의 거리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 프레임(320)과 밴드 프레임(310)이 결합한 부분을 고정부라 호칭하기로 하고,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 하지 않는 밴드 프레임(310)의 중앙부를 플렉서블부라 호칭하기로 한다. 이로써, 무선 리시버(200)는 좌우 한쌍의 고정부와 플렉서블부에 의해 골격이 이뤄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정부의 일단에는 본체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330)는 탑(top) 커버(330-1)와 바텀(bottom) 커버(330-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330-1)와 바텀 커버(330-1) 사이에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근거리 통신부(210), 이어폰(220)(구체적으로는 와이어),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50), 메모리(260), 마이크(240) 및 제어부(270)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본체부(330)에는 사용자가 푸쉬 또는 터치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도 3a 및 도 3c에서는 각각 좌측 본체부(330) 및 우측 본체부(330)의 탑 커버(330-1)에 원형의 버튼(332, 334)이 노출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들 중 어느 하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조절하기 위한 재생 조절 버튼(33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버튼(33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생 조절 버튼(332)을 조작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 상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거나 중지할 수 있고, 통화 버튼(334)을 이용하여 걸려온 전화를 받거나 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온 상태에서 통화 버튼을 단순히 1회 푸쉬하는 것은 걸려온 전화를 받고자 하는 것일 수 있고, 통화 버튼을 푸쉬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는 전화를 받는 것을 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체부(330)의 한쪽 끝에는 이어폰(22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홈(33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b에 수납 홉이 도시되어 있다. 수납 홈(336)에는 홀(338)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어폰(220)과 연결되는 케이블은 홀(338)을 통해 본체부(330)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본체부(330)에는 이어폰(220)의 케이블을 감기 위한 줄 감개부 및 상기 줄 감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330)의 외면에는 상기 전자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버튼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4는 줄 감개부를 회전시켜 이어폰의 케이블을 감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어폰(220)과 연결된 케이블(420)은 줄 감개부(4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이어폰(220)을 밖으로 빼내기 위한 외력을 가하면, 줄 감개부(4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줄 감개부(410)에 감겨 있던 케이블(420)이 풀리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모터는 줄 감개부(410)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려있던 케이블(420)이 줄 감개부(410)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22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블(420)을 본체부(330)에 수납시켜, 무선 리시버(200) 사용상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에는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는 무선 리시버에 구비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무선 리시버(200)의 플렉서블부(즉,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하지 않은 밴드 프레임(310)의 일부)(510)에는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등과 같은 센서(531)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부(510)에 설치된 센서를 기초로, 플렉서블부(510)에 압력이 가하여지는지 여부, 플렉서블부(510)에 포인터(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 등)가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포인터가 근접하고 있는지 여부 등이 감지될 수 있다.
플렉서블부(510)와 고정부(즉, 고정 프레임(320)과 결합한 밴드 프레임(310)의 일부)(520)의 경계에는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등과 같은 센서(532)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부(510)와 고정부(520) 사이에 설치된 센서(532)를 기초로, 플렉서블부(510)와 고정부(520) 사이에 포인터가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포인터가 근접하고 있는지 여부 등이 감지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20)에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534)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20)에 포함된 센서를 기초로, 본체부(330)의 이동 및 본체부(330)의 뒤틀림 등이 감지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20)는 마그넷 센서 등의 센서(53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어폰(220)이 수납 홈(336)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그넷 센서 등의 센서(536)은 수납 홈(336)이 형성된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이어폰(220)에도 마그넷 센서와 조합을 이루기 위한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고정 프레임(320)의 끝에는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등과 같은 센서(538)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20)의 끝에 설치된 센서(538)를 기초로, 고정 프레임(320)의 끝이 포인터에 의해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포인터가 근접하고 있는지 여부 등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을 기초로, 제어부(270)는 다양한 제스처들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도 6a 내지 도 6j는 다양한 제스처 입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정 프레임(320)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어부(270)는 본체부(330)를 어느 한쪽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스처 및 본체부(330)를 비트는 제스처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270)는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좌우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바깥쪽으로 당기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좌우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안쪽으로 당기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70)는 도 6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좌우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위로 올리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도 6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좌우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아래로 내리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270)는 도 6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좌우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트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고정 프레임(320)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 6f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체부(330)를 두드리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플렉서블부(610)에 설치된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 6g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플레서블부(610)에 압력을 가하는 제스처, 플렉서블부(610)를 터치하는 제스처 또는 포인터를 플렉서블부(510)에 갖다 대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플렉서블부(610)와 고정부(620) 사이에 설치된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 6h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플렉서블부(610)와 고정부(620)의 경계를 터치하는 제스처 또는 포인터를 플렉서블부와 고정부의 경계에 갖다 대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본체부(330)의 끝에 설치된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 6i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체부(330)의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 또는 포인터를 본체부(330)의 끝에 갖다 대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수납 홈(336) 근처에 설치된 마그넷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 6j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어폰(220)을 수납 홈(336)에 가져다 대는 제스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220)을 수납 홈(336)에 가져다 대는 제스처는 도 6j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의 이어폰(220)을 반대쪽 본체부(330)에 형성된 수납 홈(336)에 가져다 대는 것일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한쪽의 이어폰(220)을 동일한 쪽 본체부(330)에 형성된 수납 홈(336)에 가져다 대는 것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어폰(220)에도, 근접 센서 등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폰(220)의 근접 센서를 통해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을 귀에서 빼는 제스처, 이어폰(220)을 귀에 꽂는 제스처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270)는 센싱부(250)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도 6a 내지 도 6j에 도시된 제스처들을 소정 횟수 이상 반복하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도 6a 내지 도 6j에 도시된 제스처들 중 둘 이상을 결합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무선 리시버(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분의 용이함을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에는 '제 1'이라는 첨두어를 부가하고, 무선 리시버(200)의 구성요소에는 '제 2'라는 첨부어를 부가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리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무선 통신부(110)가 착신호를 수신하면(S701), 제 1 제어부(180)는 착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702). 구체적으로, 제 1 제어부(180)는 착신호의 코드를 해석하여, 착신호로부터 서비스 레코드를 파싱하고, 파싱된 서비스 레코드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식별 정보는, 발신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제 1 메모리(16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발신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을 검색할 수 있다(S703). 이후, 제 1 제어부(180)는 검색 결과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704).
구체적으로, 발신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이 검색되면, 제 1 제어부(180)는 검색된 인물의 이름을 TTS (Text to Speech) 변환한 뒤, TTS 변환된 인물의 이름을 기초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제어부(180)는 링톤(Ringtone)을 배경으로, TTS 변환된 인물의 이름을 믹싱함으로써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링톤은 뮤트 상태로 두고 TTS 변환된 인물의 이름만으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만약, 전화번호부에서 발신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 1 제어부(180)는 TTS 변환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제어부(180)는 링톤을 배경으로 TTS 변환된 인물의 이름을 믹싱함으로써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링톤은 뮤트 상태로 두고 TTS 변환된 인물의 이름만으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가 아니라면, 전화번호만으로 발신인을 인식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전화번호부에서 발신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 1 제어부(180)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TTS 변환하는 과정을 생략한 채, 링톤만으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음향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이벤트 알림 정보와 함께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무선 리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705). 여기서, 이벤트 알림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가 착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벤트 알림 정보와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이어폰(22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6). 다만, 사용자가 무선 리시버(200)의 이어폰(220)을 착용하고 있지 상태라면, 사용자는 전화를 건 발신인을 인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제 2 제어부(270)는 한쌍의 이어폰(220) 중 적어도 하나가 귀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비로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리기 위해 진동 등의 피드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벤트 알림 정보에는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제어부(270)는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진동 패턴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어폰(220)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신인이 전화번호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추가로, 이벤트 알림 정보에는 발신인이 즐겨찾기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제어부(270)는 발신인이 즐겨찾기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진동 패턴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의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발신인이 즐겨 찾기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가 가변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Jane 이란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Jane'이란 소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링톤 또는 발신인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발신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다면, 이어폰(220)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에는 전화를 건 발신인의 이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전화를 건 발신인을 확인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전화가 걸려온 것을 인지하면, 사용자는 착신호 처리를 위해, 적절한 사용자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707), 제 2 제어부(270)는 착신호 처리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708).
이때, 착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무선 리시버(200)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착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통화 버튼을 푸쉬하는 것이고,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화 버튼을 푸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착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스처 입력의 형태를 띨 수도 있다. 일예로, 도 6a 및 도 6j를 통해 설명한 어느 하나의 제스처는 착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한쌍의 이어폰(220)을 귀에 착용하는 제스처가 착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되고, 본체부(330)의 한쪽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 또는 착용 중인 이어폰(220)을 착용 해제 하는 제스처가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착신호에 응답하거나, 착신호를 거절할 수 있다(S709).
착신호에 응답하는 경우, 제 1 제어부(180)는 통화 도중 발생하는 발신인의 음성을 무선 리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귀에 갖다 대지 않고서도, 무선 리시버(200)의 이어폰(220)을 이용해 발신인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 2 제어부(270)는 제 2 마이크(2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240)를 입가에 갖다 대지 않고서도, 발신인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제 2 제어부(270)는 착신호 응답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마이크(240)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착신호를 거절하는 경우, 제 1 제어부(180)는 발신인에게 상용구로 설정된 메시지를 발송할 수도 있다. 이는 발신인에게 전화를 받지 못하는 사유를 알려주기 위함이다.
제 1 제어부(180)는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상용구로 설정된 메시지의 발송이 요청되는 경우에 한하여, 착신호를 거절하면서 발신인에게 상용구로 설정된 메시지를 발송할 수도 있다.
제 2 제어부(270)는 무선 리시버(200)가 가하여지는 제스처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 상용구로 설정된 메시지의 발송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본체부(330)의 한쪽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가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경우, 제 2 제어부(270)는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의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양 본체부(330) 중 다른 하나의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착신호를 거절하면서 발신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메모리(160)에 복수개의 상용구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무선 리시버(200)에 가하여지는 제스처에 따라, 복수개의 상용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2 제어부(270)는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 가하여지는 태핑 횟수에 따라, 상용구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제어부(270)는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가 1회 터치된다면, 이동 단말기(100)로 착신호를 거절하면서, 1번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가 2회 터치된다면, 이동 단말기(100)로 착신호를 거절하면서, 2번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술한 제스처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리버튼의 조작,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무선 리시버(200)는 메시지를 전송한 발송인의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리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무선 통신부(110)가 메시지를 수신하면(S901), 제 1 제어부(180)는 메시지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한 발송인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902).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예를 들어, SMS, LMS 및 MMS 등),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이메일(E-mail)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송인 식별 정보는 발송인의 전화번호, 발송인의 ID(예컨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발송인의 ID) 및 이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로부터 발송자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제 1 메모리(16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발송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을 검색할 수 있다(S903). 이후, 제 1 제어부(180)는 검색 결과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904).
구체적으로, 발송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이 검색되면, 제 1 제어부(180)는 검색된 인물의 이름을 TTS (Text to Speech) 변환한 뒤, TTS 변환된 인물의 이름 및 메시지 내용을 기초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전화번호부에서 발송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인물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 1 제어부(180)는 TTS 변환된 발송자의 전화번호 및 메시지 내용을 합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이벤트 알림 정보와 함께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무선 리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905). 여기서, 이벤트 알림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가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벤트 알림 정보와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이어폰(22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06). 이때, 제 2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이 사용자 귀에 꽂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가 메시지를 수신했음을 알리기 위해 진동 등의 피드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이벤트 알림 정보에는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제어부(270)는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진동 패턴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어폰(220)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송인이 전화번호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추가로, 이벤트 알림 정보에는 발송인이 즐겨찾기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제어부(270)는 발송인이 즐겨찾기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진동 패턴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의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발송인이 즐겨 찾기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이벤트 알림 정보에는 메시지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수신한 메시지 타입별로 상이한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이메일이 수신된 경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및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각기 다른 패턴의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가 가변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Jane 이란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에는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Jane'이란 소리와 메시지가 수신된 시각 및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발송인의 전화번호와 메시지가 수신된 시각 및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발송인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다면, 이어폰(220)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에는 메시지를 발송한 발송인의 이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발송인을 확인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메시지의 삭제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 메시지를 스팸 등록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 및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답신으로 기 설정된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던 한쌍의 이어폰(220) 중 어느 한쪽을 착용해제 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 2 제어부(270)는 메시지를 삭제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던 한쌍의 이어폰(220)을 모두 착용 해제 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메시지를 발송한 발송인의 전화번호를 스팸 번호로 등록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로, 본체부(330)의 한쪽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메시지를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답신으로 기 설정된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160)에 복수개의 상용구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무선 리시버(200)에 가하여지는 제스처에 따라, 복수개의 사용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2 제어부(270)는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의 한쪽 끝에 가하여지는 태핑 횟수에 따라, 상용구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제어부(270)는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가 1회 터치된다면, 이동 단말기(100)로 1번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양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가 2회 터치된다면, 이동 단말기(100)로 2번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의 삭제, 스팸 및 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술한 제스처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리버튼의 조작,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형태를 띌 수도 있다.
도 7 및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착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서는 발신인 또는 발송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리시버(2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구체적으로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전화를 건 발신인이나 메시지를 전송한 발송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무선 리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 걸려온 전화를 받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무선 리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전화를 걸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실시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S1101),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102). 여기서,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은 본체부(330)에 노출된 버튼을 푸쉬하는 것(예컨대, 통화 버튼을 푸쉬)일 수도 있고,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일 수도 있다.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3).
다이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를 조작함으로써, 전화를 걸 상대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무선 리시버(200)에는 0~9까지의 숫자 키패드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무선 리시버(200)를 이용하여 7~8 자리 이상의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전화를 걸 상대방의 단축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단축 번호를 증가 혹은 감소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104), 제 2 제어부(270)는 단축 번호를 증가 혹은 감소 시키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05).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제어 명령에 따라, 단축 번호를 증가 또는 감소 시키면서, 현재 단축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6). 단축 번호가 변경되면, 제 1 제어부(180)는 변경된 단축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예컨대, 상대방의 이름)을 TTS 변환하고, TTS 변환된 상대방의 정보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107). 제 1 제어부(180)는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무선 리시버(200)에 전송하고(S1108), 제 2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을 통해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1109).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어폰(220)을 착용하고 있다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현재 선택되어 있는 상대방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110), 제 2 제어부(270)는 통화 연결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11).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현재 단축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S1112).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무선 리시버(20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무선 리시버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 12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무선 리시버(200)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푸쉬하는 것(예컨대, 통화 버튼을 푸쉬)일 수도 있고, 도 6a 내지 도 6j을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일 수도 있다.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도 12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다이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를 조작함으로써, 단축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2b의 (a) 및 (b)에서와 같이, 왼쪽 본체부(330) 및 오른쪽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를 바깥쪽(또는 안쪽)으로 당기는 제스처는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는 사용자 입력이고, 다른 하나를 바깥쪽(또는 안쪽)으로 당기는 제스처는 단축 번호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단축 번호를 증가 혹은 감소시키고자 하는 제스처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현재 선택된 단축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다이얼 패드에 어떠한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던 중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12b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무선 리시버(200)는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예컨대,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이름)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던 중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제스처가 더 입력된다면, 단축 번호 2번에 해당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무선 리시버(200)는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예컨대,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이름)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중 단축 번호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도 12b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가장 마지막 단축 번호(도 12b의 (b)에서는 10번으로 예시됨)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무선 리시버(200)는 마지막 단축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예컨대,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이름)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축 번호 10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던 중 단축 번호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제스처가 입력된다면, 단축 번호 9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b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바깥쪽(또는 안쪽)으로 당기는 제스처가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는 사용자 입력으로 할당되고, 당해 본체부(330)를 안쪽(또는 바깥쪽)으로 당기는 제스처가 단축 번호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입력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왼쪽 본체부(330) 및 오른쪽 본체부(330) 중 어느 하나를 비트는 제스처가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는 사용자 입력으로 할당되고, 다른 한쪽의 본체부(330)를 비트는 제스처가 단축 번호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입력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제 1 방향으로 비트는 제스처가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할당되고, 당해 본체부(330)를 제 2 방향으로 비트는 제스처가 단축 번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비단 제스처 입력뿐 아니라, 무선 리시버(2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의 조작이 단축 번호를 증가시키는 사용자 입력 및 단축 번호를 감소 시키는 사용자 입력으로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선택된 단축 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일예로, 도 12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중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시되면, 제 1 제어부(180)는 단축 번호 1번에 해당하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연결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 12a의 (b)에 도시되 예에서와 같이, 무선 리시버(200)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푸쉬하는 것(예컨대, 통화 버튼을 푸쉬)일 수도 있고, 도 6a 내지 도 6j을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리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특정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무선 리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301), 제 2 제어부(270)는 제 2 제어부(270)는 무선 리시버(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청취하기 위한 정보 청취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2). 여기서, 무선 리시버(200)를 정보 청취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은 무선 리시버(200)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푸쉬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도 6a 내지 도 6j을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일 수도 있다.
무선 리시버(200)가 정보 청취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청취하고자 하는 정보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취하고자 하는 정보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303), 제 2 제어부(270)는 선택된 정보의 타입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04).
여기서, 무선 리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 요청할 수 있는 정보의 타입은 날씨 정보, 시간 정보, 미확인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확인 이벤트란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메시지 또는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부재 중 전화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특정 타입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무선 리시버(200)에 구비된 물리 버튼들을 조작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의 형태 별 각기 다른 타입의 정보 제공을 요청하기 위해, 제 2 메모리(260)에는 사용자 입력의 형태 별 요청할 정보의 종류가 매칭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무선 리시버(200)가 요청하는 정보를 TTS 변환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S1305),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무선 리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306).
구체적으로, 무선 리시버(200)가 요청한 정보가 날씨 정보일 경우, TTS 변환된 음향 데이터에는 현재 날씨에 대한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 또는 미래의 날씨에 대한 음성 정보(예컨대, 다음날의 날씨 또는 금주의 날씨에 대한 음성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가 요청한 정보가 시간 정보일 경우, TTS 변환된 음향 데이터에는 현재 시간에 대한 음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가 요청한 정보가 미확인 이벤트 정보일 경우, TTS 변환된 음향 데이터에는 미확인 이벤트의 개수(예컨대, 부재중 통화 수 또는 미확인 메시지 개수) 및 미확인 이벤트를 발생시킨 상대방에 대한 정보(예컨대, 부재중 통화를 건 발신인 또는 미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발송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을 통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7).
만약, 특정 타입의 정보와 연관된 추가 정보가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특정 타입의 정보를 청취한 뒤, 추가 정보를 추가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308), 제 2 제어부(270)는 추가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09).
특정 타입의 정보가 시간 정보인 경우, 시간 정보에 부가될 수 있는 부가 정보는 현재 날짜 혹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설정된 일정 정보 또는 알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타입의 정보가 미확인 메시지 정보인 경우, 미확인 메시지 정보에 부가될 수 있는 부가 정보는 미확인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특정 타입에 부가되는 추가 정보를 TTS 변환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S1310),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무선 리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311).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을 통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12).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특정 타입의 정보가 출력되는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무선 리시버를 통해 특정 타입의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무선 리시버(200)가 정보 청취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4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두번 태핑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무선 리시버(200)를 정보 청취 모드로 설정하고, 특정 타입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후, 특정 타입의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선택된 타입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정보 타입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2 제어부(270)는 수신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4b는 날씨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의 (a)에서는 좌측 본체부(330) 및 우측 본체부(330)를 안쪽으로 당기는 제스처 입력이 날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날씨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날씨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4b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c는 시간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의 (a)에서는 좌측 본체부(330)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제스처 입력이 시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시간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날씨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4c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d는 미확인 이벤트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d의 (a)에서는 양 본체부(330)의 끝을 터치하는 제스처 입력이 시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미확인 이벤트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미확인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4d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가 정보 청취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정보 청취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정보 청취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4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두번 태핑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무선 리시버(200)가 정보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a의 (a) 및 (b)에서는 정보 청취 모드에 진입하거나 벗어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두번 태핑하는 제스처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것이 정보 청취 모드의 온오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특정 타입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는 특정 타입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정보 청취 모드 하에서 무선 리시버(200)가 특정 타입의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 뒤, 사용자는 특정 타입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타입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추가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5a 및 도 15b는 시간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간 정보의 출력이 완료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을 통해 추가 정보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 1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시간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5a에서는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아래쪽으로 두번 당기는 제스처가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후, 일정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추가 정보는 현재 날짜에 설정되어 있는 일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면, 제 2 제어부(270)는 추가 정보를 요청하지 않을 것이다. 도 15b에서는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바깥쪽으로 두번 당기는 제스처가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16a 및 도 16b는 미확인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미확인 정보의 출력이 완료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어폰(220)을 통해 추가 정보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 1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미확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예컨대, 미확인 메시지 내용)에 대한 음향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6a에서는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아래쪽으로 두번 당기는 제스처가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후, 미확인 메시지 내용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추가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면, 제 2 제어부(270)는 추가 정보를 요청하지 않을 것이다. 도 16b에서는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바깥쪽으로 두번 당기는 제스처가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미확인 메시지가 복수개인 경우, 제 2 제어부(270)는 복수개의 메시지 내용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력할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7은 사용자에 의해 출력할 메시지 내용이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확인 메시지의 수는 총 5개인 것으로 가정한다.
첫번째 미확인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 도 1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다음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서는 두번째 미확인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두번째 미확인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 도 1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전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서는 첫번째 미확인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7의 (a) 및 (b)에서는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바깥쪽으로 당기는 제스처는 다음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고, 다른 한쪽의 본체부(330)를 바깥쪽으로 당기는 제스처는 이전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물리 버튼의 조작,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또는 이를 응용한 제스처 입력이 다음 메시지 혹은 이전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서는 특정 타입의 정보가 출력된 이후, 특정 타입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에 한하여, 무선 리시버(200)가 추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시된 예와 달리,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이에 의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가 생략된 채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리시버(200)는 특정 타입의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 뒤, 곧이어 특정 타입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3에서는 정보 청취 모드에 진입한 뒤,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 요청할 특정 정보의 타입이 결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시된 예와 달리, 제 2 제어부(270)는 정보 청취 모드에 진입하면, 곧바로, 특정 타입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청취 모드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어느 한쪽의 본체부(330)를 두번 태핑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서는 날씨 정보, 시간 정보 등 특정 타입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곧바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음악 또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파일의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가 착신호를 수신하게 된다면, 멀티미디어 파일의 음향 데이터의 출력은 중단되고, 착신호 수신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음향 데이터가 출력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청취하고 있던 멀티미디어 파일의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중단되어, 멀티미디어 파일을 감상 중인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제 2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감상 도중, 이어폰(220)을 빼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히 착신호를 거절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이어폰(220) 중 어느 한쪽을 빼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과,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재개하는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생성된 음향 데이터의 출력은 중단되고, 멀티미디어 파일의 음향 데이터의 출력은 재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한쌍의 이어폰(220) 모두를 빼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과,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단하는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생성된 음향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파일의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모두 중단될 것이다.
통화 도중 무선 리시버(200)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통화 내용을 녹음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8은 무선 리시버에 통화 내용을 녹음할 것을 지시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화 도중,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플렉서블부를 터치하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통화 내용의 녹음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통화 내용의 녹음을 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제어부(180)는 무선 리시버(200)로 통화 내용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음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통화 녹음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플렉서블부를 터치하는 제스처 입력이 재 감지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 녹음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녹음을 중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제어부(180)는 무선 리시버(200)로 녹음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음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녹음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9a 및 도 19b은 무선 리시버에 가하여지는 제스처 입력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에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도 19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알람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a의 (a)에서는 플렉서블부를 터치하는 것이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무선 리시버(200)의 외면에 노출된 물리 버튼의 조작,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제스처 입력이 새로운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알람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위 시간 간격으로 알람 시간을 증가 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9b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의 고정부와 플렉서블부 사이의 경계를 터치하는 것은 알람 시간을 단위 시간(예컨대, 30분)만큼 증가 시키기 위한 것이고, 도 19b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다른 한쪽의 고정부와 플렉서블부 사이의 경계를 터치하는 것은 알림 시간을 단위 시간만큼 감소 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후, 도 19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알람 설정을 완료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알람 설정을 완료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 도 19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현재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새로운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9a의 (b)에서는 플렉서블부를 터치하는 것이 알람 설정을 종료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앞서 도 6a 내지 도 6j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제스처 입력 중 하나 또는 이를 응용한 제스처 입력이 알람 설정을 종료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리시버(200)에 가하여지는 제스처 입력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이 생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무선 리시버(200)의 제 2 마이크(240)로 음성 명령을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20은 음성 명령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 이어폰(220)을 다른 쪽 본체부(330)의 수납 홈(336)에 수납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70)는 제 2 마이크(24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제 2 제어부(270)는 제 2 마이크(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리시버(200)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제 1 제어부(18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음성이 '통화' 였다면, 통화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 이어폰(220)이 다른 쪽 본체부(330)의 수납 홈(336)에서 이탈한 경우, 제 2 제어부는 제 2 마이크(240)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 및 무선 리시버(2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200 : 무선 리시버
210 : 근거리 통신부
220 : 이어폰
230 : 사용자 입력부
240 : 마이크
250 : 센싱부
260 : 메모리
270 : 제어부

Claims (16)

  1. 이어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음향 데이터가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리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정보는 상기 발신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 정보는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착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진동의 출력 패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시버는 상기 무선 리시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 1 음향 데이터가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발송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음향 데이터가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발송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송자 정보는 상기 발송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발송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송자 정보는 상기 발송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상기 진동의 출력 패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시버는 상기 무선 리시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소정의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보에 대한 제 3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이어폰을 통해 상기 제 3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의 유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요청할 상기 정보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소정의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음향 데이터는, 날씨 정보, 시간 정보 및 미확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의 착용을 해제하는 제스처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착신호를 거절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에 응답하여, 통화가 진행되는 동안,
    기 설정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통화를 녹음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시버.
  16. 이동 단말기가 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어폰을 통해 상기 제 1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리시버의 제어 방법.
KR1020140020730A 2014-02-21 2014-02-21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730A KR102102647B1 (ko) 2014-02-21 2014-02-21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4/285,449 US9420082B2 (en) 2014-02-21 2014-05-22 Wireless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4188366.0A EP2911374B1 (en) 2014-02-21 2014-10-09 Wireless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566564.1A CN104869223B (zh) 2014-02-21 2014-10-22 无线接收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730A KR102102647B1 (ko) 2014-02-21 2014-02-21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56A true KR20150099156A (ko) 2015-08-31
KR102102647B1 KR102102647B1 (ko) 2020-04-21

Family

ID=5175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730A KR102102647B1 (ko) 2014-02-21 2014-02-21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0082B2 (ko)
EP (1) EP2911374B1 (ko)
KR (1) KR102102647B1 (ko)
CN (1) CN1048692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55B1 (ko) * 2015-11-03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29B1 (ko) * 2014-07-28 2016-01-28 정시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CN115700434A (zh) 2014-09-02 2023-02-07 苹果公司 用于可变触觉输出的语义框架
CN104660494B (zh) * 2015-02-11 2018-11-27 深圳市奔跑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
TW201709161A (zh) * 2015-08-28 2017-03-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種適用於電腦之警示裝置
US10175753B2 (en) * 2015-10-20 2019-01-08 Bragi GmbH Second screen devices utilizing data from ear worn device system and method
DE202016007681U1 (de) * 2016-01-04 2017-03-22 Lg Electronics Inc. Tragbares Tongerät
DK179657B1 (en) 2016-06-12 2019-03-1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DK179823B1 (en) 2016-06-12 2019-07-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JP6719988B2 (ja) * 2016-06-14 2020-07-0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TW201806371A (zh) * 2016-08-03 2018-02-16 絡達科技股份有限公司 行動電子裝置與其操作方法
DK201670720A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Generating Tactile Outputs
DK179278B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haptic mixing
EP3519892B1 (en) 2016-09-27 2020-12-16 Snap Inc. Eyewear device mode indication
JP6843592B2 (ja) * 2016-11-11 2021-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話機
EP3349366B1 (en) * 2017-01-17 2020-10-21 Nxp B.V.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ssigning master/slave roles within a distributed antenn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DE102017203611A1 (de) 2017-03-06 2018-09-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endgerät, Fortbewegungsmittel, Server und Verfahren zum Herbeirufen eines Fortbewegungsmittels
WO2018186832A1 (en) * 2017-04-04 2018-10-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eadsets to activate digital assistants
DK201770372A1 (en) 2017-05-16 2019-01-08 Apple Inc. TACTILE FEEDBACK FOR LOCKED DEVICE USER INTERFACES
SE543016C2 (en) * 2017-09-14 2020-09-29 Zound Industries Int Ab A detachable knob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loudspeaker
CN109729461A (zh) * 2017-10-27 2019-05-07 北京金锐德路科技有限公司 脖戴式语音交互耳机
CN110475176B (zh) * 2019-08-28 2020-12-08 北京纽曼腾飞科技有限公司 蓝牙对耳耳机的按键控制方法
CN111262602B (zh) * 2020-01-16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话请求的处理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05411B (zh) * 2020-05-11 2021-09-03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防脱落效果好的运动型蓝牙耳机
CN111935575B (zh) * 2020-10-12 2021-02-0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声音播放结构、声音播放方法和头戴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301A (ko) * 2004-03-30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무선 이어셋
JP2007519342A (ja) * 2004-01-09 2007-07-12 コ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ハンズフリー・パーソナル通信デバイス
US20090022294A1 (en) * 2007-05-17 2009-01-22 Personics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quiet call
US20130217370A1 (en) * 2012-02-21 2013-08-22 Rajhon Gerald Protective Helmet with Voice-Activated Telephonic and Route-Guidanc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3513A1 (en) 2004-09-10 2006-08-17 Milan Slamka Audio caller ID for mobile telephone headsets
JP4550636B2 (ja) * 2005-03-18 2010-09-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登録方法及び登録プログラム
KR100965702B1 (ko) * 2006-02-07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의 epg 정보 제공 장치및 방법
US20080130910A1 (en) 2006-11-30 2008-06-05 Motorola, Inc. Gestural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for an accessor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569214A (zh) * 2006-12-22 2009-10-28 摩托罗拉公司 用于无线一键通的数据捕获的方法和设备
US7805171B2 (en) 2007-03-06 2010-09-28 Motorola Mobility, Inc. Ear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8655004B2 (en) * 2007-10-16 2014-02-18 Apple Inc. Sports monitoring system for headphones, earbuds and/or headsets
US20090113005A1 (en) 2007-10-31 2009-04-30 Justin Gregg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re-communications interactions
CN101686573A (zh) * 2008-09-24 2010-03-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及其控制方法和耳机
US8369779B2 (en) 2009-10-21 2013-02-05 Plantronics, Inc. Device wearing status determination using RSSI
KR20120024247A (ko) * 2010-09-06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이동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이동 장치
US20120196540A1 (en) 2011-02-02 2012-08-0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bluetooth-enabled headset with a multitouch interface
US8897757B2 (en) * 2011-04-27 2014-11-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a call on a communication device
US9020476B2 (en) * 2011-09-12 2015-04-28 Leipzig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are and monitoring using a mobile device
US9247525B2 (en) * 2012-03-16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US9807495B2 (en) * 2013-02-25 2017-10-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audio accessories for computing devices
US9357361B2 (en) * 2013-08-25 2016-05-31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safety for hands free SMS capability in a moving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9342A (ja) * 2004-01-09 2007-07-12 コ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ハンズフリー・パーソナル通信デバイス
KR20050096301A (ko) * 2004-03-30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무선 이어셋
US20090022294A1 (en) * 2007-05-17 2009-01-22 Personics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quiet call
US20130217370A1 (en) * 2012-02-21 2013-08-22 Rajhon Gerald Protective Helmet with Voice-Activated Telephonic and Route-Guidance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55B1 (ko) * 2015-11-03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69223A (zh) 2015-08-26
US9420082B2 (en) 2016-08-16
EP2911374A3 (en) 2015-12-02
EP2911374A2 (en) 2015-08-26
EP2911374B1 (en) 2020-01-22
US20150244848A1 (en) 2015-08-27
CN104869223B (zh) 2019-09-10
KR102102647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647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0217475B2 (en) Heads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180405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4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7654B1 (ko)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KR201600655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561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2206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헤드셋
KR201501122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2751A (ko)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KR101954774B1 (ko) 문자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27606A (ko)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087151A (zh) 便携式装置的远程控制系统和方法
KR2016000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537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8006165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1793A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5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6830A (ko)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67076B2 (en) Ring accessory
KR20160023212A (ko)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13407B2 (en) Ring accessory
KR2016000651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226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55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