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654B1 -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654B1
KR102087654B1 KR1020130044350A KR20130044350A KR102087654B1 KR 102087654 B1 KR102087654 B1 KR 102087654B1 KR 1020130044350 A KR1020130044350 A KR 1020130044350A KR 20130044350 A KR20130044350 A KR 20130044350A KR 102087654 B1 KR102087654 B1 KR 10208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receiver
sound
sig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153A (ko
Inventor
조준래
강장훈
이병희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654B1/ko
Priority to US14/258,539 priority patent/US9232035B2/en
Publication of KR2014012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는, 수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소통하는 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RECEIVED SOUND}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수화음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화음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통화를 할 때, 리시버에서 소리를 재생하여 수화자에게 통화 내용을 전달한다.
또는, 사용자는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통화할 수도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수화음을 외부로 유출하여, 통화 내용에 대한 개인 보안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조용한 공공 장소 환경에서 사용자는 원하지 않게 타인에게 통화 내용을 누출하게 되며, 타인은 원하지 않게 통화 내용을 듣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리시버에서 재생되는 소리가 클수록 수화자가 통화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유리하나, 수화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소리의 크기도 커진다.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할 경우, 수화음이 유출되지 않으나, 추가적인 장치(예, 이어폰)가 필요하며, 수화자가 통화 도중 외부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문제점들 및/또는 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경감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통화시에 수화자 주변의 사람들이 수화음을 잘 들을 수 없도록 개선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 추가 없이, 수화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는, 수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소통하는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는, 제1 수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와;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 또는 제2 수화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가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에서 상기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을 출력하고, 수화음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수화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시 외부로 유출되는 수화음 음량이 감소하고, 별도의 장치(이어폰, 블루투스 헤드셋) 사용 없이 수화 프라이버시(Privacy)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전자 장치의 후면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후면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어폰 연결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
도 17은 수화음들의 상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리시버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폰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30) 및 방송통신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50)은 전자 장치(100)의 주 용도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카메라(151, 152)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한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해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촬영을 위해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리시버(163a),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 또는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유닛(168),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가능한 사용자 입력 수단이 어느 하나의 객체를 터치하거나, 그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터치 스크린(19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한다.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은 객체를 직접 터치하는 직접 터치 입력과, 미리 설정된 인식 거리 이내로 객체에 접근하지만 객체를 직접 터치하지 않는 간접 터치 입력인 호버링 입력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유닛(168)을 터치 스크린(19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입력 유닛(168)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외에, 카메라 모듈(150)을 통한 제스처 입력, 버튼(161) 또는 키패드(166)를 통한 스위치/버튼 입력, 마이크(162)를 통한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또는 아이템(또는 기능 아이템)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메뉴, 문서, 위젯, 사진, 동영상, 이메일,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 실행, 삭제, 취소, 저장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템은 버튼, 아이콘(또는 단축 아이콘), 썸네일 이미지 또는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폴더를 포괄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아이템은 이미지, 텍스트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축 아이콘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전자 장치(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통화, 연락처, 메뉴 등의 빠른 실행을 위해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로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터치 스크린(190)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아이템에 대해,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진동 패턴 자체, 진동 패턴의 식별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순히 진동 생성의 요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과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해서 제어부(110)는 햅틱 패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또는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 리시버(163a),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1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리시버(163a)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수화음 신호,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리시버(163a)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리시버(163a)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1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164)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전자 장치(100)과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은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 삽입되어 상기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전자 장치(100)의 펜 삽입부의 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펜 삽입부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전자 장치(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157) 등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전자 장치(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기반의 화면 스크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과의 직접 접촉 없이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검출할 수 있는 인식 거리(예를 들어, 1cm) 이내에 사용자 입력 수단이 위치하는 경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 또는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직접 터치 이벤트와, 간접 터치 이벤트(즉,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직접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수동형 제1 사용자 입력 수단(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 등)에 의한 입력(즉, 핑거 입력)과 능동형 제2 사용자 입력 수단인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즉, 펜 입력)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핑거 입력과 펜 입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에 있어서, 수동형과 능동형의 구분은 전자파, 전자기파 등의 에너지를 생성 또는 유도하여 출력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들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은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과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190)은 메뉴 버튼(161b), 뒤로 가기 버튼(161c) 등과 같은 터치 키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핑거 입력 또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의 핑거 입력은 이러한 터치 키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직접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1) 중앙에는 터치 스크린(190)이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1)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191-4)를 선택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아래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뒤로 가기 버튼(161c) 등과 같은 터치 키들, 기계식 버튼들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 키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101)의 상측에는 리시버(163a), 제1 카메라(151), 조도 센서(170a), 근접 센서(170b) 및 제1 거리/생체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3)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 및 제2 거리/생체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102)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161d),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을 갖는 볼륨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전자 장치(100)의 안테나 삽입부의 홀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의 제1 홀(167a)에는 이어폰 잭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이 장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 내 다른 구성 소자들을 제어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는 리시버(163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40)가 마련되어 있고, 리시버(163a)는 수용부(240) 내에 안착된다. 리시버(163a)는 원형의 리시버 본체(210), 리시버 케이스(220) 및 수화음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로부(230)는 FPCB, 와이어(wire), 컨택(contact) 등일 수 있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리시버(163a)는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 수화음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후면 수화음을 생성한다. 이때, 전면 수화음은 사용자의 얼굴 등으로부터 반사되어 전자 장치의 외부(예를 들어, 후방)를 향하게 되며, 이러한 반사된 전면 수화음(즉, 누출된 수화음)은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에게 들리게 된다. 한편, 수용부(240)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서 일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후면 수화음은 수용부(240)의 개방된 부분들을 통해 분산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이러한 후면 수화음을 이용하여 누출된 수화음을 상쇄 소멸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후면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는 리시버(163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40)가 마련되어 있고, 리시버(163a)는 수용부(240a) 내에 안착된다. 리시버(163a)는 원형의 리시버 본체(210), 리시버 케이스(220) 및 수화음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후면 수화음(255)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260, 261, 262)을 포함하며, 수용부(240a)는 후면 수화음(255)을 상기 홀(260, 261, 262)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리시버(163a)는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 수화음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후면 수화음(255)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얼굴 등으로부터 반사되어 누출된 수화음은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를 들어, 후방)를 향하게 된다. 한편, 후면 수화음(255)은 수용부(240a)의 가이드에 의해 유도되어 전자 장치(100)의 후면 케이스 홀(260, 261, 262)을 통해 출력되며, 누출된 수화음은 이러한 후면 수화음(255)과 상쇄 간섭하여 소멸된다. 본 예에서, 3개의 후면 케이스 홀들(260, 261, 262)이 예시되어 있으나, 수용부(240a)와 소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나 또는 복수의 홀이 전자 장치(100)의 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DMB 안테나(141a)를 위한 전자 장치(100)의 안테나 삽입부의 홀, 입력 유닛(168)을 위한 전자 장치(100)의 펜 삽입부의 홀, 이어폰 연결잭(167)의 홀, 카메라(152) 수용부의 홀, 케이스 홀(260, 261, 262) 등 전자 장치(100)에 형성된 외부 홀(즉, 외부에 노출된 홀)은 수용부(240a)와 소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리시버(163a)는 안테나 삽입부, 펜 삽입부, 이어폰 연결잭(167), 카메라(152) 수용부의 홀, 케이스 홀(260, 261, 262) 등의 외부 홀을 통해 외부로 수화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리시버(163a)로부터 전방으로 출력된 전면 수화음(270)은 사용자의 얼굴 등으로부터 반사되어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를 들어, 후방)를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누출된 수화음(270)과 반대 위상을 갖는 리시버(163a)의 후면 수화음(271)을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누출된 수화음(270)과 후면 수화음(271)의 상쇄 간섭을 통해, 누출된 수화음(270)을 소멸시키거나 감쇄시킨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리시버(163a)로부터 전방으로 출력된 전면 수화음(270)은 사용자의 얼굴 등으로부터 반사되어 전자 장치(100)의 외부를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는, 누출된 수화음(270)과 반대 위상을 갖는 스피커(163)의 후면 수화음(272)을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누출된 수화음(270)과 후면 수화음(272)의 상쇄 간섭을 통해, 누출된 수화음(270)을 소멸시키거나 감쇄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수용부(240a)는 후면 수화음(273)을 홀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31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 케이스로부터 후면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또는 구조물로 구성되며, 이러한 가이드(310)는 리시버 본체(210)의 둘레에 개방된 부분이 없도록 리시버 본체(210)를 둘러싸거나, 덕트와 같이 홀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의 측면은 가이드(310)에 의해 막혀 있고, 이러한 통로의 상면은 후면 케이스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가이드(310)의 통로 내로 유입된 후면 수화음(273)은 가이드(310)를 따라 홀로 유도된 후, 홀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 케이스에는 리시버(163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40)가 마련되어 있고, 리시버(163a)는 수용부(240) 내에 안착된다. 리시버(163a)는 원형의 리시버 본체(210), 리시버 케이스(220) 및 수화음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40)의 회로부(230) 측 일단은 이어폰 연결잭(167)에 의해 막혀 있다.
도 8의 (b)를 참고하면, 리시버(163a)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전자 장치(100)의 후방)의 후면 수화음(274)을 생성한다. 수용부(240)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서 일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후면 수화음(274)은 수용부(240)의 개방된 부분들을 통해 분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를 참고하면, 수용부(240a)는 그 개방된 부분들을 막기 위한 가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가이드(310)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31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 케이스(101b)로부터 후면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리브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가이드(310)는 리시버(163a)의 둘레에 개방된 부분이 없도록 수용부(240a)의 다른 구조물과 함께 리시버(163a)를 둘러싸면서 덕트와 같은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통로의 측면은 가이드(310)에 의해 막혀 있고, 이러한 통로의 상면은 후면 케이스에 의해 막혀 있으며, 이러한 통로의 끝단은 이어폰 연결잭(167)에 의해 막혀 있다.
도 10은 이어폰 연결잭(167)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어폰 연결잭(167)은 수용부(240a)와 접하는 측면에 제1 홀(167a)과 연결되어 소통하는 제2 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310)의 통로 내로 유입된 후면 수화음(275)은 가이드(310)를 따라 이어폰 연결잭(167)의 제2 홀(320)로 유도된 후, 제2 홀(320) 및 제1 홀(167a)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후면 수화음 가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310a)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수화음 가이드(310a)와 형태에서만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수용부(240a)는 그 개방된 부분들을 막기 위한 가이드(31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가이드(310a)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31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 케이스(101b)로부터 후면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리브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가이드(310a)는 리시버(163a)의 둘레에 개방된 부분이 없도록 수용부(240a)의 다른 부분과 함께 리시버(163a)를 둘러싸면서 덕트와 같은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이드(310a)는 리시버(163a)의 적어도 일 측면(본 예에서는 리시버(163a)의 양측면)을 막을 뿐만 아니라, 이어폰 연결잭(167)의 적어도 일 측면을 막는다.
이러한 통로의 측면은 가이드(310)에 의해 막혀 있고, 이러한 통로의 상면은 후면 케이스(103a)에 의해 막혀 있으며, 이러한 통로의 끝단은 이어폰 연결잭(167)에 의해 막혀 있다. 후면 케이스(103a)는 이어폰 연결잭(167)의 제1 홀(167a)과 소통하는 제3 홀(410)과, 제2 카메라(152)의 노출을 위한 제4 홀(420)과, 플래시(153)의 노출을 위한 제5 홀(4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310)의 통로 내로 유입된 후면 수화음(275)은 가이드(310)를 따라 이어폰 연결잭(167)의 제2 홀(320)로 유도된 후, 제2 홀(320) 및 제1 홀(167a)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어폰 연결잭(167b)을 도시한다. 이어폰 연결잭(167b)은 수용부(240a)와 접하는 측면에 홀을 구비하지 않지만, 그 후면 또는 전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수화음은 이러한 홀(330, 34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 소자(즉, 모듈, 지연부, 스위치, 증폭부 또는 코덱)는 소프트웨어, 회로 또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 소자의 위치는 회로와 기능 최적 처리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소자들의 통합이 가능하다.
제어부(110a)는 리시버(163a)의 출력 음향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리시버 제어 모듈(510)과, 스피커(163)의 출력 음향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 제어 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수화음 신호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환경설정에 따른 자동 선택에 따라 리시버(163a) 또는 스피커(163)로 출력된다.
리시버 제어 모듈(510)은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및 지연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수화음 신호의 음량(또는 세기나 크기), 주파수 특성, 노이즈 특성 등을 조절한다. 이러한 수화음 신호의 음량 조절은 증폭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주파수 특성이나 노이즈 특성의 조절은 필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지연부(514)는 리시버(163a)를 통해 출력되는 수화음과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되는 위상 반전 수화음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즉, 동기화되도록)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로부터 입력된 수화음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여 출력한다. 지연부(514)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스피커 제어 모듈(520)은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 MP3/벨 음질 최적화 모듈(514), 스위치(516) 및 증폭부(518)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수화음 신호의 음량(또는 세기나 크기), 주파수 특성, 노이즈 특성 등을 조절한다.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에서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과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에는 동일한 수화음 신호가 입력되고,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제1 및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513) 중의 하나에만 수화음 신호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은 차단 주파수가 2KHz인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및/또는 튜닝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수화음 신호의 음량(또는 세기나 크기), 주파수 특성, 노이즈 특성 등을 조절한다.
MP3/벨 음질 최적화 모듈(514)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MP3 신호 또는 벨 신호의 음량(또는 세기나 크기), 주파수 특성, 노이즈 특성 등을 조절한다.
스위치(516)는 제어부(110a)에 제어에 따라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 및 MP3/벨 음질 최적화 모듈(514) 중의 하나와 연결된다. 즉, 스위치(516)는 리시버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에서는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과 연결되고, 스피커 수화음 출력 모드에서는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과 연결되고, MP3/벨 출력 모드에서는 MP3/벨 음질 최적화 모듈(514)과 연결된다.
증폭부(518)는 미리 설정된 이득에 따라서 스위치(516)로부터 출력된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리시버(163a)는 지연부(514)로부터 입력된 수화음 신호를 수화음으로 전기-음향 변환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방으로 출력한다.
스피커(163)는 증폭부(518)로부터 입력된 수화음 신호를 위상 반전 수화음으로 전기-음향 변환하여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를 들어, 후방)으로 출력하고, 또한 스피커(163)는 증폭부(518)로부터 입력된 MP3/벨 신호를 위상 반전 수화음으로 전기-음향 변환하여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를 들어, 후방)으로 출력한다.
이때, 리시버(163a)의 + 단자 및 - 단자의 신호 입력과 스피커(163)의 + 단자 및 - 단자의 신호 입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1, 0, 1, 0의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리시버(163a)의 + 단자에 1, 0, 1, 0의 전압 신호를 인가하고 리시버(163a)의 - 단자에 바이어스 신호를 인가한다. 반면에, 1, 0, 1, 0의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스피커(163)의 - 단자에 1, 0, 1, 0의 전압 신호를 인가 스피커(163)의 + 단자에 바이어스 신호를 인가한다.
즉, 동일한 신호를 리시버(163a) 및 스피커(163)에 입력하면, 리시버(163a)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와 스피커(163)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는다. 따라서, 리시버(163a)의 수화음과 스피커(163)의 위상 반전된 수화음은 서로 상쇄 간섭하여 소멸되거나, 수화음의 음량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도 17은 수화음들의 상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리시버(163a)의 수화음을 나타내고, 도 17의 (b)는 스피커(163)의 위상 반전된 수화음을 나타내고, 도 17의 (c)는 상쇄 간섭하여 소멸된 음향 신호를 나타낸다.
본 예와 다르게, 지연부(514)는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이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지연부가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의 이전, 또는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및 스위치(516)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리시버(163a)의 + 단자 및 - 단자의 연결과 스피커(163)의 + 단자 및 - 단자의 연결은 서로 동일하게 하고,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이 입력된 수화음 신호를 위상 반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제어부(110b) 구성은 도 16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며, 단지 스위치(516)가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의 후단이 아니라 전단에 연결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스위치(516)는 제어부(110b)에 제어에 따라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 및 MP3/벨 음질 최적화 모듈(514) 중의 하나와 연결된다. 즉, 스위치(516)는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에서는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과 연결되고, 수화음 출력 모드에서는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과 연결된다.
증폭부(518)는 미리 설정된 이득에 따라서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 및 MP3/벨 음질 최적화 모듈(514)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제어부(110c) 구성은 도 18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며, 단지 제어부(110c)가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의 복호화를 위한 코덱(53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코덱(530)은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및 지연부(514)의 사이와, 증폭부(518) 및 스피커(163)의 사이에 배치된다.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코덱(530)은 부호화된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를 복호화하여 리시버(163a) 또는 스피커(163)로 출력한다.
본 예와 다르게, 코덱(530)은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및 스위치(516)의 전단에 하나 배치되거나, 복수의 코덱이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및 지연부(514)의 사이와, 증폭부(518) 및 스피커(163)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거나, 복수의 코덱이 리시버 제어 모듈(510) 및 스피커 제어 모듈(520b)에 각각 하나씩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수화음 누출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모듈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제어부(110d) 구성은 도 19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며, 단지 코덱(530a)이 스위치(516),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및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을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코덱(530a)은 제1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1) 및 지연부(514)의 사이와, 증폭부(518) 및 스피커(163)의 사이에 배치된다.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코덱(530a)은 부호화된 수화음 신호 또는 MP3/벨 신호를 복호화하여 리시버(163a) 또는 스피커(163)로 출력한다. 또한, 코덱(530a) 내에는 스위치(516),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및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가 위치하며, 스위치(516)는 제어부(110d)에 제어에 따라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및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 중의 하나와 연결된다. 위상 반전 음향 최적화 모듈(512) 또는 제2 수화 음질 최적화 모듈(513)로부터 출력된 수화음 신호는 코덱(530a)에 의해 복호화되어 스피커(163)로 출력된다.
전술한 예들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대표적인 예로 터치 스크린을 예시하고 있으나, 터치 스크린 대신에 터치 감지 기능이 없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LED 등과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기설정된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단말, 110: 제어부, 120: 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57: GPS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3: 스피커, 163a: 리시버, 168: 입력 유닛, 170; 센서 모듈, 175: 저장부,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스크린, 195: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Claims (14)

  1.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수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접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고 외부에 노출된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이어폰 연결잭, 안테나 삽입부, 펜 삽입부 또는 카메라 수용부에 형성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음을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리시버의 적어도 일 측면을 막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리시버의 적어도 일 측면을 막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 또는 구조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7.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수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와;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 또는 제2 수화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가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에서 상기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을 출력하고, 수화음 출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수화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에 대한 음량, 주파수 특성 또는 노이즈 특성을 조절하는 제1 최적화 모듈;
    상기 제2 수화음에 대한 음량, 주파수 특성 또는 노이즈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2 최적화 모듈; 및
    상기 수화음 누출 방지 모드에서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제1 최적화 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수화음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제2 최적화 모듈을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시버의 수화음에 대한 음량, 주파수 특성 또는 노이즈 특성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제1 수화음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동기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상 반전된 제1 수화음 또는 상기 제2 수화음을 복호화하기 위한 코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P3 신호 또는 벨 신호에 대한 음량, 주파수 특성 또는 노이즈 특성을 조절하는 제3 최적화 회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및 상기 스피커의 출력이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상기 리시버의 + 단자 및 - 단자의 신호 입력과 상기 스피커의 + 단자 및 - 단자의 신호 입력이 서로 반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44350A 2013-04-22 2013-04-22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KR10208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350A KR102087654B1 (ko) 2013-04-22 2013-04-22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US14/258,539 US9232035B2 (en) 2013-04-22 2014-04-22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received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350A KR102087654B1 (ko) 2013-04-22 2013-04-22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153A KR20140126153A (ko) 2014-10-30
KR102087654B1 true KR102087654B1 (ko) 2020-03-11

Family

ID=5172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350A KR102087654B1 (ko) 2013-04-22 2013-04-22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32035B2 (ko)
KR (1) KR102087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302013003942S1 (pt) * 2013-02-23 2014-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ção aplicada em terminal móvel.
BR302013003936S1 (pt) * 2013-02-23 2014-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ção aplicada em terminal móvel
US9692860B2 (en) * 2014-05-15 2017-06-27 Apple Inc. One layer metal trace strain gauge
US10149044B2 (en) * 2014-07-21 2018-12-04 Nokia Technologies Oy Vibration damping structure for audio device
JP6655786B2 (ja) * 2015-10-30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CN108206866A (zh) * 2016-12-19 2018-06-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7275756B (zh) * 2017-06-05 2020-07-24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通讯终端及其天线
EP3857907A4 (en) 2018-09-28 2022-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OICE-BASED VOLUME ADJUSTMENTS AND AMBIENT SOUNDS
CN110933211B (zh) * 2019-11-29 2021-07-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1170220A1 (en) * 2020-02-25 2021-09-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dio generating arrangemen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ch arrangement
CN112261202B (zh) * 2020-10-22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KR20220111530A (ko) * 2021-02-02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134B1 (ko) * 1998-05-14 2002-03-18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스피커 조립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20090180657A1 (en) * 2003-06-04 2009-07-16 Plantronics, Inc. A Delaware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audio leakage
JP2009159350A (ja) * 2007-12-27 2009-07-16 Kyocera Corp 音響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20195447A1 (en) * 2011-01-27 2012-08-02 Takahiro Hiruma Sound fiel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71A (ko) 1998-12-04 2000-07-05 조성재 통화 소리로 인한 주변의 영향을 감소시키는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KR100360307B1 (ko) 1999-04-22 2002-11-13 혜 형 조 덕트 소음 제거장치
US6980092B2 (en) * 2000-04-06 2005-12-27 Gentex Corporation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KR100627178B1 (ko) 2004-12-02 2006-09-25 유장식 전화기의 통화음성 감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화기
KR100652736B1 (ko) 2005-07-0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통화 누설음 방지 장치 및 방법
US8170229B2 (en) 2007-11-06 2012-05-01 James Carl Kesterson Audio privacy apparatus and method
US8712086B2 (en) 2007-12-27 2014-04-29 Motorola Mobility Llc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90213557A1 (en) * 2008-02-21 2009-08-27 Fortemedia,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ternal microphones disposed in flexible holders
US8112130B2 (en) * 2008-04-01 2012-02-07 Apple Inc. Receiver acoustic system
JP4900405B2 (ja) * 2009-02-26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扉開閉機構、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CN101854573B (zh) * 2009-03-30 2014-12-24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响结构及使用该音响结构的电子装置
US9014394B2 (en) * 2012-09-07 2015-04-2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ning a micro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134B1 (ko) * 1998-05-14 2002-03-18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스피커 조립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20090180657A1 (en) * 2003-06-04 2009-07-16 Plantronics, Inc. A Delaware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audio leakage
JP2009159350A (ja) * 2007-12-27 2009-07-16 Kyocera Corp 音響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20195447A1 (en) * 2011-01-27 2012-08-02 Takahiro Hiruma Sound fiel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2035B2 (en) 2016-01-05
KR20140126153A (ko) 2014-10-30
US20140315605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654B1 (ko)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US10869146B2 (en) Portable terminal, hearing aid, and method of indicating positions of sound sources in the portable terminal
KR102051908B1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KR102052153B1 (ko) 보청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2511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073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방법
KR10213537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4007292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1262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2751A (ko)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KR2015014462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003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189313B (zh)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4053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6518A (ko) 이동 단말기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7008226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31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26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97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77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1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30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75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73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