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402A -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402A
KR20150097402A KR1020150021044A KR20150021044A KR20150097402A KR 20150097402 A KR20150097402 A KR 20150097402A KR 1020150021044 A KR1020150021044 A KR 1020150021044A KR 20150021044 A KR20150021044 A KR 20150021044A KR 20150097402 A KR20150097402 A KR 2015009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nitial position
eccentricity
guide por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니시타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렌즈 경통은, 제1 안내부(3)를 보유하는 베이스 통(1)과, 본 이동 통(2)이 돌출될 때, 상기 제1 안내부에 대하여 제2 안내부(4)가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돌출/침동 가능한 이동 통(2)과,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각각 보유된 제1 및 제2 보유부로 이루어진 렌즈 보유부재(13)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간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록부(2a, 2b)와,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초기 위치 검출기(21)와, 콘트롤러(32)를 구비한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록부에 의한 위치 관계 설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를 향한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시작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사용되는 침동식(retractable) 렌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촬상장치에는, 촬상상태에서는 고정 통에 대하여 이동 통의 피사체측 돌출에 의해 경통 길이가 길어지고, 비촬상상태에서는 고정 통에 대하여 이동 통의 침동에 의해 경통 길이가 짧아지는 침동식 렌즈 경통(렌즈 장치)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침동식 렌즈 경통은, 촬상상태에서의 고정 통과 이동 통간의 상대 위치 정밀도를 확보해서 요구되는 광학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 고정 통과 이동 통과의 상대적인 편심 및 경사를 저감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266582호에는, 촬상상태에서 렌즈를 보유하는 렌즈 보유 부재(렌즈 홀더)를 용수철로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렌즈간의 상대적인 편심 및 경사를 저감하는 렌즈 경통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축으로 안내되는 렌즈 홀더가 압력으로 상기 가이드 축과 접촉하도록 용수철로 가압됨으로써, 광축에 직교하는 면내에서의 렌즈 홀더의 편심과 광축에 대한 렌즈 홀더의 경사가 저감된다.
한편, 동영상 촬상이 가능한 촬상장치에서는, 동영상 촬상중에 렌즈를 조용히 이동시켜서 잡음이 녹음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를 매끄럽게 이동시켜서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촬상장치에서는, 가이드 축으로 렌즈 홀더를 안내시켜서 리드(lead) 스크류 등을 사용해서 렌즈 홀더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기구가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렌즈 홀더의 위치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렌즈 홀더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있어, 렌즈 홀더의 위치 검출의 기준이 되는 기준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렌즈 홀더의 이동 범위의 1군데에서 포토 인터럽터 등의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촬상장치의 전원투입후이며 촬상시작전에, 렌즈 홀더를 위치 검출기 부근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준위치의 검출 동작을 행한다.
그렇지만, 상기 침동식 렌즈 경통이 구비되고, 이동 통 또는 렌즈 홀더의 편심 및 경사 조정과, 렌즈 홀더의 기준위치의 검출 동작을 행하는 촬상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촬상장치는, 전원투입 후, 촬상가능한 스탠바이 상태(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들어간다. 전원투입 후, 렌즈 경통은 침동상태로부터 돌출하고 나서, 편심 및 경사 조정과 기준위치의 검출 동작이 완료되고 나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인 스탠바이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보유 부재의 기준위치의 검출 동작을 행할 경우에,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침동식 렌즈 경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렌즈 경통을 사용한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베이스 통과, 상기 베이스 통에 보유된 제1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돌출 및 침동가능한 이동 통과, 상기 이동 통에 보유되어, 상기 이동 통이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돌출될 때, 상기 제1 안내부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각각 보유된 제1 보유부와 제2 보유부로 이루어진, 렌즈 보유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간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록(lock)부와,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광축방향으로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초기 위치 검출기와, 상기 록부에 의한 위치 관계 설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를 향한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시작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 렌즈 경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베이스 통과, 상기 베이스 통에 보유된 제1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돌출 및 침동가능한 이동 통과, 상기 이동 통에 보유되어, 상기 이동 통이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돌출될 때, 상기 제1 안내부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각각 보유된 제1 보유부와 제2 보유부로 이루어진, 렌즈 보유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간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록부와,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광축방향으로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초기 위치 검출기와, 상기 제2 안내부의 돌출이 완료한 후와 상기 록부에 의한 위치 관계 설정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에 의한 상기 초기 위치 검출이 행해지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 렌즈 경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본 장치의 바디(body)와, 상기 렌즈 경통들 중 하나와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또는 단일의 실시예에서 개개의 실시예로부터의 요소들이나 특징들의 조합이 이로운 경우에 상기 실시예들 또는 특징들의 복수의 조합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렌즈 경통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 1의 렌즈 경통의 변형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d는, 실시예 1의 렌즈 경통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실시예 1의 렌즈 경통의 돌출/침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렌즈 경통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렌즈 경통의 돌출/침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렌즈 경통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렌즈 경통의 돌출/침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렌즈 경통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a 내지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렌즈 경통의 돌출/침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4의 렌즈 경통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a 내지 12g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렌즈 경통의 돌출/침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5의 렌즈 경통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실시예 1∼5의 렌즈 경통의 동작 타이밍을 총괄하여 도시한 타이밍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렌즈 경통(렌즈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렌즈 경통의 돌출상태(또는 촬상 가능상태:이하, "촬상 스탠바이 상태"라고 한다)에서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c는 상기 렌즈 경통의 침동상태(또는 비촬상 가능상태)에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렌즈 경통의 구성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은 베이스 통으로서의 고정 통이며, 참조부호 2는 고정 통(1)에 대하여 광축이 연장되는 방향(도면에서 +X/-X로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통이다. 이후, 광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광축방향"이라고 한다. 고정 통(1)과 이동 통(2)에 의해 렌즈 경통의 경통부가 구성된다. 렌즈 경통의 베이스 부재로서 고정 통(1)은,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의 동영상 촬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본체에 고정된다. 촬상장치 본체(30)의 내부에는, CCD센서나 CMOS센서 등의 촬상소자(31)를 구비하여, 렌즈 경통(경통부)의 내부에 수용된 촬상광학계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을 촬상(광전변환)한다.
이동 통(2)은, 도 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통(1)에 대하여 수축되는 침동위치와,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통(1)에 대하여 돌출되는 돌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1a에 나타낸 +X방향은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해 돌출된 돌출방향이며, -X방향은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해 수축된 침동방향이다. 이동 통(2)은,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 통(2)의 외주(즉, 고정 통(1)의 내주 내부)에서 회전되는 캠 통등으로 구성된 (미도시된)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광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및 면을 각각, "편심방향" 및 "편심면"이라고도 말한다.
참조부호 3은 고정 통(1)에 의해 지지된(보유된) 제1 안내부로서의 제1 가이드 축이며, 참조부호 4는 이동 통(2)에 의해 지지된(보유된) 제2 안내부로서의 제2 가이드 축이다. 참조부호 5는 이동 통(2)에 의해 지지된(보유된) 제3 안내부로서의 제3 가이드 축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가이드 축(5)은 이동 통(2)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만, 고정 통(1)에 의해 지지되어도 된다. 제2 가이드 축(4)은, 고정 통(1)에 대해 돌출되는 상기 돌출위치에 상기 이동 통이 있을 때 그 제2 가이드 축(4)이 상기 제1 가이드 축(3)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이동 통(2)에 의해 지지(보유)된다. 달리 말하면, 제2 가이드 축(4)은, 이동 통(2)의 이동에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가이드 축(5)은 상기 제2 가이드 축(4)과 마찬가지로 이동 통(2)의 이동에 따른다.
참조부호 11은, 제1 가이드 축(3)에 대한 제2 가이드 축(4)의 편심면내에서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도록, 고정 통(1)에 설치된 내주원통면이다. 이동 통(2)은, 내주원통면(11)에 원주상으로 끼워 맞춰서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면내에서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달리 말하면,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량의 저감) 외주원통면(록(lock)부)(2a)을 갖는다. 따라서, 제1 가이드 축(3)에 대한 제2 가이드 축(4)의 편심면내에서의 상대 위치(평행 편심)가 고정밀도로 설정된다.
고정 통(1)은, 내주원통면(11)에 대해 -X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경사부(11a)를 갖는다. 상기 경사부(11a)는, 이동 통(2)의 외주원통면(2a)을 내주원통면(11)에 원주상으로 끼워 맞추는 위치에 매끄럽게 안내한다. 내주원통면(11) 및 경사부(11a)에 의해 평행 편심 조정부가 구성된다. 이동 통(2)이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통(1)에 대하여 상기 평행 편심 조정부로부터 평행 편심 저감 작용을 받는 평행 편심 저감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평행 편심이 저감된다.
상기 평행 편심 조정부는 다른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a 및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42)에 설치된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기 42a,42b를 고정 통(41)에 형성된 둥근 구멍(41a) 및 긴구멍(41b)에 삽입하는 구성을 이용해도 된다.
도 1a 내지 1c에 있어서, 참조부호 12는 고정 통(1)에 설치된 원환면이다. 그 원환면(12)은, 이동 통(2)의 광축방향에 대한 경사를 조정(저감)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 통(1)에 의해 지지된 제1 가이드 축(3)에 대한 이동 통(2)에 의해 지지된 제2 가이드 축(4)의 경사 편심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 원환면(12)으로 이동 통(2)의 전단에 설치된 원환면(록부)(2b)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경사 편심이 조정(저감)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축(3)에 대한 제2 가이드 축(4)의 평행도가 고정밀도로 설정된다. 원환면(12)에 의해 경사 편심 조정부가 구성된다. 이동 통(2)이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통(1)에 대하여 상기 경사 편심 조정부로부터 경사 편심 저감 작용을 받는 경사 편심 저감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통(2)의 광축방향에 대한 경사 편심이 저감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평행 편심과 상기 경사 편심을, 각각 간단히 "편심" 및 "경사"라고 한다.
참조부호 13은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보유부재인 렌즈 프레임이다. 렌즈 프레임(13)에는, 제1, 제2 및 제3 가이드 축(3, 4, 5)에 의해 각각 광축방향으로 안내되는(보유되는) 피안내부(피보유부)(13a, 13b, 13c)가 구비되어 있다. 피안내부 13a, 13b는, 제1 및 제2 가이드 축 3, 4가 맞물리는 둥근 구멍부로서 형성되고, 피안내부 13c는 제3 가이드 축 5가 맞물리는 긴 구멍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4는 렌즈 프레임(13)에 의해 보유된 렌즈다. 상기 렌즈(14)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렌즈나 구경 조리개와 함께 촬상광학계를 구성한다. 렌즈 프레임(13)은, 주밍(zooming) 또는 포커싱을 위해 광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참조부호 21은 렌즈 프레임(13)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가능범위 중 적어도 1개의 위치를 검출가능한 포토 인터럽터(초기 위치 검출기)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축방향으로 초기 위치에 있어서, 렌즈 프레임(13)에 설치된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 내측에 설치된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 들어가서, 발광부에서 수광부를 향하는 광의 입사를 차단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그 초기 위치는, 렌즈 프레임(13)의 위치 제어에서 기준위치다. 발광부에서의 광의 입사 차단은, 그 차단전에 수광하고 있었던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하이(High)"로부터 "로우(Low)"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렌즈 프레임(13)을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의 외측에서 내측에 들어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렌즈 프레임(13)이 초기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렌즈 프레임(13)이 초기 위치로 도달한 것을 검출함에 따라(이후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이라고 함), 렌즈 프레임(13)의 위치제어상의 위치 정보를 리셋트 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렌즈 프레임(13)을 이동하고 나서,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에 따라 위치제어상에서의 위치 정보의 리셋트를 행하는 동작을, "리셋트 동작"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기로서, 비접촉 검출기인 포토 인터럽터(21)를 사용하고 있지만, 접촉식의 자기센서나 기계적 접촉 스위치 등의 다른 초기 위치 검출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토 인터럽터(21)를 렌즈 프레임(13)의 이동 가능범위의 거의 중앙에 배치했지만, 렌즈 프레임(13)의 이동 가능범위내이면 어느 위치에 포토 인터럽터(21)를 배치해도 좋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서는, 동영상 촬상중에 렌즈 프레임(13)을 조용하고 매끄럽게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 제2 및 제3 가이드 축(3, 4, 5)에 의해 렌즈 프레임(13)을 안내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렌즈 프레임(13)은, 리드 스크류와 랙(rack)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로서의 보이스 코일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렌즈 구동기구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통(1)과 이동 통(2)의 각각에 의해 제1 가이드 축(3)과 제2 가이드 축(4)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 1c에 나타내는 침동상태에서의 렌즈 경통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에 대해서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침동상태에 있어서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하여 편심적이고 경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이동 통(2)이 도 3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X방향(돌출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통(2)의 외주원통면(2a)이 고정 통(1)의 경사부(11a)에 도달해서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c는, 이동 통(2)이 도 3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한층 더 +X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통(2)의 외주원통면(2a)이 고정 통(1)의 내주원통면(11)내에 끼워 맞춰진 상태, 즉 이동 통(2)이 편심저감 작용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이 상태를 "편심조정 완료 상태"라고 한다. 편심조정 완료 상태에서는,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은 조정(저감)되어 있지만, 고정 통(1)에 대한 이동 통(2)의 경사는 남아있다.
도 3d는, 이동 통(2)이 도 3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한층 더 +X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통(2)의 원환면 2b가 고정 통(1)의 원환면 12에 접촉한 상태, 즉 이동 통(2)이 상기 경사 저감 작용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에 더해서, 그 경사도 조정(저감)되어 있다.
이렇게, 이동 통(2)은, 도 3c에 나타낸 위치까지 +X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고정 통(1)에 대한 편심이 조정된 후, 한층 더 도 3d에 나타낸 위치까지 +X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고정 통(1)에 대한 경사도 조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d에 나타낸 상태를, "편심/경사 조정 완료 상태"라고 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 동안의 동작에 대해서, 도 4a 내지 4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4e에서, 도 3a 내지 3d에 나타낸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과 경사는 생략되어(즉, 미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도 3a에 대응하는 침동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동 통(2)의 거의 전체가 고정 통(1)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4b는,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렌즈 프레임(13)이 도 4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하고,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즉, 초기 위치)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d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감으로써(즉, 렌즈 프레임(13)이 초기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이 완료된, 리셋트 동작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e는,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하여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된 위치까지 이동된 편심/경사 조정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가 촬상 스탠바이 상태다. 이동 통(2)이 이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동 통(2) 및 렌즈 프레임(13)은, 각각, 도 4d에 나타낸 위치들로부터 도 4e에 나타낸 위치들에 도달하도록 그들의 이동 속도로 제어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서는,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행해지고, 이것들이 완료함으로써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한다.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완료된다.
도 5는, 이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하는 동안의 렌즈 경통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a 내지 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 본체(30)내측에는, (이동 통 구동기구와 렌즈 구동기구의) 렌즈 경통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로서의 콘트롤러(32)가 구비되어 있다. 콘트롤러(32)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이동 통 구동기구와 렌즈 구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S1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전원 투입에 따라, 콘트롤러(32)는, 단계S2에 있어서 이동 통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침동상태로부터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그 후, 콘트롤러(32)는, 단계S3에 있어서, 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X방향(이하, "리셋트 방향"이라고 한다)으로의 이동, 즉 그 리셋트 동작을 시작시킨다.
다음에, 단계S4에서는, 콘트롤러(32)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도면에서는 "PI"라고 약칭함)(21)내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 즉 포토 인터럽터(21)의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High"로부터 "Low"로 바뀐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직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 있지 않을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에 의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도 4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갔을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단계S5에 있어서, 그 내부에 기억된 렌즈 프레임(13)의 위치 정보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단계S6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도 4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즉, 리셋트 동작)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단계S7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아직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단계S8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도 4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은, 도 4e에 나타낸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4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 의한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한다. 이 때문에,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의 천이에 요구되는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촬상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보다 단시간에 촬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하므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의 이동 통(2)의 편심량이나 경사량은, 상기 편심 및 경사가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도 6a 내지 6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렌즈 경통과 같아서, 실시예 1과 같은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요소는 실시예 1과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6e에서,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과 경사는 생략(즉, 미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침동상태를 나타내고, 이동 통(2)의 거의 전체가 고정 통(1)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6b는,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c는, 렌즈 프레임(13)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하고,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에 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d는,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하여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편심/경사 조정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 통(2)이 이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검출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도 6e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감으로써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이 완료된, 리셋트 동작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가, 촬상 스탠바이 상태다. 이동 통(2) 및 렌즈 프레임(13)은, 각각, 도 6d에 나타낸 위치들로부터 도 6e에 나타낸 위치들에 도달하도록 그들의 이동 속도로 제어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이,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행해지고, 이것들이 완료함으로써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한다. 또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도,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시작된다. 그러나, 실시예 1과는 달리,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후에 완료한다.
도 7은, 이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하는 동안의 렌즈 경통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실시예에서도,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와 렌즈 구동기구의 동작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한다.
단계S11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전원 투입에 따라, 콘트롤러(32)는, 단계S12에 있어서 이동 통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침동상태로부터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그 후, 콘트롤러(32)는, 단계S13에 있어서, 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 즉리셋트 동작을 시작시킨다.
다음에, 단계S14에서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아직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단계S15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여, 도 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단계S16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직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 있지 않은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에 의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도 6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경우에는, 콘트롤러(32)는, 단계S17에 있어서, 그 내부에 기억된 렌즈 프레임(13)의 위치 정보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단계S18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여,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렇게 해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렌즈 경통은, 도 6e에 나타낸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도 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데 요구되는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촬상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보다 단시간에 촬상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종료하기 전에 이동 통(2)의 편심량이나 경사량이 다소 큰 경우에도,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도 8a 내지 8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렌즈 경통과 같아서, 실시예 1과 같은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요소는 실시예 1과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내지 8e에서,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과 경사는 생략(즉, 미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침동상태를 나타내고, 이동 통(2)의 거의 전체가 고정 통(1)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8b는,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c는, 이동 통(2)의 외주원통면(2a)이 고정 통(1)의 경사부(11a)에 도달하고 나서, 고정 통(1)의 내주원통면(11)에 의한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 통(2)이 이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검출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도 8d는, 렌즈 프레임(13)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하고,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렌즈 프레임(13)의 이동은, 어떤 타이밍에서 시작되어도 된다.
도 8e는,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하여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편심/경사 조정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가 촬상 스탠바이 상태다. 이동 통(2)이 이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검출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이동 통(2) 및 렌즈 프레임(13)은, 각각, 도 8d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8e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도록 그들의 이동 속도로 제어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서도,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행해지고, 이것들이 완료함으로써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한다. 또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도,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시작된다. 그렇지만, 실시예 1과는 달리,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은,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의 시작후에 시작된다.
도 9는, 이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하는 동안의 렌즈 경통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와 렌즈 구동기구의 동작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한다.
단계S21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전원 투입에 따라, 콘트롤러(32)는, 단계S22에 있어서 이동 통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침동상태로부터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그 후, 콘트롤러(32)는, 단계S23에 있어서, 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 즉 리셋트 동작을 시작시킨다.
다음에, 단계S24에서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편심조정 동작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된 경우에는, 단계S25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직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에 의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도 8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경우에는, 콘트롤러(32)는, 단계S26에 있어서, 그 내부에 기억된 렌즈 프레임(13)의 위치 정보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단계S27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여,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단계S28에서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단계S29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여, 도 8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렌즈 경통은, 도 8e에 나타낸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은,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된 후이며 편심조정 동작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8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데 요구되는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촬상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보다 단시간에 촬상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이,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초기 위치 검출)이 완료된다. 이 때문에,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종료하기 전의 이동 통(2)의 편심량이나 경사량은, 편심 및 경사가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실시예 4)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도 10a 내지 10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렌즈 경통과 같아서, 실시예 1과 같은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요소는 실시예 1과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 내지 10e에서,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과 경사는 생략(즉, 미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침동상태를 나타내고, 이동 통(2)의 거의 전체가 고정 통(1)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0b는,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하고, 이동 통(2)의 외주원통면(2a)이 고정 통(1)의 경사부(11a)에 도달하고 나서, 내주원통면(11)에 의한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c는,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렌즈 프레임(13)의 +X방향으로의 이동이 어떤 타이밍에서 시작되어도 되고; 이 상태에서 렌즈 프레임(13)의 이동이 이미 시작되었어도 되거나, 이 상태 후에 시작되어도 된다.
도 10d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감으로써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이 완료된 리셋트 동작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이동 통(2)의 원환면 2a와 고정 통(1)의 원환면 12는 접촉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이동 통(2)의 경사 조정 동작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동 통(2) 및 렌즈 프레임(13)은, 각각, 도 10c에 나타낸 위치들로부터 도 10d에 나타낸 위치들에 도달하도록 그들의 이동 속도로 제어된다.
도 10e는,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하여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편심/경사 조정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가 촬상 스탠바이 상태다. 이동 통(2)이 이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검출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이,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행해지고, 이것들이 완료함으로써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한다. 또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도,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시작된다. 그렇지만, 실시예 1와는 달리,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은,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의 완료후이며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전에 시작된다.
도 11은, 이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하는 동안의 렌즈 경통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와 렌즈 구동기구의 동작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한다.
단계S31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전원 투입에 따라, 콘트롤러(32)는, 단계S32에 있어서 이동 통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침동상태로부터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그 후, 콘트롤러(32)는, 단계S33에 있어서, 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1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 즉 리셋트 동작을 시작시킨다.
다음에, 단계S34에서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편심조정 동작이 아직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편심조정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단계S35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1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직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아직 들어가지 않은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에 의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도 10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단계S36에 있어서, 그 내부에 기억된 렌즈 프레임(13)의 위치 정보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단계S37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단계S38에서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경사 조정 동작이 아직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단계S39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도 10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렌즈 경통은, 도 10e에 나타낸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1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은,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이며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10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데 요구되는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촬상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보다 단시간에 촬상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2)의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전이지만 편심조정 동작의 완료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의 정밀도는, 실시예 3과 비교해서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실시예 5)에 따른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도 12a 내지 12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렌즈 경통과 같아서, 실시예 1과 같은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의 구성요소는 실시예 1과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 내지 12g에서,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과 경사는 생략(즉, 미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하는 실시예 2의 변형 예다.
도 12a는, 침동상태를 나타내고, 이동 통(2)의 거의 전체가 고정 통(1)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2b는,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c는, 렌즈 프레임(13)이 +X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하고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에 향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d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가고 렌즈 프레임(13)의 이동이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e는, 렌즈 프레임(13)이 도 12d에 나타낸 위치부터 -X방향으로 소정량만큼 떨어진 대기위치에 이동해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d에 나타낸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 검출은, 이 후에 행해지는 초기 위치의 본 검출에 앞서 예비 초기 위치 검출로서 행해진다. 도 12c로부터 도 12e까지 나타낸 렌즈 프레임(13)의 이동의 제어가 제1 기준위치 검출 제어에 해당한다.
도 12f는, 이동 통(2)이 고정 통(1)에 대하여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편심/경사 조정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 통(2)이 이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검출기에 의해 검출가능하다. 이동 통(2) 및 렌즈 프레임(13)은, 각각, 도 12e에 나타낸 위치들로부터 도 12f에 나타낸 위치들에 도달하도록 그들의 이동 속도로 제어된다.
도 12g는, 렌즈 프레임(13)이 도 12e에 나타낸 대기위치로부터 +X방향으로 이동하고,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다시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감으로써 렌즈 프레임(13)의 초기 위치의 본 검출이 행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는, 그 리셋트 동작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고,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해당한다. 도 12g에 나타낸 렌즈 프레임(13)의 이동의 제어가, 제2 기준위치 검출에 해당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서도, 침동상태로부터, 이동 통(2)의 고정 통(1)에 대한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행해지고, 이것들이 완료함으로써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한다. 또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도,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시작된다. 그렇지만, 실시예 1과는 달리,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서, 예비 초기 위치 검출을 위한 동작(이하, "예비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이라고 한다)이,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전에 행해진다. 한층 더,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서, 초기 위치의 본 검출을 위한 동작(이하, "본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이라고 한다)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후에 행해진다.
도 13은, 이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 천이하는 동안의 렌즈 경통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와 렌즈 구동기구의 동작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한다.
단계S41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전원 투입에 따라, 콘트롤러(32)는, 단계S42에 있어서 이동 통 구동기구를 구동하여, 도 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침동상태로부터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그 후, 콘트롤러(32)는, 단계S43에 있어서, 제1 기준위치 검출 제어를 시작하여, 상기 렌즈 프레임(13)을 리셋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함으로써, 도 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에서 예비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을 시작시킨다.
다음에, 단계S44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직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에 의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도 1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단계S45에 있어서, 렌즈 프레임(13)의 예비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콘트롤러(32)는, 도 12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구동기구를 반전 구동해서 렌즈 프레임(13)을 -X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시키고, 그 렌즈 프레임(13)을 대기위치에 정지시킨다.
다음에, 단계S46에서는, 콘트롤러(32)는,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아직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에 의한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단계S47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이동 통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도 12f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단계S48에서는, 콘트롤러(32)는, 제2 기준위치 검출 제어를 시작하여 렌즈 프레임(13)을 대기위치로부터 리셋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해서, 본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을 시작한다.
다음에, 단계S49에서는, 콘트롤러(32)는, 렌즈 프레임(13)의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아직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에 의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한편, 도 12g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13d)가 포토 인터럽터(21)내에 들어간 경우에, 콘트롤러(32)는, 단계S50에 있어서, 그 내부에 기억된 렌즈 프레임(13)의 위치 정보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단계S51에 있어서, 콘트롤러(32)는, 렌즈 구동기구의 구동을 정지하고,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렇게 해서, 촬상 스탠바이 상태에의 천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은, 도 12f에 나타낸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도 1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의 일부인 예비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렌즈 경통은,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도 12g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의 다른 일부인 렌즈 프레임(13)의 본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데 요구되는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촬상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보다 단시간에 촬상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f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시점에, 렌즈 프레임(13)이 포토 인터럽터(21)의 근방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렌즈 프레임(13)의 대기에 의해,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고 나서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본 초기 위치 검출동작)을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렌즈 프레임(13)의 예비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을, 실시예 1, 3, 4에 부가해도 된다.
도 14는, 실시예 1∼5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침동상태로부터 촬상 스탠바이 상태까지, 즉 이동 통(2)의 이동 시작, 편심조정 동작의 시작과 완료,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 및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의 시작과 완료의 타이밍을 총괄하여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이것들의 타이밍을, "이동 통 이동 시작", "편심조정 시작/완료", "경사 조정 완료" 및 "렌즈 프레임 리셋트 시작/완료"의 순서로 각각 약기하고 있다.
도 14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동작의 시작과 완료 타이밍의 순서만을 나타내고, 타이밍간의 간격은 의미가 없다. 도 14에서, 실시예 1∼5에서의 타이밍들을 나타내는 굵은 화살표의 사이를 잇는 점선은, 타이밍이 각 화살표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낼 뿐이고, 점선으로 이어진 화살표로 나타낸 타이밍들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3, 4에 대해서는,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의 시작이, 가는 화살표로 나타낸 범위내의 어떤 타이밍에서도 선택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5에 대해서는, 렌즈 프레임(13)의 예비 초기 위치 검출 동작의 완료 타이밍과 본 초기 위치 검출동작의 시작 및 완료 타이밍을, 각각 "렌즈 프레임 예비 검출 완료" 및 "렌즈 프레임 본 검출 시작/완료"라고 나타내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경사 조정 동작보다도 먼저 행해지도록 평행 편심 조정부 및 경사 편심 조정부를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경사 조정 동작이 편심조정 동작보다도 먼저 행해지도록 편심 및 경사 편심 조정부를 설치해도 되거나, 상기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이 서로 동시에 행해지도록 편심 및 경사 편심 조정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에, 이동 통(2)을 침동위치로부터 돌출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킬 때에,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의 완료 중 적어도 한쪽이 완료하기 전에 렌즈 프레임(13)의 이동이 초기 위치를 향해 시작되면 좋다.
한층 더, 실시예 3에서는,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된 후 이것이 완료하기 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경사 조정 동작이 시작된 후 이것이 완료하기 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되어도 된다. 달리 말하면, 편심조정 동작 및 경사 조정 동작 중 적어도 한쪽이 시작한 후 이것이 완료하기 전에 리셋트 동작이 완료되면 좋다.
추가로, 실시예 4에서는, 이동 통(2)의 편심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경사 조정 동작이 완료한 후, 편심조정 동작이 시작 또는 완료하기 전에 렌즈 프레임(13)의 리셋트 동작이 완료되어도 된다. 달리 말하면, 편심조정 동작 및 경사 조정 동작 중 한쪽이 완료한 후, 다른쪽 조정동작이 시작 또는 완료하기 전에 리셋트 동작이 완료되면 좋다.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해, 이동 통(2)의 편심 및 경사 조정 동작과 렌즈 프레임(13)의 초기(기준) 위치의 검출을 행할 수 있는, 침동식 렌즈 장치를 구성하면서, 스탠바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의 렌즈 경통에 의해, 그것과 함께 구비된 촬상장치의 전원투입후에 단시간에 촬상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8)

  1. 베이스 통(1);
    상기 베이스 통에 보유된 제1 안내부(3);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돌출 및 침동가능한 이동 통(2);
    상기 이동 통에 보유되어, 상기 이동 통이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돌출될 때, 상기 제1 안내부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안내부(4);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각각 보유된 제1 보유부와 제2 보유부로 이루어진, 렌즈 보유부재(13);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간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록(lock)부(2a, 2b);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광축방향으로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초기 위치 검출기(21); 및
    콘트롤러(32)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록부에 의한 위치 관계 설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를 향한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시작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2. 베이스 통(1);
    상기 베이스 통에 보유된 제1 안내부(3);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돌출 및 침동가능한 이동 통(2);
    상기 이동 통에 보유되어, 상기 이동 통이 상기 베이스 통에 대해 돌출될 때, 상기 제1 안내부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안내부(4);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각각 보유된 제1 보유부와 제2 보유부로 이루어진, 렌즈 보유부재(13);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간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록부(2a, 2b);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광축방향으로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초기 위치 검출기(21); 및
    콘트롤러(32)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2 안내부의 돌출이 완료한 후와 상기 록부에 의한 위치 관계 설정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에 의한 상기 초기 위치 검출이 행해지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간의 평행 편심을 상기 광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평행 편심 조정부(11, 11a); 및
    상기 제1 안내부에 대한 상기 제2 안내부의 경사 편심을 조정하는 경사 편심 조정부(1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평행 편심 조정부에 의한 평행 편심 조정이 완료한 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에 의한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평행 편심 조정부 및 상기 경사 편심 조정부에 의한 상기 평행 편심 및 상기 경사 편심 조정이 완료한 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에 의한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a) 상기 제2 안내부의 돌출이 완료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에 의한 초기 위치 검출을 행하고, (b) 상기 제2 안내부의 돌출이 완료한 후와 상기 록부에 의한 상기 위치 관계 설정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에 의한 초기 위치 검출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2 안내부의 돌출이 완료한 후에 상기 초기 위치 검출기를 향해 상기 렌즈 보유 부재의 이동이 시작하도록, 상기 이동 통과 상기 렌즈 보유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8.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된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경통; 및
    촬상소자를 구비한, 촬상장치.
KR1020150021044A 2014-02-18 2015-02-11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 KR20150097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8086A JP6272070B2 (ja) 2014-02-18 2014-02-18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JP-P-2014-028086 2014-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402A true KR20150097402A (ko) 2015-08-26

Family

ID=5375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44A KR20150097402A (ko) 2014-02-18 2015-02-11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3067B2 (ko)
JP (1) JP6272070B2 (ko)
KR (1) KR20150097402A (ko)
CN (1) CN104849827A (ko)
DE (1) DE102015102219A1 (ko)
GB (1) GB25250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6458B2 (ja) * 2014-12-03 2019-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7126013A (ja) 2016-01-15 2017-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TWI767066B (zh) * 2018-09-28 2022-06-1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鏡頭裝置及其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1450A (ja) * 1992-04-01 1993-10-29 Minolta Camera Co Ltd 沈胴式カメラの鏡胴
JP2729009B2 (ja) 1992-06-29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2000111779A (ja) * 1998-10-01 2000-04-21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鏡胴
US6853503B2 (en) 2000-09-22 2005-02-08 Pentax Corporation Eccentricity-prevention mechanism for a pair of lens-supporting rings
JP2004157380A (ja) * 2002-11-07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沈胴式レンズ鏡筒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4447491B2 (ja) 2005-03-08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4817876B2 (ja) * 2006-02-20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TW200809295A (en) * 2006-08-03 2008-02-16 Asia Optical Co Inc Optical lens capable of preventing light leakage
JP4914227B2 (ja) * 2007-01-16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
JP4700675B2 (ja) * 2007-12-10 2011-06-15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
JP5119089B2 (ja) * 2008-08-25 2013-0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986469B2 (en) * 2008-08-25 2011-07-26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5202388B2 (ja) * 2009-03-03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2010266582A (ja) * 2009-05-13 2010-11-25 Canon Inc 光学素子の位置決め装置
JP2011242683A (ja) * 2010-05-20 2011-12-01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07219606A (zh) 2011-07-20 2017-09-29 株式会社尼康 透镜镜筒以及拍摄装置
JP5819129B2 (ja) * 2011-08-02 2015-11-18 Hoya株式会社 レンズ移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502713D0 (en) 2015-04-01
CN104849827A (zh) 2015-08-19
US9703067B2 (en) 2017-07-11
GB2525073A (en) 2015-10-14
JP6272070B2 (ja) 2018-01-31
US20150234146A1 (en) 2015-08-20
DE102015102219A1 (de) 2015-08-20
JP2015152839A (ja)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9695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KR100959329B1 (ko) 렌즈 배럴, 카메라,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
JP4775010B2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US7744294B2 (en) Lens barrel, camer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image input device
US7952814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US7982981B2 (en) 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TWI406083B (zh) Projection device with auto focus function and its auto focus method
KR20150097402A (ko)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
US7085073B1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007513B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85267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8411372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9766423B2 (en) Lens unit having a plurality of plastic lenses, and optical device
US8508857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that realize increased shooting magnification and slimming down
KR101469981B1 (ko) 카메라모듈의 줌 조절장치
EP1767976B1 (en) Lens barrel, lens barrel controller, camera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apparatus
JP4683795B2 (ja) レンズ移動装置
US11394868B2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5241396B2 (ja) 光学部材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70110003A (ko)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5077826A (ja) カメラユニット
JP2011043638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US20230016323A1 (en) Optical apparatus and camera system
JP6781556B2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システム
JP2007121877A (ja)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及び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の原点導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