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003A -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003A
KR20070110003A KR1020077017111A KR20077017111A KR20070110003A KR 20070110003 A KR20070110003 A KR 20070110003A KR 1020077017111 A KR1020077017111 A KR 1020077017111A KR 20077017111 A KR20077017111 A KR 20077017111A KR 20070110003 A KR20070110003 A KR 20070110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lens
region
cam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우에사까
히로유끼 호리우찌
마사나오 마지마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상 장치(100)가, 렌즈와, 촬상 소자와,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외통부(5)와, 외통부(5)를 보유 지지하여 외통부(5)와 렌즈를 변위시키는 캠 부재(6)와, 구동 모터와,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CPU를 구비하고, 캠 부재(6)는, 외통부(5)에 형성되는 접촉부(53a)가 접촉되는 캠면(611)이 형성되고, 캠면(611)은, 오토 포커스 처리를 위한 AF 영역(61e)과, AF 영역(61e)의 전후에 연속하는 과무안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과, 대단차 영역(61f)을 구비하고,대단차 영역(61f)에 도달하는 접촉부(53a)를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9)를 구비하고, 과무안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의 길이를,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σ 길이 이상으로 한다.
AF 영역, 캠면, 포토 인터럽터, 외통부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모바일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내장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 가능한 소형이며 고성능의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 촬상 장치로서,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M0S형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이 있다.
또한, 촬상 장치로서,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으며(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최근에는, 해당 촬상 렌즈의 이동을 CPU의 제어하에서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자동으로 초점 조정을 행하는 오토 포커스 (AF) 처리 기능을 갖는 것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촬상 렌즈를 그 하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고, 수평부와 이 수평부에 연속된 AF 영역을 갖는 캠면이 형성된 캠 부재를 구비하고, 이 캠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 부재의 AF 영역의 보다 상측에 촬상 렌즈의 소정의 접촉부를 접촉하도록 캠 부재를 구동시킴으로써 초점을 보다 지근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고, 또한, AF 영역의 보다 하측에 촬상 렌즈의 접촉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초점을 보다 원방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캠 부재에는, 캠의 기점으로 되는 기점부가 설치되어 있고, 촬상 렌즈를 지근 영역이나 무한원 영역에 적정하게 이동시키는 경우, 이 기점부를 기준으로 하여 과초점 위치부터 지근 영역이나 무한원 영역까지의 스테핑 모터의 펄스 신호 수를 메모리에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개평10-170809호 공보
그러나, 캠의 기점부의 검출은, 캠 부재의 이동 도중에서의 촬상 렌즈의 소정의 접촉부가 기점부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며, 캠 부재 등의 개체차에 의해 검출 위치의 오차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 검출 위치의 오차분을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해당 검출 위치의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를 행하였기 때문에, 번잡하여, 코스트의 상승도 초래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용이하고 또한 저코스트로,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검출 위치의 변동의 영향을 해소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부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어느 한쪽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촬상 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촬상 렌즈의 합초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로서, 상기 캠부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당해 캠부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쪽의 일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접촉되는 캠면이 형성되고, 당해 캠면은, 상기 오토 포커스 처리에서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과, 당해 AF 영역의 전후에 연속하여 설치된 두개의 수평부와, 해당 캠면에 있어서의 기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기점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의 길이는, 당해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이다.
여기에서,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란, 검출 수단에 의해 접촉부가 기점부에 접촉되는 것이 검출될 때에, 각 촬상 장치간에서, 캠부재나 검출 수단 등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검출 위치에 변동이 생기지만, 이들 각 촬상 장치간에 있어서의 검출 위치의 변동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접촉부가, 캠부의 캠면에 접촉하여 이루어지고, 당해 캠면에 있어서의 기점부에 접촉부가 도달하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게 된다. 그리고, 기점부를 기점으로 하는 캠면에 있어서의 두개의 수평부의 길이가,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의 길이로 된다.
이에 의해,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가 촬상 장치마다 변동되었다고 해도, 수평부의 길이가 해당 오차 범위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접촉부를 캠면 상의 수평부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마다 상이한 검출 위치의 오차를 메모리에 기억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용이하고, 또한 저코스트로,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검출 위치의 변동에 의한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로서 예시하는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촬상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4는 도1의 촬상 장치에 구비되는 캠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의 (a)는, 도4의 캠 부재의 캠면 및 펄스 신호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의 (b)는, 오차 범위 σ를 설명하기 위한 (a)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6은 도1의 A-A선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촬상 장치
3 : 촬상 소자
41 : 제1 렌즈(촬상 렌즈)
42 : 제2 렌즈(촬상 렌즈)
43 : 제3 렌즈(촬상 렌즈)
44 : 렌즈 고정틀부
44a : 수 나사부(합초 상태 조정 기구)
5 : 외통부(보유 지지 부재)
51a : 암 나사부(합초 상태 조정 기구)
53a : 접촉부
6 : 캠 부재
61 : 상측 캠부(캠부)
61a : 기준 영역(기준 위치부)
61b : 과무한원 영역(평탄부)
61d : 지근 영역(평탄부)
61e : AF 영역(경사면부)
61f : 대단차 영역(기점부)
62 : 하측 원반부(대좌)
7 : 구동 모터(구동 수단)
1Oa : CPU(오토 포커스 처리 수단)
T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부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어느 한쪽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촬상 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촬상 렌즈의 합초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캠부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해당 캠부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쪽의 일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접촉되는 캠면이 형성되고, 해당 캠면은, 상기 오토 포커스 처리에서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과, 해당 AF 영역의 전후에 연속하여 설치된 두개의 수평부와, 해당 캠면에 있어서의 기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기점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의 길이는, 해당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이다.
여기에서,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란, 검출 수단에 의해 접촉부가 기점부에 접촉된 것이 검출될 때에, 각 촬상 장치간에서, 캠 부재나 검출 수단 등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검출 위치에 변동이 생기지만, 이들 각 촬상 장치간에 있어서의 검출 위치의 변동의 범위를 의미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수평부는, 과초점 위치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원방 영역과 지근 영역을 구성한다.
(3) 상기 (2)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방 영역을 구성하는 수평부는, 과무한원 영역이다.
(4)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부의 캠면은, 상기 두개의 수평부 이외에, 상기 촬상 렌즈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원방 영역과 지근 영역 사이에 위치 결정하는 수평한 기준 위치부(기준 영역)를 갖는다.
(5) 상기 (4)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부는, 상기 경사부의 도중에 구성되지 않는다.
(6) 상기 (4)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는 해당 촬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이다.
(7) 상기 (4)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기준 위치부, 상기 원방 영역, 상기 AF 영역, 상기 지근 영역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8) 상기 (4)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부에 상기 접촉 부가 접촉되어 상기 촬상 렌즈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당해 촬상 렌즈를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촬상 렌즈의 합초 상태를 조정하는 합초 상태 조정 기구를 구비한다.
(9) 상기 (1)∼(8)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부 및 상기 접촉부는,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대략 등간격을 두도록 하여 3점 이상의 복수점으로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유지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로서 예시하는 촬상 장치(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2는, 도1의 A-A선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3은, 촬상 장치(100)의 제어계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1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1)의 상측 덮개부(1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4)의 합초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1)와, 장치 케이스(1)의 하측에 배치된 기판(2)과, 기판(2)의 광원측(상측)의 면에 부착된 촬상 소자(3)와, 촬상 소자(3)에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부(4)와, 이 렌즈부(4)를 유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로서의 외통 부(5)와, 외통부(5)를 지지하고, 당해 외통부(5)를 촬상 소자(3)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 부재(6)와, 캠 부재(6)를 통해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의 구동 모터(7)와, 구동 모터(7)의 구동력을 캠 부재(6)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부재(8)와,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으로서의 포토 인터럽터(9)와,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2)은, 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광원측의 면에 하단부를 접촉시켜 장치 케이스(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판(2)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에 플렉시블 기판(F)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F)은 소정의 배선(도시 생략)을 통해 촬상 소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촬상 소자(3)는, 기판(2)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도2에 있어서의 좌측)에, 그 광원측에 렌즈부(4)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3a)가 배치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3)는, 예를 들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형이 대략 사각형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3)의 광원측에는, 예를 들면 적외선 등을 차단하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갖고, 당해 촬상 소자(3)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31)의 광원측에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 결상하기 위한 렌즈부(4)가 배치되 어 있다.
렌즈부(4)는 광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촬상 렌즈로서의 제1 렌즈(41), 제2 렌즈(42) 및 제3 렌즈(43)를 구비하고, 이들 제1 렌즈(41), 제2 렌즈(42) 및 제3 렌즈(43)는 외형이 통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고정틀부(44)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렌즈(41)와 제2 렌즈(42) 사이에는, 예를 들면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판(45)이 배치되고, 또한, 제2 렌즈(42)와 제3 렌즈(43) 사이에는, 이들 제2 렌즈(42)와 제3 렌즈(43)의 간격을 규제하기 위한 간격 규제 부재(46)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 고정틀부(44)는, 그 외주부에 수 나사부(44a)를 구비하고, 렌즈부(4)는, 외통부(5)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 나사부(51a)에 렌즈 고정틀부(44)의 수 나사부(44a)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외통부(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통부(5)에 대하여 렌즈부(4)를 광축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렌즈부(4)의 합초 상태를 조정하는 합초 상태 조정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 부재(6)의 기준 영역(후술함)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가 접촉되어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차트를 이용하여 렌즈부(4)의 합초 상태를 평가해 가며, 그 평가 상황에 따라 렌즈부(4)를 나사 삽입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렌즈부(4)의 합초 상태를 조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준 촬상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부(4)의 합초 상태의 조정이 이루 어지게 되어 있다.
외통부(5)는, 예를 들면 외형이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내주부에 암 나사부(51a)가 형성된 상측 고리 형상부(51)와, 이 상측 고리 형상부(51)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11)에 의해 기판(2)측에 압박되는 피가압부(52)와, 이 피가압부(52)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하단부에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접촉되는 접촉부(53a)가 형성된 하측 고리 형상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53a)는, 대략 120°간격을 두고 하측 고리 형상부(53)의 하면으로부터 촬상 소자(3)측에 3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53a)의 돌출 길이는, 캠 부재(6)의 캠면(611) 상면의 고저차와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고저차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압박 부재(11)의 상단부는, 예를 들면 장치 케이스(1)의 상측 덮개부(1a)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압박 부재(11)에 의해 외통부(5)가 기판(2)측에 항상 눌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5)의 소정 위치에는, 포토 인터럽터(9)에 의해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지용 날개 부재(54)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캠 부재(6)에 대하여 도4, 도5의 (a) 및 도5의 (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4는, 캠 부재(6)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5의 (a) 및 도5의 (b)는, 캠 부재(6)의 캠면(611)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6)는, 예를 들면 대략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상면에 접촉부(53a)가 접촉되어 외통부(5)를 하측으로 부터 지지하는 캠면(611)을 갖는 캠부로서의 상측 캠부(61)와, 이 상측 캠부(61)의 하측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외주부에 톱니바퀴가 형성된, 상측 캠부(61)를 통해 외통부(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인 하측 원반부(대좌)(6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측 캠부(61)의 캠면(611)은,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면을 갖는 기준 영역(61a)과, 이 기준 영역(61a)보다도 높이가 약간 낮은 수평면을 갖는 과무한원(過無限遠) 영역(61b)과, 기준 영역(61a)과 과무한원 영역(61b)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소단차 영역(61c)과, 기준 영역(61a)보다도 높이가 높은 수평면을 갖는 지근(至近) 영역(61d)과, 과무한원 영역(61b)과 지근 영역(61d)을 전후에 연속하여 형성된, 넓은 경사면을 갖는 AF 영역(61e)과, 지근 영역(61d)와 기준 영역(61a)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대단차 영역(61f)이 대략 120°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외통부(5)의 3개의 접촉부(53a)가 접촉되게 되고, 캠 부재(6)는, 외통부(5)를 3점으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캠 부재(6)가 광축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상측 캠부(61)의 캠면(611)을 따라 접촉부(53a)가 미끄럼 이동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외통부(5)과 함께 렌즈부(4)가 광축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어 있다.
대단차 영역(61f)의 고저차는, 예를 들면 적어도 포토 인터럽터(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레벨을 검지용 날개 부재(54)에 의해 절환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캠면(611)이 도5의 (a)에 있어서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캠 부재(6)가 회동함으로써,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을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검지용 날개 부재(54)와 포토 인터럽터(9)와의 상대적인 고저차에 기초하여 당해 포토 인터럽터(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로 레벨(L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H 레벨)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대단차 영역(61f)은, 기점부를 구성한다.
기준 영역(61a)은, 전원 투입 시 등이나 일반적인 촬상 상태인 고정 초점에서 촬상할 때에,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영역이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4)를 과초점 위치에서 합초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렌즈부(4)의 합초 상태의 조정을 간편하고,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고정 초점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촬상을 보다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영역(61a)은, AF 영역(61e)의 전후에 위치하는 평면부를, 과무한원 영역(61b)과 지근 영역(61d)으로서,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 과무한원 위치 및 지근 위치에서 렌즈부(4)를 합초시키도록 해당 렌즈부(4)를 촬상 소자(3)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되어 있다. 즉, 기준 영역(61a)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가 접촉된 상태에서,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 광학상이 결상되도록 렌즈부(4)의 합초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렌즈부(4)를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 과무한원 위치 및 지근 위치에 이동시켜도, 렌즈부(4)의 광학상은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서 결상되게 된다.
AF 영역(61e)은, 오토 포커스 처리(후술함)에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영역이며, 경사면부를 구성한다. 그 하측이 원방 영역측으로 되고, 상측이 지근 영역(61d)측으로 되어 있다. 즉, 해당 AF 영역(61c)을 따라 접촉부(53a)가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렌즈부(4)의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 대한 광축 방향의 거리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AF 영역(61e)의 보다 상측에 접촉부(53a)를 접촉시키도록 캠 부재(6)를 구동시킴으로써 초점을 보다 지근 영역(61d)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으며, 또한, AF 영역(61e)의 보다 하측에 렌즈부(4)의 접촉부(53a)를 접촉시킴으로써 초점을 보다 원방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AF 영역(61c)의 하측의 영역은, 렌즈부(4)를 원방에서 합초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원방 영역이란, 과초점보다도 먼 피사체에 합초하는 위치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며, 과무한원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과무한원 영역(61b)은, 렌즈부(4)를 과무한원 위치에서 합초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과무한원 렌즈 고정 위치로 되어 있으며, 두개의 수평부 중 한쪽을 구성한다.
여기에서, 과무한원 위치란, 구체적으로는, 촬영 배율이 플러스로 되는 영역으로, 무한원 영역보다도 더 지근 영역(61d)과 반대측이며, 렌즈부(4)의 초점을 무한원 영역보다도 더 무한원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렌즈부(4)의 제1 렌즈(41), 제2 렌즈(42) 및 제3 렌즈(43)를 구성하는 소정의 수지는,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조건에 의해 굴절율이 변동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무한원 영역에서 합초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지의 굴절율이 변동되어 보통 상태에 있어서의 무한원 영역으로부터 초점을 맞출 수 없게 되어도, 과무한원 영역(61b)에 의해 합초 위치를 지근 영역(61d)과 반대측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게 되어, 초점을 무한원 영역측으로부터 적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지근 영역(61d)은, 렌즈부(4)를 지근 촬상 위치에서 합초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영역이며, 두개의 수평부 중의 다른 한쪽을 구성한다. 이 지근 영역(61d)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가 접촉된 상태로 됨으로써, 렌즈부(4)가 가장 피사체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된다(도6 참조). 이 때, 피사체와 렌즈부(4)의 거리는, 예를 들어 약 5∼30(㎝)이며, 서류의 화상을 촬상 소자(3)의 촬상 영역(광전 변환부(3a)) 전체면에서 촬상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후술함)에 촬상 장치(100)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촬상 장치(100)를 바코드 리더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하측 원반부(62)의 톱니바퀴는, 구동력 전달 부재(8)의 하측 외주부에 형성된 평톱니바퀴부(도시 생략)에 맞물려 있다.
또한, 구동력 전달 부재(8)에는, 평톱니바퀴부와 동심에서 이 평톱니바퀴부보다도 상측에 원통니(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원통니가 구동 모터(7)의 출력축에 부착 고정된 웜(71)에 맞물려 있다.
여기에서, 구동력 전달 부재(8)의 회전 방향은, 렌즈부(4)를 원방 촬상 위치로부터 지근 촬상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웜(71)과 원통니의 맞물림에 의해 당해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에 눌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렌즈 부(4)는 가압 부재(11)에 의해 광원측으로부터 기판(2)측으로 눌러져 있기 때문에,AF 영역(61e)에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눌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회전시킨 쪽이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 향상면에서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렌즈부(4)의 인출 시에 오토 포커스 처리(후술함)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렌즈부(4)를 인출시킴으로써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눌러지도록 원통니를 설치하고, 렌즈부(4)를 넣을 때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렌즈부(4)를 넣음으로써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눌러지도록 원통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모터(7)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 등의 펄스 모터이며, CPU(10a)로부터 출력되고 입력된 펄스에 기초하여 로터를 소정의 각도씩 스텝 구동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웜(71) 및 구동력 전달 부재(8)를 통해 캠 부재(6)를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소정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어 있다.
포토 인터럽터(9)는, 검출 수단으로서, 검지용 날개 부재(54)를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10)에 전송 가능한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투광기(도시 생략)와, 조사된 적외선을 수광하여, 수광 결과에 의해 제어부에 출력하는 펄스 신호를 변화시키는 수광기(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투광기와 수광기의 사이, 즉, 적외선의 광로에 검지용 날개 부재(54)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서 투광기로부터 수광기를 향하여 적외선이 조사되면, 적외선은 검지용 날개 부재(54)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수광기는 적외선을 수광하지 않는다. 이 때, 포토 인터럽터(9)는, L 레벨의 펄스 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한다. 한편, 적외선의 광로에 검지용 날개 부재(54)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외선이 조사되면, 조사된 적외선은 수광기에 의해 수광되고, 포토 인터럽터(9)는, H 레벨의 펄스 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캠 부재(6)가 광축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상측 캠부(61)의 캠면(611)을 따라 접촉부(53a)가 미끄럼 이동하면서 대단차 영역(61f)을 이동할 때에 포토 인터럽터(9)로부터 제어부(10)에 출력되는 펄스 신호에 관하여 설명한다.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을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포토 인터럽터(9)의 광로에 위치한 검지용 날개 부재(54)가 해당 광로로부터 벗어나, 이것을 계기로 포토 인터럽터(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레벨을,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절환할 수 있다.
즉, 포토 인터럽터(9)는,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에 도달하면, 검지용 날개 부재(54)가 적외선의 광로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위치하지 않은 상태로 변화함으로써, 검출 신호로서, H 레벨의 펄스 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에 도달함으로써 출력되는 H 레벨의 펄스 신호를 기준 펄스 신호로서, 기준 펄스 신호 발생으로부터의 모터의 펄스 신호의 수(펄스수)를 계수함으로써, 접촉부(53a)의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검지용 날개 부재(54)를 통해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기 때문에 검출 위치는, 포토 인터럽터(9)와 검지용 날개 부재(54)와의 상대적인 고저차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검지용 날개 부재(54) 등의 각 부재의 치수 오차나 조립 정밀도 등에 의해 촬상 장치(100)마다 다르기 때문에, 촬상 장치(100)의 개체사이에서, 기준 펄스 신호가 출력되는 검출 위치에 오차 범위 σ가 생기게 된다.
여기에서, 「오차 범위 σ」란, 포토 인터럽터(9)에 의해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에 도달한 것이 검출될 때에, 촬상 장치의 개체 사이에서 생기는 검출 위치의 변동의 범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1)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중앙 위치)(P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촉부(53a)가 검출되도록, 검지용 날개 부재(54)나 포토 인터럽터(9)의 치수나 조립을 조절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오차 범위 σ」는, 적어도, 대단차 영역(61f)과 지근 영역(61d)의 경계에 접촉부(53a)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촉부(53a)가 검출되는 검출 위치(P2)와 중앙 위치(P1)의 오차인 검출 오차 σ1과, 대단차 영역(61f)과 기준 영역(61a)의 양방에 접촉부(53a)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촉부(53a)가 검출되는 검출 위치(P3) 중앙 위치(P1)의 오차인 검출 오차 σ2로 이루어지는 범위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각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특성 등에 의해 검출 오차 σ3, σ4가 생기는 경우에는, 해당 검출 오차 σ3 및 σ4를 포함하는 범위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개체 사이에서 생기는 최대 오차 범위로서, 오차 범위 σ5가 생기게 된다.
여기에서, 캠면(611)을 구성하는 각 영역의 길이는,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며, 또한, 기준 영역(61a)은 과무한원 영역(61b)의 약 2배의 길이를 구비하고,AF 영역(61e)은, 과무한원 영역(61b)의 약 3배의 길이를 구비하고, 소단차 영역(61c)의 길이는 어느 하나의 영역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의 길이는, 오차 범위 σ5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0a)와 RAM(10b)과, 기억부(10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 촬상 소자(3), 구동 모터(7), 포토 인터럽터(9)는 버스(B)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Oa)는, 당해 촬상 장치(1OO)를 구성하는 각 부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것이며, 기억부(1Oc)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10b)의 작업 영역에 전개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1Ob)는, CPU(10a)의 제어하에서 기억부(10c)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저장 영역이나 작업 영역 등을 구성하고 있다.
기억부(1Oc)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나 EEPROM(Electronic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PU(1Oa)의 제어하에서 실행 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의 처리에 따른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0c)는, 예를 들면 오토 포커스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오토 포커스 처리 프로그램은, CPU(10a)에, 오토 포커스 처리 수단으로서, 피사체의 촬상 시에, 구동 모터(7)의 구동을 제어시켜 렌즈부(4)를 보유 지지하는 외통부(5)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렌즈부(4)의 합초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 오토 포커스 처리는, 예를 들면 CPU(10a)의 제어하에서, 캠 부재(6)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캠면(611)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부(4)를 원방 촬상 위치와 지근 촬상 위치의 사이를 이동시키면서,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 간다. 그리고, CPU(10a)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복수의 초점 조정 위치에서의 특정 주파수 해석을 행함으로써 취득한 주파수 해석 데이터를 RAM(10b) 내에 순차적으로 저장해 간다. 또한,CPU(10a)는, RAM(10b)에 저장된 주파수 해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의 초점 조정 위치에 있어서의 그 피사체의 광학상의 합초 상태를 평가하여, 평가값이 가장 좋은 촬상 위치를 합초 위치로 규정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CPU(10a)는, 구동 모터(7)를 정회전시켜, 렌즈부(4)를 원방 촬상 위치부터 지근 촬상 위치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평가값이 가장 좋은 촬상 위치를 찾아낸 후, 구동 모터(7)를 역전시킴으로써 캠 부재(6)를 역전시켜 렌즈부(4)를 지근 촬상 위치부터 원방 촬상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재차, 구동 모터(7)를 정회전시켜, 렌즈부(4)를 평가값이 가장 좋은 촬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구동 모터(7)의 역전에 의해 생기는 백래시를 고려하여 이 백래시분 많게 복귀하도록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크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10a)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지근 영역(61d)에 렌즈부(4)를 이동시킨다.
또한,오토 포커스 처리에서는, 렌즈부(4)를 원방 촬상 위치부터 지근 촬상 위치까지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캠 부재(6)의 캠면(611)에 형성된 하나의 AF 영역(61e)보다도 다음의 AF 영역(61c)에서의 화상의 캡쳐를 행하는 스텝 수가 세세하게 되도록 변경해도 된다. 즉, 하나의 AF 영역(61e)에서 평가값이 좋은 촬상 위치의 목표를 탐색하여, 이 목표로 되는 촬상 위치까지의 기준 영역(61a)으로부터의 펄스수를 기억해 두고, 해당 펄스 수에 기초하여 다음의 AF 영역(61e)에서 목표로 되는 촬상 위치의 부근에서 화상의 캡쳐를 세세하게 행함으로써, 광학상의 합초 상태의 평가를 보다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촬상 장치의 기동 시에는, 캠부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점부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회의 구동 종료 시의 상태에 의하지 않고 기점부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제어로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캠부는 종점을 갖지 않는 회전 형상이기 때문에, 포토 인터럽터(9)가 기점부를 검출하지 않거나 함으로써 에러가 생겨도, 캠부의 구조체에 데미지를 주지는 않는다.
다음에 상기 촬상 장치(100)를 일례로 하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100)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절첩식의 휴대 전화기(T)이며,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케이스(12a)와,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케이스(12b)가 힌지(12c)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촬상 장치(100)는, 상부 케이스(12a)의 내표면측(표시 화면(D)을 갖는 측)의 표시 화면(D)의 하방에 내장되어 있으며, 촬상 장치(100)가 상부 케이스(12a)의 외표면으로부터 광을 받아 들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T)에 촬상 장치(100)를 내장해도, 휴대 전화기(T)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피사체의 촬상을 피사체와의 거리나 촬상 환경등에 대응시켜 보다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부가 가치가 높은 휴대 전화기(T)로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T)의 그 밖의 구성 요소는, 공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외통부(5)에 설치된 접촉부(53a)가,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접촉하여 이루어지고, 해당 캠면(611)에 있어서의 대단차 영역(61f)이 접촉부(53a)에 도달하면, 포토 인터럽터(9)에 의해 검출되게 된다. 그리고, 대단차 영역(61f)을 기점으로 하는 캠면(611)에 있어서의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의 길이가,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포토 인터럽터(9)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의 길이로 된다.
이에 의해, 포토 인터럽터(9)에 의한 검출 위치가 촬상 장치마다 변동되었다고 해도,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의 길이가 해당 오차 범위 길이보 다도 길기 때문에, 접촉부(53a)를 캠면(611) 상의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00)마다 상이한 검출 위치의 오차를 메모리에 기억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용이하고, 또한 저코스트로,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검출 위치의 변동에 의한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검출 위치가 변동됨으로써, 지근 영역(61d)에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이 오차 범위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특별히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행하지 않고, 접촉부(53a)를 과무한원 영역(61b) 및 지근 영역(61d)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오토 포커스 처리를 더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과무한원 영역(61b)이 있음으로써, 온도 변화가 생긴 경우에도, 무한원 영역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어, 더욱 적합하게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0)가, 피사체의 촬상 시에, 렌즈부(4)의 합초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렌즈부(4)를 촬상 소자(3)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 부재(6)의 캠면(611)은, 고정 초점에서 피사체를 촬상할 때에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 렌즈부(4)를 촬상 소자(3)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과무한원 영역(61b)과 지근 영역(61d)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 영역(61a)과, 오토 포커스 처리에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61e)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 초점에서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캠 부재(6)를 회동시켜 그 캠면(611)의 기준 영역(61a)에 촬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접촉시킴으로써, 렌즈부(4)의 촬상 소자(3)에 대한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고정 초점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에서,AF 영역(61e)의 지근 영역(61d)측과 과무한원 영역(61b)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렌즈부(4)를 위치 결정하여 촬상하는 구성의 것에 비하여 렌즈부(4)의 위치 결정에 따른 제어를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캠면(611)에 설치된 기준 영역(61a)을 기준으로 하여,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 원방 위치 및 지근 위치에 렌즈부(4)를 적정하게 합초하도록 렌즈부(4)를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 렌즈부(4)에 의해 결상되는 광학상이 촬상 소자(3) 상에서 적정하게 합초되면서, 캠면(611)의 AF 영역(61e)에 접촉부(53a)를 접촉시키면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렌즈부(4)를 광축 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AF 영역(61c)의 소정 위치나, AF 영역(61e)의 소정 위치부터 지근 영역(61d)이나 과무한원 영역(61b)까지의 구동 모터(7)의 펄스 신호 수를 기억해 두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렌즈부(4)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 시에 소비되는 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동시에,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부(4)의 과초점 위치 등의 기준으로 되는 소정 위치나, 구동 모터(7)의 펄스 신호 수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해당 촬상 장치(100)의 소형화 및 코스트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영역(61a)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가 접촉되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해당 외통부(5)에 대하여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렌즈부(4)의 합초 상태를 조정하는 합초 상태 조정 기구를 구비하므로, 해당 합초 상태 조정 기구에 의해 렌즈부(4)의 합초 상태의 조정을 간편하고,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캠부재(6)는, 대략 등간격을 두도록 하여 3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점으로 외통부(5)를 보유 지지하므로, 합초 상태 조정 기구에 의한 렌즈부(4)의 합초 상태의 조정 시에 렌즈부(4)의 지지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즉, 렌즈부(4)의 기울기를 억제하는, 예를 들면 가이드와 같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렌즈부(4)의 무게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다점으로 유지하기 위해, 충격에 강한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촬상 장치(100)를 휴대 전화기(T)에 내장함으로써도, 용이하고 또한 저코스트로, 촬상 장치(100)의 개체차에 기인하는 검출 위치의 변동에 의한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AF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촬상 장치(100)이어도, AF 처리에 따른 구성 부분 이외의 구조, 즉, 렌즈부(4)의 조립 구조나 해당 렌즈부(4)의 기준 촬상 위치에 있어서의 합초 상태의 조정 기구 등을 상기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0)와 공통화함으로써, 렌즈부(4)의 조립이나 해당 렌즈부(4)의 합초 상태의 조정 등의 작업을 대략 마찬가지로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통부(5)의 하측 고리 형상부(53)에 3개의 접촉부(53a, …)를 설치하고, 이들 접촉부(53a)를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접촉시킴으로써 해당 캠 부재(6)에 의해 외통부(5)를 3점으로 지지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통부(5)의 지지는 적어도 1점으로 행해지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캠면(611)에 과무한원 영역(61b)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과무한원 영역(61b)을 형성할지의 여부는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토 인터럽터(9)가 검지용 날개 부재(54)를 검출함으로써, 대단차 영역(61f)에 접촉부(53a)가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했지만, 접촉부(53a)가 대단차 영역(61f)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캠 부재(6)를 구성하는 상측 캠부(61)의 측면의 소정 위치에 반사 부재를 배치하고, 해당 상측 캠부(61)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포토 리플렉터 등의 센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포토 리플렉터에 의해 조사되고,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포토 리플 렉터가 수광함으로써, 대단차 영역(61f)에 접촉부(53a)가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또한, 구동 수단으로서는 구동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압전 소자나 형상 기억 합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부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어느 한쪽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촬상 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당해 촬상 렌즈의 합초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캠부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당해 캠부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쪽의 일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접촉되는 캠면이 형성되고, 당해 캠면은, 상기 오토 포커스 처리에서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과, 당해 AF 영역의 전후에 연속하여 설치된 두개의 수평부와, 당해 캠면에 있어서의 기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기점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탄부의 길이는, 당해 촬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수평부는, 과초점 위치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원방 영역과 지근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방 영역을 구성하는 수평부는, 과무한원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의 캠면은, 고정 초점에서 촬상할 때에 상기 촬상 렌즈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두개의 수평부를 원방 영역과 지근 영역으로 하여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수평한 기준 위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부는, 상기 경사부의 도중에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부는 당해 촬영 장치의 개체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위치의 오차 범위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기준 위치부, 상기 원방 영역, 상기 AF 영역, 상기 지근 영역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부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어 상기 촬상 렌즈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당해 촬상 렌즈를 상기 유지 부재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촬상 렌즈의 합초 상태를 조정하는 합초 상태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 및 상기 접촉부는,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대략 등간격을 두도록 하여 3점 이상의 복수점으로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상 장치를, 기기 본체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77017111A 2005-01-31 2006-01-27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70110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4056 2005-01-31
JPJP-P-2005-00024056 2005-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003A true KR20070110003A (ko) 2007-11-15

Family

ID=3674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111A KR20070110003A (ko) 2005-01-31 2006-01-27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6080443A1 (ko)
KR (1) KR20070110003A (ko)
CN (1) CN101107555B (ko)
WO (1) WO2006080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1423A (ja) * 2007-02-05 2008-08-21 Sharp Corp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JP5831158B2 (ja) * 2011-11-18 2015-12-09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汎用交換レンズ
CN103713375B (zh) * 2013-12-12 2016-05-25 东莞市南星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定焦镜头对焦的自动调节治具及其调节方法
JP6316979B2 (ja) * 2014-10-16 2018-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568A (ja) * 1993-11-05 1995-05-19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3380049B2 (ja) * 1994-06-21 2003-02-2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H08292351A (ja) * 1995-04-25 1996-11-05 Minolta Co Ltd レンズバリア付きカメラ
JP3746574B2 (ja) * 1996-08-12 2006-0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レンズ装置
JP2005077826A (ja) * 2003-09-01 2005-03-24 Minolta Co Ltd カメラユニット
JP2005128116A (ja) * 2003-10-22 2005-05-19 Seiko Precision Inc 光学モジュール
KR20050067081A (ko) * 2003-12-26 2005-06-3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모듈 및 이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6039480A (ja) * 2004-07-30 2006-02-09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80443A1 (ja) 2008-06-19
WO2006080443A1 (ja) 2006-08-03
CN101107555B (zh) 2010-10-06
CN101107555A (zh)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802B2 (en) Lens apparatus and camera
US7630624B2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focusing function
US7667897B2 (en) Dual lens optical system and dual lens camera having the same
US7817353B2 (en) Zoom lens barrel assembly
JPWO2005019897A1 (ja) 撮像装置
JP2006178392A (ja) 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用光学レンズアセンブリ
KR101586242B1 (ko) 자동초점 장치와 손떨림 보정장치가 분리된 카메라 모듈
KR20070110003A (ko)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100086291A1 (en) 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045577A (ko)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JP2011022566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06171449A (ja) 撮像装置及び電子カメラ
JP5538763B2 (ja) 光学機器
JP200510219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070475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調整装置および組立調整方法
KR20150097402A (ko) 렌즈 경통 및 촬상장치
JP3912365B2 (ja) レンズ移動機構、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WO2006080305A1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31016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KR2022001097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JP4427725B2 (ja) 撮像装置
JP2002189163A (ja) 光学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2006267617A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3092385A1 (en) Optical member driv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KR100620591B1 (ko) 줌과 포커싱 기능을 갖는 렌즈 광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