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188A -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188A
KR20150088188A KR1020150007482A KR20150007482A KR20150088188A KR 20150088188 A KR20150088188 A KR 20150088188A KR 1020150007482 A KR1020150007482 A KR 1020150007482A KR 20150007482 A KR20150007482 A KR 20150007482A KR 20150088188 A KR20150088188 A KR 2015008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coating
spacer
film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706B1 (ko
Inventor
다카시 야마구치
료치 히가시
아키히로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도포막의 폭 방향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적게 하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매니폴드로부터 도포액이 통과하는 슬릿 (16) 을 통해서 도포액을 토출하는 도포액 토출구 (16A) 와, 슬릿 (16) 의 유로 폭을 규제하는 스페이서 (24) 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 (10) 를 사용하여, 도포액 토출구 (16A) 를 지지체 (22) 를 향하여 배치하고, 도포액을 지지체에 도포하는 익스트루전 도포에 의한 도포 공정을 갖고, 스페이서 (24) 의 도포액 토출구측은,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폭 방향 단부가 두껍게 도포되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이다.

Description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AND EXTRUSION COATING DEVICE}
본 발명은,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포막의 폭 방향 단부 (端部) 가 두껍게 도포 (厚塗布) 되는 (막두께가 두꺼워지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는, 슬롯다이 내의 포켓부에 공급한 도포액을, 포켓부에서 도포 폭 방향 (웨브 폭 방향과 동일) 으로 넓게 흘리고, 포켓부에 연통되는 아주 좁은 (狹隘) 간극을 갖는 슬릿 선단으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한다. 한편, 도포액이 도포되는 웨브 (지지체) 는, 백업 롤러에 걸어 감겨 주행함과 함께, 슬롯다이 선단과 웨브 사이의 립 클리어런스에 슬릿 선단으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의 비드 (도포액 고임) 를 형성하고, 이 비드를 개재하여 웨브에 도포액을 도포한다. 또한, 웨브에 도포되는 도포액의 도포 폭은, 슬릿의 폭 방향 (웨브 폭 방향과 동일) 의 양단부에 삽입된 스페이서끼리의 거리에 따라 규제된다.
이러한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에서, 도포 폭의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종래의 직선 테이퍼 형상 스페이서를 사용하면, 점성 전단력에 의해 도포막의 단부 (스페이서 부근) 에서 도포액의 유속이 저하되므로, 도포막의 단부에서 막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넓어지는 막두께 분포가 되어, 제품 유효 폭 내의 품질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단부 막후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토출구 길이 방향으로 도포액 유로가 점차로 넓어지는 형상인 심을 갖는 도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53199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도포 장치에 있어서도, 도포막의 폭 방향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이 넓어지는 것은 해소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포막의 폭 방향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좁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속 주행하는 띠상의 지지체 상에 도포액의 도포를 실시하고,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도포막의 폭 방향 단부가 두껍게 도포되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포액이 공급되는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도포액이 통과하는 슬릿을 통해서 도포액을 토출하는 도포액 토출구와, 슬릿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슬릿의 유로 폭을 규제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액 토출구를 지지체를 향하여 배치하고, 도포액을 지지체에 도포하는 익스트루전 도포에 의한 도포 공정을 갖고,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은,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슬릿의 스페이서 부근의 유속은 점성 전단에 의해 저하된다. 종래의 직선 스페이서는, 유로 폭이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점성 전단의 영향을 억제할 수 없고, 유속 분포가 브로드해지고,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도 넓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은,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의 도포액 토출구에서 도포액이 흐르는 방향을 갑자기 슬릿의 내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부근을 흐르고 있던 도포액을 제조되는 도포막의 단부에만 흘릴 수 있기 때문에, 도포막의 단부만 막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은, R 형상의 곡률 반경이 2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R 형상의 곡률 반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스페이서 부근의 점성 전단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고, 도포막의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은, 도포액의 점도가 0.5 × 10-3 ㎩·s 이상 2 × 10-2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포액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점성이 낮고, 점성 전단의 영향을 받기 쉬운 도포액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포액이 공급되는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도포액이 통과하는 슬릿을 통해서 도포액을 토출하는 도포액 토출구와, 슬릿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슬릿의 유로 폭을 규제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은,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이,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성되는 도포막의 단부에만 스페이서 부근의 도포액을 흘릴 수 있다. 따라서, 도포막의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에 의하면, 사용하는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이,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액 토출구 부근에 있어서, 흐름을 단부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막의 단부만 막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두껍게 도포된 영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 는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 은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스페이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종래의 스페이서 및 제 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포막의 단부의 막두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의 형상의 도면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의 형상의 도면이다.
도 9 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스페이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의 구성>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이하, 간단히 「도포 장치」라고도 한다) (10) 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 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3 은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다이 (12) 는, 헤드 내부에 포켓부 (14) 와, 그 포켓부 (14) 에 연통되는 협애한 슬릿 (16) 이 형성됨과 함께, 슬릿 (16) 선단의 도포액 토출구 (16A) 가 헤드 선단의 대략 평탄한 립면 (18) 에 개구된다. 포켓부 (14) 가 관통한 양단 개구부는 슬롯다이 (12) 의 양단면에 형성되는 측판 (30, 32) 에 의해 폐색된다.
그리고, 일방의 측판 (32) 을 관통하여 도포액을 포켓부 (14) 에 보내는 송액 라인 (31) 에 접속된다. 또, 포켓부 (14) 에 도포액을 보내는 방법으로는, 포켓부 (14) 의 타단측을 폐색하여 일방측으로부터 공급하는 것 이외에, 포켓부 (14) 의 중앙부로부터 공급하여 양측에 분류시키는 타입, 포켓부 (14) 의 일방측으로부터 공급하고 타방향으로부터 인발하는 타입이 있고, 어느 것을 적용해도 된다.
도 1 ∼ 3 에 있어서는, 백업 롤러 (20) 가 슬롯다이 (12) 의 립면 (18) 에 대향하여 근접 배치되고, 도포액 (L) 이 도포되는 지지체 (웨브) (22) 가 백업 롤러 (20) 에 걸어 감아 지지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연속 주행한다. 다이 선단의 립면 (18) 과 백업 롤러 (20) 상에 걸어 감긴 지지체 표면의 간극은, 통상 30 ㎛ ∼ 300 ㎛ 의 범위에서 설정되고, 도포 두께, 도포 속도, 도포액 (L) 의 물성 (점도 등), 비드 감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지지체 (22) 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는, 백업 롤러 (20) 에 걸어 감아 지지되어 연속 주행하는 지지체 (22) 와, 도포 장치 (10) 의 립면 (18) 을 근접 배치하고, 도포액을 도포 장치 (10) 의 도포액 토출구 (16A) 로부터 토출하고, 립면 (18) 과 지지체 (22) 사이에 가교하여 형성된 비드를 개재하여, 지지체 (22) 에 도포액을 도포한다. 도포액을 도포할 때, 도포 위치보다 지지체의 주행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감압을 실시하고 부압 (負厭) 상태로 하여 도포액의 도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도포막의 막두께의 박막화, 동반 에어의 흡인을 실시할 수 있다. 감압도로는 -50 ㎩ ∼ -50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 -3000 ㎩ 의 범위 내이다.
또, 지지체 (22) 에 도포되는 도포액 (L) 의 도포 폭 (A)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16) 의 폭 방향 (지지체 폭 방향과 동일) 의 양단부에 삽입된 한 쌍의 스페이서 (24) 끼리의 간격 (거리) 에 따라 규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액 토출구 (16A) 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스페이서 (24) 끼리의 간격 (C) 에 따라 규제된다.
그리고, 슬롯다이 (12) 의 포켓부 (14) 에 공급된 도포액은, 포켓부 (14) 에서 지지체 폭 방향으로 확대되어 흐른 후, 슬릿 (16) 을 상승하여 도포액 토출구 (16A) 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도포액은, 도포 헤드의 립면 (18) 과, 그 립면 (18) 에 근접하여 주행하는 지지체 (22) 사이에서 비드를 형성하면서 지지체 (22) 에 도포된다. 즉, 슬릿 선단의 도포액 토출구 (16A) 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의 토출력과 지지체 (22) 가 도포 헤드 선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밸런스된 상태로 도포액이 지지체에 도포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면에 극박의 도포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 (24) 는, 슬릿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지지체에 도포되는 도포 폭을 규제한다. 스페이서 (24) 는, 매니폴드측으로부터 지지체 (22) 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은, 도포액 토출구 (16A) 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스페이서의 원호가 오목부가 되도록 R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 R 형상의 개시 위치는, 도포액 토출구로부터의 거리가, R 형상의 곡률 반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R 형상의 곡률 반경과 동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 형상의 개시 위치를, 토출구로부터의 거리를 R 형상의 곡률 반경 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도포막의 단부 방향으로 도포액을 흘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R 형상의 개시 위치는, 토출구로부터의 거리가 5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 형상이란, 진원 또는 타원의 원호 형상을 나타내지만,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테이퍼각이 변화되어 형성되어 전체로서 R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테이퍼각」이란, 스페이서의 테이퍼부의 연장선과, 한 쌍의 스페이서로 형성되는 도포액 토출구가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또, 가공의 용이성에서 타원이 바람직하고, 진원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24) 의 도포액 토출구측을 R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 (24) 와 도포액의 계면에 있어서의 점성 전단의 영향에 의해 스페이서 (24) 부근의 유속이 저하되어도, 도 1 중의 도포 폭 (A) 의 단부를 향하여, 도포 폭 (A) 보다 넓은 한 쌍의 스페이서 (24) 끼리의 간격 (B) 부터 도포액의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24) 와 도포액의 계면에 있어서의 점성 전단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고, 단부에 도포액을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포막의 두껍게 도포된 폭을 좁힐 수 있다.
또, 도 1 ∼ 3 에 있어서는, 지지체 주행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립면을 갖는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로 설명했지만, 립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만 립면이 형성되어 있는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지지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필름, 수지판, 수지 시트,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도포액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용 도포액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액의 점도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 10-3 ㎩·s 이상 2 × 10-2 ㎩·s 이하의 저점도의 도포액을 사용한 경우에, 도포막 단부의 막두께가 두꺼워지기 쉽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도포막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고, 효과적이다. 또, 도포액의 점도는, 0.8 × 10-3 ㎩·s 이상 1 × 10-2 ㎩·s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포액의 점도는, 신장 점도의 수치이고, 예를 들어,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도포액의 점도는, 신장 점도의 수치이고, 예를 들어, B 형 점도계 (브룩필드 점도계) 를 사용하여, 정법 (定法)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는, 종래의 테이퍼 형상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R 형상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포액의 유속은, 스페이서와 도포액의 계면에 있어서의 점성 전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스페이서 부근의 도포액의 유속은, 이 점성 전단에 의해 느려진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테이퍼 형상의 스페이서 (324) 에 있어서는, 테이퍼 형상의 부분이 길기 때문에, 폭 방향에 대하여 도포막의 단부에 있어서 넓은 영역에 도포액이 집중하고, 도포막의 단부에서 막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넓어진다. 따라서, 두껍게 도포된 영역이 넓어지므로, 생산성이 나빠진다. 한편,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R 형상의 스페이서 (24) 에 있어서는,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을 R 형상으로 넓히고 있다. 즉, 도포 직전에 유로 폭을 좁히고 있기 때문에, 도포막의 단부만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고, 단부만 도포막을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단부의 막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좁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은, 종래의 스페이서 및 제 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포막의 단부의 막두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직선 테이퍼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형성된 도포막에 비해, 제 1 실시형태의 선단 R 형상 스페이서로 형성된 도포막은, 도포막의 단부로부터의 막두께가 두꺼운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 (두껍게 도포된 폭)」이란, 필름의 중앙부를 포함하고, 도포 폭의 ±0.5 % 범위의 도포막의 막두께의 평균값에 대하여, 막두께가 +2 % 이상인 단부로부터의 영역을 의미한다.
스페이서 (24) 의 R 형상의 곡률 반경으로는, 2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 형상의 곡률 반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도포액을 도포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제조되는 도포 필름의 단부 부근에만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고,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페이서 (124) 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스페이서 (124) 는, 도포액 토출구를 향하여 R 형상의 곡률 반경이 단계적으로 작게 되어 있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 (24) 와 상이하다. R 형상의 곡률 반경을 단계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스페이서의 R 형상의 접선과 도포액 토출구로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액을 도포막의 단부에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된 필름의 단부측에 도포액을 샤프한 유속으로 흘릴 수 있고, 제조된 필름 단부의 두껍게 도포된 부분의 영역을 좁힐 수 있다.
또, 곡률 반경에 대해서는, 각각의 R 형상의 부분의 곡률 반경이 20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도포 필름의 두껍게 도포된 폭을 좁힐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페이서 (224) 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스페이서 (224) 는, 도포액 토출구를 향하여,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 각도 (α) 가 단계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 (24) 와 상이하다. 테이퍼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스페이서의 도포액 토출구측을 R 형상으로 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 각도는, 적어도 3 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포 방법]
실시예에서 사용한 지지체, 도포 헤드, 도포 조건, 도포액은 다음과 같다.
지지체는, 폭 800 ㎜, 두께 15 ㎛ 의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사용하였다.
도포 헤드는, 슬릿 폭이 1000 ㎜, 슬릿 간격 0.15 ㎜, 지지체 반송 방향 상류측의 립면 길이 350 ㎛ 의 익스트루전형 (E 형 기서) 의 도포 헤드를 사용하였다.
도포액은 반사 방지막의 저굴절률층용 도포액을 사용하였다. 이 도포액의 굴절률은 1.42 이고, 열가교성 함불소 폴리머의 6 중량% 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JN-7228, JSR (주) 제조) 93 g 에, MEK-ST (평균 입경 10 ㎚ ∼ 20 ㎚, 고형분 농도 30 중량% 의 SiO2 졸의 메틸에틸케톤 분산물, 닛산 화학 (주) 제조) 8 g, 메틸에틸케톤 94 g 및 시클로헥사논 6 g 을 첨가, 교반 후, 구멍 직경 1 ㎛ 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 (PPE-01) 로 여과하여, 저굴절률층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백업 롤러에 걸어 감아 지지되어 있는 연속 주행하는 지지체에, 익스트루전형 도포 헤드를 사용하여, 도포폭을 700 ㎜, 건조 막두께를 1 ∼ 20 ㎛ 가 되도록,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도포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포할 때, 스페이서의 R 형상의 곡률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제조되는 필름 단부의 막두께를 제어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종래의 테이퍼 형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스페이서의 종류, 형상을 도 9 및 표 1 에 나타낸다. 직선 형상의 테이퍼 스페이서에 있어서는, 도포액 토출구로부터 50 ㎜ 의 위치로부터 테이퍼가 형성되고 있고, 테이퍼의 각도는,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액 토출구와 테이퍼가 이루는 각 (α) 이, 표 1 이 되도록 테이퍼를 형성하였다. R 형상 스페이서에 대해서는, 도포액 토출구로부터 곡률 반경 R 의 거리 및 폭으로, R 형상을 형성하였다 (도 9(b)).
[평가 방법]
제조된 도포 필름의 막두께를 광간섭 막두께계로 측정하고, 도포 단부로부터 정상부 (定常部) (일정한 막두께부) 의 폭 (귀폭 (에지폭), 두껍게 도포된 폭) 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두껍게 도포된 폭은,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귀폭>
A … 단부로부터의 두껍게 도포된 영역이 도포 폭의 2 % 미만
B … 단부로부터의 두껍게 도포된 영역이 도포 폭의 2 % 이상 5 % 미만
C … 단부로부터의 두껍게 도포된 영역이 도포 폭의 5 % 이상
또, 두껍게 도포된 영역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고, 도포 폭의 ±0.5 % 범위의 도포막의 막두께의 평균값에 대하여, 막두께가 +2 % 이상인 단부로부터의 영역을 의미한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R 형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직선 테이퍼 형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두껍게 도포된 폭을 좁힐 수 있었다.
10 :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12 : 슬롯다이
14 : 포켓부
16 : 슬릿
16A : 도포액 토출구
18 : 립면
20 : 백업 롤러
22 : 지지체 (웨브)
24, 124, 224 : 스페이서
30, 32 : 측판
31 : 송액 라인
α : 테이퍼각

Claims (4)

  1. 연속 주행하는 띠상의 지지체 상에 도포액의 도포를 실시하고,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도포막의 폭 방향 단부가 두껍게 도포되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포액이 공급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도포액이 통과하는 슬릿을 통해서 상기 도포액을 토출하는 도포액 토출구와, 상기 슬릿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유로 폭을 규제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도포액 토출구를 지지체를 향하여 배치하고, 상기 도포액을 상기 지지체에 도포하는 익스트루전 도포에 의한 도포 공정을 갖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도포액 토출구측은, 상기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 형상의 곡률 반경이 20 ㎜ 이상 100 ㎜ 이하인,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의 점도가 0.5 × 10-3 ㎩·s 이상 2 × 10-2 ㎩·s 이하인,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4. 도포액이 공급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도포액이 통과하는 슬릿을 통해서 상기 도포액을 토출하는 도포액 토출구와, 상기 슬릿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유로 폭을 규제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도포액 토출구측은, 상기 유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R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KR1020150007482A 2014-01-23 2015-01-15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KR102281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0221 2014-01-23
JP2014010221A JP6030078B2 (ja) 2014-01-23 2014-01-23 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188A true KR20150088188A (ko) 2015-07-31
KR102281706B1 KR102281706B1 (ko) 2021-07-23

Family

ID=5376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482A KR102281706B1 (ko) 2014-01-23 2015-01-15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30078B2 (ko)
KR (1) KR102281706B1 (ko)
TW (1) TW20153641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199A (ja) 1998-11-24 2000-06-06 Toray Ind Inc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1170542A (ja) * 1999-12-20 2001-06-26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装置
JP2004283779A (ja) * 2003-03-25 2004-10-14 Hirata Corp 液体塗布装置および液体塗布方法
KR20080070549A (ko) * 2007-01-25 2008-07-30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릿 다이 및 심
JP2012160735A (ja) * 2005-05-30 2012-08-23 Tokyo Electron Ltd 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
JP2013215644A (ja) * 2012-04-05 2013-10-24 Fujifilm Corp 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3882B2 (ja) * 1996-03-22 2006-07-05 東レ株式会社 塗布装置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0264329A (ja) * 2009-05-12 2010-11-25 Panasonic Corp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12179502A (ja) * 2011-02-28 2012-09-20 Nordson Corp スロットノズル組立体及びシム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199A (ja) 1998-11-24 2000-06-06 Toray Ind Inc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1170542A (ja) * 1999-12-20 2001-06-26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装置
JP2004283779A (ja) * 2003-03-25 2004-10-14 Hirata Corp 液体塗布装置および液体塗布方法
JP2012160735A (ja) * 2005-05-30 2012-08-23 Tokyo Electron Ltd 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
KR20080070549A (ko) * 2007-01-25 2008-07-30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릿 다이 및 심
JP2013215644A (ja) * 2012-04-05 2013-10-24 Fujifilm Corp 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30078B2 (ja) 2016-11-24
JP2015136667A (ja) 2015-07-30
TW201536416A (zh) 2015-10-01
KR102281706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7189B1 (en) Application apparatus, applica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b having coating film
US201200279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fluid
JPS6320069A (ja) 塗布装置
JP5085046B2 (ja) 塗布液の塗布方法、それに用いる塗布装置及びその設計方法
JP2003260400A (ja) 塗布方法及び装置
KR20150085785A (ko)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젼 도포 장치
KR102491325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JP2004305955A (ja) スロットダイおよびスロットダイ塗布装置
JP2007237128A (ja) 塗布方法及び装置
JP2011200831A (ja) エクストルージョン塗布装置及び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50088188A (ko) 도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익스트루전 도포 장치
EP2105210A2 (en) Coating method and coating device
JPH03202171A (ja) 塗布装置
JP2006272130A (ja) 塗布液の塗布方法、塗布液の塗布装置、光学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6593093B2 (ja) 塗布装置、塗工装置および塗膜付ウェブの製造方法
JP2019217483A (ja) 塗布ノズル
JP2006255660A (ja) 塗布方法及び装置
JP5605098B2 (ja) カーテン塗布装置及びカーテン塗布方法
JP2003200097A (ja) 塗布方法及びスロットダイ
JPH07185434A (ja) 塗布装置
JP2019150799A (ja) 塗布ヘッドおよび塗膜付きウェブの製造方法
JP6027809B2 (ja) スロットダイによる塗膜の塗工方法および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749224B2 (ja) ダイ、ダイ方式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US202400174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uding a fluid material
JP2639670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