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110A - 미립자를 포획하는 브레이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립자를 포획하는 브레이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110A
KR20150082110A KR1020147031640A KR20147031640A KR20150082110A KR 20150082110 A KR20150082110 A KR 20150082110A KR 1020147031640 A KR1020147031640 A KR 1020147031640A KR 20147031640 A KR20147031640 A KR 20147031640A KR 20150082110 A KR20150082110 A KR 20150082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particulates
pad
suction opening
colle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로카-세라
Original Assignee
탈라노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라노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탈라노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5008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31Devices for retaining friction material debris, e.g. dust collector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로터(6); 상기 로터를 멈추게 하기 위해서 상기 로터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마모로 인한 미립자를 배출할 수 있는 마찰제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패드(5); 및 상기 미립자를 빨아들이는 자율 흡입 장치(1); 를 포함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로써, 상기 흡입 장치(1)는: 흡입 개구(11); 미립자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챔버(13); 흡입 개구로부터 수집 챔버로 이어지는 파이프(12); 개구로부터 미립자를 빨아들이고 수집 챔버로 미립자를 불어 넣기 위해서, 로터 상에서 압력을 가하는 롤러(15)의 도움으로 로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임펠러(14);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개구는 패드 및 로터의 가까운 주변에 배열되며, 상기 흡입 장치(1)는 패드의 주변에 통합되어, 미립자의 방출에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미립자를 포획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립자를 포획하는 브레이크 조립체{Brake assembly with particle capture}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또는 기차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마찰 브레이킹(breaking)에 의해 방출된 마모로 인한 미립자 또는 먼지를 흡입으로 포획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립자들은 환경에 배출되었을 때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찰 브레이킹의 마모로 인한 먼지 및 미립자를 포획하기 위한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은 특허 FR2815099 및 US8191691에 개시된다. 이러한 기존의 해결책들은 실행하기에 복잡하고 브레이크 디스크의 적절한 냉각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따라서 브레이크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단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브레이킹으로 인한 먼지 및 미립자를 포획하기 위한 향상된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로터;
상기 로터를 멈추게 하기 위해서 상기 로터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마모로 인한 미립자를 배출할 수 있는 마찰제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패드; 및
상기 미립자를 빨아들이는 자율 흡입 장치; 를 포함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로써,
상기 흡입 장치는:
흡입 개구;
미립자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챔버;
흡입 개구로부터 수집 챔버로 이어지는 파이프;
개구로부터 미립자를 빨아들이고 수집 챔버로 미립자를 불어 넣기 위해서, 로터 상에서 압력을 가하는 롤러의 도움으로 로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개구는 패드 및 로터의 가까운 주변에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로터 표면으로부터 5mm 이내이며,
상기 흡입 장치는 패드의 주변에 통합되어, 미립자의 방출에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미립자를 포획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상기 배열으로, 흡입 장치는 미립자의 방출에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미립자를 포획하며 미립자를 포획하기 위해서 로터를 감싸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에서, 로터 냉각 성능은 흡입 장치의 존재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으며, 따라서 브레이킹 성능은 흡입 장치의 존재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욱이, 흡입 장치의 줄어든 치수들은 로터 주위에 잘 통합되도록 하며, 특히 브레이크 패드의 부근에 잘 통합되도록 한다.
게다가, 흡입 장치의 구성은 매우 간단하다: 상기 배열을 구동하는 임펠러는 유지 보수 및 추가 전원을 요구하지 않는다. 흡입 장치는 추가 파이프 및 추가 연결부가 필요하지 않아 자율적이다; 상기한 특징이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음의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 로터 표면으로부터 흡입 개구의 높이는 0.5mm 내지 2m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mm이다; 이 특징은 포획될 미립자의 양을 최대화 한다.
- 흡입 개구의 원주상 치수는 10mm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4mm이다; 따라서, 브레이킹 성능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 한다.
- 롤러는 패드에 의해 쓸려질 지역의 외부의 로터에 압력을 가한다; 구동 롤러는 패드에 의해 쓸려질 로터 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브레이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 수집 챔버로부터 미립자의 역류를 막기 위한 체크 벨브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역으로 움직일 때 바람직하지 않은 역방향의 작동을 방지한다.
- 임펠러 및 롤러는 동축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치수 및 생산 비용을 최소화 한다.
- 수집 챔버는 섬유 매체의 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든 미립자는 필터에 잡힌다.
- 수집 장치는 지지 브래킷에 의해서 캘리퍼 또는 브레이크 앵커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 수집 장치는 로터를 향해 편향되는 캘리퍼 또는 브레이크 앵커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터 상에 롤러의 베어링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된다.
- 로터 디스크의 반대편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예비 흡입 개구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오직 하나의 임펠러가 디스크의 양 측면을 처리하기 위해서 요구된다.
- 임펠러는 필러를 구비하는 수집 챔버 및 흡입 개구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입펠러가 공기를 필러 안으로 밀기 때문에 흡입 손실이 줄어든다(그리고 공기를 필터로부터 빨아들이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비-제한적 예인 다음의 본 발명의 두 개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흡입 장치(suction device)와 장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brake assembly)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흡입 장치의 부분적인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흡입 지역의 세부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흡입 장치가 장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인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구성에 관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brake assembly)(2)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구성은 자동차, 상업 차량, 트럭, 버스 및 철도차량뿐만 아니라 2륜차에서 매우 흔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서, 브레이크 작동은 휠 림(wheel rim)과는 분명히 다른 휠 또는 액슬 샤프트(axle shaft)의 리지드(rigid)인 "디스크(disc)"로 불리는 로터(rotor)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지하철 또는 통상적인 기차 같은 철도차량에 사용되는, 브레이킹 작동이 직접적으로 휠 림에 적용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드럼 브레이크 같은 다른 구성들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시지역에서, 교통량의 증가로 인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나오는 미립자의양이 증가하고 있다. 의학 연구는 일반적으로 건강 및 사람들의 호흡기관에 상기 미립자들의 독성을 알려준다. 따라서, 환경에서 상기 미립자들의 방출을 상당량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목적도 이와 같다.
가능할 때마다 개선된 현재 브레이크와 같은 마찰 없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하려 노력할 지라도, 마찰 브레이크 시스템은 정지 상태로 차량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속도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에 마찰 브레이크 시스템들은 완전히 제거될 수 없다.
마찰 브레이크는 축(X)에 대하여 회전하는 로터를 기반으로 하며, 패드가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면서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압력을 가한다. 로터의 문제는 이미 상기했듯이 브레이크 기능을 전담하는 디스크 또는 휠 림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브레이크 어셈블리(2)는 정지될 휠(또는 정지될 엑슬의 휠)에 견고하게 고정된 일정한 두께의 디스크의 형상인 로터(6), 및 로터(6)를 멈추기 위해서 로터 상에 축 방향(X)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된 패드(pad)(5)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5)는 브레이크 캘리퍼(brake caliper)(4)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도시된 통상적인 구성에서, 피스톤(7)의 효과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편향될 수 있는 두 개의 패드(5)가 있어, 로터를 양쪽에서 감싸며 휠의 축 방향(X)에 평행한 힘을 생산한다. 도 2에서, 디스크 위에 위치된 요소들만이 나타난다; 제 2 패드는 도시되지 않았다.
각 브레이크 패드(5)(또는 "브레이크슈(brake shoe)")는 마찰력으로 인한 마모로부터 유발되는 미립자들(30)을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마찰재(friction material)(3)을 포함하는 마찰몸체(friction body)(51) 및 금속 베이스(metal base)(50)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들에서, 예컨대 브레이킹이 휠 림의 주변 환형 지역에서 일어나는 통상의 철도차량과 같이, 휠의 축 방향(X)에서 방사상의 힘을 가하는 오직 하나의 패드가 있을 수 있다. 상기된 경우에, 실제로 "캘리퍼"가 아닌 패드 지지대(pad support)(4`)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어셈블리(2)는 브레이킹에 의해서 발생된 마모로 인한 잔여물을 구성하는 먼지 및 미립자를 포획할 수 있는 흡입 장치(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장치(1)는 치수(dimension)을 줄여, 캘리퍼(4)의 가까운 주변 이내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 장치(1)는:
-패드(5) 및 로터(6)의 가까운 부근에 배열된 흡입 개구(intake opening)(11);
-마찰재(3)의 미립자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챔버(collection chamber)(13), 상기 수집 챔버는 필러를 포함한다;
-흡입 개구(11)에서 수집 챔버(13)로 이어지는 파이프(12), 또한, 상기 파이프는 가능하게는 "케이스(case)" 또는 "하우징(housing)"으로 불린다;
-로터 상에 압력을 가하는 롤러(15)의 도움으로 로터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impeller)(14), 상기 임펠러는 수집 챔버 안에서 미립자들을 나아가게 하고 흡입 개구(11)를 통해서 미립자를 빼내며, 파이프(12) 안에 배열된다.
흡입 개구(11)(또는, 흡입구(intake port))는 로터 표면(60)에 평행한 평면에 위치된 마우스(21)로써 도시되며, 따라서 로터의 축(X)에 수직하다. 상기 개구(21)는 바람직하게는 로터의 표면으로부터 5mm미만에 위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터의 표면으로부터 2mm미만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되었듯이, 디스크와의 접촉을 피하고 매우 뜨거운 디스크와 접촉하는 마우스의 플라스틱 물질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미립자의 흡수를 최적화 하기 위해서, 로터에 대한 흡입 개구(11)의 마우스(21)의 높이(H)는 0.5mm 내지 2mm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잇으며, 특히 1mm일 수 있다.
흡입 개구(11)의 마우스(21)는 실질적으로 패드에 의해 쓸리는 로터의 전체 원주상 거리(D)를 걸쳐 원주상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예컨대 3cm 내지 6cm이며, 10mm 미만 거리(E), 바람직하게는 5mm 미만 거리(E)에 걸쳐 원주상 방향으로 연장한다. 특히, 약 4mm의 원주상 방향으로의 치수가 선택될 수 있다. 벽의 두께는 상기 원주상 치수(E) 보다 작게 유지됨을 주목해야 한다.
흡입 개구(11)는 패드(5)의 마찰채(51)의 하부의 원주상 거리(K)에 위치되며, 상기 원주상 거리는 2mm 내지 10mm이다; 약 5mm의 최적 거리(K)로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흡입 개구(11)가 패드(5)의 마찰채(51)의 하부의 모서리에 평행하게 위치되며, 거리(k)는 일정하다; 하지만, 만약 흡입 개구(11)가 반경상에 나란히 위치하거나 패드(5)의 마찰채(51)의 하부의 모서리가 방향상 정확히 방사상에 있지 않는다면, 상기된 특징은 다를 수 있다.
상기된 치수들을 고려하면, 흡입 개구(11)의 마우스(21)의 넓이는 5㎠, 바람직하게는 2㎠미만일 수 있다. 상기된 방식에서, 흡입 개구의 존재는 로터 냉각에 무시할만한 효과를 가진다.
미립자(30)는 패드(5) 및 로터 표면(60) 사이의 접점에서 미립자가 나오는 곳에서 직접적으로 흡입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로터의 일부를 감싸는 어떤 추가적인 요소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으며, 따라서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자성 또는 비자성일지라도, 브레이킹으로부터 마모로 인한 거의 모든 미립자(30), 특히 모든 미립자의 95%이상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이크로계측 또는 나노계측 치수를 포함하는 어떠한 크기의 먼지 또는 미립자들이 포획된다.
유리한 양태에서, 롤러(15)로부터의 베어링은 외부 지역(65)에 위치된 환형 지역(66)에서 발생하며, 이것은 패드에 의해서 쓸려지는 로터 표면(60)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킹 수행에서 롤러(15)의 존재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선호된 양태에서, 임펠러(14) 및 롤러(15)는 휠 축(X)에 수직한 임펠러 축(Y)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열된다.
도시된 예의 임펠러(14)는 임펠러 하우징(17)에 배열된 베어링(16) 상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는 수집 챔버(13) 쪽으로 공기를 몰아가도록 작용하는 원심 운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24), 및 배어링(16)에 수용되며 롤러를 연결하기 위한 단부(19)를 구비하는 중심축(central shaft)(18)를 포함한다. 비록 임펠러 직경이 디스크 및 휠 림 사이의 이용 가능한 간극, 패드(5)의 크기와 관련된 흡입 장비 및 임펠러의 축 길이, 및 고려된 브레이크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지라도, 도시된 예에서, 임펠러 직경은 5cm이다.
구동 롤러(drive roller)(15)는 Y축에 대하여 임펠러와 회전하기 위해서 샤프트(18)의 연결 단부(19) 상에 설치된다. 롤러의 주변 모서리(66)는 로터의 표면을 누른다. 고 성능 플라스틱으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예컨대 구동 롤러(15)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롤러가 최소화된 드래그를 받도록 하기 위해, 축(Y)을 축(X)를 통과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유리한 양태에서, 임펠러(14) 및 롤러(15)는, 예컨대 고온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단일 조각을 또한 형성한다.
파이프(12) 및 하우징(17)은 PVC(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흡입 개구(11)는 250℃까지 또는 300℃까지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고온 PVC 또는 폴리비닐이딘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EEK(폴리에텔에텔케톤) (polyether ether ketone)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결합된 어셈블리의 작동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로터가 돌아감에 따라, 특히 차량의 전방 움직임과 일치하는 회전 방향(F)에서, 임펠러를 구동하는 롤러(15)가 회전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면, 원심형 임펠러가 흡입 개구에서 음압을 만든다.
미립자의 분출율에 상응하는 흡입률을 달성하기 위해서 임펠러의 부피 및 롤러의 직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분출률은 실질적으로 로터 표면의 선형 속도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 흡입률이 마찰재의 이른 마모를 발생하지 않으며 거의 모든 미립자를 포획하기에 최적임을 발견했다; 너무 높은 값은 패드의 이른 마모를 유발하는 패드 및 로터 표면 사이에 위치된 불안정한 미립자들의 흡입을 강제 하기 때문에 손해를 발생시킨다.
많은 가능한 선택들 중에서 특별한 예에서, 임펠러의 회전 속도는 차량 속도가 50km/h 및 차량에서 통상적인 직경인 디스크 직경일 때 17,000회전/분일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서 방출된 미립자(30)의 대부분은 중간 또는 고속에서 브레이킹할 때 발생된다; 저속에서 브레이킹할 때 방출된 미립자의 양은 많지 않다.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양태에서, 흡입 장치(1)는 추가적으로 파이프 상에 배열된 체크 벨브(check valve)(9)를 포함하며, 예컨대 상기 체크 벨브는 흡입 개구(11) 및 임펠러(14) 사이에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임펠러 및 수집 챔버 사이에 배열된다. 그리하여, 휠 및 로터(따라서 임펠러)가 차량의 반대 운동과 일치하는 방향"R"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배열은 미립자가 수집 챔버의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디스크의 어느 한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유사한 흡입 장치를 의미하는 디스크의 각 측면에 흡입 장치(1)를 놓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유리한 양태에서, 도 6에 도시되었듯이, 흡입 장치(1)는 로터 디스크 반대편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예비 흡입 개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방법으로 단일의 임펠러는 디스크를 감싸는 두 개의 패드(5, 5`)에서 미립자를 빼낼 수 있다. 예비 파이브(120)는 디스크의 방사상 외부 지역을 우회하여 보조 개구(110)를 주 파이프(12)에 연결한다.
흡입 장치(1)의 설치에 관하여, 상기 흡입 장치는 캘리퍼에 고정되거나 패드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 장치(1)는 브레이크 앵커 플레이트 또는 스터브 액슬(stub axle)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흡입 장치(1)는 지지 브래킷(8)(도 2에 도시)에 의해서 캘리퍼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8)은 축 방향(X)을 따라 로터의 방향에서 흡입 장치를 편향시키기 위해서 어떤 탄성력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로터 쪽으로의 편향(P)은 제조 및 어셈블리의 저항성(tolerance)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로터 표면에 롤러(15)의 베어링 압력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하지만, 상기 편향 효과는 통상의 스프링(미도시)이 있는 어셈블리에 의해서 달성된다.
유리한 양태에서, 흡입 장치(1)의 무게는 50g을 초과하지 않고, 사용된 물질에 따라 가능하게는 30g을 초과하지 않으며, 이것이 휠 및 차량 어셈블리의 역학적 행동에 장치 존재의 영향을 제한한다.
도 5에서, 브레이크 패드는 휠 엑슬 쪽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전 구성에 따르면, 흡입 장치(1)는 통상의 이동 방향(F)에서, 패드(5)의 하부에 배열된다; 상기된 것과 비슷하게 패드 지지대(4`)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차량을 위해서, 도시 철도차량과 같이, 상기한 체크 벨브(9)와 장착된 패드의 각 측면에 흡입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몇몇의 대안들이 고려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구동 롤러(15)는 패드(5)에 의해 쓸린 지역 내의 환형 표면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는 디스크 모서리와 관련된다. 다른 예에서, 롤러는 디스크 모서리 상에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최적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거나 롤러의 회전 축에 독립한 임펠러 축을 구비하기 위해서, 롤러 및 임펠러 사이에 중간 기어를 구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파이프 및 하우징의 형상은 패드 주위의 제한 공간에 맞춰질 수 있으며, 흡입 개구의 마우스는 디스크 표면에 대하여 약간 각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흡입 개구에 인접한 지역에 적합한 어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집 챔버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어떤 적합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마찰채(51)는 어떤 형상일 수 있으며 불연속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각 패드를 교환할 때, 수집 챔버를 비우기 위해서, 섬유 필터 또는 흡입 장치를 교환하는 것을 계획할 수 있다.

Claims (11)

  1. 로터(6);
    상기 로터를 멈추게 하기 위해서 상기 로터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마모로 인한 미립자를 배출할 수 있는 마찰제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패드(5); 및
    상기 미립자를 빨아들이는 자율 흡입 장치(1); 를 포함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로써,
    상기 흡입 장치(1)는:
    흡입 개구(11);
    미립자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챔버(13);
    흡입 개구로부터 수집 챔버로 이어지는 파이프(12); 및
    개구로부터 미립자를 빨아들이고 수집 챔버로 미립자를 불어 넣기 위해서, 로터 상에서 압력을 가하는 롤러(15)의 도움으로 로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임펠러(14);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개구는 패드 및 로터의 가까운 주변에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로터 표면으로부터 5mm 이내이며,
    상기 흡입 장치(1)는 패드의 주변에 통합되어, 미립자의 방출에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미립자를 포획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터 표면으로부터 흡입 개구의 높이(H)는 0.5mm 내지 2m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mm인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입 개구의 원주상 치수(E)는 10mm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4mm인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는 패드에 의해 쓸려질 지역의 외부의 로터에 압력을 가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집 챔버로부터 미립자의 역류를 막기 위한 체크 벨브(9)를 더 포함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 및 롤러는 동축으로 배열된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집 챔버는 섬유 매체의 필터를 포함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집 장치는 지지 브래킷(8)에 의해서 캘리퍼 또는 브레이크 앵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집 장치는 로터를 향해 편향되는 캘리퍼 또는 브레이크 앵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터 디스크의 반대편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예비 흡입 개구(110)를 더 포함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는 필러는 구비하는 수집 챔버(13) 및 흡입 개구(11) 사이에 삽입되는 무공해성 브레이크 어셈블리.
KR1020147031640A 2012-11-08 2013-11-04 미립자를 포획하는 브레이크 조립체 KR201500821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60594 2012-11-08
FR1260594A FR2997743B1 (fr) 2012-11-08 2012-11-08 Ensemble de frein a captation de particules
PCT/EP2013/072890 WO2014072234A2 (en) 2012-11-08 2013-11-04 Brake assembly with particle cap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110A true KR20150082110A (ko) 2015-07-15

Family

ID=4755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40A KR20150082110A (ko) 2012-11-08 2013-11-04 미립자를 포획하는 브레이크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26241B2 (ko)
JP (1) JP6001165B2 (ko)
KR (1) KR20150082110A (ko)
CN (1) CN104769309B (ko)
CA (1) CA2873154A1 (ko)
DE (1) DE112013005330T5 (ko)
FR (1) FR2997743B1 (ko)
RU (1) RU2644037C2 (ko)
WO (1) WO20140722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7627B2 (en) * 2013-03-15 2017-06-13 Linda Haight Braking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6102670A1 (fr) 2014-12-23 2016-06-30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muni d'un dispositif, dispositif et procede de captage des poussieres emises par le frottement d'un frein a disque
JP2017082968A (ja) * 2015-10-30 2017-05-18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FR3046644B1 (fr) 2016-01-13 2019-04-12 Tallano Technologie Ensemble de frein a captation de particules avec deflecteur
DE102016000890B4 (de) * 2016-01-28 2019-06-19 Audi Ag Scheibenbremsanlage für ein Fahrzeug
FR3048270B1 (fr) * 2016-02-25 2018-03-2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piegeage des particules rejetees par des organes de freinage par friction d'un systeme de freinage a disque
FR3049026B1 (fr) * 2016-03-21 2019-06-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et procede d'aspiration de particules de frein
JP6709688B2 (ja) * 2016-06-10 2020-06-17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FR3057040B1 (fr) 2016-10-05 2019-05-03 Tallano Technologie Plaquette de frein et ensemble de frein a captation de particules
FR3069034B1 (fr) * 2017-07-17 2020-02-21 Renault S.A.S. Systeme par filtre fluidique de freinage equipe d'un organe collecteur de micro/nanoparticules
FR3069831B1 (fr) * 2017-08-01 2019-09-13 Tallano Technologie Ensemble a friction pour systeme de freinage ferroviaire
FR3071574B1 (fr) * 2017-09-26 2021-06-18 Psa Automobiles Sa Frein a disque avec systeme de recuperation des poussieres
FR3073157A1 (fr) * 2017-11-06 2019-05-10 Sogefi Filtration Dispositif de filtration et utilisation du dispositif pour separer et collecter les poussieres de freinage
FR3074464B1 (fr) * 2017-12-04 2019-10-25 Psa Automobiles Sa Systeme d’aspiration de poussiere de frein de vehicule et vehicule utilisant ce systeme
DE102017223175A1 (de) 2017-12-19 2019-06-19 Audi Ag Brem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7128020B2 (ja) * 2018-04-20 2022-08-30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摩耗粉捕集装置、分析システム、摩耗粉捕集方法および分析方法
DE102018207303A1 (de) * 2018-05-09 2019-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Regenerierung eines Bremsstaubfilters
DE102018208631A1 (de) 2018-05-30 2019-12-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Reibbremse zur Reduzierung der Menge an Feinstaub
DE102018004895A1 (de) * 2018-06-16 2019-12-19 Psa Automobiles Sa Trommelbremse sowie Kraftfahrzeug
CN108748274A (zh) * 2018-08-30 2018-11-06 遨博(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刹车装置、机器人关节臂及机器人
FR3088392A1 (fr) * 2018-11-08 2020-05-15 Tallano Technologie Systeme d'aspiration des particules de freinage avec maintien de depression
FR3094429B1 (fr) 2019-03-28 2021-04-16 Tallano Tech Système de freinage avec aspiration centrifuge dans rainure de la garniture
FR3098178B1 (fr) * 2019-07-03 2021-07-30 Tallano Tech Système de sécurisation de pièce montée sur porte-semelle
DE102020100328A1 (de) 2020-01-09 2021-07-15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Elektropneumatisches Schienenfahrzeugbrem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chienenfahrzeugbremssystems
FR3109894B1 (fr) * 2020-05-07 2022-05-27 Alstom Transp Tech Dispositif de collecte de particules et véhicul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DE102020007523A1 (de) 2020-12-09 2022-06-09 Technische Universität Ilmenau,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Fahrzeugzustandsregelungssystem, Straßenfahrzeug und Verfahren zur Fahrzeugzustandsregelung
DE102021000919B3 (de) 2021-02-22 2022-06-15 Technische Universität Ilmenau Fahrzeugzustandsregelungssystem, Straßenfahrzeug und Verfahren zur Fahrzeugzustandsregelung zur Emissionslimitierung
DE102021212228A1 (de) 2021-10-29 2023-05-04 Hl Mando Corporation Angetriebenes Gebläse für Fahrzeugradbremse
DE102022105633A1 (de) 2022-03-10 2023-09-14 Mann+Hummel Gmbh Sauganschlussgehäuse für eine Bremsstaub-Absaugeinrichtung
DE102022113561A1 (de) 2022-05-30 2023-11-30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emssystem eines Schienenfahrzeug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514Y2 (ja) * 1979-07-19 1984-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ブレ−キ摩擦部材摩耗粉の回収装置
US5162053A (en) * 1987-09-24 1992-11-10 Kowalski Jr Walter J Vehicular brake material collection system
CH687013A5 (de) * 1992-09-23 1996-08-30 Karl Boesch Bremsanlage mit Scheibenbremsen.
FR2698423B1 (fr) * 1992-11-26 1995-02-03 Alliedsignal Europ Services Ensemble d'un organe de friction et d'un ressort pour frein à disque, et frein à disque équipé d'un tel ensemble.
DE4240873C2 (de) * 1992-12-04 2001-03-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staubrückhalte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29506916U1 (de) * 1995-04-25 1995-06-22 Djukic Radoslav Scheibenbremse
FR2751390A1 (fr) * 1996-07-22 1998-01-23 Wiart Jean Claude Dispositif de depoussierage d'un frein d'une roue de vehicule et frein muni d'un tel dispositif
DE19643869C2 (de) * 1996-10-30 2001-10-18 Wolfgang Foesel Brem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5256959A (ja) * 2004-03-11 2005-09-22 Toyota Motor Corp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のピストン進出限度警報装置
KR20080031605A (ko) * 2006-10-04 2008-04-10 가부시기가이샤 안레트 집진 장치
JP4125766B2 (ja) * 2006-10-04 2008-07-30 株式会社アンレット ミスト及び粉塵の捕集装置
US8191691B2 (en) * 2008-10-20 2012-06-05 Joseph Gelb Disc brake debris coll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2234A2 (en) 2014-05-15
JP6001165B2 (ja) 2016-10-05
US9726241B2 (en) 2017-08-08
CN104769309A (zh) 2015-07-08
JP2015521265A (ja) 2015-07-27
FR2997743B1 (fr) 2016-04-29
DE112013005330T5 (de) 2016-01-28
WO2014072234A3 (en) 2014-07-10
US20150233436A1 (en) 2015-08-20
FR2997743A1 (fr) 2014-05-09
RU2014145358A (ru) 2016-08-27
RU2644037C2 (ru) 2018-02-07
CN104769309B (zh) 2018-03-27
CA2873154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2110A (ko) 미립자를 포획하는 브레이크 조립체
JP6953522B2 (ja) 粉塵を捕捉するためのブレーキパッド及びブレーキユニット
US20150122601A1 (en) Brake Assembly with Particle Capture
JP2017125610A (ja) 偏向体を備えた粒子捕捉ブレーキ組立体
US8191691B2 (en) Disc brake debris collection system
CN111108300B (zh) 用于铁路制动系统的摩擦装置
JP7475069B2 (ja) ライニングの溝部内の送風を備えたブレーキシステム
JP7424655B2 (ja) 粒子および粉塵の収集部を備えるブレーキパッド
KR20200016690A (ko) 브레이크 디스크 분진회수장치
CN205951934U (zh) 一种吸附式除尘刹车机构
KR20160051990A (ko) 차량의 제동장치
KR20230010960A (ko)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브레이크 입자와 먼지를 포집하는 디플렉터.
KR20240017550A (ko) 브레이크 패드 마모에 의한 먼지 집진 장치
CN114368376A (zh) 一种汽车制动粉尘吸收装置
JP2007309406A (ja) 摩耗粉吸着手段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H01229753A (ja) ブレーキから発生する石綿粉塵の捕捉方法及び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