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628A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628A
KR20150080628A KR1020157015938A KR20157015938A KR20150080628A KR 20150080628 A KR20150080628 A KR 20150080628A KR 1020157015938 A KR1020157015938 A KR 1020157015938A KR 20157015938 A KR20157015938 A KR 20157015938A KR 20150080628 A KR20150080628 A KR 2015008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erritic stainless
content
niobium
tit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하 껠라
유하 ?라
요니 꼬스끼니에미
라이모 레본마
Original Assignee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15008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8Decarburising
    • C21C7/0685Decarburising of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원은 우수한 부식성과 시트 성형 특성들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강은, 중량% 로, 비 (Ti+Nb)/(C+N) 가 8 이상 40 미만이고 또한 비 Tieq/Ceq = (Ti + 0.515*Nb +0.940*V)/(C+0.858*N) 가 6 이상 40 미만이 되는 조건들에서, 0.003 ~ 0.035% 탄소, 0.05 ~ 1.0% 규소, 0.1 ~ 0.8% 망간, 20 ~ 24% 크롬, 0.05 ~ 0.8% 니켈, 0.003 ~ 0.5% 몰리브덴, 0.2 ~ 0.8% 구리, 0.003 ~ 0.05% 질소, 0.05 ~ 0.8% 티타늄, 0.05 ~ 0.8% 니오븀, 0.03 ~ 0.5% 바나듐, 0.04% 미만의 알루미늄 및 C+N 합이 0.06% 미만이고,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FERRITIC STAINLESS STEEL}
본원은 양호한 내식성과 양호한 시트 성형 특성들을 갖는 안정화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개발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탄소와 질소 원소들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원소들은 탄화물들, 질화물들 또는 탄질화물들에 결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결합에 사용된 원소들을 안정화 원소들이라고 한다. 통상의 안정화 원소들은 니오븀과 티타늄이다. 예를 들어, 탄소 함량이 0.01 중량 %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대해서는 탄소 및 질소의 안정화를 위한 요건들이 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저함량 탄소는 제조 공정들에 대한 요건들을 유발한다.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통상의 AOD (아르곤-산소-탈탄) 제조 기술은 더 이상 실용적이지 않고 그리하여 VOD (진공-산소-탈탄) 제조 기술이라고 하는 더 값비싼 제조 방법들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유럽특허 제 936280 호는, 중량% 로, 0.025% 미만의 탄소, 0.2 ~ 0.7% 규소, 0.1 ~ 1.0% 망간, 17 ~ 21% 크롬, 0.07 ~ 0.4% 니켈, 1.0 ~ 1.25% 몰리브덴, 0.025% 미만의 질소, 0.1 ~ 0.2% 티타늄, 0.2 ~ 0.35% 니오븀, 0.045 ~ 0.060% 붕소, 0.02 ~ 0.04% (REM + 하프늄),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의 조성을 가진 티타늄 및 니오븀 안정화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유럽특허 제 936280 호에 따라서, 구리 및 몰리브덴은 일반적이고 국부적인 내식성에 유익한 영향을 주고, 희토류 금속들 (REM) 은 황화물을 글로벌화시켜 (globulise), 연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몰리브덴 및 REM 은 강의 제조를 값비싸게 만드는 값비싼 원소들이다.
유럽특허 제 1818422 호에서는, 이들 중에서, 0.03 중량% 미만의 탄소, 18 ~ 22 중량% 크롬, 0.03 중량% 미만의 질소, 및 0.2 ~ 1.0 중량% 니오븀을 가진 니오븀 안정화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럽특허에 따라서, 탄소 및 질소의 안정화는 니오븀만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미국특허 제 7056398 호에는, 중량% 로, 0.01% 미만의 탄소, 1.0% 미만의 규소, 1.5% 미만의 망간, 11 ~ 23% 크롬, 1.0% 미만의 알루미늄, 0.04% 미만의 질소, 0.0005 ~ 0.01% 붕소, 0.3% 미만의 바나듐, 0.8% 미만의 니오븀, 1.0% 미만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초저 탄소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개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18 ≤ Nb/(C+N)+2(Ti/(C+N)) ≤ 60 이다. 강 제조 공정 동안, 탄소는 가능한 한 많이 제거되고, 고용체 탄소는 티타늄 및 니오븀에 의해 탄화물로서 고정된다. 미국특허 제 7056398 호의 강에서, 티타늄의 일부는 바나듐으로 교체되고, 바나듐은 인성을 개선시키도록 붕소와 결합하여 첨가된다. 더욱이, 붕소는 강의 인성을 추가로 열화시키는 질화 티타늄의 침전을 방지하는 질화붕소 (BN) 를 형성한다. 미국특허 제 7056398 호의 강은 내식성을 희생하면서 내취성을 향상시키는데 집중되고 그리고 보호성 오버코팅을 사용하도록 추천된다.
유럽특허출원 제 2163658 호에는 0.02% 미만의 탄소, 0.05 ~ 0.8% 규소, 0.5% 미만의 망간, 20 ~ 24% 크롬, 0.5% 미만의 니켈, 0.3 ~ 0.8% 구리, 0.02% 미만의 질소, 0.20 ~ 0.55% 니오븀, 0.1% 미만의 알루미늄 및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황화물 내식성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에 있어서, 탄소와 질소의 안정화에 니오븀만이 사용된다.
유럽특허출원 제 2182085 호는 버를 생성하지 않고 우수한 펀칭 가공성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이 강은, 중량% 로, 0.003 ~ 0.012% 탄소, 0.13% 미만의 규소, 0.25% 미만의 망간, 20.5 ~ 23.5% 크롬, 0.5% 미만의 니켈, 0.3 ~ 0.6% 구리, 0.003 ~ 0.012% 질소, 0.3 ~ 0.5% 니오븀, 0.05 ~ 0.15% 티타늄, 0.06% 미만의 알루미늄,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함유한다. 더욱이, 페라이트 결정 입계들 (grain boundaries) 에 존재하는 NbTi 복합 탄질화물에 함유되는 비 Nb/Ti 는 1 ~ 10 범위이다. 추가로, 상기 유럽특허출원 제 2182085 호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0.001% 미만의 붕소, 0.1% 미만의 몰리브덴, 0.05% 미만의 바나듐 및 0.01% 미만의 칼슘을 포함한다. 또한, 탄소 함량이 0.012% 초과이면, 탄화 크롬의 생성이 억제될 수 없고 그리고 내식성이 열화된다고 할 수 있고, 그리고 0.05% 초과의 바나듐이 첨가되면 강은 경화되고 그 결과 가공성이 열화된다.
양호한 내식성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또한 0.03% 미만의 탄소, 1.0% 미만의 규소, 0.5% 미만의 망간, 20.5 ~ 22.5% 크롬, 1.0% 미만의 니켈, 0.3 ~ 0.8% 구리, 0.03% 미만의 질소, 0.1% 미만의 알루미늄, 0.01% 미만의 니오븀, (4x(C+N))% < 티타늄 < 0.35 %), 0.05% 미만의 (C+N), 및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함유하는 조성을 가진 미국특허출원 제 200905683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출원 제 2009056838 호에 따라서, 니오븀은 재결정 온도를 증가시켜, 냉간 압연 시트의 고속 소둔 라인에서 불충분한 소둔을 유발하기 때문에, 니오븀은 사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티타늄은, 공식 전위를 증가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키도록 첨가되는 필수적인 원소이다. 바나듐은 용접 영역에서 입자간 부식 (intergranular corrosion) 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바나듐은 선택적으로 0.01 ~ 0.5% 범위로 첨가된다.
WO 공개 제 2010016014 호에는 우수한 내수소 취화성 및 내응력 부식 균열성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강은, 0.015% 미만의 탄소, 1.0% 미만의 규소, 1.0% 미만의 망간, 20 ~ 25% 크롬, 0.5% 미만의 니켈, 0.5% 미만의 몰리브덴, 0.5% 미만의 구리, 0.015% 미만의 질소, 0.05% 미만의 알루미늄, 0.25% 미만의 니오븀, 0.25% 미만의 티타늄, 및 추가로 0.20% 미만의 값비싼 원소, 탄탈륨,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함유한다. 고?량의 니오븀 및/또는 탄탄륨의 첨가는 결정 구조를 강화시키고 그리하여 (Ti+Nb+Ta) 합은 0.2 ~ 0.5% 범위이다. 더욱이, 수소 취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비 (Nb+1/2Ta)/Ti 는 1 ~ 2 범위에 있을 필요가 있다.
WO 공개 제 2012046879 호는 양성자 (proton) 교환막 연료 전지의 분리기로서 사용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불화 수소산 또는 불화 수소산과 질산의 액상 혼합물을 주로 함유하는 용액에 스테인리스 강을 침지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에 패시베이션 필름이 형성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필요한 합금 원소들로서 철 이외에 탄소, 규소, 망간, 알루미늄, 질소, 크롬 및 몰리브덴을 함유한다. 참조문헌 WO 2012046879 에 개시된 모든 다른 합금 원소들은 선택적이다. 이러한 WO 공개의 예들로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저 탄소 함량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진공 제련에 의해 제조되고, 이는 매우 값비싼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일부 단점들을 없애는 것이고 그리고 양호한 내식성 및 양호한 시트 성형 특성들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얻는 것이며, 상기 강은 니오븀, 티타늄 및 바나듐에 의해 안정화되며 그리고 AOD (아르곤-산소-탈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 로, (C+N) 합이 0.06% 미만이고 그리고 비 (Ti+Nb)/(C+N) 가 8 이상 40 미만, 적어도 25 미만이고 또한 비 (Ti + 0.515*Nb +0.940*V)/(C+0.858*N) 가 6 이상 40 미만, 적어도 20 미만이 되는 조건들에서, 0.035% 미만의 탄소 (C), 1.0% 미만의 규소 (Si), 0.8% 미만의 망간 (Mn), 20 ~ 24% 크롬 (Cr), 0.8% 미만의 니켈 (Ni), 0.5% 미만의 몰리브덴 (Mo), 0.8% 미만의 구리 (Cu), 0.05% 미만의 질소 (N), 0.8% 미만의 티타늄 (Ti), 0.8% 미만의 니오븀 (Nb), 0.5% 미만의 바나듐 (V), 0.04% 미만의 알루미늄 및 잔부로서 스테인리스 강들에서 점유하는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다. 본원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AOD (아르곤-산소-탈탄) 기술을 사용하여 유리하게 제조된다.
각각의 합금 원소 중 다르게 언급하지 않으면 효과들 및 중량% 의 함량은 이하에 설명된다:
탄소 (C) 는 연신 및 r-값을 저감시키고, 바람직하게는 탄소는 강의 제조 공정 동안 가능한 한 많이 제거된다. 고용체 탄소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에 의해 탄화물들로서 고정된다. 탄소 함량은 0.035%, 바람직하게는 0.03% 로 한정되지만 적어도 0.003% 탄소를 가진다.
규소 (Si) 는 다시 용융하도록 슬래그로부터 크롬을 저감시키는데 사용된다. 강에서 일부 규소 잔부들 (remainders) 은 감소가 잘 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규소 함량은 1.0% 미만, 적어도 0.05%, 바람직하게는 0.05 ~ 0.7% 이다.
망간 (Mn) 은 황화망간을 형성함으로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저함량 황 (S) 으로, 망간 함량은 0.8% 미만, 바람직하게는 0.65% 미만, 적어도 0.10% 이다. 더 바람직한 범위는 0.10 ~ 0.65% 망간이다.
크롬 (Cr) 은 내산화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강 등급 EN 1.4301 에 필적가능한 내식성을 달성하도록, 크롬 함량은 20 ~ 24%, 바람직하게는 20 ~ 21.5% 이어야 한다.
니켈 (Ni) 은 인성의 개선에 바람직하게 기여하는 원소이지만, 니켈은 응력 부식 균열 (SCC) 에 민감하다. 이러한 영향들을 고려하기 위해, 니켈 함량은 0.8%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어서, 니켈 함량은 적어도 0.05% 이다.
몰리브덴 (Mo) 은 내식성을 향상시키지만 파괴에 대한 연신을 저감시킨다. 몰리브덴 함량은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미만, 적어도 0.003% 이다.
구리 (Cu) 는 산성 용액에서 내식성을 향상시키지만 고함량의 구리는 해로울 수 있다. 그리하여, 구리 함량은 0.8%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적어도 0.2% 이다.
질소 (N) 는 파괴에 대한 연신을 저감시킨다. 질소 함량은 0.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03% 미만, 적어도 0.003% 이다.
알루미늄 (Al) 은 용융물로부터 산소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알루미늄 함량은 0.04% 미만이다.
티타늄 (Ti) 은 매우 높은 온도들에서 질소와 함께 질화티타늄들을 형성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질화티타늄들은 소둔 및 용접 동안 입자 성장을 방지한다. 티타늄 함량은 0.8% 미만, 적어도 0.05%, 바람직하게는 0.05 ~ 0.40% 이다.
니오븀 (Nb) 은 탄화니오븀들에 탄소를 결합시키도록 어느 정도 사용된다. 니오븀으로 재결정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니오븀은 선택된 안정화 원소들 티타늄, 바나듐 및 니오븀 중 가장 값비싼 원소들이다. 니오븀 함량은 0.8% 미만, 적어도 0.05%, 바람직하게는 0.05 ~ 0.40% 이다.
바나듐 (V) 은 저온들에서 탄화물들 및 질화물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석출물들은 작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통상적으로 입자들 내측에 있다. 탄소 안정화에 필요한 바나듐의 양은 동일한 탄소 안정화에 필요한 니오븀의 양의 오직 대략 절반이다. 이는 바나듐의 원자 중량이 니오븀 원자 중량의 오직 대략 절반이기 때문이다. 바나듐이 니오븀보다 더 값싸기 때문에, 그러면 바나듐이 경제적인 선택이다. 바나듐은 또한 강의 인성을 향상시킨다. 바나듐 함량은 0.5% 미만, 적어도 0.03%, 바람직하게는 0.03 ~ 0.20% 이다.
본원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서 이러한 모든 3 개의 안정화 원소들,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을 사용하여, 실제로 침입형 (interstitially) 이 없는 원자 격자를 얻을 수 있다. 즉, 본질적으로 모든 탄소 및 질소 원자들은 안정화 원소들과 결합된다는 것이다.
본원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시험하기 위해 여러 가지 스테인리스 강 합금들이 준비되었다. 이러한 준비 동안, 모든 합금은 용융, 주조, 및 열간 압연되었다. 열간 압연된 플레이트는 냉간 압연 전에 추가로 소둔되고 산세되었다. 그 후, 최종 두께에서 냉간 압연된 시트는 다시 소둔 및 산세되었다. 표 1 에서는 참조 재료들 EN 1.4301 및 1.4404 의 화학적 조성들을 더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합금 A, 합금 B, 합금 C 및 합금 D 가 티타늄 및 니오븀으로 이중 안정화됨을 볼 수 있다. 합금 A 및 합금 B 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티타늄 및 니오븀을 가진다. 합금 C 는 니오븀보다 더 많은 티타늄을 갖는 반면, 합금 D 는 티타늄보다 더 많은 니오븀을 갖는다. 합금 E, 합금 F, 합금 G 및 합금 H 는 또한 티타늄 및 니오븀 이외에 바나듐을 포함하고, 합금 E 및 합금 F 는 소량의 니오븀만을 가지며, 합금 G 는 소량의 티타늄만을 가진다. 본원에 따른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과 삼중 안정화된 합금들은 합금 H ~ 합금 L 이다.
내식성은 스테인리스 강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므로, 표 1 에 열거된 모든 합금들의 공식 전위는 동전위적으로 (potentiodynamically) 결정되었다. 합금들은 320 메시로 습식 연삭되었고 그리고 적어도 24 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공기에서 리패시베이트되도록 되었다. 공식 전위 측정들은 약 22℃ 의 실온에서 자연적으로 통기된 (aerated) 수용성 1.2 중량% NaCl-용액 (0.7 중량% Cl-, 0.2 M NaCl) 에서 실시하였다. 분극 곡선들은 약 1 ㎠ 의 전기화학적 활성 영역을 가진 틈 (crevice) 이 없는 플러시된 포트 전지들 (ASTM G150 에 기재된 바와 같이 Avesta 전지들) 을 사용하여 20 mV/min 에서 기록되었다. 백금 호일들은 카운터 전극들로서 사용되었다. 참조 전극들로서 KCl 포화된 칼로멜 전극들 (SCE) 이 사용되었다. 각각의 합금에 대하여 6 개의 관통 공식 전위 측정들의 평균값이 산출되었고 표 2 에 열거된다.
입자간 부식에 대한 안정화가 성공적이었음을 증명하기 위해서, 합금들은 EN ISO 3651-2 에 따라서 Strauss 시험을 받게 되었다:1998-08: 스테인리스 강들의 입자간 내식성의 결정-파트 2: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및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들-황산을 함유하는 매체에서 부식 시험. 이러한 시험들의 결과들은 표 2 에 나타난다.
표 2 는 또한 참조 재료들 EN 1.4301 및 1.4404 에 대한 각각의 결과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표 2 에서 부식 전위에 대한 결과들에서는, 본원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이 참조 강들 EN 1.4301 및 EN 1.4404 보다 더 양호한 내공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본원에 따른 합금들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않다. 합금 G 는 본원의 부식 요건들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합금 G 는 본원의 범위 밖이다. 합금 G 는 안정화되지 않았다.
항복 강도 Rp0.2, 인장 강도 Rm 뿐만 아니라 파괴에 대한 연신 (A50) 은 표 1 의 합금들에 대한 기계적 시험들에서 본원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대하여 결정되었다. 그 결과들은 표 3 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03
표 3 의 결과들에서는, 본원에 따른 니오븀, 티타늄, 및 바나듐으로 안정화된 합금 H ~ 합금 L 이 시험된 기계적 특성들에 대하여 시험된 합금들에서 본원에 따르지 않는 합금 A ~ 합금 F 보다 더 양호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는, 예를 들어 인장 강도가 파괴에 대한 연신과 조합될 때 나타난다. 더욱이, 표 3 의 시험 결과들에서는, 참조 재료 EN 1.4301 의 인장 강도 및 파괴에 대한 연신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대표 값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상이한 원자 격자 종류에 기초한다. 참조 강의 격자를 면심 입방체 (FCC) 격자라고 하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격자를 체심 입방체 (BCC) 라고 한다. FCC 격자는 "항상" BCC 격자보다 더 양호한 연신을 가진다.
본원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또한 많은 얇은 시트 적용들에서 매우 중요한 시트 성형 특성들에 있어서 값 결정을 위해 시험되었다. 이러한 시트 성형 특성들에 대하여 균일한 연신 (Ag) 및 r-값에 대한 시트 성형 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균일한 연신은 시트 신장 능력들과 상호 연관되고, r-값은 딥 드로잉 능력들과 상호 연관된다. 인장 시험으로 균일한 연신 및 r-값들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시험들의 결과들은 표 4 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04
표 4 에서의 결과들에서는, 합금 H 와 합금 L 이 다른 시험 합금들과 비교될 때 가장 긴 균일한 연신 및 가장 높은 r-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참조 재료 EN 1.4301 가 시험된 합금들보다 더 균일한 연신을 갖더라도, EN 1.4301 은 모든 시험된 합금들보다 훨씬 더 약한 r-값을 가진다.
본원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서 침입형 원소들, 탄소와 질소의 안정화에 니오븀, 티타늄 및 바나듐을 사용하면, 안정화 동안 생성되는 화합물들은 탄화 티타늄 (TiC), 질화 티타늄 (TiN), 탄화 니오븀 (NbC), 질화 니오븀 (NbN), 탄화 바나듐 (VC) 및 질화 바나듐 (VN) 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시, 안정화의 효과 및 양 뿐만 아니라 상이한 안정화 원소들의 역할을 평가하도록 간단한 식이 사용된다.
안정화 원소들,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 사이의 연결은, 안정화 당량 (Tieq) 에 대한 식 (1) 에 의해 규정되고, 여기에서 각 원소의 함량은 중량% 로 이하이다:
Tieq = Ti + 0.515*Nb + 0.940*V (1)
각각, 침입형 원소들 중 탄소 및 질소 사이의 연결은 침입형 당량 (Ceq) 에 대한 식 (2) 에 의해 규정되고, 여기에서 탄소 및 질소의 함량들은 중량% 로 이하이다:
Ceq = C + 0.858*N (2)
비 Tieq/Ceq 는 민감성에 대한 성향 (disposition) 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인자로서 사용되고, 민감성을 피하기 위해서 본원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대하여, 비 Tieq/Ceq 는 6 이상이며, 비 (Ti+Nb)/(C+N) 는 8 이상이다.
합금 A ~ 합금 H 에 대한 비 Tieq/Ceq 뿐만 아니라 비 (Ti+Nb)/(C+N) 의 값들은 표 5 에서 산출된다.
Figure pct00005
표 5 의 값들에서는, 본원에 따른 니오븀, 티타늄 및 바나듐으로 삼중 안정화된 합금 H ~ 합금 L 이 비 Tieq/Ceq 및 비 (Ti+Nb)/(C+N) 둘 다에 대하여 바람직한 값들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에, 예를 들어 표 2 에 따라서 민감화된 합금 G 는 비 Tieq/Ceq 및 비 (Ti+Nb)/(C+N) 둘 다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값들을 가진다.

Claims (15)

  1. 우수한 부식 및 시트 성형 특성들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중량% 로,
    비 (Ti+Nb)/(C+N) 가 8 이상 40 미만이고, 또한
    비 Tieq/Ceq = (Ti + 0.515*Nb +0.940*V)/(C+0.858*N) 가 6 이상 40 미만이 되는 조건들에서,
    0.003 ~ 0.035% 탄소, 0.05 ~ 1.0% 규소, 0.1 ~ 0.8% 망간, 20 ~ 24% 크롬, 0.05 ~ 0.8% 니켈, 0.003 ~ 0.5% 몰리브덴, 0.2 ~ 0.8% 구리, 0.003 ~ 0.05% 질소, 0.05 ~ 0.8% 티타늄, 0.05 ~ 0.8% 니오븀, 0.03 ~ 0.5% 바나듐, 0.04% 미만의 알루미늄 및 C+N 합이 0.06% 미만이고, 잔부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의 함량은 0.03 중량% 미만이지만 적어도 0.003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의 함량은 0.05 ~ 0.7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의 함량은 0.6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0 ~ 0.6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의 함량은 0.5 중량% 미만이지만 적어도 0.0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의 함량은 0.003 ~ 0.2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의 함량은 0.5 중량% 미만이지만 적어도 0.2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의 함량은 0.03 중량% 미만이지만 적어도 0.003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의 함량은 0.05 ~ 0.4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오븀의 함량은 0.05 ~ 0.4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나듐의 함량은 0.03 ~ 0.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의 함량은 20 ~ 2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Ti+Nb/(C+N) 는 8 이상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Tieq/Ceq = (Ti + 0.515*Nb +0.940*V)/(C+0.858*N) 는 6 이상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AOD (아르곤-산소-탈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1020157015938A 2012-11-20 2013-11-19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20150080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26212 2012-11-20
FI20126212A FI124995B (fi) 2012-11-20 2012-11-20 Ferriittinen ruostumaton teräs
PCT/FI2013/051085 WO2014080078A1 (en) 2012-11-20 2013-11-19 Ferritic stainless st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628A true KR20150080628A (ko) 2015-07-09

Family

ID=5077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938A KR20150080628A (ko) 2012-11-20 2013-11-19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1384405B2 (ko)
EP (1) EP2922978B1 (ko)
JP (1) JP6426617B2 (ko)
KR (1) KR20150080628A (ko)
CN (1) CN104903483B (ko)
AU (1) AU2013349589B2 (ko)
BR (1) BR112015011640B1 (ko)
CA (1) CA2890857C (ko)
EA (1) EA027178B1 (ko)
ES (1) ES2627269T3 (ko)
FI (1) FI124995B (ko)
MX (1) MX2015006269A (ko)
MY (1) MY174751A (ko)
SI (1) SI2922978T1 (ko)
TW (1) TWI599663B (ko)
WO (1) WO2014080078A1 (ko)
ZA (1) ZA2015035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6353B2 (ja) * 2014-01-21 2018-04-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用スラブの製造方法および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の製造方法
CN106795599B (zh) * 2014-08-29 2019-12-24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铁素体系不锈钢箔及其制造方法
CN108754335B (zh) * 2018-08-22 2019-09-10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550MPa的焊接结构用耐火耐候钢及生产方法
EP3670692B1 (en) * 2018-12-21 2022-08-10 Outokumpu Oyj Ferritic stainless steel
CN114127339A (zh) 2019-07-17 2022-03-01 托普索公司 对用于固体氧化物电池堆应用的铁素体钢互连件进行铬升级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7962A (ja) 1981-08-12 1983-02-18 Nippon Steel Corp 不働態を強化した高純ステンレス鋼
TW452599B (en) * 1997-08-05 2001-09-01 Kawasaki Steel Co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 excellent in deep drawability and anti-ridging proper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IT1298907B1 (it) 1998-02-17 2000-02-07 Acciai Speciali Terni Spa Acciaio inossidabile ferritico perfezionato e manufatti con esso ottenuti
TW480288B (en) * 1999-12-03 2002-03-21 Kawasaki Steel Co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 and method
US20040170518A1 (en) 2001-07-05 2004-09-02 Manabu Oku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member of exhaust gas flow passage
KR100762151B1 (ko) 2001-10-31 2007-10-0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딥드로잉성 및 내이차가공취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스테인리스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2562285B1 (en) 2004-01-29 2017-05-03 JFE Steel Corporation Austenitic-ferritic stainless steel
US8465604B2 (en) 2005-08-17 2013-06-18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818421A1 (fr) 2006-02-08 2007-08-15 UGINE &amp; ALZ FRANCE Acier inoxydable ferritique dit à 19% de chrome stabilisé au niobium
JP4761993B2 (ja) * 2006-02-14 2011-08-31 日新製鋼株式会社 スピニング加工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管の製造法
EP2100983B1 (en) 2007-01-12 2012-10-31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for water heater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t welded part and steel sheet toughness
US20080279712A1 (en) * 2007-05-11 2008-11-13 Manabu Oku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with excellent thermal fatigue properties, and automotive exhaust-gas path member
WO2008156195A1 (ja) 2007-06-21 2008-12-24 Jfe Steel Corporation 耐硫酸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61777A1 (en) 2007-08-20 2011-03-17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superior punch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099500B (zh) * 2008-07-23 2013-01-23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尿素水箱用铁素体系不锈钢
IT1390900B1 (it) 2008-08-06 2011-10-19 Thyssenkrupp Acciai Speciali Acciaio inossidabile ferritico.
JP2010100877A (ja) * 2008-10-22 2010-05-06 Jfe Steel Corp 靭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の製造方法
CN101812641B (zh) 2009-02-25 2013-09-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铁素体不锈钢
JP2012018074A (ja) * 2010-07-08 2012-01-26 Toshiba Corp 放射線検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93283B2 (ja) * 2010-08-06 2015-10-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ブラックスポットの生成の少ない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768641B2 (ja) 2010-10-08 2015-08-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および電気伝導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セパレータ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84405B2 (en) 2022-07-12
EA027178B1 (ru) 2017-06-30
TW201430147A (zh) 2014-08-01
MX2015006269A (es) 2015-08-07
CN104903483B (zh) 2017-09-12
JP2016503459A (ja) 2016-02-04
FI124995B (fi) 2015-04-15
TWI599663B (zh) 2017-09-21
CA2890857C (en) 2021-03-30
EP2922978A1 (en) 2015-09-30
AU2013349589B2 (en) 2017-07-20
BR112015011640A2 (pt) 2017-07-11
US20160281184A1 (en) 2016-09-29
CA2890857A1 (en) 2014-05-30
EA201590728A1 (ru) 2015-11-30
CN104903483A (zh) 2015-09-09
ZA201503550B (en) 2016-08-31
MY174751A (en) 2020-05-13
BR112015011640B1 (pt) 2023-10-17
ES2627269T3 (es) 2017-07-27
EP2922978A4 (en) 2015-12-16
SI2922978T1 (sl) 2017-06-30
WO2014080078A1 (en) 2014-05-30
JP6426617B2 (ja) 2018-11-21
EP2922978B1 (en) 2017-03-01
FI20126212A (fi) 2014-05-21
AU2013349589A1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459B2 (en) Heat-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KR101735991B1 (ko)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
US20060243356A1 (en) Austenite-type stainless steel hot-rolling steel material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proof-stress,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30121981A (ko) 고압 수소 가스용 고강도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EP2864518B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KR20050044557A (ko)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JP5846950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EP3309270B1 (en) High manganese steel
US7935303B2 (en) Low alloy steel
KR20150080628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N111433382B (zh) 具有优异的抗高温氧化性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6520617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7339123B2 (ja) 高硬度耐水素脆化鋼
KR102263556B1 (ko) 2 상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056565A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JP3201081B2 (ja) 油井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0495B2 (ja) 溶接部の耐sr割れ特性に優れた転炉鉄皮用鋼材
RU61285U1 (ru) Пруток из нержавеющей высокопрочной стали
EP3825436A1 (en)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U2346074C2 (ru) Нержавеющая высокопрочная сталь
JP746243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nの上限値の算出方法
WO2018002426A1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6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09

Effective date: 201611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043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0431;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0

Effective date: 2017061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1001618;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29

Effective date: 2017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