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999A -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999A
KR20150068999A KR1020157012450A KR20157012450A KR20150068999A KR 20150068999 A KR20150068999 A KR 20150068999A KR 1020157012450 A KR1020157012450 A KR 1020157012450A KR 20157012450 A KR20157012450 A KR 20157012450A KR 20150068999 A KR20150068999 A KR 20150068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se material
vacuum
packaging pouch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950B1 (ko
Inventor
요시미츠 쿠리바야시
오사무 사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15006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10Wearable devices, e.g. garments, glasses or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in moist conditions or immersed in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ckag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약액의 함침 얼룩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피부에 붙여서 사용되는 기재(1)에 액상 화장료(2)가 함침된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로서, 기재(1)와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2)가 포장 봉지(3)에 넣어져서 진공 포장되어 있다. 기재(1)는 시트형상이고, 그 시트형상의 기재(1)가 절첩된 상태로 평 봉지인 포장 봉지(3)에 수용되어 있다. 챔버식의 진공 포장기에 의해 진공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포장하기 전에, 기재(1) 및 액상 화장료(2)가 넣어진 포장 봉지(3)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PACKAGING BODY FOR SKIN DRUG SOLUTION-HOLDIN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기재에 약액이 함침된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피부용 약액 유지체로서, 예를 들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기재에 약액으로서의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페이스 마스크가 있다. 그 페이스 마스크는 포장 봉지에 수용되어 밀봉 포장되어 유통된다. 그리고, 포장 봉지로부터 취출한 페이스 마스크를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액상 화장료의 점도가 낮으면 사용시에 액이 흘러 떨어짐이 생기기 쉽다. 즉, 액이 흘러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를 기재에 함침시켜 두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렇지만,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를 사용하면 액상 화장료를 기재 전체에 균일하게 함침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부분적으로 액상 화장료가 함침되지 않고 남는 이른바 함침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러한 함침 얼룩을 억제하기 위한 궁리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서는 기재를 구성하는 부직포를 2층 구조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에서는 절첩(折疊)한 기재를 다시 롤 형상으로 권회한 다음 포장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궁리에 의해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라도 함침 얼룩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었지만, 함침 얼룩을 보다 한층 완전하게 억제하기 위한 더 한층의 연구가 요구되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225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1-15706호 공보
그런 이유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약액의 함침 얼룩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 관한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는, 피부에 붙여서 사용되는 기재에 약액이 함침된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로서, 기재와 고점도의 약액이 포장 봉지에 넣어져서 진공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는, 진공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봉지의 내부에는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있다. 즉, 진공 포장될 때에 포장 봉지의 내부에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포장 봉지의 내면과 기재와의 사이에도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또한, 기재의 내부에도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약액은 포장 봉지의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고, 또한, 기재의 내부에도 구석구석까지 약액이 침투한다.
특히, 기재는 시트형상이고, 포장 봉지는 평 봉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기재가 시트형상이기 때문에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장 봉지가 이음매나 거싯(gusset)이 없는 평 봉지이기 때문에, 약액이 포장 봉지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기 쉽다. 또한, 평 봉지란, 이음매나 거싯이 없는 봉지 형태이고, 둘로 접음의 접음부를 저부로 함과 함께 좌우 양측부를 실(seal)한 양방향 봉지(양방향 실)나, 저부와 좌우 양측부를 실 한 3방향 봉지(3방향 실) 외에, 합장봉지도 포함된다. 상기 합장봉지는, 저부와 배면 중앙부가 실 된 봉지 형태이고, 그 배면 중앙부는 필름끼리가 합장형상으로 맞 겹쳐진 배첩부로 되어 있다.
또한, 기재가 절첩된 상태로 포장 봉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기재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서 포장 봉지의 사이즈도 작게 이루어진다. 또한, 진공 포장에 의해 압축되어도 기재에 구김살 등이 생기거나 하는 일도 없고, 기재의 절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기재가 절첩된 상태라도 진공 포장에 의해 기재의 내부까지 확실하게 약액이 침투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제조 방법은, 피부에 붙여서 사용되는 기재와 그 기재에 함침시키기 위한 고점도의 약액을 포장 봉지에 넣고, 그 기재 및 약액이 넣어진 포장 봉지를 진공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재와 약액을 포장 봉지에 넣는 순서는, 기재가 우선이거나 약액이 우선이라도 좋고 또한 양자를 동시에 넣어도 좋다.
해당 구성의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진공 포장할 때에 포장 봉지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고, 그 감압 상태에 의해 고점도의 약액이 포장 봉지의 내부 전체로 전해짐과 함께, 기재의 내부에 침투되어 진다. 또한, 제조 후의 유통 과정에서도, 항상 포장체가 공기압(대기압)으로 외부로부터 계속 가압되기 때문에, 약액의 함침 얼룩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챔버식의 진공 포장기에 의해 진공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식의 경우, 챔버 내에 포장 봉지를 넣고, 챔버 내를 탈기(脫氣)하여 진공 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진공 상태가 된 점에서 포장 봉지의 개구부를 히트 실하는 것인데, 히트 실 후에 챔버 내가 상압으로 되돌아온다. 그 상압으로 돌아올 때에, 포장 봉지가 공기압으로 외부로부터 가압되게 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약액이 보다 한층 기재의 내부에 침투하게 된다.
또한, 진공 포장하기 전에, 기재 및 약액이 넣어진 포장 봉지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진공 포장 전에 미리 포장 봉지로부터 여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 좋게 진공 포장을 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포장한 후에, 포장체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포장 봉지의 내부에 공기가 거의 잔존하지 않기 때문에, 포장체를 강하게 가압할 필요가 없고, 가벼운 힘으로 끼워 넣는 정도로 끝난다. 따라서, 가압력에 의해 포장 봉지에 주름이 들어간다는 것도 방지된다. 그리고, 포장체를 가압함에 의해 약액이 보다 한층 기재에 침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진공 포장함으로써, 약액의 함침 얼룩을 종래 이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약액의 양도 적게 마무리되어 포장체의 용적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로서의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동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에서의 기재의 전개 상태를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3의 (a) 내지 (c)는 동 기재의 절첩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의 (a) 내지 (d)는 동 기재의 절첩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동 기재의 봉지에 넣는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동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의 한 제조 공정인 진공 포장 전의 가압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동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의 한 제조 공정인 진공 포장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동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의 한 제조 공정인 진공 포장 후의 가압 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로서의 페이스 마스크가 진공 포장된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이다. 그 페이스 마스크는, 얼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시트형상의 기재(1)에 약액으로서의 액상 화장료(2)가 함침된 것이다.
기재(1)는, 절첩된 상태로 포장 봉지(3)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절첩 방식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기재(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얼굴의 거의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얼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기재(1)를 그 표면측에서 본 전개도이고, 기재(1)의 표면은 얼굴에 부착된 때에 외측이 되는 면이다. 양 눈에 대응한 개소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U자 형상의 절입선(1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U자 형상의 절입선(10)에 의해 다른 부분과 구획되도록 하여 위를 향한 설편형상(舌片狀)의 검편부(瞼片部)(11)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검편부(11)의 기부 즉,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절곡선(12)이 형성되어 있다. 포장 봉지(3)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절곡선(12)의 위치에서 표면 곡절이 되도록 양 검편부(11)가 각각 바깥쪽으로 되접힌 상태로 있다. 따라서, 검편부(11)가 되접혀 있는 측의 면이 표면이 되고, 그에 의해 기재의 안과 겉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절곡선(12)에는 각종의 절곡 괘선이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미싱 눈금형상의 것이나 눌려진 괘선 등이라도 좋다. 또한, 코에 대응한 개소에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U자 형상의 절입선(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U자 형상의 절입선(13)에 의해 다른 부분과 구획되도록 하여 코 형상으로 된 하향 설편형상의 코 편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가로로 기다란 타원형상의 입용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용의 절입선(13)과 입용 개구부(15)와의 사이에는 종방향의 절입선(16)이 형성되고, 입용 개구부(15)와 기재(1)의 외연 하단부 중앙과의 사이에도 종방향의 절입선(17)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종방향의 절입선(16, 17)이 형성됨으로써 얼굴의 요철 형상에 기재(1)가 따르기 쉽게 되어 기재(1)가 얼굴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기재(1)의 상단부의 좌우 양 구석부에는, 경사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쥠부(손잡이: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쥠부(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첩된 상태의 기재(1)를 전개할 때에 쥘 수 있고, 그에 의해 절첩된 기재(1)가 전개하기 쉬워진다. 또한, 기재(1)는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에서 보아 우측(얼굴에의 접착 상태에서는 얼굴의 좌측)의 쥠부(18) 선단부에는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서 보아 좌측의 쥠부(18)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표면에서 보아 우측의 쥠부(18)를 왼손으로 쥐면서 얼굴에 부착함으로써, 안과 겉이 틀리는 일 없이 기재(1)를 얼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쥠부(18)의 기부에는 절곡선(20)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에 절곡선(20)에 의해 쥠부(18)를 표면 곡절이 되도록 외측으로 되접어 겹치도록 하면, 쥠부(18)의 선단부가 눈꼬리에 대응한 개소에 위치한다. 따라서, 눈꼬리에서는 기재(1)가 2중이 되어, 눈꼬리에 중점적으로 액상 화장료(2)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1)는 시트형상이고, 기재(1)를 구성하는 시트체는 액체를 흡수 유지 가능한 재질이라면 좋지만, 특히 섬유 시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각종 소재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섬유, 셀룰로스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아크릴산계 섬유, 폴리젖산 섬유 또는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단위면적당 무게(평량)은 20 내지 120g/㎡, 특히 30 내지 100g/㎡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1)가 절첩된 상태로 포장 봉지(3)에 수용되어 있다. 이 절첩 방식은 임의이지만, 그 한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상하 반전시킨 상태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한 예이고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도 3의 (a)과 같이 양 검편부(11)를 절곡선(12)이 표면 곡절이 되도록 하여 각각 되접는다. 도 3의 (a)는 기재(1)를 표면측에서 본 상태이다. 그리고, 2점쇄선으로 종방향의 가상 절첩선(21)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코의 측연의 위치에서 좌우의 일방측을 타방측을 향하여 곡절(谷折)로 절첩한다. 다음에, 도 3의 (b)와 같이, 그 기재(1)를 안과 겉을 뒤집어서 반대측도 마찬가지로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종방향의 가상 절첩선(22)의 위치에서 곡절로 절첩하여, 좌우로 Z형상의 3번 접음으로 한다. 다음에, 도 3의 (c)와 같이, 상측으로 되접혀 있는 시트편(片)에서의 뺨의 부분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종방향의 가상 절첩선(23)의 위치에서 곡절로 절첩한다. 다음에, 도 4의 (a)와 같이, 안과 겉을 뒤집어 반대측도 마찬가지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종방향의 가상 절첩선(24)의 위치에서 뺨의 부분을 곡절로 되접는다. 다음에, 도 4의 (b)와 같이,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횡방향의 가상 절첩선(25)의 위치에서, 즉, 눈의 위의 위치에서 곡절로 둘로 접음으로 한다. 다음에, 도 4의 (c)와 같이,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횡방향의 가상 절첩선(26)의 위치에서, 즉, 입 위의 위치에서 곡절로 절첩한다. 이상의 절첩 공정에 의해, 도 4의 (d)과 같이 절첩된 기재(1)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기재(1)는 전체로서 사각형, 구체적으로는 약간 세로로 길다란 장방형상으로 절첩되어 있지만, 그 절첩된 상태에서 양 쥠부(18)의 선단부는 각각 좌우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양 쥠부(18)를 양손으로 쥠으로써 기재(1)를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다음에, 포장 봉지(3)에 주입되어 있는 액상 화장료(2)에 관해 설명한다. 액상 화장료(2)는, 화장수, 로션, 화장액, 유액(乳液) 등의 액상의 화장료로서, 수성이라도 유성이라도 좋지만, 피부, 특히, 얼굴의 피부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이다. 이 액상 화장료(2)에는 고점도의 것이 사용되고, 특히, 사용시에 있어서 기재(1)로부터 액이 흘러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고점도의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5000㎫·sec(5Pa·sec) 이상의 고점도의 것이고, 그 상한치로서는 예를 들면 수만㎫·sec이고, 예를 들면 50000㎫·sec 이하이다. 이 점도 조정은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점도 조정에 의해 크림상이나 페이스트상, 겔상으로 한다.
점도 조정에는, 각종의 방법이 있고, 예를 들면, 여러가지 타입의 증점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일반적인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등이 있다. 증점제로서는, 수용성 타입이나 유성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타입으로서는,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등,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크산탄고무, 로커스트빈고무, 숙시노글루칸(succinoglucan), 구아고무, 카라기난,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트고무,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그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알긴산염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 다당류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 폴리에틸렌옥시드,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유성 타입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왁스, 합성 탄화수소 왁스, 마이크로클리스탈린 왁스, 세레신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왁스류 : 카르나우바납(蠟), 밀랍, 라놀린 왁스, 칸델릴라 등의 천연 왁스류 : 스테아릴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베헤닐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왁스 류 : 팔미틴산덱스트린, 스테아린산덱스트린, 이소스테아린산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 이소스테아린산알루미늄,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칼슘 등의 금속비누류 : 유기 변성 점토 광물 :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등의 유성 겔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증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액상 화장료(2)의 점도는, 예를 들면 BM 점도계(주식회사토키멕제)를 이용할 수 있고, 로터 No. 4를 이용하여 12rpm, 25℃, 1분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단, 점도의 크기에 의해, 사용하는 로터 및 속도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여 측정한다.
또한, 포장 봉지(3)에의 액상 화장료(2)의 주입량은, 점도나 용도, 기재(1)의 사이즈, 포장 봉지(3)의 사이즈 등에 의해 조정하지만, 예를 들면 건조한 기재(1)의 중량에 대해 그 5배 내지 20배 정도로 한다. 즉, 부직포에 액상 화장료(2)를 함침시키는 경우의 함침 배율은, 예를 들면 5 내지 20배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함침 배율은, 사용하는 부직포의 중량에 대해 몇 배량의 액상 화장료(2)를 사용하였든지로 산출된다. 예를 들면, 1g의 부직포에 대해 10g의 액상 화장료(2)를 사용한 경우에는, 함침 배율은 10배가 된다.
그리고,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는 진공 포장된 것이기 때문에, 액상 화장료(2)는 포장 봉지(3)의 내부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미치고 있고, 포장 봉지(3) 내에는 공기가 거의 잔존하지 않고, 잔존하고 있다고 하여도 그 양은 근소하다. 또한, 잔존하고 있는 공기는, 포장 봉지(3)의 내부이기는 하지만, 기재(1)의 내부에는 잔존하지 않고, 액상 화장료(2)에 기포로서 약간 존재하는 정도이다. 포장 봉지(3) 내의 공기 잔존률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공기 잔존률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진공 포장한 포장체를 수중에서 개봉하고, 포장 봉지(3) 내에 잔존하고 있는 공기를, 메스 실린더 등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구에 회수하여 측정하고, 그 양을 「용량(1)」으로 한다. 다음에 같은 형, 같은 치수의 빈 포장 봉지(3)에 공기를 가득하게 되도록 넣고, 이것을 수중에서 개방하여, 공기량을 마찬가지로 메스 실린더 등의 용량이 측정할 수 있는 기구에 회수하여 측정하고, 그 양을 「용량(2)」으로 한다. 그리고, 공기 잔존률(%) = 「용량(1)」/「용량(2)」×100에 의한 산출식에 의해 공기 잔존률을 구한다.
포장 봉지(3)는, 여러가지의 유연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그 유연성을 갖는 필름으로는 각종의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젖산 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수지,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수지, 에틸렌 아세트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은 단층, 다층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특히, 내면을 구성하는 층이 히트 실 층인 라미네이트 필름(다층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 봉지(3)의 배리어성을 향상하기 위해, 이들 합성 수지 필름에 알루미늄이나 실리카 등을 증착한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중간부에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로서는, 30 내지 120㎛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 봉지(3)의 삽입용 개구부(33)(도 5 참조)에서의 실 부의 폭은, 액밀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 3 내지 20㎜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범위로 한다. 히트 실할 때의 가열시간은, 실성과 액밀성 등의 관점에서 1 내지 5초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초 정도이다. 또한, 액밀성 등의 관점에서, 실 예정부에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에 히트 실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음파 접착 장치를 이용하여 삽입용 개구부(33)를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포장 봉지(3)의 봉지 형태도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 봉지이다. 포장 봉지(3)의 사이즈도 내장하는 기재(1)의 크기에 맞추어서 여러가지의 것이라도 좋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로 길다란 장방형상으로서, 예를 들면 종방향의 치수가 150㎜ 정도, 횡방향의 치수가 100㎜ 정도의 것이다. 그 포장 봉지(3)는 그 주위가 전둘레에 걸쳐서 히트 실 되어 있다. 도 1에서 크로스 해칭을 시행하고 있는 부분이 히트 실된 실 부이다. 즉, 상하 양단부(30, 31)와 좌우 양측부(32)의 4변 어느 것이나 소정 폭으로 히트 실 되어 있다. 또한, 포장 봉지(3)로는 이른바 3방향 실의 평 봉지가 사용되고, 그 상단부(30)와 하단부(31)중의 어느 한쪽을 삽입용 개구부(33)(도 5 참조)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단부(31)를 삽입용 개구부(33)로 한 3방향 실의 평 봉지가 사용되어 있고, 진공 포장할 때에 하단부(31)의 삽입용 개구부(33)가 히트 실 된다. 또한, 양측 테두리 상부에는 각각 개봉용의 노치(34)가 형성되어 있다. 단, 개봉용의 노치(34)는 삽입용 개구부(33)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다음에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의 제조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제조 공정은, 크게 나누어, 기재(1)의 절첩 공정과, 절첩된 기재(1)를 봉지에 넣는 공정과, 액상 화장료(2)의 주입 공정과, 진공 포장 전의 가압 공정과, 진공 포장 공정과, 진공 포장 후의 가압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기재(1)의 절첩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고, 그 후에 봉지에 넣는 공정을 행한다. 도 4의 (d)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절첩 상태의 기재(1)를 상하 역방향으로 하여, 그것을 도 5와 같이 하단부(31)를 삽입용 개구부(33)로 하고, 상단부(30)를 저부로 한 3방향 실의 평 봉지인 포장 봉지(3)에 넣는다. 그 후, 주입 공정을 행한다. 절첩된 기재(1)가 넣어진 포장 봉지(3)의 내부에 삽입용 개구부(33)로부터 액상 화장료(2)를 소정량 주입한다. 또한, 절첩된 기재(1)에서의 시트편 끼리의 사이 간극에 액상 화장료(2)를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주입 공정 후, 진공 포장 전의 가압 공정으로 진행한다. 그 진공 포장 전의 가압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세워진 한 쌍의 가압벽(40, 41)의 사이에 포장 봉지(3)를 넣는다. 가압벽(40, 41)의 내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포장 봉지(3)는 그 삽입용 개구부(33)가 위를 향하는 기립 자세로 한다. 한 쌍의 가압벽(40, 41)중 한쪽은 가동측, 다른 쪽은 고정측이고, 가동측의 가압벽(40)은 고정측의 가압벽(41)에 대해 접근 이반하도록 왕복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측의 가압벽(40)을 고정측의 가압벽(41)을 향하여 접근시킴으로써 포장 봉지(3)의 전체를 그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양 가압벽(40, 41)으로 포장 봉지(3)를 끼워 지지한 상태를 소정 시간, 예를 들면 수초간 유지하고, 그리고 나서 가동측의 가압벽(40)을 이반시킨다. 이와 같은 진공 포장 전의 가압 공정에 의해 포장 봉지(3) 내로부터 여분의 공기를 미리 빼어 둔다. 또한, 포장 봉지(3)를 가압벽(40, 41)으로 끼워 지지함으로써 액상 화장료(2)를 기재(1)에 미리 스며들도록 할 수도 있다.
진공 포장 공정에서는 챔버식의 진공 포장기를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감압도가 -0.1㎫(대기압 기준)인 진공 포장기를 이용하여 진공 포장을 행하였다. 상기 진공 포장기를 이용하여 감압을 행하는 시간은, 포장 봉지(3)의 크기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 봉지(3)를 진공 포장기에 세트하고 나서 10 내지 120초간의 감압 조작을 행하고, 그 후 상압으로 되돌려서 포장체를 완성시킬 수 있고, 상기 감압 조작의 시간은 포장 봉지(3)의 크기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윗덮개(51)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열고, 챔버(50) 내에 포장 봉지(3)를 넣는다. 챔버(50) 내에는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상하 한 쌍의 실 바(53, 54)가 마련되어 있다. 상측의 실 바(53)는 챔버(50)의 윗덮개(5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 상측의 실 바(53)는 실 선이 내장되지 않은 누르는 측의 실 바이다. 하측의 실 바(54)는 챔버(50) 내의 테이블(52)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 하측의 실 바(54)는 실 선을 내장하는 가열측의 실 바이다. 그리고, 하측의 실 바(54)의 위에 포장 봉지(3)의 삽입용 개구부(33)측을 싣도록 하여 테이블(52)에 포장 봉지(3)를 놓는다. 하측의 실 바(54)의 상면이 테이블(52)의 상면보다도 높기 때문에, 포장 봉지(3)는, 삽입용 개구부(33)가 상방이 된 경사 상태가 된다. 또한, 포장 봉지(3)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여도 좋고, 포장 봉지(3)의 놓는 방식은 임의이고, 어느 쪽으로 하여도 내용물인 액상 화장료(2)가 넘쳐 나오지 않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챔버(50)의 윗덮개(51)를 닫는다. 챔버(50)의 윗덮개(51)를 닫음으로써, 상하 한 쌍의 실 바(53, 54)가 포장 봉지(3)의 삽입용 개구부(33)를 상하로 끼워 넣는다. 그 후, 챔버(50) 내의 공기를 탈기하여 챔버(50) 내를 감압 상태로 한다. 챔버(50) 내가 소정의 진공 상태가 된 점에서, 삽입용 개구부(33)를 히트 실 하여 밀봉한다. 챔버(50) 내의 압력은, 예를 들면 게이지 압으로 -0.1㎫(대기압 기준)로 한다. 히트 실 완료 후, 챔버(50) 내로 공기가 보내져서 챔버(50) 내의 압력이 상압으로 되돌려지고, 챔버(50)의 윗덮개(51)를 열고, 완성한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를 챔버(50)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포장 봉지(3)를 하나씩 진공 포장하여도 좋지만, 복수 동시에 진공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하측의 실 바(54)에 따라 서로 간격을 띠우면서 복수의 포장 봉지(3)를 횡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배치하면 효율 좋게 진공 포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 포장한 후, 진공 포장 후의 가압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성된 포장체를 그 두께 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하여 가압한다. 이 가압 수단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롤러(60)를 이용할 수 있다. 롤러(60)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축선을 갖고서 회전하는 롤러(60)를 벨트 컨베이어(61)의 상방에 이간하여 배치하고, 벨트 컨베이어(61)상에 포장체를 눕인 상태로 재치하고 반송하여 롤러(60)의 하방을 통과시킨다. 도 8에서 부호 A가 반송 방향이다. 이와 같이 포장체를 벨트 컨베이어(61)로 반송함으로써, 롤러(60)와 벨트 컨베이어(61)에 의해 포장체를 상하로 끼워 넣고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체 방향은 종횡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롤러(60)의 상류측에는 가이드판(62)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가이드판(62)은 벨트 컨베이어(61)의 상방에 이간하여 배치하여 두고, 그 가이드판(62)에 의해 포장체를 위로부터 누르도록 함으로써 포장체의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60)의 상류측에 가이드판(62)을 배치함으로써, 포장체를 롤러(60)로 가압할 때에 포장 봉지(3)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롤러(60)나 가이드판(62)을 높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벨트 컨베이어(61)와 롤러(60) 사이의 간극이나, 벨트 컨베이어(61)와 가이드판(62) 사이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61)와 가이드판(62) 사이의 간극은, 벨트 컨베이어(61)와 롤러(60) 사이의 간극보다도 크게 설정한다. 또한, 가이드판(62)의 상류측의 단부(62a)는 벨트 컨베이어(61) 사이의 간극이 상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상방을 향하여 경사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구성에 의해 포장체가 가이드판(62)의 하방으로 원활하게 들어가게 된다. 또한, 롤러(60)의 갯수는 1개라도 복수개라도 좋다. 또한, 롤러(60)를 횡방향이 아니라 종방향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즉, 포장체를 세운 상태로 하여, 상하 방향의 축선을 갖고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60) 사이에 포장체를 통과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진공 포장 후에 포장체를 두께 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하여 가압함에 의해, 액상 화장료(2)가 기재(1)에 의해 한층 균일하게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포장 봉지(3) 내에 공기가 거의 잔존하지 않기 때문에 가벼운 힘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족하고, 포장 봉지(3)의 주름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의 두께도 균일화되기 때문에, 복수의 포장체를 상자 등에 포장할 때에 있어서, 포장체를 원활하게 상자에 넣을 수 있음과 함께 수많은 포장체를 넣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에서는, 진공 포장에 의해 포장 봉지(3)의 내부에는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있고, 액상 화장료(2)가 포장 봉지(3)의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고, 기재(1)의 내부의 구석구석에도 액상 화장료(2)가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2)를 사용하고 있어도 함침 얼룩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상 화장료(2)의 주입량도 적어도 되고, 페이스 마스크 포장체의 용적도 감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1)를 절첩하여 포장 봉지(3)에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재(1)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고 포장 봉지(3)의 사이즈도 작은 것으로 족한다. 게다가, 진공 포장에 의해 압축되어도 기재(1)에 구김살 등이 생기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한, 기재(1)가 절첩된 상태라도 진공 포장에 의해 기재(1)의 내부까지 확실하게 액상 화장료(2)가 침투하여 함침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장 봉지(3)가 이음매나 거싯이 없는 평 봉지의 형태이기 때문에, 액상 화장료(2)가 포장 봉지(3)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기 쉽다. 또한, 기재(1)에 쥠부(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2)를 사용하고 있어도 기재(1)를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포장 공정 전에 가압 공정을 마련하여 포장 봉지(3)를 가압벽(40, 41)으로 끼워 넣고 포장 봉지(3) 내로부터 여분의 공기를 빼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재(1)에의 액상 화장료(2)의 스며듬도 좋아진다. 또한, 히트 실 후에 챔버(50) 내가 상압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밀봉한 포장 봉지(3)가 공기압으로 가압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액상 화장료(2)의 침투가 보다 한층 촉진된다.
또한, 하나의 상세한 구체례를 이하에 예시한다. 기재(1)로서 레이온 섬유(40%)/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분할 섬유(60%)로 구성된 평량 70g/㎡의 부직포를 사용한다. 그 기재(1)의 절첩 방식은 상술함 바와 같은 절첩 방식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Z자형상의 3번 접음으로 절첩한 다음 다시 종방향으로 둘로 접음으로 절첩하여 합계 6번 접음으로 한다. 증점제로서 SEPPIC사제의 ·SIMUL GEL NS」를 사용한다. 포장 봉지(3)는, 3층 구조의 필름을 사용한 3방향 실 구조의 것으로 한다. 이 3층 구조의 필름은, 표측부터 차례로,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9㎛의 알루미늄박, 두께 4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액상 화장료(2)의 점도를 5000㎫·sec, 10000㎫·sec, 20000㎫·sec, 30000㎫·sec, 40000㎫·sec, 50000㎫·sec로 각각 조정하고, 또한 함침 배율을 10 내지 13배 정도로 한다. 진공 포장기로서 주식회사 니시하라제작소제의 형식 TVS-8500B를 사용하여, 15 내지 20초 정도 감압(최대 : -0.1㎫)하여 진공 포장한다. 어느 점도에서도 양호한 함침 상태가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챔버식의 진공 포장기를 사용하였지만, 노즐식의 진공 포장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진공 포장하기 전에 포장 봉지(3)를 가압벽(40, 41)으로 가압하였지만, 가압 수단은 가압벽(40, 41)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한 쌍의 롤러에 의해 끼워 넣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진공 포장 전의 가압 공정을 생략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진공 포장 후의 가압 공정도 임의이고 그것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1)의 절첩 방식은 임의이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절첩 방식 외에, 각종의 6번 접음나 12번 접음 등이라도 좋다. 또한 절첩된 상태로 포장 봉지(3)에 수용되어 있는 외에, 예를 들면 롤 형상으로 권회한 상태로 포장 봉지(3)에 수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 예를 들면 기재(1)를 6번 접음 등으로 절첩한 후에 그것을 다시 롤 형상으로 권회하여 포장 봉지(3)에 수용하여도 좋다. 기재(1)를 절첩하거나 롤 형상으로 권회하거나 하는 일 없이 평탄한 상태 그대로 포장 봉지(3)에 수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얼굴의 일부를 덮는 정도의 크기인 포인트 마스크(포인트 팩)나 세퍼레이트 마스크 등에서는, 절첩하는 일 없이 평탄한 상태 그대로 기재(1)를 포장 봉지(3)에 수용하여도 좋다.
또한, 포장 봉지(3)로서 3방향 실의 평 봉지를 사용하는 외에, 저부와 배면 중앙부(배첩부)가 실 된 합장봉지 등의 평 봉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평 봉지가 아니라, 이음매나 거싯이 있는 봉지 형태라도 좋다.
또한, 기재(1)의 안과 겉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쪽의 쥠부(18)에 절결부(19)를 형성하여 기재(1)를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하였지만, 쥠부(18) 이외의 부분을 좌우에서 다른 형상으로 함에 의해 기재(1)를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단, 기재(1)가 안과 겉의 구별이 없는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 기재(1)를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좌우 대칭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기재(1)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직포나 화장면 등의 섬유질의 것이라도 좋고, 또한, 스펀지 등의 다공질의 것이라도 좋고, 어느 것으로 하여도 액체를 흡수 유지 가능한 재질이라면 좋지만, 특히, 얇은 것이 피부에 접착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따라서 예를 들면 얇게 슬라이스한 스펀지라도 좋다. 또한, 화장면의 경우, 그 평량으로서는 120 내지 250g/㎡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면에 액상 화장료(2)를 함침시키는 경우의 함침 배율은, 10 내지 30배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의 경우, 각종 재질(예를 들면, NBR이나 NR 등)로 성형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얼굴의 거의 전체를 덮는 것 외에, 포인트 팩이나 세퍼레이트 마스크와 같이 얼굴의 일부를 덮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얼굴 이외의 피부에 사용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기재(1)로부터 손을 떼고도 기재(1)가 피부에 달라붙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 외에, 기재(1)를 피부에 계속 눌러붙일 필요가 있는 타입이라도 좋고, 짧은 시간만 피부에 기재(1)를 붙이는 정도의 사용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약액으로서 액상 화장료(2)를 사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약액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약효 성분이 들어간 액상의 의약품이나 의약 부외품 등이라도 좋다.
1 : 기재 2 : 액상 화장료
3 : 포장 봉지 10 : 절입선
11 : 검편부 12 : 절곡선
13 : 절입선 14 : 코 편부
15 : 입용 개구부 16 : 절입선
17 : 절입선 18 : 쥠부
19 : 절결부 20 : 절곡선
21 : 가상 절첩선 22 : 가상 절첩선
23 : 가상 절첩선 24 : 가상 절첩선
25 : 가상 절첩선 26 : 가상 절첩선
30 : 상단부 31 : 하단부
32 : 측부 33 : 삽입용 개구부
34 : 노치 40 : 가동측의 가압벽
41 : 고정측의 가압벽 50 : 챔버
51 : 윗덮개 52 : 테이블
53 : 상측의 실 바 54 : 하측의 실 바
60 : 롤러 61 : 벨트 컨베이어
62 : 가이드판 62a : 상류측의 단부

Claims (7)

  1. 피부에 붙여서 사용되는 기재에 약액이 함침된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로서,
    기재와 고점도의 약액이 포장 봉지에 넣어져서 진공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2. 제 1항에 있어서,
    기재는 시트형상이고, 포장 봉지는 평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3. 제 2항에 있어서,
    기재가 절첩된 상태로 포장 봉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4. 피부에 붙여서 사용되는 기재와 그 기재에 함침시키기 위한 고점도의 약액을 포장 봉지에 넣는 단계와,
    상기 기재 및 약액이 넣어진 포장 봉지를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챔버식의 진공 포장기에 의해 진공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제조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진공 포장하기 전에, 기재 및 약액이 넣어진 포장 봉지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제조 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 포장한 후에, 포장체를 끼워 넣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 제조 방법.
KR1020157012450A 2012-12-18 2013-12-17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KR101704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5949 2012-12-18
JP2012275949 2012-12-18
PCT/JP2013/083687 WO2014098055A1 (ja) 2012-12-18 2013-12-17 皮膚用薬液保持体の包装体とそ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999A true KR20150068999A (ko) 2015-06-22
KR101704950B1 KR101704950B1 (ko) 2017-02-08

Family

ID=5097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450A KR101704950B1 (ko) 2012-12-18 2013-12-17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297297A1 (ko)
EP (1) EP2937014B1 (ko)
JP (1) JP6025225B2 (ko)
KR (1) KR101704950B1 (ko)
CN (1) CN104869864B (ko)
CA (1) CA2890723A1 (ko)
HK (1) HK1208789A1 (ko)
WO (1) WO20140980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752A (ko) 2016-05-26 2017-12-06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마스크 포장용 용기
WO2019078596A1 (ko) * 2017-10-18 2019-04-25 (주)아모레퍼시픽 펼침성이 향상된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접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031A1 (it) * 2012-01-13 2013-07-14 Altergon Sa Struttura di confezionamento per film biomedicali
JP2017042303A (ja) * 2015-08-25 2017-03-02 一心堂本舗株式会社 美容パックシート、美容パックシート製品、及び美容パ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CN109649731A (zh) * 2017-10-12 2019-04-19 袁明祯 内置湿式面膜的真空包装袋及其成型方法
USD909060S1 (en) 2019-03-29 2021-02-02 Daniel J. Dooling Selectively sealable evacuable storage bag
US11937676B2 (en) * 2019-03-29 2024-03-26 Load Lugger, Llc Selectively sealable evacuable storage bag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R3095931B1 (fr) * 2019-05-13 2022-02-25 Lessonia Emballage pour produits cosmétiques, en particulier sac hermétique pour masques cosmétiques intégrant un support imprégné d’une solution
CN114449922A (zh) * 2019-11-15 2022-05-06 株式会社黛怡茜 涂布件包装体以及其制法
KR102662779B1 (ko) 2021-09-27 2024-05-03 선윤희 마스크팩 포장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2253A (ja) 2002-04-05 2004-01-08 Kenji Nakamura フェイスマスク
KR100421195B1 (ko) * 2003-08-08 2004-03-10 세희코프레이션(주) 엠보싱 형성 수단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US20050244482A1 (en) * 2004-05-03 2005-11-03 Life Spring Biotech. Co. Ltd. Complex face mask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KR20070016039A (ko) * 2005-08-02 2007-02-07 (주) 월드비젼 은이 코팅된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마스크 팩
JP2011015706A (ja) 2009-07-07 2011-01-27 Taiki:Kk フェイスマスク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5551A (en) * 1971-12-20 1973-05-29 Pratt Manufactoring Corp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ackaging with gas flushing
JPS54134172U (ko) * 1978-03-02 1979-09-18
JPS5951019A (ja) * 1982-09-03 1984-03-24 有限会社柏木研究所 羽毛ブトン等の真空包装方法及び装置
JPS59126910U (ja) * 1983-02-16 1984-08-27 ニュ−ロング株式会社 包装装置
JPS6355022A (ja) * 1986-08-22 1988-03-09 株式会社 エクス 真空包装方法
US4981374A (en) * 1988-09-30 1991-01-01 Rapak, Inc. Plastic bags carried in a continuous web
JPH02169513A (ja) * 1988-12-21 1990-06-29 Ooishi Toyaji 洗顔パック
US5062252A (en) * 1990-08-08 1991-11-05 Viskase Corporation Vacuum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2835476B2 (ja) * 1991-03-11 1998-12-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真空包装袋整形装置
US5172854A (en) * 1991-10-16 1992-12-22 Moshe Epstein Reclosable, reusable package
US5265397A (en) * 1991-12-20 1993-11-30 Eastman Kodak Company Flexible apparatus and process for loading and sealing pouches
JPH0648917A (ja) * 1992-07-28 1994-02-22 Momoki Nakagawa 美容パック
US5335478A (en) * 1993-01-08 1994-08-09 Aronsen Arthur N Multi-compartment dispenser pouch and method of making
US5822956A (en) * 1994-05-03 1998-10-20 Inauen Maschinen Ag Vacuum packaging machine
US5551213A (en) * 1995-03-31 1996-09-03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vacuum sealing pouches
US6630152B2 (en) * 1999-04-07 2003-10-07 Shen Wei (Usa), Inc. Aloe vera glove and manufacturing method
FR2811302B1 (fr) * 2000-07-06 2002-10-31 Serge Wendel Emballage pour support impregne d'un produit pour application cutanee
US7921999B1 (en) * 2001-12-20 2011-04-12 Watson Laboratories, Inc. Peelable pouch for transdermal patch and method for packaging
US20040013713A1 (en) * 2002-02-20 2004-01-22 Berry Craig J Skin conditioning article
US20030215486A1 (en) * 2002-05-15 2003-11-20 Berry Craig J. Cleansing or moisturizing mitt or glove
US6702792B2 (en) * 2002-07-18 2004-03-09 Kenji Nakamura Face mask having excellent usability
US7302784B2 (en) * 2002-09-27 2007-12-04 Depuy Products, Inc. Vacuum packaging machine
ATE440032T1 (de) * 2004-04-30 2009-09-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lauchbeuteln
US8367099B2 (en) * 2004-09-28 2013-02-05 Atrium Medical Corporation Perforated fatty acid films
US20070110792A9 (en) * 2005-01-03 2007-05-17 L'oreal Cosmetic or dermatological article comprising a medium that is soluble in water
US7603831B2 (en) * 2005-03-30 2009-10-20 Sealed Air Corporation (Us)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US20070036845A1 (en) * 2005-08-15 2007-02-15 Persefeld Ellen D Packeted body lotion towelette
JP2007099368A (ja) * 2005-10-06 2007-04-19 Yoshikawa Kogyo Co Ltd 液充填機能を有する真空包装装置
US20070083169A1 (en) * 2005-10-12 2007-04-12 Philip Krugman Towelette
TWI289059B (en) * 2006-01-24 2007-11-01 Tsung-Ching Shiu Prototype machine for in time manufacturing of functional adhesive patch in germ-free room
KR100659575B1 (ko) * 2006-04-26 2006-12-20 이재호 파우더 흡착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ITVI20060150A1 (it) * 2006-05-18 2007-11-19 Alessandra Sambugaro Macchina confezionatrice con film termosaldabile
US20080147022A1 (en) * 2006-12-15 2008-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kin care delivery device having a releasable backing
TWM322395U (en) * 2007-05-18 2007-11-21 Bioinside Lifesciences Co Ltd Sealing bag for skin care paste
WO2009023823A1 (en) * 2007-08-16 2009-02-19 Poly-Clip System Corp. Dual mode bagger
US20090056281A1 (en) * 2007-08-27 2009-03-05 Pouch Pac Innovations, Llc Shaped Flexible Pouch With Elongated Neck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647384B2 (ja) * 2007-10-12 2014-12-24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包装袋のカット装置、その方法および製造装置
TWI491369B (zh) * 2008-03-05 2015-07-11 Kenji Nakamura Mask
US20090266036A1 (en) * 2008-04-24 2009-10-29 Kraft Foods Global Brand Llc Flexible package having an automatic closure feature
US20090301034A1 (en) * 2008-06-10 2009-12-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Seal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5053935B2 (ja) * 2008-06-12 2012-10-2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回転ロータリー式袋詰め真空包装機
JP2010111411A (ja) * 2008-11-06 2010-05-20 Fuso Sangyo Kk 包装装置
TW201038227A (en) * 2009-01-29 2010-11-0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Facial treatment mask comprising an isolation layer
JP5522624B2 (ja) * 2009-06-24 2014-06-18 株式会社タイキ フェイスマスク包装体
CN102100657A (zh) * 2009-12-21 2011-06-22 上海子夏投资管理有限公司 中药胶原蛋白面膜及其制作工艺
US8596026B2 (en) * 2010-08-05 2013-12-03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Vacuum flow wrap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packaging
DE102012017827B4 (de) * 2012-09-10 2021-07-15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ammermaschine
US9796520B2 (en) * 2013-02-19 2017-10-24 Taiki Corp., Ltd. Facial mask sheet package
FR3008080B1 (fr) * 2013-07-02 2016-05-06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2253A (ja) 2002-04-05 2004-01-08 Kenji Nakamura フェイスマスク
KR100421195B1 (ko) * 2003-08-08 2004-03-10 세희코프레이션(주) 엠보싱 형성 수단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US20050244482A1 (en) * 2004-05-03 2005-11-03 Life Spring Biotech. Co. Ltd. Complex face mask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KR20070016039A (ko) * 2005-08-02 2007-02-07 (주) 월드비젼 은이 코팅된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마스크 팩
JP2011015706A (ja) 2009-07-07 2011-01-27 Taiki:Kk フェイスマスク包装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752A (ko) 2016-05-26 2017-12-06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마스크 포장용 용기
WO2019078596A1 (ko) * 2017-10-18 2019-04-25 (주)아모레퍼시픽 펼침성이 향상된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접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7014A1 (en) 2015-10-28
CA2890723A1 (en) 2014-06-26
CN104869864A (zh) 2015-08-26
JPWO2014098055A1 (ja) 2017-01-12
US20150297297A1 (en) 2015-10-22
KR101704950B1 (ko) 2017-02-08
CN104869864B (zh) 2018-04-24
WO2014098055A1 (ja) 2014-06-26
EP2937014A4 (en) 2016-08-10
JP6025225B2 (ja) 2016-11-16
EP2937014B1 (en) 2019-02-06
HK1208789A1 (en) 2016-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950B1 (ko)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JP6265440B2 (ja) パックシート包装体
ES2345343T3 (es) Procedimiento de formacion-llenado-sellado.
JP5428011B2 (ja) ウエットシートピロー包装体
KR101677143B1 (ko)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WO2011145816A2 (ko) 롤 마스크 팩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JP6504643B2 (ja) パックシート包装体
JP5709305B2 (ja) 折り畳みパックシート配列体及びパックシート包装体
JP2013151308A (ja) シート用収納袋及びシートが収納されたシート用収納袋
WO2015060351A1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CN109071090A (zh) 湿巾包装体
US20200085706A1 (en) Skin improving kit and face pack
CN213922358U (zh) 一种冻干粉蜂王浆面膜
JP2017052532A (ja) パックシート包装体とその製造方法
JP3759427B2 (ja) 美容品セット
KR20220147455A (ko) 겔포켓이 구비된 다수겹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