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926A -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926A
KR20150068926A KR1020147034515A KR20147034515A KR20150068926A KR 20150068926 A KR20150068926 A KR 20150068926A KR 1020147034515 A KR1020147034515 A KR 1020147034515A KR 20147034515 A KR20147034515 A KR 20147034515A KR 20150068926 A KR20150068926 A KR 20150068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eeling
preliminary
roll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725B1 (ko
Inventor
가즈히코 가토
신이치 하뉴
Original Assignee
베아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아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베아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8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1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3Rotary suction means, e.g. roller, cylinder or drum
    • B65H2406/334Rotary suction means, e.g. roller, cylinder or drum arranged on movab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는, 필름(Wc)을 베이스 부재(Wm)로부터 박리할 때에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기구부(700)를 구비하고, 예비 박리 기구부(700)는 예비 박리 롤(710)을 필름(Wc)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예비 박리 롤(710)이 회전하도록 필름(Wc) 또는 예비 박리 롤(710) 중 적어도 한쪽을 주행시켜서, 필름(Wc)을 베이스 부재(Wm)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 종료 위치까지 권취해 가는 제1 공정과, 제1 공정 후에 예비 박리 롤(710)을 필름(Wc)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필름(Wc) 또는 예비 박리 롤(710) 중 적어도 한쪽을 반대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예비 박리 롤(710)에 권취된 필름을 베이스 부재(Wm)에 재접착하는 제2 공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보다도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 {FILM PEELING APPARATUS AND FILM PEELING METHOD}
본 발명은 필름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얇은 폴리이미드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여 만들어지고, 그 표면에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구리박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전자 회로에는 전자 부품이 직접 실장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 회로는 필름(커버레이 필름이라고 함)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얇고 부드러워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그 위에 부품을 탑재하거나, 커넥터에 접속하거나 할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두께와 견고함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의 일부 영역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보강판을 베이스 필름에 대하여 접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위의 피복해야 할 전자 회로 위에 커버레이 필름을 접착하는 전단계의 공정으로서, 우선은 프리컷된 커버레이 필름을 대지(臺紙)로부터 수작업으로 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강 필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보강 필름을 베이스 부재(이하, 대지라고 함)로부터 수작업으로 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대지」라고 하는 것은,「종이」를 원재료로 한 것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등의 부재를 원재료로 한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렇게 수작업으로 커버레이 필름이나 보강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하는 것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조를 자동화하는 데 있어서 큰 장해가 되고 있었다. 따라서, 커버레이 필름이나 보강 필름 등의 필름을 대지로부터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도, 대지로부터 필름을 박리할 때에 박리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예비 박리 기구를 설치하여, 당해 예비 박리 기구에 의해, 대지로부터 필름을 미리 일부를 박리시켜 둔 상태(예비 박리한 상태)로서, 그 후, 대지로부터 필름을 박리하도록 한 필름의 박리 장치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4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는, 필름은 커버레이 필름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이하,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9000)라고 함]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지(Wm)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커버레이 필름(Wc)[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이라고도 함]을, 주행로(A)(도 15 참조)에 거의 평행한 안내면(110)을 갖는 베이스 테이블(100)과, 베이스 테이블(100)의 안내면(110)을 따라 주행로(A)에 있어서의 전방측(화살표 x 방향이며「주행로 전방측」이라고도 함) 및 주행로(A)에 있어서의 후방측(화살표 x' 방향이며「주행로 후방측」이라고도 함)으로 소정 범위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박리 유닛(200)과, 가동 박리 유닛(200)보다도 주행로 후방측의 베이스 테이블(100)에 설치되어,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로부터 박리되기 쉽게 하기 위한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기구부(400)와, 예비 박리한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주행로(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지(Wm)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하여 한 장의 절단 완료 커버레이 필름(커버레이 필름편이라고 함)을 생성하는 절단 기구부(600)와, 절단 기구부(600)로 절단된 한 장의 커버레이 필름편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장치(800)를 구비하고 있다.
예비 박리 기구부(400)는 주행로(A)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제1 박리판(410)과 제2 박리판(420)을 갖고 있다. 제1 박리판(410) 및 제2 박리판(420)은 각각의 선단부(411, 421)가 대지(Wm)와 커버레이 필름(Wc) 사이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된 상태로 사용된다.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9000)에 있어서는, 커버레이 필름(Wc)이, 예비 박리 기구부(400)를 통과하면, 중앙부에 소정의 폭을 남기고 양 사이드부가 주행로(A)를 따라 대지(Wm)로부터 예비 박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절단 기구부(600)에는 예비 박리 기구부(660)가 설치되어 있다.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절단 기구부(600)가 커버레이 필름편을 생성할 때에, 당해 커버레이 필름편에 이어지는 커버레이 필름편의 주행로 전방측 단부(선단부라고도 함)를, 절단날(640)에 의한 절단선을 따라 흡착함으로써, 커버레이 필름편의 선단부를, 소정량만큼 예비 박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커버레이 필름편의 선단부를 예비 박리하는 것이므로,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라고 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에 있어서는, 우선은 예비 박리 기구부(400)가 커버레이 필름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소정 폭만큼 남기고 양 사이드를 예비 박리해 가고, 그 후, 절단 기구부(600)가 절단선을 따라 커버레이 필름을 절단할 때에,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가, 이어지는 커버레이 필름의 선단부를 상기 절단선을 따라 흡착함으로써 당해 선단부를 예비 박리한다.
이와 같이, 예비 박리 기구부(400)에 의해 양 사이드의 예비 박리가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해 선단부의 예비 박리가 이루어져 있는 한 장의 커버레이 필름편은,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해 대지(Wm)로부터 박리한다. 즉, 보유 지지 장치(800)를 하강시켜서 당해 보유 지지 장치(800)에 의해 예비 박리한 한 장의 커버레이 필름편을 누른 상태로 하여, 대지(Wm)에 주행로 전방측으로의 인장력을 부여하면서 가동 박리 유닛(200)을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Wm)로부터 박리한다. 또한,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해, 대지(Wm)로부터 커버레이 필름편을 박리하는 것을「본 박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9000)는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해 대지(Wm)로부터 커버레이 필름편을 본 박리할 때에는, 커버레이 필름편은 대지(Wm)에 대하여, 미리 예비 박리가 이루어져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작은 힘으로 적절하게 박리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국제 공개 제2011/108332호
그러나,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90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예비 박리 기구부[예비 박리 기구부(400) 및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를 구비하고 있었다고 해도, 커버레이 필름(Wc)의 재질 및 대지(Wm)의 재질, 나아가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에 접착하고 있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로부터 적절하게 박리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보다도 더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는, 베이스 부재에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상기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필름을 부착 가능한 예비 박리 롤을 갖고 있으며, 당해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여, 당해 예비 박리 롤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주행시켜,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보다도 앞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가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공정에서의 주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예비 박리 롤이 권취한 필름을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재접착해 가는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 박리 동작으로서, 예비 박리 롤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보다도 앞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필름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한 후에, 박리한 필름을 베이스 부재에 재접착한다고 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예비 박리 동작을 행함으로써, 필름은 당해 필름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일단 박리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필름과의 사이의 점착력은 거의 해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름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있어서는, 종래의 필름 박리 장치보다도 더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재질 및 베이스 부재의 재질, 나아가 접착제의 종류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필름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적절하게 박리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 종료 위치는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의 직전 위치이며, 상기 권취 종료 위치와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 사이에는, 예비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비 박리 롤은 필름의 대부분을 예비 박리하게 되므로, 실제로 필름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있어서는, 보다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또한, 필름에는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하므로, 본 박리를 행하기 전에 필름이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져 버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에는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하므로, 상기 제2 공정을 행했을 때에,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이 원래의 위치에 정확하게 접착되게 된다. 즉, 가령 필름에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2 공정을 행했을 때에,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이 원래의 위치에 정확하게 접착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필름에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은 표면에 점착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롤이며,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필름을 당해 예비 박리 롤에 부착시켜서 권취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박리 롤이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필름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부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표면 전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가 예비 박리 롤의 표면 전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필름을 당해 예비 박리 롤에 부착시켜서 권취하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은, 상기 필름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표면에 갖는 원통 형상의 롤이며, 당해 예비 박리 롤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는 것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필름을 당해 예비 박리 롤에 부착시켜서 당해 필름의 권취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예비 박리 롤에 있어서는, 부압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필름을 당해 예비 박리 롤에 흡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러한 구조의 예비 박리 롤에 의해서도, 필름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압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필름을 부착시키는 예비 박리 롤을「흡인식 예비 박리 롤」이라고도 한다.
[6]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흡인구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폭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식 예비 박리 롤을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필름을 당해 흡인식 예비 박리 롤에 부착시켜서 권취하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흡인구는 예비 박리 롤의 폭 방향을 따라서 긴 구멍을 형성한 것이라도 되고, 또한 예비 박리 롤의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작은 구멍을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7]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의 직경은 당해 예비 박리 롤의 원주가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측 단부로부터 상기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박리 롤(흡인식 예비 박리 롤도 포함함)의 직경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당해 예비 박리 롤이 필름을 권취하는 동작을 행할 때, 예비 박리 롤이 1회전이 끝나기 전에 필름의 권취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권취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박리 롤이 1회전이 끝나기 전에 필름의 권취를 행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예비 박리 롤이, 표면 전체에 점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예비 박리 롤일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예비 박리 롤이 필름을 권취하는 동작을 행할 때에, 당해 예비 박리 롤의 표면이 필름의 표면과 항상 접촉하므로,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당해 예비 박리 롤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구조의 예비 박리 롤에 의하면, 필름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8]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은, 긴 시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며, 상기 긴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 주행로를 따라서 주행로 후방측으로부터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면을 갖는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 주행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절단날을 갖고, 상기 주행로를 주행하는 긴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하여, 상기 주행로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치수를 갖는 필름편을 생성하는 절단 기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전방측으로 하고, 상기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하여, 당해 필름편에 대하여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편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긴 시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을 절단 기구부에 의해 베이스 부재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한 후에, 당해 절단 기구부의 절단에 의해 생성된 필름편을 박리 기구부에 의해 본 박리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이다. 이러한 필름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 절단 기구부에 의해 생성된 필름편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필름편을 예비 박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개의 필름편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있어서는,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은, 긴 시트 형상을 이루고,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남긴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치수마다 절단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필름이 복수의 필름편으로서 당해 베이스 부재 위에 존재하고 있는 절단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며, 상기 절단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 주행로를 따라서 주행로 후방측으로부터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면을 갖는 베이스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복수의 필름편 중,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를 행해야 할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전방측으로 하고, 상기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를 행해야 할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하여, 당해 필름편에 대하여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편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으로서는, 베이스 부재를 남긴 상태에서 주행로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치수마다 절단되어 있는 절단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프리컷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에 있어서도, 각 필름편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각 필름편을 예비 박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개의 필름편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있어서는,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필름을 대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박리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테이블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주행로 전방측 및 상기 주행로 후방측에 소정 범위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박리 유닛과,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이 박리할 때에,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은,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이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의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의 주행에 저항하는 힘을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여하고, 또한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상기 보유 지지 장치에 의해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을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필름편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필름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가동 박리 유닛과,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플레이트를 갖는 보유 지지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도, 필름편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예비 박리를 행한 후에, 박리 유닛에 의해 필름편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본 박리하기 위해, 작은 힘으로 필름편을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박리 동작을 행할 때에 있어서는, 가령 예비 박리 롤에 의한 예비 박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베이스 필름이 필름편으로부터 박리되려고 할 때의 응력이 필름편에 가해짐으로써, 필름편에 주름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고, 필름편의 품질을 열화시켜 버리게도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의하면, 예비 박리 롤에 의해, 필름편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일단 박리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필름과의 사이의 점착력은 거의 해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베이스 필름을 필름편으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있어서는, 필름편에 가해지는 응력은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가 된다. 이에 의해, 본 박리 동작을 행할 때에,「필름편에 주름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음」이라고 하는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필름편의 품질 열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보다도 상기 주행로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편의 상기 주행로 전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을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소정량만큼 예비 박리하기 위한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비 박리 롤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는 필름편의 주행로 전방측 단부(선단부)를 소정량만큼 예비 박리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필름편의 주행로 전방측 단부(선단부)를 소정량만큼 예비 박리해 둠으로써, 예비 박리 롤에 의한 예비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필름 박리 방법은, 베이스 부재에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필름의 박리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상기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공정을 갖고, 상기 예비 박리 공정은,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여, 당해 예비 박리 롤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주행시켜,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보다도 앞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가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공정에서의 주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예비 박리 롤이 권취한 필름을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재접착해 가는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름 박리 방법에 의하면,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박리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2] 내지 [11]에 기재된 본 발명의 필름 박리 장치가 갖는 특징과 마찬가지인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박리부(2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전체적인 동작 중, 예비 박리 기구부(700)의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절단 기구부(600)에 의한 절단 동작과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한 커버레이 필름편의 선단부의 예비 박리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예비 박리 롤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흡인식 예비 박리 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는 송출 기구부(910) 및 권취 기구부(920)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은 커버레이 필름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지(Wm)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커버레이 필름(Wc)[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이라고도 함]을 대지(Wm)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안내면(110)을 갖는 베이스 테이블(100)과, 베이스 테이블(100)의 안내면(110)을 따라 주행로(A)에 있어서의 주행로 전방측(화살표 x 방향) 및 주행로(A)에 있어서의 주행로 후방측(화살표 x' 방향)으로 소정 범위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박리 유닛(200)과, 가동 박리 유닛(200)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300)와, 베이스 테이블(100)에 고정된 제1 클램프 장치(500)와, 가동 박리 유닛(200)보다도 주행로 후방측의 베이스 테이블(100)에 설치되어,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를 남긴 상태에서 주행로(A)를 가로지르는 방향(직교 방향으로 함)으로 절단하여, 주행로(A)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치수를 갖는 커버레이 필름편을 생성하는 절단 기구부(600)와, 가동 박리 유닛(200)과 절단 기구부(60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레이 필름(Wc)[이 경우, 절단 기구부(600)에 의해 생성된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Wm)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예비 박리 기구부(700)와, 베이스 테이블(100)에 설치되어, 예비 박리 기구부(700)에 의해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가동 박리 유닛(200)이 본 박리할 때에,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장치(800)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송출하는 송출 기구부(910)와, 커버레이 필름(Wc)의 박리가 이루어진 대지(Wm)를 권취하는 권취 기구부(9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행로(A)는 구성 요소로서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이 주행하는 영역을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도 2에 있어서는 주행로(A)를 얇은 회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 테이블(100)의 안내면(110)에는, 가대(120)가 안내면(110)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대(120) 위에는 평행한 2개의 직선 형상의 가이드 레일(131, 132)(도 2 참조)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설되어 있다.
가동 박리 유닛(200)은 가이드 레일(131, 132)을 따라 주행로 전방측 및 주행로 후방측에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플레이트(210)와, 이 가동 플레이트(210)의 상면측에 고정된 절단용 지지 받침대부(220)와, 절단용 지지 받침대부(220)의 주행로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박리부(230)(상세하게는 후술함)를 갖고 있다. 또한, 절단용 지지 받침대부(220)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절단할 때에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며, 가동 플레이트(210)와 함께 주행로 전방측 및 주행로 후방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박리 유닛(200)은 절단 기구부(600)보다도 주행로 후방측이며 또한 가동 플레이트(210)에 고정된 제2 클램프 장치(240)와, 박리부(230)보다도 주행로 전방측이고 또한 가동 플레이트(210)에 고정된 제3 클램프 장치(250)와, 제3 클램프 장치(250)와 박리부(230) 사이의 가동 플레이트(210)에 고정된 전향 롤(260)과, 가동 플레이트(210)의 주행로 전방측의 선단부에 고정된 지지 받침대부(270)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 받침대부(270)는 보유 지지 장치(800)가 하강한 상태에서 커버레이 필름편을 보유 지지할 때에 커버레이 필름편을 하측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제1 클램프 장치(500)는 송출 기구부(91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클램프 상태 또는 비클램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 가능한 클램프이다. 예를 들어, 가동 박리 유닛(200)이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주행로 전방측으로 보내기 위해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는, 비클램프 상태(「개방」)가 되도록 동작하고, 가동 박리 유닛(200)이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하기 위해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할 때는, 클램프 상태(「폐쇄」)가 되도록 동작한다.
한편, 제2 클램프 장치(240)는 가동 박리 유닛(200)과 함께 왕복 이동하고,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클램프 상태 또는 비클램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 가능한 클램프이다. 또한, 제3 클램프 장치(250)는 가동 박리 유닛(200)과 함께 왕복 이동하고, 커버레이 필름(Wc)을 박리한 대지(Wm)를 클램프 상태 또는 비클램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 가능한 클램프이다.
예를 들어,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는 가동 박리 유닛(200)이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주행로 전방측으로 보내기 위하여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는, 클램프 상태(「폐쇄」)가 되도록 동작하고, 가동 박리 유닛(200)이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하는 동작을 행하기 위해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할 때는, 비클램프 상태(「개방」)가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예비 박리 기구부(700)에 의한 예비 박리를 행할 때는,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는, 모두 클램프 상태(「폐쇄」)가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제1 클램프 장치(500),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의 구체적인 동작,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한 본 박리 동작, 예비 박리 기구부(70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 장치(300)는 가동 박리 유닛(200)의 가동 플레이트(210)의 하단부측에 고정된 너트(도시하지 않음)와, 당해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 스크루(310)와, 볼 스크루(3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320)를 갖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구동 장치(300)는 서보 모터(320)를 운전 제어함으로써, 가동 박리 유닛(200)을 베이스 테이블(100)의 안내면(110) 상에 있어서 주행로 전방측 및 주행로 후방측으로 소정 범위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절단 기구부(600)는 가동 박리 유닛(200)을 폭 방향(화살표 y-y'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도록 베이스 테이블(100) 상에 고정된 지주(610, 620)와, 지주(610, 620)에 상하 방향(화살표 z-z' 방향)의 왕복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지지된 절단날 부착 플레이트(630)와, 절단날 부착 플레이트(630)의 하단부면에 주행로(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직선 형상의 절단날(640)과, 절단날 부착 플레이트(630)를 상하 방향(화살표 z-z'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절단 구동부(650)를 갖고 있다.
절단날(640)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주행로(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지(Wm)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하는 것이지만, 커버레이 필름(Wc)을 절단할 때는, 커버레이 필름(Wc)을 확실하게 절단 가능하게 하기 위해, 대지(Wm)를 절단하지 않고, 또한 대지(Wm)에 약간 파고들어가는 정도까지 하강 가능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절단 기구부(600)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대지(Wm)를 남긴 상태에서 주행로(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주행로(A)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치수를 갖는 커버레이 필름편을 생성한다.
예비 박리 기구부(700)는 예비 박리 롤(710)과 예비 박리 롤(7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20)와, 예비 박리 롤(710)을 화살표 z-z'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예비 박리 롤(7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에 있어서는, 표면 전체에 점착력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점착력을 갖는 고무 등을 롤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당해 예비 박리 롤(71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부에 의해 상하 방향(화살표 z-z' 방향)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비 박리 롤(710)은, 통상 시에 있어서는, 커버레이 필름(Wc)[이 경우, 절단 기구부(600)에 의해 생성된 커버레이 필름편]에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예비 박리 동작을 행할 때에는 하강하여, 커버레이 필름편에 접촉한다. 그리고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주행로 전방측 및 주행로 후방측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주행시킴으로써, 예비 박리 롤(710)이 커버레이 필름편 상에서 회전하고,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Wm)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가는 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예비 박리 롤(710)은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은 아니며,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에 접촉한 상태에서 당해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이 주행로를 따라서 주행함으로써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예비 박리 롤(710)은 점착력을 갖는 것이지만, 그 점착력은 예비 박리 롤(710)이 커버레이 필름편에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레이 필름편 위를 회전함으로써, 당해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갈 수 있을 정도의 점착력인 것으로 한다.
보유 지지 장치(800)는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커버레이 필름편을 흡착하여 보유 지지(흡착 보유 지지라고 함)하는 흡착 보유 지지 장치이다. 이로 인해, 당해 보유 지지 장치(800)를, 이하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라고 한다.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z-z'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고, 또한 도시를 생략하는 트래버스 라인(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y-y' 방향의 라인)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의 선단면[주행로(A)에 대향하는 면]에는 흡착 플레이트(8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착 플레이트(810)의 상단부측에는, 흡착 기구부(8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착 기구부(820)는 부압 생성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부압 흡인 파이프(8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착 플레이트(810)의 하단부면[주행로(A)에 대향하는 면]에는, 메쉬 형상의 다수의 부압 흡착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부압 흡착구는, 부압 흡인 파이프(821)에 통하고 있다. 따라서, 부압 생성 장치가 작동함으로써, 부압 흡착구는 부압 흡인 상태가 되어, 당해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의 위치까지 주행해 온 커버레이 필름편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송출 기구부(910)는 송출해야 할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장착하는 송출 릴(911)과, 전향 롤(912)과, 송출 릴(911)과 전향 롤(91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텐션 롤(913)을 갖고 있다. 한편, 권취 기구부(920)는 커버레이 필름(Wc)을 박리한 대지(Wm)를 권취하는 권취 릴(921)과, 닙 롤(922)과, 전향 롤(923)과, 권취 릴(921)과 닙 롤(92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텐션 롤(924)을 갖고 있다.
송출 릴(911)에 장착되어 있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일방측 단부(주행로 전방측 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선도 필름(Wa)이 접속되어 있고, 이 선도 필름(Wa)은, 송출 기구부(910)의 송출 릴(911)로부터 텐션 롤(913)을 사이에 두고 전향 롤(91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전환되어서, 베이스 테이블(100)의 안내면(110)을 통과한 후, 권취 기구부(920)의 전향 롤(923)로 하측 방향으로 전향되어, 닙 롤(922), 텐션 롤(924)을 사이에 두고 권취 릴(921)에 권취되어 있다. 이 선도 필름 후에는 대지[커버레이 필름(Wc)을 본 박리한 상태의 대지](Wm)가 계속되고 있다.
도 3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마일러 필름 등으로 만들어진 긴 형상의 대지(Wm)에,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만들어진 커버레이 필름(Wc)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박리부(2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박리부(2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지(Wm)의 하면[주행로(A)측의 면]을 대지(Wm)의 폭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y-y' 방향) 전체를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면(231)과, 당해 수평면(231)에 대하여 예각 θ(θ=45도 전후가 바람직함)를 이루는 경사면(232)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박리부(230)의 선단부[수평면(231)과 경사면(232)의 접속부]에는, 대지 폴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박리부(230)가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대지(Wm)는 박리부(230)의 수평면(231)에 접한 상태에서 화살표 x 방향으로 주행한 후, 대지 폴딩부(233)에서 90도 이상 폴딩된 후, 전향 롤(260)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수평 방향으로 주행한다. 또한, 박리부(230)는 대지(Wm)가 원활하게 미끄럼 접촉 상태에서 주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예를 들어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레이 필름(Wc)(이 경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가동 박리 유닛(200)이 화살표 x' 방향(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하는 동작을 행할 때에 있어서는,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는 하강 상태로 되어 있고,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커버레이 필름편을 흡착 보유 지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 및 도 2보다도 간략화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전체적인 동작 중, 예비 박리 기구부(700)의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예비 박리 롤(710)과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설명에 불필요한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에 접속되어 있는 선도 필름(Wa)은, 그 선단부가 권취 릴(921)에 권취되도록 세트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선도 필름(Wa) 후에 이어지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은, 초기 설정으로서, 당해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일방측 단부(주행로 전방측 단부라고도 함)(E1)가 가동 박리 유닛(200)에 있어서의 박리부(230)의 선단부 즉 대지 폴딩부(233)(도 4 참조)의 위치가 되도록 세트된다[도 5의 (a) 참조]. 이때, 또한 도 5의 (a)의 상태에 있어서는,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한 위치[지지 받침대부(270)에 비접촉 위치]로 되어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절단 기구부(600)에 의해 절단 동작을 행하면, 커버레이 필름(Wc)이 절단되어, 커버레이 필름편이 생성된다. 이 커버레이 필름편[절단날(640)보다도 주행로 전방측의 커버레이 필름편]을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으로 한다. 당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은,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 대상이 되는 커버레이 필름편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절단 기구부(600)에 의한 절단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개개의 커버레이 필름편의 주행로를 따른 사이즈 L1(커버레이 필름 사이즈 L1이라고 함)은 박리부(230)의 대지 폴딩부(233)의 위치로부터 절단날(640)까지의 거리에 대략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커버레이 필름 사이즈 L1은, 가동 박리 유닛(200)의 주행량을 설정함으로써, 소정 범위로 임의로 설정 가능이다.
그리고 예비 박리 기구부(700)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대한 예비 박리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것을 도 5 및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예비 박리 동작을 개시하는 데 앞서, 가동 박리 유닛(200)은 도 5의 (a)의 상태로부터 주행로 후방측(화살표 x'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주행한다. 이때, 예비 박리 롤(710)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단 기구부(600)는 상승한 위치에 있다. 또한, 이때의 각 클램프 장치의 상태는, 제1 클램프 장치(500)는「개방」으로 되어 있고,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는 모두「폐쇄」로 되어 있다.
예비 박리 롤(710), 절단 기구부(600) 및 각 클램프 장치[제1 클램프 장치(500),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가 이러한 상태에서, 가동 박리 유닛(200)이 도 5의 (a)의 상태로부터 주행로 후방측(화살표 x' 방향)으로 주행하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도 가동 박리 유닛(200)과 함께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한다.
그리고 가동 박리 유닛(200)에 있어서의 박리부(230)의 대지 폴딩부(233), 즉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서의 주행로 전방측 단부(E1)가 예비 박리 롤(710)의 바로 아래가 된 위치에서, 가동 박리 유닛(200)이 일단 정지한다. 이 상태를 도 7의 (a)에 나타낸다. 도 7의 (a)의 상태에 있어서, 예비 박리 롤(710)이 하강하여, 예비 박리 롤(710)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7의 (b) 참조].
또한, 도 7에 있어서의 부호 E2는, 도 5의 (a)에 있어서 절단 기구부(600)에 의해 절단 동작을 행했을 때의 커버레이 필름(Wc)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절단부(E2)가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 즉 주행로 후방측 단부(E2)가 된다. 그리고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주행로 후방측 단부(E2)는, 이어서 예비 박리 대상이 되는 커버레이 필름편[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으로 함]의 일방측 단부 즉 주행로 전방측 단부가 된다. 이하에서는, 주행로 전방측 단부를「전방측 단부」라고 약기하고, 주행로 후방측 단부를「후방측 단부」라고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도 7의 (b)의 상태]가 되면, 가동 박리 유닛(200)은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해 간다. 이에 의해,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 상에서 회전하고,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가는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예비 박리 롤(710)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소정량만큼 권취한 위치(P1)[도 7의 (d) 참조]에서, 가동 박리 유닛(200)의 주행이 정지한다. 또한,「위치(P1)」를「권취 종료 위치(P1)」라고 한다.
이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이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권취할 때는, 커버레이 필름 사이즈 L1 중, 권취 종료 위치(P1)로부터 후방측 단부(E2)까지의 소정의 길이(ΔL)을 남기고, 전방측 단부(E1)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P1)까지의 길이(L2)를 권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소정의 길이(ΔL)을「비권취 길이(ΔL)」로 표기하고,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전방측 단부(E1)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P1)까지의 길이를「권취 길이(L2)」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비권취 길이(ΔL)에 대응하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영역을「비예비 박리 영역」으로 하고, 또한 권취 길이(L)에 대응하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영역을「예비 박리 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도 7의 (d)의 상태로부터, 이번에는 가동 박리 유닛(200)이 다시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해 간다. 이에 의해, 예비 박리 롤(710)은, 일단 권취한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 위로 되돌아 가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 박리 유닛(200)이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달하면[도 7의 (e) 참조], 예비 박리 롤(710)은 상승하여, 도 7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간다.
예비 박리 기구부(700)에 있어서의 예비 박리 롤(710)이, 도 7의 (a) 내지 도 7의 (d)에 나타내는 공정(제1 공정)을 행한 후에, 도 7의 (e)에 나타내는 공정(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은 전방측 단부(E1)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P1)까지의 사이가 예비 박리된 것이 되어, 당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는 예비 박리 영역과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한다.
도 8은,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회색으로 나타내는 영역이 예비 박리 영역이다. 즉, 도 7의 (a) 내지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단부(E1)로부터 권취 종료 위치(P1)까지의 권취 길이(L)에 대응하는 예비 박리 영역과, 권취 종료 위치(P1)로부터 후방측 단부(E2)까지의 비권취 길이(ΔL)에 대응하는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후의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는,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함으로써, 대지(Wm)로부터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이 박리되어 떨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후에 행하여지는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본 박리하는 공정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권취 종료 위치(P1)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후방측 단부(E2)의 직전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종료 위치(P1)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예비 박리 롤(710)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대부분을 예비 박리하게 되어, 비예비 박리 영역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제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보다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그 후에 이어지는,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 제3 커버레이 필름편(Wc3), …의 각 커버레이 필름편(도 8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예비 박리 롤(710)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의 원주가, 권취 길이(L2)와 동등하거나 권취 길이(L2)보다도 다소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박리 롤(710)의 직경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당해 예비 박리 롤(710)이 예비 박리 대상이 되는 커버레이 필름편[이 경우,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권취하는 동작을 행할 때, 당해 예비 박리 롤(710)이 1회전이 끝나기 전에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권취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권취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박리 롤(710)이 1회전이 끝나기 전에 필름의 권취를 행할 수 있음으로써, 당해 예비 박리 롤(710)이 필름을 권취하는 동작을 행할 때에, 당해 예비 박리 롤(710)의 표면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과 항상 접촉하므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당해 예비 박리 롤(710) 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구조의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하면, 필름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비 박리 동작이 행하여지면, 이번에는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로부터 본 박리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본 박리 동작은, 도 5의 (b) 이후의 동작이다. 즉,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대한 예비 박리 동작이 종료된 상태[도 7의 (e)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이 상승한 후에,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한 본 박리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박리 동작을 행할 때에 있어서는, 가동 박리 유닛(200)은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하고, 예비 박리가 끝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이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의 바로 아래가 된다[도 5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가 하강하고, 예비 박리가 끝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흡착한다[도 5의 (c) 참조]. 이때,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는 하강한 채 흡착 상태를 보유 지지한다. 여기서, 각 클램프 장치의 상태를 전환한다. 즉, 제1 클램프 장치(500)를「개방」으로부터「폐쇄」로 하고,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를 모두「폐쇄」로부터「개방」으로 한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박리 유닛(200)을 주행로 후방측(화살표 x' 방향)으로 주행시킨다. 또한, 가동 박리 유닛(200)을 주행로 후방측(화살표 x' 방향)으로 주행시킬 때는, 가동 박리 유닛(200)의 주행로 후방측으로의 주행에 저항하는 힘을 대지(Wm)에 부여하고, 또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이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가동 박리 유닛(200)을 주행로 후방측(화살표 x' 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에 흡착되어 있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박리 유닛(200)의 주행로 후방측으로의 주행에 저항하는 힘을 대지(Wm)에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가동 박리 유닛(200)을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시키면서 대지(Wm)를 권취 릴(921)로 권취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박리 동작은, 가동 박리 유닛(200)의 선단부에 설치된 박리부(230)의 존재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박리부(2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흡착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가동 박리 유닛(200)을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시키면서 대지(Wm)를 권취 릴(921)로 권취하면, 대지(Wm)는 박리부(230)의 대지 폴딩부(233)에 의해 되접힌 상태에서 인장되게 된다. 이에 의해, 대지(Wm)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으로부터 떼어내어지도록 동작한다. 이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박리 동작을 행할 때에 있어서는, 가령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대지(Wm)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으로부터 박리되려고 할 때의 응력이 제1 커버레이 필름에 가해져,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주름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품질을 열화시켜 버리게도 된다.
이에 반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에 의하면,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대부분의 영역(도 8 참조)이, 대지(Wm)로부터 일단 박리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대지(Wm)와의 사이의 점착력은 거의 해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지(Wm)를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으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있어서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가해지는 응력은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 이에 의해, 본 박리할 때에,「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주름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등의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제1 커버레이 필름편의 품질 열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박리 유닛(200)의 지지 받침대부(270)가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의 바로 아래까지 주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받침대부(270)는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에 흡착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 같은 상태가 된다[도 6의 (a) 참조].
그리고 도 6의 (a)의 상태로부터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가 상승한다[도 6의 (b) 참조]. 이와 같이,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는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한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흡착하여 상승한 상태[도 6의 (b) 참조]가 된 후는, 주행로(A)에 직교하는 트래버스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따라서 베이스 필름(도시하지 않음)의 바로 위로 이송되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이 베이스 필름의 소정 위치에 가압착된다.
이때,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은 하면측이 접착면이 된 상태에서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에 흡착 보유 지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베이스 필름에 가압착될 때에,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는 흡착 보유 지지하고 있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그대로 중력 방향을 따라서 하강시키면 된다. 이에 의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안정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베이스 필름에 가압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베이스 필름에 가압착한 후,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는 트래버스 라인을 따라 원래의 위치[도 6의 (b)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런데, 흡착 보유 지지 장치(800)가 상승한 상태[도 6의 (b) 참조]에 있어서는, 각 클램프 장치의 상태가 전환되어, 제1 클램프 장치(500)는「폐쇄」로부터「개방」이 되고, 제2 클램프 장치(240) 및 제3 클램프 장치(250)는 모두「개방」으로부터「폐쇄」가 되고, 다시 절단 기구부(600)가 하강하여 다음의 절단 동작이 행하여진다[도 6의 (c) 참조].
도 6의 (c)의 상태는, 도 5의 (a)의 상태와 같지만, 도 6의 (c)에 있어서는, 절단 기구부(600)에 의해, 다음의 커버레이 필름편(Wc2)[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으로 함]을 생성하기 위한 절단 동작이 행하여진다. 당해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은, 현시점에 있어서의 예비 박리 대상인 커버레이 필름편이 된다. 이때,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의 전방측 단부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생성했을 때의 절단부(E2)(도 7 및 도 8 참조)이며, 당해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의 전방측 단부는, 가동 박리 유닛(200)에 있어서의 박리부(230)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에 대해서도, 도 7의 (a) 내지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비 박리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 후, 도 5의 (b), 도 5의 (c) 및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나타내는 본 박리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절단 기구부(600)의 절단 동작에 의해 생성된 각 커버레이 필름편은,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이 이루어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버레이 필름편은 개개의 커버레이 필름편에 있어서, 비예비 박리 영역을 조금 남긴 대부분이 예비 박리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5의 (b) 내지 도 6의 (b)에 나타내는 본 박리 동작을 확실하면서도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레이 필름을 대지로부터 본 박리할 때에, 커버레이 필름의 재질 및 대지의 재질, 나아가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커버레이 필름을 대지(Wm)로부터 적절하게 박리할 수 없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도 9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는 송출 기구부(910) 및 권취 기구부(920)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와 다른 것은, 각 커버레이 필름편의 전방측 단부(선단부라고도 함)를, 당해 커버레이 필름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측 단부를 향해 소정량만큼 예비 박리하기 위한 예비 박리 기구부(660)를 설치한 점이다. 또한,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각 커버레이 필름편의 전방측 단부 즉 선단부를 예비 박리하는 것이므로,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라고 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있어서도, 필름은 커버레이 필름이라고 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있어서는,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절단 기구부(60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절단날(640)보다도 주행로 후방측에서 절단날(640)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당해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절단날(640)을 따라 설치된 복수 개(4개로 함)의 부압 흡인구(661 내지 664)와, 당해 부압 흡인구(661 내지 664)에 접속된 공기 흡입용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부압 생성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절단날(640)보다도 주행로 전방측에 존재하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이 절단날(640)에 의해 절단될 때, 절단날(640)보다도 주행로 후방측에 존재하는 커버레이 필름(Wc)의 선단부를, 절단날(640)의 절단선을 따라 흡인함으로써, 당해 커버레이 필름(Wc)의 선단부를 대지(Wm)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이다.
도 11은, 절단 기구부(600)에 의한 절단 동작과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한 커버레이 필름편의 선단부의 예비 박리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절단 기구부(600)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의 (a)는 절단 기구부(600)에 의한 절단 동작을 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절단 기구부(600)에 의한 절단 동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c)는 절단 동작이 종료되어 절단 기구부(60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d)는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해 선단부의 예비 박리가 행하여진 커버레이 필름(Wc)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의 (a), 도 11의 (b) 및 도 11의 (c)에 있어서는, 파선으로 둘러싸진 원(R)의 확대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이미 절단되어서 절단 기구부(600)보다도 주행로 전방측에 위치하는 한 장의 커버레이 필름편을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으로 하고, 당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이어지는 커버레이 필름을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이라고 한다.
먼저,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 기구부(600)가 화살표 z' 방향으로 하강하여, 절단날(640)에 의해 커버레이 필름(Wc)이 절단됨으로써,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이 생성된다. 또한, 이때,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의 부압 흡인구(661 내지 664)는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의 선단부를 흡인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절단 동작이 종료되어 절단 기구부(600)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화살표 z 방향으로 상승)하려고 할 때,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는 흡인 동작을 보유 지지하기 때문에,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의 선단부는 대지(Wm)로부터 박리된다[도 11의 (c) 참조]. 그리고 절단 기구부(600)가 원래의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가 되면,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한 흡인 동작도 해제된다. 흡인 동작이 해제되면,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의 선단부는 대지(Wm)에 재접착한 상태가 된다.
도 11의 (d)는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해 선단부의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비 박리된 영역을 회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은, 선단부가 예비 박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은 선단부가 예비 박리된 후,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이 소정량만큼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하여, 절단 기구부(600)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을 절단하면, 선단부가 예비 박리되어 있는 후속 커버레이 필름(Wc)은,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이 된다.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은, 선단부가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되어 있으므로, 이 후에 행하여지는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은 용이한 것이 된다.
즉, 도 7의 (a) 내지 도 7의 (c)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이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 대상이 되는 커버레이 필름편[이 경우,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으로 함]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2)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당해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을 권취하는 동작을 개시할 때에,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의 전방측 단부(E2)가 예비 박리되어 있으므로, 예비 박리 롤(710)이 제2 커버레이 필름편(Wc2)을 권취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가 보다 확실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의하면,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한 본 박리 동작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있어서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대해서는, 선단부의 예비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지만, 예를 들어 실제로 사용하는 커버레이 필름의 전방측에 더미의 필름을 설치해 둠으로써,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에 대해서도 선단부의 예비 박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 실시도 가능하다.
(1)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을 절단 기구부(600)에 의해 대지(Wm)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미리 대지(Wm)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되어 있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프리컷 완료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이라고 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리컷 완료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단 기구부(600)가 절단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해 두면 된다.
또한, 프리컷 완료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 전용의 필름 박리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프리컷 완료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 전용의 필름 박리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1000)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필름의 박리 장치(2000)에 있어서, 절단 기구부를 갖지 않는 필름의 박리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절단 기구부(600)를 갖지 않는 필름의 박리 장치라도, 개개의 커버레이 필름편의 전방측 단부(선단부)를 예비 박리하는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로서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 설명한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와 거의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은 표면 전체가 점착력을 갖는 것을 예시했지만, 반드시 표면 전체가 점착력을 갖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도 12는, 예비 박리 롤(71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예비 박리 롤(710)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의 (b)는 예비 박리 롤(710)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의 (c)는 예비 박리 롤(710)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의 (d)는 예비 박리 롤(710)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비 박리 롤(710)의 제1 변형예[이하, 예비 박리 롤(710A)이라고 함]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A)의 표면(711)의 폭 방향(화살표 y-y' 방향)의 일방측부으로부터 타방측까지의 사이에 띠 형상의 1개의 점착부(712)를 형성한 경우이다. 이러한 예비 박리 롤(710A)을 사용할 경우에는, 당해 예비 박리 롤(710A)이 도 7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는, 당해 예비 박리 롤(710A)의 점착부(712)가 커버레이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도 7에 있어서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전방측 단부(E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에 대향하도록 설정해 둔다. 이에 의해, 당해 예비 박리 롤(710A)이 하강했을 때에는, 띠 형상의 점착부(712)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접촉하게 되어, 그 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예비 박리 롤(710)의 제2 변형예[이하, 예비 박리 롤(710B)이라고 함]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B)의 표면의 폭 방향으로 띠 형상의 점착부(712)를 복수 개 형성한 경우이다.
이러한 예비 박리 롤(710B)을 사용할 경우에는, 당해 예비 박리 롤(710B)이 도 7의 (a)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을 때는, 당해 예비 박리 롤(710B)의 복수 개의 점착부(712) 중 어느 한 점착부(712)가 커버레이 필름편[도 7에 있어서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대향하도록 설정해 둔다. 이에 의해, 당해 예비 박리 롤(710B)이 하강했을 때에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점착부(712)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접촉하게 되고, 그 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까지의 점착부(712)는 폭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비 박리 롤(710)의 제3 변형예[이하, 예비 박리 롤(710C)이라고 함]는,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C)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일주하는 띠 형상의 점착부(713)를 형성한 경우이다. 또한, 주위 방향으로 일주하는 띠 형상의 점착부(713)의 폭은, 당해 예비 박리 롤(710C)이 하강했을 때에, 커버레이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에 반드시 접촉하도록 설정해 둔다.
이러한 예비 박리 롤(710C)에 있어서는, 당해 예비 박리 롤(710C)이 하강했을 때에는, 폭 방향 양단부의 점착부(713)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에 접촉하고, 그 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예비 박리 롤(710)의 제4 변형예[이하, 예비 박리 롤(710D)이라고 함]는,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롤(710D)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측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일주하는 띠 형상의 점착부(713)에다가, 폭 방향 중앙부에도 주위 방향으로 일주하는 띠 형상의 점착부(713)를 형성한 경우이다.
이러한 예비 박리 롤(710D)에 있어서는, 당해 예비 박리 롤(710C)이 하강했을 때에는, 3군데에 설치되어 있는 각 점착부(713)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접촉하고, 그 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d)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D)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 및 중앙부의 3군데에, 각각 주위 방향의 점착부(713)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3군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군데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3 변형예 및 제4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 점착부(713)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주위 방향에 있어서 단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의 각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를 조합한 것이라도 되고, 또한 예비 박리 롤(710)의 표면에 모자이크 형상으로 점착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3)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은 표면에 점착부를 갖고, 당해 점착부에 의한 점착력에 의해 예비 박리를 행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예비 박리 롤(710)은 부압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롤이라도 된다. 또한, 부압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롤을「흡인식 예비 박리 롤」이라고 한다.
도 13은, 흡인식 예비 박리 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흡인식 예비 박리 롤의 제1 예[이하,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이라고 함]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의 (b)는 흡인식 예비 박리 롤의 제2 예[이하,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이라고 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및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의 폭 방향(화살표 y-y' 방향)을 따라 흡인구(715, 7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은,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구(715)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며,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은,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구(716)는 띠 형상의 긴 구멍이다.
이러한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이 도 7의 (a)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을 때는, 당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의 흡인구(715)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의 흡인구(716)가 커버레이 필름편[도 7에 있어서는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대향하도록 설정해 둔다.
이에 의해, 당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이 하강했을 때에는,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의 흡인구(715)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의 흡인구(716)가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E1)에 접촉하게 되고, 그 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있어서는, 띠 형상의 흡인구(716)는 폭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단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에 있어서도, 당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 각각의 직경은, 당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의 원주가, 권취 길이(L2)(도 8 참조)와 동등하거나 권취 길이(L2)보다도 다소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의 각각의 직경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당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이, 예비 박리 대상이 되는 커버레이 필름[예를 들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권취하는 동작을 행할 때, 당해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E) 또는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710F)이 1회전이 끝나기 전에 커버레이 필름의 권취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권취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박리 롤로서는, 점착력에 의해 예비 박리하는 예비 박리 롤 및 부압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예비 박리하는 예비 박리 롤 외에, 정전기의 흡착력에 의해 예비 박리하는 예비 박리 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해 예비 박리를 행할 때에는,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측을 주행로 위를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예비 박리 롤(710)을 커버레이 필름[예를 들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 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예비 박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비 박리 롤(710)의 측을 주행로를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여 예비 박리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 및 예비 박리 롤(710)의 양쪽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Wc)의 주행 방향과, 예비 박리 롤(710)의 주행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예비 박리 동작을 보다 고속화할 수 있다.
(5)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가 종료된 후, 커버레이 필름[예를 들어, 제1 커버레이 필름편(Wc1)]을 대지(Wm)로부터 본 박리하는 기구로서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가동 박리 유닛(200)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박리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6)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은,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의 필름 박리 장치에 있어서, 긴 형상의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을 절단 기구에 의해 대지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됨으로써 생성된 커버레이 필름편을 대지로부터 본 박리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매마다 개별로 되어 있는 짧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을 대지로부터 본 박리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매마다 개별로 되어 있는 짧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에 있어서도,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비 박리 기구부(700)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당해 짧은 대지를 구비한 커버레이 필름에 있어서의 커버레이 필름을 대지로부터 예비 박리할 수 있다.
(7)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필름은 커버레이 필름이라고 설명했지만, 커버레이 필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보강 필름이라도 된다. 또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등)에 부착하여, 당해 전기 기기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터치 패널용 필름이라도 된다. 또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의 패널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 및 그 밖의 필름이라도 된다.
(8)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의 전단계에,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해 커버레이 필름의 선단부를 예비 박리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 외에, 다른 예비 박리 기구를 병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의 박리 장치(9000)(도 14 참조)에 설치되어 있는 예비 박리 기구부[도 14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기구부(400)]를 설치하고, 당해 예비 박리 기구부(400)의 제1 박리판(410) 및 제2 박리판(420)에 의해, 커버레이 필름(Wc)의 양 사이드를 예비 박리한 후에,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660)에 의해 선단부의 예비 박리를 행하고, 그 후에, 예비 박리 롤(710)에 의한 예비 박리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동 박리 유닛(200)에 의한 본 박리 동작을 한층 더,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9)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은 커버레이 필름(Wc)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했지만, 이 경우, 예비 박리 롤(71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보조 롤(도시하지 않음)을 예비 박리 롤(710)에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보조 롤은, 예비 박리 롤(71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므로, 예비 박리 롤(710)보다도 점착력이 큰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롤로서는,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은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롤을 예비 박리 롤(710)에 접촉 가능하게 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예비 박리 롤(710)에 부착된 먼지를 어느 정도는 보조 롤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비 박리 롤(710)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예비 박리 롤(71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롤은 점착 테이프를 권취한 것이 아닌, 보조 롤 그 자체가 점착력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10)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박리 롤(710)은 전체가 점착력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비 박리 롤(710)의 표면만이 점착력을 갖는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으로 원통체의 표면에 점착력을 갖는 부재를 권취한 것이라도 되고, 또한 원통체의 표면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100 : 베이스 테이블, 110 : 안내면, 131, 132 : 가이드 레일, 200 : 가동 박리 유닛, 210 : 가동 플레이트, 220 : 절단용 지지 받침대부, 230 : 박리부, 231 : 평면, 232 : 경사면, 233 : 대지 폴딩부, 240 : 제2 클램프 장치, 250 : 제3 클램프, 300 : 구동 장치, 500 : 제1 클램프, 600 : 절단 기구부, 640 : 절단날, 660 :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 700 : 예비 박리 기구부, 710 : 예비 박리 롤, 710A, 710B, 710C, 710D : 예비 박리 롤의 변형예, 710E : 제1 흡인식 예비 박리 롤, 710F : 제2 흡인식 예비 박리 롤, 720 : 지지 플레이트, 800 : 흡착 보유 지지 장치, 810 : 흡착 플레이트, 910 : 송출 기구부, 920 : 권취 기구부, A : 주행로, E1 : 주행로 전방측 단부(일방측 단부), L1 : 커버레이 필름 사이즈, L2 : 권취 길이, ΔL : 비권취 길이, P1 : 권취 종료 위치, Wa : 선도 필름, Wc : 커버레이 필름, Wc1 : 제1 커버레이 필름편, Wc2 : 제2 커버레이 필름편, Wm : 대지(베이스 부재)

Claims (12)

  1. 베이스 부재에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상기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필름을 부착 가능한 예비 박리 롤을 갖고 있으며,
    당해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여, 당해 예비 박리 롤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주행시켜,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보다도 앞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가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공정에서의 주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예비 박리 롤이 권취한 필름을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재접착해 가는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종료 위치는,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의 직전 위치이며, 상기 권취 종료 위치와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 사이에는, 예비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예비 박리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박리 롤은 표면에 점착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롤이며,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필름을 당해 예비 박리 롤에 부착시켜서 권취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표면 전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박리 롤은, 상기 필름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표면에 갖는 원통 형상의 롤이며, 당해 예비 박리 롤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는 것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필름을 당해 예비 박리 롤에 부착시켜서 당해 필름의 권취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는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폭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박리 롤의 직경은, 당해 예비 박리 롤의 원주가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측 단부로부터 상기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은, 긴 시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며,
    상기 긴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 주행로를 따라서 주행로 후방측으로부터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면을 갖는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 주행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절단날을 갖고, 상기 주행로를 주행하는 긴 형상의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를 남긴 상태에서 절단하여, 상기 주행로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치수를 갖는 필름편을 생성하는 절단 기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전방측으로 하고, 상기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하여, 당해 필름편에 대하여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편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은, 긴 시트 형상을 이루고,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남긴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치수마다 절단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필름이 복수의 필름편으로서 당해 베이스 부재 위에 존재하고 있는 필름 절단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며,
    상기 필름 절단 완료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이, 주행로를 따라서 주행로 후방측으로부터 주행로 전방측으로 주행할 때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면을 갖는 베이스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는, 상기 복수의 필름편 중,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를 행해야 할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전방측으로 하고, 상기 현시점에 있어서 예비 박리를 행해야 할 필름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를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하여, 당해 필름편에 대하여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편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박리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테이블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주행로 전방측 및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소정 범위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박리 유닛과,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이 박리할 때에,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은,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이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의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의 주행에 저항하는 힘을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여하고, 또한 상기 예비 박리가 이루어진 필름편을 상기 보유 지지 장치에 의해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박리 유닛을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필름편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박리 기구부보다도 상기 주행로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편의 상기 주행로 전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을 상기 주행로 후방측으로 소정량만큼 예비 박리하기 위한 선단부 예비 박리 기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장치.
  12. 베이스 부재에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필름의 박리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상기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비 박리를 행하는 예비 박리 공정을 갖고,
    상기 예비 박리 공정은,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여, 당해 예비 박리 롤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주행시켜, 상기 예비 박리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로부터 당해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타방측 단부보다도 앞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권취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당해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박리하면서 권취해 가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예비 박리 롤을 상기 필름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예비 박리 롤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공정에서의 주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예비 박리 롤이 권취한 필름을 상기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일방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재접착해 가는 제2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예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박리 방법.
KR1020147034515A 2013-10-15 2013-10-15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 KR101594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8007 WO2015056307A1 (ja) 2013-10-15 2013-10-15 フィルムの剥離装置及びフィルムの剥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926A true KR20150068926A (ko) 2015-06-22
KR101594725B1 KR101594725B1 (ko) 2016-02-16

Family

ID=5157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515A KR101594725B1 (ko) 2013-10-15 2013-10-15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77003B1 (ko)
KR (1) KR101594725B1 (ko)
CN (1) CN105392723B (ko)
WO (1) WO2015056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5145B (zh) * 2017-07-13 2023-01-24 艾洛益(杭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金属复合排母材分离装置
JP6324606B1 (ja) * 2017-12-01 2018-05-16 株式会社 ベアック リリース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リリースフィルム剥離装置
CN108323014B (zh) * 2018-03-09 2024-04-05 广东华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覆膜机
CN113602888B (zh) * 2021-08-20 2023-05-02 深圳市欣中大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卷料的剥料装置及fpc覆膜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21A (ja) * 1995-07-07 1997-01-28 Niigata Syst Seigyo:Kk 粘着ラベル仮剥離装置
JP2004017623A (ja) * 2002-06-20 2004-01-22 Murata Mfg Co Ltd キャリア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キャリアフィルム剥離装置
JP2010062356A (ja) * 2008-09-04 2010-03-18 Lintec Corp マウント装置及びマウント方法
WO2011108332A1 (ja) 2010-03-03 2011-09-09 株式会社 ベアック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剥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578B2 (ja) * 1996-06-18 2003-09-0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複合フィルムの剥離装置
JP2007254030A (ja) * 2006-03-20 2007-10-04 Adtec Engineeng Co Ltd フィルム剥離装置
CN103223765B (zh) * 2013-03-07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剥膜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21A (ja) * 1995-07-07 1997-01-28 Niigata Syst Seigyo:Kk 粘着ラベル仮剥離装置
JP2004017623A (ja) * 2002-06-20 2004-01-22 Murata Mfg Co Ltd キャリア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キャリアフィルム剥離装置
JP2010062356A (ja) * 2008-09-04 2010-03-18 Lintec Corp マウント装置及びマウント方法
WO2011108332A1 (ja) 2010-03-03 2011-09-09 株式会社 ベアック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剥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7003B1 (ja) 2014-08-20
KR101594725B1 (ko) 2016-02-16
CN105392723A (zh) 2016-03-09
WO2015056307A1 (ja) 2015-04-23
CN105392723B (zh) 2017-03-08
JPWO2015056307A1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980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剥離装置
KR101594725B1 (ko) 필름의 박리 장치 및 필름의 박리 방법
CN105321851B (zh) 胶带贴附装置及胶带贴附方法
KR20030029469A (ko) 보호테이프 접착방법 및 박리방법
KR20130080417A (ko) 필름 접합 장치
CN104576488A (zh) 粘接带粘贴装置
KR101529485B1 (ko) 필름절단장치
KR20110068981A (ko) 시트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JP2004273527A (ja) 保護テープの貼付・剥離方法
CN110621600B (zh) 薄膜构件粘贴装置、薄膜构件粘贴方法以及静电去除构件
CN103579066B (zh) 半导体晶圆的固定方法及半导体晶圆的固定装置
JP2008081125A (ja) 貼付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貼付方法
JP5474221B1 (ja) 貼付装置
JP2006332571A (ja) 粘着テープ剥離方法、及び、ウエハテープマウンタなどに使用される粘着テープ剥離装置
JP5867181B2 (ja) 電子機器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剥離装置
JP2008004884A (ja) 粘着性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JP2008037572A (ja) 積層シートの剥離方法とそれに用いる剥離装置
JPH1034861A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装置
JP6027324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KR20170038652A (ko) 시트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그리고 접착 시트 원단
KR101529483B1 (ko) 필름이동장치
JP2006019500A (ja) 保護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保護テープ貼付け装置
JP2010222133A (ja) 粘着テープの端末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4941841B2 (ja)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JP2970745B2 (ja) フィルム張付方法及び装置、フィルム付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