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644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644A
KR20150068644A KR1020130154534A KR20130154534A KR20150068644A KR 20150068644 A KR20150068644 A KR 20150068644A KR 1020130154534 A KR1020130154534 A KR 1020130154534A KR 20130154534 A KR20130154534 A KR 20130154534A KR 20150068644 A KR20150068644 A KR 20150068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mobile terminal
image
camera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521B1 (ko
Inventor
백승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21B1/ko
Priority to US14/569,050 priority patent/US96657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6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 촬영한 사진에 촬영자를 합성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단말기는 카메라에 관련되는 하드웨어적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련되는 소프트웨어적인 개량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높은 성능의 프로세서가 장착되는 바, 이러한 단말기를 통하여 사진을 촬영을 하는데 있어서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카메라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 시,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을 함께 촬영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촬영 타이머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은, 단말기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후 셔터를 누르게 되면, 셔터를 누른 순간으로부터 설정된 촬영 타이머 시간만큼 후에 사진 촬영이 이루어 져,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이 함께 사진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촬영 타이머를 설정하는 방법은, 단말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처럼, 촬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사진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촬영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촬영자를 손쉽게 포함시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조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1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의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조각 중 소정 이미지 조각을 상기 미리보기 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의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조각 중 소정 이미지 조각을 상기 미리보기 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 촬영된 사진에 다른 인물(촬영자 포함)을 자연스럽게 합성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진을 촬영할 때 손쉽게 다른 인물을 포함시키는 합성을 수행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사진에서 추출된 인물 템플릿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 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 시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인물 영역/위치를 인식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 시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빈 공간을 판단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적합한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고, 선정한 인물 템플릿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인물 템플릿이 합성되어 표시되는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사물 및/또는 인물의 자세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기초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 중에서 선택 받은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S709단계에 대한 세부 단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물 템플릿에 촬영자의 얼굴 표정을 더 합성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물 템플릿에 촬영자의 얼굴 표정을 더 합성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진 촬영 시 합성되는 인물 템플릿에 적절한 수정을 가하여 합성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터치스크린(15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터치 드래그(touch & 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부(170), 마이크(122), 스피커 모듈음향출력부(154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66), 메모리카드 장착부(167)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단말기(100)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도 4에는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단말기(100)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상기 제기된 문제점에서와 같이,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이하, 촬영자)은 본인을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촬영된 사진을 손쉽게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진을 촬영할 때 손쉽게 다른 인물을 포함시키는 합성을 수행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물 템플릿이 필요할 것이다. 인물 템플릿이란, 합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해 놓은 인물 사진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물 템플릿은, 좀 더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하여 해당 인물의 배경은 제거한 후, 인물 영역에 대한 이미지 조각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물 영역이란, 해당 인물의 가장자리 안쪽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촬영된 사진에서 인물 템플릿을 추출(extraction)하고, 추출된 인물 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진 합성에 사용한다.
도 5 (a)에서는 메모리(160)에 기저장된 사진(500)을 도시한다. 사용자로부터 소정 인물(501)에 대한 인물 템플릿 추출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기저장된 사진(500)에 포함되는 소정 인물(501)에 대한 인물 템플릿을 추출할 수 있다. 소정 인물(501)에 대한 인물 템플릿 추출 명령의 예시로는, 겔러리 어플리케이션(Gallery application)을 통하여 기저장된 사진(500)을 열람하는 도중, 표시되는 열람화면의 소정 인물(501) 상에 수신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물 템플릿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소정 인물(501) 가장자리(edge, 경계, 외곽)을 인식하고 인식(detect)한 가장자리의 안쪽 영역을 인물 템플릿으로써 저장할 수 있다. 도 5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기저장된 사진(500)에 포함된 소정 인물(501)으로부터 제 1 인물 템플릿(502-1)을 추출한다.
가장자리를 인식하는 방법(edge detection method)은, 이미지의 채도, 명도 및/또는 색상의 연속성을 바탕으로 급격한 변경이 일어나는 부분을 가장자리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물에 대한 가장자리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급격한 변경이 일어나는 부분 만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 구조를 고려하는 가장자리 판정 보정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하는 가장자리를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를 인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이 아니며, 명세서 전체적인 간단 명료성을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가장자리 인식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의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 1 인물 템플릿(502-1)을 포함시키는 합성을 수행하도록 제안한다.
도 5 (b)는, 카메라의 미리보기 화면(503)의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미리보기 화면(503)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들과 함께 상기 제 1 인물 템플릿(502-1)이 합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셔터 입력(510)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인물 템플릿(502-1)이 합성된 미리보기 화면(503) 그대로를 촬영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되는 피사체들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되, 합성을 통하여 제 1 인물 템플릿(502-1)을 포함시켜 저장 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에서의 과정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인물 템플릿을 이용하여, 촬영되는 사진 상에 다른 인물을 합성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 5 (a)에서의 추출 과정을 반복할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인물 템플릿의 예시들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사진에서 추출된 인물 템플릿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적절한 인물 템플릿을 추천해 주도록 제안한다. 이와 같이 인물 템플릿에 대한 추천이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물 템플릿의 속성을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인물 템플릿의 속성이란, 성별, 각 인물이 바라보는 방향(시선 방향), 자세 및 촬영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인물 템플릿의 속성을 판단한다.
도 6 (a)를 참조하면, 제 2 인물 템플릿(502-2)이 도시되어 있다. 제 2 인물 템플릿(502-2)은 2013년 9월 15일에 촬영된 사진에서 추출되었으며, 남성이고 인물의 시선이 왼쪽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인물 템플릿(502-2)의 자세는 서있는 자세이다.
도 6 (b)를 참조하면, 제 3 인물 템플릿(502-3)이 도시되어 있다. 제 3 인물 템플릿(502-3)은 2013년 7월 1일에 촬영된 사진에서 추출되었으며, 여성이고 인물의 시선이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제 3 인물 템플릿(502-3)의 자세는 서있는 자세이다.
도 6 (c)를 참조하면, 제 4 인물 템플릿(502-4)이 도시되어 있다. 제 4 인물 템플릿(502-4)은 2013년 6월 25일에 촬영된 사진에서 추출되었으며, 남성이고 인물의 시선이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제 4 인물 템플릿(502-4)의 자세는 서있는 자세이다.
도 6 (d)를 참조하면, 제 5 인물 템플릿(502-5)이 도시되어 있다. 제 5 인물 템플릿(502-5)은 2013년 5월 30일에 촬영된 사진에서 추출되었으며, 남성이고 인물의 시선이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제 5 인물 템플릿(502-5)의 자세는 앉아있는 자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에 합성할 인물 템플릿을 추천하는데 있어서, 사진을 촬영하는 시점의 옷차림과 비슷한 옷차림인 인물 템플릿을 우선적으로 추천한다. 예를 들어, 사진의 촬영 시점이 가을이라면, 봄 또는 가을에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인물 템플릿을 우선적으로 추천해 줄 수 있다. 왜냐하면, 여름이나 겨울에 촬영된 인물 템플릿은, 가을이라는 촬영 시점에 어울리지 않는 의상을 착용한 사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에 합성할 인물 템플릿을 추천하는데 있어서, 합성될 위치에 적합한 자세를 우선적으로 추천한다. 만약 합성할 위치에 의자가 놓여 있다면, 앉아있는 인물 템플릿을 우선적으로 추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에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인물 템플릿의 크기를 적절한 크기로 자동 조절하도록 제안한다. 따라서, 현재 미리보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인물의 크기(예로 키 등)를 기초로 인물 템플릿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인물의 성별, 인물 템플릿의 성별 및 일반적으로 남녀 키의 차이를 더 고려하여 인물 템플릿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소정 인물 템플릿을 저장하는데 있어서,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하는 인물 템플릿의 속성을 함께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는, 도 6 (a) 내지 (d)에서 설명한 인물 템플릿(502-2 내지 502-5) 및 도 5에 도시된 제 1 인물 템플릿(502-1)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 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 시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인물 영역/위치를 인식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7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 촬영 모드에 진입하며, 카메라 촬영 모드에 진입하게되면, S702단계에서와 같이 카메라 미리보기 화면(503)을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도 8 (a) 참조). 도 8 (a)에서는, 제 1 인물(801)이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되고 있다.
S7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미리보기 화면(503)상에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물에 대한 영역/위치를 인식한다. 도 8 (b)를 참조하면, 전체 미리보기 화면에 대한 영역(503', 이하 미리보기 영역)에 대한 제 1 인물 영역(801')이 도시되고 있다. 제어부(180)는, 상술하는 가장자리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인물(801)에 대한 영역/위치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인식된 제 1 인물 영역(801')을 기초로,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끝 위치선(802) 및 발 끝 위치선(803)를 인식할 수 있으며, 머리 끝 위치선(802)와 발 끝 위치선(803)의 차이를 계산하여,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의 제 1 인물(801)의 길이(키 방향)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화면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영역/위치 인식을 통하여, 빈 공간을 판단할 수 있다. 빈 공간은,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기 적절한 위치로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 시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빈 공간을 판단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a)는, 도 8에서 인식한 제 1 인물영역(801'), 제 1 인물의 머리 끝 위치선(802) 및 발 끝 위치선(803)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미리보기 영역(503') 전체에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기 적절한 영역(이하, 붙여넣기 영역, paste area)을 선정하고, 선정한 영역을 사용자에게 추천 및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도 9 (b)를 참조하면, 제 1 인물영역(801')의 좌우로 제 1 및 제 2 붙여넣기 영역(901a 및 901b)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붙여넣기 영역은, 발 끝 위치선(803)를 넘어가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인물 템플릿을 자연스럽게 합성하기 위해서이며, 상기 인물 템플릿이 합성된 후, 제 1 인물(801)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여지기 위해서는 발 끝의 위치가 일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인물(801)의 좌우로 인물 템플릿이 합성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하여, S705단계 및 S706 단계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적합한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고, 선정한 인물 템플릿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S7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 중, 상기 붙여넣기 영역(901a 및 901b)에 적합한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고, 선정된 인물 템플릿을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물 템플릿 선정의 우선 순위는, 인물 템플릿의 속성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의 첫 번째 예시로, 제어부(180)는 인물 템플릿의 사용 빈도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인물 템플릿 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것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선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의 두 번째 예시로, 제어부(180)는 인물 템플릿이 추출된 원사진의 촬영 일시(또는 날짜만을 이용)를 이용할 수 있다. 촬영 일시는, 인물 템플릿의 의상하고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약 촬영이 겨울에 이루어진 사진으로부터 인물 템플릿이 추출된 경우, 그 인물 템플릿의 의상은 추운 날씨에 적합한 의상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물 템플릿의 원사진의 촬영 일시가, 현재와 가장 근접한 인물 템플릿을 높은 우선순위로 선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의 세 번째 예시로, 제어부(180)는 최근에 사용한 순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인물 템플릿 중 가장 최근에 사용한 인물 템플릿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 2 인물 템플릿(502-2)이 선정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어부(180)가 선정한 인물 템플릿을 변경/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S7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S705단계에서 선정된 인물 템플릿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정한 후, 조정한 인물 템플릿을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저장되어 있는 제 2 인물 템플릿(502-2)의 길이를 제 1 길이에서 제 2 길이로 조정한다. 이 경우 길이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미리보기 화면(503) 상의 제 1 인물(801)의 길이(키 방향)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인물(801)의 길이가,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서 제 3 길이일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인물 템플릿(502-2)의 길이를 상기 제 1 인물(801)의 길이와 동일한 제 3 길이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인물(801)의 성별 및 제 2 인물 템플릿(502-2)의 성별을 더 고려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남성의 키는 여성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인물(801)의 키가 제 3 길이일 경우, 제어부(180)는 제 3 길이에 소정 수치를 곱한 제 4 길이로, 상기 제 2 인물 템플릿(502-2)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물 템플릿의 시선 및 붙여넣기 영역의 위치를 기초로, 인물 템플릿의 좌우 대칭 변환을 수행하여 시야 방향을 조정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사진을 촬영할 때, 사진에 찍히는 인물들의 시선은 대부분 카메라를 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 1 인물(801)의 오른쪽 붙여넣기 영역(901b)에 배치하는 인물 템플릿은, 왼쪽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고, 왼쪽 붙여넣기 영역(901a)에 배치되는 인물 템플릿은, 오른쪽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도 10에서 합성 배치되는 제 2 인물 템플릿(502-2)은, 왼쪽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제 1 붙여넣기 영역(901a)에 배치될 경우, 좌우 대칭 변환을 수행하여 오른쪽을 바라보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 2 인물 템플릿(502-2)가 제 2 붙여넣기 영역(901b)에 배치될 경우, 좌우 대칭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도 10 (b)는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서, 제 1 및 제 2 붙여넣기 영역(901a 및 901b) 상에 크기 및 방향 조정이 이루어진 인물 템플릿의 실루엣(1001 및 1001r)이 도시되고 있다. 제 1 실루엣(1001)은 좌우대칭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루엣이며, 제 2 실루엣(1001r)은 좌우대칭이 이루어진 후의 실루엣을 나타낸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루엣(1001 및 1001r)은 제 1 및 제 2 붙여넣기 영역(901a 및 901b)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 끝 위치선(802)을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하는 실루엣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합성 시 배치될 인물 템플릿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되는 실루엣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여 제공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인물 템플릿이 합성되어 표시되는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표시되는 제 1 실루엣(1001)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 (a)에서와 같이 제 1 실루엣(1001)의 위치에 선정된 제 2 인물 템플릿(502-2)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제 2 실루엣(1001r)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 (b)에서와 같이 제 2 실루엣(1001r)의 위치에 선정된 제 2 인물 템플릿(502-2)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1 (a) 및 (b)에 합성하여 표시된 제 2 인물 템플릿(502-2)는 서로 좌우대칭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인물의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 1 인물(801)을 중심으로하는 좌우 영역에 대해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더 나아가,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되는 사물의 영역 및/또는 인물의 자세를 인식한다.
사물의 영역은, 상술하는 인물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인식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물의 영역과는 구별될 수 있다. 얼굴 인식 기술(facial recognition technology)은, 얼굴의 눈, 코, 입과 같은 특징점들의 위치나 크기 또는 이들 간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 인자들로 얼굴을 인식하는 것으로 안면근육의 움직임이나, 입모양, 눈깜박임 등 얼굴의 다양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면,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되는 인물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얼굴을 통하여 사물의 영역인지 인물의 영역인지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식된 사물의 영역 및/또는 인물의 자세를 기초로 붙여넣기 영역 및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사물 및/또는 인물의 자세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기초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a)를 참조하면, 카메라 미리보기 화면(503)이 표시되고 있으며, 미리보기 화면(503) 상으로 의자(1201), 제 2 인물(1202) 및 제 3 인물(1203)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의자(1201), 제 2 인물(1202) 및 제 3 인물(1203)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영역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가장자리 인식 방법 및 얼굴 인식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 (b)는 전체 미리보기 영역(503')에서 상기 인식된 의자(1201), 제 2 인물(1202) 및 제 3 인물(1203)의 영역 각각에 대한 영역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인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붙여넣기 영역을 판단할 뿐만 아니라, 판단된 붙여넣기 영역에 합성될 인물 템플릿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붙여넣기 영역을 판단하는데 있어서는, 사물의 영역은 고려하지 않고, 인물 영역만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인물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사물은 가려져도 상관 없지만 인물은 가려지거나 겹쳐지는 것을 최대한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어부(180)는 전체 미리보기 영역(503')에서 상기 인식된 제 2 인물 영역(1202') 및 제 3 인물 영역(1203')의 좌우 빈 공간을 붙여넣기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 (b)를 참조하면, 제 3 및 제 4 붙여넣기 영역(901c 및 901d)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 3 붙여넣기 영역(903c)는, 사물 영역(1201')과 겹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인식한 사물의 영역은,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인식한 사물 영역(1201')을 의자(또는 벤치)임을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이용하여 제 3 붙여넣기 영역(901c)에 인물 템플릿 중 앉아있는 자세를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3 붙여넣기 영역(901c)는 사물 영역(1201')에 겹쳐있는 영역으로써, 의자에 앉아있는 형태로 합성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사물 영역(1201')이 의자임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인식한 인물들의 자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미리보기 화면(503)의 분석을 통하여, 상기 제 3 인물(1203)의 자세가 앉아있는 자세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제어부(180)는 별도의 모션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제 3 인물(1203)의 자세가 앉아있는 자세임을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3 인물(1230)이 사물 영역(1201')에 겹쳐 있고, 모션 인식 결과 앉아있는 자세로 확인된다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물 영역(1201')이 의자라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의자라고 인식되었으면, 앉는 위치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수평 선(1205, 이하 의자 높이)를 더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180)가 상기 사물이 의자라고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미리보기 화면(503) 자체의 화면 분석을 통하여 의자임을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사물 영역(1201')이 의자로 인식되면, 상기 사물 영역(1201')과 겹치는 제 3 붙여넣기 영역(901c)에는 앉아있는 자세의 인물 템플릿이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소정의 사물 영역이 의자와 같이 앉을 수 있는 사물의 영역이고, 해당 사물 영역과 겹치는 붙여넣기 영역에서는, 앉아있는 자세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 템플릿을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2 (c)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 3 붙여넣기 영역(901c)는, 앉을 수 있는 사물인 의자에 대한 사물 영역(1201')이기 때문에, 앉아있는 인물 템플릿이 우선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 도 12 (c)를 참조하면, 앉아있는 자세의 제 5 인물 템플릿(502-5)에 대한 실루엣인 제 3 실루엣(1206)이 표시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 3 붙여넣기 영역(901c)의 영역은, 상기 인식된 의자 높이(1205) 보다 위쪽으로 제한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앉아있는 자세의 인물 템플릿이 자연스럽게 합성되기 위해서는, 의자 위에 앉도록 합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제 4 붙여넣기 영역(901d)은, 사물 영역(1201')과는 겹치지 않기 때문에, 서있는 자세의 인물 템플릿이 우선적으로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선정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할 것이다. 도 12 (c)의 예시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인물 템플릿으로, 제 2 인물 템플릿(502-2)가 선정되었으며, 제 2 인물 템플릿(502-2)에 대한 제 4 실루엣(1207)이 도시되고 있다.
제 3 및 제 4 붙여넣기 영역(901c 및 901d)이 선택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미리보기 화면(503)의 제 3 및 제 4 붙여넣기 영역(901c 및 901d) 각각에 제 5 및 제 2 인물 템플릿(502-5 및 502-2)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12 (d) 참조).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붙여넣기 영역이 판단되면 가장 적절한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여 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붙여넣기 영역이 판단되면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 중에서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 중에서 인물 템플릿을 선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a)를 참조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제 3 및 제 4 붙여넣기 영역(901c 및 901d)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4 붙여넣기 영역(901d)이 선택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3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복수 개의 인물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4 붙여넣기 영역(901d)에 선택된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2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선정하였던 과정을 도 13과 관련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서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인물 템플릿이 합성되어 포함되고, 셔터 입력(510)이 수신되면, 촬영된 사진과 함께 인물 템플릿이 포함된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장된 인물 템플릿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감시킬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물 템플릿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제어 방법을 더 제안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면 카메라(121)와 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하는 사진을 구분하도록 제안한다. 후면 카메라(121')는 디스플레이(151)와 같은 방향에 존재하는 카메라로써, 상술한 미리보기 화면(503)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전면 카메라(121)는 디스플레이(151)와 다른 방향에 존재하는 카메라로써, 촬영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자의 얼굴을 함께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자의 얼굴에서 촬영자의 표정을 추출한 후, 인물 템플릿에 합성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4는 S709단계에 대한 세부 단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물 템플릿에 촬영자의 얼굴 표정을 더 합성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물 템플릿에 촬영자의 얼굴 표정을 더 합성하는 제어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표정의 합성이란, 눈, 코 및/또는 입을 포함하는 영역(이하, 얼굴 영역)을 대상이 되는 인물 템플릿의 얼굴 영역에 덮어 씌우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되는 촬영자의 얼굴 영역을, 인물 템플릿의 얼굴 영역 상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표정의 합성이란, 상기 얼굴 영역을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인물 템플릿의 얼굴 영역에 변화를 주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어떤 방법이든지, 기저장된 인물 템플릿의 표정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5 (a)를 참조하면, 후면 카메라(121')의 미리보기 화면(503)이 표시되고 있으며, 붙여넣기 영역(미도시) 상에 제 5 실루엣(1501)이 제 4 인물과 함께 표시된다. 표시되는 제 5 실루엣(1501)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표시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는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면 미리보기 화면(1502)을 미리보기 화면(503)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면 미리보기 화면(1502)는, 촬영자의 얼굴 표정만을 획득하기 위한 미리보기 화면으로써, 상기 미리보기 화면(503)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일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도 15 (a) 참조).
상기 제 5 실루엣에 대응하는 제 1 인물 템플릿(502-1)은 제 1 표정(1500a)이며, 상기 전면 미리보기 화면(1502)에서 표시되는 촬영자의 표정은 제 2 표정(1500b)라고 호칭한다.
셔터 입력(510)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S709-1단계로 진행한다(S708단계). S709-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 및 후면 카메라(121')를 모두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S709-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로부터 촬영자의 표정을 추출한다. 표정의 추출이란, 구체적으로 인식된 촬영자의 얼굴에서 얼굴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709-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S709-2단계에서 추출한 표정을 대상 인물 템플릿의 얼굴에 표정합성한다. 표정 합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 인물 템플릿의 얼굴 영역에 상기 추출한 표정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추출한 표정이 대상 인물 템플릿에 자연스럽게 표시되기 위해서 별도의 크기/명도/채도의 조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S709-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표정합성된 인물 템플릿을 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사진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물 템플릿(502-1)에 제 2 표정(1500b)이 표정합성되고, 표정합성된 제 1 인물 템플릿(502-1)이 촬영된 사진에 합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인물 템플릿을 반복적으로 활용하더라도, 표정의 변화를 인물 템플릿에 반영하여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관심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욱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촬영된 사진에 인물 템플릿이 합성되어 포함될 경우, 인물 템플릿이 다른 인물들을 가리도록 합성될 경우, 부자연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합성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물들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인물 템플릿을 수정하여 합성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진 촬영 시 합성되는 인물 템플릿에 적절한 수정을 가하여 합성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인물 템플릿을 합성하다보면,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서 합성되는 인물 템플릿이 다른 인물과 겹치게 되어 가려지면 안될 인물이 가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물 템플릿의 합성 시, 다른 인물에 겹치지 않게 합성하도록 제안한다.
도 16 (a)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미리보기 화면(503)이 표시되고 있으며,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는 제 5 인물(1600)이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미리보기 영역(503) 상에 붙여넣기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한 붙여넣기 영역에 제 4 인물 템플릿(502-4)의 제 6 실루엣(160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 (b)에 도시된 제 6 실루엣(160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되는 제 5 인물(1600)이 표시되는 영역 중 일부와 겹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 (c)는 전체 미리보기 영역(503') 중, 제 5 인물 영역(1600')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제 5 인물 영역(1600')은 상기 제 6 실루엣(1601)과 일부 겹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제 5 인물 영역(1600')을 인식하고, 인식한 제 5 인물 영역(1600')이 제 6 실루엣(1601)의 영역과 일부 겹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4 인물 템플릿(502-4)에서 제 6 실루엣(1601)의 겹치는 부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거하고 나머지 이미지만을 합성에 사용한다(도 16 (d) 참조).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4 인물 템플릿(502-4)를 합성하는데 있어서,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 표시되는 제 5 인물(1600)이 가려지지 않도록 합성하도록 제안한다. 마치, 합성되는 인물이 사진 상에서 제 5 인물(1600)의 뒤쪽으로 합성되는 것과 같아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6 (d)를 참조하면, 미리보기 화면(503) 상에서 제 5 인물(1600)이 가려지는 영역 없이 전부 표시되고 있으며, 마치 제 5 인물(1600)의 뒤쪽으로 제 4 인물 템플릿(502-4)이 합성되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조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1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의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조각 중 소정 이미지 조각을 상기 미리보기 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각은, 소정 이미지에서 상기 소정 영역에 포함되기 위한 제 1 인물의 영역을 추출한 이미지인,
    이동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상에서 제 2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제 2 인물의 얼굴을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 조각의 제 1 인물의 얼굴에 합성하는,
    이동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셔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셔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상기 소정 이미지 조각과 함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이동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하는데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이미지에 상기 소정 이미지 조각을 합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이동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상에서 제 3 인물의 외곽(edge)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외곽을 기초로 상기 소정 영역을 결정하는,
    이동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영역이 상기 인식된 인물의 외곽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소정 영역을 결정하는,
    이동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제 3 인물의 외곽을 기초로 제 3 인물의 키 방향 길이를 판단하고,
    상기 제 3 인물의 키 방향 길이를 기초로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 조각의 크기를 조정하는,
    이동단말기.
  9. 제 1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의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조각 중 소정 이미지 조각을 상기 미리보기 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조각은, 소정 이미지에서 상기 소정 영역에 포함되기 위한 제 1 인물의 영역을 추출한 이미지인,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상에서 제 2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 2 인물의 얼굴을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 조각의 제 1 인물의 얼굴에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셔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상기 소정 이미지 조각과 함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이미지에 상기 소정 이미지 조각을 합성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상에서 제 3 인물의 외곽(edge)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인물의 외곽을 기초로 상기 소정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영역이 상기 인식된 인물의 외곽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소정 영역을 결정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제 3 인물의 외곽을 기초로 제 3 인물의 키 방향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인물의 키 방향 길이를 기초로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 조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154534A 2013-12-12 2013-12-1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534A KR102138521B1 (ko) 2013-12-12 2013-12-1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569,050 US9665764B2 (en) 2013-12-12 2014-12-12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534A KR102138521B1 (ko) 2013-12-12 2013-12-1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44A true KR20150068644A (ko) 2015-06-22
KR102138521B1 KR102138521B1 (ko) 2020-07-28

Family

ID=5337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534A KR102138521B1 (ko) 2013-12-12 2013-12-1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65764B2 (ko)
KR (1) KR102138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3435B2 (en) 2015-10-26 2022-04-12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Wireless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5657247A (zh) * 2015-11-20 2016-06-08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二次曝光拍照方法和装置
WO2018135246A1 (ja) * 2017-01-23 2018-07-26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0048025A (ja) * 2018-09-18 2020-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及び作動方法
KR20200101036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트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611768B (zh) * 2019-09-27 2021-06-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重曝光摄影方法及装置
CN113473019A (zh) * 2021-07-01 2021-10-01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473017A (zh) * 2021-07-01 2021-10-01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044A1 (en) * 2003-08-14 2005-02-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synthesizing method
KR20050099350A (ko) * 2004-04-09 200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9964D0 (en) * 1991-09-18 1991-10-30 Sarnoff David Res Center Pattern-key video insertion
US5914748A (en) * 1996-08-30 1999-06-2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mposite image using the difference of two images
US5913088A (en) * 1996-09-06 1999-06-15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system capable of creating and utilizing applets on photographic film
US7221395B2 (en) * 2000-03-14 2007-05-22 Fuji Photo Film Co., Ltd.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s
JP2003189168A (ja) * 2001-12-21 2003-07-04 Nec Corp 携帯電話用カメラ
JP2004153691A (ja) * 2002-10-31 2004-05-27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29324A1 (en) * 2003-12-02 2005-06-16 Lemke Alan P. Digital camera and method providing selective removal and addition of an imaged object
US7656429B2 (en) * 2004-02-04 2010-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in creating still panoramas and composite photographs
US7876334B2 (en) * 2005-09-09 2011-01-25 Sandisk Il Ltd. Photography with embedded graphical objects
JP2008124830A (ja) * 2006-11-13 2008-05-29 Funai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US7991285B2 (en) * 2008-01-08 2011-08-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ing a captured background image for taking a photograph
TW201005583A (en) * 2008-07-01 2010-02-01 Yoostar Entertainment Group Inc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mpositing
ES2313860B1 (es) * 2008-08-08 2010-03-16 Nilo Garcia Manchado Camara digital y procedimiento asociado.
US20100118175A1 (en) * 2008-11-10 2010-05-13 Victor Charles Bruce Imaging Apparatus For Image Integration
KR20100064873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4730569B2 (ja) * 2009-03-27 2011-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3573B1 (ko) * 2009-06-19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10050834A (ko) *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 정합 방법 및 장치
KR101604846B1 (ko) * 2009-11-27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584735B2 (en) * 2010-11-12 2017-02-28 Arcsoft, Inc. Front and back facing cameras
US8520080B2 (en) *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JP5814566B2 (ja) * 2011-02-28 2015-1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764372B1 (ko) * 2011-04-19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JP5921080B2 (ja) * 2011-04-28 2016-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45444B2 (ja) * 2011-06-27 2013-02-2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32959B1 (ko) * 2011-08-10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30120602A1 (en) * 2011-11-14 2013-05-16 Microsoft Corporation Taking Photos With Multiple Cameras
US8866943B2 (en) * 2012-03-09 2014-10-21 Apple Inc. Video camera providing a composite video sequence
WO2013136607A1 (ja) * 2012-03-13 2013-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付き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325889B2 (en) * 2012-06-08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inuous video capture during switch between video capture devices
US9064184B2 (en) * 2012-06-18 2015-06-23 Ebay Inc. Normalized images for item listings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9253433B2 (en) * 2012-11-27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media with identity of creator or scene
US8953079B2 (en) * 2012-12-31 2015-0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60 degree video recording using MVC
US9167147B2 (en) * 2013-02-15 2015-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field of view region determination
KR102076771B1 (ko) * 2013-02-21 2020-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미지 동시 포착
KR102022444B1 (ko) * 2013-02-21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102028952B1 (ko) * 2013-02-21 2019-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KR102047704B1 (ko) * 2013-08-16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185284B2 (en) * 2013-09-06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ve imag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044A1 (en) * 2003-08-14 2005-02-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synthesizing method
KR20050099350A (ko) * 2004-04-09 200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521B1 (ko) 2020-07-28
US20150172560A1 (en) 2015-06-18
US9665764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52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2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477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026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86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159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264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827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9792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393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9219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05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3320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0590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91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36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953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71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526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0744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614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201500844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883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