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473A -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473A
KR20150068473A KR1020157012363A KR20157012363A KR20150068473A KR 20150068473 A KR20150068473 A KR 20150068473A KR 1020157012363 A KR1020157012363 A KR 1020157012363A KR 20157012363 A KR20157012363 A KR 20157012363A KR 20150068473 A KR20150068473 A KR 20150068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lement
locking
adjusting device
car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680B1 (ko
Inventor
유르겐 슈템머
드미트리즈 게르트
타트야나 자모즈로바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6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9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4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B60N2/938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정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 시트 및/또는 상기 차량 시트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고 회전 요소(2)가 회전 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하우징(3)을 포함한다. 제 1 로킹 요소(21)는 회전 요소(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 로킹 요소(22)는 하우징 상에 제공되며, 상기 로킹 요소들은 로킹 요소(21, 22)들이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이 해제되는 조정 상태로 서로에게 가역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조정 장치는 회전 요소(2) 및 하우징(3)에 대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적어도 임시적으로 로킹 요소(21, 22)들을 구동하는 어댑터 판(23)을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ADJUSTING A MOTOR VEHICLE INTERIOR COMPONEN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예를 들어 차량 시트 및/또는 자동화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조정 장치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조정 장치가 브레이크 링(brake ring)과 브레이크 요소들 사이의 마찰 결합을 기초로 하여 로킹되는 것을 보장하는 로킹 장치를 가진다. 로크(lock)는 오직 조정 운동이 사용자에 의해 시작될 때에만 해제된다. 그러나, 진동들의 상황에서 손상될 마찰 결합 연결의 위험 그리고 따라서 발생될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조정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진동들로 인한 의도하지 않는 조정의 위험이 적어도 감소되고, 동시에 간편한 핸들링(handling) 및 또한 조립, 그리고 따라서 특히 비용-효율적인 제작이 본래의 특성들을 변경함 없이, 특히 아이들링 행정(idling travel)을 증가함 없이 가능하게 되는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회전 요소가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제 1 로킹 요소는 회전 요소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 로킹 요소는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로킹 요소들은 로킹 요소들이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이 해제되는 조정 상태로 서로에 대해 가역적으로 이동가능하며, 그리고 여기서 조정 장치는 회전 요소 및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적어도 임시적으로 로킹 요소들을 구동하는 어댑터 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는 회전 요소가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하우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제 1 부품 상에 제공되며, 회전 요소는 제 2 부품 상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 요소는 제 1 부품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게다가, 조정 장치는 적어도 제 1 로킹 요소 및 제 2 로킹 요소로 구성되는 로킹 장치를 가지며, 여기서 제 1 로킹 요소는 회전 요소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 로킹 요소는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두 개의 로킹 요소들은, 로킹 상태에서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이에 의해 회전 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의도하지 않은 관련된 운동을 적어도 매우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을 가진다. 이러한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이 조정 상태에서 가역적으로 취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로킹 요소는 특히 디스크(disk)의 형상으로 및/또는 바(bar)의 형상으로 2 차원으로 설계된다.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조물, 특히 나사산형성된 구조물, 특히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나사산들이다. 로킹 요소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측 원주부, 특히 피니언(pinion) 상에 나사산을 갖는 원형 디스크이며, 상기 디스크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접합되는 결합, 특히 용접(weld)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이의 중심의 홀을 통해 회전 요소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통상적인 표준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조정 장치에 대한 고도의 모듈화(high degree of modularization) 그리고 따라서 직접적으로 및/또는 간접적으로 비용 절감들을 의미한다. 게다가, 따라서 제 2 로킹 요소와의 양호한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제 2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일반적인 길이방향 범위를 갖는 2 차원 범위를 실질적으로 가지며, 특히 웹(web)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부러지고(bent)/구부러지거나 펀칭된(punched) 시트 금속 부품이다. 상기 로킹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spring steel)으로 제작된다. 제 2 로킹 요소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체 하우징의 횡단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범위를 가진다. 매우 더 바람직하게는, 제 2 로킹 요소는 하우징에 고정 연결을 위한 체결 수단을 하나 이상의 지점, 특히 하나의 단부에 가진다. 제 2 로킹 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연결은 바람직하게 스냅 연결이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체결 수단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하우징에 체결되는 돌기(projection)들을 갖는 웹들을 가진다. 제 2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장치의 하우징 위에서 중심으로 연장한다. 상기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요소가 장착되는 오목부 및/또는 구성물을 적어도 이의 중심에 가지며, 따라서 제 1 로킹 수단 및/또는 회전 요소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반면에, 제 2 로킹 요소는 고정 위치에 유지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로킹 요소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은 구조물, 특히 나사산형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형 구조물은 제 1 로킹 요소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에 상응하는 구조물로서 형성된다. 로킹 상태에서, 제 2 로킹 요소의 나사산형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로킹 요소의 나사산형성된 구조물에 결합하는 반면에, 조정 상태에서 나나산형 구조물은 나사산형성된 구조물로부터 결합해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로킹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제 2 로킹 요소의 한 단부는 축선의 변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로 로킹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로킹 요소는 변위 방향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되어서 제 1 로킹 요소의 나사산들이 제 2 로킹 요소의 나사산형성된 구조물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제 2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요소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성 구성요소와 함께 이동한다. 그러나, 회전 요소의 회전 축선에 대한 제 2 로킹 요소의 반경방향의 변위 방향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제 2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로킹 요소의 방향으로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미리 인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로킹 요소는 언로킹 요소를 가지며, 여기서 언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수단의 반대로 향하는 측면 상의 재료 돌기의 형태인 것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언로킹 요소는 또한 오목부일 수 있다. 작동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요소 및/또는 제 2 로킹 요소에 대해 이동가능한 방식, 특히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어댑터 판 상에 제공된다. 작동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작동 요소는 1 차 성형(primary forming)에 의해 또는 절단 방법에 의해 제 2 로킹 요소 상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어댑터 판은 작동 수단 특히 바람직하게는 재료 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여기서 로킹 상태에서 작동 수단은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 2 로킹 요소의 언로킹 요소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작동 수단은 제 2 로킹 요소 상에 작용하는 힘들 및/또는 토크(torque)들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로킹 요소가 변위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을 위해 제 2 로킹 수단이 제공되는 평면을 가지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판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범위, 특히 실질적으로 디스크의 형상의 범위를 가지며, 여기서 어댑터 판은 작동 수단을 가지며, 어댑터 판의 작동 수단은 제 2 로킹 요소와 상호작용을 위해 제공된다.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로의 이동 동안, 제 2 로킹 요소, 특히 언로킹 요소는 변위 방향에 따라 제 2 로킹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특히 변위시키기 위해 어댑터 판의 작동 요소에 의한 힘을 겪게 된다. 특히,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로의 이동은 언로킹 요소의 작동에 의해 그리고 따라서 또한 어댑터 판의 작동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정 장치는 게다가 로킹 상태와 조정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추가적인 로킹 장치를 가지며, 여기서 이 때 로킹 장치는 브레이크 링에 대한 회전 요소의 회전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위치와 브레이크 링에 대한 회전 요소의 회전을 해제시키기 위한 언로킹 위치 사이의 운동을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로킹 장치는 로킹 상태에서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특히 마찰 결합이 브레이크 링과 브레이크 요소 사이에서 생성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반면에, 제 1 로킹 장치는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오직 포지티브 결합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순수한 포지티브 결합 연결은 유리하게 진동들로 인한 회전 요소의 본의가 아닌(unintentional) 조정에 대해 매우 양호한 고정(securing)을 허용한다.
계속해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로킹 장치는 브레이크 링과 회전 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요소를 가지며, 여기서 로킹 장치는 그 후에 브레이크 링에 대한 회전 요소의 회전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위치와 브레이크 링에 대한 회전 요소의 회전을 해제시키기 위한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언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로킹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자동차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해, 따라서 언로킹 요소는 단지 로킹 장치 및 추가적인 로킹 장치 모두를 언로킹하도록 작동되어야 한다. 이중 로킹에도 불구하고, 차량 탑승자의 편의성이 나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높이 조정 기구, 시트 경사 조정 기구, 등받이 경사 조정 기구, 척주 전만 지지 조정 기구(lordosis support adjustment mechanism), 머리 받침대 조정 기구 등의 부품이다.
그러나, 조정 장치는 다른 것에 대한 하나의 부품의 임의의 다른 조정에 대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여기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이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장치의 제 1 로킹 요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장치의 제 2 로킹 요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장치의 제 2 로킹 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상태의 로킹 장치의 제 1 로킹 요소 및 제 2 로킹 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상태의 로킹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조정 상태의 로킹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상태의 로킹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로의 이동 동안의 로킹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조정 상태의 로킹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로킹 상태의 로킹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조정 상태의 로킹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의 가장 큰 가능성이 있는 조정 경로를 갖는 로킹 상태의 로킹 장치의 제 1 로킹 요소에 대한 그리고 제 2 로킹 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들에는 항상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제공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또한 각각의 경우에 단지 한번만 명명되거나 언급된다.
도 1은 (예시되지 않는) 자동차 구성요소를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1)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조정 장치(1)는 로킹 상태와 조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로킹 장치(20)를 가진다. 로킹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차량-장착되는 하우징(3)에 대해 회전 축선(100)을 중심으로의 회전 요소(2)의 회전은 로킹 장치(20)에 의해 방지된다. 로킹 장치(20)는 제 1 로킹 요소(21) 및 제 2 로킹 요소(22)를 가진다. 제 1 로킹 요소(21)가 회전 고정(rotationally fixed) 방식으로 요소(2)에 연결된다. 제 1 로킹 요소(21)는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요소(30)들을 가진다. 제 1 로킹 요소(21)는 바람직하게는 기어휠(gear wheel)로서 형성되고, 따라서 이의 원주형 에지 상에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을 가진다. 제 2 로킹 요소(22)가 바람직하게는 로킹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로킹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선(A-A)을 따른 일반적인 길이방향 범위 및 바람직하게는 회전 요소(2)의 회전 축선이 바람직하게 장착되는 오목부(33)(도 4 참조)를 가진다. 상기 오목부(33)는 바람직하게는 절단(cutting)에 의해 또는 변형(deformation)에 의해 제조된다. 게다가, 제 2 로킹 요소(22)는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 예를 들어 나사산형 구조물(32)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형 구조물은 로킹 상태에서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 1 로킹 요소(21)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0)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하우징(3)에 대한 회전 요소(2)의 운동을 방지한다. 게다가, 제 2 로킹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서 특히 어댑터 판(23) 상에 제공되는 작동 수단(36)에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언로킹 요소(35)를 가진다. 제 2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가 되도록 천이되는 동안, 제 2 로킹 요소(22)는, 특히 상기 제 2 로킹 요소가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선(100)에 평행하게, 변위 방향(101)을 따라 적어도 섹션들에서 작동 수단(36)에 의해 변위되며, 제 1 로킹 요소와 제 2 로킹 요소 사이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이 임시적으로 해제된다. 어댑터 판(23)은 어댑터 판이 언로킹 목적들을 위해 특히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작동 수단(36) 및 (본원에 예시되지 않은) 드라이브를 가진다. 드라이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연결을 통해 어탭터 판(23)에 연결시킬 수 있다. 드라이브는 어댑터 판(23)의 에지에 바람직하게 연결되는, 특히 용접되는 바람직하게는 레버이다.
도 2는 교차하는 선(A-A)을 따른, 도 1에 따른 조정 장치(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회전 요소(2)가 회전 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하우징(3) 그리고 회전 요소(2) 모두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특히 회전가능하도록 어댑터 판(23)이 제공된다. 어댑터 판은, 어댑터 판(23)의 회전에 의해 언로킹 요소(35)가 작동 수단(36)에 의한 힘을 받으며, 따라서 제 2 로킹 요소(22)가 변위 방향(101)으로 변위되며, 로킹이 해제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들을 위하여, 작동 수단 및 로킹 수단 모두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경사형 표면(ramp-like surface)을 가지며, 이의 결과로써 어댑터 판(23)이 평면에서 이동할 때, 제 2 로킹 요소(22)가 상기 평면에 대해 각지게, 특히 직각으로 변위 방향(101)을 따라 이동한다. 어댑터 판(23)은 바람직하게는 제한 수단 수용 수단(25)을 가지며, 따라서 작동 수단(36)이 제 2 로킹 수단(22)과 접촉하도록 어댑터 판(23)의 가능 조정 경로는 하우징(3)의 상응하는 제한 수단(24)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조정 장치(1)의 원치않는 로킹이 유리하게 방지된다. 하우징 수단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이의 본래 위치로 어댑터 판(23)을 복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수단(37)을 가진다. 이의 본래 위치로의 어댑터 판(23)의 운동, 특히 회전 동안, 제 2 로킹 요소(22)는 변위 방향(10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의 로킹 위치로 튀어오른다.
도 3은 조정 장치(1)의 로킹 장치(20)의 제 1 로킹 요소(21)에 대한 개략도이다. 제 1 로킹 요소(21)가 여기서는 오목부(31)를 통해 회전 요소(2)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고, 로킹 상태에서 여기서는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을 통해 제 2 로킹 요소(22)와 포티지브하게 결합되는 연결이 시작된다.
도 4는 조정 장치(1)의 로킹 장치(20)의 제 2 로킹 요소(22)에 대한 개략도를 예시한다. 제 2 로킹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구부러진 시트 금속 부품으로서 특히 스프링 강(spring steel)으로 제조된다. 상기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웹형(web-shaped) 로킹 스프링으로서 설계되고 오목부(33) 및 체결 수단(34)을 가진다. 제 2 로킹 요소(22)는 위치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체결 수단(34) 및/또는 선택적으로 오목부(33)를 통해 하우징(3)에 연결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단부, 특히 특히 언로킹 요소(35) 및/또는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2)의 반대편인 단부가 하우징에 연결되고 따라서 언로킹 요소(35) 및/또는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2)이 제공되는 다른 단부는 변위 방향(1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2 로킹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언로킹 요소(35)를 가지며, 상기 언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돌기로서 조정 장치(1)의 반대로 향하는 측면 상에 설계된다. 상기 구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사 표면(35.1)을 가지며, 상기 경사 표면은 변위 방향(101)으로의 제 2 로킹 수단의 운동을 발생하기 위해 작동 수단 상의 상응하는, 특히 경사진 표면들과 상호작용한다. 언로킹 요소(35)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절두 피라미드(truncated pyramid) 형상으로서 설계된다. 로킹 상태에서, 제 2 로킹 요소(22)가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언로킹 요소(35)에 의해 어댑터 판의 작동 수단(36)에 연결된다. 회전 축선(100)을 중심으로 어댑터 판(23)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로의 이동 동안, 언로킹 요소(35)는 작동 수단(36)에 의한 힘을 받고, 이에 의해 변위 방향(101)에 따라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 2 로킹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게다가, 로킹 상태에서 제 2 로킹 요소(22)는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2), 여기서는 나사산형 구조물(32)을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로킹 요소는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 1 로킹 요소(21)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0), 여기서는 나사산 형성된 구조물(30)에 연결된다.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펀칭(punching) 및/또는 변형에 의해 로킹 요소(22) 내로 포함된다.
도 5는 조정 장치의 로킹 장치(20)의 제 2 로킹 요소(22)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예시한다. 특히, 어댑터 판(23) 및/또는 하우징(3)을 향하는 제 2 로킹 요소(22)의 그 측면이 여기서 예시된다. 재료 돌기에 의해 유발되고 로킹 상태에서 포지티브하게 및/또는 논-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작동 수단(36)에 연결되는 언로킹 요소(35)의 오목부(depression)는 로킹 요소(22)의 나사산형 구조물(32)로서 명백하게 보일 수 있다.
도 6은 조정 장치(1)의 로킹 상태에서의 로킹 장치(20)의 제 1 로킹 요소(21) 및 제 2 로킹 요소(22)에 대한 개략적인 상세도를 예시한다. 제 2 로킹 요소(22)의 나사산형 구조물(32)은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 1 로킹 요소(21)의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에 연결된다.
도 7은 로킹 상황으로부터 조정 상태로의 로킹 장치의 이동을 예시한다. 작동 수단(36)은 언로킹 요소(35)에 대해 이미 변위되었으나, 나사산형 구조물(32)이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로부터 해제되고 조정 장치가 언로킹되는 범위까지는 아직 아니다.
도 8은 조정 상태에서의 로킹 장치(20)를 예시한다. 어댑터 판(23) 및 따라서 작동 수단(36)은, 특히 나사산형 구조물(32)과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 사이에서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연결이 해제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제 2 로킹 요소(22)가 변위 방향(101)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 2 로킹 요소(22) 및 특히 언로킹 요소(35)에 대해 변위된다. 어댑터 판(23)에서 오목부(25)와 협력하여 하우징-장착되는 제한 수단(24)은 여기서 반시계방향으로의 어댑터 판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추가적인 회전은 제 1 로킹 수단과 제 2 로킹 수단 사이의 원치않은 로킹을 유발하는 결과를 가질 것이라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도 9는 조정 장치(1)의 로킹 상태의 로킹 장치(2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 2 로킹 요소(22)는 어댑터 판(23)에 맞닿아 지탱하고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판(23)의 방향으로 미리 인장된다. 언로킹 요소(35)는 작동 수단(36)을 수용한다.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과 나사산형 구조물(32)은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0은 조정 장치(1)의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로의 이동 동안 로킹 장치(2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제 2 로킹 요소(22)는 조정 장치(1)가 언로킹되지만, 어댑터 판이 최대 가능한 조정 경로를 아직 커버하지 않는 정도로 변위 방향(101)으로 이미 변위되었다. 예를 들어, 4°만큼의 어댑터 판(23)의 회전은 1 mm의 제 2 로킹 요소(22)의 조정 경로에 상응한다. 이것은 예에서 완전한 언로킹에 상응한다. 로킹 요소(21, 22)들이 언로킹되지만, 어댑터 판이 아직 사용가능한 조정 경로를 가진다는 사실로 인해, 비교적 큰 제조 공차들이 허용될 수 있다.
도 11은 조정 장치의 조정 상태에 있는 로킹 장치(2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조정 장치(1)는 완전히 언로킹되며, 제한 수단(24)는 제한 수단 수용 수단(25)에 대해 이동한다. 예를 들어, 어댑터 판(23)은 여기서 30˚에 걸쳐서 회전한다.
도 12는 도 9와 동일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3은 도 11와 동일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4는 도 6와 동일한 상태를 예시하며, 여기서 나사산형 구조물(32)은 특정한 양의 유격(play)이 로킹 요소(21, 22)들 사이에 제공되는 방식으로 나사산형성된 구조물(30)에 대해 배열되고/배열되거나 형성되며, 그러나 상기 유격은 예를 들어 최대 9.5˚이다. 회전 요소(2)는 또한 로킹 상태의 하우징에 대해 동일한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언로킹 위치 또는 조정 상태에서, 회전 요소(2)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회전 요소(2)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 예를 들어 시트 높이 조정 기구, 시트 경사 조정 기구, 등받이 경사 조정 기구, 척주 전만 지지 조정 기구(lordosis support adjustment mechanism) 또는 머리 받침대 조정 기구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1: 조정 장치
2: 회전 요소
3: 하우징
20: 로킹 장치
21: 제 1 로킹 요소
22: 제 2 로킹 요소
23: 어댑터 판
24: 제한 수단
25: 제한 수단 수용 수단, 오목부
30: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 나사산형성된 구조물
31: 오목부
32: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 나사산형 구조물
33: 오목부
34: 체결 수단
35: 언로킹 요소, 돌기
35.1: 경사 표면
36: 작동 수단
37: 스프링 수단, 나선형 스프링
100: 회전 축선
101: 변위 방향
A-A: 단면

Claims (12)

  1. 회전 요소(2)가 회전 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내부에 제공되는 하우징(3)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1)에 있어서,
    제 1 로킹 요소(21)는 회전 요소(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 로킹 요소(22)는 하우징(3)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로킹 요소(21) 및 상기 제 2 로킹 요소(22)는, 상기 로킹 요소(21, 22)들이 포지티브 결합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방식으로 서로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이 해제되는 조정 상태가 되도록, 서로에 대해 가역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조정 장치(1)는 적어도 임시적으로 상기 로킹 요소(21, 22)들을 구동하고 상기 회전 요소(2) 및 상기 하우징(3)에 대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어댑터 판(2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킹 요소(22)는 금속 부품, 특히 시트 금속 부품(sheet metal part)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 판(23)의 방향으로 미리 인장되는(pretension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킹 요소(22)는 체결 수단(34)을 가지며,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로킹 요소가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34)은 스냅 체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34)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 2 로킹 요소(22) 상에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2)이 제공되고
    상기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2)은 로킹 상태에서 제 1 로킹 요소(21)와 포지티브 결합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 수단(32)이 변형, 1차 성형(primary forming) 또는 절단에 의해 상기 제 2 로킹 요소(22)의 재료 내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판(23) 상에 제공되는, 작동 수단(36)과 상호작용하는 언로킹 요소(35)는, 특히 체결 수단(34)으로부터 이격되게, 제 2 로킹 요소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 요소는 상기 제 2 로킹 요소의 재료에 돌기 및/또는 오목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킹 수단(22)은 로킹 상태로부터 조정 상태가 되도록 변위 방향(101)을 따라 적어도 섹션들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11. 제 11 항에 있어서,
    돌기(35)는 변위 방향에 대한 경사 표면(35.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는 차량 시트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조정 장치.
KR1020157012363A 2012-10-12 2013-10-11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1694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20023.4 2012-10-12
DE102012020023 2012-10-12
PCT/EP2013/071283 WO2014057091A1 (de) 2012-10-12 2013-10-11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kraftfahrzeuginnenausstattungs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473A true KR20150068473A (ko) 2015-06-19
KR101694680B1 KR101694680B1 (ko) 2017-01-10

Family

ID=4944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363A KR101694680B1 (ko) 2012-10-12 2013-10-11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64666B2 (ko)
EP (1) EP2906442B1 (ko)
JP (1) JP6105069B2 (ko)
KR (1) KR101694680B1 (ko)
CN (1) CN104837673B (ko)
WO (1) WO2014057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3510B4 (de) * 2013-06-28 2017-03-09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VORRlCHTUNG MlT ElNEM FESTEN ELEMENT, ElNEM VERSTELLBAREN ELEMENT UND ElNER ERSTEN ARRETlERUNGSVORRlCHTUNG
DE102014222642B4 (de) * 2014-09-25 2017-12-28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fahrzeugsitz
EP3286037B1 (de) 2015-04-24 2022-05-11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Fahrzeugsitz mit einer einstellvorrichtung
DE202015103313U1 (de) * 2015-06-24 2016-09-30 Jörg Schwarzbich Sitzversteller
DE202015103949U1 (de) * 2015-07-28 2016-11-02 Rollax Gmbh & Co. Kg Sitzversteller mit Zusatzverriegelung
EP3383698B1 (en) * 2015-11-30 2021-04-07 B/E Aerospace, Inc. Forward translating headrest
JP6665000B2 (ja) * 2016-03-18 2020-03-13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JP6636366B2 (ja) 2016-03-22 2020-01-29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US10076975B2 (en) * 2016-08-11 2018-09-18 Goodrich Corporation Brake release for aircraft seat
WO2019110478A1 (de) 2017-12-05 2019-06-13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Fahrzeugsitz
CN112721752B (zh) * 2020-07-21 2023-03-14 恺博(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手动高调装置锁止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7606A1 (en) * 1997-02-05 1998-08-12 Proma S.r.l. A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otorcar seat
DE10338306A1 (de) * 2003-08-15 2005-03-10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r manueller 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5431A (en) * 1973-02-14 1976-11-10 Fuji Kiko Kk Reclining seat device for motor car
DE3137331A1 (de) * 1981-09-19 1983-03-31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stattungen GmbH & Co KG, 3060 Stadthagen Gelenkbeschlag fuer einen sitz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DE4447480A1 (de) * 1994-12-24 1996-06-27 Schaeffler Waelzlager Kg Vorzugsweise für eine Sitzverstellung vorgesehenes Klemmgesperre
DE19803448A1 (de) * 1998-01-30 1999-08-05 Schaeffler Waelzlager Ohg Schaltbares Klemmgesperre
DE10107237C5 (de) 2001-02-16 2011-05-05 Faurecia Autositze Gmbh Verstell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US6565153B2 (en) * 2001-07-31 2003-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rporation Upper back support for a seat
CN201484231U (zh) * 2009-09-15 2010-05-26 上海交运汽车精密冲压件有限公司 汽车座椅靠背角度调节装置
DE102010055179B4 (de) * 2010-08-13 2019-04-2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verstellvorrichtung
CN201961186U (zh) * 2011-02-22 2011-09-07 苏州忠明祥和精工有限公司 汽车座椅用万能式调角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7606A1 (en) * 1997-02-05 1998-08-12 Proma S.r.l. A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otorcar seat
DE10338306A1 (de) * 2003-08-15 2005-03-10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r manueller 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6442B1 (de) 2018-06-13
JP2015534018A (ja) 2015-11-26
CN104837673A (zh) 2015-08-12
KR101694680B1 (ko) 2017-01-10
WO2014057091A1 (de) 2014-04-17
US20150291068A1 (en) 2015-10-15
EP2906442A1 (de) 2015-08-19
JP6105069B2 (ja) 2017-03-29
CN104837673B (zh) 2017-03-08
US9764666B2 (en)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680B1 (ko) 자동차 내부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JP5810222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及び車両シート
CA2832350C (en) Disc recliner with internal leaf springs
JP6493211B2 (ja) 位置調節式ステアリング装置
EP1842715B1 (en) Reclining adjuster
JP4784086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68512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30104687A1 (en) Steering Device
JP5712294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
KR20140027548A (ko) 차량 시트용 피팅 시스템
JP2009532142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5030029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1605102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및 차량 시트
KR20090007784A (ko) 자동차 부품용 조절 피팅 및 조절 피팅의 잠금 효과를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JP6455200B2 (ja) 減速機構付カム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JP5648766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998552B2 (ja) テレスコピック機構付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80111507A1 (en) Power seat operation device and power seat
US20070024099A1 (en) Device for fixing a first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relative to a second part
WO2012001769A1 (ja) シートバックを傾動可能に保持する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26913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06327A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JP2000342372A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ナ構造
JP5450265B2 (ja) クラッチ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2006246987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