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880A -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880A
KR20150065880A KR1020157012148A KR20157012148A KR20150065880A KR 20150065880 A KR20150065880 A KR 20150065880A KR 1020157012148 A KR1020157012148 A KR 1020157012148A KR 20157012148 A KR20157012148 A KR 20157012148A KR 20150065880 A KR20150065880 A KR 2015006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inding
adhesive roller
adhesive
roll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미오 카나이
Original Assignee
토미오 카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미오 카나이 filed Critical 토미오 카나이
Publication of KR2015006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7Wound-up or endless cleanin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과제) 순차적으로 깨끗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고, 작업성을 향상시켜 위생면에서의 향상도 도모하면서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도 억제할 수 있다.
(해결수단)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점착 롤러부(27)와, 점착 롤러부(27)로부터 인출되고, 티끌 등이 부착된 후의 점착 시트(37)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39)를 구비하고, 권취부(39)는 회전 작동 전달부(51)를 통해 점착 롤러부(27)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27)는 접지면에 압박해서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51)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5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27)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27)와 권취부(39)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63)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ADHESIVE ROLLER-TYPE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예를 들면 카펫이나 이불 위 등에 떨어져 있는 털이나 티끌 등을 점착 시트에 부착시켜 제거하는 청소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는 소정 길이의 점착 시트를 드럼 형상으로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롤러부와, 이 점착 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부(지지부)와, 케이스부와 일체 또는 별개로 접속된 홀딩부로 구성되어 있다.
요즘 펫 붐에 의해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기르는 경우가 많아져 이것에 따라 실내의 마룻바닥·소파나 이불 위 등에는 애완동물 등의 빠진 털, 티클이나 진드기의 사해 등이 눈에 띄게 되었다.
특히 환절기 등에는 빠진 털이 많이 떨어져 있고, 이 빠진 털, 티끌이나 진드기의 사해 등을 모아 폐기 처분하기 위해서 이 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는 매우 편리하며, 각 가정에 적어도 하나는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보급되어 있는 것이다.
이 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애완동물 등의 빠진 털이나 티끌 등이 있는 플로어에 점착 롤러부의 점착 시트(점착면)를 압박한다.
그리고, 홀딩부를 잡고 전방으로 밀고 가면 한 바퀴 돈 단계에서 점착 시트에는 털이나 티끌 등이 부착된다. 이 작업을 반복하여 접착력이 떨어지기 시작한 단계에서 털이나 티끌 등이 부착된 부분의 점착 시트를 손으로 분리하여 폐기한다.
이렇게 종래 기술에서는 점착 시트의 접착력이 저하하기 시작한 단계에서 매번 털이나 티끌이 많이 부착된 부분의 점착 시트를 분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매번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또한 이 작업에 있어서는 털이나 티끌로 가득한 가운데에서 점착 시트의 시단측을 찾는 수고도 겹쳐 번거로움은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털이나 티끌이 많이 부착된 점착 시트를 손으로 분리할 때에 털이나 티끌에 접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저해 버릴 뿐 아니라 위생 상도 별로 깨끗하지는 않다.
그래서, 털이나 티끌 등이 부착된 부분의 점착 시트를 분리하는 일 없이 깨끗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위생면에서의 향상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특허문헌 1-3의 선행기술이 앞서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7-16198 일본 특허 공개 평 11-1693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78664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선행기술은 점착 시트를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롤러부와, 사용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각각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1-2는 점착 롤러부로부터 소정 길이의 점착 시트를 인출하고, 그 시단측을 권취부에 고정하고, 점착 롤러부를 접지시켜 청소한다. 그리고, 점착면이 털이나 티끌로 가득해 접착력이 저하했다고 판단되면 권취부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사용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해 가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된 점착 시트는 권취부에 권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 후의 털이나 티끌이 부착된 점착 시트를 잡아당겨 새로운 점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적이며, 또한 사용 편리함도 우수하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2에 개시된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해소되고 있지 않다.
즉, 사용 중 점착 시트의 점착면이 털이나 티끌로 가득해 접착력이 저하한 경우, 사용자 스스로가 작업(청소)을 중지하고, 일단 권취부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사용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하고, 새로운 점착 시트를 인출한다는 작업을 별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었다.
특허문헌 3은 이 특허문헌 1-2가 갖고 있었던 상기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이며, 점착 롤러부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되고, 털이나 티끌 등이 부착된 사용 후의 점착 시트를 자동적으로 권취부에 권취해 가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구조를 채용하면 사용자 스스로가 작업(청소)을 중지하고, 일단 권취부를 회전시켜 사용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해서 새로운 점착 시트를 인출한다는 작업을 별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에 있어서도 해소되고 있지 않는 과제를 안고 있다.
즉, 이 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에 있어서는 플로어링 등의 바닥면에 점착 시트가 접하면 그 접착력에 의해 바닥면 등에 달라붙어 버려 그대로 움직이거나 상방으로 리프팅하거나 하면 점착 시트가 인출되어 버리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쌍방의 기어부에 역전 방지용 클로 부착 암이 맞물려 소정 방향 이외의 회전(역전)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사용시 이외에 있어서의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정전)은 억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점착 시트가 바닥면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움직이거나, 상방으로 리프팅하거나 하면 당연히 점착 롤러나 권취부가 회전을 해 버려 점착 시트가 인출되어 버린다는 문제는 피할 수 없는 구조이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제로서 시사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털이나 티끌 등이 부착된 부분의 점착 시트를 분리하는 일 없이 순차적으로 깨끗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위생면에서의 향상도 도모하면서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도 억제할 수 있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이 이룬 기술적 수단은 케이스 부재와,
케이스 부재 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점착 롤러부와, 점착 롤러부로부터 인출되고, 티끌 등이 부착된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구비하고,
권취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 롤러부의 회전 작동에 의해 인출된 점착 시트는 점착 롤러부의 회전과 동기된 권취부에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간다.
또한,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바닥면에 압박해서 전진시켰을 때는 점착 롤러부의 회전 작동이 권취부에 전달되어 점착 시트를 권취해 가지만 역방향, 즉 점착 롤러부를 끌어당기도록 역전(후퇴)시킬 때에는 점착 롤러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점착 롤러부는 프리회전 상태(정역 회전 자유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점착 롤러부를 전후방향으로 푸시/풀 조작하는데 있어서 부하가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롤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바닥면에 점착 시트가 달라붙어 버려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었다고 해도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은 억지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은 억제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전후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홀딩부를 구비하고,
홀딩부는 케이스 부재와 일직선상이 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를 접지면에 압박할 때에는 상기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로부터 바닥면 방향으로 점착 롤러부를 압박하기 때문에 그 압박 작동을 이용해서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홀딩부를 전방으로 회전, 즉 케이스부에 대하여 홀딩부를 일직선상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회전 억지 기구는 홀딩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시켜 홀딩부가 바이어싱력에 의해 케이스 부재와 일직선상이 될 때는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고,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점착 롤러부를 접지면에 압박할 때는 상기 억지 작동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딩부가 바이어싱력에 의해 케이스 부재와 일직선상이 될 때는 회전 억지 기구에 의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기 때문에 이동할 때, 또는 청소를 종료할 때에 상방으로 리프팅하는 경우이어도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이 억제된다.
본 발명을 사용해서 청소를 하려고 하는 경우, 하방으로의 압박력이 필연적으로 가해져 오는 것이기 때문에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압박했을 때에는 회전 억지 기구가 해제되므로 사용 편리함이 우수하다.
제 4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점착 롤러부와,
점착 롤러부로부터 인출되고, 티끌 등이 부착된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구비하고,
권취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권취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 롤러부의 회전 작동에 의해 인출된 점착 시트는 점착 롤러부의 회전과 동기된 권취부에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간다.
또한,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바닥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는 점착 롤러부의 회전 작동이 권취부에 전달되어 점착 시트를 권취해 가지만 역방향, 즉 점착 롤러부를 끌어당기도록 역전(후퇴)시킬 때에는 점착 롤러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점착 롤러부는 프리회전 상태(정역 회전 자유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점착 롤러부를 전후방향으로 푸시/풀 조작하는데 있어서, 부하가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롤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바닥면에 점착 시트가 달라붙어 버려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었다고 해도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은 억지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은 억제된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홀딩부를 구비하고,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에는 각각 맞물림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회전 억지 기구는 홀딩부의 압하 인상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각각의 맞물림부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억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딩부의 인상 작동에 연동되어 회전 억지 기구의 억지부가 점착 롤러부의 맞물림부와 권취부의 맞물림부에 각각 로킹되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작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이동할 때 또는 청소를 종료할 때에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경우이어도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이 억제된다.
본 발명을 사용해서 청소를 하려고 하는 경우, 하방으로의 압박력이 필연적으로 가해져 오는 것이기 때문에 홀딩부의 압하 작동에 의해 점착 롤러부를 바닥면 등에 압박했을 때에는 억지부의 맞물림부에의 로킹이 해제되므로 사용 편리함이 우수하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케이스 부재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와,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핸들 플레이트에는 홀딩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는 각각 케이스 부재의 외방으로 돌출시킨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과, 권취부용 회전축을 통해 각각 상하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과 권취부용 회전축의 일단은 각각 케이스 부재 내에 수용되고,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의 일단에는 제 1 기어와 제 1 맞물림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권취부용 회전축의 일단에는 제 2 기어와 제 2 맞물림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회전 작동 전달부는 케이스 부재 내에 있어서 제 1 기어와 제 2 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기어와 제 4 기어로서,
제 3 기어는 제 2 기어와 상시 맞물려 있고,
제 4 기어는 케이스 부재의 내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 기어 유지판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기어 유지판은 상시 제 4 기어가 제 1 기어와 이간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고,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에 각각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억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핸들 플레이트는 압박부를 갖고, 압박부는 홀딩부의 압하 작동에 의해 기어 유지판을 압박해서 제 4 기어를 제 1 기어와 제 3 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딩부의 압하 작동에 의해 점착 롤러부를 바닥면 등에 압박하면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에 맞물려 있던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의 억지부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가 전후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홀딩부의 압하 작동에 의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핸들 플레이트가 압하됨과 아울러 축 고정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핸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압박부가 기어 유지판을 압박한다. 기어 유지판은 압박부에 의한 압력이 압박력이 가해지면 축 고정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기어 유지판에 구비되어 있는 제 4 기어가 제 1 기어와 제 3 기어 사이로 이동해서 각각의 기어와 맞물리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점착 롤러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기어와 권취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 2 기어가 제 3 기어와 제 4 기어로 이루어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맞물려 동기되는 것이 되고,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권취부를 전후 회전 작동시키기 때문에 점착 롤러부의 회전 작동에 의해 인출된 점착 시트는 점착 롤러부의 회전과 동기된 권취부에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간다.
또한,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바닥면 등으로부터 떨어졌 때에는 핸들 플레이트에의 홀딩부로부터의 압하력이 가해지지 않아 기어 유지판에의 압박력도 해제되기 때문에 제 4 기어는 제 1 기어와 이간되고, 즉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바닥면 등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는 점착 롤러부의 회전 작동이 권취부에 전달되어 점착 시트를 권취해 가지만 역방향, 즉 점착 롤러부를 끌어당기도록 역전(후퇴)시킬 때에는 점착 롤러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점착 롤러부는 프리 회전 상태(정역 회전 자유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점착 롤러부를 전후방향으로 푸시/풀 조작하는데 있어서, 부하가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롤러부가 바닥면 등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억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그 억지부가 점착 롤러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맞물림부와, 권취부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 2 맞물림부에 맞물려 로킹되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바닥면에 점착 시트가 달라붙어 버려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었다고 해도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은 억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털이나 티끌 등이 부착된 부분의 점착 시트를 분리하는 일 없이 순차적으로 깨끗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위생면에서의 향상도 도모하면서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도 억제할 수 있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1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1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이며,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가 동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1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이며,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동기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1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가 동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1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동기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1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동기가 해제되고, 또한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작동이 회전 억지 기구에 의해 억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2 실시형태를 일부 생략해서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제 2 실시형태이며, 홀딩부에 압하 작동을 부여하지 않고 제 1 기어와 제 4 기어가 이간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 덮개부를 떼어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기어 유지판을 제 4 기어와 함께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이며, 제 4 기어가 제 1 기어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상태를 파선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로부터 홀딩부에 압하 작동을 부여하여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와 핸들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핸들 플레이트의 압박부에 의해 압압된 기어 유지판이 전방을 향해 회전하고, 제 4 기어가 제 1 기어와 맞물려 있는 상태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제 1 기어로부터 제 4 기어까지가 동기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태이며,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된 회전 억지 기구의 상하 억지부가 각각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에 맞물려 로킹되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작동이 억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태이며,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된 회전 억지 기구의 상하 억지부가 각각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로부터 이간되어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억지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단지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조금도 이것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는 가정용·업무용 어느 것에도 대응가능하며, 또한 그 크기·재질 등도 한정되는 일 없이 적당히 용도에 따라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케이스 부재(1)와, 케이스 부재(1)에 대하여 전후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홀딩부(13)와, 케이스 부재(1) 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정전·역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점착 롤러부(27)와, 점착 롤러부(27)로부터 인출되고, 티끌 등이 부착된 후의 점착 시트(37)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39)와, 점착 롤러부(27)의 회전(정전) 작동을 권취부(39)에 전달하는 회전 작동 전달부(51)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는 점착 롤러부(27), 권취부(39), 회전 작동 전달부(51) 등이 세팅되는 제 1 부재(3)와, 제 1 부재(3) 상을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는 제 2 부재(11)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부재(3)의 후단 근방에는 홀딩부(13)가 연결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제 1 부재(3)는 전측부(5)와 후측부(도시 생략)와 우측부(7)와 좌측부(9)에 의해 평면시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좌측부(9)에는 점착 롤러부(27)의 회전축(33)을 수용하는 축 수용부(9a)와, 권취부(39)의 회전축(45)을 수용하는 축 수용부(9b)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축 수용부(9a, 9b)는 좌측부(9)의 평면과 측면(대 우측부의 측면)에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27)의 회전축(33)과 권취부(39)의 회전축(45)을 각각 상방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우측부(7)에는 점착 롤러부(27)의 회전축(31)과 결합되는 제 1 기어(47)의 기어 축(48)을 수용하는 기어 축 수용부(7a)와, 권취부(39)의 회전축(43)과 결합되는 제 2 기어(49)의 기어 축(50)을 수용하는 기어 축 수용부(7b)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기어 축 수용부(7a, 7b)는 우측부(7)의 평면과 측면(대 좌측부의 측면)에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 1 기어(47)의 기어 축(48)과 제 2 기어(49)의 기어 축(50)을 각각 상방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부(7)에는 제 2 기어(49)와 맞물림 상태로 회전 작동 전달부(51)가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제 2 부재(11)는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1 부재(3)의 후단 근방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즉, 덮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부재(3)에 구비된 점착 롤러부(27)·권취부(39) 등을 덮도록 수용함과 아울러 그 하단면에서 제 1 부재(3)의 우측부(7)와 좌측부(9)의 평면에 비어 있는 축 수용부(9a, 9b)와 기어 축 수용부(7a, 7b)의 개구를 상방으로부터 눌러 각각 수용된 회전축(33, 45)·기어 축(48, 5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하고 있다.
홀딩부(13)는 평면시로 대략 コ자 형상의 연결부(15)와, 연결부(15)의 횡봉부(17)의 대략 중심 위치에 연결되는 종봉부(23)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 종봉부(23)를 가지고 푸시/풀 조작해서 청소를 하는 것이 된다.
연결부(15)는 횡봉부(17)의 양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좌우 연결편(19, 19)을 갖고, 그 연결편(19, 19)의 중도부에는 각각 대향하는 돌출부(21, 2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 21)는 각각 제 1 부재(3)의 우측부(7)와 좌측부(9)의 후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공(7c, 9c)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한다.
홀딩부(13)는 케이스 부재(1)와 일직선상이 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1)의 삽입 설치 장소에 있어서 제 1 부재(3)와 연결편(19)에 걸쳐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25)가 걸쳐지고, 일방의 단부를 제 1 부재(3)에, 타방의 단부를 연결편(19)에 각각 누르고 있고, 케이스 부재(1)와 홀딩부(13)가 일직선상이 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도 6), 점착 롤러부(27)를 접지면에 압박해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탄성 부재(25)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홀딩부(13)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절곡 상태에서 사용한다(도 1, 도 4, 도 5).
또한, 케이스 부재(1)와 홀딩부(13)의 구조·외관 형태 등은 특별히 본 실시형태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구조·외관 형태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점착 롤러부(27)는 원통부(29)와 원통부(29)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된 회전축(31, 33)으로 구성되어 있는 심재(35)와, 심재(35)의 원통부의 주위에 소정 길이 드럼 형상으로 권회되는 점착 시트(3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회전축(31)은 제 1 기어(47)의 기어 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76)에 키 결합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제 1 기어(47)와 점착 롤러부(27)가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취부(39)는 점착 롤러부(27)로부터 인출되어 청소를 한 후의 사용 후의 점착 시트(37)를 권취해 가는 것이며, 원통부(41)와 원통부(41)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43, 4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 쓴 점착 롤러부(27)의 심재(35)가 사용되고 있다. 즉, 다 쓴 점착 롤러부(27)의 심재(35)를 권취부(39)로서 사용함으로써 별도 권취부(39)를 생산할 필요가 없어 비용적으로도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일방의 회전축(43)은 제 2 기어(49)의 기어 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77)에 키 결합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제 2 기어(49)와 권취부(39)가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기어(47)와 제 2 기어(49)는 지름을 다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어(47)에 비해 제 2 기어(49)를 소경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사용 개시 당초 점착 롤러부(27)의 지름(점착 시트(37)를 권회한 상태의 외경)에 대하여 권취부(39)의 지름(원통부의 외경)이 극단적으로 다르기(소경)때문에 점착 시트(37)가 송출되는(인출되는) 스피드와 권취부(39)가 권취되는 스피드가 다르다. 그 때문에 점착 시트(37)에 늘어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 늘어짐을 없게 하기 위해서 권취부(39)를 빠르게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취부(39)에의 권취 작동에 있어서 소정의 인장력(텐션)이 가해졌을 때에 제 2 기어(49)의 연결공(77)과 권취부(39)의 회전축이 미끄러지도록(공회전하다)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 생략하고 있지만, 제 2 기어(49)의 연결공(77)과 권취부(39)의 회전축(43) 사이에 소위 래칫 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권취부(39)의 권취량이 늘어나면 권취부(39)의 지름이 커져 간다. 그리고, 권취부(39)의 지름이 점착 롤러부(27)의 지름보다 대경이 되었을 때 권취하는 점착 시트(37)에 인장력(텐션)이 가해져 온다. 이러한 상황 하에 이루어지면 권취부(39)에 의한 점착 시트의 권취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소정의 인장력(텐션)이 권취부(39)에 가해진 경우에는 제 2 기어(49)만이 움직이고 권취부는 움직이지 않는(그 사이 점착 시트를 권취하지 않는다)다는 상태를 만들어 내고, 소정의 인장력(텐션)이 소멸하면 재차 제 2 기어(49)와 권취부(39)가 연동하여 권취를 재개한다.
회전 작동 전달부(51)는 점착 롤러부(27)의 회전 작동을 권취부(39)에 전달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회전 작동 전달부(51)는 제 2 기어(49)와 상시 맞물려 있는 제 3 기어(53), 제 3 기어(53)와 상시 맞물려 있는 제 4 기어(55)의 두 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작동 전달부(51)를 구성하는 제 3 기어(53)와 제 4 기어(55)는 제 1 기어(47) 및 제 2 기어(49)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 1 기어(47)와 제 2 기어(49)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 3 기어(53)와 제 4 기어(55)를 각각 제 1 기어(47)와 제 2 기어(49)보다 소경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 기어(47)와 제 2 기어(49)의 거리를 너무 떼어놓지 않도록 해서 점착 시트(37)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점착 롤러부(27)는 권회되어 있는 점착 시트(37)의 점착면(37a)이 외방을 향해 있다.
점착 롤러부(27)로부터 인출된 점착 시트(37)(점착 롤러부(27)로부터 인출되어 권취부(39)에 도달할 때까지의 점착 시트(37))는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권취부(39)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어딘가에 달라붙어 꼬이거나 해버리는 경우도 고려되기 때문에 그 점착면(37a)을 접지면(바닥면)으로부터 가능한 한 떼어놓아 권취부(39)로 보내는 것이 좋다.
따라서, 권취 방향을 점착 롤러부(27)의 회전 방향(인출 방향)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인출된 점착 시트(37)를 권취부(39)의 상방으로 가져 갈 수 있어 접지면(바닥면)으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다(도 4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된 점착 시트(37)가 권취부(39)의 상방을 향해 오르막 경사 형상으로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37)의 점착면(37a)을 권취부(39)의 원통부(41) 표면에 대향시키면 그 점착면(37a)의 접착력에 의해 인출된 점착 시트(37)를 원통부(41)의 표면에 접착시킬 뿐 아니라 걸칠 수 있기 때문에 권취 개시에 있어서의 특별히 복잡한 구조를 사용하지 않아도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권취부(39)에 점착 시트를 걸칠 수 있다.
제 1 기어(47)와 회전 작동 전달부(51)의 제 4 기어(55)는 접지면에 압박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제 1 기어(47)와 회전 작동 전달부(51)의 제 4 기어(55)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싱 기구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부재(3)에 있어서의 점착 롤러부(2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부(7)와 좌측부(9) 각각의 축 수용부(기어 축 수용부(7a, 9a)와 축 수용부(7b, 9b)에는 기어 축(48)과 회전축(33)을 각각 전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압출 부재(57)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 부재(57)는 탄성 부재(59)와, 탄성 부재(59)의 일단에 구비된 압박판(61)으로 구성되고, 상시 회전축(31)을 통해 점착 롤러부(27)를 전방으로 바이어싱해서 제 1 기어(47)와 회전 작동 전달 부재(51)의 제 4 기어(55)를 이간시키려고 기능하고 있다.
즉, 점착 롤러부(27)를 접지면(바닥면)에 압박해서 정전(화살표 X1 방향에 전진)시키면 그 때의 압박력에 의해 탄성 부재(59)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압출 부재(57)가 후방으로 밀린다. 그리고, 점착 롤러부(27)가 후방으로 밀림으로써 제 1 기어(47)와 회전 작동 전달부(51)의 제 4 기어(55)가 맞물려 점착 롤러부(27)의 회전 작동이 전달된다(도 2, 도 4 참조).
또한 역방향, 즉 점착 롤러부(27)를 끌어당기도록 역전(화살표 X2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에는 점착 롤러부(27)에 가해졌던 압박력이 없어지고, 압출 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을 통해 점착 롤러부(27)를 전방으로 바이어싱해서 제 1 기어(47)와 회전 작동부의 제 4 기어(55)는 이간되기(맞물림이 해제된다) 때문에 점착 롤러부(27)는 프리 회전 상태(정역 회전 자유 상태)가 된다(도 3, 도 5, 도 6).
따라서, 점착 롤러부(27)를 전후방향으로 푸시/풀 조작하는데 있어서, 부하가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어싱되는 구조는 본 실시형태에 하등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설계 변경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롤러부(27)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 즉 이동이나 청소를 종료하는데 있어서 본 청소용구를 상방으로 리프팅했을 때에 점착 롤러부(27)와 권취부(39) 각각의 회전 작동(정역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63)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억지 기구(6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딩부(13)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시키도록 구성했다.
예를 들면, 홀딩부(13)가 바이어싱력에 의해 케이스 부재(1)와 일직선상이 될 때는 점착 롤러부(27)와 권취부(39)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고,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점착 롤러부(27)를 접지면에 압박할 때는 상기 억지 작동이 해제되도록 구성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제 1 기어(47)와 제 2 기어(49) 각각의 기어 축에 맞물림부를 구비한다. 이 맞물림부는 제 1 기어(47)와 우측부(7) 사이의 간극(S), 제 2 기어(49)와 우측부(7) 사이의 간극(S)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딩부(13)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21)의 선단에 일체로 고착된 편심판(69)과, 이 편심판(69)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피봇팅된 장척 형상의 조작암부(71)와, 이 조작암부(71)의 소정 위치에 세팅하여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각각의 맞물림부에 맞물려 가능한 요철부를 구비한 억지부(73, 73)로 구성되어 있다.
홀딩부(13)를 전방(화살표 X3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면 그 작동에 추종하여 편심판(69)이 후방(화살표 X4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그러면, 조작암부(71)가 후방(화살표 X4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억지부(3, 73)는 마찬가지로 후방(화살표 X4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점착 롤러부(27)와 권취부(39)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것은 없다.
그리고, 홀딩부(13)를 후방(화살표 X5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면 그 작동에 추종해서 편심판(69)이 전방(화살표 X6 방향)으로 회전 작동한다.
그러면, 조작암부(71)가 전방으로 밀림과 아울러 억지부(73, 73)가 이동해서 제 1 기어(47)와 제 2 기어(49) 각각의 맞물림부(65, 67)에 맞물려 점착 롤러부(27)와 권취부(39)의 회전 작동을 억지한다.
따라서, 만약 바닥면에 점착 시트가 달라붙어 버려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었다고 해도 점착 롤러부(27)와 권취부(39) 각각의 회전 작동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기어(53)가 제 4 기어(55)로 이루어지는 회전 작동 전달부(51)를 구비하고 있지만 회전 작동 전달부(51)는 그 기어 구성 수량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 작동 전달부(51)를 일절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제 2 실시형태」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와 비교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사용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고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면 중 100은 케이스 부재, 110은 점착 롤러부, 115는 권취부, 145는 홀딩부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롤러부(110)와 권취부(115)가 상하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도 7, 도 8 중에서 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
케이스 부재(100)는 케이스 본체(101)와 케이스 덮개부(105)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01)는 소정 형상의 저판(102)과, 저판(10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스탠딩시킨 둘레벽(103)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의 기계적 구조 부분(제 1 기어(120)~제 4 기어(127), 기어 유지판(130),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 핸들 플레이트(141))이 수용되는 정도의 깊이(두께)를 갖고 있다.
상기 저판(102)의 외면(102a)에는 내면(102b)과 연통되는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유지용 관통공(도시하지 않음)과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유지용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상하방향(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01)의 저판(102)의 내면(102b)에는 회전 작동 전달부(125)를 구성하는 제 3 기어(126)의 회전축(128)을 받치는 받침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기어(126)의 회전축(128)용 받침공은 상기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받침공과 상하방향(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102)의 내면(102b)에는 기어 유지판(130)의 일단(130a)을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하는 축 지지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01)의 배면(외면)(102a)측의 하방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덮개부(105)를 합쳐 케이스 부재(100)를 구성했을 때에 상기 노치가 홀딩부용 통공(104)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케이스 덮개부(105)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01)에 설치되어 있는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유지용 관통공 및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유지용 관통공과 상대향하는 위치에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받치는 받침공(도시하지 않음)과,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받치는 받침공(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부재(100)의 구조·외관 형태 등은 특별히 본 실시형태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구조·외관 형태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점착 롤러부(110)는 케이스 부재(100)의 외방(케이스 본체(101)의 외방)으로 돌출시킨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권취부(115)는 케이스 부재(100)의 외방으로 돌출시킨 권취부용 회전축(116)을 통해 전후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은 소정 지름으로 소정 길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측이 상기 케이스 부재(100)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상기 유지용 관통공과 받침공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타단측이 도시하지 않은 상기 유지용 관통공을 통해 케이스 부재(100)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과 점착 롤러부(110)는 동기되어 회전 작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위한 기구로서 예를 들면, 케이스 부재(100)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타단측 외주에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감합부(1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점착 롤러부(110)의 통 내면에 상기 감합부(112)를 긴밀하게 감합시키는 것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과 점착 롤러부(110)는 동기되어 회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동기되어 회전 작동시키는 기구는 특별히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주지의 기구를 적당히 설계 변경가능하다.
점착 롤러부(110)는 소정 길이의 점착 시트(110a)가 원통 형상의 심재(110b)의 외주에 드럼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점착 롤러부(110)는 종래 주지의 형태를 적당히 사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권취부용 회전축(116)은 일단측이 상기 케이스 부재(100) 내에서 상기 유지용 관통공과 받침공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타단측이 상기 유지용 관통공을 통해 케이스 부재(100)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통 형상의 권취부(115)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권취부용 회전축(116)과 권취부(115)는 동기되어 회전 작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것의 위한 기구로서 상기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과 마찬가지로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타단측 외주에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감합부(117)를 일체로 구비하고, 권취부(115)의 통 내면에 상기 감합부(117)를 긴밀하게 감합시키는 것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취부용 회전축(116)과 권취부(115)는 동기되어 회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동기되어 회전 작동시키는 기구는 특별히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주지의 기구를 적당히 설계 변경가능하다.
권취부(115)는 점착 롤러부(110)로부터 인출되고, 청소를 한 후의 사용 후의 점착 시트(110a)를 권취해 가는 것이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 쓴 점착 롤러부(110)의 심재(110b)가 사용되고 있다. 즉, 다 쓴 점착 롤러부(110)의 심재(110b)를 권취부(115)로서 사용함으로써 별도 권취부(115)를 생산할 필요가 없어 비용적으로도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대로,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과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일단은 각각 케이스 부재(100) 내에 수용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일단에는 제 1 기어(120)와 제 1 맞물림부(121)가 일체로 구비되고,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일단에는 제 2 기어(122)와 제 2 맞물림부(12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제 1 기어(120)는 소정 지름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일단측을 제 1 기어(120)의 반 중심에 형성된 연결공(120a)을 연통해서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도 8 내지 도 13 참조). 제 1 기어(120)는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과 일체로 회전 작동하도록 키 결합 등의 소정의 결합 구조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제 1 기어(120)가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외주를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특별히 그 기구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맞물림부(121)는 제 1 기어(120)와 비교해서 극단적으로 소경이고 또한 단척 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주에 요철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제 1 맞물림부(121)도 제 1 기어(120)와 마찬가지로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과 일체로 회전 작동하도록 소정의 기구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 1 맞물림부(121)는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직접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제 2 기어(122)는 제 1 기어(120)와 비교해서 소경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일단측을 제 2 기어(122)의 반 중심에 형성된 연결공(122a)을 연통해서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도 8 내지 도 13 참조). 제 2 기어(122)는 권취부용 회전축(116)과 일체로 회전 작동하도록 키 결합 등의 소정의 결합 구조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제 2 기어(122)가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외주를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특별히 그 기구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제 1 기어(120)와 제 2 기어(122)의 지름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로 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 2 맞물림부(123)는 제 2 기어(122)와 비교해서 극단적으로 소경이고 또한 단척 통 형상으로 형성됨(제 1 맞물림부(121)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과 아울러 그 외주에 요철부(123a)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제 2 맞물림부(123)도 제 2 기어(122)와 마찬가지로 권취부용 회전축(116)과 일체로 회전 작동하도록 소정의 기구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 2 맞물림부(123)는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직접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작동 전달부(125)는 케이스 부재(100) 내에 있어서 제 1 기어(120)와 제 2 기어(122)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기어(126)와 제 4 기어(127)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기어(126)는 제 1 기어(120)와 대략 동일 지름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반 중심 위치에는 회전축을 감합하는 감합공(126a)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기어(126)용 회전축(128)은 제 1 기어(120)의 회전축(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축심과 비교해서 다소 전방(도면 중 화살표 300으로 나타내는 방향)에 어긋나 배치되도록 케이스 본체(101)의 저판(102)의 내면(102b)에 설치된 제 3 기어(126)용 회전축(128)을 받치는 받침공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이것에 의해 제 2 기어(122)의 회전축(권취부용 회전축(116))도 제 1 기어(120)의 회전축(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축심과 비교해서 다소 전방(도면 중 화살표 300으로 나타내는 방향)에 어긋나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 3 기어(126)는 제 2 기어(122)와 상하방향(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축심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시 맞물려 설치되어 있다.
제 4 기어(127)는 제 1 기어(120)보다 소경이며, 또한 제 2 기어(122)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부재(100)의 내면(102b)에 일단(130a)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어 유지판(130)의 일면(케이스 본체(101)의 내면과 대향하는 면부(130e))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유지되어 있다.
기어 유지판(130)은 일단(상단)(130a)에 피축 고정부(131)를 설치하고, 그 피축 고정부(131)와 대향하는 타단(하단)(130b)의 면부(배면)(130c)에 피압박면부(132)를 설치하고, 피압박면부(132)와 상대향하는 면부(정면)(130d)에 탄성 부재 수용 공간(13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8 내지 도 13 참조).
기어 유지판(130)은 상기 피축 고정부(131)가 케이스 본체(101)의 내면(102b)에 구비한 축 고정부(106)에 나사(108) 등을 통해 전후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축 고정부(106)는 케이스 본체(101)의 내면(102b)의 소정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기어(122)의 회전축(권취부용 회전축(116))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 유지판(130)은 이 축 고정 위치로부터 경사 후방에 피압박면부(132)가 위치하도록 탄성 부재(134)에 의해 상시 바이어싱되어 있다.
탄성 부재(134)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 채용되고 기어 유지판(130)의 탄성 부재 수용 공간(133)에 일단측(134a)이 돌출되도록 수용되고, 케이스 본체(101)의 내면(102b)에 돌출된 스프링 받이부(107)에서 탄성 부재 수용 공간(133)으로부터 돌출되는 일단측(134a)를 받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 유지판(130)은 피축 고정부(131)를 중심으로 해서 탄성 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의 시계 회전방향(화살표 400으로 나타내는 후방)으로 상시 바이어싱되어 있다(도 8 참조). 제 4 기어(127)는 이 상태일 때에 제 1 기어(120)와 이간되도록 기어 유지판(13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 유지판(130)의 피압박면부(132)가 후술하는 핸들 플레이트(141)의 압박부(143)에 의해 압박되면 탄성 부재(134)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기어 유지판(130)이 축 고정부(106)를 지점으로 해서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여 제 4 기어(127)가 제 1 기어(120)와 맞물리게 된다.
또한, 탄성 부재(134)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설계 변경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딩부(145)의 압력이 지나치게 가해져 기어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제 4 기어(127)가 제 1 기어(120)와 맞물려 제 1 기어(120)의 작동이 전달가능해 졌을 때에는 기어 유지판(130)의 그 이상의 전방으로의 회전 작동을 규제할 수 있게 기어 유지판(130)의 정면부(130d)측이 스프링 받이부(107)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3 참조).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는 예를 들면 장척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의 소정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된 제 1 장공(136)과 제 2 장공(137)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01)의 내면(102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공에 상기 제 1 장공(136)·제 2 장공(137)을 통해 각각 나사 고정함으로써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는 케이스 본체(101)의 내면(102b)에 대하여 제 1 장공(136)과 제 2 장공(137)을 따라 상하방향(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에는 상술한 대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맞물림부(121)와 제 2 맞물림부(123)에 각각 맞물려 로킹되거나, 이간되어 맞물림이 해제되거나 하는 경우가 가능한 회전 억지 기구(63)로서의 제 1 억지부(제 1 로킹 클로)(138)와 제 2 억지부(제 2 로킹 클로)(139)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 기구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억지부(138)는 제 1 맞물림부(121)의 요철부(121a)에 하방으로부터 로킹가능하게 소정 형상의 클로부(138a)가 제 1 맞물림부(121) 방향에 대향하도록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의 정면(135a)측의 하방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제 2 억지부(139)도 제 2 맞물림부(123)의 요철부(123a)에 하방으로부터 로킹가능하게 소정 형상의 클로부(139a)가 제 2 맞물림부(123) 방향에 대향하도록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의 정면(135a) 측상방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즉,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제 1 맞물림부(121)의 하방으로부터 제 1 맞물림부(121)의 요철부(121a)에 제 1 억지부(138)의 클로부(138a)가 맞물려 로킹되고, 제 2 맞물림부(123)의 하방으로부터 제 2 맞물림부(123)의 요철부(123a)에 제 2 억지부(139)의 클로부(139a)가 맞물려 로킹된다.
그리고,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이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제 1 억지부(138)와 제 2 억지부(139)가 제 1 맞물림부(121)의 요철부(121a)와 제 2 맞물림부(123)의 요철부(123a)로부터 각각 이간되어 각각의 맞물림 상태는 해제된다.
또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는 상시 상방(화살표 200a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바이어싱되도록 하단에 탄성 부재(140)를 설치하고 있다. 탄성 부재(14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 상정되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의 하단(135b)과 케이스 본체(101)의 둘레벽(103)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는 상시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화살표 200a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바이어싱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화살표 200b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압하하는 힘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한, 제 1 억지부(138)와 제 2 억지부(139)가 각각 제 1 맞물림부(121)와 제 2 맞물림부(123)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 플레이트(141)는 상기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에 일단(141a)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와 함께 상하방향(화살표 20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핸들 플레이트(141)에는 홀딩부(핸들부)(145)의 일단이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핸들 플레이트(141)는 일단측(상단측)(141a)에 피축 고정부(축공)(142)를 설치하고, 피축 고정부(142)와 대향하는 타단측(하단측)(141b)의 배면(141c)에 압박부(143)가 돌출되어 있다.
압박부(143)는 상기 기어 유지판(130)의 피압박면부(132)와 대향해서 접하는 위치에 소정 길이의 평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플레이트(141)가 피축 고정부(142)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 작동할 때의 흔들림을 해소하기 위해서 핸들 플레이트(141)의 가이드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례를 설명하면 핸들 플레이트(141)의 소정 위치에 장공(144a, 144b)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장공(144a, 144b)을 통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장공(144a, 144b)을 통해 핸들 플레이트(141)의 회전 작동이 흔들리는 일 없이 안내된다. 압박부(143)는 홀딩부(145)의 압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어 유지판(130)을 압박해서 제 4 기어(127)를 제 1 기어(120)에 맞물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홀딩부(145)는 내리막 경사 형상으로 케이스 부재(100) 내에 삽입되는 경사부(145a)와, 경사부(145a)로부터 수평 형상으로 일체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 손잡이부를 가지고 푸시/풀 조작해서 청소를 하게 된다. 또한, 홀딩부(145)의 형상, 부착 위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의 조작·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청소용구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는 제 4 기어(127)는 제 1 기어(120)와 이간되는 방향(화살표 40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도 8 내지 도 10 및 도 12 참조).
본 청소용구를 사용할 때에 점착 롤러부(110)를 바닥면 등에 접촉시키면 홀딩부(145)·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핸들 플레이트(141)의 무게도 있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가 케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하방(화살표 200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내려간다. 이것에 의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의 제 1 억지부(138)와 제 2 억지부(139)가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제 1 맞물림부(121)와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제 2 맞물림부(123)에 각각 로킹되어 회전 작동을 억지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도 11 및 도 13 참조).
그리고, 동시에 핸들 플레이트(141)가 전방(화살표 300으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회전 작동하고, 기어 유지판(130)의 피압박면부(132)가 압박부(143)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어 유지판(130)은 탄성 부재(134)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방(화살표 300으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회전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 4 기어(127)가 제 1 기어(120)와 맞물리고, 제 1 기어(120)→제 4 기어(127)→제 3 기어(126)→제 2 기어(122) 모두가 맞물림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홀딩부(145)를 통해 경사진 전방으로 점착 롤러부(110)를 접지면(바닥면)에 압박해서 정전(화살표 300으로 나타내는 전방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점착 롤러부(110)의 회전 작동이 제 4 기어(127)를 통해 제 3 기어(126)로부터 제 2 기어(122)에 전달된다(도 11 및 도 13 참조). 이것에 의해 티끌 등이 흡착된 점착 시트(110a)는 권취부(115)에 순차적으로 권취해 간다.
또한 역방향, 즉 점착 롤러부(110)를 앞으로 끌어당기도록 역전(화살표 400으로 나타내는 후방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에는 점착 롤러부(110)에 가해지고 있던 압박력이 없어지고, 압박부(143)에 의한 기어 유지판(130)에의 압박력도 해제되기 때문에 기어 유지판(130)은 탄성 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피축 고정부(131)를 지점으로 해서 후방(화살표 400 방향)으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제 4 기어(127)는 제 1 기어(120)로부터 이간된다(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점착 롤러부(110)는 프리 회전 상태(정역 회전 자유 상태)가 된다(도 8 내지 도 10, 도 12).
따라서, 점착 롤러부(110)를 전후방향으로 푸시/풀 조작하는데 있어서, 부하가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롤러부(110)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 즉 이동이나 청소를 종료하는데 있어서 본 청소용구를 상방으로 리프팅했을 때에 점착 롤러부(110)와 권취부(115) 각각의 회전 작동(정역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제 1 억지부(138)·제 2 억지부(139))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바닥면에 점착 시트가 달라붙어 버려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었다고 해도 본 청소용구를 상방으로 리프팅했을 때에는 점착 롤러부(110)와 권취부(115) 각각의 회전 작동은 억지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점착 시트의 인출은 억제된다.
즉, 본 청소용구를 리프팅하면 인력으로 케이스 부재(100)가 하방(화살표 200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내려가고,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135)의 제 1 억지부(138)와 제 2 억지부(139)가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111)의 제 1 맞물림부(121)와 권취부용 회전축(116)의 제 2 맞물림부(123)에 각각 로킹되어 회전 작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개시하지 않는 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권취부(115)에의 권취 작동에 있어서의 소정의 인장력(텐션)이 가해졌을 때에 제 2 기어(123)와 권취부용 회전축(116)이 미끄러지도록(공회전하다) 제 2 기어(123)와 권취부용 회전축(116) 사이에 소위 래칫 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그 외 구성·작용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특히 그 설명은 생략한다.
1, 100 케이스 부재 13, 145 홀딩부
27, 110 점착 롤러부 39, 115 권취부
51, 125 회전 작동 전달부 63 회전 억지 기구

Claims (6)

  1. 케이스 부재와,
    케이스 부재 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점착 롤러부와, 점착 롤러부로부터 인출되고, 티끌 등이 부착된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구비하고,
    권취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해서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전후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홀딩부를 구비하고,
    홀딩부는 케이스 부재와 일직선상이 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를 접지면에 압박했을 때에는 상기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 억지 기구는 홀딩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홀딩부가 바이어싱력에 의해 케이스 부재와 일직선상이 될 때는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고,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점착 롤러부를 접지면에 압박했을 때는 상기 억지 작동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4.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점착 롤러부와,
    점착 롤러부로부터 인출되고, 티끌 등이 부착된 후의 점착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구비하고,
    권취부는 회전 작동 전달부를 통해 점착 롤러부의 전후 회전 작동에 동기되어 전후 회전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는 접지면에 압박해서 전진시켰을 때에 회전 작동 전달부와 맞물리고, 후퇴시켰을 때 및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상기 회전 작동 전달부와의 맞물림이 해재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 각각의 회전 작동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5. 제 4 항에 있어서,
    홀딩부를 구비하고,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에는 각각 맞물림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회전 억지 기구는 홀딩부의 압하 인상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각각의 맞물림부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억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케이스 부재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와,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핸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핸들 플레이트에는 홀딩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와 권취부는 각각 케이스 부재의 외방으로 돌출시킨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과, 권취부용 회전축을 통해 각각 상하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과 권취부용 회전축의 일단은 각각 케이스 부재 내에 수용되고,
    점착 롤러부용 회전축의 일단에는 제 1 기어와 제 1 맞물림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권취부용 회전축의 일단에는 제 2 기어와 제 2 맞물림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회전 작동 전달부는 케이스 부재 내에 있어서 제 1 기어와 제 2 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기어와 제 4 기어로서,
    제 3 기어는 제 2 기어와 상시 맞물려 있고,
    제 4 기어는 케이스 부재의 내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 기어 유지판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기어 유지판은 상시 제 4 기어가 제 1 기어와 이간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고,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제 1 맞물림부와 제 2 맞물림부에 각각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억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핸들 플레이트는 압박부를 갖고, 압박부는 홀딩부의 압하 작동에 의해 기어 유지판을 압박해서 제 4 기어를 제 1 기어와 제 3 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KR1020157012148A 2012-10-10 2013-10-10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KR20150065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4746 2012-10-10
JPJP-P-2012-224746 2012-10-10
PCT/JP2013/077568 WO2014058006A1 (ja) 2012-10-10 2013-10-10 粘着ローラー式掃除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880A true KR20150065880A (ko) 2015-06-15

Family

ID=5047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148A KR20150065880A (ko) 2012-10-10 2013-10-10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06892B2 (ko)
EP (1) EP2907443B1 (ko)
JP (1) JP6043359B2 (ko)
KR (1) KR20150065880A (ko)
CN (1) CN104797185B (ko)
AU (2) AU2013330782A1 (ko)
CA (1) CA2889949A1 (ko)
HK (1) HK1212577A1 (ko)
WO (1) WO2014058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31B1 (ko) * 2018-10-24 2019-08-28 배기용 청소 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874B1 (ko) 2015-01-26 2016-04-11 최인상 핸디 클리너
CN106821136B (zh) * 2017-03-06 2019-05-14 林权豪 一种用于市政工程的多功能扫地机器人
US9936857B1 (en) 2017-07-05 2018-04-10 Marvin L. Menius Roller sweeper
US10407269B1 (en) * 2018-06-27 2019-09-10 Laura Tommaso Tape application and removal device
WO2020123276A1 (en) * 2018-12-11 2020-06-18 Gojo Industries, Inc. Surface wipe cleaning device
JP2020131128A (ja) * 2019-02-20 2020-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異物除去装置
CN110432690B (zh) * 2019-08-09 2022-01-25 江苏里高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具有自洁功能的沙发
CN112305834B (zh) * 2020-09-23 2022-01-14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户外用隐藏式摄像监控装置
CN113616065B (zh) * 2021-09-18 2023-04-04 宁波公牛生活电器有限公司 电动轨道和电动窗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333A (en) * 1915-05-29 1916-01-25 Mcdonald Machine Company Metal-shearing machine.
JPH01169333A (ja) 1987-12-25 1989-07-04 Hitachi Ltd 半導体圧力変換器
US5499877A (en) * 1993-04-06 1996-03-19 Fujicopian Co., Ltd. Transfer ribbon cassette, a case for enclosing the cassette, and a paint film transfer device having the same
JPH0716198A (ja) 1993-07-02 1995-01-20 Shinichi Ono 粘着ロ−ルクリ−ナ
JPH11169333A (ja) 1997-12-15 1999-06-29 Daiei Giken Kk 塵取りローラ
JP2000000202A (ja) * 1998-06-15 2000-01-07 Setsue Nishio 無切断粘着式掃除機
JP2002078664A (ja) * 2000-09-07 2002-03-19 Akihiko Odagiri 巻取り式粘着掃除機
TW558430B (en) * 2000-11-01 2003-10-21 Kao Corp Cleaning device
JP3731652B2 (ja) * 2001-03-06 2006-01-05 エルピー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ール式粘着クリーナとその製造方法
US6859976B2 (en) * 2002-02-22 2005-03-01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apparatus with continuous action wiping and sweeping
JP2005131360A (ja) * 2003-10-10 2005-05-26 F & F:Kk ホルダ
CN101188962B (zh) * 2005-04-15 2011-06-08 约翰逊父子公司 连续的粘附辊
US8011050B2 (en) * 2005-05-31 2011-09-06 S.C. Johnson & Son, Inc. Fabric sweeper
JP2008168107A (ja) * 2006-06-19 2008-07-24 Hitoshi Minami 粘着テープ掃除具
KR100736863B1 (ko) * 2006-10-30 2007-07-06 이상훈 테이프 클리너
JP2009028228A (ja) * 2007-07-26 2009-02-12 Duskin Co Ltd ロール掃除機
US20090097902A1 (en) * 2007-10-16 2009-04-16 Richard Lemmon Cleaning device
CN101518434B (zh) * 2009-03-20 2012-04-11 沈阳化工学院 一种可反复使用的清洁辊
US20110078866A1 (en) * 2009-10-02 2011-04-07 Sandra Kaye Panthofer Lint remover with housing and method of using
US20110146011A1 (en) * 2009-12-18 2011-06-23 Todd Mitchell Day Apparatus for collecting debris from a target surface
CN102365046B (zh) * 2010-03-31 2014-06-25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粘接带辊及该粘接带辊的制造方法
US20110247651A1 (en) * 2010-04-13 2011-10-13 Neumann Peter M Fabric Sweeper
GB2483074A (en) * 2010-08-25 2012-02-29 Itw Cs Uk Ltd A retro-fit assembly for a contact cleaning hand roller
JP2012050741A (ja) * 2010-09-02 2012-03-15 Hmproducts Co Ltd リント清掃用器具
US20120061026A1 (en) * 2010-09-10 2012-03-15 Ching-Chen Lu Tacky Tape Device for Removing Dirty Objects
CN202355391U (zh) * 2011-10-11 2012-08-01 南通芯迎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led透光清洁器
US8910340B2 (en) * 2012-06-15 2014-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device having disposable floor sheets and rotatable beater bar and method of cleaning a floor there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31B1 (ko) * 2018-10-24 2019-08-28 배기용 청소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30782A1 (en) 2015-05-21
EP2907443B1 (en) 2019-08-28
JPWO2014058006A1 (ja) 2016-09-05
EP2907443A1 (en) 2015-08-19
JP6043359B2 (ja) 2016-12-14
AU2018229520A1 (en) 2018-10-04
HK1212577A1 (zh) 2016-06-17
CA2889949A1 (en) 2014-04-17
CN104797185A (zh) 2015-07-22
US9706892B2 (en) 2017-07-18
US20150313443A1 (en) 2015-11-05
EP2907443A4 (en) 2016-07-13
WO2014058006A1 (ja) 2014-04-17
CN104797185B (zh)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5880A (ko)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JP4663714B2 (ja) ブレード自動吐出メカニズムを有する巻尺
JP5558843B2 (ja) リールリード
US8555449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dispensing and containment rolls
JP2009028228A (ja) ロール掃除機
JP5667793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JP3811130B2 (ja) 便座用シート巻取器
KR101297640B1 (ko) 테이프 디스펜서
WO2020170539A1 (ja) 光コネクタ用清掃具
JPH07227375A (ja) 掃除装置
JP6391503B2 (ja) 両面押ボタン回転規制型払拭体保持具及び清掃具
TWM560951U (zh) 清潔裝置
JPH08265670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8464386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dispensing and containment rolls
JP6563064B2 (ja) 両面押ボタン抜止式多段回動型払拭体保持具及び清掃具
KR100436716B1 (ko) 좌변기용 시트 권취기
TW201134450A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0403701B1 (ko) 좌변기용 시트 권취기
KR102226855B1 (ko) 롤러청소기
KR101275531B1 (ko) 휴대용 접착 테이프 커팅기
KR200443426Y1 (ko) 청소용 밀걸레
KR200232548Y1 (ko) 좌변기용 시트 권취기의 좌판
KR200232547Y1 (ko) 좌변기용 시트 권취기
KR200306677Y1 (ko) 좌변기용 시트 권취기
US7380693B2 (en) Desktop tap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