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31B1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31B1
KR102015331B1 KR1020180127516A KR20180127516A KR102015331B1 KR 102015331 B1 KR102015331 B1 KR 102015331B1 KR 1020180127516 A KR1020180127516 A KR 1020180127516A KR 20180127516 A KR20180127516 A KR 20180127516A KR 102015331 B1 KR102015331 B1 KR 10201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ape
transmission gear
rolling
ta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용
Original Assignee
배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용 filed Critical 배기용
Priority to KR102018012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을 접착 제거하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디부의 개구된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테이프 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는 제 1 롤링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테이프 부재의 말단이 구비되는 제 2 롤링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테이프 부재를 청소 대상구간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테이프 부재는 청소 대상구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부착한 후 제 1 롤링부로 정방향 회전하며 권취되므로, 이를 통해 이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재의 사용 구간은 제 1 롤링부에 이격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롤링부는 접착력이 보존되어 있는 테이프 부재를 바디부의 개구 구간으로 권출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바디부의 개구 구간에는 항상 접착력이 보존되어 있는 테이프 부재만이 구비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제 1 롤링부와 제 2 롤링부간의 권취 및 권출 특성을 통해 사용자는 청소 도중 별도의 테이프 세척 행위나 테이프 교체 행위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항상 접착력이 보존되어 있는 테이프의 접착면을 통해 이물질을 접착제거할 수 있게 되어, 청소 용이성 및 청소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 부재에 이물질이 접착 제거되도록 하는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청소 시 대부분 빗자루로 각종 쓰레기를 쓸어서 쓰레받기에 담아 제거한다.
그러나, 마치 솔처럼 이루어진 빗자루의 형태적 특성상 바닥 등에 밀착된 상태의 비교적 크기가 작은 먼지나 티끌, 머리카락, 보풀 등과 같은 쓰레기는 쉽게 청소되지 않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행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15-0022332 호 에서는 빗자루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빗자루는 점착롤 클리너를 장착하기 위한 롤러가 구비된 헤드부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헤드부를 청소 대상구간에 접촉시킨 후 이를 롤링하면, 이물질이 점착롤에 부착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이물질을 접착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쓸기 방식에 비해 더욱 향상된 이물질 제거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는 경우 상기 헤드부가 소정 횟수 회전하게 되면 점착롤에는 상당량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이로 인해 점착롤의 접착력이 상당히 감소될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 과정 중간에 점착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하거나, 또는 점착롤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나, 이에 따르는 경우 그 세척과 교체 행위에 있어서 상당한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청소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15-0022332 호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는 테이프 부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접착 제거하고, 테이프 부재의 세척이나 교환 없이 테이프 부재의 전체 구간이 이물질 제거로 인해 소진될 때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테이프 부재를 전량 소진한 경우에는 이를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는, 내측에 이물질을 접착 제거하는 테이프 부재가 구비되고, 일단이 개구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개구된 일단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테이프 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는 제 1 롤링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말단이 구비되는 제 2 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부재를 청소 대상구간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물질이 부착된 상기 테이프 부재가 정방향 회전하며 상기 제 1 롤링부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제 2 롤링부는 회전하며 상기 테이프 부재의 미사용 구간을 바디부의 개구된 일단 방향으로 권출하고, 상기 테이프 부재가 상기 제 1 롤링부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롤링부는 비 회전하여 상기 제 2 롤링부에는 이물질이 부착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사용 구간이 권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용구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 박스부 및 일단은 상기 기어 박스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길이축은 상기 제 1 롤링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롤링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제 1 테이프 기어와, 일단은 상기 기어 박스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길이축은 상기 제 2 롤링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프 부재가 정방향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롤링부가 상기 테이프 부재를 권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테이프 기어를 포함하는 테이프 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용구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치합하는 제 1 전달기어와,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와 치합하는 제 2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2 전달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2 전달기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길이축에 소정의 단면적을 갖고 개구 구조로 형성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박스부는, 상기 이동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치합하도록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상기 제 2 전달기어와 치합 및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홈보다 소정 더 작은 단면적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 박스부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 사이에 구비되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접촉한채 구름운동을 하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상기 제 2 전달기어에 치합되고 이격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 2 전달기어와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하게 구비되고,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전달기어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전달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에 대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는, 일단과 상기 제 2 전달기어와의 거리차이가 상기 이동홈과 상기 제 2 고정수단과의 단면적 크기 차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는, 바디부의 개구된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테이프 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는 제 1 롤링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테이프 부재의 말단이 구비되는 제 2 롤링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테이프 부재를 청소 대상구간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재가 제 1 롤링부로 정방향 회전하며 권취되므로, 이를 통해 이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재의 사용 구간은 제 1 롤링부에 이격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롤링부는 미사용된 테이프 부재를 바디부의 개구 구간으로 권출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바디부의 개구 구간에는 항상 미사용 상태의 테이프 부재만이 구비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제 1 롤링부와 제 2 롤링부간의 권취 및 권출 특성을 통해 사용자는 청소 도중 별도의 테이프 세척 행위나 테이프 교체 행위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항상 테이프의 미사용 면만으로 이물질을 접착제거할 수 있게되어, 이를 통해 청소 용이성 및 청소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좌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우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롤링부와 제 2 롤링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테이프 부재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롤링부와 제 2 롤링부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전달기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전달기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좌측 및 우측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청소 용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롤링부와 제 2 롤링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테이프 부재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롤링부 및 제 2 롤링부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 용구(1000)는 테이프 부재(1), 바디부(100), 제 1 롤링부(200), 제 2 롤링부(300), 기어 박스부(400), 테이프 기어부(500) 및 동력전달 기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테이프 부재(1)와, 상기 제 1 롤링부(200) 및 제 2 롤링부(300)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중공구조를 갖고 일단이 개구된 구조인 롤러 수용공(10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테이프 부재(1)의 경우, 이물질을 접착 제거할 수 있도록, 테이프(Tape)와 같이 길이축의 일측면이 이물질을 접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모든 주지 관용적인 수단을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 바디부(100)의 타단면에는 손잡이부재(150)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1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0)는 양측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바디(110)와, 상기 제 1 바디(110) 각각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2 바디(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롤링부(200)는 소정의 단면적을 갖고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구조체인 제 1 롤링바디(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링바디(21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기어치 구조를 갖는 제 1 롤링기어(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롤링부(300)는 소정의 단면적을 갖고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구조체인 제 2 롤링바디(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롤링바디(31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기어치 구조를 갖는 제 2 롤링기어(3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바디(120)에는 상기 제 1 롤링바디(21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고 절개 형성되는 제 1 체결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롤링바디(210)의 양 단은 상기 제 1 체결홈(13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0)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 체결홈(130)으로부터 연장 절개되며 상기 제 2 롤링바디(31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제 2 체결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롤링바디(310)의 양 단은 상기 제 2 체결홈(14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부재(1)의 일단은 상기 제 1 롤링부(200)에 부착되고, 말단은 상기 제 2 롤링부(300)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 부재(1)가 일반적으로 권취된 형태로 판매되는 테이프 구조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테이프 구조의 권취 축을 제 2 롤링부(300)에 끼움 결합시키고, 테이프의 말단면을 제 1 롤링부(2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1)의 일단은 롤러 수용공(101)의 개구 구간에 마련되는 제 1 롤링부(200)에 구비되어, 지면 등과 같은 청소 대상구간과 접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를 밀거나 당겨 상기 테이프 부재(1)가 제 1 롤링부(200)에 권취되는 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상기 제 1 롤링부(200)에는 이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재(1)의 사용 구간이 권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권취 작용과 동시에, 제 2 롤링부(300)에는 상기 테이프 부재(1)의 미사용 구간이 권출된다.
이러한 권출 및 권취 구조를 통해, 테이프 부재(1)의 미사용 구간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그 전량이 제 1 롤링부(200)로 권취되는 경우, 이를 제 1 롤링부(200)로부터 제거한 후, 새로운 테이프 부재(1)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롤링부(200)와 제 2 롤링부(300)에 구비시키기만 하면 된다.
즉, 상기 청소 용구(1000)는 테이프 부재(1)를 일종의 카트리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청소 도중 주기적으로 테이프 부재(1)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어, 그 청소 용이성 및 테이프 부재(1) 관리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부재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는 경우 제 1 전달기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롤링부(200) 및 제 2 롤링부(300)간의 연계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박스부(4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박스바디(410)와, 박스커버(420)와, 제 1 고정수단(430)과, 제 2 고정수단(440)과, 제 3 고정수단(450) 및 전달 가이드부재(4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기어부(500)는 제 1 테이프 기어(510) 및 제 2 테이프 기어(520)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바디(410)는 단면이 상기 바디부(100)의 측단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제 1 바디(110)에 대응되는 제 1 박스구간(411)과, 전술한 제 2 바디(120)에 대응되는 제 2 박스구간(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커버(420)는 상기 박스바디(410)를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박스 바디(410)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박스커버(420)는 전술한 제 1 체결홈(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면에 절개 형성되는 제 1 노출홈(421)과, 전술한 제 2 체결홈(140)의 위치에 대응되는 면에 절개 형성되는 제 2 노출홈(4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수단(430)과, 상기 제 2 고정수단(440) 및 상기 제 3 고정수단(450)은 각기 상기 박스바디(410)의 내측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수단(430)의 경우 상기 제 1 노출홈(42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510)가 상기 제 1 노출홈(421)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510)는 소정의 기어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주기어(511)와, 상기 제 1 주기어(511)로부터 연장되고 전술한 제 1 롤링기어(220)와 치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축부재(5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주기어(511)가 상기 제 1 고정수단(430)에 체결되고, 상기 제 1 축부재(512)가 상기 제 1 노출홈(421) 및 상기 제 1 체결홈(130)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롤링부(200)와 치합하게 된다.
그리하여, 제 1 테이프 기어(510)의 일단인 상기 제 1 주기어(511)는 상기 기어 박스부(400)의 내측에 수용되고, 그 길이축인 상기 제 1 축부재(512)는 제 1 롤링부(20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주기어(511)의 경우 상기 제 1 노출홈(421)에 비해 소정 더 큰 단면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 1 테이프 기어(510) 전체가 상기 제 1 노출홈(4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520)의 경우 소정의 기어 구조를 갖는 제 2 주기어(521)와, 상기 제 2 주기어(521)로부터 연장되고 전술한 제 2 롤링기어(320)와 치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 2 축부재(5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주기어(521)가 상기 제 2 노출홈(422)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이에 따라 상기 제 2 축부재(522)가 상기 제 2 노출홈(422) 및 상기 제 2 체결홈(140)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롤링부(300)와 치합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주기어(5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주기어(521)는 제 2 노출홈(422)에 비해 소정 더 큰 단면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 기어부(600)는 제 1 전달기어(610) 및 제 2 전달기어(6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달기어(610)는 제 1 주기어(511)와 치합하고, 상기 제 2 전달기어(620)는 제 2 주기어(521)와 치합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테이프 기어(510)가 정회전하는 경우, 제 1 전달기어(610)는 제 1 테이프 기어(510)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2 전달기어(620)와 치합하게되며, 이를 통해 제 1 테이프 기어(510)의 회전력이 제 2 테이프 기어(52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520)와 연결된 제 2 롤링부(300) 또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2 롤링부(300)에 구비된 테이프 부재(1)의 미사용 구간이 바디부(100)의 개구 구간측으로 권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전술한 각 롤링부(200, 300), 기어 박스부(400), 테이프 기어부(500) 및 동력전달 기어부(600)를 먼저 결합시킨 후, 상기 롤링부(200, 300)들 각각의 말단이 전술한 제 1 체결홈(130) 및 제 2 체결홈(140)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청소 용구(1000)의 전체 구조가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과정 이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외부로 노출된 각 롤링부(200, 300)의 말단에 각기 제 1 캡(230)과 제 2 캡(33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각 롤링부(200, 300)들의 말단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앞서 언급한 제 2 고정수단(440)과, 제 3 고정수단(450) 및 전달 가이드부재(46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통해 상기 제 1 전달기어(610) 및 상기 제 2 전달기어(620)와 타 구성들간의 결합관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 3 고정수단(450)은 상기 제 2 전달기어(620)와 결합되며, 상기 제 2 전달기어(620)가 상기 제 2 주기어(521)와 치합가능하도록, 박스바디(41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달기어(610)에는 길이축에 소정의 단면적을 갖고 개구 구조로 형성되는 이동홈(6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수단(440)은 상기 이동홈(6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510)와 상기 제 1 전달기어(610)가 치합하도록, 박스바디(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고정수단(440)은 상기 이동홈(611)에 비해 그 단면적 크기가 소정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7 및 도 8을 비교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달기어(610)는 이동홈(611)과 제 1 고정수단(430)의 단면적 차에 대응되는 만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한 바와 같이, 제 1 주기어(511)가 정방향 회전하는 경우 이와 치합하는 제 1 전달기어(610)는 역방향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1 전달기어(610)는 그 회전이동의 동선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달기어(620)와 치합하게 된다.
반대로, 도 8을 참조한 바와 같이, 제 1 주기어(511)가 역방향 회전하는 경우 이와 치합하는 제 1 전달기어(610)는 정방향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 2 전달기어(620)는 제 1 전달기어(610)의 정방향 회전 이동과 반대되는 위치에 구비되므로, 결국 이로 인해 제 1 전달기어(610)는 제 2 전달기어(620)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460)가 제 1 전달기어(610)와 제 2 전달기어(620)간의 치합 및 이격 과정을 자연스럽게 가이드 할 수 있는 바, 이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460)는 제 1 테이프 기어(510)와 제 2 테이프 기어(520) 사이에 구비되도록 박스바디(41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 1 테이프 기어(510)와 마주하는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46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전달기어(610)가 접촉한 채 구름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460)의 일단은 상기 이동홈(611)과 상기 제 2 고정수단(440)과의 단면적 크기 차이에 대응되는 만큼 제 2 전달기어(620)로부터 이격되고,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전달기어(620)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460)는 제 1 주기어(511)의 회전 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제 1 전달기어(610)가 제 2 전달기어(620)에 치합되거나 이격되는 과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달기어(610)를 접촉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사항들을 종합하면, 이동홈(611)과 제 1 고정수단(430)간의 면적차 구조 및 전달 가이드부재(460)의 접촉 가이드 기능 수행으로 인해, 제 1 주기어(511)가 정방향 회전하는 경우에만 제 1 주기어(511)의 회전력이 제 2 주기어(521)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1)를 정방향 회전시킨 경우에만 제 1 롤링부(200)의 회전력이 제 2 롤링부(300)로 전달되어, 제 2 롤링부(300)에 구비된 테이프 부재(1)의 미사용 구간이 제 1 롤링부(200) 방향으로 권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1)가 역방향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달기어(610)와 제 2 전달기어(620)가 이격되어, 제 2 롤링부(30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롤링부(200)에 구비된 테이프 부재(1)가 권출되도록 제 1 롤링부(200) 및 제 1 테이프 기어(510)를 역회전시키더라도, 제 2 테이프 기어(520)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제 1 롤링부(200)에 권취되어 있던 이물질이 접착된 테이프 부재(1)는 제 2 롤링부(300)에 권취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미사용 상태의 테이프 부재(1)와 이물질간의 불필요한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이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한 테이프 부재(1)의 접착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전술한 제 2 롤링부(300)의 회전 방지 구조는 기어치와 항상 맞물리고, 기어 구조가 특정방향 회전을 하지 못하게 간섭하는 스토퍼(Stopper)와 같은 구성을 배제한 것이다.
그리하여, 스토퍼 등과의 치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소음 발생율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460)는 제 1 주기어(511)에 대해 오목하고, 제 1 전달기어(610)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전달기어(610)가 전달 가이드부재(460)를 따라 접촉 구름운동 하는 경우, 상술한 맞춤형 곡률 구조에 대응되는 만큼 상기 구름운동에 대한 간섭 발생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간섭 발생 최소화에 대응하여, 기어 간의 이탈이나 기어가 헛도는 것과 같은 각종 문제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전술한 사항들은 제 1 전달기어(610) 및 제 2 전달기어(620)와 같은 2 개의 회전력 전달 기어를 이용하여 제 1 롤링부(20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제 2 롤링부(300)가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2 개의 회전력 전달 기어 구조로 인해, 제 1 롤링부(200)가 정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2 롤링부(300)는 역방향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롤링부(300)로부터 권출되는 테이프 부재(1)의 일단면은 제 1 롤링부(200)가 회전하는 정방향과 나란히 회전하게 구비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상술한 2 개의 회전력 전달 기어 구조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을 참조하는 경우 홀수 개의 회전력 전달 기어 구성을 통한 제 1 롤링부(200)와 제 2 롤링부(300)간의 회전력 전달 구조 또한 용이하게 도출 할 수 있다.
예컨대, 홀수 개의 회전력 전달 기어 구조에 따르는 경우, 제 1 롤링부(200)와 제 2 롤링부(300)는 상호 동방향 회전하게 되므로, 이때 제 2 롤링부(300)로부터 권출되는 테이프 부재(1)의 일단면 또한 제 1 롤링부(200) 및 제 2 롤링부(300)가 회전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청소 용구
1 : 테이프 부재
100 : 바디부
101 : 롤러 수용공
110 : 제 1 바디
120 : 제 2 바디
130 : 제 1 체결홈
140 : 제 2 체결홈
150 : 손잡이부재
200 : 제 1 롤링부
210 : 제 1 롤링바디
220 : 제 1 롤링기어
230 : 제 1 캡
300 : 제 2 롤링부
310 : 제 2 롤링바디
320 : 제 2 롤링기어
330 : 제 2 캡
400 : 기어 박스부
410 : 박스바디
411 : 제 1 박스구간
412 : 제 2 박스구간
420 : 박스커버
421 : 제 1 노출홈
422 : 제 2 노출홈
430 : 제 1 고정수단
440 : 제 2 고정수단
450 : 제 3 고정수단
460 : 전달 가이드부재
500 : 테이프 기어부
510 : 제 1 테이프 기어
511 : 제 1 주기어
512 : 제 1 축부재
520 : 제 2 테이프 기어
521 : 제 2 주기어
522 : 제 2 축부재
600 : 동력전달 기어부
610 : 제 1 전달기어
611 : 이동홈
620 : 제 2 전달기어

Claims (7)

  1. 내측에 이물질을 접착 제거하는 테이프 부재가 구비되고, 일단이 개구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개구된 일단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테이프 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는 제 1 롤링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말단이 구비되는 제 2 롤링부; 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부재를 청소 대상구간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물질이 부착된 상기 테이프 부재가 정방향 회전하며 상기 제 1 롤링부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제 2 롤링부는 회전하며 상기 테이프 부재의 미사용 구간을 바디부의 개구된 일단 방향으로 권출하고,
    상기 테이프 부재가 상기 제 1 롤링부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롤링부는 비 회전하여 상기 제 2 롤링부에는 이물질이 부착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사용 구간이 권취되지 않으며,
    상기 청소 용구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 박스부; 및
    일단은 상기 기어 박스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길이축은 상기 제 1 롤링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롤링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제 1 테이프 기어와, 일단은 상기 기어 박스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길이축은 상기 제 2 롤링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프 부재가 정방향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롤링부가 상기 테이프 부재를 권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테이프 기어를 포함하는 테이프 기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청소 용구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치합하는 제 1 전달기어와,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와 치합하는 제 2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 기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2 전달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상기 제 2 전달기어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 1 전달기어는,
    길이축에 소정의 단면적을 갖고 개구 구조로 형성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박스부는,
    상기 이동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치합하도록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상기 제 2 전달기어와 치합 및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홈보다 소정 더 작은 단면적 크기로 형성되는 제 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부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상기 제 2 테이프 기어 사이에 구비되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와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접촉한채 구름운동을 하며,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전달기어가 상기 제 2 전달기어에 치합되고 이격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 2 전달기어와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하게 구비되고,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전달기어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전달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테이프 기어에 대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가이드부재는,
    일단과 상기 제 2 전달기어와의 거리차이가 상기 이동홈과 상기 제 2 고정수단과의 단면적 크기 차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KR1020180127516A 2018-10-24 2018-10-24 청소 용구 KR10201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16A KR102015331B1 (ko) 2018-10-24 2018-10-24 청소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16A KR102015331B1 (ko) 2018-10-24 2018-10-24 청소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331B1 true KR102015331B1 (ko) 2019-08-28

Family

ID=6777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16A KR102015331B1 (ko) 2018-10-24 2018-10-24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3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332A (ko) 2013-08-23 2015-03-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착롤 클리너가 구비된 빗자루
KR20150065880A (ko) * 2012-10-10 2015-06-15 토미오 카나이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KR101609874B1 (ko) * 2015-01-26 2016-04-11 최인상 핸디 클리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880A (ko) * 2012-10-10 2015-06-15 토미오 카나이 점착 롤러식 청소용구
KR20150022332A (ko) 2013-08-23 2015-03-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착롤 클리너가 구비된 빗자루
KR101609874B1 (ko) * 2015-01-26 2016-04-11 최인상 핸디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4817B (zh) 膠帶式清潔器
JP2005518235A (ja) 拭き掃除及び掃き掃除の連続動作を伴う清掃装置
KR20150100624A (ko) 진공 청소기의 회전 가능 부재에 대한 청소 장치, 청소기 노즐, 진공 청소기 및 청소 유닛
WO2005017590A1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クリーナ、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接続面の清掃方法
CA2966483A1 (en) Lint removing device
KR102015331B1 (ko) 청소 용구
US20120167317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Dispensing and Containment Rolls
JP4563706B2 (ja)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EP1384528A2 (en) Fiber optic component cleaning device
CN111056386A (zh) 一种带有均匀绕线功能的电子信息发射天线
JP4011564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クリーナ、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接続面の清掃方法
JPS58501934A (ja) 布類、衣服および家具などの対象物から塵、毛髪もしくは粒体などを除去する除塵器
JP2022093469A (ja) 結束機
JP6647147B2 (ja) 清掃工具及び清掃方法
JP2010150848A (ja) 開閉装置用清掃装置及び開閉装置
US20090300867A1 (en) Clean button
KR100736863B1 (ko) 테이프 클리너
KR101199838B1 (ko) 접착면의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테이프크리너
US20100132145A1 (en) Toothbrush assembly
GB2233884A (en) Cleaning equipment provided with a roll of adhesive tape
US20040134003A1 (en) Adhesive roller
JP6181422B2 (ja) 清掃具
JP4568339B2 (ja) 増速タイヤ
US20110146011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ebris from a target surface
KR200384131Y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