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818A -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818A
KR20150061818A KR1020130146001A KR20130146001A KR20150061818A KR 20150061818 A KR20150061818 A KR 20150061818A KR 1020130146001 A KR1020130146001 A KR 1020130146001A KR 20130146001 A KR20130146001 A KR 20130146001A KR 20150061818 A KR20150061818 A KR 2015006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ater
soluble
vitamin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곤
박아름
이효영
이재형
김시창
허남기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13014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818A/ko
Publication of KR2015006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즙 대용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산나물의 착즙시에 비타민 C를 첨가함으로써, 갈변이 억제된 녹즙을 얻게 되고, 상기 비타민 C에 의해 고형분의 응집이 쉽게 일어나 고상과 액상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여과 잔사물인 고상 부분은 동결건조를 통하여, 또한 여과된 액상 부분은 감압농축에 의해 효율적인 농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된 액상은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수용성 산채 분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water-soluble wild edible powder}
본 발명은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즙 대용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즙은 채소에 함유된 영양소를 우리 몸이 소화흡수하기 쉽도록 착즙하여 가열하지 않고 제조한 것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식물체의 생즙을 포함하여 곰취, 참취, 산마늘, 명일엽, 케일 등의 녹색을 띄는 채소류 산나물 뿐만 아니라 당근, 사과 등을 분쇄압착하여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좁은 의미에서는 녹색을 띄는 산나물이나 채소류를 분쇄압착하여 얻어지는 생즙으로 정의할 수 있다.
녹즙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에서도 녹즙을 제조하여 음용하거나, 풀무원, 대상 등과 같은 식품 대기업에서도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배달 녹즙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기존의 녹즙이 녹색 채소나 산나물을 착즙하여 가열 처리하지 않고 생즙 상태로 음용함에 따라, 미생물에 의해 쉽게 변패되기 때문에 저온유통을 하여야 하고, 유통기간이 1일 이내로 한정됨에 따라 녹즙의 재료가 되는 채소류나 산나물이 생산되지 않는 시기에는 녹즙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강원도는 곰취, 참취, 곤드레, 참나물, 산마늘 등 다양한 종류의 산나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채들은 5~7월에 집중되어 생산되고 있다. 산나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증진 효과가 알려짐에 따라 녹즙으로 제조하여 음용하는 소비자들이 많지만, 산나물이 생산되는 5~7월 이외의 시기에는 산나물이 생산되지 않으므로 녹즙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산나물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고, 이를 음용수에 첨가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이 존재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71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3754호), 상기 종래 기술은 물에 녹지 않아 분말이 침전되거나, 입안에 분말이 남게 되어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채의 착즙시에 발생하는 갈변 현상 및 짧은 유통기한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색을 유지하면서도 시기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채에 비타민 C를 첨가하고, 착즙하여 산채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착즙액을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산채에 비타민 C를 첨가하고, 착즙하여 산채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착즙액을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한 여과 잔사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산나물의 착즙시에 비타민 C를 첨가함으로써, 갈변이 억제된 녹즙을 얻게 되고, 상기 비타민 C에 의해 고형분의 응집이 쉽게 일어나 고상과 액상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여과 잔사물인 고상 부분은 동결건조를 통하여, 또한 여과된 액상 부분은 감압농축에 의해 효율적인 농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된 액상은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수용성 산채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나물의 생산 시기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나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산나물 녹즙을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착즙 첨가제 및 착즙 1 시간 경과후 착즙액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로부터 대조군, 식염(0.25, 0.5, 1.0 중량%), 비타민 C(0.25, 0.5, 1.0 중량%) 및 중탄산수소나트륨(0.25, 0.5, 1.0 중량%)를 나타낸다.
도 2b는 착즙 첨가제 및 착즙 3 시간 경과후 착즙액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로부터 대조군, 식염(0.25, 0.5, 1.0 중량%), 비타민 C(0.25, 0.5, 1.0 중량%) 및 중탄산수소나트륨(0.25, 0.5, 1.0 중량%)를 나타낸다.
도 2c는 착즙 첨가제 및 착즙 6 시간 경과후 착즙액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로부터 대조군, 식염(0.25, 0.5, 1.0 중량%), 비타민 C(0.25, 0.5, 1.0 중량%) 및 중탄산수소나트륨(0.25, 0.5, 1.0 중량%)를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곰취 분말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좌측은 고상을 동결건조한 분말이고, 우측은 액상을 동결건조한 분말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참취 분말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좌측은 고상을 동결건조한 분말이고, 우측은 액상을 동결건조한 분말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좌측은 고상을 동결건조한 분말이고, 우측은 액상을 동결건조한 분말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산채에 비타민 C를 첨가하고, 착즙하여 산채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착즙액을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산채에 비타민 C를 첨가하고, 착즙하여 산채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착즙액을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및 상기 분리한 여과 잔사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태양 및 제2 태양에 의한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비타민 C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채의 중량 대비 0.1~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태양 및 제2 태양에 의한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채는 곰취, 참취, 곤드레, 참나물, 잔대, 영아자, 돌나물, 모시대, 두릅, 음나무 및 산마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식용이 가능하고 엽록소를 포함하는 산채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 태양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태양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 태양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 및 상기 제2 태양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분말, 과립, 액제, 발포성 정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정제 제형은 발포성 정제일 수 있고, 상기 분말 제형은 스틱형 분말 제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산채 착즙시 착즙액의 품질보존을 위한 첨가제 선발
하기 표 1과 같이, 산채의 일종인 곰취에 식염, 비타민 C, 중탄산수소나트륨 각각을 상기 곰취의 중량 대비 0.25 중량%, 0.5 중량% 및 1.0 중량% 첨가하여 제조한 착즙액의 착즙 직후, 착즙 3시간 경과후 및 6시간 경과후의 pH, 갈변도 및 색차를 조사하였다.
상기 식염과 비타민 C는 식품가공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으며, 중탄산수소나트륨은 짙은 녹색의 클르로피린을 생성하여 녹즙이 청녹색을 띄게 하는 것으로서,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생채의 착즙시에 식염 또는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착즙액에 비하여, 비타민 C를 첨가한 착즙액의 갈변 현상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사항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착즙액의 품질보존을 위한 첨가제 처리의 효과
처리(%) 착즙직후 착즙 3h 후 착즙 6h 후
pH 갈변도 색차
(ΔE)
pH 갈변도 색차
(ΔE)
pH 갈변도 색차
(ΔE)
대조 7.74 0.12 6.44 7.75 0.10 5.87 7.78 0.13 7.03
식염 0.25 7.85 0.13 9.26 7.81 0.10 8.21 7.80 0.14 9.73
0.5 7.66 0.13 9.54 7.62 0.10 8.33 7.60 0.13 8.74
1.0 7.29 0.13 5.54 7.25 0.09 7.10 7.23 0.12 6.51
비타민 C 0.25 7.10 0.08 4.61 7.15 0.06 5.26 7.25 0.08 7.01
0.5 6.74 0.08 5.68 6.83 0.07 7.18 6.81 0.06 7.16
1.0 6.22 0.08 5.12 6.32 0.07 6.88 6.29 0.07 8.46
중탄산수소나트륨 0.25 7.83 0.11 5.85 7.81 0.10 8.11 7.87 0.12 8.92
0.5 7.85 0.12 6.47 7.83 0.14 8.60 7.92 0.16 11.08
1.0 7.98 0.12 5.35 7.88 0.11 9.89 8.06 0.13 11.18
<실험예 2> 산채 착즙시 품질보전 처리제 첨가에 따른 착즙액의 여과 특성
식염, 비타민 C,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산채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첨가하여 제조한 착즙액, 상기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5.0cm의 여과포를 이용하여 여과한 여과 잔사물 및 여과액의 중량, pH, 고형분 함량, 갈변도 및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 (산채 착즙(곰취 각 1kg 착즙)시 품질보존 첨가제에 따른 응집 및 여과 특성)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비타민 C 처리에서 여과 잔사물(고상)의 고형분이 14.9%로 높아 가장 효율적인 여과를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사항은 비타민 C에 의해 착즙액의 고형분들의 응집이 발생하여 여과를 용이하게 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곰취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 비교
곰취 수용성 분말을 제조시에 비타민C 0.5 중량% 첨가에 의한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많이 이용되는 산채인 곰취 10kg에 비타민C 0.5 중량%(50g)를 첨가하면서 착즙하고, 가로 23.0cm, 세로 70.0cm의 여과포를 이용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과 액상인 여과액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에 의하여 액상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곰취의 착즙액, 여과액(액상), 여과 잔사물(고상) 및 액상 농축액의 중량, pH, 고형분 함량, 갈변도 및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곰취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 측정 결과
착즙액 여과액(액상)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L a b L a b
7394.8 6.75 6.7 0.04 36.3 -3.6 16.6 4747.1 6.77 5.3 0.05 35.2 -3.1 14.4
여과잔사물(고상) 액상 농축액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L a b L a b
2647.7 6.71 10.0 0.06 36.7 -3.7 17.3 1052 6.53 24.2 0.2 33.0 0.7 12.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비타민C 처리한 곰취 착즙액 및 여과액인 액상, 여과 잔사물인 고상 모두에서 갈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여과된 액상을 감압농축하면 갈변도가 상당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참취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 비교
곰취 대신에 참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참취의 착즙액, 여과액(액상), 여과 잔사물(고상) 및 액상 농축액의 중량, pH, 고형분 함량, 갈변도 및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참취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 측정 결과
착즙액 여과액(액상)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L a b L a b
7061 6.97 7.4 0.08 34.1 -6.1 13.4 3548 6.94 5.8 0.07 31.9 -2.5 11.4
여과잔사물(고상) 액상 농축액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중량
(g)
pH 고형분(%) 갈변도 색도
L a b L a b
3513 7.8 9.6 0.08 35.3 -5.7 14.2 1237 6.82 16.6 0.2 34.2 2.0 13.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비타민C 처리한 참취 착즙액 및 여과액인 액상, 여과 잔사물인 고상 모두에서 갈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여과된 액상을 감압농축하면 갈변도가 상당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곤드레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 비교
곰취 대신에 곤드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곤드레의 착즙액, 여과액(액상), 여과 잔사물(고상) 및 액상 농축액의 중량, pH, 고형분 함량, 갈변도 및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곤드레 착즙액의 응집 및 여과의 용이성 측정 결과)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비타민C 처리한 곤드레 착즙액 및 여과액인 액상, 여과 잔사물인 고상 모두에서 갈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여과된 액상을 감압농축하면 갈변도가 상당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비타민 C를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곰취 잎 10Kg을 넣고, 비타민 C 25g을 첨가하면서 착즙을 실시하여 곰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60mmHg, 55℃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타민 C를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곰취 분말은 도 3a(우측 사진)와 같다.
<실시예 3> 비타민 C를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식염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식염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식염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곰취잎 10kg을 넣고, 착즙을 실시하여 곰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60mmHg, 55℃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비타민 C를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곰취 잎 10kg을 넣고, 비타민 C 25g을 첨가하면서 착즙을 실시하여 곰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엽록소를 포함하는 고형분인 고상의 여과 잔사물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비타민 C를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곰취 분말은 도 3a(좌측 사진)와 같다.
<실시예 6> 비타민 C를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식염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식염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식염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곰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곰취 잎 10kg을 넣고, 착즙을 실시하여 곰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엽록소를 포함하는 고형분인 고상의 여과 잔사물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곰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비타민 C를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참취 잎 10kg을 넣고, 비타민 C 25g을 첨가하면서 착즙을 실시하여 곰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60mmHg, 55℃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비타민 C를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참취 분말은 도 3b(우측 사진)와 같다.
<실시예 9> 비타민 C를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식염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C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식염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식염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8>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9>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0>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참취 잎 10kg을 넣고, 착즙을 실시하여 참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60mmHg, 55℃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비타민 C를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참취 잎 10kg을 넣고, 비타민 C 25g을 첨가하면서 착즙을 실시하여 참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엽록소를 포함하는 고형분인 고상의 여과 잔사물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비타민 C를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참취 분말은 도 3b(좌측 사진)와 같다.
<실시예 12> 비타민 C를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식염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식염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식염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5>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6>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7>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8>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참취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참취 잎 10kg을 넣고, 착즙을 실시하여 참취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엽록소를 포함하는 고형분인 고상의 여과 잔사물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참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비타민 C를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곤드레 잎 10kg을 넣고, 비타민 C 25g을 첨가하면서 착즙을 실시하여 곤드레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60mmHg, 55℃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비타민 C를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곤드레 분말은 도 3c(우측 사진)와 같다.
<실시예 15> 비타민 C를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10k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9> 식염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0> 식염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1> 식염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2>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3>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4>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5>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곤드레 잎 10kg을 넣고, 착즙을 실시하여 곤드레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60mmHg, 55℃의 조건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비타민 C를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착즙기에 세척한 곤드레 잎 10kg을 넣고, 비타민 C 25g을 첨가하면서 착즙을 실시하여 곤드레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엽록소를 포함하는 고형분인 고상의 여과 잔사물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비타민 C를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곤드레 분말은 도 3c(좌측 사진)와 같다.
<실시예 18> 비타민 C를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6> 식염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C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7> 식염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8> 식염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식염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9>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25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0>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5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1>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비타민 C 대신에 중탄산수소나트륨 10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2>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곤드레 수용성 분말의 제조
착즙기에 세척한 곤드레 잎 10kg을 넣고, 착즙을 실시하여 곤드레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가로 17.5cm, 세로 35.0cm의 여과포에 넣고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엽록소를 포함하는 고형분인 고상의 여과 잔사물을 내부온도 -40℃, 선반온도 200℃, 3mmHg의 조건으로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곰취 분말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수용성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수용성 곰취 분말 및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수용성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수용성 곰취 분말 및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수용성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3>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8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4>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9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5>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10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6>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4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7>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5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8>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6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9>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7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14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수용성 참취 분말 및 상기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수용성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한 수용성 참취 분말 및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수용성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9에서 제조한 수용성 참취 분말 및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수용성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0>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2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1>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16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3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2>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17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4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3>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18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5에서 제조한 참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4>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19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6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5>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20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7에서 제조한 곰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6>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21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28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수용성 곤드레 분말 및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수용성 곤드레 분말 및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수용성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비타민 C를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수용성 곤드레 분말 및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수용성 곤그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7>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29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 및 상기 비교예 36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8>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0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 및 상기 비교예 37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9> 식염을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1에서 제조한 참취 분말 및 상기 비교예 38에서 제조한 곤드레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0>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2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 및 상기 비교예 39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1>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3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 및 상기 비교예 40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2> 중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4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 및 상기 비교예 41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3>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35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 및 상기 비교예 42에서 제조한 곤드레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1> 발포성 정제 제형 식품의 제조
실시예 20에서 제조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2000mg, 구연산 1960mg, 중탄산수소나트륨 1500mg, 옥수수전분 100mg, 솔비톨 700mg, 폴리덱스트로스 2150mg, 미결정 셀룰로오스 50m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60mg을 사용하여 통상의 직타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발포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즉, 주성분과 부형제를 혼합한 다음, 타정기를 이용하여 직접 타정하여 발포성 정제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2> 발포성 정제 제형 식품의 제조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대신에,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적용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발포성 정제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3> 발포성 정제 제형 식품의 제조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대신에, 실시예 26에서 제조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적용예 1과 같이 실시하여 발포성 정제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4> 스틱형 분말 제형 식품의 제조
실시예 20에서 제조한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2g, 구연산 2g, 솔비톨 1g 및 폴리덱스트로스 2g을 사용하여 통상의 스틱형 분말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였다.
즉, 주성분과 부형제를 혼합한 다음, 스틱형 포장용기에 주입하여 스틱형 분말 제형 식품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5> 스틱형 분말 제형 식품의 제조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대신에,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수용성의 참취 혼합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적용예 4와 같이 실시하여 스틱형 분말 제형 식품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3> 스틱형 분말 제형 식품의 제조
수용성의 곰취 혼합 분말 대신에, 실시예 26에서 제조한 수용성의 곤드레 혼합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적용예 4와 같이 실시하여 스틱형 분말 제형 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수용성 산채 분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나물의 생산 시기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나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산나물 녹즙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산업 등과 같은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산채에 비타민 C를 첨가하고, 착즙하여 산채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착즙액을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2. 산채에 비타민 C를 첨가하고, 착즙하여 산채 착즙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착즙액을 여과하여 고상인 여과 잔사물 및 액상인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한 여과 잔사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의 첨가량은 상기 산채의 중량 대비 0.1~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채는 곰취, 참취, 곤드레, 참나물, 잔대, 영아자, 돌나물, 모시대, 두릅, 음나무 및 산마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5.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6.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7.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 및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산채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분말, 과립, 액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발포성 정제 또는 스틱형 분말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30146001A 2013-11-28 2013-11-28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KR20150061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01A KR20150061818A (ko) 2013-11-28 2013-11-28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01A KR20150061818A (ko) 2013-11-28 2013-11-28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18A true KR20150061818A (ko) 2015-06-05

Family

ID=5349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001A KR20150061818A (ko) 2013-11-28 2013-11-28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8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58B1 (ko) 2016-04-19 2017-04-04 푸른솔푸드 주식회사 곤드레 분말을 이용한 통곡물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5940A (ko) * 2016-07-07 2018-01-17 나광국 고농축 양배추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19593B2 (en) * 2017-04-28 2022-01-11 Symrise Ag Yarrow fresh-plant pressed juice concentrate, production, and u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58B1 (ko) 2016-04-19 2017-04-04 푸른솔푸드 주식회사 곤드레 분말을 이용한 통곡물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5940A (ko) * 2016-07-07 2018-01-17 나광국 고농축 양배추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19593B2 (en) * 2017-04-28 2022-01-11 Symrise Ag Yarrow fresh-plant pressed juice concentrate, production, and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5759B2 (ja) 緑色野菜青汁用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2227B1 (ko)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CN105211858A (zh) 一种具有生物活性的麦绿素全粉及其生产技术
KR101840010B1 (ko) 천연 발효분말 제조방법
KR20150061818A (ko) 수용성 산채 분말의 제조방법
KR20150053433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
KR100947039B1 (ko)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8658A (ko)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40072595A (ko) 모시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8723B1 (ko) 송이버섯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0971A (ko) 소고기를 포함한 천연 과립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4875A (ko) 매실초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636877B1 (ko) 양파소금 제조방법
KR20160020746A (ko) 생홍고추를 이용한 토마토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29067B1 (ko) 무가당 유자과피차의 제조방법
CN114451531A (zh) 一种鸡蛋干及其制备方法
CN107296143A (zh) 一种百香果果糕及其加工方法
KR101240664B1 (ko) 깻잎 향신료와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3010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진 와송 음료, 과립 및 그 와송 가공물 제조방법
KR101001261B1 (ko) 청국장을 이용한 분말간장, 이를 이용한 정제형 간장, 페이스트형 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06317A (ja) 味覚修飾剤
KR101825606B1 (ko) 기능성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668806B1 (ko) 한방 고구마 절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고구마 환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93197A (zh) 大蒜保健饮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