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049A -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049A
KR20150054049A KR1020130135642A KR20130135642A KR20150054049A KR 20150054049 A KR20150054049 A KR 20150054049A KR 1020130135642 A KR1020130135642 A KR 1020130135642A KR 20130135642 A KR20130135642 A KR 20130135642A KR 20150054049 A KR20150054049 A KR 20150054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coupled
steel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227B1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튼
Priority to KR102013013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2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켜 수평 수직으로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프레임(11) 사이에 철판(20)이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1)과 철판(20)을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결합 구성하되, 상기 철판(20)을 상기 프레임(11)의 일측과 다른 프레임(11)의 일측에 맞닿게 위치시켜 상기 연결부재(30)로 결합 고정하며, 상기 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 구성하여 완성된 주택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상기 프레임(11)의 구성으로 바닥과 측면 및 천장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구조체 및 장선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어 자재비를 절감하면서도 조립시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11)으로 주택의 뼈대인 틀(10)을 형성하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즉시 결합이 가능하여 원하는 형태의 주택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어 편리성이 부여되고,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철판(20)을 이용하여 연결부재(30)로 결합하며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Block-shaped housing that forms the frame of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using a combination of construction methods}
본 발명은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직 수평으로 결합하여 틀을 구성하고, 상기 틀의 사이에 견고하면서도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철판을 구성하여 연결부재로 결합하고, 하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 구성하여 각각의 구성들로 손쉽게 결합하여 주택을 구성할 수 있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이동용 주택의 경우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하여, 대형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필요한 현장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용 주택은 골격, 외벽, 천장,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용접 작업을 통해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거나,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작할 경우, 소형 이동수단으로 이동 탑재되어, 필요한 현장에서 용접 작업을 통해 일체형으로 바로 조립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용 주택은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면 현장으로 이동되는데 많은 비용과 이동이 불편하며 이동 중 이동용 주택의 파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현장에서 용접에 의한 조립식은 이동에 따라 문제점은 해소되나 현장에서 제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한번 조립된 이동용 주택은 유지 및 보수가 힘들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020213호 (특) 이동용 조립주택(60)에 있어서, 상기 조립주택의 상측과 하측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고, X, Y, Z방향으로 연결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콘과; 상기 콘과 콘 사이의 연결돌기에 연결되어 조립주택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조립주택의 바닥면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 사이에 바닥면 보강대가 상호 이격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 보강대의 상부면에 합판 또는 철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합판 또는 철판의 상부면에 바닥면 마감재가 고정 설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조립주택의 천장면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 사이에 천장면 보강대가 상호 이격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천장면 보강대의 하부면에 천장면 마감재가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천장면 보강대의 상부면에는 천장면 철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천장부와; 상기 조립주택의 벽면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벽체용 판넬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조립주택의 내부 공간부를 이루고, 상기 다수개의 벽체용 판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창문과, 출입문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벽체용 판넬의 외부면이 철판으로 이루어져 마감되는 벽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출원번호 10-20100071157호 (특)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과 프레임 및 외벽, 천장, 바닥면을 개별로 제작하여, 콘과 프레임을 체결하여 골격을 세우고, 바닥면, 천장, 외벽을 차례로 볼트로 조립하고, 주택 용도에 맞게 내부를 인테리어 하여 자재비 절감, 조립시간 단축, 이동 물류비를 절감하고, 각 외벽을 규격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설치 후 보수가 용이하여 부대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공개번호 1020100022386호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하층 건물에 상층 건물을 결합시켜 2층 이상의 다층으로 조립되며 필요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조립주택에 관한 것이 설명되어 있다. 구성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며 하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1본체와, 제 1본체의 상부와 끼움 결합되어 조립되며 상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2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고 상층건물인 제 2본체의 단면적이 하층건물인 제 1본체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본체가 제 1본체의 바깥 측으로 포개지도록 끼움 결합되어 그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 2본체에도 크레인의 후크가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를 설치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공개번호 2019920012248호는 이동 가능한 조립주택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주택의 적어도 4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삽입공에 하부 지지대와 상부 나사부로 형성된 신축성 지지대가 신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주택저면 중앙부에 주택을 트레일러에 실어 틀 때 윤활하게 돌릴 수 있는 베어링부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콘과 프레임을 체결하고 골격을 세우고, 바닥면, 천장, 외벽을 차례로 볼트로 조립하여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한 다수의 구성들을 이용하여 주택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운반을 함에 있어 비교적 규모가 크기 때문에 좁은 공간으로의 운반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양측과 상, 하부를 덮는 벽체부와 천장부가 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게 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하나의 주택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성요소들 중 하나라도 누락이 되거나 빠지게 되면 하나의 주택이 형성되지 못하는 기술들이다. 즉, 주택을 형성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구분화 표준화 하여 그 제작 공정에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단위 조립식 주택을 살펴보면, 컨테이너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이 있는 데 이러한 컨테이너 주택은 본격적인 거주의 형태가 아니 임시적인 거처로 사용되고 있고, 그 컨테이너 단위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게 구성되어 있는 등 단순한 일반적 텐트의 변형된 구조로서 인식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처럼 하나의 주택을 지어 운반하는 것이 아닌 주택을 형성할 시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철판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과 철판을 결합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틀의 하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합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이 구조체 및 장선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구조체 및 장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현장에서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며 운반수단에 상관없이 손쉽게 운반이 가능함으로써 물류비용 및 운반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켜 수평 수직으로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사이에 일측 끝부가 꺾임 되는 절곡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철판(20)을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1)과 철판(20)을 연결부재(30)로 결합하되, 상기 절곡부(21)를 상기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에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는 일측면을 다른 하나의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켜 상기 연결부재(30)로 결합 고정하며, 상기 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 구성되는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고,
프레임을 이용한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건축방법으로는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키되, 수평 수직으로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는 단계와, 일측 끝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철판(20)과 양측 상, 하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철판(20`)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철판(20)을 상기 틀(10)의 상, 하부에 상기 프레임(11)들의 일측과 타측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을 상기 틀(10)의 중앙부에 상기 프레임(11)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닿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판(20, 20`)을 다수의 상기 프레임(11)과 연결부재(30)로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틀(10)의 하부에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40)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프레임을 수평 수직으로 결합하여 바닥과 측면 및 천장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구조체 및 장선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자재비를 절감하면서도 동일한 형태를 갖는 프레임을 이용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으로 주택의 뼈대인 틀을 형성하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즉시 결합이 가능하여 원하는 형태의 주택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어 편리성이 부여되고,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철판을 이용하여 연결부재로 결합하며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를 결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틀의 상부, 중앙부, 하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틀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틀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틀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통상적으로 종래의 이동용 주택의 경우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하여, 대형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필요한 현장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용 주택은 골격, 외벽, 천장,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용접 작업을 통해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거나,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작할 경우, 소형 이동수단으로 이동 탑재되어, 필요한 현장에서 용접 작업을 통해 일체형으로 바로 조립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용 주택은 공장에서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면 현장으로 이동되는데 많은 비용과 이동이 불편하며 이동 중 이동용 주택의 파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현장에서 용접에 의한 조립식은 이동에 따라 문제점은 해소되나 현장에서 제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한번 조립된 이동용 주택은 유지 및 보수가 힘들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프레임(11)을 이용하여 수직 수평으로 결합하여 틀(10)을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사이에 견고하면서도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철판(20)을 구성하여 연결부재(30)로 결합하고, 하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 구성하여 각각의 구성들로 손쉽게 결합하여 주택을 구성할 수 있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을 제공한다.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켜 수평 수직으로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사이에 일측 끝부가 꺾임 되는 절곡부(21)가 형성되는 다수의 철판(20)을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1)과 철판(20)을 연결부재(30)로 결합하되, 상기 철판(20)의 절곡부(21)를 상기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에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는 일측을 다른 하나의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켜 상기 연결부재(30)로 결합 고정하며, 상기 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틀(10)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직사각형태의 프레임(11), 철판(20, 20`),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형태로 블록형 주택의 틀(1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8, 9를 참고 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시에는 상부와 하부에만 철판(20)을 구성할 수도 있고, 두 개의 공간을 만들 시에는 상부와 하부 및 중앙부에 철판(20, 20`)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복층이 필요한 경우 상부와 하부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되, 중앙부에 프레임(11)들을 구성하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면,
상기 틀(1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프레임(11)이 ‘’ 자 형태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수평 수직으로 결합 연결되어 구조체 및 장선 역할을 하면서도 상측면과 바닥 및 양측의 벽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틀(10)을 형성함에 있어 결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11)을 수평 수직으로 연결하여 결합 구성하게 되면 주택의 뼈대가 되는 틀(10)을 빠른 시간 내에 손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에 결합 주택처럼 별도의 보강부재를 구성하지 않아도 내구성이 자체적으로 높게 구성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결합 하여 완성되는 주택을 보면 뼈대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수직으로 수평으로 형성하되, 각각의 프레임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시켜 틀을 형성하고, 그 틀에 보강재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틀(10)과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었지만, 작업이 까다로워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소모되는 경제적 효율성과 취급성에 있어 비효율적인 구성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틀(10)은 프레임(11)으로 상부와 하부 및 외측을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틀(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보강재를 구성할 필요가 전혀 없어 작업시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물류 취급에 있어서도 상당히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프레임(11)을 용접 및 통상의 결합 방법을 적용하여 형성되는 상기 틀(10)을 통해 구조체, 장선, 보강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틀(10)의 상측과 하측과 외측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손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을 수평 수직으로 결합 구성하여 완성된 틀(10)의 사이에는 다수의 철판(20)을 구성하여 내구성을 확보 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철판(20)은 일측 끝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21)가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되고 상기 철판(20)에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는 일측이 다른 하나의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30)로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철판(20)은 틀(10)의 하부와 중간 및 상부에 각각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변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즉, 상기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과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은 철판(20`)을 각각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 5,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0)의 상부(상층)와 하부(하층)에는 일측 끝부에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을 구성하고, 도 4 또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중층)에는 상기 절곡부(21)가 철판(20`)의 양측 끝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측에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 또는 양측에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철판(20, 20`)은 필요에 따라 가변 할 수도 있으며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10)의 하부(하층)와 상부(상층)에는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을 구성하되 상기 절곡부(21)의 일측과 하나의 프레임(11) 일측과 연결부재(30)로 결합되고, 상기 철판(20)의 타측과 다른 하나의 프레임(11) 일측과 연결부재(30)로 결합되며, 상기 틀(10)의 중앙부(중층)에는 양측 상, 하부에 상기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을 수직으로 위치시켜 상기 절곡부(21)와 하나의 프레임(11) 일측과 맞닿고, 다른 하나의 절곡부(21)가 다른 하나의 프레임(11) 일측과 맞닿게 위치되며, 상기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은 면은 또 다른 하나의 프레임(11)과 맞닿게 위치되어 각각 연결부재(30)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철판(20, 20`)이 틀(10)의 상, 하부와 중앙부에 위치시키되 상기 철판(20, 20`)이 맞닿는 각각의 프레임(11)들과 연결부재(30)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틀(1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철판(20)은 본 발명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주택을 형성함에 있어 내장재 및 마감재, 스티로폼, 보온재, 합판 등과 선택적으로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결합 할 수도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주택의 기초부분가 되는 부분인 하부는 즉, 본 발명의 틀(10) 하부에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40)가 결합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경우 상기 틀(10)이 지면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틀(10)을 지탱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에 결합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틀(10)의 하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틀(10)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틀(10), 철판(20), 연결부재(30), 베이스플레이트(40)로 구성되는 결합 주택의 결합 구조를 통하여 종래에 많은 구성들로 결합 구성되는 주택과는 차별화된 결합 구조를 가짐과 더불어 물류 취급을 함에 있어서도 비교적 작은 구성들을 분리 결합이 가능토록 되어 있어 현장으로 운반 하여 현장에서 결합이 가능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가 다수의 프레임(10)의 결합 구성으로 인해 필요 없게 되며 신속하게 블록형 주택의 뼈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형 주택의 뼈대인 틀(10)을 형성한 후에는 본 발명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통상의 블록형 주택을 형성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들을 구성하여 블록형 주택을 완성하고, 상기 블록형 주택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거실, 안방, 부엌, 화장실, 서재 등과 같은 각각의 역할이 구분되게 구성되며, 전기배선 및 위생배관 등의 시설공사는 상기 블록형 주택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통상의 설비들과 연결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틀(10)의 하부에는 프레임(11)들의 빈 공간으로 매우기 위한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내측에는 상기 철판(20)과 결합되는 C형강(60)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50)의 경우 주택을 완성할 시에 하부, 상부, 외측에 단열재가 포함될 수가 있는데 이때 상기 단열재를 구성 시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5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50)는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익 보강부재(50)가 하부에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C형강(60)의 경우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중층, 하층에 각각 구성되는 상기 C형강(60)의 구성으로 인하여 철판(20, 20`)을 결합 시에 각각의 프레임(11) 및 C형강(60)과 결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이용한 결합 주택의 결합구조를 이용하는 건축방법을 도 1 내지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키되, 수평 수직으로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는 단계와, 일측 끝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과 양측 상, 하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을 다수개 구비하여 상기 철판(20)을 상기 틀(10)의 상, 하부에 상기 프레임(11)들의 일측과 타측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을 상기 틀(10)의 중앙부에 상기 프레임(11)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닿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판(20, 20`)을 다수의 상기 프레임(11)과 연결부재(30)로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틀(10)의 하부에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40)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틀(10)의 하부에는 프레임(11)들의 빈 공간으로 매우기 위한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내측에는 상기 철판(20)과 결합되는 C형강(60)을 사용한 것이다.
최초 주택을 구성하려는 크기 및 형태에 맞춰 재료를 현장으로 이동수단을 통해 운반을 한 다음에 상기 프레임(11)을 이용하여 수직 수평으로 결합하여 뼈대인 틀(10)을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틀(10)의 사이에 철판(20)을 구성하되, 일측을 일측으로 꺾임 되게 형성하여 상기 틀(10)의 하부(하층)와 상부(상층)에 위치시켜 상기 철판(20)의 일측과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의 타측과 프레임(11)의 타측과 맞닿게 위치시키며, 상기 절곡부(21)가 양측 상, 하부로 형성된 철판(20`)을 중앙부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철판(20)은 절곡부(21)가 형성된 부분이 하나의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은 다른 하나의 프레임(11)과 맞닿게 위치시켜 각각 연결부재(30)로 결합하며, 상기 틀(10)의 중앙부에 다수개로 결합되는 철판(20`)은 양 끝 상, 하부에 구성되는 절곡부(21)가 하나의 프레임(11)의 일측과 다른 하나의 프레임(11)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키며 상기 철판(20`)에서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이 또 다른 하나의 프레임(11)과 맞닿게 위치시켜 각각의 상기 절곡부(21)와 철판(20`)의 일측면을 연결부재(30)로 결합 구성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형강(60)이 상부, 중앙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철판(20, 20`)을 프레임(11)들과 결합 하되 상기 C형강(60)과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틀(10)의 사이사이에 철판(20, 20`)을 이용하여 연결부재(30)를 결합한 후 지면으로부터 더욱 견고하게 지탱될 수 있게 상기 틀(10)의 하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 시에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한 연결부재(30)와 같은 통상의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하부에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단열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틀(10)의 하부에 보강부재(50)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와 그 프레임을 이용한 블록형 주택 틀의 건축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프레임(11)을 수평 수직으로 결합하여 바닥과 측면 및 천장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구조체 및 장선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자재비를 절감하면서도 조립시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11)으로 주택의 뼈대인 틀(10)을 형성하기 때문에 물류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즉시 결합이 가능하여 원하는 형태의 주택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어 편리성이 부여되고, 상기 프레임(11)의 사이에 철판(20)을 이용하여 연결부재(30)로 결합하며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틀 11 : 프레임
20, 20` : 철판 21 : 절곡부
30 : 연결부재 40 : 베이스플레이트
50 : 보강부재 60 : C형강

Claims (13)

  1.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태의 프레임(11)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배열 결합 하여 블록형 주택의 상, 하부 및 측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들의 사이에 연결을 위한 철판(20)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틀(10)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틀(10)의 하부에는 프레임(11)들의 빈 공간으로 매우기 위한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내측에는 상기 철판(20)과 결합되는 C형강(60)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5.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켜 수평 수직으로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사이에 일측 끝부가 꺾임 되는 절곡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철판(20)을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1)과 철판(20)을 연결부재(30)로 결합하되,
    상기 절곡부(21)를 상기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에 절곡부(21)가 형성되지 않는 일측면을 다른 하나의 프레임(11)의 일측과 맞닿게 위치시켜 상기 연결부재(30)로 결합 고정하며,
    상기 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20)은 틀(10)의 상, 하부와 중앙부에 다수개가 구성되되,
    상기 틀(10)의 상, 하부에는 절곡부(21)가 형성된 철판(20)을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절곡부(21)가 상, 하부로 구성되는 철판(2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틀(10)은 상기 프레임(11)이 ‘’ 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수직으로 결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는 상기 틀(10)의 하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틀(10)의 하부에는 프레임(11)들의 빈 공간으로 매우기 위한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내측에는 상기 철판(20)과 결합되는 C형강(60)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10. 프레임을 이용한 블록형 주택의 틀의 건축방법에 있어서,
    내부로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태의 프레임(11)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수평 수직으로 연결 하여 결합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11)들의 사이에 철판(20)을 연결부재로(30)로 결합하여 틀(1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틀(10)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플레이트(40)를 결합하여 틀(1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12. 내부로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태의 다수의 프레임(1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키되, 수평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 하여 틀(10)을 구성하는 단계;
    일측 끝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철판(20)과 양측 상, 하부가 꺾임 되게 절곡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철판(20`)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철판(20)을 상기 틀(10)의 상, 하부에 상기 프레임(11)들의 일측과 타측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철판(20`)을 상기 틀(10)의 중앙부에 상기 프레임(11)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닿게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철판(20, 20`)을 상기 프레임(11)들과 연결부재(30)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틀(10)의 하부에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40)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 구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13.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틀(10)의 하부에는 프레임(11)들의 빈 공간으로 매우기 위한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틀(10)의 내부에는 상기 틀(10)의 내구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C형강(60)을 상기 철판(20)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KR1020130135642A 2013-11-08 2013-11-08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KR10155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42A KR101554227B1 (ko) 2013-11-08 2013-11-08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42A KR101554227B1 (ko) 2013-11-08 2013-11-08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49A true KR20150054049A (ko) 2015-05-20
KR101554227B1 KR101554227B1 (ko) 2015-09-21

Family

ID=5339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642A KR101554227B1 (ko) 2013-11-08 2013-11-08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3221A (zh) * 2021-11-05 2022-02-11 中建海龙科技有限公司 一种钢结构房屋箱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338A (ja) * 2004-09-22 2006-05-11 John C A Barr リブフレーム構造体の建設方法及びそのリブフレーム構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3221A (zh) * 2021-11-05 2022-02-11 中建海龙科技有限公司 一种钢结构房屋箱及其生产工艺
CN114033221B (zh) * 2021-11-05 2023-09-12 中建海龙科技有限公司 一种钢结构房屋箱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227B1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0737A1 (en) Prefabricated house
CN101654930B (zh) 一种组合式房屋的梁架结构及其安装方法
KR100805732B1 (ko)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건축물 구조
JP2011202439A (ja) 建物ユニット
KR101236592B1 (ko) 유닛모듈라 주택의 철골 구조물 접합 구조
JP2005240358A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554227B1 (ko)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JP4504046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構築方法
KR100995453B1 (ko) 블록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JP2009209550A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0851878B1 (ko) 모듈러 주택용 패널 박스 모듈
CN201276758Y (zh) 一种组合式房屋的梁架结构
JP4676610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407077Y1 (ko) 들보들 간의 접합구조
JP2007170085A (ja) 柱省略ユニット車庫
JP4727274B2 (ja) 建物の移設可能部屋部分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建物
JP3579596B2 (ja) 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KR20130005121A (ko) 벽체 패널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25942B1 (ko)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KR100660211B1 (ko) 수직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JP2003074122A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拡張ユニット
JP2009228232A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03166290A (ja) 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