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078A -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 Google Patents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078A
KR20150046078A KR1020157005469A KR20157005469A KR20150046078A KR 20150046078 A KR20150046078 A KR 20150046078A KR 1020157005469 A KR1020157005469 A KR 1020157005469A KR 20157005469 A KR20157005469 A KR 20157005469A KR 20150046078 A KR20150046078 A KR 2015004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axial
pocket
rim
radial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푸겔
안드레아스 키르쉬너
마틴 게그너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4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4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 F16C33/542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 F16C33/548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with more than three parts, e.g. two end ring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stays or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4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 F16C33/541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 F16C33/4682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of the end walls, e.g. interaction with the end faces of th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4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 F16C33/542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 F16C33/543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from a single part
    • F16C33/5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made from wire, strips, or sheet metal made from sheet metal from a single part with a M- or W-shaped cross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 F16C19/30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consisting of rollers held in a c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1Toothed gear systems, e.g. support of pinion shafts

Abstract

본 발명은 W 형상의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하며 실제로 박판의 환형 디스크(2)로 구성된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1)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프로파일 섹션의 개별 프로파일 레그는 환형 디스크(2)의 내측 주연부에 성형된 내측 반경 방향 림(3)과, 환형 디스크(2)의 외측 주연부에 성형된 외측 반경 방향 림(4)과,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 6)을 통해 반경 방향 림(3, 4)과 연결되고 림(3, 4)과 동일한 반경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U 형상의 중간 크림프(7)를 통해 형성된다. 중간의 크림프(7) 및 인접한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 6)으로부터, 일정하게 서로에 대해 이격된 복수의 장방형 케이지 포켓(8)이 절결되며, 케이지 포켓(8)들 사이에는 림(3, 4)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포켓 웨브(9)가 형성되어, 상기 포켓 웨브에 의해 원통형 롤링 바디(10)가 케이지 포켓(8) 내에서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보유되며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방향 케이지(1)는, 외측 반경 방향 림(4)이 U 형상의 중간 크림프(7)로부터 멀리 향하는 기울기(α)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케이지 포켓(8)이 적어도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 내측까지 연장되며, 포켓 중앙쪽으로의 케이지 포켓의 외측 전면(13)의 볼록한 구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에는 롤링 바디(10)의 롤링 축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10)의 외측 전면(15)을 위한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14)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케이지 포켓(8)이 내측 및 외측 반경 방향 림(3, 4)의 내측면(11, 12)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AXIAL CAGE FOR CYLINDRICAL ROLLING BODIE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를 형성하는 특징에 따른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축방향 니들 베어링용 축방향 케이지에 특히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 1 174 113 B1에는 실제로 W 형상의 프로파일 단면을 갖는 박판의 환형 디스크로 형성된 축방향 니들 베어링을 위한 일반적인 축방향 케이지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섹션의 개별 프로파일 레그는, 환형 디스크의 내측 주연부에 성형된 내측 반경 방향 림(rim)과, 환형 디스크의 외측 주연부에 성형된 외측 반경 방향 림과,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을 통해 반경 방향 림과 연결되고 림과 동일한 반경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U 형상 중간 크림프(crimp)로 형성된다. 중간 크림프 및 인접한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으로부터, 서로에 대해 일정하게 이격된 복수의 장방형 케이지 포켓이 절결되고, 케이지 포켓들 사이에는 림을 서로 연결하는 동일한 수의 포켓 웨브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베어링 니들로서 구성된 롤링 바디가 케이지 포켓 내에 보유되고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유형의 축방향 케이지에서 베어링 작동 중에, 베어링니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이른바 니들 보링(boring)이 발생하는데, 이때, 베어링 니들의 외측 단부면이 그의 케이지 포켓의 외측 에지 반경과 마찰 접촉되는 것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 접촉은, 축방향 케이지의 전단 강도 및 형태 안정성의 증가의 이유로 상기 위치에 제공된 에지 반경이 점차로 마멸 또는 마모되어, 결국 축방향 케이지의 파단 또는 조기 결함을 야기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니들 보링에 의해 발생하는 축방향 케이지의 이러한 조기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DE 101 43 089 A1에는, 축방향 케이지가 인접한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에 대한 외측 및/또는 내측 반경 방향 림의 전환 영역에 원주 방향 볼록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안되는데, 상기 볼록부는 반경 방향 림의 자유 프로파일 단부 쪽으로 원주 방향 수축부로 전환된다. 이러한 원주 방향 수축부는 축방향으로 케이지 포켓 내측으로 돌출하고 두 개의 접촉점을 통해 베어링 니들의 전면에 지지 접촉되어, 베어링 니들이 원심력의 영향 하에 케이지 포켓의 단부 반경에서 더 이상 접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매우 바람직한 해결책의 경우, 이는 제조 기술적으로 단지 추가의 비용 또는 완전히 변경된 공정 기술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절삭으로 제조된 축방향 케이지의 제조를 위한 통상의 공정 기술은 공지된 바와 같이, 축방향 케이지를 무한 강판 시트로부터 여러 작업 단계에서 단계식 펀칭-드로잉 공구에서 제조되는데, 상기 공구에서 먼저 두 개의 측면 고정 웨브를 통해 강판 시트와 연결된 환형 디스크가 펀칭되고, 이어서 U 형상의 크림프 및 외측 반경 방향 림이 환형 디스크 내로 성형되고, 그 다음 축방향 케이지의 내경이 펀칭되고 내측 반경 방향 림이 환형 디스크에 성형되고, 이어서 케이지 포켓이 펀칭되고 마지막으로 축방향 케이지의 외경이 펀칭된다. 개별 작업 단계의 종료 시에, 완성된 축방향 케이지는 다만 측면 고정 웨브를 통해서 강판 시트와 연결되고, 축방향 케이지는 고정 웨브로부터 최종 단계에서 분리된다. 그러나 상술된 해결책에서와 같이 림이 원주 방향 볼록부로 전환되는 원주 방향 수축부를 포함할 경우, 측면 고정 웨브로부터 완성된 축방향 케이지를 림에서 직접 분리하는 것은 고정 웨브의 하부에 배열된 볼록부로 인해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볼록부의 손상을 염두에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 웨브로부터의 축방향 케이지의 분리는 강판 시트의 내측 주연부에서 수행되어, 고정 웨브가 우선 분리된 축방향 케이지에 남아있고, 이어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비용 소모적으로 분리되어야만 한다. 상술된 축방향 케이지를 제조하는 또 다른 가능성은 축방향 케이지를 강판 시트 블랭크로부터 제조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제조를 위해서는, 강판 시트 블랭크를 하나의 작업 단계로부터 다음 단계로 계속 이송하고, 이로써 이미 제조 공정을 위한 비용 소모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하는 복잡한 운송 장치가 필요하다.
축방향 케이지 내의 상술된 바람직하지 못한 니들 보링을 방지하는 다른 가능성은 EP 2 103 825 A1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이 연결된 중간 U 형상 크림프를 마찬가지로 포함하는 축방향 케이지가 제안되나, 상기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에 연결된 반경 방향 프로파일 섹션은 축방향 케이지의 외측 및 내측 림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베어링 니들의 롤링 축 높이에서 추가의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으로 전환되며, 이 추가의 프로파일 섹션에는 U 형상의 중간 크림프에 대해 반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림이 성형된다. 케이지 포켓은 축방향 케이지에서 축방향 외측 프로파일 섹션으로부터 U 형상의 중간 크림프를 통해 축방향 내측 프로파일 섹션까지 연장되며, 케이지 포켓 내에서 외측 및 내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에는 각각 림 측에서 두 개의 웨지 형태의 강판 노즈가 성형되는데, 상기 노즈는 베어링 니들 상으로 원심력의 작용 시에 롤링 축의 높이에서 베어링 니들의 전면과 점 형태의 지지 접촉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 또한, 웨지 형태의 강판 노즈가 추가로 성형된 축방향 케이지의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에 배열되고 이러한 추가의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은 더 증가된 축방향 케이지의 제조 비용 이외에도 축방향 케이지의 증가된 축방향 구성 공간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공간이 여러 경우에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점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축방향 케이지의 특별한 프로파일화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을 지나 포켓 웨브 내로 연장되는 중간 U 형상 크림프도 마찬가지로 제조 기술적으로 문제를 유발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유형의 축방향 케이지는 강판 시트로부터의 분리 후에 그 최종 가공을 위한 이송을 위해 통상 수집 용기에 수집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으로부터 멀리 자유롭게 돌출되고 아직 다듬질 되지 않은 포켓 웨브의 U 형상의 크림프에 의해, 축방향 케이지가 수집 용기 내에서 그 포켓 웨브들이 서로 엉키는 위험이 발생한다. 축방향 케이지의 공정 안전적인 처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상기 유형의 축방향 케이지의 제조 비용의 증가에 일조하는 추가의 적재 장치에 의해서만 상기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공지된 종래 기술의 해결책의 상기 단점을 기초로 하여, 공지된 니들 보링 및 그와 연관된 결과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술된 통상의 공정 기술에 따른 제조 기술상의 문제 없이 저렴하게 제조 가능한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에서, 외측 반경 방향 림은 U 형상의 중간 크림프로부터 멀리 향하는 기울기를 가지며 형성되고, 케이지 포켓이 적어도 축방향 케이지의 외측 반경 방향 림 내측까지 연장되며, 포켓 중앙쪽으로의 케이지 포켓의 외측 전면의 볼록한 구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의 외측 반경 방향 림에는 롤링 바디의 롤링 축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의 외측 전면을 위한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thrust lug)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케이지 포켓은 내측 및 외측 반경 방향 림의 내측면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포함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바람직한 구성 및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7항에 설명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에서, 외측 반경 방향 림의 기울기는, 축방향 케이지의 재료 강도, 롤링 바디의 직경 및 축방향 케이지의 주변 구조물에 따라, 수직 케이지 중심축에 대해 약 15°이다. 이러한 기울기는, 한편으로는 외측 림 내에 장착된 롤링 바디를 위한 스러스트 러그의 충분한 구조 각도를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 케이지의 안정성 또는 굽힘 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최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다른 특징은, 림의 내측면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에 비해 케이지 포켓의 더 큰 축방향 길이는, 내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의 길이에 비해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의 길이의 단축된 구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케이지를 종래의 축방향 케이지와 동일한 축방향 폭으로 구성하고 종래의 동일한 롤링 바디를 종방향 변경 없이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는 청구항 제4항 내지 제6항에 따라, 축방향 케이지가 서두에 언급한 공정 기술에 따라 제조되는데, 케이지 포켓이 무절삭으로 펀칭을 통해 가공되며, 케이지 포켓의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가 10% 내지 30%의 활주면을 갖는 다이 간극의 형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의 재료 강도의 70% 내지 90%의 목표한 펀칭 제거면을 포함한다. 스러스트 러그의 활주면은, 기울기를 가지면서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외측 반경 방향 림의 내측면 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포켓 종방향 중심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의 전면에 대해 최소의 라인 접촉을 형성한다. 동시에, 활주면으로부터 림의 외측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러스트 러그의 펀칭 제거면은 스러스트 러그와 롤링 바디의 전면 사이에서 라인 접촉 하에서 직접 모세관으로서 작용하며, 모세관에 의해 항상 충분한 윤활제가 상기 접촉부에 공급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청구항 제7항에 따라, 케이지 포켓의 스러스트 러그의 라운딩된 구성을 통해 형성된 자유 공간은 스러스트 러그와 롤링 바디의 전면 사이의 라인 접촉부의 양측에서, 축방향 케이지를 포함하는 축방향 베어링으로부터의 과잉 윤활제를 위한 방출 개구로서 제공된다. 이는, 예컨대 자동차 변속기 내에 사용되고 윤활유가 영구적으로 관류하는 축방향 베어링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축방향 케이지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축방향 케이지에 비해, 검증된 W 형상 프로파일 섹션의 실질적인 변경 없이,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를 갖는 외측 반경 방향 림의 단지 약간의 경사 설정을 통해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스러스트 러그는 롤링 바디의 외측 전면과 라인 접촉을 형성하여, 축방향 케이지 내의 케이지 포켓의 외측 에지 반경에서 니들 보링과, 이와 연관된 결과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니들 보링이 케이지 포켓의 내측 에지 반경에서도 방지되어야 하는 경우, 내측 반경 방향 림을 비스듬히 설정하고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축방향 케이지가 저렴한 공정 기술에 따라 강판 시트로부터 제조되는 것도 가능한데, 그 이유는 축방향 케이지의 외경에 상응하는 외측 림이 강판 시트에 대한 측면 고정 웨브의 성형을 위해 그리고 상기 고정 웨브로부터 완성된 축방향 케이지를 외측 림에서 직접 분리하기 위해 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바람직한 구성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축방향 니들 베어링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공간적인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상세 부분(X)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의 도 2의 절단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실제로 박판의 환형 디스크(2)로 구성되며 축방향 니들 베어링을 위해 적합한 축방향 케이지(1)가 도시되며, 환형 디스크는 특히 도 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W 형상의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도 3과 함께 도 1을 보면, 축방향 케이지(1)의 개별 프로파일 레그는 환형 디스크(2)의 내측 주연부에 성형된 내측 반경 방향 림(3)과, 환형 디스크(2)의 외측 주연부에 성형된 외측 반경 방향 림(4)과,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 6)을 통해 림(3, 4)과 연결된 U 형상의 크림프(7)를 통해 형성되며, 크림프는 림(3, 4)과 동일한 반경 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크림프(7) 및 인접한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 6)으로부터, 일정하게 서로에 대해 이격된 복수의 장방형 케이지 포켓(8)이 절결되는 것이 명확히 도시되며, 케이지 포켓들 사이에는 림(3, 4)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포켓 웨브(9)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 웨브는, 도 3에 명확히 도시되며 베어링 니들로서 구성되는 원통형 롤링 바디(10)를 케이지 포켓(8) 내에 보유하며 원주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외측 반경 방향 림(4)은 U 형상의 중간 크림프(7)로부터 멀리 향하는 기울기(α)를 가지며 형성되고, 케이지 포켓(8)이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 내측까지 연장되며, 포켓 중앙쪽으로의 케이지 포켓의 외측 전면(13)의 볼록한 구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롤링 바디(10)의 롤링 축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10)의 외측 전면(15)을 위한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14)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케이지 포켓(8)은 내측 및 외측 반경 방향 림(3, 4)의 내측면(11, 12)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도 2의 절단선(A-A)을 통해, 외측 반경 방향 림(4)의 기울기(α)는, 축방향 케이지(1)의 재료 강도, 롤링 바디(10)의 직경 및 축방향 케이지(1)의 주변 구조물에 따르며, 단지 암시적으로 도시된 수직 케이지 중심축에 대해 약 15°이며, 림(3, 4)의 내측면(11, 12)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에 비해 케이지 포켓(8)의 더 큰 축방향 길이는, 내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의 길이에 비해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6)의 길이의 단축된 구성에 의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2 및 도 3에는, 축방향 케이지(1)가 무한의 강판 시트로부터 펀칭 및 드로잉 공구에서 제조되며, 펀칭된 케이지 포켓(8)의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14)가 약 10%의 활주면(16)을 갖는 다이 간극의 형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1)의 재료 강도의 약 90%의 목표한 펀칭 제거면(17)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스러스트 러그(14)의 활주면(16)은, 기울기(α)를 가지면서 구성된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의 내측면(12) 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포켓 종방향 중심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10)의 전면(15)과 접촉되는 반면, 활주면(16)으로부터 림(4)의 외측면(18)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러스트 러그(14)의 펀칭 제거면(17)은 스러스트 러그와 롤링 바디(10)의 전면(15) 사이에서 라인 접촉 하에 상기 접촉에 대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모세관으로서 제공된다. 동시에 스러스트 러그(14)의 라운딩된 구성을 통해 형성된 자유 공간(19, 20)은 스러스트 러그와 롤링 바디(10) 사이의 라인 접촉부의 양측에서 방출 개구로서 제공되는데, 이 방출 개구를 통해 축방향 베어링의 과잉 윤활제가 방출된다.
1: 축방향 케이지
2: 환형 디스크
3: 내측 반경 방향 림
4: 외측 반경 방향 림
5: 내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
6: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
7: 중간 크림프
8: 케이지 포켓
9: 포켓 웨브
10: 롤링 바디
11: 3의 내측면
12: 4의 내측면
13: 8의 외측 전면
14: 13의 스러스트 러그
15: 10의 외측 전면
16: 14의 활주면
17: 14의 펀칭 제거면
18: 4의 외측면
19: 14 옆의 자유 공간
20: 14 옆의 자유 공간
α: 4의 기울기

Claims (7)

  1. W 형상의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하며 실제로 박판의 환형 디스크(2)로 구성된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1)이며,
    프로파일 섹션의 개별 프로파일 레그는 환형 디스크(2)의 내측 주연부에 성형된 내측 반경 방향 림(3)과, 환형 디스크(2)의 외측 주연부에 성형된 외측 반경 방향 림(4)과, 내측 및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 6)을 통해 반경 방향 림(3, 4)과 연결되고 림(3, 4)과 동일한 반경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U 형상의 중간 크림프(7)를 통해 형성되며, 중간의 크림프(7) 및 인접한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 6)으로부터, 일정하게 서로에 대해 이격된 복수의 장방형 케이지 포켓(8)이 절결되며, 케이지 포켓(8)들 사이에는 림(3, 4)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포켓 웨브(9)가 형성되어, 상기 포켓 웨브에 의해, 원통형 롤링 바디(10)가 케이지 포켓(8) 내에서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보유되며 원주 방향으로 안내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에 있어서,
    외측 반경 방향 림(4)은 U 형상의 중간 크림프(7)로부터 멀리 향하는 기울기(α)를 가지며 형성되고, 케이지 포켓(8)이 적어도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 내측까지 연장되며, 포켓 중앙쪽으로의 케이지 포켓의 외측 전면(13)의 볼록한 구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에는 롤링 바디(10)의 롤링 축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10)의 외측 전면(15)을 위한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14)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케이지 포켓(8)은 내측 및 외측 반경 방향 림(3, 4)의 내측면(11, 12)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외측 반경 방향 림(4)의 기울기(α)는, 축방향 케이지(1)의 재료 강도, 롤링 바디(10)의 직경 및 축방향 케이지(1)의 주변 구조물에 따라, 수직 케이지 중심축에 대해 약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3. 제1항에 있어서, 림(3, 4)의 내측면(11, 12)들 사이의 최단 축방향 간격에 비해 케이지 포켓(8)의 더 큰 축방향 길이는, 내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5)의 길이에 비해 외측 축방향 프로파일 섹션(6)의 길이의 단축된 구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지 포켓(8)은 무절삭으로 펀칭을 통해 제조되며, 케이지 포켓의 라운딩된 스러스트 러그(14)는 약 10%의 활주면(16)을 갖는 다이 간극의 형성을 통해 축방향 케이지(1)의 재료 강도의 약 90%의 목표한 펀칭 제거면(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스러스트 러그(14)의 활주면(16)은, 기울기를 가지면서 형성된 축방향 케이지(1)의 외측 반경 방향 림(4)의 내측면(11) 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포켓 종방향 중심의 높이에서 롤링 바디(10)의 전면(15)과 라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6. 제5항에 있어서, 활주면(16)으로부터 림(4)의 외측면(18)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스러스트 러그(14)의 펀칭 제거면(17)은, 스러스트 러그와 롤링 바디(10)의 전면(15) 사이에서 라인 접촉 하에 상기 접촉에 대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모세관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7. 제5항에 있어서, 케이지 포켓(8) 중 스러스트 러그(14)의 라운딩된 구성을 통해 형성된 자유 공간(19, 20)은 스러스트 러그와 롤링 바디(10)의 전면(15) 사이의 라인 접촉부의 양측에서 과잉 윤활제를 위한 방출 개구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KR1020157005469A 2012-09-05 2013-07-17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KR20150046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5740.9 2012-09-05
DE102012215740.9A DE102012215740A1 (de) 2012-09-05 2012-09-05 Axialkäfig für zylindrische Wälzkörper
PCT/DE2013/200056 WO2014036997A1 (de) 2012-09-05 2013-07-17 Axialkäfig für zylindrische wälzkör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078A true KR20150046078A (ko) 2015-04-29

Family

ID=4908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469A KR20150046078A (ko) 2012-09-05 2013-07-17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04537B2 (ko)
EP (1) EP2893207B1 (ko)
JP (1) JP2015528553A (ko)
KR (1) KR20150046078A (ko)
CN (1) CN104854357B (ko)
DE (1) DE102012215740A1 (ko)
WO (1) WO2014036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9236A1 (de) * 2014-05-15 2015-11-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xialwälzlager und Axialwälzlagerkäfig
WO2018164008A1 (ja) * 2017-03-06 2018-09-13 Ntn株式会社 保持器付き針状ころおよびそれを備えた遊星歯車機構支持構造
CN110382891B (zh) * 2017-03-06 2021-05-25 Ntn株式会社 带保持器的针状滚子和具有该带保持器的针状滚子的行星轮机构支承结构
US10487877B2 (en) * 2018-03-01 2019-1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cage including hydrodynamic feature
WO2020191517A1 (en) * 2019-03-22 2020-10-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age for bearing and bearing
US10941811B1 (en) * 2020-01-14 2021-03-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igh-speed beari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6173A (en) * 1956-02-10 1959-12-31 Pitner Alfr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eedle bearings
DE1174113B (de) 1962-02-20 1964-07-16 Schaeffler Ohg Industriewerk Axialkaefig fuer zylindrische Waelzkoerper
JPS58108622U (ja) * 1982-01-20 1983-07-23 日本精工株式会社 ころ軸受用保持器
JPH0648182Y2 (ja) * 1988-05-16 1994-12-12 光洋精工株式会社 ころ軸受用保持器
DE10143089B4 (de) 2001-09-03 2010-07-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xialkäfig für zylindrische Wälzkörper und damit gebildete Axiallager
DE10326418A1 (de) * 2002-07-02 2004-01-22 Ina-Schaeffler Kg Wälzlagerkäfig
JP2004144244A (ja) * 2002-10-25 2004-05-20 Koyo Seiko Co Ltd ころ軸受用の保持器
JP4165226B2 (ja) * 2003-01-06 2008-10-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
JP4483365B2 (ja) * 2004-03-24 2010-06-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ラスト円筒ころ軸受用保持器とその製造方法
JP4606128B2 (ja) * 2004-11-11 2011-01-05 宇都宮機器株式会社 ころ軸受用保持器の製造方法
JP4432741B2 (ja) * 2004-11-16 2010-03-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
JP4483803B2 (ja) * 2005-03-03 2010-06-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ラスト円筒ころ軸受
JP2007224977A (ja) * 2006-02-22 2007-09-06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
US7896558B2 (en) * 2006-06-06 2011-03-01 Ntn Corporation Thrust roller bearing
JP4817985B2 (ja) * 2006-06-21 2011-11-16 Ntn株式会社 スラストころ軸受
EP2044343B1 (de) * 2006-07-17 2011-06-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xialwälzlager
JP2008025611A (ja) * 2006-07-18 2008-02-07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
JP5186766B2 (ja) * 2006-12-27 2013-04-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8175310A (ja) 2007-01-19 2008-07-31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スラストころ軸受
JP5104168B2 (ja) * 2007-09-28 2012-12-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保持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5250A (ja) * 2008-07-22 2010-02-04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10053888A (ja) * 2008-08-26 2010-03-11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の保持器
DE102008050232A1 (de) * 2008-10-02 2010-04-08 Schaeffler Kg Wälzlager
JP2011144866A (ja) * 2010-01-14 2011-07-28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
DE102010019069A1 (de) 2010-05-03 2011-11-0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xialkäfig für zylindrische Wälzkör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54357B (zh) 2017-04-12
EP2893207A1 (de) 2015-07-15
JP2015528553A (ja) 2015-09-28
WO2014036997A1 (de) 2014-03-13
US20150219158A1 (en) 2015-08-06
CN104854357A (zh) 2015-08-19
US9404537B2 (en) 2016-08-02
DE102012215740A1 (de) 2014-03-06
EP2893207B1 (de)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6078A (ko) 원통형 롤링 바디용 축방향 케이지
US8926191B2 (en) Axial cage for cylindrical rolling elements
CN102575712B (zh) 用于滚动元件轴承的卡合式保持架桥接件
CN101371055B (zh) 滚动轴承及其制造方法
WO2010007979A1 (ja) 打抜き保持器、自動調心ころ軸受、及び打抜き保持器の製造方法
JP5466100B2 (ja) 円すいころ軸受
KR101911392B1 (ko) 구름 베어링
JP6131945B2 (ja) 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ろ軸受の製造方法
EP2904280B1 (en) Rolling bearing guide ring
JP2011117545A (ja) 転がり軸受およびその保持器
US20150260226A1 (en) Rolling bearing c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P4320599B2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用保持器の製造方法
KR20120065355A (ko) 볼 롤러 베어링
EP2351939B1 (en) Cage-equipped rollers
JP2009041757A (ja) 金属製保持器の製造方法
US20160265592A1 (en) Axial cage for cylindrical rolling elements
JP2007040449A (ja) ころ軸受の保持器、ころ軸受およびころ軸受の製造方法
CN103998801A (zh) 球轴承保持架以及设有这种球轴承保持架的深沟球轴承
JP5322450B2 (ja) 等速ジョイント、等速ジョイント外輪の外輪前素材、および等速ジョイント外輪の製造方法
CN116848332A (zh) 滚动轴承装置和用于制造兜孔保持架的方法
EP3770453B1 (en) Roller bearing cage
KR20160129214A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
CN114651140A (zh) 用于制造用于无级变速器的推带的横向段的方法和由此获得的横向段
JP2018159396A (ja) スラストころ軸受の保持器および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9257526A (ja) ころ軸受の保持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