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385A -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385A
KR20150044385A KR20140136701A KR20140136701A KR20150044385A KR 20150044385 A KR20150044385 A KR 20150044385A KR 20140136701 A KR20140136701 A KR 20140136701A KR 20140136701 A KR20140136701 A KR 20140136701A KR 20150044385 A KR20150044385 A KR 2015004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ear
lock
lock rod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501B1 (ko
Inventor
미츠루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04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1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2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using toothed wheels or geared sectors
    • E05B2017/043Planetary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10T292/0836Operating means
    • Y10T292/0843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1Multiple head
    • Y10T292/0962Operating means
    • Y10T292/0966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1014Operating means
    • Y10T292/1018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안정하고 또한 넓은 범위에서 유효한 제동력에 의해서 레버의 되돌림시의 충격음을 억제하는 것에 더해서, 로크 로드의 작동도 제동하기 쉽게 한다.
(해결수단) 덮개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지력 또는 자중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에서 조작상태로 전환되는 레버(2)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로크 로드(6,7)와; 제동수단(5);을 구비하며, 덮개체를 로크 로드를 통해서 본체 측에 로크함과 아울러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언로크로 전환하는 로크장치에 있어서, 제동수단(5)이 기어(53)가 달린 제동축(52)을 가지며, 레버(2)에 대해서 이 레버의 회동중심과 거의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레버와 로크 로드를 제동하는 회전 댐퍼이고, 회전 댐퍼의 기어(53)에 맞물린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기어(53)를 로크 로드(6,7)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또한 레버(2)의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용기어(3)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로크장치{ROCK DEVICE}
본 발명은 덮개체를 본체 측에 로크ㆍ언로크하는 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동 조작용의 레버를 탄지력 또는 자중(自重)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에서 조작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레버조작의 필링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충격음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로크장치를 나타내며, (a)는 전체 사시도, (b)는 핸들과 고정부재 및 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본체 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에 대해서 고정부재(3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지력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에서 조작상태로 전환하는 핸들(본 발명의 레버에 상당)(20)과, 로크기구(50)를 구성하며 핸들(20)의 회동조작에 의해서 작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재(본 발명의 로크 로드에 상당)와, 제동수단인 댐퍼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기구는 덮개체를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서 본체 측에 로크함과 아울러 핸들(20)의 회동에 의해서 언로크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20)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핸들(20)의 회동조작에 의해서 연결부재를 통해서 로크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되어 덮개체가 자중 등에 의해서 개방된다.
이때 조작자가 핸들(20)에서 손을 떼면, 이 핸들이 탄지력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는데, 너무 세게 되돌아가게 되면 충격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충격음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댐퍼는 하우징(34)과, 로터(42)와, 회동축(49)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핸들(20) 측에 형성된 제 1 부재(28)와, 로터(42)에 형성되어 고정부재(30) 측에 연결되는 제 2 부재(43)를 가지고 있다. 또, 양 부재(28,43) 중 일측에 슬릿(25)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슬릿(25)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부(44)가 형성되며, 제 1 부재(28) 및 제 2 부재(43)에 의해서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로터 측의 제 2 부재(43)가 제 1 부재(28)에 연동할 때에 돌기부(44)가 슬릿(25) 내를 이동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12-2020호 공보
상기 로크장치에서는 슬릿을 이용한 링크기구를 형성함으로써 기어를 이용한 링크기구(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1-148467호 공보)에 비해서 조작 필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댐퍼의 주요 부분인 하우징, 로터, 회동축이 고정부재 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슬릿 및 돌기부에 의한 링크기구를 통해서 덮개체의 작동을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효과가 있게 하려고 하면 슬릿이나 양 부재의 전체 치수를 길게 하여야 하므로 소형화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제동력이 덮개체를 제동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어, 로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연결부재 등의 작동을 제동하거나 가변하는 것에는 유효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안정하고 또한 넓은 범위에서 유효한 제동력에 의해서 레버의 되돌림시의 충격음을 억제하는 것에 더하여, 로크 로드의 작동도 제동하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분명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체 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지력 또는 자중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이것은 레버를 회동하지 않은 때의 상태)에서 조작상태(이것은 레버를 회동한 때의 상태)로 전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로크 로드와; 제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를 상기 로크 로드를 통해서 본체 측에 로크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언로크로 전환하는 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이 기어가 달린 제동축을 가지며, 상기 레버에 대해서 이 레버의 회동중심과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레버와 상기 로크 로드를 제동하는 회전 댐퍼이고, 상기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기어를 상기 로크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또한 상기 레버의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용기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6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더 구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레버에 형성된 압압부에 의해서 상기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크 로드를 연동시켜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경사홈 및 상기 작용기어를 회동시키는 래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2) 상기 작용기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래크에 맞물리는 래크용 톱니부에 비해서 상기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리는 댐퍼용 톱니부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4).
(3) 상기 로크 로드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작용기어와 연동하는 또 하나의 로크 로드를 가지며, 양 로크 로드가 서로 이간(離間)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걸림위치와 서로 접근한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이다(청구항 5).
(4) 상기 작용기어는 상기 또 하나의 로크 로드에 형성된 래크에 맞물리는 로크 로드용 톱니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6).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기어가 달린 제동축을 가지는 회전 댐퍼를 이용함과 아울러, 회전 댐퍼를 레버에 대해서 이 레버의 회동중심과 거의 일치하도록 장착하는 구성과,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기어를 로크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또한 레버의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용기어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서, 작용기어가 회전 댐퍼의 기어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비해서 제동범위를 넓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레버의 되돌림시의 속도를 제동함과 동시에 로크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동하여 되돌림시나 슬라이드 이동의 정지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충격음을 완화 흡수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로크 로드를 연동시켜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경사홈 및 작용기어를 회동시키는 래크가 형성되고, 레버 측의 압압부에 의해서 이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레버의 회동에 수반되는 힘을 로크 로드 및 작용기어에 단일 부재{즉, 슬라이드 부재}만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4의 발명에서는, 작용기어가 슬라이드 부재의 래크에 맞물리는 래크용 톱니부에 비해서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리는 댐퍼용 톱니부의 직경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댐퍼의 기어의 회전수를 늘려서 안정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로크 로드(예를 들면, 도 1의 부호 6으로 나타내는 로크 로드)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작용기어와 연동하는 또 하나의 로크 로드(도 1의 부호 7로 나타내는 로크 로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 로크 로드가 서로 이간하여 덮개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걸림위치와 서로 접근한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1쌍의 로크 타입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작용기어가 또 하나의 로크 로드에 형성된 래크에 맞물리는 로크 로드용 톱니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향하는 로크 로드도 구성이 간이하여 쉽게 연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며, (a)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서 약 90도 상측으로 변위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로크장치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하면도
도 3은 도 2의 로크장치를 나타내며,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도 4는 상기 로크장치의 일측 로크 로드의 작동을 나타내며, (a)는 레버의 초기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레버의 조작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로크장치의 타측 로크 로드의 작동을 나타내며, (a)는 레버의 초기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레버의 조작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로크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며, (a)는 레버의 초기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도 7에 있어서, (a)는 도 6(b)의 B-B선 단면도, (b)는 도 6(b)의 c-c선 단면도, (c)는 도 6(b)의 D-D선 단면도
도 8은 상기 로크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며, (a)는 레버의 조작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1-A1선 단면도
도 9에 있어서, (a)는 도 8(b)의 B1-B1선 단면도, (b)는 도 8(b)의 C1-C1선 단면도, (c)는 도 8(b)의 D1-D1선 단면도
도 10에 있어서, (a)와 (b)는 특허문헌 1의 로크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로크장치의 구조예를 분명하게 한 후에, 주된 작동에 대해서 언급한다.
(로크장치의 구조예)
대상이 되는 로크장치는 도 1∼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덮개체에 부착되는 베이스(1)와; 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지력(기술적으로는 자중(自重)이어도 좋다)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에서 조작상태로 전환되는 레버(2)와; 레버(2)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로크 로드(6,7)와; 제동수단으로서의 회전 댐퍼(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체를 로크 로드(6,7)를 통해서 본체 측에 로크함과 아울러 레버(2)의 회동에 의해서 언로크로 전환하는 타입이다.
여기서, 베이스(1)에 대해서는 채용되는 덮개체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기 때문에, 청구항 1의 요건에서 제외하였다. 또, 로크 로드(6,7)는 어느 일측의 로크 로드를 생략하여 단일의 로크 로드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청구항 1의 요건에서는 단지 로크 로드로 하여 특정하였다.
즉, 로크장치의 구조로서는, 도 1∼도 4 및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로크 로드(6,7)가 서로 이간(離間)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걸림위치와 서로 접근하여 상기 걸림을 해제한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구성과; 도 4에서 추측되는 바와 같이 로크 로드(6,7) 중에서 로크 로드(7)를 생략하거나 도 5에서 추측되는 바와 같이 로크 로드(6,7) 중에서 로크 로드(6)를 생략하는, 즉 요점은 단일의 로크 로드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걸림위치와 본래의 위치로 퇴피하여 상기 걸림을 해제한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을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된 요부는 베이스(1) 또는 덮개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2) 및 이 레버(2)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부재(4)를 가지고 있는 점, 회전 댐퍼(5)로서 기어(53)가 달린 제동축(52)을 가지며, 레버(2)에 대해서 이 레버의 회동중심과 거의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레버(2)와 로크 로드(6 또는 7)를 제동하는 점, 회전 댐퍼(5)의 기어(53)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기어(53)를 로크 로드(6,7)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또한 레버(2)의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용기어(3)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이어서, 이것들의 세부를 분명하게 한다.
우선, 베이스(1)는 도 1과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작용기어(3) 등을 유지하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의 일측에 형성된 측판(11)과, 지지판(10)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틀부(13)와, 로크 로드(6,7)의 후방 부분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 유지하는 가이드부(14,15)와, 레버(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ㆍ하측 회동 지지편(16,17)과, 측판(11)과의 사이에 슬라이드 부재(4)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세로판(18)과, 측판(11)의 반대측에 형성된 자물쇠 내지는 실린더용 배치 통형상부(19)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5에는 베이스(1)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가상선으로도 나타내었다.
지지판(10)은 원형의 구멍부(10a) 및 구멍부(10a)보다 후방에 볼록부(1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작용기어(3)가 상기 구멍부(10a)에 대해서 하측 틀부(13) 측에서 상측 부분이 빠짐방지된 상태로 삽입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로드(6)를 안내 가능하게 한다. 측판(11)에는 단며 ㄷ자형의 가로홈(12)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로홈(12)의 바닥면을 따라서 단면 凸형상의 레일(12a)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틀부(13)에는 측판(11)의 직하에 스프링 부재(9)용의 걸림홈(13a)과,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기어(3)의 회전각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13c)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4)는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측판(11)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로크 로드(6)의 후측을 측판(11)을 관통한 구멍에서 지지판(1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부(15)는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배치 통형상부(19) 위에 형성됨과 아울러, 측판의 상부(11a)와의 사이에 상하를 관통하고 또한 양 측판에 의해서 구획된 연장부(15a)를 가지고 있다.
상ㆍ하측 회동 지지편(16,17)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15) 및 연장부(15a)의 전방 측{레버(1)를 배치하는 측}으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어 샤프트(S)를 끼우는 축구멍을 가지고 있다. 세로판(18)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로홈(12)에 대향한 가로홈(1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홈(18a)은 상기 가로홈(12)의 홈폭의 비율보다 좁게 되어 있다. 배치 통형상부(19)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 측에 실린더 로크(29)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실린더 로크(29)는 도 6 및 도 7(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 통형상부(19)의 외단면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본체의 주위에서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을 접어 구부린 맞닿음부(29a)와, 상기 본체의 주위에 돌출형성되어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돌기(29b)와, 배치 통형상부(19)의 외단면에 형성된 부착구멍에서 통부 내로 빠짐방지 가능하게 삽입되는 빠짐방지부(29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 로크(29)는 배치 통형상부(19)에 장착되는 자물쇠 내지는 실린더(55)의 키 조작에 의해서 도 6(b)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돌기(29b)가 지지판(10)에서 배치 통형상부(19) 측으로 연장된 스토퍼용 판부(10c)에 맞닿을 때까지 대략 90도 회동되면, 맞닿음부(29a)가 로크 로드(7)의 대응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각 로크 로드(6,7)를 돌출시켜서 본체 측의 걸어맞춤구멍에 걸은 로크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배치 통형상부(19)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55)를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걸림구멍(19a)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상의 실린더 로크(29)는 양 로크 로드(6,7) 중 예를 들면 도 4의 로크 로드(6)만으로 구성하는 형태라면, 실린더 로크(29)를 상기한 것과는 반대측으로 회동하여 맞닿음부(29a)가 로크 로드(6)의 대응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크 로드(6)를 로크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레버(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레버(2)는 도 2 및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재(芯材)인 본체(20)와, 본체(20)의 전면 측을 덮어서 의장면을 형성하고 있는 커버(25)로 이루어진다. 본체(20)는 슬라이드 부재(4)를 누르는 압압편(21)과, 상ㆍ하측 회동 지지편(16,17)에 샤프트(S)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폐관 통형상의 연결부(22)와, 연결부(22)의 주위에 형성된 돌조부(22b)와, 회전 댐퍼(5)를 배치하는 역(逆)오목형상부를 형성하고 있는 부착부(23)와, 배치 통형상부(19)와 연통하는 투공(2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결부(22)의 바닥부에는 샤프트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5)는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투공(24)에 겹쳐지는 투공(26)과, 도 2(a)와 도 3(a)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측에 형성된 구획벽(27) 및 구획벽(27)에 형성된 돌기(27a)와, 일단측의 측부(28) 및 측부(28)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8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커버(25)는 본체(20)에 대해서, 구획벽측 돌기(27a)와 측벽(28)의 사이에 본체(20)를 끼워넣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걸어맞춤구멍(28a)에 돌조부(22b)를 걸어 맞춘 상태로 장착된다.
또, 이상과 같이 일체화된 레버(2)에는 회전 댐퍼(5)가 본체 측 부착부(23)에 부착된다. 회전 댐퍼(5)는 주지의 로터리식 오일 댐퍼 등으로 이루어지며, 부착부(51)가 달린 본체(50)와, 본체(50) 내에서 작용유의 저항을 받고 있는 출력축인 제동축(52)과, 제동축(52)에 장착된 기어(5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 댐퍼(5)는 부착부(23)에 대해서, 본체(50)가 부착부(23)의 역오목형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각 부착부(51)가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레버(2)는 회전 댐퍼(5)를 장착한 상태로 베이스(1)에 대해서 샤프트(S) 및 탄지부재(8)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레버(2)는 연결부(22)의 원통 내에 탄지부재(8)를 배치한 후, 연결부(22)를 베이스(1)의 상측 회동 지지편(16)과 하측 회동 지지편(17)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샤프트(S)를 상측 회동 지지편(16)의 구멍 측에서 후술하는 코일부(8c)에 꽂은 후 하측 회동 지지편(17)의 구멍 측으로 압입함으로써 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탄지부재(8)는 도시하지 않은 일단이 연결부(22)의 원통 내에 걸려 고정되고, 중간의 코일부(8c)가 연결부(22)의 원통 내에 배치되고, 타단(8b)이 상측 회동 지지편(16) 측에 걸려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서, 레버(2)는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의해서 베이스(1) 측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초기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탄지력에 저항하여 베이스(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조작상태로 전환된다.
다만, 이상이 조립은 베이스(1)에 대해서 후술하는 작용기어(3) 및 슬라이드 부재(4)를 배치한 후에 행해진다. 작용기어(3)는 레버(2)가 베이스(1)에 조립된 후에도 배치 가능하다.
작용기어(3)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0)의 구멍부(10a)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몸통부(30)와, 몸통부(30)의 상단에 일체화되며 몸통부(30)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머리 주위에 톱니부(32)를 형성하고 있는 상부(31)와, 몸통부(30)의 하측 주위에 형성된 하측 플랜지부(33)와, 몸통부(30) 내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작은 통형상의 축부(37) 및 몸통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로 리브(39)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몸통부(30)는 톱니부(32)와 상위한 측에 형성된 톱니부(34)와, 몸통부(30)에 슬릿을 통해서 탄성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측 플랜지부(33)와의 사이에서 지지판(10)을 협지하는 걸림편(38)을 가지고 있다. 하측 플랜지부(33)는 외주에 톱니부(35)를 형성하고 있는 부채꼴형상 부분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상의 작용기어(3)는 지지판(10)에 대해서, 몸통부(30) 및 상부(31)가 구멍부(10a)에 걸림편(38)의 직경의 축소에 수반하여 삽입되고, 걸림편(38)이 통과함과 동시에 본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빠짐방지되게 조립된다. 또, 작용기어(3)는 몸통부(30)의 원통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9)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부채꼴형상 부분의 단면이 하측 틀부(13)의 규제 돌기(13c)에 맞닿을 때까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다. 또, 작용기어(3)는 상기 톱니부(35)가 회전 댐퍼의 기어(53)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회전 댐퍼(5)에 의해서 제동되어 완만하게 회동된다. 또한, 스프링 부재(9)는 그 일단(9a)이 연결부(22)의 원통 내에서 세로 리브(39)에 걸려 고정되고, 중간의 코일부(9c)가 축부(37)의 주위에 꿰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타단(8b)이 하측 틀부(13)의 걸림 오목부(13a)에 걸려 고정된다.
이것에 대해서, 슬라이드 부재(4)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부(40)와, 평판부(40) 상에 돌출형성된 돌출벽부(41)에 의해서 형성된 경사홈(42)과, 평판부(40)의 전방 측{즉, 레버(2)가 배치되는 측}이면서 경사홈(42)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형성된 축부(43)와, 가로홈(18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평판부(40)의 일방 측부(44) 및 가로홈(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평판부(40)의 타방 측부(45)를 가지고 있다.
경사홈(42)은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감에 따라서 측판(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축부(43)는 평판부(40)의 전방 측의 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레버(2)의 회동에 의해서 압압편(21)에 눌려짐으로써 슬라이드 부재(4)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양 측부(44,45)는 그 상면을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측부(45)는 그 하면이 한층 더 두껍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여기에 상기한 가이드 리브(12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단면 역오목형상의 끼워맞춤홈(46)을 형성하고 있다. 또, 측부(45)는 상기 한층 더 두껍게 된 내측면에 톱니부(32)와 맞물리는 래치(47)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슬라이드 부재(4)는 양 측부(44,45)를 대응하는 가로홈(18a,12)에 끼워 맞춘 상태로 베이스(1)에 조립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에 대해서 슬라이드 부재(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용기어(3)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하도록 한다.
로크 로드(6)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60)가 베이스(10)의 가이드부(14)에 대응한 단면 직사각형상이며, 일단면에 환봉의 선단(6a)이 돌출되어 있다. 본체(60)는 상면이 단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단(6b)의 약간 전방에 형성된 빠짐방지돌조(6c)를 가지고 있다. 빠짐방지돌조(6c)는 일부가 본체(60)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본체(60)를 가이드부(4)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탄성에 저항하여 휘어지고, 통과와 동시에 본래의 상태로 복구됨으로써, 로크 로드(6)가 가이드부(4)에서 불필요하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 본체(60)는 그 하면에도 단면 오목형상의 오목부(6e)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4)에 삽입하여 지지판(10) 상에서 이동되었을 때에 볼록부(10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본체(60)는 내측의 측면에 있어서 본체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보다 후측(6b)에 형성된 래크(6d)를 가지고 있다. 이 래크(6d)는 작용기어(3)의 톱니부(34)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서, 이 구조에서는 레버(2)의 회동에 슬라이드 부재(4) 및 작용기어(3)를 연동시킴과 동시에 로크 로드(6)의 작동도 연동시킨다.
로크 로드(7)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70)가 본체(60)보다 상당히 길고, 길이방향의 도중에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로드(7)는 베이스(10)의 가이드부(15)에 대응한 단면 직사각형상이며, 일단면에 환봉의 선단(7a)이 돌출되어 있다. 본체(70)는 후단(7b) 측의 상면이 단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오목형상 내에 형성된 빠짐방지돌조(7c)를 가지고 있다. 빠짐방지돌조(7c)는 일부가 본체(70)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본체(70)의 후측 부분을 가이드부(15)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탄성에 저항하여 휘어지고, 통과와 동시에 본래의 상태로 복구됨으로써, 로크 로드(7)가 가이드부(5)에서 불필요하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 본체(70)는 그 후단(7b)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축부(7d)를 가지고 있다. 이 축부(7d)는 슬라이드 부재(4)의 경사홈(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구조에서는 슬라이드 부재(4)가 레버(2)의 회동에 의해서 압압편(21)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로크 로드(7)가 축부(7d)에 대한 경사홈(42)의 위치에 따라서 돌출량을 줄이는 퇴피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된다.
(작동)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로크장치의 주된 작동 특징에 대해서 언급한다.
(1) 도 4는 로크 로드(6) 단독에 의한 로크 및 언로크 상태, 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대응한 구성례로 되어 있다. 도 4(a)는 로크 로드(6)가 걸림위치, 즉 선단(6a)이 본체 측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어 맞춰진 로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로크상태에서는, 레버(2)가 압압편(21)을 슬라이드 부재(4)의 평판부(40)의 전방측 단면 및 축부(43)에 맞닿은 상태에서 베이스(1)와 거의 평행하게 된 초기상태이다. 이 초기상태에서는, 작용기어(3)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4)에 작동 연결됨과 아울러, 톱니부(32)와 기어(53)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 댐퍼(5)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동시에, 로크 로드(6)는 래크(6d)와 톱니부(34)의 맞물림에 의해서 작용기어(3)에 작동 연결되어 최대까지 돌출된, 즉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2) 도 4(b)는 레버(2)가 샤프트(S)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1의 방향, 즉 베이스(1)로부터 멀어지는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된 조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작상태에서는 레버(2)의 압압편(21)이 슬라이드 부재(4)를 화살표 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것에 연동하여 작용기어(3)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화살표 3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작용기어(3)의 회동에서는 스프링 부재(9)에 탄지력을 축적함과 아울러, 톱니부(32)와 기어(53)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 댐퍼(5)의 제동력을 받아 완만하게 회동된다. 그리고, 로크 로드(6)는 이 작용기어(3)의 회동에 연동하여 톱니부(34)와 래크(6d)의 맞물림에 의해서 화살표 4의 퇴피방향, 즉 언로크 방향으로 이동된다.
(3) 도 4(b)의 조작상태에서 레버(2)에 대한 압압을 해방, 즉 레버(2)에서 손을 떼면, 레버(2)가 샤프트(S)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의해서 화살표 1의 역방향, 즉 초기상태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작용기어(3)는 회전 댐퍼(5)의 기어(53)와 톱니부(35)의 맞물림에 의해서 화살표 3의 역방향인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작용기어(3)의 회동은 슬라이드 부재(4)를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화살표 2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동시에 로크 로드(6)를 톱니부(34)와 래크(6d)의 맞물림에 의해서 화살표 4의 역방향, 즉 로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는 작용기어(3)가 톱니부(32)와 기어(53)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 댐퍼(5)의 제동력을 받아 완만하게 회동되기 때문에, 로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레버(2)와 로크 로드(6) 및 슬라이드 부재(4)도 완만하게 작동하여 조작상태에서 초기상태로 전환된다. 이 결과, 레버(2)의 되돌림시의 충격음, 슬라이드 부재(4)나 로크 로드(6)의 슬라이드 이동의 정지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충격음을 완화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거나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4) 도 5는 로크 로드(7) 단독에 의한 로크 및 언로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a)는 로크 로드(7)가 걸림위치, 즉 선단(7a)이 본체 측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어 맞춰진 로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로크상태에서는, 레버(2)가 압압편(21)을 슬라이드 부재(4)의 평판부(40)의 전방측 단면 및 축부(43)에 맞닿은 상태에서 베이스(1)와 거의 평행하게 된 초기상태이며, 로크 로드(7)가 최대까지 돌출된, 즉 로크위치에 있다. 도 5(b)는 레버(2)가 샤프트(S)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1의 방향, 즉 베이스(1)로부터 멀어지는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된 조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작상태에서는 레버(2)의 압압편(21)이 슬라이드 부재(4)를 눌러서 슬라이드 부재(4)가 압압편(21)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로드(7)가 축부(7d)에 대한 경사홈(42)의 위치에 따라서 화살표 3의 퇴피방향, 즉 언로크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된다.
또, 도 5(b)의 조작상태에서 레버(2)에 대한 압압을 해방, 즉 레버(2)에서 손을 떼면, 레버(2)가 샤프트(S)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의해서 화살표 1의 역방향, 즉 초기상태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이 구조에서는 작용기어(3)를 기어(53)와 톱니부(35)의 맞물림과 스프링 부재(9)의 탄지력에 의해서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4)를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화살표 2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로크 로드(7)는 이 슬라이드 부재(4)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축부(7d)에 대한 경사홈(42)의 위치에 따라서 화살표 3의 반대방향, 즉 로크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된다. 이 결과, 이 경우도 회전 댐퍼(5)의 기어(53)가 작용기어(3)의 톱니부(35)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레버(2)의 되돌림시의 충격음, 슬라이드 부재(4)나 로크 로드(7)의 슬라이드 이동의 정지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충격음을 완화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거나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5) 도 6 내지 도 9는 양측의 로크 로드(6,7)가 서로 이간하여 덮개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걸림위치와 서로 접근한 해제위치로 전환될 때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동은 상기한 도 4 및 도 5의 구조를 합체한 것과 같다.
(6) 즉, 도 6과 도 7은 로크 로드(6,7)가 걸림위치, 즉 선단(6a,7a)이 본체 측에 형성된 2개의 걸림구멍에 걸어 맞춰진 로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로크상태에서는, 레버(2)가 압압편(21)을 슬라이드 부재(4)의 평판부(40)의 전방측 단면 및 축부(43)에 맞닿은 상태에서 베이스(1)와 거의 평행하게 된 초기상태이다. 이 초기상태에서는, 작용기어(3)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4)에 작동 연결됨과 아울러,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32)와 기어(53)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 댐퍼(5)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동시에, 로크 로드(6)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6d)와 톱니부(34)의 맞물림에 의해서 작용기어(3)에 작동 연결되어 최대까지 돌출된, 즉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한편, 로크 로드(7)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7d)에 대한 경사홈(42)의 위치에 따라서 최대까지 돌출된, 즉 로크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7) 도 8과 도 9는 레버(2)가 샤프트(S)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도 8(a)의 화살표 1의 방향, 즉 베이스(1)로부터 멀어지는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되는 조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작상태에서는 레버(2)의 압압편(21)이 슬라이드 부재(4)를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것에 연동하여 작용기어(3)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작용기어(3)의 회동에서는 스프링 부재(9)에 탄지력을 축적함과 아울러, 톱니부(35)와 기어(53)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 댐퍼(5)의 제동력을 받아 완만하게 회동된다. 그리고, 로크 로드(6)는 이 작용기어(3)의 회동에 연동하여 톱니부(34)와 래크(6d)의 맞물림에 의해서 로크위치에서 퇴피방향으로, 즉 언로크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로크 로드(7)는 슬라이드 부재(4)의 후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축부(7d)에 대한 경사홈(42)의 위치에 따라서 로크위치에서 퇴피방향으로, 즉 언로크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된다.
(8) 도 8과 도 9의 조작상태에서 레버(2)에 대한 압압을 해방, 즉 레버(2)에서 손을 떼면, 레버(2)가 샤프트(S)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지부재(8)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상태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작용기어(3)는 회전 댐퍼(5)의 기어(53)와 톱니부(35)의 맞물림에 의해서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작용기어(3)의 회동은 슬라이드 부재(4)를 톱니부(32)와 래크(47)의 맞물림에 의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동시에 로크 로드(6)를 톱니부(34)와 래크(6d)의 맞물림에 의해서 다시 돌출시킨, 즉 로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로크 로드(7)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4)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축부(7d)에 대한 경사홈(42)의 위치에 따라서 다시 돌출된, 즉 로크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된다. 이때는 작용기어(3)가 톱니부(35)와 기어(53)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 댐퍼(5)의 제동력을 받아 완만하게 회동되기 때문에, 로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레버(2)와 로크 로드(6,7) 및 슬라이드 부재(4)도 완만하게 작용하여 조작상태에서 초기상태로 전환된다. 이 결과, 레버(2)의 되돌림시의 충격음, 슬라이드 부재(4)나 로크 로드(6,7)의 슬라이드 이동의 정지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충격음을 완화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1쌍의 로크 로드(6,7)가 구성된 경우에도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거나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크장치는 청구항 1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는 이상의 설명을 참고로 하여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용의 베이스(1)에 레버 등의 각 부재를 조립하고, 베이스(1)를 도시하지 않은 덮개체 측에 고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베이스(1)에 상당하는 개소를 덮개체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로크 로드(6,7)를 가지는 구성이지만, 도 4나 도 5를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로크 로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1 - 베이스 10 - 지지판
11 - 측판 14,15 - 가이드부
2 - 레버 20 - 본체
21 - 압압편 25 - 커버
24,26 - 투공 3 - 작용기어
30 - 판체 30 - 몸통부
32,34,35 - 톱니부 4 - 슬라이드 부재
42 - 경사홈 46 - 끼워맞춤홈
47 - 래크 5 - 회전 댐퍼
50 - 케이스 51 - 부착부
52 - 제동축 53 - 기어
6 - 로크 로드 6a - 선단부
6b - 후단부 7 - 로크 로드(또 하나의 로드에 상당)
7a - 선단부 7b - 후단부
8 - 탄지부재 8a - 일단
8b - 타단 8c - 코일부
9 - 스프링 부재 9a - 일단
9b - 타단 9c - 코일부
21 - 압압편(압압부에 상당) 55 - 실린더

Claims (6)

  1. 본체 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지력 또는 자중(自重)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에서 조작상태로 전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로크 로드와; 제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를 상기 로크 로드를 통해서 본체 측에 로크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언로크로 전환하는 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이 기어가 달린 제동축을 가지며, 상기 레버에 대해서 이 레버의 회동중심과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레버와 상기 로크 로드를 제동하는 회전 댐퍼이고,
    상기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기어를 상기 로크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또한 상기 레버의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용기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형성된 압압부에 의해서 상기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크 로드를 연동시켜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경사홈 및 상기 작용기어를 회동시키는 래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래크에 맞물리는 래크용 톱니부에 비해서 상기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리는 댐퍼용 톱니부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래크에 맞물리는 래크용 톱니부에 비해서 상기 회전 댐퍼의 기어에 맞물리는 댐퍼용 톱니부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로드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작용기어와 연동하는 또 하나의 로크 로드를 가지며, 양 로크 로드가 서로 이간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걸림위치와 서로 접근한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어는 상기 또 하나의 로크 로드에 형성된 래크에 맞물리는 로크 로드용 톱니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KR1020140136701A 2013-10-16 2014-10-10 로크장치 KR101601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5689A JP6227370B2 (ja) 2013-10-16 2013-10-16 ロック装置
JPJP-P-2013-215689 2013-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385A true KR20150044385A (ko) 2015-04-24
KR101601501B1 KR101601501B1 (ko) 2016-03-08

Family

ID=5282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701A KR101601501B1 (ko) 2013-10-16 2014-10-10 로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14946B2 (ko)
EP (1) EP3059363B1 (ko)
JP (1) JP6227370B2 (ko)
KR (1) KR101601501B1 (ko)
CN (1) CN105899744B (ko)
WO (1) WO2015056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497B1 (en) * 2014-04-22 2018-09-26 Schukra Gerätebau GmbH Latch actuator and method of actuating a latch
JP6413937B2 (ja) * 2015-06-05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リッド装置
JP6599830B2 (ja) 2016-09-08 2019-10-30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6787818B2 (ja) * 2017-03-02 202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収納部のドア構造
CN110546398B (zh) * 2017-03-31 2021-06-29 株式会社利富高 单向缓冲机构
CN109322594B (zh) * 2017-08-01 2020-07-10 佛山市铠美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衣柜
NZ762892A (en) 2017-08-08 2022-09-30 Schlage Lock Co Llc Door hardware noise reduction and evaluation
CN107662577B (zh) * 2017-11-01 2023-06-13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轻便锁车装置
US20200392772A1 (en) * 2017-12-21 2020-12-17 Southco, Inc. Door latch
US11492824B2 (en) * 2018-02-01 2022-11-08 Nifco America Corp. Latch assembly for glovebox
JP2021155908A (ja) * 2018-04-13 2021-10-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ハンドル装置
JP7309146B2 (ja) * 2019-06-07 2023-07-18 朝日電装株式会社 燃料タンクキャップのロック装置
DE102019127758B4 (de) * 2019-10-15 2023-08-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US11503909B2 (en) * 2020-06-11 2022-11-22 Cis Global Llc Self closing drawer assembly with dual-cam closing mechanism
CN116494877B (zh) * 2023-06-29 2023-09-12 南昌华翔汽车内外饰件有限公司 一种应用在汽车仪表板上的按压式储物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79A (ja) * 1996-12-25 1998-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ドア装置
JP2012002020A (ja) 2010-06-18 2012-01-05 Piolax Inc 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3440A1 (fr) * 1977-09-16 1979-04-13 Laperche Sa Serrure a penes multiples perfectionnee
US4476700A (en) * 1982-08-12 1984-10-16 King David L Bolt lock for a sliding patio door
JPH01148467U (ko) 1988-03-19 1989-10-13
JP3079611B2 (ja) * 1991-03-29 2000-08-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リツドロツク装置
US5826922A (en) * 1997-03-13 1998-10-27 Silicon Graphics, Inc. Rotary latch assembly for a computer housing
US20010037702A1 (en) 1999-02-22 2001-11-08 Donald L Wood Door handle assembly with fluid damped inertial resistance
DE19907683A1 (de) 1999-02-23 2000-08-31 Itw Ateco Gmbh Türinnenbetätigung für Automobile
JP3519993B2 (ja) * 1999-07-08 2004-04-1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JP2001262919A (ja) * 2000-03-17 2001-09-26 Piolax Inc リッドの開閉操作装置
US6598913B2 (en) * 2001-03-01 2003-07-29 Adac Plastics, Inc. Flush motor vehicle door handle
JP2002331875A (ja) * 2001-05-11 2002-11-19 Piolax Inc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におけるリッドの開閉装置
US7185927B2 (en) * 2002-04-07 2007-03-06 Southco, Inc. Glovebox latch
AUPS232802A0 (en) * 2002-05-16 2002-06-13 Inovec Pty Ltd Electronic dead bolt arrangement
DE10231329A1 (de) * 2002-07-11 2004-0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mit zwei Riegelstangen,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7421868B2 (en) * 2003-03-19 2008-09-09 Mul-T-Lock Technologies Ltd. Enhanced extendable multipoint lock
US6994383B2 (en) * 2003-04-10 2006-02-07 Von Morris Corporation Cremone bolt operator
KR100535763B1 (ko) * 2003-1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US6983962B2 (en) * 2003-12-10 2006-01-10 Inovec Pty Ltd. Deadlock arrangement for locks
JP4509585B2 (ja) 2004-01-26 2010-07-2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
CN101103162B (zh) * 2005-01-18 2011-09-07 小岛冲压工业株式会社 手套箱用开闭锁定装置
US20060208495A1 (en) * 2005-03-05 2006-09-21 Robin Talukdar Glove box latch
JP4699160B2 (ja) * 2005-10-03 2011-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US7083206B1 (en) * 2005-10-07 2006-08-01 Industrial Widget Works Company DoubleDeadLock™: a true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lock with optional automatic deadbolt locking when a door is latched
WO2007055204A1 (ja) * 2005-11-08 2007-05-18 Nifco Inc. 引き込み機構
WO2008069248A1 (ja) * 2006-12-08 2008-06-12 Nifco Inc. 引き込み機構及び取り付け構造
EP1990488A1 (en) * 2007-05-07 2008-11-12 Joseph Talpe Lock mechanism for a hinged leaf of a double door or gate
CN101245679B (zh) * 2008-03-06 2010-06-16 庄子平 一种门窗锁具的双向传动器
US8763836B2 (en) * 2008-12-08 2014-07-01 Becklin Holdings, Inc. Modular equipment case with sealing system
JP5629131B2 (ja) * 2010-06-09 2014-11-19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KR101198666B1 (ko) * 2010-08-31 2012-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의 인출식 아웃사이드 핸들
JP5756660B2 (ja) * 2011-03-23 2015-07-29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装置
CN202090722U (zh) * 2011-04-21 2011-12-28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模组快速安装锁
JP5823792B2 (ja) 2011-09-22 2015-11-25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US8690204B2 (en) * 2011-11-23 2014-04-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assembly with normal deployment
US8701327B2 (en) * 2012-05-29 2014-04-22 Abrams Airborne Inc. Enhanced throw lever
JP5940507B2 (ja) * 2013-10-31 2016-06-29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装置
JP5940508B2 (ja) * 2013-10-31 2016-06-29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装置
JP5875570B2 (ja) * 2013-10-31 2016-03-02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装置及びリッドロック機構
JP5940509B2 (ja) * 2013-10-31 2016-06-29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79A (ja) * 1996-12-25 1998-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ドア装置
JP2012002020A (ja) 2010-06-18 2012-01-05 Piolax Inc 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9363B1 (en) 2018-09-19
WO2015056627A1 (ja) 2015-04-23
JP2015078519A (ja) 2015-04-23
CN105899744B (zh) 2018-08-28
CN105899744A (zh) 2016-08-24
US10214946B2 (en) 2019-02-26
EP3059363A1 (en) 2016-08-24
EP3059363A4 (en) 2017-08-09
US20160258195A1 (en) 2016-09-08
KR101601501B1 (ko) 2016-03-08
JP6227370B2 (ja)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501B1 (ko) 로크장치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2015135043A (ja) 錠装置及び建具
JP2869509B2 (ja) 垂直棒出入口装置における上部及び底部掛け金用汎用組立体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上部及び底部掛け金
JP4741927B2 (ja) 扉用錠前
KR101913935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JP2004308258A (ja) 引き戸用鎌錠
KR10142869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N110397349B (zh) 一种延迟双锁舌回弹的静音智能锁锁体
WO2023068038A1 (ja) ラッチ一体化ドア
JP3123373U (ja) 家具
JP4368565B2 (ja) 錠前の反転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JP4854073B2 (ja) 制動機構
JP5942105B2 (ja) ラッチ錠
JP4701884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3189843A (ja) ラッチ錠
JP2012112202A (ja) 車両用開閉扉の開閉操作装置
JP5942104B2 (ja) 建具用ラッチ錠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N216517409U (zh) 一种脚踏锁
KR102599754B1 (ko) 푸시풀 타입 도어락
JP7337227B2 (ja) 建具
JP6089299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4022903B2 (ja) 窓障子の開閉装置
JP4727082B2 (ja) 家具における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