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210A -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210A
KR20150039210A KR20157004308A KR20157004308A KR20150039210A KR 20150039210 A KR20150039210 A KR 20150039210A KR 20157004308 A KR20157004308 A KR 20157004308A KR 20157004308 A KR20157004308 A KR 20157004308A KR 20150039210 A KR20150039210 A KR 2015003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wer
unit
secondary batter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조 하타나카
히사시 츠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6281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392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Abstract

충전 시의 구동 부품의 작동 금지와, 충전 정지 시의 구동 부품의 작동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됨으로써, 충전 시의 구동 부품의 작동 정지 기능의 취급성을 향상시킨다. 휴대 기기(6)를, 이차 전지(3)와,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5)과, 외부 전력에 의해 이차 전지(3)를 충전하는 충전부(112)와,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을 구동 부품(5)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처리부)(124)와, 외부 전력의 충전부(112)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123)와, 외부 전력의 충전부(112)에의 입력이 검지부(123)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만 변압부(124)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122)를 갖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 {PORTABLE DEVICE, CHARGING SYSTEM, AND POWER SOURCE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충전 시에 구동 부품을 작동시키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차 전지의 충전 시에 구동 부품(이차 전지의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부품)을 작동시키지 않기 위해서(불필요한 방전 방지, 오작동 방지),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한 수동식 온/오프 기구(예를 들어, 특허문헌 1)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의해 충전 시의 구동 부품의 작동 정지를 실현하고 있었다.
상기 기구를 채용하면, 충전 시에 구동 부품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충전 동작 외에, 뭔가 액션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구동 부품이 휴대 전화인 경우, 충전 시에도 휴대 전화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8424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09-50795호 공보
그러나, 구동 부품의 사용 형태로서, 충전 시에 구동 부품이 작동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또는 충전 시에 구동 부품이 작동하지 않는 설정으로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의 경우, 기상 시에 귀에 보청기를 장착하고, 취침 시에 보청기를 빼내어 충전을 하는 사용 형태가 일반적이며, 취침 시, 즉, 충전 시에 보청기가 작동하지 않아도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이와 같은 경우, 충전 시에 구동 부품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충전 동작 외에, 어떠한 액션을 하는 것은 수고스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의 작동의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됨으로써, 충전 시의 구동 부품의 작동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킨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휴대 기기이며,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과,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상기 구동 부품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만 상기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다.
종래는, 이차 전지의 충전 중에 구동 부품을 작동시키지 않는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한 수동식 온/오프 기구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에 의해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실현하고 있었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동식 온/오프 기구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탑재하지 않아도,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시에 있어서의 각 구동 부품의 작동의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각 구동 부품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전환된다. 이에 의해,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휴대 기기의 취급성이 향상됨과 함께, 수동식이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소형화 및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 기기이며, 복수의 상기 구동 부품과, 이들 구동 부품의 각각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상기 변압부를 갖고,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정지시키는 특정한 구동 부품과, 작동시키는 구동 부품을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면서 필요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 기기이며, 상기 구동 부품으로서 보청 기능 부품을 갖고, 상기 보청 기능 부품에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출력하는 변압부가 상기 특정한 변압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는 사용의 가능성이 낮은 보청 기능 부품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면서 필요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상기 휴대 기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와 상기 변압부와 상기 검지부와 상기 전환 제어부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부와 변압부와 검지부와 전환 제어부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원칩화됨으로써, 휴대 기기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상기 휴대 기기에 있어서, 비접촉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충전부에 상기 외부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수전 모듈을 더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에 의한 급전을 행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이차 전지를 충전할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상기 휴대 기기에 있어서, 공진 현상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충전부에 상기 외부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수전 모듈을 더 갖고, 상기 충전부와 상기 변압부와 상기 검지부와 상기 전환 제어부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이, 다른 부위보다 작은 자계 강도로 되도록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해 형성된 자계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에 의한 급전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급전보다 장거리의 급전을 공진 현상의 채용에 의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이차 전지를 충전할 때의 설계 사양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와 변압부와 검지부와 전환 제어부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원칩화됨으로써, 휴대 기기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 모듈을 휴대 기기가 구비함으로써, 수전 모듈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을 출현시켜, 이 공간 부분을 집적 회로 기판의 배치 장소로서 유효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품의 배치 장소의 확보가 어려운 휴대 기기에 있어서도, 집적 회로 기판의 배치 장소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휴대 기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충전 시스템이며, 상기 휴대 기기와,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해 상기 수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듈을 가진 충전 장치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 기기의 수전 모듈과 충전 장치의 급전 모듈 사이에서 공진 현상을 야기할 정도까지, 휴대 기기를 충전 장치에 접근시킴으로써, 비접촉으로 휴대 기기의 이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충전 시에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휴대 기기의 각 구동 부품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금지된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 기기를 충전 장치에 적재하면, 구동 부품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금지하면서 이차 전지의 충전을 행할 수 있고, 휴대 기기를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하면, 구동 부품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허가하면서 이차 전지의 충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부품의 작동과 제휴한 이차 전지의 충전 및 충전 정지를, 휴대 기기를 충전 장치에 조립하거나 적재하는 등의 간단한 취급 조작에 의해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전 시스템이며, 상기 휴대 기기는, 당해 휴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기능 부품을 상기 구동 부품으로서 갖고,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급전 모듈이 상기 수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 기능 부품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한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특정한 구동 부품을 정지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면서,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기기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의 충전량이나 온도 등의 충전 정보를 충전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완료의 타이밍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전원 회로 기판이며,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구동 부품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만 상기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다.
종래는, 이차 전지의 충전 중에 구동 부품을 작동시키지 않는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한 각종 기기에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한 수동식 온/오프 기구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에 의해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실현하고 있었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원 회로 기판을 기기에 탑재하기만 하면, 이차 전지를 전원으로 한 모든 종류나 형태의 기기에 대하여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동식이나 자동식 온/오프 기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기기의 소형화 및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 기판이며, 복수의 상기 변압부를 갖고,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정지시키는 특정한 구동 부품과, 작동시키는 구동 부품을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면서 필요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이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원 회로 기판이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원칩화됨으로써, 이 전원 회로 기판을 탑재한 휴대 기기 등의 기기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인체 장착 기기이며,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체 장착 기기의 취급을 용이화할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보청기이며,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청기의 취급을 용이화할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과, 비접촉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상기 구동 부품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갖는 휴대 기기의 상기 이차 전지에의 전력 공급 방법이며,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변압부가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할 때, 외부 전력의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에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할 때, 구동 부품의 작동을 금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충전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의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휴대 기기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방법이며, 상기 휴대 기기는, 복수의 상기 구동 부품과, 이들 구동 부품의 각각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상기 변압부를 갖고,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변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가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정지시키는 특정한 구동 부품과, 작동시키는 구동 부품을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면서 필요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전원 회로 기판이며,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처리부와, 상기 충전부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상기 처리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동식 온/오프 기구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탑재하지 않아도,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시에 있어서의 처리부의 작동의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처리부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전환된다. 이에 의해, 전원 회로 기판은,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휴대 기기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수동식이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소형화 및 제조의 용이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하나는, 휴대 기기이며,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과,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상기 구동 부품을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동식 온/오프 기구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탑재하지 않아도,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시에 있어서의 각 구동 부품의 작동의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각 구동 부품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전환된다. 이에 의해,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휴대 기기의 취급성이 향상됨과 함께, 수동식이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소형화 및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의 작동의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됨으로써, 충전 시의 구동 부품의 작동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킨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귀걸이형 보청기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전원 회로 기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원 회로 기판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4는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귀걸이형 보청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a는 모듈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모듈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충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충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전원 회로 기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0은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전원 회로 기판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12는 귀걸이형 보청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충전 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전원 회로 기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5는 전원 회로 기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6은 전원 회로 기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7은 전원 회로 기판의 상세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1)
(전원 회로 기판(1)의 구성)
먼저, 본 실시 형태 1의 전원 회로 기판(1)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 기판(1)은,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수전부(4)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급전된 교류 전력을 정류함으로써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정류ㆍ안정화부(111)와,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을 충전 전압으로, 전력을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3)에 공급하는 충전부(112)와,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변압부(처리부)(124)와, 충전부(112)에의 전력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123)와, 검지부(123)가 충전부(112)에의 전력의 입력을 검지하였을 때만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122)를 갖고 있다. 또한, 전원 회로 기판(1)은,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5)에 접속되어 있다.
수전부(4)는, 유선 급전 방식 및 무선 급전 방식 중 어느 방식이 채용되어도 된다. 무선 급전 방식으로서는, 전자기 유도 방식이나 전자계 공명 방식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차 전지(3)는, 충방전 가능한 전지에 대하여 모든 종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납 축전지, 제어 밸브식 납 축전지, 리튬ㆍ공기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중합체 전지, 인산철리튬 이온 전지, 리튬ㆍ황 전지, 티타늄산ㆍ리튬 전지, 니켈ㆍ카드뮴 축전지, 니켈ㆍ수소 충전지, 니켈ㆍ철 전지, 니켈ㆍ리튬 전지, 니켈ㆍ아연 전지, 충전식 알칼리 전지, 나트륨ㆍ황 전지, 레독스ㆍ플로우 전지, 아연ㆍ브롬 플로우 전지, 실리콘 전지 등을 이차 전지(3)로서 예시할 수 있다.
정류ㆍ안정화부(111)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ㆍ안정화 IC를 사용할 수 있다. 정류ㆍ안정화 IC는, 풀 브릿지 동기 정류, 전압 컨디셔닝 및 와이어리스ㆍ파워 제어, 전압ㆍ전류ㆍ온도의 이상에 대한 보호 기능 등의 각 기능을 원칩에 집적한 IC이다. 또한, 수전부(4)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직류 전력인 경우에는, 정류ㆍ안정화부(111)는 생략된다.
충전부(1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류/정전압 리니어ㆍ차저용 IC(충전 회로)이며, 충전 전류가 설정값의 소정 값까지 감소된 것을 통지하는 기능이나 타이머에 의한 충전 종료 기능, 서멀ㆍ피드백에 의한 충전 전류의 안정화 기능, 고전력 동작 시나 고주위온도 조건 하에 있어서의 칩 온도 제한 기능 등을 갖고 있다.
변압부(처리부)(124)는,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을 구동 부품(5)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변압부로서 기능하는 변압 회로이다. 변압부(처리부)(124)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압 용도로서는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적용 가능하고, 승압 및 강압의 용도로서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레귤레이터는, 반도체 소자에 의해 전류를 고속으로 온ㆍ오프하는 방식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처리부로서 변압부(124)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처리부는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모든 구성을 적용 가능하다.
검지부(123)는,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충전부(112)에 직류 전력이 출력된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 회로이다. 검지부(123)는, 트랜지스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부(123)는,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123a)를 정류ㆍ안정화부(111) 및 충전부(112) 간의 출력 전력선(1111)에 접속하고, 이미터 단자(123b)를 접지에 접속한다. 또한, 콜렉터 단자(123c)를 이차 전지(3)의 플러스측에 저항기를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함과 함께, 전환 제어부(122)의 입력 단자(122a)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직류 전력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지부(123)의 베이스 단자(123a)가 로우 레벨로 되어 이미터 단자(123b) 및 콜렉터 단자(123c) 간이 비도통 상태로 되기 때문에, 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가 전환 제어부(122)의 입력 단자(122a)에 입력되게 된다. 한편,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직류 전력이 출력 전력선(1111)을 통해서 충전부(112)에 송급되면, 베이스 단자(123a)가 하이 레벨로 되는 결과, 콜렉터 단자(123c) 및 이미터 단자(123b)가 도통 상태로 되어, 콜렉터 단자(123c)가 접지 전위의 로우 레벨 검지 신호로 변화된다. 이 결과,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충전부(112)에 직류 전력이 출력된 경우, 전환 제어부(122)의 입력 단자(122a)에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또한, 검지부(123)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환 제어부(122)는, 검지부(123)로부터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변압부(처리부)(124)를 정지 상태로 하는 한편, 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 하는 전환 제어 회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를 변압부(처리부)(124)의 정지 조건 및 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를 변압부(처리부)(124)의 작동 조건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를 변압부(처리부)(124)의 개시 조건 및 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를 변압부(처리부)(124)의 정지 조건으로 해도 된다.
구동 부품(5)은, 변압부(처리부)(124)가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기기이다. 구동 부품(5)으로서는, 모터, 스피커, 발광기, 표시기, 마이크로컴퓨터 등과 같이,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모든 종류의 기기가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전원 회로 기판(1)은, 이차 전지(3)의 충전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5)의 작동의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5)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 이차 전지(3)에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 가능한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전원 회로 기판(1)을,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고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회로 기판(1)은, 자동차(EV 포함함)나 오토바이, 항공기 등의 수송 기기에 적용되어도 되고, 후술하는 휴대 기기에 적용되어도 된다.
(휴대 기기(6): 전원 회로 기판(1)의 적용예)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 회로 기판(1)을 휴대 기기(6)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 기기(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 현상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 모듈(61)(수전부(4))과, 전력을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3)와, 상술한 전원 회로 기판(1) 및 제어부(125)를 내장한 제어 기판(63)과, 스피커나 발광 부품, 표시기 등의 출력부(65)(구동 부품(5))와, 마이크나 스위치 등의 입력부(66)(구동 부품(5))를 갖고 있다. 여기서, 『공진 현상』이란, 2개 이상의 코일이 공진 주파수에 있어서 동조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기기(6)는, 충전 장치(7)에 의해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충전 장치(7)는, 휴대 기기(6)의 수전 모듈(61)에 대하여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듈(7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6) 및 충전 장치(7)는, 급전 모듈(71)로부터, 수전 모듈(61)에 대하여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무선 전력 전송)하는 충전 시스템(8)을 구성하고 있다.
제어 기판(63)은, 전원 회로 기판(1) 및 제어부(125)를 실장하고 있으며, 출력부(65) 및 입력부(66)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25)는, 출력부(65)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과, 입력부(66)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과, 휴대 기기(6)의 구동 부품(5)의 사용 목적에 따른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전원 회로 기판(1) 및 제어부(125)를 포함하는 제어 기판(63)은, 다른 부위보다 작은 자계 강도로 되도록 공진 현상에 의해 형성된 자계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즉, 휴대 기기(6)는, 공진 현상을 이용한 급전 시에 있어서 수전 모듈(61)의 내측 위치나 근방 위치에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을 출현시켜, 이 공간 부분을 제어 기판(63)의 배치 장소로 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휴대 기기(6)는, 공간 부분에 배치된 제어 기판(63)에 있어서의 자계에 기인하는 와전류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오동작이나 소정 온도 이상의 발열이 방지되는 결과,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 기판(63) 외에, 이차 전지(3)나 출력부(65), 입력부(66)가 공간 부분(자계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수전 모듈(61)은, 수전 공진 코일(611) 및 전력 취출 코일(612)을 갖고 있다. 수전 공진 코일(611) 및 전력 취출 코일(612)에 사용되는 코일의 종류로서는, 스파이럴형이나 솔레노이드형, 루프형이 예시된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 기기(6)』는, 「핸드헬드(손으로 쥐는 것이 가능)」 및 「웨어러블(신체에 장착 가능: 인체 장착 기기)」의 어느 기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기기(6)는, 포터블 컴퓨터(랩탑,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나, 카메라, 음향 기기ㆍAV 기기(휴대 음악 플레이어, IC 레코더, 포터블 DVD 플레이어 등), 계산기(포켓 컴퓨터, 전자 계산기), 게임기, 컴퓨터 주변 기기(휴대 프린터, 휴대 스캐너, 휴대 모뎀 등), 전용 정보 기기(전자 사전, 전자 수첩, 전자 서적, 포터블 데이터 터미널 등), 휴대 통신 단말기, 음성 통신 단말기(휴대 전화, PHS, 위성 전화, 제3자 무선, 아마추어 무선, 특정 소전력 무선ㆍ퍼스널 무선ㆍ시민 라디오 등), 데이터 통신 단말기(휴대 전화ㆍPHS(피처폰ㆍ스마트폰), 포켓 벨 등), 방송 수신기(텔레비전ㆍ라디오), 휴대 라디오, 휴대용 TV, 원세그, 그 밖에 기기(손목 시계, 회중 시계), 보청기, 핸드헬드 GPS, 방범 버저, 회중 전등ㆍ펜라이트, 전지 팩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는 귀걸이형 보청기, 귓속형 보청기, 안경형 보청기를 예시할 수 있다.
(충전 장치(7))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기기(6)에 대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7)는, 휴대 기기(6)를 적재 가능한 충전대를 갖고 있다. 또한, 충전 장치(7)는, 충전대에 적재된 휴대 기기(6)에 대하여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듈(71)을 구비하고 있다. 급전 모듈(71)은,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전력 공급 코일(712)을 구비하고 있다.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전력 공급 코일(712)에 사용되는 코일의 종류로서는, 스파이럴형이나 솔레노이드형, 루프형이 예시된다. 또한, 충전 장치(7)는, 급전 모듈(71)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72)와, 전원부(72)를 제어하는 제어부(73)를 갖고 있다.
이 충전 장치(7)의 충전대에 적재함으로써, 충전 장치(7)가 구비하는 급전 모듈(71)과 휴대 기기(6)가 구비하는 수전 모듈(61)이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 장치(7)의 충전대에 휴대 기기(6)를 적재하기만 하면,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이 개시됨과 함께, 휴대 기기(6)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3)로부터 출력부(65)나 입력부(66) 등의 구동 부품(5)에의 전원을 오프로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7)의 충전대로부터 휴대 기기(6)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이 정지됨과 함께, 휴대 기기(6)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3)로부터 출력부(65)나 입력부(66) 등의 구동 부품(5)에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7)는, 휴대 기기(6)와 마찬가지로, 공진 현상을 이용한 급전 시에 있어서 급전 모듈(71)의 내측 위치나 근방 위치에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을 출현시켜, 이 공간 부분을 전원부(72)나 제어부(73)의 배치 장소로 한 구성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 기기(6) 외에 충전 장치(7)의 소형화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
다음에, 주로 휴대 기기(6)에 있어서 제어 기판(63)의 배치 장소로 되는 『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 기기(6)는,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을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 부분의 원하는 위치에의 형성은, 충전 장치(7)와의 위치 관계나 급전 상태, 내부 구성 등의 급전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6)는, 충전 장치(7)의 급전 모듈(71)에 있어서의 급전 공진 코일(711)로부터 수전 모듈(61)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611)에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할 때, 급전 모듈(71)에 있어서의 급전 공진 코일(711)과 수전 모듈(61)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이 원하는 위치 이외의 자계 강도보다 작은 자계 강도를 갖는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수전 모듈(61)의 충전 장치(7)측의 근방 위치에 『공간 부분』을 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전 모듈(61)의 배치 위치를 외벽 부재의 충전 장치(7)측의 선단부보다 약간 후방측에 설정함으로써, 외벽 부재의 선단부측을 제어 기판(63)의 배치 장소로서 확보할 수 있다.
『공간 부분』의 형성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충전 장치(7)의 급전 모듈(71)에 있어서의 급전 공진 코일(711)로부터 휴대 기기(6)의 수전 모듈(61)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611)에 대하여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할 때, 급전 모듈(71)에 있어서의 급전 공진 코일(7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전 모듈(61)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6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도록, 급전 모듈(71)에 있어서의 급전 공진 코일(711)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상기 형성 방법에 의하면, 공진 현상을 이용한 전력 전송을 행할 때, 급전 모듈(71)에 있어서의 급전 공진 코일(711)과 수전 모듈(61)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611)을 근접 배치함으로써, 급전 공진 코일(711)과 수전 공진 코일(611)의 결합의 강도를 나타내는 결합 계수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결합 계수가 높은 상태에서, 전송 특성 『S21』(급전 공진 코일(711)로부터 수전 공진 코일(611)에 전력을 송전할 때의 송전 효율의 지표로 되는 값)을 계측하면, 그 측정 파형은 저주파측과 고주파측으로 피크가 분리된다. 그리고, 이 고주파측의 피크 부근의 주파수로, 급전 공진 코일(711)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급전 공진 코일(7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전 공진 코일(6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급전 공진 코일(711)의 내주측에 발생하는 자계와 수전 공진 코일(611)의 내주측에 발생하는 자계가 서로 상쇄됨으로써,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내주측에, 자계에 의한 영향이 저감되어,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내주측 이외의 자계 강도보다 작은 자계 강도를 갖는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부분』의 다른 형성 방법으로서, 급전 공진 코일(711)로부터 수전 공진 코일(611)에 대하여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할 때, 급전 공진 코일(7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전 공진 코일(6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도록, 급전 공진 코일(711)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상기 형성 방법에 의하면, 공진 현상을 이용한 전력 전송을 행할 때, 급전 공진 코일(711)과 수전 공진 코일(611)을 근접 배치함으로써, 급전 공진 코일(711)과 수전 공진 코일(611)의 결합의 강도를 나타내는 결합 계수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결합 계수가 높은 상태에서, 전송 특성을 계측하면, 그 측정 파형은 저주파측과 고주파측으로 피크가 분리된다. 그리고, 이 저주파측의 피크 부근의 주파수로, 급전 공진 코일(711)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급전 공진 코일(7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수전 공진 코일(6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급전 공진 코일(711)의 외주측에 발생하는 자계와 수전 공진 코일(611)의 외주측에 발생하는 자계가 서로 상쇄됨으로써,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외주측에, 자계에 의한 영향이 저감되어,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외주측 이외의 자계 강도보다 작은 자계 강도를 갖는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부분』은,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에 관한 조정 파라미터를 변화시켜,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에 발생하는 자계 결합의 강도에 기초하여 크기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에 발생하는 자계 결합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함으로써 자계 공간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에 발생하는 자계 결합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함으로써 자계 공간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기기(6)의 사이즈에 최적의 『공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급전 공진 코일(711)의 배치 관계,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배치 관계를 조정 파라미터로 하고, 이 조정 파라미터를 변화시켜,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에 발생하는 자계 결합의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자계 공간의 크기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공간 부분』은,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형상을 조정 파라미터로 하고, 이 코일의 형상을 원하는 형상으로 변화시켜,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 및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 결합의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형상이 원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을 원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자계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자계 공간을 코일의 형상을 따른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부분』은, 급전 공진 코일(711)과 전력 공급 코일(712) 사이의 제1 거리, 및 전력 취출 코일(612)과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의 제2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 파라미터로 하고, 이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크기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급전 공진 코일(711)과 전력 공급 코일(712) 사이의 제1 거리, 및 전력 취출 코일(612)과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의 제2 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함으로써, 자계 결합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여 자계 공간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급전 공진 코일(711)과 전력 공급 코일(712) 사이의 제1 거리, 및 전력 취출 코일(612)과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의 제2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자계 결합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여 자계 공간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부분』은, 수전 공진 코일(611) 및 급전 공진 코일(711)의 대향면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의 면을 덮도록 자성 부재를 배치하고, 급전 공진 코일(711)과 수전 공진 코일(611) 사이에서 자계를 변화시켜 전력 전송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당해 원하는 위치 이외의 자계 강도보다 작은 자계 강도를 갖는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자성 부재는, 수전 공진 코일(611)의 내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수전 공진 코일(611)의 내주측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차단하여, 수전 공진 코일(611)의 내주측에 비교적 작은 자계 강도를 갖는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성 부재는, 급전 공진 코일(711) 및 수전 공진 코일(611)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수전 공진 코일(611)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의 면 부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차단하여, 수전 공진 코일(611)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의 면 부근에 비교적 작은 자계 강도를 갖는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6)는, 상술한 공간 부분의 형성 방법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전 모듈(61)의 내측이나 근방의 원하는 위치에 자계 강도가 작은 자계 공간을 『공간 부분』으로서 의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공간 부분』의 크기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휴대 기기(6)는, 수전 모듈(61)의 설치 형태에 따라 원하는 공간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청기)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기기(6)가 인체 장착 기기인 보청기에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보청기의 일례로서 귀걸이형 보청기(9)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청기로서, 포켓형(상자형) 보청기, 귀걸이형 보청기(BTE), 귓속형 보청기(ITE), 커널형 보청기(ITC), CIC형 보청기(CIC), 오픈 이어형 보청기, RIC형 보청기(RIC), 골전도형 보청기, 매립형 보청기가 예시된다. 또한, 인체 장착 기기로서는, 상기 보청기나 음악 플레이어 등과 같이 귀에 장착하는 기기나, 아이 웨어(안경 등)에 포터블 컴퓨터를 탑재한 기기처럼, 얼굴에 장착하는 기기나, 손목 시계와 같이 팔에 장착하는 기기, 그리고, 인체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의료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보청기: 귀걸이형 보청기(9))
귀걸이형 보청기(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귓바퀴에 장착되는 보청기 본체(91)와, 귓구멍 개구 또는 그 근방에 접촉되는 이어몰드(92)와, 보청기 본체(91)와 이어몰드(92)를 연결하는 연결부(93)와, 전원 회로 기판(1) 및 제어부(125)를 구비한 제어 기판(63)과, 제어 기판(63)에 접속된 출력부(65) 및 입력부(66)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부(65)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651) 등이다. 입력부(66)는 음량 레벨이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661)이나, 외부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 마이크 등이다.
보청기 본체(91)는, 꼭대기부로부터 저부에 걸쳐 귓바퀴의 뿌리부에 따르도록 만곡된 육면체의 하우징(외벽 부재)을 갖고 있다. 즉, 보청기 본체(91)의 하우징은,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상면부(911d)와, 저부에 위치하는 저면부(911c)와, 헤드에 접촉하는 헤드 접촉면부(911a)와, 헤드 접촉면부(911a)에 대향 배치되며, 귓바퀴에 접촉하는 귓바퀴 접촉면부(911e)와, 귓바퀴의 뿌리부에 따라서 면 형상으로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부(911b)와, 내측 접촉면부(911b)에 대향 배치된 외측 면부(911f)를 갖고 있다. 또한, 보청기 본체(91)는, 헤드 접촉면부(911a)와 귓바퀴 접촉면부(911e)로 2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 접촉면부(911a)는 덮개로서 기능하고, 귓바퀴 접촉면부(911e)는 수용체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청기 본체(91)의 상면부(911d)에는, 연결부(93)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93)는,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93)의 타단부는, 이어몰드(9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귀걸이형 보청기(9)는, 보청기 본체(91)에 있어서 집음 및 확대된 음성을 스피커(651)로부터 연결부(93)를 통해서 이어몰드(92)에 출력하여, 귀걸이형 보청기(9)의 장착자에게 명료한 음성으로서 알아듣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청기: 귀걸이형 보청기(9) : 모듈 부품(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귀걸이형 보청기(9)는, 휴대 기기(6)에 상당하는 모듈 부품(10)을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모듈 부품(10)은, 공진 현상에 의해 수전하는 수전 기능과,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 기능과, 이차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을 행하는 충방전 기능과, 귀걸이형 보청기(9)의 각 부를 작동시키는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모듈 부품(1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제어 기판(63)과, 제어 기판(63)의 상면에 설치된 전원 회로 기판(1) 및 이차 전지(3)를 갖고 있다. 전원 회로 기판(1)은, 제어 기판(63)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원 회로 기판(1)은, 상술한 정류ㆍ안정화부(111) 등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제어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63)의 주위에는, 벽 부 재(101)가 설치되어 있다. 벽 부재(101)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벽 부재(101)의 외주면에는, 수전 공진 코일(611)과 전력 취출 코일(612)이 설치되어 있다. 수전 공진 코일(611) 및 전력 취출 코일(612)에는, 절연 피막을 구비한 동선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자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벽 부재(101)가 수전 공진 코일(611) 및 전력 취출 코일(612)의 내주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수전 공진 코일(611) 및 전력 취출 코일(612)의 내주측에 배치된 전원 회로 기판(1)을, 비교적 작은 자계 강도의 자계 공간에 존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제어 기판(63) 상에 설치된 전원 회로 기판(1)은, 수전 모듈(61)의 수전 시에 있어서의 자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벽 부재(101)의 내주측은, 전원 회로 기판(1) 및 제어 기판(63)을 덮도록, 수지가 충전 및 고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듈 부품(10)은, 전원 회로 기판(1) 및 이차 전지(3) 등이 충격이나 누수에 대하여 손상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제어 기판(63)의 단부면에는 단자부(631)가 돌출되어 있다. 단자부(631)는, 제어부(125)에 접속되고, 각종 제어 신호 단자나 GND 단자, 전원 단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631)는, 수형 커넥터로서 기능하고, 암형 커넥터(662)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662)는, 스피커(651) 등의 출력부(65) 및 조작 버튼(661)이나 집음 마이크 등의 입력부(66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듈 부품(10)에 의하면, 귀걸이형 보청기(9)를 제조나 수리할 때, 모듈 부품(10) 단위로 착탈함으로써 각 작업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또한 간단하게 제조나 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듈 부품(10)은, 사이즈나 형상, 단자부(631)를 규격화함으로써, 많은 종류의 보청기 등의 휴대 기기에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자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벽 부재(101)로 제어 기판(63)의 주위를 덮은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모듈 부품(10)의 하면(제어 기판(63)의 하면)을 자성 부재로 덮어도 되고, 모듈 부품(10)의 상면을 자성 부재로 덮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 기판(63) 상의 각 부품을, 더욱 작은 자계 강도의 자계 공간에 존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귀걸이형 보청기(9)에 대응한 충전 장치(7))
상기 귀걸이형 보청기(9)는, 귀걸이형 보청기(9)에 대응하는 충전 장치(7)에 의해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충전 장치(7)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걸이형 보청기(9)를 소정의 급전 자세로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대(13)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유 지지대(13)는, 귀걸이형 보청기(9)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13a)를 갖고 있다. 오목부(13a)는, 귀걸이형 보청기(9)를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은, 귀걸이형 보청기(9)가 오목부(13a)에 적재되었을 때, 귀걸이형 보청기(9)의 하측면이 오목부(13a)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접촉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대(13)의 오목부(13a)에 귀걸이형 보청기(9)를 적재하였을 때, 귀걸이형 보청기(9)를 오목부(13a)에 의해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보유 지지함으로써, 귀걸이형 보청기(9)의 수전 모듈(61)과 충전 장치(7)의 급전 모듈(71)의 거리 및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차 전지(3)의 충전 특성에 적응한 전압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대(13)의 오목부(13a)의 형상은 귀걸이형 보청기(9)에 적용한 경우의 예시이며, 보청기의 종류나 사이즈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다.
또한, 충전 장치(7)는, 보유 지지대(13)에 보유 지지된 귀걸이형 보청기(9)의 노출부(상면측)를 커버 가능한 커버 부재(14)를 갖고 있다. 커버 부재(14)는, 보유 지지대(13)의 상면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4)에는, 보유 지지대(13)에 보유 지지된 귀걸이형 보청기(9)의 수전 모듈(61)에 대하여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듈(71)이 설치되어 있다. 급전 모듈(71)은, 커버 부재(14)가 귀걸이형 보청기(9)의 노출부를 커버하였을 때, 귀걸이형 보청기(9)의 수전 모듈(6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14)로 귀걸이형 보청기(9)가 커버되었을 때만 충전이 행해지기 때문에, 커버 부재(14)로 귀걸이형 보청기(9)를 커버할지 여부를 충전 실행 중 및 충전 정지 중의 확인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충전 장치(7)는, 충전 실행 중 및 충전 정지 중의 구별을 커버 부재(14)의 개폐 형태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급전 모듈(71)은, 보유 지지대(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충전 장치(7)는, 귀걸이형 보청기(9)와 마찬가지로, 공진 현상을 이용한 급전 시에 있어서 급전 모듈(71)의 내측 위치나 근방 위치에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을 출현시켜, 이 공간 부분을 제어부(73) 등의 배치 장소로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귀걸이형 보청기(9) 외에 충전 장치(7)의 소형화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충전 장치(7)의 보유 지지대(13)의 오목부(13a)에 귀걸이형 보청기(9)를 적재함으로써, 충전 장치(7)가 구비하는 급전 모듈(71)과 귀걸이형 보청기(9)가 구비하는 수전 모듈(61)이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7)의 보유 지지대(13)에 귀걸이형 보청기(9)를 적재하기만 하면,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이 개시됨과 함께, 검지부(123)가, 충전 시에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충전부(112)에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검지하고,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를 전환 제어부(122)에 송신하고, 검지 신호(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를 수신한 전환 제어부(122)는, 변압부(처리부)(124)를 정지 상태로 함으로써, 귀걸이형 보청기(9)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3)로부터, 스피커(651) 등의 출력부(65) 및 조작 버튼(661)이나 집음 마이크 등의 입력부(661)(구동 부품(5))에의 전원을 오프로 할 수 있다. 즉, 충전 장치(7)에 대한 귀걸이형 보청기(9)의 설치 조작을 행하기만 하면, 충전의 개시를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보청 기능의 OFF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7)의 보유 지지대(13)로부터 귀걸이형 보청기(9)를 들어올림으로써,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이 정지됨과 함께, 검지부(123)가, 충전 정지 시에 정류ㆍ안정화부(111)로부터 충전부(112)에 직류 전력이 출력되고 있지 않음을 검지하고, 직류 전력이 출력되고 있지 않음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를 전환 제어부(122)에 송신하고, 검지 신호(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를 수신한 전환 제어부(122)는,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 함으로써, 귀걸이형 보청기(9)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3)로부터, 스피커(651) 등의 출력부(65) 및 조작 버튼(661)이나 집음 마이크 등의 입력부(661)(구동 부품(5))에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다. 즉, 충전 장치(7)에 대한 귀걸이형 보청기(9)의 제거 조작을 행하기만 하면, 충전의 정지를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보청 기능의 ON으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동식 온/오프 기구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탑재하지 않아도,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시에 있어서의 스피커(651) 등의 출력부(65) 및 조작 버튼(661)이나 집음 마이크 등의 입력부(661) 등의 구동 부품(5)의 작동 금지와,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의 스피커(651) 등의 출력부(65) 및 조작 버튼(661)이나 집음 마이크 등의 입력부(661) 등의 구동 부품(5)의 작동의 허가가,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전환된다. 이에 의해, 충전ㆍ구동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귀걸이형 보청기(9)(휴대 기기(6))의 취급성이 향상됨과 함께, 수동식이나 기계 접점에 의한 자동식 온/오프 기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귀걸이형 보청기(9)의 소형화 및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전부(112)와 변압부(처리부)(124)와 검지부(123)와 전환 제어부(122)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원칩화됨으로써, 귀걸이형 보청기(9)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에 의한 급전을 행함으로써, 귀걸이형 보청기(9)의 이차 전지(3)를 충전할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에 의한 급전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급전보다 장거리의 급전을 공진 현상의 채용에 의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귀걸이형 보청기(9)의 이차 전지(3)를 충전할 때의 설계 사양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 모듈(61)을 귀걸이형 보청기(9)가 구비함으로써, 수전 모듈(61)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자계가 작은 공간 부분을 출현시켜, 이 공간 부분을 전원 회로 기판(1)의 배치 장소로서 유효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품의 배치 장소의 확보가 어려운 귀걸이형 보청기(9)(휴대 기기(6))에 있어서도, 전원 회로 기판(1)의 배치 장소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귀걸이형 보청기(9)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귀걸이형 보청기(9)의 수전 모듈(61)과 충전 장치(7)의 급전 모듈(71) 사이에서 공진 현상을 야기할 정도로까지,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에 접근시킴으로써, 비접촉으로 귀걸이형 보청기(9)의 이차 전지(3)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충전 시에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귀걸이형 보청기(9)의 각 구동 부품(5)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금지된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에 적재하면, 구동 부품(5)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금지하면서 이차 전지(3)의 충전을 행할 수 있고,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로부터 분리하면, 구동 부품(5)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허가하면서 이차 전지(3)의 충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부품(5)의 작동과 제휴한 이차 전지(3)의 충전 및 충전 정지를,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에 조립하거나 적재하는 등의 간단한 취급 조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형 보청기(9)가 갖는 이차 전지(3)에의 충전 방법(전력 공급 방법)에서는, 전력의 충전부(112)에의 입력이 검지부(123)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변압부(처리부)(124)가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된다. 즉, 비접촉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3)를 충전할 때, 외부 전력의 충전부(112)에의 입력을 검지부(123)가 검지한 경우에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차 전지(3)를 충전할 때, 구동 부품(5)의 작동을 금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충전 시에 있어서의 구동 부품(5)의 정지 기능을 발휘시킬 때의 귀걸이형 보청기(9)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휴대 기기(6)를 충전 장치(7)에 설치함으로써 구동 부품(5)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면서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을 행하는 기능과, 휴대 기기(6)를 충전 장치(7)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구동 부품(5)에의 전력 공급을 행하면서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충전 시스템(8)에 있어서는,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에 설치한 타이밍에 충전 개시와 보청 기능의 OFF를 행하는 한편,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로부터 제거한 타이밍에 충전 정지와 보청 기능의 ON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6)나 충전 시스템(8), 전원 회로 기판(1)은, 상기 기능을 갖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6)를 충전 장치(7)에 설치함으로써 일부의 특정한 구동 부품(5)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면서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을 행하는 기능과, 휴대 기기(6)를 충전 장치(7)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특정한 구동 부품(5)에의 전력 공급을 행하면서 이차 전지(3)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기능을 항상 ON 상태로 유지하면서,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에 설치한 타이밍에 충전 개시와 보청 기능의 OFF를 행하는 한편, 귀걸이형 보청기(9)를 충전 장치(7)로부터 제거한 타이밍에 충전 정지와 보청 기능의 ON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에 실시 형태 2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 회로 기판(1)의 구성)
본 실시 형태 2의 전원 회로 기판(1)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ㆍ안정화부(111)와 충전부(112)와 검지부(123)와 전환 제어부(122)와 복수의 변압부(124)를 갖고 있으며, 전환 제어부(122)는, 복수의 변압부(12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124)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충전 시에 있어서 정지시키는 특정한 구동 부품(5)과, 충전 시에 있어서 작동시키는 구동 부품(5)을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유무에 의해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면서 필요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휴대 기기(6): 전원 회로 기판(1)의 적용예)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 회로 기판(1)을 휴대 기기(6)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구동 부품(5)이 상이한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동일한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기기(6)는, 이차 전지(3)와, 이차 전지(3)로부터 공급되는 상이한 전압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구동 부품(5)과,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을, 각 구동 부품(5)의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변압부(124)(제1 강압부(124a), 제2 강압부(124b), 승압부(124c))와, 복수의 변압부(12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124)(제1 강압부(124a), 제2 강압부(124b))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복수의 전환 제어부(1221ㆍ1222ㆍ1223)를 갖고 있다.
상기 각 전환 제어부(1221ㆍ1222ㆍ1223)는, 제1 강압부(124a)와 제2 강압부(124b)와 승압부(124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제어부(1221) 및 제1 강압부(124a)와, 전환 제어부(1222) 및 제2 강압부(124b)와, 전환 제어부(1223) 및 승압부(124c)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원칩 IC로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제어부(1221ㆍ1222)의 입력 단자(1221aㆍ1222a)는, 검지부(12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환 제어부(1223)의 입력 단자(1223a)는, 이차 전지(3)에만 접속되어 있고, 하이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강압부(124a) 및 제2 강압부(124b)는, 검지부(123)의 검지 신호에 의해 온ㆍ오프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편, 승압부(124c)는 항상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강압부(124a) 및 제2 강압부(124b)는, 이차 전지(3)의 단자 전압보다 강압시키는 강압 회로이며, 리니어 레귤레이터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적용 가능하다. 한편, 승압부(124c)는, 이차 전지(3)의 단자 전압보다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이며,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적용 가능하다.
제1 강압부(124a)는, 복수의 제1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에 접속되고, 이들 부품(51a 내지 51c)에 대하여 1.2V의 전력을 공급한다. 제2 강압부(124b)는, 제2 전압 구동 부품(52a)과 접속되고, 이들 부품(52a)에 대하여 1.8V의 전력을 공급한다. 승압부(124c)는, 제3 전압 구동 부품(53)에 접속되고, 제3 전압 구동 부품(53)에 대하여 5V의 전력을 공급한다. 이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은, 이차 전지(3)의 공칭 전압 외의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부품이다.
작동 전압이 1.2V인 제1 전압 구동 부품(51)으로서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부품이나 마이크로폰이 예시된다. 작동 전압이 1.8V인 제2 전압 구동 부품(52)으로서는, 오디오 코덱 부품이 예시된다. 작동 전압이 5V인 제3 전압 구동 부품(53)으로서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품이 예시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 기기(6)의 충전 중에 있어서는, DSP 부품이나 마이크로폰, 오디오 코덱 부품을 정지할 수 있는 한편,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품을 작동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품을 충전 정지 중에 작동시키지 않도록, 전환 제어부(1223)의 입력 단자(1223a)의 전단에, 입력 신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을 반전시키는 NOT 회로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휴대 기기(6)가 상이한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을 갖고 있어도, 제1 강압부(124a)와 제2 강압부(124b)와 승압부(124c)가 각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의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압하여, 이차 전지(3)의 전력을 각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에 각각 급전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6)를 동일한 작동 전압의 복수의 구동 부품(5)으로 구성한 경우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을 많은 작동 전압의 부품 중에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부품을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으로서 선택함으로써 휴대 기기(6)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충전 중에 있어서는, 제1 강압부(124a) 및 제2 강압부(124b)에 접속된 제1 및 제2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의 작동을 정지하여, 전력 소비를 저감함으로써, 이차 전지(3)에 대한 충전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강압부(124a)와 제2 강압부(124b)는, 각 부품의 특정 그룹마다 분산되어 배치된 그룹 변압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 『특정 그룹마다』란, 예를 들어 동일한 작동 전압의 부품군을 하나의 그룹으로 한 경우의 그룹마다나, 부품의 배치 장소의 그룹마다, 예를 들어 3층 구조의 기판이나 기판의 양면에 부품이 탑재되어 있으면, 각 층의 기판이나 각 면의 부품군의 그룹마다의 의미이다.
이에 의해, 휴대 기기(6)는, 제1 강압부(124a) 및 제2 강압부(124b)가 1개소에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각 부품의 근방에 그룹 변압부를 각각 배치하여 적절한 전압으로 전력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결과로서 그룹 변압부 및 부품간의 배선에 의한 전압 강하나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의 특정 그룹마다 그룹 변압부를 분산하여 배치함으로써, 노이즈나 전압 강하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변압부(124)의 회로 구성을 특정 그룹의 배치 장소나 내용에 따라서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승압부(124c)는, 단수의 제3 전압 구동 부품(53)에 대해서만 5V의 전력을 공급하는 개별 변압부로 되어 있다. 또한, 휴대 기기(6)는, 그룹 변압부와 개별 변압부의 양쪽을 가져도 되고, 그룹 변압부 및 개별 변압부 중 어느 한쪽을 가져도 된다.
휴대 기기(6)는, 공기 전지의 공칭 전압을 상회하는 공칭 전압을 가진 이차 전지(3)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이차 전지(3)는, 휴대 기기(6)가 귀걸이형 보청기(9) 등의 보청기인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차 전지(3)가 공기 전지의 공칭 전압을 상회하는 공칭 전압으로 충전 전력을 출력한 경우라도, 혹은 방전 시간에 대하여 전지 전압을 변화시킨 경우라도, 변압부(124)가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을 각 구동 부품(5)의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각각 출력함으로써, 각 구동 부품(5)을 공기 전지로 작동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을 사용하여 각 구동 부품(5)을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종래의 공기 전지를 채용한 휴대 기기(6)와 동등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휴대 기기(6)의 고소비 전력화에 의해 이차 전지(3)가 단기간에 소모되어도, 재충전에 의해 휴대 기기(6)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차 전지(3)의 교환 작업을 빈번하게 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 전지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구조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결과로서 휴대 기기(6)의 구조의 간단화 및 방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공칭 전압』이란, 전지를 통상의 상태에서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단자간의 전압의 기준으로서 정해져 있는 값이며, 만충전에 가까운 전지에서는, 공칭 전압보다 높은 단자 전압이 얻어지지만, 방전이 진행된 경우나, 부하에 큰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는, 공칭 전압보다 낮은 단자 전압으로 된다. 공기 전지의 공칭 전압은, 1.2V 내지 1.4V이다. 또한, 니켈 수소 이차 전지의 공칭 전압도, 공기 전지와 마찬가지로, 1.2V 내지 1.4V이다. 공칭 전압이 공기 전지의 공칭 전압을 상회하는 이차 전지(3)로서는, 납 축전지, 제어 밸브식 납 축전지, 리튬ㆍ공기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중합체 전지, 이산화망간 리튬 이차 전지, 티타늄산 카본 리튬 이차 전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중합체 전지의 공칭 전압은 3.6V 내지 3.7V이다. 이산화망간 리튬 이차 전지의 공칭 전압은 3.0V이다. 티타늄산 카본 리튬 이차 전지의 공칭 전압은 1.5V이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의 『방전 종지 전압』과 『충전 종지 전압』의 전압 범위는 2.7V 내지 4.2V이다. 『방전 종지 전압』이란, 안전하게 방전을 행할 수 있는 방전 전압의 최저값의 전압이며, 『충전 종지 전압』이란 안전하게 충전을 행할 수 있는 충전 전압의 최고값의 전압이다.
이차 전지(3)는 리튬 이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리튬 이온 전지의 공칭 전압이 3.6V 내지 3.7V의 범위이기 때문에, 공기 전지나 니켈 수소 이차 전지의 공칭 전압인 1.2V 내지 1.4V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지 전압이 방전에 수반되어 4.2V 정도로부터 2.7V 정도로 저하되는 방전 특성을 나타내게 되지만, 공기 전지나 니켈 수소 이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 전지나 니켈 수소 이차 전지를 사용한 경우보다 휴대 기기(6)를 보다 오랜 시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6)는, 이차 전지(3)의 공칭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이차 전지(3)용 전용 부품(54)을 구동 부품(5)으로서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전지(3)가 리튬 이온 전지인 경우, 전용 부품(54)은, 리튬 이온 전지의 공칭 전압인 3.6V 내지 3.7V 정도에서 작동하는 마이크로컴퓨터(제어부(125))이다. 전용 부품(54)인 마이크로컴퓨터는, 이차 전지(3) 등의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제1 내지 제3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ㆍ53)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는, 충전 중에 있어서는 일정 시간마다 충전 응답 신호를 충전 장치(7)에 송신함으로써, 충전 중이라는 취지를 충전 장치(7)에 대하여 송신하는 기능이나, 이차 전지(3)의 온도 데이터 등의 상태 데이터를 충전 장치(7)에 송신하는 기능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전용 부품(54)은 이차 전지(3)에 직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차 전지(3)의 단자 전압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전용 부품(54)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전용 부품(54)용 변압부(124)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전용 부품(54)에 대한 변압부(124)에 의한 전력 공급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모든 구동 부품(5)에 대하여 변압부(124)를 통해서 전력 공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변압부(124)의 전력 공급 능력을 낮게 하여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용 부품(54)은, 리튬 이온 전지의 충전 종지 전압으로부터 방전 종지 전압의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충전 장치(7)ㆍ충전 시스템(8))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기기(6)에 대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7)는, 충전대와 급전 모듈(71)과 전원부(72)와 제어부(73)를 갖고 있다. 충전 장치(7) 및 휴대 기기(6)는 충전 시스템(8)을 구성하고 있다.
충전 장치(7)는, 표시부(74)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75)와 자외선 발광부(76)를 갖고 있다. 표시부(74)는, 액정 표시 장치나 LED 어레이 등을 포함하고 있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4)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74)는, 휴대 기기(6)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3)의 충전량이나 온도, 충전 시간 등의 충전에 관한 충전 정보를 표시하거나, 충전 중이나 살균 중 등의 충전 장치(7)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거나, 휴대 기기(6)의 유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75)는, 휴대 기기(6)의 구동 부품(53)인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 거리는, 충전 장치(7)에 적재된 휴대 기기(6)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간에서만 무선 통신을 확립하여 혼선을 피하도록, 소정 거리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전 시스템(8)의 휴대 기기(6)는, 휴대 기기(6)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통신 기능 부품)를 제3 구동 부품(53)으로서 갖고 있다. 또한, 충전 시스템(8)의 충전 장치(7)는, 급전 모듈(71)이 수전 모듈(61)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때, 휴대 기기(6)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75)(통신부)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75)에서 수신한 상태 데이터에 기초한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4)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충전 시스템(8)은, 충전 시에 있어서 특정한 구동 부품(제1 및 제2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을 정지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면서,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기기(6)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3)의 충전량이나 온도 등의 충전 정보를 표시부(74)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완료의 타이밍을 용이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외선 발광부(76)는, 휴대 기기(6)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출사하는 광원과, 자외선을 휴대 기기(6)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커버 부재(14)의 내면이나 보유 지지대(13)에 설치된 미러 등의 반사 기구를 갖고 있다. 자외선 발광부(76)는, 제어부(73)에 의해 자외선의 출사 및 출사 정지가 제어되고 있다. 즉, 자외선 발광부(76)는, 충전 중에 있어서만 자외선을 출사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는, 충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정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는, 자외선에 의한 휴대 기기(6)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광부(76)는, 커버 부재(14)가 보유 지지대(13)로부터 열려 있는 경우에는 자외선을 출사하지 않도록, 커버 부재(14)와 보유 지지대(13)에 전력선의 단자를 각각 설치하고, 커버 부재(14)가 보유 지지대(13)에 닫혔을 때 단자끼리가 접촉하여 자외선 발광부(76)의 광원에 전력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 장치(7)는, 휴대 기기(6)를 알코올이나 물로 세정할 수 있는 세정 기구를 가져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충전 시스템(8)의 동작)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전 시스템(8)은, 충전 장치(7)로부터의 외부 전력의 충전부(112)에의 입력이 검지부(123)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복수의 변압부(124)(제1 강압부(124a), 제2 강압부(124b), 승압부(124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124)(제1 강압부(124a), 제2 강압부(124b))가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되는 이차 전지(3)에의 전력 공급 방법을 실현하고 있다. 이 전력 공급 방법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8)의 동작을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충전 장치(7)는 가정용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우선, 충전 장치(7)의 제어부(73)가 충전을 개시할지 여부를 판정한다(S1). 충전을 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S1: "아니오"), S1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대기 상태로 된다. 휴대 기기(6)가 충전 장치(7)의 보유 지지대(13)에 적재되고, 커버 부재(14)가 닫히면, 충전 장치(7)의 제어부(73)가 전원부(72)의 전압 변화나 도시하지 않은 검지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을 개시하기 위한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표시부(74)에 있어서, 충전을 개시한다는 취지를 표시한다(S1: "예").
다음에, 급전 모듈(71)로부터 수전 모듈(61)에의 무선에 의한 전력 공급이 행해짐으로써, 정류ㆍ안정화부(111) 및 충전부(112) 간의 전압이 상승하면, 이 상승을 검지한 검지부(123)가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를 전환 제어부(1221ㆍ1222)에 송신하고, 제1 강압부(124a) 및 제2 강압부(124b)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전압 구동 부품(51a 내지 51cㆍ52a)의 작동을 금지 상태로 한다. 한편, 전환 제어부(1223)에는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전환 제어부(1223)에 접속된 승압부(124c) 및 승압부(124c)에 접속된 제3 전압 구동 부품(53)은, 작동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제3 전압 구동 부품(53)인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전용 부품(54)인 마이크로컴퓨터는, 이차 전지(3)의 충전 중에 있어서도 작동함으로써, 휴대 기기(6) 및 충전 장치(7) 간의 통신이 확립된다(S2). 그리고, 휴대 기기(6)의 각종 데이터가 소정 시간마다 취득됨과 함께, 취득될 때마다 충전 장치(7)에 송신됨으로써, 최신의 충전 정보가 표시부(74)에 표시된다(S3).
다음에, 자외선 발광부(76)의 광원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자외선이 출사된다. 자외선은, 충전 장치(7) 내의 휴대 기기(6)에 조사됨으로써, 휴대 기기(6)의 살균 처리를 행한다(S4). 이에 의해, 휴대 기기(6)는, 세균의 번식이 방지됨과 함께 세균에 의한 냄새가 제거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충전을 정지할지 여부가 판정된다(S5). 충전을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나 이차 전지(3)의 충전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경우, 이차 전지(3)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되는 등의 소정의 충전 정지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S5: "아니오"), 충전이 계속된다. 그리고, 상기 수전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충전이 정지되고(S5: "예"), 계속해서, 충전 전압의 취득 및 표시의 정지가 행해짐과 함께, 자외선의 출사가 정지됨으로써, 살균 처리가 정지된다(S6). 이 후, S1로부터 재실행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12)에의 전력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만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회로 기판(1)이나 휴대 기기(6)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원 회로 기판(1) 및 휴대 기기(6)는, 충전부(112)에 의한 이차 전지(3)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변압부(처리부)(124)나 구동 부품(5)을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변압부(124)는 처리부로서의 예시이며, 처리부는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모든 종류의 회로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 기판(1)은,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3)를 충전하는 충전부(112)와,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변압부(처리부)(124)와, 충전부(112)에 의한 이차 전지(3)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303)를 갖고 있다. 또한, 휴대 기기(6)는, 이차 전지(3)와, 이차 전지(3)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5)과,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3)를 충전하는 충전부(112)와, 충전부(112)에 의한 이차 전지(3)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구동 부품(5)을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303)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실시 형태 1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휴대 기기(6)는,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기(302)와, 발진기(302)로부터의 클럭 신호를 통과 및 차단하는 스위치부(301)와, 스위치부(301)에 접속된 구동 부품(5)을 갖고 있다. 구동 부품(5)은, 발진기(302)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디지털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부(301)는 기계적이나 전자적으로 온 오프하는 릴레이이다.
스위치부(301)는, 전환 제어부(122)의 출력부에 접속되어 있다. 전환 제어부(122)는, 검지부(123)에 접속되어 있고, 검지부(123)로부터 로우 레벨(또는 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스위치부(301)를 개방 상태로 하여 클럭 신호를 차단하여, 구동 부품(5)을 정지 상태로 하는 한편, 하이 레벨(또는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스위치부(301)를 폐쇄 상태로 하여 클럭 신호를 통과시켜, 구동 부품(5)을 작동 상태로 한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검지부(123)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부(11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검지부(123)는, 충전부(112)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이차 전지(3)를 충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충전 실행 시에 있어서 로우 레벨(또는 하이 레벨)의 검지 신호를 전환 제어부(122)에 출력하는 한편, 충전 정지 시에 있어서 하이 레벨(또는 로우 레벨)의 검지 신호를 전환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실행 상태 및 충전 정지 상태에 따른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 기능을 충전부(303)가 구비하고, 충전부(303)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전환 제어부(122)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검지부(123)가 불필요해져, 검지부(123)를 전원 회로 기판(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 기판(1) 및 휴대 기기(6)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부품(5)이 인에이블 단자(EN)(5a)를 갖고, 이 인에이블 단자(5a)의 입력 전압에 따라서 작동과 정지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는, 전환 제어부(122)의 출력부가 인에이블 단자(5a)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스위치부(301)가 불필요해져, 스위치부(301)를 전원 회로 기판(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 기판(1) 및 휴대 기기(6)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제어부(122)는, 출력부가 변압부(처리부)(124)에도 접속되어, 전환 신호의 출력처가 스위치부(301)나 구동 부품(5)의 인에이블 단자(5a)와 변압부(처리부)(124)로 선택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전환 제어부(122)의 출력처를 전환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중시한 완전 정지 모드와, 기동 시간을 중시한 스탠바이 모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전 정지 모드는, 전환 제어부(122)가 변압부(처리부)(124)를 정지시킴으로써, 구동 부품(5)에 대한 급전을 완전히 정지시켜 구동 부품(5)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모드이다. 한편, 스탠바이 모드는, 전환 제어부(122)가 변압부(처리부)(124)를 작동 상태로 유지하면서 스위치부(301)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구동 부품(5)의 작동을 정지하고, 구동 부품(5)에의 급전을 행해 둠으로써, 클럭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바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모드이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동 부품(5)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각 구동 부품(5)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완전 정지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를 구분지어 사용함으로써, 전원 회로 기판(1) 및 휴대 기기(6)의 기동 시간과 소비 전력을 최적의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전원 회로 기판(1)의 외부에 발진기(302) 및 스위치부(301)가 배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진기(302) 및 스위치부(301) 중 적어도 한쪽이 전원 회로 기판(1)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처리부로서 변압부(124)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회로 구성을 처리부로서 갖고, 이 처리부의 작동을 전환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 처리부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구성이면, 이 처리부를 전원 회로 기판(1) 내의 스위치부(301)에 의해 전환 제어해도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특징적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 1ㆍ2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고, 그 적용 범위는 가능한 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한 용어 및 어법은, 본 발명을 적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 시스템, 방법 등을 추고하는 것은 용이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청구 범위의 기재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이미 개시되어 있는 문헌 등을 충분히 참작할 것이 요망된다.
1: 전원 회로 기판
3: 이차 전지
4: 수전부
5: 구동 부품
6: 휴대 기기
7: 충전 장치
8: 충전 시스템
9: 귀걸이형 보청기
10: 모듈 부품
61: 수전 모듈
71: 급전 모듈
73: 제어부
74: 표시부
75: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76: 자외선 발광부
111: 정류ㆍ안정화부
112: 충전부
122: 전환 제어부
123: 검지부
124: 변압부(처리부)

Claims (17)

  1.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과,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상기 구동 부품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만 상기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구동 부품과, 이들 구동 부품의 각각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상기 변압부를 갖고,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품으로서 보청 기능 부품을 갖고,
    상기 보청 기능 부품에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출력하는 변압부가 상기 특정한 변압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와 상기 변압부와 상기 검지부와 상기 전환 제어부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접촉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충전부에 상기 외부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수전 모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진 현상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충전부에 상기 외부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수전 모듈을 더 갖고,
    상기 충전부와 상기 변압부와 상기 검지부와 상기 전환 제어부가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이, 다른 부위보다 작은 자계 강도로 되도록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해 형성된 자계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휴대 기기와,
    상기 수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모듈을 가진 충전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당해 휴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기능 부품을 상기 구동 부품으로서 갖고,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급전 모듈이 상기 수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 기능 부품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한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9.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구동 부품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만 상기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기판.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변압부를 갖고,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기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이 집적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기판.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원 회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장착 기기.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원 회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14.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처리부와,
    상기 충전부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상기 처리부를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기판.
  15.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과,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에 대한 충전이 행해질 때만 상기 구동 부품을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16.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부품과,
    비접촉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급전된 외부 전력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력을 상기 구동 부품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변압부와,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갖는 휴대 기기의 상기 이차 전지에의 전력 공급 방법이며,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변압부가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차 전지에의 전력 공급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복수의 상기 구동 부품과, 이들 구동 부품의 각각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상기 변압부를 갖고,
    상기 외부 전력의 상기 충전부에의 입력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변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한 변압부가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차 전지에의 전력 공급 방법.
KR20157004308A 2013-09-04 2014-05-29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 KR20150039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3130 2013-09-04
JPJP-P-2013-183130 2013-09-04
JPJP-P-2013-218842 2013-10-22
JP2013218842 2013-10-22
JP2014083538A JP6381947B2 (ja) 2013-09-04 2014-04-15 携帯機器、充電システム、及び、電源回路基板等
JPJP-P-2014-083538 2014-04-15
PCT/JP2014/064335 WO2015033628A1 (ja) 2013-09-04 2014-05-29 携帯機器、充電システム、及び、電源回路基板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210A true KR20150039210A (ko) 2015-04-09

Family

ID=5262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4308A KR20150039210A (ko) 2013-09-04 2014-05-29 휴대 기기, 충전 시스템, 및 전원 회로 기판 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218223B2 (ko)
EP (1) EP2876777B2 (ko)
JP (1) JP6381947B2 (ko)
KR (1) KR20150039210A (ko)
CN (1) CN104662768B (ko)
SG (1) SG11201501220RA (ko)
TW (1) TWI601431B (ko)
WO (1) WO20150336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00B1 (ko) * 2019-02-08 2020-07-20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청음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1947B2 (ja) * 2013-09-04 2018-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機器、充電システム、及び、電源回路基板等
JP2015073167A (ja) 2013-10-02 2015-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補聴器及び補聴器充電システム
US9993177B2 (en) 2014-08-28 2018-06-12 DePuy Synthes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operatively measuring anatomical orientation
US9661426B2 (en) 2015-06-22 2017-05-23 Gn Hearing A/S Hearing aid having combined antennas
JP6410678B2 (ja) * 2015-06-30 2018-10-24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源制御機構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補聴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CN105048648B (zh) * 2015-07-31 2017-11-14 上海卫星工程研究所 非接触式纳卫星搭载供电与单向信息传输系统和方法
US10511189B2 (en) * 2015-08-03 2019-12-17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medical device charging
EP3153056B1 (en) 2015-09-30 2018-12-05 Apple Inc. Case with magnetic over-center mechanism
US10335241B2 (en) 2015-12-30 2019-07-02 DePuy Synthe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operative measurements of anatomical orientation
US9554411B1 (en) * 2015-12-30 2017-01-24 DePuy Synthes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powering or communicating with sterile-packed devices
WO2017139556A1 (en) 2016-02-12 2017-08-17 Medos International Sarl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operatively measuring anatomical orientation
JP6665568B2 (ja) * 2016-02-12 2020-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JP6788435B2 (ja) * 2016-08-26 2020-11-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8036638A1 (en) 2016-08-26 2018-03-01 Sonova Ag Hearing device and hearing system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JP6922291B2 (ja) * 2017-03-17 2021-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受電装置、受電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US11089975B2 (en) 2017-03-31 2021-08-17 DePuy Synthes Product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operative accuracy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MX2019012390A (es) 2017-04-18 2020-01-23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con prevencion de sobrecalentamiento.
JP6985844B2 (ja) * 2017-08-09 2021-12-22 株式会社ダイヘン 電動工具
JP2020533939A (ja) * 2017-09-15 2020-11-19 ジーエヌ ヒアリング エー/エスGN Hearing A/S 充電式聴覚器具の非接触充電の方法
US10939216B2 (en) 2018-02-28 2021-03-02 Starkey Laboratories, Inc.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US10728642B2 (en) * 2018-02-28 2020-07-28 Starkey Laboratories, Inc. Portable case for modular hearing assistance devices
US11716580B2 (en) 2018-02-28 2023-08-01 Starkey Laboratories, Inc.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US11128966B2 (en) * 2018-06-08 2021-09-21 Serene Group, Inc. Charging and drying station for hearing aid device
CN108769856B (zh) * 2018-06-12 2021-02-2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建立单线连接的方法、装置、无线耳机及充电盒
CN109110184B (zh) * 2018-09-18 2024-04-12 深圳市坤兴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充电器贴膜机
US11172101B1 (en) 2018-09-20 2021-11-09 Apple Inc. Multifunction accessory case
US10908428B2 (en) * 2018-09-25 2021-02-02 Facebook Technologies, Llc Multiple-device system with multiple power and data configurations
CN112839684B (zh) * 2018-10-10 2023-10-03 瑟德韦夫公司 可穿戴设备的自动杀菌和充电
CN109658661B (zh) * 2018-12-10 2020-10-16 江苏科技大学 一种监管系统及其实现方法
US10911878B2 (en) 2018-12-21 2021-02-02 Starkey Laboratories, Inc. Modularization of components of an ear-wearable device
CN110149583A (zh) * 2019-05-27 2019-08-20 深圳市中德听力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助听器
CN112020044B (zh) * 2019-05-31 2021-10-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431185B1 (en) * 2019-08-05 2022-08-30 Amazon Technologies, Inc. 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CN112543404A (zh) * 2019-09-20 2021-03-23 深圳市中德听力技术有限公司 一种助听器的自动开关技术
CN110602586A (zh) * 2019-09-25 2019-12-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的杀菌消毒方法、充电盒及无线耳机设备
NL2023919B1 (en) 2019-09-30 2021-05-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er docking
JP7408404B2 (ja) 2020-01-14 2024-01-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装置及びカート型商品登録装置
KR102367276B1 (ko) * 2020-06-15 2022-02-24 테크기어 주식회사 무선 충전이 가능한 귓속 맞춤형 보청기 및 충전기 구조
KR20220023602A (ko) * 2020-08-21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2064197A (ja) 2020-10-13 2022-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二次電池充電システム、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集積回路、及び二次電池の充電方法
US20220149640A1 (en) * 2020-11-09 2022-05-12 Chen-Source Inc. Smart charging device with uv lamp sterilization and its control method
TWI786486B (zh) * 2020-12-10 2022-1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聽力輔助裝置
JP7103446B2 (ja) * 2021-01-26 2022-07-2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受電機器及び無線給電システム
TWI773153B (zh) * 2021-02-24 2022-08-01 低碳動能開發股份有限公司 行動電源放電控制裝置及放電控制方法
EP4093054A1 (en) * 2021-05-18 2022-11-23 Oticon A/s A method for charging at least one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aid system
DE102021206657A1 (de) 2021-06-28 2022-12-29 Sivantos Pte. Ltd. Verfahren, Gerät und Ladegerät
TWI790712B (zh) * 2021-08-13 2023-01-2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滅菌功能之電源供應器
US11419960B2 (en) * 2022-04-04 2022-08-23 Jian Chen Portable UV-sanitizing box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6479A1 (de) 1990-11-15 1992-05-21 Gimelli Produktions Ag Von einer aufladbaren batterie mit elektrischer energie versorgtes elektrisches geraet
JP3244725B2 (ja) * 1991-08-16 2002-01-07 松下電工株式会社 充電式電気機器
JP3359472B2 (ja) 1995-08-07 2002-12-24 京セラ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H09247930A (ja) * 1996-03-07 1997-09-19 Sony Corp 安定化電源回路
US5719528A (en) 1996-04-23 1998-02-17 Phonak Ag Hearing aid device
DE69633967T3 (de) * 1996-12-04 2008-10-09 Phona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ergielieferung zu einem Hörgerät
JPH11284560A (ja) 1998-03-27 1999-10-15 Nec Saitama Ltd 携帯電話装置の充電方式
US7003127B1 (en) 1999-01-07 2006-02-21 Sarnoff Corporation Hearing aid with large diaphragm microphone element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EP1142442A2 (en) 1999-01-07 2001-10-10 Sarnoff Corporation Hearing aid with large diaphragm microphone element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6674932B1 (en) * 2000-12-14 2004-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stable molecular mechanical devices with a middle rotating segment activated by an electric field for electronic switching, gating, and memory applications
US20020074633A1 (en) 2000-12-18 2002-06-20 Larson Lary R. Interconnection of active and passive components in substrate
US6791853B2 (en) * 2001-12-03 2004-09-14 Mobility Electronics, Inc. Dual input AC/DC power converter having a programmable peripheral power hub module
JP2004023975A (ja) 2002-06-20 2004-01-22 Sony Corp 電源装置
US7705558B2 (en) * 2003-10-31 2010-04-27 Denovo Research, Llc In situ rechargeable battery and charging stand
EP1432284A3 (en) 2003-12-30 2004-07-21 Phonak Ag Method to optimize energy consumption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EP1571255A1 (de) 2004-03-03 2005-09-07 SCA Hygiene Product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eines Dampfverlustes in einem geschlossenen System
DE102004059006A1 (de) 2004-12-08 2006-06-14 Audia Akust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den eines Akkumulators für ein Hörgerät
DE102005024227A1 (de) 2005-05-25 2006-11-30 Audia Akust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nduktiven Laden von Hörgeräten
JP2008048473A (ja) 2006-08-10 2008-02-28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器
DE102007009176A1 (de) * 2007-02-26 2008-09-04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vorrichtung mit einem speziellen Energieaufnahmesystem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2007013420A1 (de) * 2007-03-20 2008-10-02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vorrichtung mit spezieller Ladeschaltung
US20090010462A1 (en) * 2007-07-02 2009-01-08 Front Edge Technology, Inc. Compact rechargeable thin film battery system for hearing aid
JP2009021910A (ja) * 2007-07-13 2009-01-29 Rion Co Ltd 充電式補聴器とその充電装置
DE102008023352B4 (de) * 2008-05-13 2014-02-06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Hörgerät
JP2010034949A (ja) 2008-07-30 2010-02-12 Panasonic Corp 補聴器ユニット
JP2010063243A (ja) * 2008-09-02 2010-03-18 Nec Tohoku Ltd 電源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電子機器
CA2770800A1 (en) 2009-08-11 2011-02-17 Widex A/S A storage system for a hearing aid
JP5497381B2 (ja) * 2009-09-04 2014-05-2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
JP5016069B2 (ja) * 2010-01-12 2012-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JP5517200B2 (ja) * 2010-02-17 2014-06-11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力供給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EP2450840B1 (en) 2010-06-18 2013-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hared coil for inductive charging and hearing-aid-compliance requirements in mobile phones
FR2970831B1 (fr) * 2011-01-21 2013-08-23 St Microelectronics Rousset Recharge sans contact de la batterie d'un objet portable par un telephone
US9172252B2 (en) * 2011-04-21 2015-10-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732320B2 (ja) 2011-06-08 2015-06-1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端末及び充電システム
US8649541B2 (en) 2011-07-11 2014-02-11 Starkey Laboratories, Inc. Hearing aid with magnetostrictive electroactive sensor
KR20130035879A (ko)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30037909A (ko) 2011-10-07 201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의 키 입력 장치
JP6047911B2 (ja) 2011-12-22 2016-12-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101923585B1 (ko) * 2012-07-11 2018-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CN102810901A (zh) * 2012-07-30 2012-12-05 西南交通大学 基于燃料电池的通信电源系统
JP6513895B2 (ja) * 2013-02-20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その充電機器、携帯機器充電システム
JP6159610B2 (ja) * 2013-07-19 2017-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
JP6381947B2 (ja) * 2013-09-04 2018-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機器、充電システム、及び、電源回路基板等
JP2015073167A (ja) * 2013-10-02 2015-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補聴器及び補聴器充電システム
JP6604708B2 (ja) * 2013-10-02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補聴器
JP2022064197A (ja) * 2020-10-13 2022-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二次電池充電システム、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集積回路、及び二次電池の充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00B1 (ko) * 2019-02-08 2020-07-20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청음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1947B2 (ja) 2018-08-29
SG11201501220RA (en) 2015-04-29
EP2876777A1 (en) 2015-05-27
US11056920B2 (en) 2021-07-06
TWI601431B (zh) 2017-10-01
US20210313837A1 (en) 2021-10-07
US20190058359A1 (en) 2019-02-21
CN104662768B (zh) 2018-05-01
TW201517636A (zh) 2015-05-01
WO2015033628A1 (ja) 2015-03-12
JP2015109785A (ja) 2015-06-11
EP2876777A4 (en) 2016-03-16
US10218223B2 (en) 2019-02-26
EP2876777B2 (en) 2023-05-31
EP2876777B1 (en) 2018-06-27
CN104662768A (zh) 2015-05-27
US20160006292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3837A1 (en) Portable device, charging system, and power source circuit substrate
TWI591926B (zh) Circuit devices, power modules, portable machines, charging systems, body wearable devices and hearing aids
CN105594230B (zh) 助听器以及助听器充电系统
KR20160127056A (ko) 휴대 기기용 전원 장치, 휴대 기기 및 충전 장치
JP6159610B2 (ja) 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
JP6604708B2 (ja) 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