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969A -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969A
KR20150038969A KR20130117403A KR20130117403A KR20150038969A KR 20150038969 A KR20150038969 A KR 20150038969A KR 20130117403 A KR20130117403 A KR 20130117403A KR 20130117403 A KR20130117403 A KR 20130117403A KR 20150038969 A KR20150038969 A KR 2015003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lycarbonate resin
precision member
dihydroxy compound
aromatic di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찬
지준호
최우석
이은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8969A/ko
Priority to US14/499,552 priority patent/US10066055B2/en
Priority to CN201410523206.2A priority patent/CN104513389A/zh
Priority to JP2014200301A priority patent/JP6312250B2/ja
Publication of KR2015003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7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7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물에 넣고 방치한 용액을 IC(ion chromatography)로 검출 시,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이 각각 독립적으로 2 pp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미량의 불순물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서도 손상을 입는 정밀 부재를 손상 없이 보존 및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CONTAINER FOR PRECISION MEMB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량의 불순물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서도 손상을 입는 정밀 부재를 손상 없이 보존 및 운반하기 위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용기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여 내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전기/전자 부품 또는 장치와 같이 오염으로부터 격리가 엄격히 요구되는 정밀 부재 분야에도 이들 용기가 적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특히, 계면 중합을 통해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용기의 경우, 용기로부터 염소 이온 등이 휘발되고, IC 칩과 같은 반도체 재료 또는 실리콘 웨이퍼 등의 정밀 부재(제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통상의 정밀 부재 수납 용기(공정 외 웨이퍼 운송용기(FOSB: Front Opening Shipping Box) 등)는 포스겐 등의 염소를 포함하는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계면 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계면 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염소의 양을 최소화시키거나, 제품으로부터 휘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일본 등록특허 3785180호, 3966935호, 3995346호, 4356828호 등).
그러나, 계면 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염소의 양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고, 이렇게 염소의 양을 최소화시킨 수지를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염소 외에도 불소 이온(F-), 황산 이온(SO4 2 -), 및 150℃ 이상에서 휘발되는 가스에 의해 정밀 부재가 손상을 입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기존의 정밀 부재 수납 용기에 비해, 투명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휘발성 가스의 양을 최소화시킨 경제적인 정밀 부재 수납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 부재를 손상 없이 보존 및 운반할 수 있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인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형성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이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물에 넣고 방치한 용액을 IC(ion chromatography)로 검출 시,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이 각각 독립적으로 2 pp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가열 시 발생하는 가스를 HS-SPME GC/MS로 측정 시, 검출되는 피크(peak) 수가 25개 이하이고, 검출 면적 값이 3.5 × 107 Area/g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가 용융 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탄화수소기, -CO-, -S-, 또는 -SO2-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몰비(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디아릴카보네이트)는 1 : 0.9 내지 1.3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35,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으로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60 내지 100 kgfㆍ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및 1.2 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지수가 5 내지 80 g/1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용융 중합하여 중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중합물을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된 압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펠렛화된 압출물을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압출기는 끝단에 벤트(vent) 장비가 부설되어 벤트하면서 압출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용융 중합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 카보네이트를 중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고; 그리고 제조된 예비 중합체를 용융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량의 불순물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서도 손상을 입는 정밀 부재를 손상 없이 보존 및 운반할 수 있고, 경제적인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정밀 부재를 손상 없이 보존 및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박스 형태, 원통 형태, 통상적인 공정 외 웨이퍼 운송용기(FOSB: Front Opening Shipping Box)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료 35 g을 50 g의 물에 넣고, 50℃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흔들어 준 용액을 IC(ion chromatography)로 검출(migration test) 시,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이 각각 독립적으로 2 ppb 이하, 예를 들면, 0.2 내지 1.8 ppb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의 검출량이 각각 2 ppb를 초과하면, 각 이온이 휘발되어 정밀 부재를 오염 및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가 용융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탄화수소기, -CO-, -S-, 또는 -SO2-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탄화수소기"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고, "알킬기"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의미하며, 상기 "치환"은 수소 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이들의 조합 등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5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5의 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6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6의 시클로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10의 시클로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의 알콕실렌기, 할로겐산 에스테르기, 탄산에스테르기, -CO-, -S-, 또는 -SO2-이고,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디페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디토릴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 m-크레실카보네이트, 디나프틸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디부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카보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디페닐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몰비(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디아릴카보네이트)는 1 : 0.9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 : 0.95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미반응 단량체의 함량을 줄일 수 있고, 말단 구조의 함량에 의한 반응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의 용융 중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 카보네이트를 중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예비 중합체를 용융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비 중합체는 다단계 중합 과정 중 최종 중합체보다 낮은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예비 중합체는 2,000 내지 15,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예비 중합체의 제조는 통상적인 원료 혼합 공정을 통해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를 혼합한 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료 혼합 공정은 14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4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전환율은 70% 이상,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전환율은 6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합은 160 내지 300℃, 예를 들면 200 내지 300℃, 구체적으로 240 내지 290℃의 온도 및 0.1 내지 100 torr, 예를 들면 0.3 내지 50 torr의 압력에서, 예를 들면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2 단계 이상으로 구분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범위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내지 15,000 g/mol인 폴리카보네이트 예비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중합은 240 내지 300℃, 예를 들면 250 내지 290℃의 온도 및 0.1 내지 5 torr, 예를 들면 0.3 내지 2 torr의 압력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합 및 용융 중합은 촉매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용융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촉매, 알칼리 토금속 촉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촉매의 예로는 LiOH, NaOH, KOH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7 내지 1×10-4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료 4 g을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HS-SPME GC/MS(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로 측정(out-gas test) 시, 검출되는 피크(peak) 수가 25개 이하, 예를 들면, 15 내지 23개이고, 검출 면적 값이 3.5 × 107 Area/g 이하, 예를 들면, 3 × 106 내지 8 × 107 Area/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온에서 휘발될 수 있는 가스에 의한 정밀 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35,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으로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60 내지 100 kgfㆍcm/cm, 예를 들면 75 내지 90 kgfㆍcm/c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및 1.2 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지수가 5 내지 80 g/10분, 예를 들면 8 내지 30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출기는 끝단에 벤트(vent) 장비가 부설되어 벤트하면서 압출하는 것일 수 있다. 벤트 시,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의 양 및 아웃 가스(out-gas) 피크 검출 수 및 검출 면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용융 중합하여 중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중합물을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된 압출물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펠렛화된 압출물을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은 사출성형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출성형은 300℃ 내지 320℃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180 kg, 디페닐카보네이트(DPC) 202.7 kg, 및 촉매(KOH) 100 ppb(/BPA, 중량)를 혼합조에 차례로 첨가한 후, 질소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의 산소를 제거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160℃로 올려 원료를 녹인 후 190℃도까지 승온시켜 6시간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원료를 1번째 반응조로 연속 이송하여 220℃까지 승온 후, 압력을 70 torr로 1시간 유지하면서 2번째 반응조로 연속 이송하였다. 이때, 2번째 반응조의 조건은 온도 260℃, 압력 20 torr, 체류 시간 1시간이었다. 이후, 제3 중합조로 연속 이송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3 중합조 조건은 온도 265℃, 압력 5 torr, 체류 시간 1시간이었다. 다음으로, 예비 중합체를 제4 반응조로 연속 이송하여 용융 중합시켰다. 이때, 제4 반응조의 조건은 265℃, 압력 0.5 torr, 체류시간 1시간이었다. 이후, 최종 중합물을 압출기를 통해 펠렛(pellet)화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수율: 99%, 중량평균분자량: 25,000g/mol).
실시예 2
압출 시 압출기 끝단에서 벤트(vent)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수율: 99%, 중량평균분자량: 25,000 g/mol).
비교예 1
계면 중합으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조사: TEIJIN, 제품명: L-1250WP, 중량평균분자량: 25,000 g/mol)를 사용하였다.
물성 평가 방법
(1)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 검출량 측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료 35 g을 50 g의 물에 넣고, 50℃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흔들어 준 용액을 IC(ion chromatography)로 검출하였다.
(2) 아웃 가스(out-gas) 평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료 4 g을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HS-SPME GC/MS(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로 아웃 가스의 피크(peak) 수 및 검출 면적 값을 측정하였다.
(3) 아이조드 충격강도 평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1/8"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4) 용융지수 평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융지수(melt flow rate, MI)를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및 1.2 kg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압출 vent 유/무
Cl- 이온량(ppb) 1.0 0.9 2.1
F- 이온량(ppb) 0.3 0.2 0.5
SO4 2 - 이온량(ppb) 1.9 1.8 2.4
아웃 가스 검출 면적(Area/g) 3.37 × 107 2.95 × 107 6.24 × 107
아웃 가스 검출 Peak 수 25 23 31
아이조드 충격강도(kgf·cm/cm) 82 83 81
용융지수(g/10분) 22 21 2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는 불순물(이온, 아웃 가스 등) 발생이 적어 정밀 부재 오염 가능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특별한 부가 공정 없이, 간단한 용융 중합을 통해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므로, 경제적으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형성된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이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물에 넣고 방치한 용액을 IC(ion chromatography)로 검출 시, 염소 이온(Cl-), 불소 이온(F-) 및 황산 이온(SO4 2 -)이 각각 독립적으로 2 pp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가열 시 발생하는 가스를 HS-SPME GC/MS로 측정 시, 검출되는 피크(peak) 수가 25개 이하이고, 검출 면적 값이 3.5 × 107 Area/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가 용융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탄화수소기, -CO-, -S-, 또는 -SO2-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몰비(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디아릴카보네이트)는 1 : 0.9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내지 35,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으로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60 내지 100 kgfㆍ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및 1.2 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지수가 5 내지 8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10.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용융 중합하여 중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중합물을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된 압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펠렛화된 압출물을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끝단에 벤트(vent) 장비가 부설되어 벤트하면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중합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디아릴 카보네이트를 중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고; 그리고 제조된 예비 중합체를 용융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의 제조방법.
KR20130117403A 2013-10-01 2013-10-01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38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403A KR20150038969A (ko) 2013-10-01 2013-10-01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14/499,552 US10066055B2 (en) 2013-10-01 2014-09-29 Container for precision memb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201410523206.2A CN104513389A (zh) 2013-10-01 2014-09-30 用于精密构件的容器及其制备方法
JP2014200301A JP6312250B2 (ja) 2013-10-01 2014-09-30 精密部材用収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403A KR20150038969A (ko) 2013-10-01 2013-10-01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76A Division KR101897361B1 (ko) 2016-11-11 2016-11-11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69A true KR20150038969A (ko) 2015-04-09

Family

ID=5274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403A KR20150038969A (ko) 2013-10-01 2013-10-01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6055B2 (ko)
JP (1) JP6312250B2 (ko)
KR (1) KR20150038969A (ko)
CN (1) CN1045133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9801B (zh) * 2009-06-18 2016-09-21 葛拉工業公司 用於控制流體中造粒機之切刀轂位置之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1637D1 (en) * 1979-10-22 1983-02-17 Mobay Chemical Corp Thermoplastic aromatic copolycarbonat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from 2,2-bis(4-hydroxyphenyl)-1,1,1,3,3,3-hexafluor propane and their use
JPH0618868B2 (ja) * 1988-09-22 1994-03-16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EP0861863A3 (en) * 1992-10-14 1998-12-1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carbonate by melt-polycondensation
EP0892010A3 (en) * 1993-01-29 1999-03-3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Boron containing polycarbonate composition
CN1110283A (zh) * 1994-04-14 1995-10-18 大世吕化学工业株式会社 (共)聚碳酸酯的制备方法
JPH107785A (ja) * 1996-06-26 1998-01-13 Idemitsu Kosan Co Ltd 光学材料用ポリカーボネート
US6316575B1 (en) 1996-06-26 2001-11-13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
JP3966935B2 (ja) 1997-01-30 2007-08-29 三菱化学株式会社 精密部材用収納容器
JPH10292050A (ja) 1997-02-21 1998-11-04 Teijin Chem Ltd ポリカーボネートペレットの製造方法
AU750817B2 (en) * 1997-04-11 2002-07-25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cing ionic impurities content i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s
JP3995346B2 (ja) 1998-08-26 2007-10-24 帝人化成株式会社 薄板収納搬送容器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WO2000043436A1 (fr) * 1999-01-21 2000-07-27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Résine de polycarbonate pour article formé, procédé de production thereof et enceinte ou support pour produit semi-conducteur réalisés dans cette résine
WO2001005868A1 (fr) 1999-07-16 2001-01-25 Sumitomo Dow Limited Resine de polycarbonate pour cassettes de pieces associees a un semiconducteur
US6504002B1 (en) 2001-12-21 2003-01-07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ranched melt polycarbonate by late addition of fries-inducing catalyst
DE10357161A1 (de) 2003-12-06 2005-06-30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mit geringem Gehalt an flüchtigen Verbindungen nach dem Umesterungsverfahren
CN100577710C (zh) 2004-04-20 2010-01-06 沙伯基础创新塑料知识产权有限公司 在低温下用于制备聚碳酸酯低聚物混合物以制造聚碳酸酯的方法
JP3785180B2 (ja) 2004-10-28 2006-06-14 三菱化学株式会社 精密部材用収納容器の製造方法
JP4324944B2 (ja) 2005-06-29 2009-09-0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精密部材収納容器
JP4729371B2 (ja) * 2005-09-09 2011-07-20 Hoya株式会社 マスクブランク収納ケースの製造方法及びマスクブランクの収納方法
US20120059099A1 (en) * 2007-01-09 2012-03-08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Flame-retardant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7642315B2 (en) * 2007-06-15 2010-01-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alkylene oxide)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1301605B1 (ko) 2009-12-30 2013-08-2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 내가수분해성, 색조 및 정전기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4946A (ko) * 2010-10-29 2013-11-15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필름, 플레이트, 및 사출 성형품
US8263729B2 (en) 2010-12-21 2012-09-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ethod for making poly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66055B2 (en) 2018-09-04
JP6312250B2 (ja) 2018-04-18
CN104513389A (zh) 2015-04-15
JP2015071456A (ja) 2015-04-16
US20150093531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1122B (zh) 共聚碳酸酯組成物及含彼的物件
US6228973B1 (en) Method for prepar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carbonate
US8268953B2 (en) Polycarbonate containing plant-derived component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785683B1 (ko) 고품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US20120232198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WO2005092951A1 (en) A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458290B2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ly polymerized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US20120245264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N100384906C (zh) 具有改进的水解稳定性的聚碳酸酯共聚物
CN108779323B (zh) 冲击性能改进的熔体聚碳酸酯
WO1997011107A1 (fr) Polycarbonate et procede pour sa production
US20120238679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1897361B1 (ko)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3648B1 (ko) 애더맨턴 유도체 캡핑 단량체, 및 이를 이용한 고유동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50038969A (ko)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599986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からなる電気電子関連部材。
JP4063524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00117628A (ko) 고리형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개선된 유동 거동을 가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
KR20180078906A (ko) 정밀 부재용 수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9093B1 (ko) 합성물질,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297365B1 (ko) 폴리카보네이트 삼원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성형품
KR10229202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7919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US20230340177A1 (en) Composition and siloxane-based thermoplastic resin using same,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