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148A - 무인 헬리콥터 - Google Patents
무인 헬리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6148A KR20150036148A KR20157001630A KR20157001630A KR20150036148A KR 20150036148 A KR20150036148 A KR 20150036148A KR 20157001630 A KR20157001630 A KR 20157001630A KR 20157001630 A KR20157001630 A KR 20157001630A KR 20150036148 A KR20150036148 A KR 20150036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cover
- opening
- helicopter
- cover
- ventil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8—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power plant cooling systems
- B64D33/10—Radiator 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7—Heli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90—Cooling
- B64U20/96—Cooling using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2—Heli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헬리콥터(10)는 마스트(14), 메인 로터(16), 엔진(32), 라디에이터(34) 및 바디 커버(24)를 구비한다. 엔진(32) 및 라디에이터(34)는 바디 커버(24)에 수용된다. 바디 커버(24)는 마스트(14)가 통과하는 개구부(66)와, 개구부(66)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라디에이터(34)에 바람을 유도하는 개구부(84)와,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86)를 갖는다. 개구부(86)는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헬리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복수의 통풍부를 갖는 바디 커버를 구비한 무인 헬리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통풍부(예를 들면,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를 갖는 바디 커버를 구비한 무인 헬리콥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무인 헬리콥터는 메인 로터와, 메인 로터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과, 엔진을 덮는 바디 커버와, 엔진의 냉각수가 순환하는 라디에이터를 구비한다. 라디에이터는 바디 커버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바디 커버는 라디에이터의 하방에 형성되는 제 1 통기구와, 엔진의 후방에 있어서 바디 커버의 상면측이며 또한 메인 로터의 하방에 형성되는 제 2 통기구와, 엔진의 후방에 있어서 바디 커버의 하면측에 형성되는 제 3 통기구를 갖는다. 이 무인 헬리콥터에서는 개구부, 제 1 통기구, 제 2 통기구 및 제 3 통기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바디 커버 내로 유입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바디 커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바디 커버 내의 공기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장치(엔진, 제어 장치 등)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인 헬리콥터에 있어서, 최근 고성능의 엔진을 탑재하는 것이 요망되어 있다. 그러나, 고성능의 엔진을 탑재했을 경우, 엔진의 발열량이 커져 엔진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바디 커버 내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워진다. 특히, 무인 헬리콥터를 고속으로 전진 비행시킬 경우에는 엔진의 출력이 높아져 엔진의 발열량이 커진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무인 헬리콥터에서는 엔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복수의 라디에이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무인 헬리콥터의 중량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무인 헬리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떤 견지에 의하면, 메인 로터와, 메인 로터를 지지하며 또한 상하로 연장되는 로터축과, 메인 로터의 하방 및 로터축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로터축을 구동하는 엔진과, 엔진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와, 엔진 및 라디에이터를 수용하는 바디 커버를 구비하고, 바디 커버는 로터축이 통과하는 제 1 통풍부와, 제 1 통풍부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라디에이터에 바람을 유도하는 제 2 통풍부와, 제 1 통풍부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통풍부를 갖고, 제 3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통풍부 및 라디에이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무인 헬리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호버링 시에는 메인 로터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이 제 2 통풍부 및 라디에이터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 내로 유도된다. 이때, 라디에이터가 방열되어 엔진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제 2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내로 바람이 유입함으로써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제 1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메인 로터의 회전에 의해 로터축 주변에 상승 기류가 발생함으로써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제 1 통풍부를 통해 바디 커버 외로 효율 좋게 배출된다. 이렇게 해서 바디 커버 내의 공기를 효율 좋게 교체할 수 있다. 무인 헬리콥터가 전진할 때에는 호버링 시와 마찬가지로 메인 로터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이 제 2 통풍부 및 라디에이터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 내로 유도된다. 또한, 제 3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는 라디에이터보다 후방에 있어서 제 2 통풍부 및 라디에이터보다 상방에 형성되므로 무인 헬리콥터의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이 제 3 통풍부를 통해 바디 커버 내로 효율 좋게 유도된다.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내로 바람이 유입함으로써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제 1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로터축 주변에 상승 기류가 발생함으로써 제 1 통풍부를 통해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효율 좋게 배출된다. 무인 헬리콥터가 후진할 때에는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제 1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제 1 통풍부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보다 후방에 제 3 통풍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제 3 통풍부를 통해 바디 커버 외로 효율 좋게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무인 헬리콥터에서는 제 1 통풍부,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를 사용해서 바디 커버 내의 공기를 효율 좋게 교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무인 헬리콥터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통풍부,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는 서로 독립된 개구부이다. 이 경우, 제 1 통풍부,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를 서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내로 유도되는 바람의 흐름에 각각 지향성을 갖게 하도록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다 효율 좋게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는 공통의 1개의 개구부에 포함되고, 제 1 통풍부는 상기 1개의 개구부로부터 독립한 다른 개구부이다. 이 경우,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가 공통의 1개의 개구부에 포함되므로 바디 커버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통풍부,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는 공통의 1개의 개구부에 포함된다. 이 경우, 바디 커버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커버는 바디 커버의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을 바디 커버 내로 유도하는 안내부를 더 갖는다. 이 경우,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을 안내부에 의해 효율 좋게 바디 커버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내부는 제 2 통풍부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정면으로 볼 때에 하면이 보이도록 바디 커버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이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바디 커버 내로 바람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디 커버는 바디 커버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 1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제 3 통풍부는 제 1 통형상부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무인 헬리콥터의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에 추가해서 메인 로터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도 제 3 통풍부를 통해 바디 커버 내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효율 좋게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 통풍부는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이 경우, 제 3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내에 빗물 및 진애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바디 커버는 제 3 통풍부를 형성하는 상벽부 및 하벽부를 포함하고, 상벽부는 제 3 통풍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앞으로부터 뒤로 연장되고, 하벽부는 상벽부의 하방에 있어서 제 3 통풍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앞으로부터 뒤로 연장된다. 이 경우, 빗물 및 진애 등이 제 3 통풍부를 통과했다고 해도 그 빗물 및 진애 등이 바디 커버 내에 들어가는 것을 상벽부 및 하벽부에 의해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디 커버는 바디 커버 내를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통형상부를 더 갖는다. 이 경우, 냉각 대상(예를 들면, 엔진)을 향하도록 제 2 통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냉각 대상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 통풍부는 엔진의 상방에 형성된다. 이 경우, 호버링 시 및 후진 시에는 바디 커버 내의 특히 엔진 주변의 공기가 제 3 통풍부를 통해 바디 커버 외로 효율 좋게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바디 커버는 제 1 통풍부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제 4 통풍부를 더 갖는다. 이 경우, 전진 시에는 바디 커버 내의 공기가 제 4 통풍부로부터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바디 커버 내의 공기를 보다 효율 좋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헬리콥터가 후진할 때에는 메인 로터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 및/또는 진행 방향(후방)으로부터의 바람을 제 4 통풍부로부터 바디 커버 내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무인 헬리콥터의 후진 시에 있어서도 바디 커버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인 헬리콥터는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무인 헬리콥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기를 더 구비하고, 제 4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보다 상방이며 또한 로터축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자세 검출기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보다 상방이며 또한 로터축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 4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보다 상방이며 또한 로터축보다 후방에 위치하므로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부터 제 4 통풍부로 유도되는 바람, 또는 제 4 통풍부로부터 제 1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 유도되는 바람이 프레임의 상방을 지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이 무인 헬리콥터에서는 자세 검출기의 적어도 일부도 프레임보다 상방이며 또한 로터축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부터 제 4 통풍부로 유도되는 바람, 또는 제 4 통풍부로부터 제 1 통풍부 및 제 3 통풍부로 유도되는 바람에 의해 자세 검출기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관련해서 행해지는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헬리콥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는 바디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바디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호버링 시의 헬리콥터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전진 시의 헬리콥터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후진 시의 헬리콥터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헬리콥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는 바디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바디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호버링 시의 헬리콥터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전진 시의 헬리콥터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후진 시의 헬리콥터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무인 헬리콥터(10)[이하, 헬리콥터(10)로 약기한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 상하는 헬리콥터(10)의 기본 자세[마스트(14)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어 있을 때의 무인 헬리콥터(1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 전후, 좌우, 상하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 화살표(F)는 전방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고, 헬리콥터(10)는 메인 바디(12), 마스트(14), 메인 로터(16), 테일 바디(18) 및 테일 로터(20)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트(14)가 로터축에 상당한다.
메인 바디(12)는 프레임(22), 바디 커버(24), 한 쌍의 다리부(26)[도 1에서는 좌측의 다리부(26)만 도시], 한 쌍의 다리부(28)[도 1에서는 좌측의 다리부(28)만 도시], 및 한 쌍의 스키드(30)[도 1에서는 좌측의 스키드(30)만 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임(22)은 정면으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테일 바디(18) 및 바디 커버(24)는 프레임(22)에 지지된다.
한 쌍의 다리부(26)는 프레임(22)의 양측면에 부착된다. 한 쌍의 다리부(28)는 한 쌍의 다리부(26)보다 후방에 있어서 프레임(22)의 양측면에 부착된다. 한 쌍의 스키드(30)는 좌우로 배열되도록 한 쌍의 다리부(26) 및 한 쌍의 다리부(28)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측(좌측)의 스키드(30)는 일방측(좌측)의 다리부(26, 28)에 부착되고, 타방측(우측)의 스키드(30)(도시 생략)는 타방측(우측)의 다리부(26, 28)(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마스트(14)는 바디 커버(2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마스트(14)의 상단부에 메인 로터(16)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마스트(14)와 메인 로터(16)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테일 바디(18)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메인 바디(12)보다 후방으로 연장된다. 테일 로터(20)는 테일 바디(18)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2는 헬리콥터(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헬리콥터(10)의 내부 구조를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고, 테일 바디(18)의 전단부는 바디 커버(24) 내에 있어서 프레임(22)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바디 커버(24)는 엔진(32), 라디에이터(34), 트랜스미션(36), 전장품(38), 자세 검출기(40), 스위치 유닛(42) 및 연료 탱크(44)를 수용한다.
엔진(32)은 메인 로터(16)의 하방에 있어서 프레임(22)의 전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엔진(32)은 마스트(14)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엔진(32)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평 대향형의 다기통 엔진이 사용된다. 엔진(32)보다 전방에 라디에이터(34)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엔진(32)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라디에이터(34)가 형성된다. 라디에이터(34)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부재를 통해 엔진(32)에 연결되고, 엔진(32)의 열을 방출한다. 라디에이터(34)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장방형상을 갖고, 그 상면이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트랜스미션(36)은 엔진(32)의 후방에 있어서 프레임(22)에 지지된다. 트랜스미션(36)은 엔진(32)의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다. 트랜스미션(3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스트(14)가 설치되고, 트랜스미션(36)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회전 샤프트(46)가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46)는 메인 바디(12) 내 및 테일 바디(18) 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테일 로터(20)는 회전 샤프트(46)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엔진(32)이 발생하는 구동력은 트랜스미션(36)을 통해 마스트(14) 및 회전 샤프트(46)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마스트(14) 및 회전 샤프트(46)가 회전하고, 메인 로터(16) 및 테일 로터(20)가 회전한다.
마스트(14) 둘레로 전장품(38)이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38)은 메인 로터(16)의 브레이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테일 바디(18)의 전단부에 자세 검출기(40)가 지지된다. 자세 검출기(40)는 헬리콥터(10)의 자세를 검출한다. 자세 검출기(40)는,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를 포함한다.
자세 검출기(40)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스위치 유닛(42)이 형성된다. 스위치 유닛(42)의 상단부는 메인 바디(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스위치 유닛(42)은 복수의 스위치(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스타터 스위치 등)를 갖는다. 스위치 유닛(42)의 전방에 연료 탱크(44)가 형성된다. 연료 탱크(44)의 상단부는 메인 바디(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프레임(22) 내에 제어 장치(48)가 형성된다. 제어 장치(48)는 헬리콥터(10)에 탑재되는 여러 가지 장치를 제어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48)는 전장품(38), 자세 검출기(40) 및 스위치 유닛(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장치(48)는 자세 검출기(40)가 검출하는 헬리콥터(10)의 자세에 의거하여 전장품(38)을 제어하고, 헬리콥터(10)의 자세를 조정한다.
도 3은 바디 커버(2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바디 커버(24)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고, 바디 커버(24)는 좌우 대칭형상을 갖는다. 바디 커버(24)는 제 1 커버(50) 및 제 2 커버(52)를 포함한다.
도 5는 제 1 커버(5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제 1 커버(5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제 1 커버(5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제 1 커버(5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도 8을 참조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버(50)는 좌우로 분할된 구성을 갖고, 한 쌍의 사이드 커버(54)를 포함한다. 한쪽 사이드 커버(54)는 다른쪽의 사이드 커버(54)를 좌우 반전시킨 형상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고, 한 쌍의 사이드 커버(54)는 엔진(32), 라디에이터(34), 트랜스미션(36), 전장품(38), 자세 검출기(40), 스위치 유닛(42) 및 연료 탱크(44)를 좌우로부터 끼우도록 서로 고정된다.
도 1~도 3 및 도 6을 참조하고, 제 1 커버(50)는 유선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을 참조하고, 제 1 커버(50)는 측면으로 볼 때 전단부(50a)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서 서서히 팽창하며, 또한 후단부(50b)가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뾰족해지도록 형성된다.
도 3~도 8을 참조하고, 제 1 커버(50)는 한 쌍의 팽출부(56), 한 쌍의 팽출부(58) 및 한 쌍의 팽출부(60)를 포함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고, 한 쌍의 팽출부(56)는 제 1 커버(50)의 전방부에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고, 한 쌍의 팽출부(56)는 전단부(50a)로부터 좌우 방향[헬리콥터(10)의 폭방향]으로 서서히 팽창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3~도 6을 참조하고, 각 팽출부(56)는 개구부(56a)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개구부(56a)는 제 1 커버(5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이며 또한 전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도 5를 참조하고, 개구부(56a)는 정면으로 볼 때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제 1 커버(5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 6을 참조하고, 개구부(56a)는 측면으로 볼 때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앞으로부터 뒤를 향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 3 및 도 6~도 8을 참조하고, 팽출부(58, 60)는 제 1 커버(50)의 후방부에 형성된다. 팽출부(58)는 팽출부(60)의 상방에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고, 팽출부(58)는 배면으로 볼 때 외측이며 또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팽창되도록 형성된다. 팽출부(60)는 배면으로 볼 때 외측이며 또한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팽창되도록 형성된다.
도 6~도 8을 참조하고, 각 팽출부(58)는 대략 삼각형상의 개구부(58a)를 갖는다. 각 개구부(58a)는 적어도 상방 및 후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바꿔 말하면, 각 개구부(58a)는 헬리콥터(10)의 평면 및 배면으로 볼 때 보이도록(숨겨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개구부(58a)는 상방, 후방 및 제 1 커버(5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서 개구한다. 도 6을 참조하고, 개구부(58a)는 수평면에 대하여 각도(D) 기울도록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위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수평면이란 마스트(14)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평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58a)의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점(n1) 및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점(n2)을 지나는 직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각도(D) 기울도록 개구부(58a)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도(D)는 약 20°이다. 각도(D)는, 예를 들면 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도 4를 참조하고, 각 개구부(58a)(도 6 참조)에는 루버 부재(62)가 끼워 넣어진다.
도 2를 참조하고, 자세 검출기(40)의 적어도 일부 및 개구부(58a)(후술하는 도 13 참조)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22)보다 상방이며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검출기(40) 전체 및 개구부(58a) 전체가 프레임(22)보다 상방이며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도 6~도 8을 참조하고, 각 팽출부(60)는 대략 삼각형상의 개구부(60a)를 갖는다. 개구부(60a)는 개구부(58a)보다 하방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개구부(60a)는 하방, 후방 및 제 1 커버(5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서 개구한다.
도 2를 참조하고, 자세 검출기(40)의 적어도 일부 및 개구부(60a)(후술하는 도 13 참조)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22)보다 상방이며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검출기(40) 전체 및 개구부(60a) 전체가 프레임(22)보다 상방이며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도 7을 참조하고, 제 1 커버(50)는 개구부(64, 66, 68, 70, 72) 및 한 쌍의 개구부(74)를 갖는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고, 개구부(64)는 하방을 향해서 개구하며 또한 전단부(50a)로부터 후단부(50b)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사이드 커버(54)의 하부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다.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고, 개구부(66)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도록 제 1 커버(50)의 상단부에 또한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개구부(66)는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을 갖는다. 개구부(66)에는 마스트(14)(도 1, 2 참조)가 통과된다.
개구부(66)보다 전방에 개구부(68)가 형성된다. 개구부(68)는 전단부(50a)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제 1 커버(5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개구부(68)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장방형상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고, 개구부(68)에는 제 2 커버(52)가 끼워 넣어진다. 제 2 커버(5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고, 개구부(66)보다 후방에 개구부(70)가 형성되고, 개구부(70)보다 후방에 개구부(72)가 형성된다. 개구부(70, 72)는 각각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며 또한 제 1 커버(5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개구부(70)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형상을 갖고, 개구부(72)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오각형상을 갖는다. 개구부(70)에는 연료 탱크(44)(도 2 참조)의 상단부가 끼워 넣어지고, 개구부(72)에는 스위치 유닛(42)(도 2 참조)이 끼워 넣어진다.
도 6~도 8을 참조하고, 한 쌍의 개구부(74)는 개구부(66)의 외측이며 또한 비스듬히 하방에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고, 각 개구부(74)는 외측이며 또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도 2를 참조하고, 각 개구부(74)는 제 1 커버(50) 내에 형성되는 흡기관(도시 생략) 및 에어 클리너(도시 생략)를 통해 엔진(32)에 연통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엔진(32)은 한 쌍의 개구부(74)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이어서, 제 2 커버(52)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 2 커버(52)를 나타내는 평면도[제 2 커버(52)를 화살표 X방향(도 1 참조)으로 본 도면]이며, 도 10은 제 2 커버(5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후방부(80c)(후술) 및 저부(82b)(후술)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 도 4 및 도 9~도 12를 참조하고, 제 2 커버(52)는 프레임상의 플랜지형상부(76)와 판형상의 바람 수용부(78)를 갖는다. 플랜지형상부(76)는 제 2 커버(52)의 외측을 향해서 넓어지도록 위로부터 아래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플랜지형상부(7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76a), 한 쌍의 측부(76a)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부(76b), 및 한 쌍의 측부(76a)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부(76c)를 포함한다. 바람 수용부(78)는 한 쌍의 측부(76a)의 전단부 및 전방부(76b)로부터 상방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된다. 바람 수용부(78)는 전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평면으로 볼 때 대략 U자형상을 갖는다.
제 2 커버(52)는 플랜지형상부(76)의 내측에 있어서 플랜지형상부(76)보다 하방까지 연장되는 통형상부(80)와, 통형상부(80)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정면으로 볼 때 대략 U자형상의 구획부(82)를 더 갖는다. 통형상부(8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80a), 한 쌍의 측부(80a)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부(80b), 및 한 쌍의 측부(80a)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부(80c)를 포함한다. 구획부(8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82a) 및 한 쌍의 측부(82a)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부(8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부(80a) 및 한 쌍의 측부(82a)의 상부 가장자리는 한 쌍의 측부(76a)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한 쌍의 측부(80a)의 후단부는 한 쌍의 측부(82a)의 전단부에 접속된다. 전방부(80b)의 상부 가장자리는 바람 수용부(78)의 하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후방부(80c)의 상부 가장자리와 저부(82b)의 전방 가장자리가 접속된다. 후방부(80c)는 저부(82b)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고, 한 쌍의 측부(80a)의 하단부 및 후방부(80c)의 하단부는 제 2 커버(52)의 내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도 3, 도 4 및 도 9~도 12를 참조하고, 통형상부(80)의 하단부에 의해 개구부(84)가 형성되고, 후방부(76c)의 전방 가장자리 및 구획부(82)의 후방 가장자리에 의해 개구부(86)가 형성된다. 개구부(84)는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86)는 정면으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평면으로 볼 때 개구부(84)를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날개판(88)이 형성된다. 각 날개판(88)은 통형상부(80)의 전방부(80b)와 후방부(80c)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정면으로 볼 때 개구부(86)를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날개판(90)이 형성된다. 각 날개판(90)은 플랜지형상부(76)의 후방부(76c)와 구획부(82)의 저부(82b)를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를 참조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커버(52)의 통형상부(80)가 제 1 커버(50)의 개구부(68)에 삽입된다. 통형상부(80)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 부재(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라디에이터(34)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라디에이터(34)에 제 2 커버(52)가 고정된다.
도 13은 헬리콥터(10)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는 테일 바디(18), 테일 로터(20), 한 쌍의 다리부(26), 한 쌍의 다리부(28), 한 쌍의 스키드(30), 스위치 유닛(42), 연료 탱크(44) 및 회전 샤프트(46)의 도시를 생략하고, 바디 커버(24)를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도 14~도 17및 도 19~도 2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3을 참조하고, 제 2 커버(52)는 개구부(84)가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도록, 또한 개구부(86)가 전방이며 또한 약간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도록 라디에이터(34)에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커버(52)는 헬리콥터(10)의 평면으로 볼 때 개구부(86)가 보이지 않도록 라디에이터(34)에 고정된다. 바꿔 말하면, 제 2 커버(52)는 헬리콥터(10)의 평면으로 볼 때 개구부(86)가 후방부(76c)에 의해 감추어지도록 라디에이터(34)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우천 시에 헬리콥터(10)를 사용할 경우에도 개구부(86)로부터 바디 커버(24) 내에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34)에 제 2 커버(52)가 고정됨으로써 바디 커버(24)에 있어서 개구부(66)보다 전방에 개구부(84)가 형성되고,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개구부(86)가 형성된다. 개구부(86)는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형성된다. 즉, 개구부(86)는 개구부(66)와 개구부(8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86)는 엔진(32)의 상방에 형성된다. 제 2 커버(52)의 후방부(76c)는 개구부(84)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바디 커버(24)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방부(76c)는 개구부(86)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다. 후방부(76c)의 상단은 바람 수용부(78)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헬리콥터(10)의 정면으로 볼 때에 후방부(76c)의 하면(76d)이 보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66)가 제 1 통풍부에 상당하고, 개구부(84)가 제 2 통풍부에 상당하고, 개구부(86)가 제 3 통풍부에 상당하고,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가 제 4 통풍부에 상당하고, 후방부(76c)가 안내부에 상당한다.
이어서, 도 14~도 16을 참조하면서 바디 커버(24) 내에 흐르는 바람에 대해서 헬리콥터(10)의 호버링 시, 전진 시 및 후진 시로 나누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호버링 시의 헬리콥터(10)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5은 전진 시의 헬리콥터(10)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6은 후진 시의 헬리콥터(10)의 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고, 헬리콥터(10)의 호버링 시에는 마스트(14)보다 전방에 있어서, 메인 로터(16)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이 직접 또는 바람 수용부(78)를 따라 개구부(84)를 향해서 흐른다.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있어서, 메인 로터(16)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이 한 쌍의 개구부(58a)를 향해서 흐른다. 메인 로터(16)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은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함과 아울러, 한 쌍의 개구부(58a)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한다. 개구부(58a, 84)로부터 바디 커버(24) 내에 바람이 유입함으로써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한 쌍의 개구부(56a), 개구부(64), 개구부(66), 개구부(86)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메인 로터(16)의 회전에 의해 마스트(14) 둘레에 상승 기류가 발생함으로써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6)를 통해 바디 커버(24) 외로 효율 좋게 배출된다.
도 15를 참조하고, 헬리콥터(10)가 전진할 때에는 메인 로터(16)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이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한다. 또한, 헬리콥터(10)의 진행 방향(전방)으로부터의 바람이 한 쌍의 개구부(56a) 및 개구부(86)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한다. 개구부(56a, 84, 86)로부터 바디 커버(24) 내에 바람이 유입함으로써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4), 개구부(66),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마스트(14)의 주위에 상승 기류가 발생함으로써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6)를 통해 바디 커버(24) 외로 효율 좋게 배출된다.
도 16을 참조하고, 헬리콥터(10)가 후진할 때에는 호버링 시와 마찬가지로 메인 로터(16)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이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함과 아울러, 한 쌍의 개구부(58a)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한다. 또한, 헬리콥터(10)의 진행 방향(후방)으로부터의 바람이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 내로 유입한다. 개구부(58a, 60a, 84)로부터 바디 커버(24) 내에 바람이 유입함으로써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한 쌍의 개구부(56a), 개구부(64), 개구부(66) 및 개구부(86)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마스트(14) 둘레에 상승 기류가 발생함으로써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6)를 통해 바디 커버(24) 외로 효율 좋게 배출된다.
이렇게 해서 헬리콥터(10)에 있어서는 호버링 시, 전진 시 및 후진 시 중 어느 경우에나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헬리콥터(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헬리콥터(10)의 바디 커버(24)는 마스트(14)가 통과하는 개구부(66)와, 개구부(66)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라디에이터(34)에 바람을 유도하는 개구부(84)와,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86)를 갖고, 개구부(86)는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호버링 시에는 개구부(84)로부터 바디 커버(24) 내에 바람이 유입함과 아울러,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6, 86)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부로 배출된다. 헬리콥터(10)가 전진할 때에는 개구부(84, 86)로부터 바디 커버(24) 내에 바람이 유입함과 아울러,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6)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부로 배출된다. 헬리콥터(10)가 후진할 때에는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개구부(66) 및 개구부(86)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헬리콥터(10)에서는 개구부(66), 개구부(84) 및 개구부(86)를 사용해서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를 효율 좋게 교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바디 커버(24)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헬리콥터(10)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바디 커버(24)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헬리콥터(10)에서는 개구부(66), 개구부(84) 및 개구부(86)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개구부(66), 개구부(84) 및 개구부(86)를 서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84, 86)로부터 바디 커버(24) 내로 유도되는 바람의 흐름에 각각 지향성을 갖게 하도록 개구부(84, 86)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보다 효율 좋게 바디 커버(24)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커버(52)의 플랜지형상부(76)의 후방부(76c)는 개구부(84)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정면으로 볼 때에 하면(76d)이 보이도록 바디 커버(24)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이 경우, 헬리콥터(10)의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을 후방부(76c)에 의해 효율 좋게 바디 커버(24)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바디 커버(24) 내로 바람을 유도할 수 있다.
헬리콥터(10)에서는 개구부(86)는 엔진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호버링 시 및 후진 시에는 바디 커버(24) 내의 엔진(32)주변의 공기가 개구부(86)로부터 바디 커버(24) 외로 보다 배출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바디 커버(24)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헬리콥터(10)에서는 개구부(66)보다 후방에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가 형성된다. 이 경우, 헬리콥터(10)가 전진할 때에는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가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부터도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바디 커버(24) 내의 공기를 보다 효율 좋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헬리콥터(10)가 후진할 때에는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부터 바디 커버(24) 내로 바람을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헬리콥터(10)의 후진 시에 있어서도 바디 커버(24)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헬리콥터(10)에서는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22)보다 상방이며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경우, 개구부(84) 및 개구부(86)로부터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 유도되는 바람, 또는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부터 개구부(66) 및 개구부(86)로 유도되는 바람이 프레임(22)의 상방을 지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헬리콥터(10)에서는 자세 검출기(40)의 적어도 일부도 프레임(22)보다 상방이며 또한 마스트(14)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개구부(84) 및 개구부(86)로부터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 유도되는 바람, 또는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로부터 개구부(66) 및 개구부(86)로 유도되는 바람에 의해 자세 검출기(40)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커버(52)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판(88)이 설치되지 않아도 좋고, 복수의 날개판(90)이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10a)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리콥터(10a) 중 헬리콥터(10)와 다른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헬리콥터(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고, 헬리콥터(10a)가 상기 헬리콥터(10)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 대신에 바디 커버(24a)를 갖는 점이다. 바디 커버(24a)가 바디 커버(24)와 다른 것은 제 2 커버(52) 대신에 제 2 커버(92)를 갖는 점이다.
도 18은 제 2 커버(9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고, 제 2 커버(92)가 제 2 커버(52)와 다른 것은 구획부(82)(도 9 참조), 복수의 날개판(88)(도 9 참조) 및 복수의 날개판(90)(도 9 참조)을 갖지 않는 점 및 통형상부(80)(도 9, 10 참조) 대신에 통형상부(94)를 갖는 점이다.
통형상부(94)는 플랜지형상부(76)의 내측에 있어서 플랜지형상부(76)보다 하방까지 연장된다. 통형상부(9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94a)[도 18에 있어서는 한쪽 측부(94a)만 도시], 한 쌍의 측부(94a)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부(94b), 및 한 쌍의 측부(94a)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부(94c)를 갖는다. 한 쌍의 측부(94a)의 상부 가장자리는 한 쌍의 측부(76a)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전방부(94b)의 상부 가장자리는 바람 수용부(78)의 하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후방부(94c)의 상부 가장자리는 후방부(76c)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후방부(94c)는 후방부(76c)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다. 제 2 커버(92)에 있어서는 통형상부(94)의 내면에 의해 개구부(96)가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고, 제 2 커버(92)는 개구부(96)가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도록 라디에이터(34)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부(94)(도 18 참조)가 도시하지 않은 체결 부재(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라디에이터(34)의 상면에 고정된다.
헬리콥터(10a)에서는 개구부(96) 중 개구부(66)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또한 라디에이터(34)에 대응하는 영역(96a)[일점 쇄선(L1)보다 전방의 영역]이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4)(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개구부(96) 중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있어서 영역(96a)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영역(96b)[일점 쇄선(L1)보다 후방의 영역]이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6)(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영역(96a)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바디 커버(24a)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후방부(94c)가 바디 커버(24)(도 13~도 16 참조)의 후방부(76c)(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영역(96a)이 제 2 통풍부에 상당하고, 영역(96b)이 제 3 통풍부에 상당하고, 후방부(94c)가 안내부에 상당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방부(94c)는 개구부(96)[영역(96b)]의 상부 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a)에 있어서는 영역(96a)이 헬리콥터(10)의 개구부(84)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영역(96b)이 헬리콥터(10)의 개구부(86)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후방부(94c)가 헬리콥터(10)의 후방부(76c)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헬리콥터(10a)에 있어서도 상기 헬리콥터(10)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헬리콥터(10a)에 있어서는 제 2 커버(92)의 1개의 개구부(96)에 제 2 통풍부로서의 영역(96a) 및 제 3 통풍부로서의 영역(96b)이 포함되므로 제 2 커버(92)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바디 커버(24a)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커버(92)에 있어서 전방부(94b)와 후방부(94c)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판을 형성해도 좋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10b)의 요부를 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리콥터(10b) 중 헬리콥터(10)와 다른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헬리콥터(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를 참조하고, 헬리콥터(10b)가 상기 헬리콥터(10)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 대신에 바디 커버(24b)를 갖는 점이다. 바디 커버(24b)가 바디 커버(24)와 다른 것은 제 1 커버(50) 대신에 제 1 커버(98)를 갖는 점 및 제 2 커버(52) 대신에 제 2 커버(100)를 갖는 점이다.
제 1 커버(98)가 제 1 커버(50)와 다른 점은 개구부(66)(도 7 참조) 및 개구부(68)(도 7 참조) 대신에 개구부(98a)를 갖는 점이다. 개구부(98a)는 마스트(14)보다 후방으로부터 제 1 커버(98)의 전단부를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개구부(98a)에 제 2 커버(100)가 끼워 넣어진다.
제 2 커버(100)는 상기 제 2 커버(92)(도 17, 18 참조)를 전후 방향으로 늘린 형상을 갖고, 개구부(102)를 갖는다. 개구부(102)는 상기 제 2 커버(92)의 개구부(96)(도 17, 18 참조)를 전후 방향으로 늘린 형상을 갖는다. 제 2 커버(100)는 상기 제 2 커버(92)의 후방부(94c)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후방부(104)를 갖는다. 제 2 커버(100)는 개구부(102)가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도록 라디에이터(34)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트(14)는 개구부(102)를 통과한다.
헬리콥터(10b)에서는 개구부(102) 중 마스트(14) 주변의 영역(102a)[일점 쇄선(L2)보다 후방의 영역]이 제 1 커버(50)(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66)(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개구부(102) 중 영역(102a)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또한 라디에이터(34)에 대응하는 영역(102b)[일점 쇄선(L3)보다 전방의 영역]이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4)(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개구부(102) 중 영역(102a)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있어서 영역(102b)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영역(102c)[일점 쇄선(L2)보다 전방이며 또한 일점 쇄선(L3)보다 후방의 영역]이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6)(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영역(102a)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바디 커버(24b)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후방부(104)가 바디 커버(24)(도 13~도 16 참조)의 후방부(76c)(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영역(102a)이 제 1 통풍부에 상당하고, 영역(102b)이 제 2 통풍부에 상당하고, 영역(102c)이 제 3 통풍부에 상당하고, 후방부(104)가 안내부에 상당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방부(104)는 개구부(102)[영역(102a)]의 상부 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b)에 있어서는 영역(102a)이 헬리콥터(10)의 개구부(66)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영역(102b)이 헬리콥터(10)의 개구부(84)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영역(102c)이 헬리콥터(10)의 개구부(86)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후방부(104)가 헬리콥터(10)의 후방부(76c)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헬리콥터(10b)에 있어서도 상기 헬리콥터(1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헬리콥터(10b)에 있어서는 제 2 커버(100)의 1개의 개구부(102)에 제 1 통풍부로서의 영역(102a), 제 2 통풍부로서의 영역(102b) 및 제 3 통풍부로서의 영역(102c)이 포함되므로 바디 커버(24b)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커버(100)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판을 형성해도 좋다.
도 20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10c)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리콥터(10c) 중 헬리콥터(10)와 다른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헬리콥터(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하고, 헬리콥터(10c)가 상기 헬리콥터(10)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 대신에 바디 커버(24c)를 갖는 점이다. 바디 커버(24c)가 바디 커버(24)와 다른 것은 제 2 커버(52) 대신에 제 2 커버(106)를 갖는 점이다.
제 2 커버(106)가 제 2 커버(52)와 다른 것은 구획부(82)(도 3 참조) 및 복수의 날개판(90)(도 3 참조) 대신에 제 1 통형상부(108)를 갖는 점이다. 제 1 통형상부(108)는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개구부(84)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바디 커버(24c)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통형상부(108)는 그 상단부에 개구부(108a)를 갖는다. 개구부(108a)는 바디 커버(24c)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제 1 통형상부(108)의 하부 가장자리는 플랜지형상부(76)의 한 쌍의 측부(76a)의 상부 가장자리, 플랜지형상부(76)의 후방부(76c)의 상부 가장자리, 및 통형상부(80)(도 3 참조)의 후방부(80c)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헬리콥터(10c)에서는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있어서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개구부(108a)가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6)(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08a)가 제 3 통풍부에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c)에 있어서는 개구부(108a)가 헬리콥터(10)의 개구부(86)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헬리콥터(10c)에 있어서도 상기 헬리콥터(1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헬리콥터(10c)에 있어서는 제 1 통형상부(108)가 바디 커버(24c)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며, 또한 제 1 통형상부(108)의 상단부에 개구부(108a)가 형성된다. 이 경우, 헬리콥터(10)의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에 추가해서 메인 로터(16)로부터의 내리 부는 바람도 개구부(108a)를 통해 바디 커버(24c) 내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더 효율 좋게 바디 커버(24c)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10d)의 요부를 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리콥터(10d) 중 헬리콥터(10)와 다른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헬리콥터(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고, 헬리콥터(10d)가 상기 헬리콥터(10)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 대신에 바디 커버(24d)를 갖는 점이다. 바디 커버(24d)가 바디 커버(24)와 다른 것은 제 2 커버(52) 대신에 제 2 커버(110)를 갖는 점이다.
제 2 커버(110)가 제 2 커버(52)와 다른 것은 구획부(82)(도 3 참조) 및 복수의 날개판(90)(도 3 참조) 대신에 래버린스부(112)를 갖는 점이다. 래버린스부(112)는 상벽부(112a), 하벽부(112b) 및 후벽부(112c)를 포함한다. 상벽부(112a)는 정면으로 볼 때 역U자형상을 갖고, 한 쌍의 측부(76a)의 상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벽부(112b)는 상벽부(112a)의 하방에 있어서, 상벽부(112a)의 양쪽 가장자리(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벽부(112b)의 전방 가장자리는 통형상부(80)(도 3 참조)의 후방부(80c)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후벽부(112c)는 상벽부(112a)의 후방 가장자리 및 플랜지형상부(76)의 후방부(76c)의 상부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하벽부(112b)의 후방 가장자리와 후벽부(112c) 및 후방부(76c) 사이에는 공기를 흘리기 위한 충분한 간극이 형성된다.
래버린스부(112)에 있어서는 상벽부(112a)의 전방 가장자리 및 하벽부(112b)의 전방 가장자리에 의해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개구부(114)는 적어도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14)는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상벽부(112a) 및 하벽부(112b)는 개구부(114)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앞으로부터 뒤로 연장된다. 헬리콥터(10d)에서는 개구부(114)가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6)(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14)가 제 3 통풍부에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d)에 있어서는 개구부(114)가 헬리콥터(10)의 개구부(86)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헬리콥터(10d)에 있어서도 상기 헬리콥터(1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헬리콥터(10d)에서는 개구부(114)는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114)로부터 바디 커버(24d) 내에 빗물 및 진애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헬리콥터(10d)에서는 상벽부(112a) 및 하벽부(112b)는 개구부(114)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앞으로부터 뒤로 연장된다. 이 경우, 빗물 및 진애 등이 개구부(114)를 통과했다고 해도 그 빗물 및 진애 등이 바디 커버(24d) 내에 들어가는 것을 상벽부(112a) 및 하벽부(112b)에 의해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10e)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리콥터(10e) 중 헬리콥터(10)와 다른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헬리콥터(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를 참조하고, 헬리콥터(10e)가 상기 헬리콥터(10)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 대신에 바디 커버(24e)를 갖는 점이다. 바디 커버(24e)가 바디 커버(24)와 다른 것은 제 2 커버(52) 대신에 제 2 커버(116) 및 판형상의 안내부(118)를 갖는 점이다.
제 2 커버(116)는 제 2 커버(52)(도 9 참조)의 B-B선보다 후방 부분을 제거한 형상을 갖는다. 헬리콥터(10e)에서는 개구부(68) 중 제 2 커버(116)보다 후방의 영역이 개구부(120)가 된다. 안내부(118)는 개구부(12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제 1 커버(50)에 부착된다. 안내부(118)의 상단은 바람 수용부(78)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헬리콥터(10e)의 정면으로 볼 때에 안내부(118)의 하면(118a)이 보인다.
헬리콥터(10e)에서는 개구부(66)보다 전방이며 또한 라디에이터(34)보다 후방에 있어서 개구부(84) 및 라디에이터(3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개구부(120)가 제 2 커버(52)(도 13~도 16 참조)의 개구부(86)(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20)가 제 3 통풍부에 상당한다. 또한, 개구부(84)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바디 커버(24e)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안내부(118)가 바디 커버(24)(도 13~도 16 참조)의 후방부(76c)(도 13~도 16 참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e)에 있어서는 개구부(120)가 헬리콥터(10)의 개구부(86)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안내부(118)가 헬리콥터(10)의 후방부(76c)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헬리콥터(10e)에 있어서도 상기 헬리콥터(1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 2 커버(116) 대신에 공지의 라디에이터 커버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안내부(118)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 안내부를 제 1 커버의 일부로서 형성해도 좋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헬리콥터(10f)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헬리콥터(10f) 중 헬리콥터(10)와 다른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헬리콥터(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을 참조하고, 헬리콥터(10f)가 상기 헬리콥터(10)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 대신에 바디 커버(24f)를 갖는 점이다. 바디 커버(24f)가 바디 커버(24)와 다른 것은 제 2 커버(52) 대신에 제 2 커버(122)를 갖는 점이다. 제 2 커버(122)가 제 2 커버(52)와 다른 것은 바디 커버(24f)[제 1 커버(50)] 내를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통형상부(124)를 더 갖는 점이다.
제 2 통형상부(124)는 구획부(82)[한 쌍의 측부(82a)(도 3 참조) 및 저부(82b)]의 후방 가장자리 및 후방부(76c)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통형상부(124)의 하단부는 엔진(32), 트랜스미션(36) 및 전장품(38)을 향해서 개구한다.
헬리콥터(10f)에서는 헬리콥터(10)에 있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에 추가해서 이하의 작용 효과가 더 얻어진다. 즉, 헬리콥터(10f)에서는 개구부(86)를 통과해서 바디 커버(24f) 내로 유입하는 바람을 제 2 통형상부(124)에 의해 엔진(32), 트랜스미션(36) 및 전장품(38)에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32), 트랜스미션(36) 및 전장품(38)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형상부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통형상부의 일부가 후방부(76c)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지 않고, 후방부(76c)의 후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 헬리콥터(10a~10e)에 있어서도 헬리콥터(10f)와 마찬가지로 제 2 통형상부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헬리콥터(10~10f)에 있어서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에 있어서는 제 3 통풍부가 제 2 통풍부보다 후방이며 또한 제 2 통풍부 및 라디에이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3 통풍부의 일부가 제 2 통풍부 및/또는 라디에이터보다 하방에 위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를 제 4 통풍부의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한 쌍의 개구부(58a) 또는 한 쌍의 개구부(60a)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개구부(58a) 및 한 쌍의 개구부(60a) 중 어느 한쪽이 제 4 통풍부에 상당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명확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0, 10a, 10b, 10c, 10d, 10e, 10f : 헬리콥터
12 : 메인 바디 14: 마스트
16 : 메인 로터 18 : 테일 바디
20 : 테일 로터 22 : 프레임
24, 24a, 24b, 24c, 24d, 24e, 24f : 바디 커버
32 : 엔진 34 : 라디에이터
40 : 자세 검출기 50, 98 : 제 1 커버
52, 92, 100, 106, 110, 116, 122 : 제 2 커버
56a, 58a, 60a, 64, 66, 68, 70, 72, 74, 84, 86, 96, 98a, 102, 108a, 114, 120 : 개구부
76 : 플랜지형상부 76c : 후방부
96a, 96b, 102a, 102b, 102c : 영역 108 : 제 1 통형상부
112 : 래버린스부 112a : 상벽부
112b : 하벽부 118 : 안내부
124 : 제 2 통형상부
12 : 메인 바디 14: 마스트
16 : 메인 로터 18 : 테일 바디
20 : 테일 로터 22 : 프레임
24, 24a, 24b, 24c, 24d, 24e, 24f : 바디 커버
32 : 엔진 34 : 라디에이터
40 : 자세 검출기 50, 98 : 제 1 커버
52, 92, 100, 106, 110, 116, 122 : 제 2 커버
56a, 58a, 60a, 64, 66, 68, 70, 72, 74, 84, 86, 96, 98a, 102, 108a, 114, 120 : 개구부
76 : 플랜지형상부 76c : 후방부
96a, 96b, 102a, 102b, 102c : 영역 108 : 제 1 통형상부
112 : 래버린스부 112a : 상벽부
112b : 하벽부 118 : 안내부
124 : 제 2 통형상부
Claims (13)
- 메인 로터와,
상기 메인 로터를 지지하며 또한 상하로 연장되는 로터축과,
상기 메인 로터의 하방 및 상기 로터축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로터축을 구동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엔진 및 상기 라디에이터를 수용하는 바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로터축이 통과하는 제 1 통풍부와, 상기 제 1 통풍부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에 바람을 유도하는 제 2 통풍부와, 상기 제 1 통풍부보다 전방이며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통풍부를 갖고,
상기 제 3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통풍부 및 상기 라디에이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풍부, 상기 제 2 통풍부, 및 상기 제 3 통풍부는 서로 독립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풍부 및 상기 제 3 통풍부는 공통의 1개의 개구부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통풍부는 상기 1개의 개구부로부터 독립한 다른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풍부, 상기 제 2 통풍부 및 상기 제 3 통풍부는 공통의 1개의 개구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바디 커버의 전방으로부터의 바람을 상기 바디 커버 내로 유도하는 안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2 통풍부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방에 형성되고, 정면으로 볼 때에 하면이 보이도록 상기 바디 커버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바디 커버의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 1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통풍부는 상기 제 1 통형상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풍부는 하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제 3 통풍부를 형성하는 상벽부 및 하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벽부는 상기 제 3 통풍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앞으로부터 뒤로 연장되고,
상기 하벽부는 상기 상벽부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풍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앞으로부터 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바디 커버 내를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통형상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풍부는 상기 엔진의 상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제 1 통풍부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제 4 통풍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무인 헬리콥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보다 상방이며 또한 상기 로터축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자세 검출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보다 상방이며 또한 상기 로터축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61594 | 2012-07-20 | ||
JP2012161594A JP5707367B2 (ja) | 2012-07-20 | 2012-07-20 | 無人ヘリコプタ |
PCT/JP2013/069562 WO2014014072A1 (ja) | 2012-07-20 | 2013-07-18 | 無人ヘリコプ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6148A true KR20150036148A (ko) | 2015-04-07 |
KR101613574B1 KR101613574B1 (ko) | 2016-04-19 |
Family
ID=4994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1630A KR101613574B1 (ko) | 2012-07-20 | 2013-07-18 | 무인 헬리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382012B2 (ko) |
EP (1) | EP2876051A1 (ko) |
JP (1) | JP5707367B2 (ko) |
KR (1) | KR101613574B1 (ko) |
CN (1) | CN104470803B (ko) |
AU (1) | AU2013291120A1 (ko) |
WO (1) | WO20140140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56106B2 (ja) * | 2013-06-28 | 2016-02-09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無人ヘリコプタ |
CN103818544B (zh) * | 2014-01-24 | 2016-05-18 | 深圳一电航空技术有限公司 | 无人机、无人机机身及其制造方法 |
WO2016000484A1 (zh) * | 2014-07-03 | 2016-01-07 | 天津曙光敬业科技有限公司 | 无人直升机的机壳开合系统 |
WO2016172947A1 (zh) * | 2015-04-30 | 2016-11-03 |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 热管理系统及热管理方法,及应用该热管理系统的无人机 |
JP6614556B2 (ja) * | 2015-06-01 | 2019-12-04 |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無人航空機 |
CN105253311B (zh) * | 2015-09-28 | 2017-08-08 | 易瓦特科技股份公司 | 无人直升机 |
DE102016125656B4 (de) * | 2016-12-23 | 2021-02-18 |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 Luftfahrzeug mit einem Kühlsystem und Kühlverfahren |
JP6522074B2 (ja) * | 2017-10-06 | 2019-05-29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無人飛行体用フレーム |
US10906660B2 (en) * | 2018-08-09 | 2021-02-02 | Bell Textron Inc. | Cowling inlet for sideward airflow |
JP7235582B2 (ja) | 2019-05-07 | 2023-03-08 | 株式会社Subaru | 冷却ダクト |
RU2737979C1 (ru) * | 2020-03-23 | 2020-12-07 | Константин Борисович Махнюк | Вертолет |
WO2021198964A1 (en) * | 2020-04-02 | 2021-10-07 | Ahmad Fareed Aldarwish | Aircraft structure and associated tools and methods |
CN111591452B (zh) * | 2020-04-03 | 2021-11-26 | 湖北吉利太力飞车有限公司 | 垂起飞行器的通风装置及控制方法 |
CN113371190A (zh) * | 2021-08-16 | 2021-09-10 |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 一种基于常规旋翼构型的复合式高速直升机 |
FR3131904A1 (fr) * | 2022-01-14 | 2023-07-21 | Roze Mobility | Aeronef a voilure tournante a usage mixte, notamment emport de passagers en mode pilote ou emport de charge en mode drone |
JP7099776B1 (ja) * | 2022-03-17 | 2022-07-12 | 株式会社石川エナジーリサーチ | 飛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68842B2 (ja) * | 1990-05-21 | 1999-03-10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ヘリコプタのラジエータ配設構造 |
JP3410304B2 (ja) | 1996-10-15 | 2003-05-26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産業用無人ヘリコプタ |
JPH10263215A (ja) * | 1997-03-28 | 1998-10-06 | Mugen:Kk | 無人ヘリコプター |
JP4574841B2 (ja) * | 2000-12-25 | 2010-11-04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無人ヘリコプターのラジエータ構造 |
WO2003039950A2 (en) * | 2001-11-07 | 2003-05-15 | Rehco Llc | Propellers, propeller stabilizers, and propeller related vehicles |
JP4140004B2 (ja) * | 2003-02-21 | 2008-08-27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無人ヘリコプタ |
JP2004268730A (ja) * | 2003-03-07 | 2004-09-30 | Yamaha Motor Co Ltd | 無人ヘリコプタの姿勢制御方法 |
JP4284110B2 (ja) * | 2003-05-26 | 2009-06-24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ヘリコプタ |
AT413811B (de) | 2004-07-15 | 2006-06-15 | Schiebel Ind Ag | Unbemannter hubschrauber |
KR20070112413A (ko) * | 2005-03-28 | 2007-11-23 |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 무인 헬리콥터 |
KR100958598B1 (ko) | 2005-08-04 | 2010-05-18 |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 무인 헬리콥터 |
PL2133265T3 (pl) | 2008-06-10 | 2011-01-31 | Agusta Spa | Helikopter |
-
2012
- 2012-07-20 JP JP2012161594A patent/JP5707367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7-18 WO PCT/JP2013/069562 patent/WO201401407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7-18 AU AU2013291120A patent/AU201329112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7-18 US US14/415,179 patent/US9382012B2/en active Active
- 2013-07-18 KR KR1020157001630A patent/KR1016135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18 CN CN201380038617.6A patent/CN104470803B/zh active Active
- 2013-07-18 EP EP13820172.8A patent/EP2876051A1/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707367B2 (ja) | 2015-04-30 |
KR101613574B1 (ko) | 2016-04-19 |
JP2014019357A (ja) | 2014-02-03 |
US9382012B2 (en) | 2016-07-05 |
CN104470803A (zh) | 2015-03-25 |
US20150183521A1 (en) | 2015-07-02 |
CN104470803B (zh) | 2016-06-08 |
WO2014014072A1 (ja) | 2014-01-23 |
AU2013291120A1 (en) | 2015-03-05 |
EP2876051A1 (en) | 2015-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3574B1 (ko) | 무인 헬리콥터 | |
JP5293888B2 (ja) | 冷却風導入構造 | |
CN103579545B (zh) | 用于车辆的电池包 | |
US8344534B2 (en) | System for a vehicle to capture energy from environmental air movement | |
JP4847073B2 (ja) | トラクタ | |
JP4627459B2 (ja) | 車両前部構造 | |
US20150087217A1 (en) | Grille for vehicle wall opening | |
US10124662B2 (en) | Radiator for saddled vehicle | |
JP2007145281A (ja) | 車両の冷却装置 | |
JP2011073537A (ja) | 冷却装置のシュラウド構造 | |
US10343512B2 (en) | Engine heat retention structure | |
US8453777B2 (en) | Cooling fan duct assembly | |
JP2014045672A (ja) | コンバイン | |
JP6032040B2 (ja) | 空気吹出部構造 | |
JP5630331B2 (ja) | 冷却風導入構造 | |
US10350989B2 (en) | Flap device | |
JP4200122B2 (ja) |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 |
JP2010195339A (ja) | 作業車両 | |
JP2005307921A (ja) | 自動車の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プ構造 | |
JP2009185663A (ja) | 熱交換器のファンの取付構造 | |
WO2014163078A1 (ja) | 空冷エンジン、エンジン作業機 | |
JP6175123B2 (ja) | 鞍乗り型車両のラジエータ構造 | |
JP2014181023A (ja) | 車体前部構造 | |
JP4485810B2 (ja) |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エンジン冷却風の導風路 | |
JP2015199453A (ja) | 車両用シャッタ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