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467A -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467A
KR20150035467A KR1020147001866A KR20147001866A KR20150035467A KR 20150035467 A KR20150035467 A KR 20150035467A KR 1020147001866 A KR1020147001866 A KR 1020147001866A KR 20147001866 A KR20147001866 A KR 20147001866A KR 20150035467 A KR20150035467 A KR 20150035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mandrel
firing
layered foo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893B1 (ko
Inventor
마사오 고바야시
히로노리 고바야시
도루 후키아게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코버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코버어드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코버어드
Publication of KR2015003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007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 A23G3/2015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the material being shaped at least partially by a die; Extrusion of filled or multi-layered cross-sections or plates,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cutt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4Apparatus for baking cylindrical cakes on spi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 A21C9/045Laminating dough sheets combined with applying a filling in between, e.g. lasagna-typ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10Multi-layer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외형 및 내부의 공동의 형상을 원형은 아닌 이형으로 한 층상 식품을 제조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층상 식품(1)의 제조 장치는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도우 공급부(3)와, 액상 도우를 소성하여 심봉(12)의 주위에 소성 도우(11)를 형성하는 도우 소성부(4)와,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에서 심봉(12)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5)과, 심봉(12)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와, 성형구(70)를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압착하는 구동 수단(7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LAYERED FOOD}
본 발명은 바움쿠헨(baumkuchen) 등의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움쿠헨은 중심에 공동을 갖고, 공동의 주위에 소성 도우(dough)가 나무의 나이테에 겹겹이 적층된 소성 과자이며, 오래전부터 인기가 있는 과자이다. 이 바움쿠헨은 종래부터 둥근 막대상의 심봉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고, 가스 버너 등의 가열 장치가 구비된 소성로 내에서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액상 도우를 소성시킨 후, 심봉의 외주에 소성 도우의 위로부터 새로이 액상 도우를 부착시켜서 다시 소성로 내에서 액상 도우를 소성한다는 작업을 반복하고, 심봉의 주위에 복수의 소성 도우를 층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원통상의 바움쿠헨이 제조되고 있다.
바움쿠헨은, 그 외형이 원형이고, 내부의 공동의 외형도 원형인 원통상이 일반적이지만, 원통상과는 다른 이형상의 외관의 바움쿠헨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3005043호
특허 문헌 1에서는 예를 들면, 외형이 하트형인 별도의 소성 과자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킨 후, 소성 과자를 회전시키면서 액상 도우를 소성한다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으로 하트형의 소성 과자의 주위에 복수의 소성 도우를 적층시킨 소성 과자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소성 과자는 내부에 하트형의 별도의 소성 과자를 충전하고 있지만, 외관은 속이 막힌 통나무상이고, 종래의 원통상의 바움쿠헨과 비교해도 외형이 대략 같은 원형이다. 그 때문에, 외관이 소비자의 이목을 끌 정도로 특이하고 의외성이 풍부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주는 인상이 약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인다는 점에서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움쿠헨 등의 내부에 공동을 갖는 층상 식품에 있어서, 외형 및 내부의 공동의 형상을 원형은 아닌 이형으로 하는 것으로 특이하고 의외성이 풍부한 외관을 갖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내부의 공동을 둘러싸도록 하여 복수의 소성 도우가 층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로서, 심봉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도우 공급부와,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하여 상기 심봉의 주위에 소성 도우를 형성하는 도우 소성부와, 상기 도우 공급부와 상기 도우 소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심봉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심봉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성형면을 갖는 1종 또는 복수종의 성형구와, 상기 성형구를 상기 심봉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상기 소성 도우에 대하여 압착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구성의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심봉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켜서, 상기 소성 도우가 소정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성형구를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우 소성부에는 물을 저장한 저수 용기가 설치되고, 소성 시의 열에 의해 상기 저수 용기 내의 물을 상기 도우 소성부에 증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수 용기는 상면이 개구해 있으며,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 중인 상기 심봉의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우 공급부에는 액상 도우를 저장한 도우 접시와, 상기 도우 접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도우 접시를 상승시켜서 상기 심봉을 상기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심봉의 외주에 상기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우 공급부와 상기 도우 소성부의 사이의 연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우 소성부는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 가능한 소성 영역을 복수 갖고 있으며, 상기 심봉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도우 소성부에서 복수의 상기 소성 영역에 차례 차례 반송된 후, 상기 도우 공급부에 반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내부의 공동을 둘러싸도록 하여 복수의 소성 도우가 층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심봉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도포 공정과,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하여 상기 심봉의 주위에 소성 도우를 형성하는 소성 공정과, 상기 심봉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상기 소성 도우에 대하여 상기 심봉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성형면을 갖는 1종 또는 복수종의 성형구를 압착하는 것으로 상기 소성 도우의 외형이 상기 심봉의 외형을 따르도록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구성의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심봉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고, 상기 소성 도우의 방향을 바꾸면서 상기 성형구를 상기 소성 도우에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포 공정 및 상기 소성 공정이 복수회 반복 실시된 후, 상기 성형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성 공정에서는 소성 시의 열에 의해 저수 용기에 저장한 물을 증산시키면서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수 용기는 상면이 개구해 있으며,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 중인 상기 심봉의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상 식품의 외형 및 내부의 공동의 형상을 원형은 아니고, 다각형이나 하트형, 별형, 매실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층상 식품의 외관을 특이하고 의외성이 풍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배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도 1(A)는 외형이 사각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사시도이다.
도 2(A)는 외형이 오각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그 사시도이다.
도 3(A)는 외형이 육각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그 사시도이다.
도 4(A)는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 사시도이다.
도 5(A)는 외형이 매실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그 사시도이다.
도 6은 외형이 별형(오성)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외형이 별형(육성)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외형이 네가래(water clover)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외형이 도라지(bellflower)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의 층상 식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조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조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조 장치의 측면측에서 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조 장치의 정면측에서 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A)는 외형이 사각형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15(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6(A)는 외형이 오각형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16(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7(A)는 외형이 육각형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17(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8(A)는 외형이 하트형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18(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9(A)는 외형이 매실형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0(A)는 외형이 별형(오성)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20(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1(A)는 외형이 별형(육성)인 심봉의 평면도이고, 도 21(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2는 외형이 사각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외형이 오각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외형이 육각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외형이 매실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외형이 별형(오성)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외형이 별형(육성)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외형이 네가래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외형이 도라지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외형이 사각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측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외형이 오각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측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외형이 육각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측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측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외형이 매실형인 층상 식품의 정면측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제조 장치의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9는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그 밖의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이어서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그 밖의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1은 도 11의 제조 장치의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는 경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제조 장치의 측면측에서 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제조 장치의 정면측에서 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4는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그 밖의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이어서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그 밖의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6은 도 36의 제조 장치의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는 경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7은 도 37의 제조 장치의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는 경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8은 도 38의 제조 장치의 외형이 하트형인 층상 식품을 성형하는 경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층상 식품(1)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5에 있어서, (A)는 층상 식품(1)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B)는 층상 식품(1)의 일단측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층상 식품(1)은 내부의 공동(10)을 둘러싸도록 하여 복수의 소성 도우(11)가 층상으로 적층된 통형상의 것이고, 예를 들면, 바움쿠헨 등의 소성 과자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층상 식품(1)은 종래부터 있는 바움쿠헨과 같이, 그 외형 및 내형(내부의 공동(10)의 외형)이 대략 상사형이지만, 원형은 아닌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부터 있는 원통상의 바움쿠헨으로부터 예를 들면, 사각형상으로 잘라낸 층상 식품(100)과는 달리, 본 실시 형태의 층상 식품(1)은 가장 내측의 층(최내층)의 소성 도우(11)로부터 가장 외측의 층(최외층)의 소성 도우(11)에 이르기까지 모든 층의 소성 도우(11)가 공동(10)의 주위를 일주하여 둘러싸도록 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층상 식품(1)의 외형 및 공동(10)의 외형이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하트형, 매실형이면, 층상 식품(1)의 내주 테두리로부터 외주 테두리에 걸쳐서 각각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하트형, 매실형의 외형을 갖는 층(소성 도우(11))이 동심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외형”이란, 층상 식품(1)이나 공동(10) 등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는 형상을 말한다. 또, “대략 상사형”이란, 하나의 도형을 완전히 확대 또는 축소한 관계에 있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형태가 서로 매우 닳아 있는 것을 가리킨다. 즉 예를 들면, 도 1∼도 3에 있어서, 층상 식품(1)은 코너부가 둥그스름해 있으며, 그 외형이 내부의 공동(10)의 외형과 같은 완전한 다각형은 아니지만, 변의 수가 같은 다변형이고, 대체적으로 형상이 서로 닮아 있는 것으로 대략 상사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층상 식품(1)의 외형이 종래의 원형은 아닌 이형이고, 또한, 내부의 공동(10)의 외형도 원형이 아닌 이형이기 때문에 층상 식품(1)의 외관을 특이하고 의외성이 풍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부터 있는 원통상의 바움쿠헨(100)으로부터 예를 들면, 사각형상으로 잘라내는 것으로 이형상의 층상 식품(101)을 제조한 경우에는, 원래의 바움쿠헨(100)의 잘라내어진 후의 나머지의 부분(102)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층상 식품(100)의 코너 부분(103)은 소성 도우가 공동(10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적층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인접하는 층의 소성 도우로부터 벗겨지기 쉽고, 기호식에 제공할 때에 층상 식품(100)으로부터 코너 부분(103)이 붕괴되어 버려서 외관이 나빠진다는 과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층상 식품(1)에서는 모든 층의 소성 도우(11)가 공동(10)의 주위를 일주하여 둘러싸도록 해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소성 도우(11)가 서로 벗겨져서 층상 식품(1)으로부터 붕괴되는 일이 없고, 기호식에 제공할 때에도 미려한 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층상 식품(1)의 외형에 의해 혼례나 입학, 취직 등의 축하 외에, 크리스마스나 발렌타인 등의 선물용의 과자 등으로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층상 식품(1)의 외형 및 공동(10)의 외형은 도 1∼도 5에 나타낸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하트형, 매실형 외에, 그 이외의 다각형이나 별형(도 6 및 도 7에 나타낸다), 도라지형(도 8에 나타낸다), 네가래형(도 9에 나타낸다)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형상에 따라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층상 식품(1)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2)(이하, 단순히 “제조 장치(2)”라 한다.)의 개략 측면도 및 개략 정면도이다. 또, 도 13 및 도 14는 제조 장치(2)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는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공급하는 도우 공급부(3)와, 액상 도우를 소성하여 심봉(12)의 주위에 소성 도우(11)를 형성하는 도우 소성부(4)와,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에서 심봉(12)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5)과, 심봉(12)의 주위에 적층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을 프레스 성형하여 심봉(12)의 외형을 따르도록 형성하는 성형 수단(7)과, 심봉(12)을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5∼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복수종의 심봉(12)이 준비되어 있다. 심봉(12)은 좌우 한쌍의 둥근 막대상의 샤프트(12A)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기둥상의 본체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12A)는 심봉(12)의 중심축을 이루고, 본체부(12B)의 중공 내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샤프트(12A)가 제조 장치(2)의 좌우 한쌍의 베어링(48)(도 21에 나타낸다)으로 지지됨으로써 심봉(12)이 제조 장치(2)에 세트된다. 샤프트(12A)에는 위치 결정용의 핀(12C)이 설치되어 있으며, 심봉(12)을 제조 장치(2)의 베어링(48)에 세트했을 때에, 이 핀(12C)의 위치에 따라 심봉(12)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심봉(12)의 초기 위치가 설정되면, 심봉(12)이 회전했을 때의 심봉(12)의 회전 위치가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시되게 되어 있다. 샤프트(12A)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구조적 강도가 크고, 또한, 내열성에도 뛰어난 스테인레스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체부(12B)는 층상 식품(1)이 본체부(12B)의 주위에 감긴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층상 식품(1)의 내부의 공동(10)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층상 식품(1)의 외형을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체부(12B)의 외형을 도 15∼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하트형, 매실형, 별형으로 하는 것으로 층상 식품(1)의 외형 및 내부의 공동(10)의 외형을 각각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하트형, 매실형, 별형(오각성이나 육각성)으로 할 수 있다. 본체부(12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목제인데, 목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제, 금속제, 죽제, 도기제 등이어도 상관없다. 본체부(12B)는 층상 식품(1)의 제조 시에 도우가 본체부(12B)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알루미박이나 박리지 등의 이형 시트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트형, 매실형, 별형(오각성이나 육각성)의 외형을 갖는 본체부(12B)에 대해서는, 외주면의 움푹 패인 오목홈 부분(12D)에 끈을 본체부(12B)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따르게 한다. 이에 따라, 이형 시트가 본체부(12B)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부(12B)에 의해 층상 식품(1)의 공동(10)의 외형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2B)의 외형은 도 15∼도 21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외의 다각형이나 도라지형, 네가래형 등, 제조하고 싶은 층상 식품(1)의 외형에 동반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여러 가지 외형을 갖는 심봉(12) 중에서 원하는 외형을 갖는 심봉(12)을 선택하여 제조 장치(2)의 베어링(48)에 세트한다. 이에 따라, 상세는 후술하지만, 외형 및 내부의 공동(10)의 외형을 상기한 바와 같은 원형 이외의 원하는 이형상으로 하는 층상 식품(1)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 장치(2)의 도우 소성부(4)는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열원인 상부 가열 장치(41A) 및 하부 가열 장치(41B)가 상하로 배치된 하우징(40)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가열 장치(41A) 및 하부 가열 장치(41B)는 가스 버너나 적외선 버너, 전기 히터 등의 공지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면 좋고, 하우징(40) 내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부 가열 장치(41A) 및 하부 가열 장치(41B)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으며, 제조 장치(2)에 부착된 제어 패널(15)에 의해 소성 온도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40)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조 장치(2)에 부착된 온도 표시부(16)에서 하우징(40) 내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40)의 전면부(40A)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4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42)가, 심봉(12)이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기 위한 연통로로 된다. 또, 하우징(40)의 전면부(40A)에는 개구부(42)를 개폐하는 셔터(4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43)는 좌우 한쌍의 지지 체인(44)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양 지지 체인(44)은 하우징(40)의 상면부(40D)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감기 롤러(45)에 감아져 있다. 모터(46)에 의해 양 감기 롤러(45)를 정역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 구동하고, 양 지지 체인(44)을 보내거나 되감는 것으로 셔터(43)가 상하 이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개구부(42)가 셔터(4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셔터(43)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 되는 모터(46)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셔터(43)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양 지지 체인(44)의 일단부를 하우징(40)의 상면부(40D)에 설치한 에어 실린더의 구동 로드에 부착된 부착판에 고정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의 구동 로드를 신축시키고, 양 지지 체인을 끌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는 것으로 셔터(43)를 상하 이동시켜도 좋다.
셔터(43)의 재질은 금속제이어도 좋지만, 도우 소성부(4) 내의 열을 도우 소성부(4)에 인접하는 도우 공급부(3)에 전달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일반적인 가마 등에 이용되는 단열성을 갖는 내열용 단열재(보온재)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우 소성부(4) 내의 열에 의해 도우 공급부(3)에 배치되어 있는 도우 접시(14) 내의 액상 도우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셔터(43)의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상의 창(43A)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40)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하우징(40) 내에는 조명 수단(59)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40)의 내부가 비추어지는 것으로 창(43A)을 통하여 하우징(40) 내를 양호하게 시인 가능하다.
하우징(40)의 좌우 한쌍의 측면부(40B)에는 상부 가열 장치(41A) 및 하부 가열 장치(41B)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47)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구멍(47)에는 베어링(48)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한쌍의 베어링(48)에 심봉(12)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구멍(47)은 하우징(40)의 측면부(40B)에 이어 설치된 도우 공급부(3)를 구획하는 측벽부(30)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베어링(48)이 반송 수단(5)에 의해 동기하여 각각 슬라이드 구멍(47)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심봉(12)이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반송 수단(5)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우 공급부(3) 및 도우 소성부(4)의 아래쪽 공간(S)에 좌우 한쌍의 체인 컨베이어(5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체인 컨베이어(50)는 무단상의 반송 체인(51)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반송 풀리(52)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체인 컨베이어(50)의 반송 풀리(52)끼리는 연결축(5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동기 회전한다. 한쌍의 반송 체인(51)에는 한쌍의 베어링(48)이 고정된 지지 프레임(53)이 장착되어 있다. 해당 아래쪽 공간(S)에는 한쌍의 체인 컨베이어(5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4)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54)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켓과 연결축(56)에 고정된 스프로켓이 체인(55)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반송 풀리(52)를 모터(54)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한쌍의 반송 체인(51)이 주행하고, 지지 프레임(5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반송한다. 이에 따라, 한쌍의 베어링(48) 및 심봉(12)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반송된다. 또한, 심봉(12)을 반송시키는 구동원으로 되는 모터(54)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회전 제어 수단(8)은 지지 프레임(53)에 고정되고, 심봉(12)과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모터(80)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8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보 모터가 이용되고 있다. 모터(80)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켓과 심봉(12)을 지지하는 일측의 베어링(48)에 고정된 스프로켓이 체인(8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의 베어링(48)을 모터(80)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80)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있으며, 모터(80)의 회전수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소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심봉(12)의 회전 위치의 감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모터(80)는 반드시 서보 모터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브레이크 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심봉(1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근접 스위치 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를 설치하고, 센서의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하여 심봉(12)의 회전 위치의 감시를 실시한다. 또한, 심봉(12)을 소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에 대해서는, 클러치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하우징(40) 내의 상부 가열 장치(41A)의 위쪽에는 열 반사판(56)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열 반사판(56)에 의해 상부 가열 장치(41A)로부터 위쪽으로 방출되는 열을 소성 시에 상부 가열 장치(41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심봉(12)쪽을 향하여 반사시키고 있다.
하우징(40)의 저면부(40C)에는 상면이 개구한 저수 용기(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수 용기(57)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으며, 소성 시의 상부 및 하부 가열 장치(41A, 41B)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물이 증발하여 하우징(40) 내(도우 소성부(4))에 증산하는 것으로 소성 중의 도우에 대하여 수분을 적당히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우를 촉촉히 구울 수 있어서, 소성 후의 층상 과자(1)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 저수 용기(57)는 도우 소성 중의 심봉(12)의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성 중에 심봉(12)으로부터 액상 도우가 떨어졌다고 해도 저수 용기(57) 내의 물 위로 낙하하기 때문에 도우가 하우징(40)의 저면부(40C)에 부착하여 하우징(40)을 오손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저수 용기(57) 내의 물을 버리면, 떨어진 도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하우징(40) 내의 하부 가열 장치(41B)의 위쪽에는 덮개판(58)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덮개판(58)이 하부 가열 장치(41B)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소성 중에 심봉(12)으로부터 액상 도우가 떨어졌다고 해도 하부 가열 장치(41B)에 도우가 부착되어 하부 가열 장치(41B)를 오손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덮개판(58)은 부착된 도우가 저수 용기(57)에 자연스럽게 낙하하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저수 용기(57)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우 공급부(3)는 하우징(40)의 양측면부(40B)에 이어 설치된 좌우 한쌍의 측벽부(30)와, 저벽부(31)와, 하우징(40)의 전면부(40A)로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0)의 측면부(40B)나 측벽부(30)의 옆쪽은 커버(17)에 의해 덮여 있다.
도우 공급부(3)에는 액상 도우를 저장한 용기상의 도우 접시(14)가 설치되어 있다. 도우 접시(14)는 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지지대(60)의 하면에는 저벽부(31)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하는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지지 로드(61)가 고정되어 있다. 양 지지 로드(61)의 하단부는 모터(62)에 의해 공지의 랙 및 피니언 기구(63)를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연결 부재(64)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62)를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하여 지지 로드(61)와 함께 지지대(6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우 접시(14)가 상하로 승강한다. 도우 접시(14)를 상승시켜서 심봉(12)을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 상태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들의 모터(62)나 랙 및 피니언 기구(63), 연결 부재(64)는 도우 접시(14)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6)을 구성하고, 도우 공급부(3) 및 도우 소성부(4)의 아래쪽 공간(S)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62)에 공지의 서보 모터를 사용하면, 도우 접시(14)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밀리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우 공급부(3)에는 성형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성형 수단(7)은 성형구(70)와, 성형구(70)를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압착하는 구동 수단(71)을 구비하고 있다. 성형구(70)는 구동 수단(71)에 의해 심봉(12)의 위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소성 도우(11)를 위쪽으로부터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수단(71)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에어 실린더(72A, 72B)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에어 실린더(72A)가 연결 부재(73)에 의해 하우징(40)의 상면부(40D)에 부착되어 있다. 한쪽의 에어 실린더(72A)의 구동 로드에 연결 부재(74)를 통하여 다른쪽의 에어 실린더(72B)가 부착되는 것과 함께, 다른쪽의 에어 실린더(72B)의 구동 로드에 연결 부재(79)를 통하여 성형구(70)가 부착되어 있다. 2개의 에어 실린더(72A, 72B)의 구동 로드의 신축에 의해 성형구(70)가 2단계로 상하 이동한다. 2개의 에어 실린더(72A, 72B)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구(7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에어 실린더(72A, 72B)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데, 서보 모터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성형구(70)는 심봉(12)의 본체부(12B)의 폭 및 길이보다도 큰 폭 및 길이를 갖고 있는 판상의 것이고, 한쪽의 판면에 심봉(12)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성형면(70A)을 갖고 있다. 성형구(70)의 다른쪽의 판면에는 연결 부재(79)와 연결하기 위한 걸림 고정구(75)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에 있어서는, 심봉(12)의 외형에 따라서 다른 형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복수종의 성형구(70)가 준비되어 있다.
성형면(70A)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형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인 심봉(12)에 대해서는, 심봉(12)의 외주면의 일부분의 평면상 부분(12E)의 형상에 대응한 평면상(도 22∼도 24에 나타낸다)으로 한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형이 하트형인 심봉(12)에 대해서는, 성형면(70A)의 형상을, 심봉(12)의 외주면의 일부분의 오목홈 부분(12D)의 형상에 대해서는, 볼록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선단이 뾰족한 볼록 곡면상(도 25에 나타낸다)으로 하고, 또한, 외주면의 일부분의 볼록상 부분(12F)의 형상에 대해서는, 대략 L자로 접어 구부러진 오목 곡면상(도 25에 나타낸다)으로 한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형이 매실형인 심봉(12)에 대해서는, 심봉(12)의 외주면의 일부분의 오목홈 부분(12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트형인 때보다도 곡면의 구부러림 정도(곡률)가 큰 볼록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선단이 뾰족한 볼록 곡면상(도 26에 나타낸다)으로 한다. 또,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형이 별형(오각성이나 육각성)인 심봉(12)에 대해서는, 심봉(12)의 외주면의 일부분의 오목홈 부분(12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끝이 둥근 산형상으로 굴곡한 볼록 곡면상(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다)으로 한다. 그 밖에도, 외형이 네가래형이나 도라지형인 심봉(12)에 대해서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의 일부분의 오목홈 부분(12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볼록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선단이 둥근 볼록 곡면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성형면(70A)의 형상을 심봉(1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에 맞추어서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한 복수종의 성형구(70)를 준비하고, 제조 장치(2)에 세트하는 심봉(12)의 외형에 맞추어서 복수종의 성형구(70) 중에서 소정 형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선택하여 제조 장치(2)에 세트한다. 그리고 이 성형구(70)를 층상 식품(1)의 제조 시에 항상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압착 프레스 성형하는 것으로 층상의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심봉(12)의 외형을 따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2)에 의해 층상 식품(1)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우 공급부(3)의 도우 접시(14)에 액상 도우를 공급한다. 공급하는 액상 도우로서는 예를 들면, 종래부터 바움쿠헨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액상 도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수단(6)에 의해 도우 접시(14)를 상승시켜서 심봉(12)을 도우 접시(14)의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회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킨다(도우 공급 공정).
심봉(12)으로의 액상 도우의 공급 후, 심봉(12)을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소성부(4)(하우징(40) 내)에 반송하고,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우징(40) 내에 소정 시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부 가열 장치(41A) 및 하부 가열 장치(41B)로부터의 열에 의해 액상 도우가 소성되고, 심봉(12)의 주위에 소성 도우(11)가 형성된다(도우 소성 공정). 이때의 소성 온도로서는, 바움쿠헨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약 300℃∼365℃를 상정할 수 있는데, 사용하는 액상 도우의 종류에 맞추어서 소성 온도를 적절히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봉(12)으로의 소성 도우의 형성 후, 심봉(12)을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공급부(3)에 다시 반송하고, 승강 수단(6)에 의해 도우 접시(14)를 상승시켜서 심봉(12)을 도우 접시(14)의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외주에 소성 도우(11)의 위로부터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킨다(도우 공급 공정). 그리고 다시 심봉(12)을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소성부(4)(하우징(40) 내)에 반송하고,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우징(40) 내에 소정 시간 유지하는 것으로 액상 도우를 소성시켜서 이미 형성된 소성 도우(11) 상에 소성 도우(11)를 적층시킨다(도우 소성 공정). 이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을 번갈아 반복 실시하는 것으로 심봉(12)의 주위에 복수의 소성 도우(11)가 층상으로 적층된다.
심봉(12)의 주위에 복수의 소성 도우(11)가 차례 차례 적층되는 과정에 있어서, 소정수의 소성 도우(11)가 적층될 때마다 적층된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성형 수단(7)에 의해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상 도우의 소성 후, 도우 공급부(3)에서 심봉(12)의 외주에 새로운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기 전에 심봉(12)의 주위의 층상의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구동 수단(71)에 의해 성형구(70)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4∼5초) 압착한다. 이에 따라, 소성 도우(11)는 성형구(70)의 성형면(70A)과 심봉(12)의 외주면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일부분이 심봉(12)의 외주면의 형태(외형)를 따르도록 성형된다. 이 소성 도우(11)에 대한 성형을 회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심봉(12)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면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복수 부분에 대하여 실시한다.
예를 들면,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다각형(N각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심봉(12)을 360도/N(예를 들면, 사각형인 경우에는 90도, 오각형인 경우에는 72도, 육각형인 경우에는 6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평면상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될 때마다 평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매실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심봉(12)을 72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될 때마다 소정의 볼록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또, 도 27이나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별형(오성 또는 육성)으로 정형하는 경우에는, 심봉(12)을 72도 또는 6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될 때마다 소정의 볼록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또,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네가래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심봉(12)을 45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될 때마다 소정의 볼록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또,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도라지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심봉(12)을 72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될 때마다 소정의 볼록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한편,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2종류의 성형구(70)를 이용하여 성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2종류의 성형구(70)를 인접하도록 나열하여 설치하고, 우선,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소정의 볼록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한쪽(도 25에서는 좌측)의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그 후, 반송 수단(5)에 의해 심봉(12)을 다른쪽(도 25에서는 우측)의 성형구(70)의 아래쪽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회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심봉(12)을 180도 회전시켜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끝이 뾰족한 볼록상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오목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또한,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심봉(12)을 움직이지 않고, 2종류의 성형구(70)를 심봉(12)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82) 및 피니언(83)으로 이루어지는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2종류의 성형구(7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2종류의 성형구(70)는 인접하도록 나열하여 설치되고, 랙(82)에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83)은 로터리 액추에이터(P1)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 로터리 액추에이터(P1)를 제어함으로써 랙(82)이 직선 왕복 운동하여 2종류의 성형구(7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도 39 및 도 40의 예에서는 우선,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볼록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도 39의 좌측)를 소성 도우(11) 상으로 이동시켜서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그 후, 회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심봉(12)을 180도 회전시켜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끝이 뾰족한 볼록상 부분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랙(82)을 슬라이드시켜서 오목 곡면상의 성형면(70A)을 갖는 성형구(70)(도 40의 우측)를 소성 도우(11) 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함으로써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랙―피니언 기구나 로터리 액추에이터(P1) 등은 연결 부재(79)에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 수단(71)에 의해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또, 예를 들면, 도 41∼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종류의 성형구(70)를 이용하여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도 41∼도 43의 예에서는 성형구(70)는 하트형의 심봉(12)(도 18에 나타낸다)의 오목홈 부분(12D) 및 볼록상 부분(12F)의 형상을 따르도록 볼록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선단이 뾰족한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다. 성형구(70)의 코너부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의 양단 위치에 둥근 막대상의 샤프트(7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성형구(70)는 연결 부재(79)에 부착된 지지 테두리(77)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테두리(77)는 연결 부재(79)에 고정되는 상면부(77A)와, 상면부(77A)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늘어지는 한쌍의 측면부(77B)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부(77B)에 성형구(70)의 한쌍의 샤프트(7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성형구(70)의 한쪽의 샤프트(76)의 단부에는 종동 기어(78A)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테두리(77)의 한쪽의 측면부에는 종동 기어(78A)와 맞물리도록 전달 기어(78B)가 샤프트(76)의 위쪽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지지 테두리(77)의 상면부(77A)에는 로터리 액추에이터(P2)가 고정되어 있으며, 로터리 액추에이터(P2)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는 전달 기어(78B)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78C)가 장착되어 있다. 이 도 41∼도 43의 예에서는 로터리 액추에이터(P2)의 회전 구동력은 구동 기어(78C)에 의해 전달 기어(78B)에 전달되고, 그리고 또한, 이 전달 기어(78B)로부터 성형구(70)의 샤프트(76)에 고정한 종동 기어(78A)로 전달됨으로써 성형구(70)가 회전한다. 따라서 우선,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오목홈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는 성형구(70)를 아래로 볼록으로 되도록 회전시키고, 구동 수단(71)에 의해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그 후,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심봉(12)을 180도 회전시켜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의 끝이 뾰족한 볼록상 부분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성형구(70)도 180도 회전시켜서 위로 볼록으로 되도록 하고, 구동 수단(71)에 의해 성형구(70)를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소정 시간 압착한다. 이에 따라,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회의 성형 공정에서 심봉(12)을 회전시키면서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복수회에 걸쳐서 성형구(70)를 압착하고,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을 골고루 성형하는 것으로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심봉(12)의 외형을 따른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성형 공정을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이 소정 횟수 실시될 때마다 실시하면서 심봉(12)의 주위에 소성 도우(11)를 소정의 층수(예를 들면, 24층∼30층) 적층하는 것으로 외형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층상 식품(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공정을 실시하는 빈도는 제조하는 층상 식품(1)의 외형에 맞추어서 적절히 바꿀 수 있고, 층상 식품(1)의 외형에 따라서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을 실시할 때마다 매회 성형 공정을 실시해도 좋고,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을 예를 들면, 2회∼5회 실시할 때마다 1회 성형 공정을 실시해도 좋다. 다만,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이 실시될 때마다 성형 공정을 항상 실시하면,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프레스 성형이 과도하게 실시되어 소성 도우(11)가 딱딱해지고, 제조 후의 층상 식품(1)이 부풀은 식감으로 완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성형 공정은 층상 식품(1)의 외형에 따라 적당히 간격을 두고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을 실시할 때마다 성형 공정을 실시해도 문제는 없다.
도 31∼도 35는 상기한 제조 장치(2)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외형 및 내부의 공동의 외형이 각각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하트형, 매실형인 층상 식품(1)(바움쿠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어느 쪽의 형상의 층상 식품(1)(바움쿠헨)에 대해서도 소성 도우(11)를 24층 적층시키고 있다. 또,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매실형의 층상 식품(1)(바움쿠헨)에 대해서는,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을 4회 실시할 때마다 성형 공정을 1회 실시하고 있으며, 하트형의 층상 식품(1)(바움쿠헨)에 대해서는, 도우 공급 공정 및 도우 소성 공정을 2회 실시할 때마다 성형 공정을 1회 실시하고 있다.
도 31∼도 35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장치(2) 및 제조 방법에 의하여 층상 식품(1)을 제조하면, 층상 식품(1)의 외형 및 내부의 공동(10)의 외형을 원형은 아닌 이형으로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최내층의 소성 도우(11)로부터 최외층의 소성 도우(11)에 이르기까지 모든 층의 소성 도우(11)가 공동(10)의 주위를 일주하여 둘러싸도록 해서 적층되어 동심상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형 및 내부의 공동(10)의 형상을 원형은 아니고, 다각형이나 하트형, 별형, 매실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한 층상 식품(1)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층상 식품(1)의 외관을 특이하고 의외성이 풍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에서는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바로 위에서 성형구(70)를 압착하여 프레스 성형하고 있는데, 바로 아래 또는 좌우 전후의 옆쪽, 나아가서는 경사 방향의 모든 방향에서 성형구(70)를 압착하여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또, 성형구(70)를 복수 배치하고,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을 한 번에 복수 부분 프레스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에서는 1개의 심봉(12)을 도우 공급부(3) 및 도우 소성부(4)에 반송하여 1개의 층상 식품(1)을 제조하고 있는데, 도 36∼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심봉(12)을 도우 공급부(3) 및 도우 소성부(4)에 반송하도록 하여 한 번에 복수의 층상 식품(1)을 제조 가능한 다연식(多連式))의 제조 장치(2)로 해도 좋다. 또한, 도 36∼도 38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의 구성과 동일하고, 여기에서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는 심봉(2)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5)으로서, 좌우 한쌍의 체인 컨베이어(5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체인 컨베이어(50)는 무단상의 반송 체인(51)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상하 2단의 4개의 반송 풀리(52)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 2단의 반송로가 설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체인 컨베이어(50)의 반송 풀리(52)끼리는 연결축(5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동기 회전한다. 소정의 반송 풀리(52)의 연결축(56)에 고정된 스프로켓과 반송 모터(54)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켓이 체인(55)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반송 풀리(52)를 반송 모터(54)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좌우 한쌍의 반송 체인(51)이 주행한다. 좌우 한쌍의 반송 체인(51)에는 복수쌍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되어 있으며, 각 베어링에 심봉(1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것으로 복수(도시예에서는 14개)의 심봉(12)이 상하 2단의 반송로를 화살표 X방향으로 주회(周回))하여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에 반송된다.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의 상하의 연통로는 상하 이동하는 셔터(43)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또, 각 심봉(12)은 회전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제어되어 있으며, 반송 수단(5)에 의해 화살표 X방향으로 반송되는 것과 함께,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한, 소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우 공급부(3)에는 상기한 성형구(70)와, 성형구(7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주위에 적층되는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성형구(70)를 압착하는 구동 수단(71)을 구비한 성형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2종류의 성형구(70)(도 25에 나타낸다)를 이용하여 성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종류의 성형구(70)가, 그 사이에 하트형의 심봉(12)이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각 성형구(70)가 심봉(12)의 주위에 적층되는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압착되도록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우 공급부(3)에는 성형 수단(7)보다도 심봉(12)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에 액상 도우를 아래쪽으로 토출하는 것으로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공급하는 노즐(18)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18)은 승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다.
도우 소성부(4)는 액상 도우를 소성 가능한 소성 영역을 복수(도시예에서는 6개) 갖고 있으며, 심봉(12)은 도우 소성부(4)의 복수의 소성 영역에 차례 차례 반송된 후, 도우 공급부(3)에 반출된다. 도우 소성부(4)의 각 도우 소성 영역에는 상부 및 하부 가열 장치(41A, 41B), 저수 용기(57) 및 덮개판(58)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우 소성부(4)에는 내부를 시인 가능한 창(43A)이나 내부를 비추는 조명 수단(59)이 적절히 설치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에 있어서는 우선, 승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노즐(18)을 하강시켜서 노즐(18)의 아래쪽 위치에 반송되는 심봉(12)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회전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심봉(12)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노즐(18)로부터 토출되는 액상 도우를 심봉(12)의 외주에 균등하게 부착시킨다(도우 공급 공정).
심봉(12)으로의 액상 도우의 공급 후,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소성부(4)의 첫번째의 소성 영역에 반송한다. 이 심봉(12)을 첫번째의 소성 영역에서 소정 시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이 심봉(12)보다도 한단계 하류측의 심봉(12)에 대하여 노즐(18)에 의해 액상 도우를 공급한다. 그리고 이 한단계 하류측의 심봉(12)을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소성부(4)의 첫번째의 소성 영역에 반송하는 것과 함께, 한단계 상류측의 심봉(12)을 도우 소성부(4)의 두번째의 소성 영역에 반송한다. 이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심봉(12)을 도우 소성부(4)의 모든 소성 영역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액상 도우의 소성을 실시한다(도우 소성 공정).
도우 소성부(4)로부터 반출된 심봉(12)이 성형 수단(7)의 아래쪽 위치에 반송되면, 심봉(12)을 소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성형 수단(7)에 의해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성형 공정). 이에 따라,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심봉(12)의 외형을 따른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심봉(12)을 노즐(18)의 아래쪽 위치에 반송하고, 심봉(12)의 외주에 소성 도우(11)의 위로부터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킨 후, 심봉(12)을 도우 소성부(4)의 각 소성 영역에 반송하여 액상 도우의 소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미 형성된 소성 도우(11) 상에 소성 도우(11)를 적층시킨다. 상기한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심봉(12)의 주위에 소성 도우(11)를 소정의 층수(예를 들면, 24층∼30층) 적층하는 것으로 층상 식품(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와 마찬가지로, 층상 식품(1)의 외형에 따라서 심봉(12)의 주위에 소정수의 소성 도우(11)가 적층될 때마다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성형 수단(7)에 의해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7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는 도 36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의 변형예이고, 도 36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와 다른 점은 심봉(12)의 외주에 대하여 액상 도우를 공급하는 구성뿐이기 때문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7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에서는 심봉(12)의 외주에 대하여 노즐(18)에 의해 액상 도우를 공급하는 것은 아니고,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와 마찬가지로, 도우 공급부(3)에 액상 도우를 저장한 도우 접시(14)가 구비되어 있다. 도우 접시(14)는 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대(60)의 하면에 고정된 지지 로드(61)가 모터(62) 및 랙 및 피니언 기구(63)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도우 접시(14)가 상하로 승강한다. 도 37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에서는 도우 접시(14)를 상승시켜서 심봉(12)을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 상태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7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에 있어서도,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2종류의 성형구(70)(도 25에 나타낸다)를 이용하여 성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종류의 성형구(70)가, 그 사이에 하트형의 심봉(12)이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각 성형구(70)가 심봉(12)의 주위에 적층되는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압착되도록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8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는 심봉(12)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5)으로서, 좌우 한쌍의 원형의 회전 드럼(20)과, 양 회전 드럼(20)을 연결하여 동기 회전시키는 연결축(21)과, 회전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 되는 구동 모터(2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축(20)은 도우 공급부(3) 및 도우 소성부(4)를 구획하는 좌우 한쌍의 측벽(20)에 설치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연결축(21)에 고정된 스프로켓(23)과 구동 모터(22)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켓이 체인(24)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축(21)을 구동 모터(22)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으로 양 회전 드럼(20)이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다. 심봉(12)은, 그 양단부가 좌우 한쌍의 회전 드럼(20)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 드럼(2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도시예에서는 8개) 설치되어 있다.
또, 연결축(21)에는 대소 2개의 스프로켓(25A, 25B)이 병렬 상태로 느슨히 끼워져 있다. 한쪽의 스프로켓(25A)은 각 심봉(12)을 회전시키고, 또한, 그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8)을 구성하는 회전 모터(26)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켓과 체인(27)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른쪽의 스프로켓(25B)은 각 심봉(12)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프로켓(28)과 체인(29)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90은 별형으로 굴곡하는 체인(29)을 긴장 상태로 감아 걸기 위한 텐션 스프로켓이고, 회전 드럼(20)에 축지지되어 있다.
각 심봉(12)은 반송 수단(5)에 의해 회전 드럼(20)과 일체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공전)하여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에 반송되는 것과 함께, 회전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각 체인(27, 29)을 통하여 정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한, 소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자전)된다. 도우 공급부(3)와 도우 소성부(4)의 사이의 상하의 연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터(43)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도우 공급부(3)에는 상기한 성형구(70)와, 성형구(7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주위에 적층되는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성형구(70)를 압착하는 구동 수단(71)을 구비한 성형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하트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2종류의 성형구(70)(도 25에 나타낸다)를 이용하여 성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종류의 성형구(70)가, 그 사이에 하트형의 심봉(12)이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각 성형구(70)가 심봉(12)의 주위에 적층되는 소성 도우(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압착되도록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우 공급부(3)에는 성형 수단(7)보다도 심봉(12)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에 도우 접시(14)가 승강 수단(6)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우 접시(14)는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와 동일하게 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대(60)의 하면에 고정된 지지 로드(61)가 모터(62) 및 랙 및 피니언 기구(63)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도우 접시(14)가 상하로 승강한다. 도우 접시(14)를 상승시켜서 심봉(12)을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 상태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심봉(12)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도우 소성부(4)는 액상 도우를 소성 가능한 소성 영역을 복수(도시예에서는 5개) 갖고 있으며, 심봉(12)은 도우 소성부(4)의 복수의 소성 영역에 차례 차례 반송된 후, 도우 공급부(3)에 반출된다. 도우 소성부(4)에는 가열 장치(41) 및 저수 용기(5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우 소성부(4)에는 내부를 시인 가능한 창(도시하지 않음)이나 내부를 비추는 조명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적절히 설치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2)에 있어서는 우선, 승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우 접시(14)를 상승시켜서 소정 위치에 있는 심봉(12)을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회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액상 도우를 심봉(12)의 외주에 균등하게 부착시킨다(도우 공급 공정).
심봉(12)으로의 액상 도우의 공급 후, 심봉(1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소성부(4)의 첫번째의 소성 영역에 반송한다. 이 심봉(12)을 첫번째의 소성 영역에서 소정 시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이 심봉(12)보다도 한단계 하류측의 심봉(12)을 도우 접시(14) 내의 액상 도우에 침지시켜서 액상 도우를 공급한다. 그리고 이 한단계 하류측의 심봉(12)을 반송 수단(5)에 의해 도우 소성부(4)의 첫번째의 소성 영역에 반송하는 것과 함께, 한단계 상류측의 심봉(12)을 도우 소성부(4)의 두번째의 소성 영역에 반송한다. 이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심봉(12)을 도우 소성부(4)의 모든 소성 영역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액상 도우의 소성을 실시한다(도우 소성 공정).
도우 소성부(4)로부터 반출된 심봉(12)이 성형 수단(7)까지 반송되면, 심봉(12)을 소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심봉(12)의 주위에 형성된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성형 수단(7)에 의해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성형 공정). 이에 따라, 소성 도우(11)의 외형을 심봉(12)의 외형을 따른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심봉(12)을 도우 접시(14)까지 반송하고, 심봉(12)의 외주에 소성 도우(11)의 위로부터 액상 도우를 균등하게 부착시킨 후, 심봉(12)을 도우 소성부(4)의 각 소성 영역에 반송하여 액상 도우의 소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미 형성된 소성 도우(11) 상에 소성 도우(11)를 적층시킨다. 상기한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심봉(12)의 주위에 소성 도우(11)를 소정의 층수(예를 들면, 24층∼30층) 적층하는 것으로 층상 식품(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2)와 마찬가지로, 심봉(12)의 주위에 소정수의 소성 도우(11)가 적층될 때마다 소성 도우(11)에 대하여 성형 수단(7)에 의해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도 38의 실시 형태와 같이, 제조 장치(2)를 다연식으로 하는 것으로 한 번에 복수의 층상 식품(1)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층상 식품(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조 장치(2)에 의해 외형 및 내부의 공동(10)의 외형이 원형은 아닌 이형의 층상 식품(1)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제조 장치(2)에 의해 외형이 원형이고, 내부의 공동(10)의 외형도 원형인, 종래부터 있는 원통상의 층상 식품(1)도 제조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 층상 식품
2: 제조 장치
3: 도우 공급부
4: 도우 소성부
5: 반송 수단
6: 승강 수단
8: 회전 제어 수단
10: 공동
11: 소성 도우
12: 심봉
14: 도우 접시
43: 셔터
57: 저수 용기
70: 성형구
71: 구동 수단

Claims (12)

  1. 내부의 공동을 둘러싸도록 하여 복수의 소성 도우가 층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로서,
    심봉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도우 공급부와,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하여 상기 심봉의 주위에 소성 도우를 형성하는 도우 소성부와,
    상기 도우 공급부와 상기 도우 소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심봉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심봉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성형면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성형구와,
    상기 성형구를 상기 심봉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상기 소성 도우에 대하여 압착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심봉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켜서, 상기 소성 도우가 소정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성형구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 소성부에는 물을 저장한 저수 용기가 설치되고, 소성 시의 열에 의해 상기 저수 용기 내의 물을 상기 도우 소성부에 증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용기는 상면이 개구해 있으며,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 중인 상기 심봉의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 공급부에는 액상 도우를 저장한 도우 접시와, 상기 도우 접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도우 접시를 상승시켜서 상기 심봉을 상기 액상 도우에 침지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심봉의 외주에 상기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 공급부와 상기 도우 소성부의 사이의 연통로를 개폐하는 셔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 소성부는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 가능한 소성 영역을 복수 갖고 있으며,
    상기 심봉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도우 소성부에서 복수의 상기 소성 영역에 차례 차례 반송된 후, 상기 도우 공급부에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8. 내부의 공동을 둘러싸도록 하여 복수의 소성 도우가 층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심봉의 외주에 액상 도우를 부착시키는 도포 공정과,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하여 상기 심봉의 주위에 소성 도우를 형성하는 소성 공정과,
    상기 심봉의 주위에 형성된 층상의 상기 소성 도우에 대하여 상기 심봉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성형면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성형구를 압착하는 것으로 상기 소성 도우의 외형이 상기 심봉의 외형을 따르도록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고, 상기 소성 도우의 방향을 바꾸면서 상기 성형구를 상기 소성 도우에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공정 및 상기 소성 공정이 복수회 반복 실시된 후, 상기 성형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공정에서는 소성 시의 열에 의해 저수 용기에 저장한 물을 증산시키면서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용기는 상면이 개구해 있으며, 상기 액상 도우를 소성 중인 상기 심봉의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147001866A 2013-07-08 2013-11-25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554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2727 2013-07-08
JP2013142727A JP5431608B1 (ja) 2013-07-08 2013-07-08 層状食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CT/JP2013/082308 WO2015004824A1 (ja) 2013-07-08 2013-11-25 層状食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67A true KR20150035467A (ko) 2015-04-06
KR101554893B1 KR101554893B1 (ko) 2015-09-22

Family

ID=5039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866A KR101554893B1 (ko) 2013-07-08 2013-11-25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51496B2 (ko)
EP (1) EP2837288B1 (ko)
JP (1) JP5431608B1 (ko)
KR (1) KR101554893B1 (ko)
CN (1) CN104735989B (ko)
HK (1) HK1206559A1 (ko)
MY (1) MY167678A (ko)
SG (1) SG2014000517A (ko)
TW (1) TW201501645A (ko)
WO (1) WO2015004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6336B1 (ja) * 2015-03-23 2016-04-20 Ckd株式会社 製造装置
DE102017003122A1 (de) * 2017-03-30 2018-10-04 Richard Koplar Aufwickelmaschine für Teig
ES2716851B2 (es) * 2017-12-15 2019-12-03 Dulcesa S L U Metodo e instalacion para fabricar bizcocho de multiples capas, asi como el bizcocho obtenido
KR200488217Y1 (ko) 2018-11-14 2018-12-28 김범안 제빵용 오븐
JP7157454B2 (ja) * 2019-07-07 2022-10-20 株式会社 不二商会 バウムクーヘン焼成機
JP7199735B2 (ja) * 2020-12-22 2023-01-06 株式会社ユーハイム バウムクーヘン焼成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1869A (en) * 1964-10-22 1969-03-11 Henry Bloom Edible food container forming machine and method
US4313964A (en) * 1977-11-25 1982-02-02 Silver Cloud Enterpris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dible food fillable cones
JPS5635938A (en) * 1979-09-01 1981-04-08 Kazutoshi Yamagami Automatic dough rod withdrawing apparatus of baumkuchen baking apparatus
JPS5733530A (en) 1980-08-01 1982-02-23 Kiyoto Yamagami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dough by noodle making rod in baumkuchen baking apparatus
JPS5923982U (ja) * 1982-08-09 1984-02-14 日本碍子株式会社 食品焙焼炉
JPS6138454A (ja) 1984-07-30 1986-02-24 Japan Atom Energy Res Inst 焼結体中の気体状成分の放出率を測定する方法
US4795652A (en) * 1986-12-15 1989-01-03 Cooper Concepts, Inc. Method for forming an edible food container
AT393198B (de) * 1989-03-13 1991-08-26 Haas Franz Waffelmasch Waffelteig, gebackenem backteig oder dergleichen
US5626897A (en) * 1991-06-14 1997-05-06 Conewich Enterprises L.P. Conical food articl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DE4242121A1 (de) * 1992-12-14 1994-06-16 Schoeller Lebensmitt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ichtgebäck
JP3005043U (ja) 1994-06-08 1994-12-06 株式会社大野製作所 バウムクーヘン焼成用具
JP3973804B2 (ja) 1999-09-29 2007-09-12 雪印乳業株式会社 層状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4255349B2 (ja) * 2003-10-01 2009-04-15 アラキ製菓有限会社 菓子、菓子の焼印形成方法、及び菓子の焼印形成装置
JP3686671B1 (ja) 2004-11-05 2005-08-24 株式会社 不二商会 バウムクーヘン焼成機
US7895940B2 (en) * 2005-06-22 2011-03-01 Conics Foods, Inc. Edible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945650B2 (en) * 2006-10-06 2015-02-03 Pasco Shikishima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aumkuchen
JP2008237170A (ja) 2007-03-28 2008-10-09 Fuji Oil Co Ltd リング型層状ベーカリー製品ならびにその製造法
JP4759536B2 (ja) * 2007-06-20 2011-08-31 豊 塩見 バウムクーヘン焼成装置
JP2011239718A (ja) 2010-05-18 2011-12-01 Bunka Seiko:Kk バウムクーヘン製造用芯棒ユニット
JP5063763B2 (ja) * 2010-10-26 2012-10-31 株式会社 不二商会 電気加熱式のバウムクーヘン焼成機
US8668485B1 (en) * 2012-11-01 2014-03-11 Frito-Lay North America, Inc. Dough rolling apparatus, method and product
CN104450286A (zh) * 2014-12-05 2015-03-25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一种洗护二合一洗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12851A (ja) 2015-01-22
CN104735989A (zh) 2015-06-24
EP2837288A4 (en) 2016-01-06
SG2014000517A (en) 2015-06-29
TW201501645A (zh) 2015-01-16
HK1206559A1 (en) 2016-01-15
US9351496B2 (en) 2016-05-31
KR101554893B1 (ko) 2015-09-22
MY167678A (en) 2018-09-21
EP2837288B1 (en) 2019-02-13
WO2015004824A1 (ja) 2015-01-15
US20150132460A1 (en) 2015-05-14
CN104735989B (zh) 2017-06-23
TWI559854B (ko) 2016-12-01
JP5431608B1 (ja) 2014-03-05
EP2837288A1 (en)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893B1 (ko) 층상 식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06321644A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TWM446502U (zh) 滾輪切割裝置
JP6609280B2 (ja) 食品の成型方法及び成型装置
KR100906761B1 (ko)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CN102885103A (zh) 多层带馅酥式月饼饼胚旋转模具循环迴转装置
JP2022098489A (ja) 王冠状のタルトシェルの自動製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U93325B1 (en) Industrial process for manufacturing biscuits
CN102919291B (zh) 多层带馅酥式月饼饼胚旋转模具自转传动装置
JP5774763B1 (ja)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JP2001346500A (ja) 焼きもの食品の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KR101189761B1 (ko) 점토 용기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JP3557258B2 (ja) 生地の偏平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6452971U (zh) 一种新型包馅机
CN115363066B (zh) 一种糕点挤压制作装置
CN219288588U (zh) 一种全自动蛋挞皮成型机设备
JP4256063B2 (ja) 茶巾寿司製造機
CN117694364B (zh) 一种千层酥月饼面团成型模具及制备千层酥月饼的方法
JP4855319B2 (ja) 手巻き包装食品製造装置
JP6755528B2 (ja) 食品生地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と、食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3079332A (ja) 食品成形機
CN207151759U (zh) 单边形腔花轮
JP3668917B2 (ja) 複層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14081051A (zh) 一种新型包馅机
JPH0923830A (ja) 具を挟んだ米飯成形体及び該米飯成形体に食材フィルムを被せた寿司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