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850A -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 Google Patents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850A
KR20150028850A KR20157003371A KR20157003371A KR20150028850A KR 20150028850 A KR20150028850 A KR 20150028850A KR 20157003371 A KR20157003371 A KR 20157003371A KR 20157003371 A KR20157003371 A KR 20157003371A KR 20150028850 A KR20150028850 A KR 2015002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i
cathode
mah
cel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785B1 (ko
Inventor
제레미 바커
리차드 힙
Original Assignee
파라디온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라디온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라디온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Li(MyNixMn1-x-y)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66Nickelates containing alkaline earth metals, e.g. SrNiO3, SrN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식의 새로운 물질에 관한 것이다:
A1-δM1 V M2 W M3 X M4 Y M5 Z O2
상기 식에서,
A는 나트륨 및/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부(minor) 성분인 리튬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M1은 산화 상태가 +2인 니켈이며;
M2는 망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3는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아연 및 코발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2인 금속을 포함하며;
M4는 티타늄, 망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5는 알루미늄, 철, 코발트, 몰리브덴, 크롬, 바나듐, 스칸듐 및 이트륨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3인 금속을 포함하며;
0 ≤ δ ≤ 0.1이며;
V는 0 < V < 0.5이며;
W는 0 < W ≤ 0.5이며;
X는 0 ≤ X < 0.5이며;
Y는 0 ≤ Y < 0.5이며;
Z는 ≥ 0이고;
또한, V + W + X + Y + Z = 1이다.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나트륨 이온 배터리 용도에서 전극 물질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DOPED NICKELATE COMPOUNDS}
본 발명은 새로운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상기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 물질을 이용하는 새로운 전극, 및 예를 들어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의 이들 전극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오늘날 흔히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많은 방식에서 유사하다. 이 전지는 모두 애노드(anode: 음극), 캐소드(cathode: 양극), 및 전해질 물질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이차 배터리이고,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유사한 반응 메카니즘을 통해 충방전한다. 나트륨-이온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시, Na+ (또는 Li+)는 캐소드로부터 탈리(de-intercalation)되어 애노드를 향하여 투입된다. 반면, 전하 평형 전자(charge balancing electron)는 충전기(charger)를 포함한 외부 회로를 경유하여 캐소드로부터 배터리의 애노드로 이동한다. 방전시에는, 동일한 과정이 이루어지지만,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은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전자 디바이스에 바람직한 휴대용 배터리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리튬은 저렴한 금속 공급원이 아니며, 대용량 용도로 사용하기에 매우 고가인 것으로 여겨진다. 대조적으로, 나트륨-이온 배터리 기술은 이와는 상대적으로 여전히 개발 초기에 있으나, 나트륨이 리튬보다 훨씬 더 풍부하며, 나트륨-이온 전지 기술이 장래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데 있어서, 특히, 전력망 상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과 같은 대용량 용도에 있어서, 보다 저렴하고 보다 지속적인 방식을 제공할 것으로 일부 연구자들이 예견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현실적으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NaNi0 .5Mn0 .5O2는 니켈이 Ni2 +로서 존재하는 반면 망간이 Mn4 +로서 존재하는 공지된 Na-이온 물질이다. 상기 물질은 Na 및 Ni 원자가 구조 내에서 별도의 위치(discrete site)에 존재하게 구성되어 있다. 니켈 이온 (Ni2 +)은 가역적인 비용량(specific capacity)에 기여하는 산화환원 원소이며, 망간 이온 (Mn4 +)은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NaNi0 .5Ti0 .5O2 화합물은, Ni2 + 이온이 능동적인(active) 산화환원 중심을 제공하며 Ti4 + 이온이 구조 안정화를 위해 존재한다는 점에서, NaNi0.5Mn0.5O2와 유사하다. Li 이온 적용을 위해 Na → Li 이온 교환함으로써 NaNi0.5Mn0.5O2 (및 그보다 적은 양의 NaNi0 .5Ti0 .5O2)를 LiNi0 .5Mn0 .5O2 및 LiNi0 .5Ti0 .5O2의 제조를 위한 전구물질로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문헌이 다수 존재한다. 이들 Li 물질을 제조하는 직접적인 합성 방법은 예를 들어, 구조적 부위(structural site)를 공유하는 리튬 및 니켈 원자에 의해 바람직하지 못한 무질서한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Komaba et al Adv. Funct. Mater. 2011, 21, 3859에 의해 기록된 최근의 전기화학 연구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전해질 용액에 하드-카본(hard-carbon) 및 층화된(layered) NaNi0 .5--Mn0 .5-O2 전극의 나트륨 투입(insertion) 성능을 기술하고 있다. 수득된 결과는, NaNi0 .5--Mn0 .5-O2가 가역적인 충전 및 방전 능력을 다소 나타내긴 하지만, 물질의 용량(capacity)은 단지 40 사이클 후에 25% 이상 줄어든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 충전 용량이 크고 양호한 순환 성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매우 안정적이고, 독성은 낮되 순도가 높은 보다 더 효율적인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상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캐소드 물질 또한 쉽고 적절하게 제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많은 요건들을 충족하기는 어렵지만, 가장 성공가능성이 있는 활성 물질은 입자 크기가 작고 좁은 크기 분포, 최적의 결정도, 높은 비표면적, 및 단일한 형태를 가진 물질이라는 것이 문헌을 통해 파악된다. 본 출원인은 또한 현재, 활성 물질이 소정의 제한된 산화 상태를 가진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전기화학 활성이 더 최적화됨을 입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욱이, 본 출원인은 특정한 결정 구조를 가진 활성 물질이 특히 활성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새로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하기 쉽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비용 효율적인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비방전 용량(initial specific discharge capacity)이 우수하며, 충전 용량의 상당한 감소 없이도 수회 재충전할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하기 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A1-δM1 V M2 W M3 X M4 Y M5 Z O2
상기 식에서,
A는 나트륨 및/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부(minor) 성분인 리튬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M1은 산화 상태가 +2인 니켈이며;
M2는 망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3는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아연 및 코발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2인 금속을 포함하며;
M4는 티타늄, 망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5는 알루미늄, 철, 코발트, 몰리브덴, 크롬, 바나듐, 스칸듐 및 이트륨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3인 금속을 포함하며;
0 ≤ δ ≤ 0.1이며;
V는 0 < V < 0.5이며;
W는 0 < W ≤ 0.5이며;
X는 0 ≤ X < 0.5이며;
Y는 0 ≤ Y < 0.5이며;
Z는 ≥ 0이고;
또한, V + W + X + Y + Z = 1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V가 0.1 ≤ V ≤ 0.45이며; w가 0 < W ≤ 0.5이며; x가 0 ≤ X < 0.5이며; Y가 0 ≤ Y < 0.5이며; Z이 ≥ 0이고; V + W +X + Y + Z = 1인, 상기 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V가 0.3 ≤ V ≤ 0.45이며; W가 0.1 ≤ W ≤ 0.5이며; X가 0.05 ≤ X < 0.45이며; Y가 0 ≤ Y ≤ 0.45이며; Z이 ≥ 0이고; V + W +X + Y + Z = 1인, 상기 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V가 0.3 ≤ V < 0.45이며; W가 0 < W ≤ 0.5이며; X가 0 ≤ X ≤ 0.3이며; Y가 0 ≤ Y ≤ 0.4이고; Z이 0 ≤ Z ≤ 0.5이다.
δ = 0.05인 상기 식의 화합물이 특히 유익하다.
본 발명의 추가로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M2 ≠ M4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V + W + Y < 0.9인 경우 특히 유리하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화합물 내 금속 성분의 산화 상태가 매우 전기화학적인 활성 화합물의 제조에 중요한 특징임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 특정한 산화 상태의 금속 성분을 가지는 것이 또한 화합물의 전반적인 결정질 구조를 결정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O3, P3 및 P2를 포함하여, 알칼리 금속/금속/옥사이드가 가질 수 있는 가능한 층 구조 형태(layered structural form)가 몇몇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원인은, 금속 성분에 대한 산화 상태가 취해지는 특정 구조를 결정하며, 특히 금속의 산화 상태가 +4이며 나트륨 함량이 1에 가까운 알칼리 금속/금속/옥사이드 화합물이 O3 결정질 구조를 취할 것이라고 결정하였다. 더욱이, 출원인은, 산화 상태가 +4이며 O3 결정질 구조를 가진 알칼리 금속/금속/옥사이드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유사 화합물보다 훨씬 더 높은 전기화학 활성을 나타낸다고 언급한 바 있다. 출원인은 또한,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물질은 전형적으로 P2 결정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결정질 구조, 산화 상태 및 전기화학 활성 간에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O3 층 구조 형태의 바람직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A1-δM1 V M2 W M3 X M4 Y M5 Z O2
상기 식에서,
A는 나트륨 및/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부 성분인 리튬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M1은 니켈이며;
M2는 망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며;
M3는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아연 및 코발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며;
M4는 티타늄, 망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며;
M5는 알루미늄, 철, 코발트, 몰리브덴, 크롬, 바나듐, 스칸듐 및 이트륨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NaNi0 .5-x/2Ti0 .5-x/2Alx -O2;
NaNi0 .5-x/2Mn0 .5-x/2Alx -O2;
NaNi0 .5- xMn0 .5- xMgxTixO2;
NaNi0 .5- xMn0 .5- xMg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axTixO2;
NaNi0 .5- xMn0 .5- xCoxTixO2;
NaNi0 .5- xMn0 .5- xCuxTixO2;
NaNi0 .5- xMn0 .5- xZnxTixO2;
NaNi0 .5- xMn0 .5- xMgxZrxO2;
NaNi0 .5- xMn0 .25-x/2CaxTi0 .25+x/2O2;
NaNi0 .5- xMn0 .5CaxO2;
NaNi0 .5- xMn0 .5- YCaxTiYO2;
NaNi0 .5- xTi0 .5- xMgxMnxO2;
NaNi0 .5- xTi0 .5- xCaxMnxO2;
NaNi0 .5- xTi0 .5- xCuxMnxO2;
NaNi0 .5- xTi0 .5- xCoxMnxO2;
NaNi0 .5- xTi0 .5- xZnxMnxO2;
NaNi0 .5- xMn0 .5MgxO2;
NaNi0 .5- xMn0 .5CaxO2;
NaNi0 .5- xMn0 .5CuxO2;
NaNi0 .5- xMn0 .5CoxO2;
NaNi0 .5- xMn0 .5ZnxO2;
NaNi0 .5- xMn0 .5- yMgxTiyO2;
NaNi0 .5- xMn0 .5- yCaxTiyO2;
NaNi0 .5- xMn0 .5- yCuxTiyO2;
NaNi0 .5- xMn0 .5- yCoxTiyO2;
NaNi0 .5- xMn0 .5- yZnxTiyO2;
NaNi0 .5- xMn0 .25-x/2Mg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a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u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oxTi0 .25+x/2O2;
NaNi0 .5- xMn0 .25-x/2ZnxTi0 .25+x/2O2;
NaNi0 .5- xMn0 .5- xMg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a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u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o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Znx /2Tix /2AlxO2;
Na0 .95Ni0 .3167Ti0 .3167Mg0 .1583Mn0 .2083O2
또한,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NaNi0 .45Mn0 .45Ca0 .05Ti0 .05O2;
NaNi0 .45Mn0 .45Cu0 .05Ti0 .05O2;
NaNi0 .45Mn0 .45Zn0 .05Ti0 .05O2; 및
Na0 .95Ni0 .3167Ti0 .3167Mg0 .1583Mn0 .2083O2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식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을 제공한다:
A1-δM1 V M2 W M3 X M4 Y M5 Z O2
상기 식에서,
A는 나트륨 및/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부 성분인 리튬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M1은 산화 상태가 +2인 니켈이며;
M2는 망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3는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아연 및 코발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2인 금속을 포함하며;
M4는 티타늄, 망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5는 알루미늄, 철, 코발트, 몰리브덴, 크롬, 바나듐, 스칸듐 및 이트륨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3인 금속을 포함하며;
0 ≤ δ ≤ 0.1이며;
V는 0 < V < 0.5이며;
W는 0 < W ≤ 0.5이며;
X는 0 ≤ X < 0.5이며;
Y는 0 ≤ Y < 0.5이며;
Z는 ≥ 0이고;
또한, V + W + X + Y + Z = 1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극은, V가 0.1 ≤ V ≤ 0.45이며; w가 0 < W ≤ 0.5이며; x가 0 ≤ X < 0.5이며; Y가 0 ≤ Y < 0.5이며; Z이 ≥ 0이고; V + W +X + Y + Z = 1인, 상기 식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극은, V가 0.3 ≤ V ≤ 0.45이며; W가 0.1 ≤ W ≤ 0.5이며; X가 0.05 ≤ X < 0.45이며; Y가 0 ≤ Y ≤ 0.45이며; Z이 ≥ 0이고; V + W +X + Y + Z = 1인, 상기 식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극은, V가 0.3 ≤ V < 0.45이며; W가 0 < W ≤ 0.5이며; X가 0 ≤ X ≤ 0.3이며; Y가 0 ≤ Y ≤ 0.4이고; Z이 0 ≤ Z ≤ 0.5인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NiO가 활성 화합물의 샘플에 불순물 상(phase)으로 존재하는 경우, 이는 전기화학 성능에 저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iO는 전극을 충전하는 동안에 생성될 수 있으며; 이때, Ni2+는 활성 물질을 충전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산화될 수 있다. 이는 비가역적인 반응일 뿐만 아니라, 사이클링 성능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므로, 전기화학적인 사이클링 시 용량이 저하된다. 이러한 경로에 의한 NiO 형성은 활성 화합물 내 알칼리 금속의 양을 줄임으로써 최소화되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알칼리 금속을 1단위 미만으로 가지는 이유이다. 그러나, 화합물에서 충분한 알칼리 금속을 유지하여, O3 유형 구조와 같은 선호되는 결정질 구조를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식에서, δ=0.05인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이 매우 유익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극은 M2 ≠ M4인 상기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전극은 O3 층 구조 형태(O3 layered structural form)의 하기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A1-δM1 V M2 W M3 X M4 Y M5 Z O2
상기 식에서,
A는 나트륨 및/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부 성분인 리튬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M1은 니켈이며;
M2는 망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며;
M3는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아연 및 코발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며;
M4는 티타늄, 망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며;
M5는 알루미늄, 철, 코발트, 몰리브덴, 크롬, 바나듐, 스칸듐 및 이트륨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전극은 하기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NaNi0 .5-x/2Ti0 .5-x/2Alx -O2;
NaNi0 .5-x/2Mn0 .5-x/2Alx -O2;
NaNi0 .5- xMn0 .5- xMgxTixO2;
NaNi0 .5- xMn0 .5- xMg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axTixO2;
NaNi0 .5- xMn0 .5- xCoxTixO2;
NaNi0 .5- xMn0 .5- xCuxTixO2;
NaNi0 .5- xMn0 .5- xZnxTixO2;
NaNi0 .5- xMn0 .5- xMgxZrxO2;
NaNi0 .5- xMn0 .25-x/2CaxTi0 .25+x/2O2;
NaNi0 .5- xMn0 .5CaxO2;
NaNi0 .5- xMn0 .5- YCaxTiYO2;
NaNi0 .5- xTi0 .5- xMgxMnxO2;
NaNi0 .5- xTi0 .5- xCaxMnxO2;
NaNi0 .5- xTi0 .5- xCuxMnxO2;
NaNi0 .5- xTi0 .5- xCoxMnxO2;
NaNi0 .5- xTi0 .5- xZnxMnxO2;
NaNi0 .5- xMn0 .5MgxO2;
NaNi0 .5- xMn0 .5CaxO2;
NaNi0 .5- xMn0 .5CuxO2;
NaNi0 .5- xMn0 .5CoxO2;
NaNi0 .5- xMn0 .5ZnxO2;
NaNi0 .5- xMn0 .5- yMgxTiyO2;
NaNi0 .5- xMn0 .5- yCaxTiyO2;
NaNi0 .5- xMn0 .5- yCuxTiyO2;
NaNi0 .5- xMn0 .5- yCoxTiyO2;
NaNi0 .5- xMn0 .5- yZnxTiyO2;
NaNi0 .5- xMn0 .25-x/2Mg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a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u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oxTi0 .25+x/2O2;
NaNi0 .5- xMn0 .25-x/2ZnxTi0 .25+x/2O2;
NaNi0 .5- xMn0 .5- xMg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a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u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o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Znx /2Tix /2AlxO2; 및
Na0 .95Ni0 .3167Ti0 .3167Mg0 .1583Mn0 .2083O2.
가장 바람직한 전극은 하기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NaNi0 .45Mn0 .45Ca0 .05Ti0 .05O2;
NaNi0 .45Mn0 .45Cu0 .05Ti0 .05O2;
NaNi0 .45Mn0 .45Zn0 .05Ti0 .05O2, 및
Na0 .95Ni0 .3167Ti0 .3167Mg0 .1583Mn0 .2083O2.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에너지 저장 장치, 재충전 배터리, 전기화학적 디바이스 및 전기변색 디바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 및 1종 이상의 전해질 물질과 함께 사용된다. 전해질 물질은 임의의 종래의 또는 공지된 물질일 수 있으며, 수성 전해질(들) 또는 비-수성 전해질(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사용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특히, 나트륨 및/또는 칼륨 이온 전지; 나트륨 및/또는 칼륨 금속 전지; 비-수성 전해질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이온 전지; 또는 수성 전해질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이온 전지 중 1종 이상으로서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각 경우, 리튬이 또한 부(minor) 성분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임의의 공지된 및/또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구물질은 퍼너스(furnace)에서 가열되어, 고체 상태 반응 공정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특히 유익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a) 출발 물질을 함께 혼합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출발 물질을 면밀하게 함께 혼합한 후,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된 출발 물질을 펠렛으로 압축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된 출발 물질을 400℃ 내지 15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퍼너스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c) 반응 산물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주위 분위기 하에, 다른 예로 불활성 가스 하에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는 선행 기술의 캐소드 물질 NaNi0 .5Mn0 .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Specific Capacity)[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5Mn0.45Mg0.05Ti0.0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c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Mn0.40Mg0.10Ti0.1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d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35Mn0.35Mg0.15Ti0.1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e는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30Mn0.30Mg0.20Ti0.2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2a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는 선행 기술의 캐소드 물질 NaNi0 .5Mn0 .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5Mn0.45Mg0.05Ti0.0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Mn0.40Mg0.10Ti0.1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2d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35Mn0.35Mg0.15Ti0.1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2e는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30Mn0.30Mg0.20Ti0.2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3a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는 선행 기술의 캐소드 물질 NaNi0 .5Mn0 .5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5Mn0.45Mg0.05Ti0.05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Mn0.40Mg0.10Ti0.10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3d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35Mn0.35Mg0.15Ti0.15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3e는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30Mn0.30Mg0.20Ti0.20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하드 카본(Hard Carbon)//NaNi0 .45Mn0 .45Mg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사이클 수명 (사이클 수에 대한 캐소드 비용량 [mAh/g])을 도시한 것이며;
도 5a는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되는 선행 기술의 캐소드 물질인 NaNi0 .5Ti0 .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인 NaNi0.40Ti0.50Mg0.1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5c는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인 NaNi0.40Ti0.40Mg0.10Mn0.1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6a는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되는 선행 기술의 캐소드 물질 NaNi0 .5Ti0 .5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Ti0.50Mg0.1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6c는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Ti0.40Mg0.10Mn0.10O2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7a는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되는 선행 기술의 캐소드 물질 NaNi0 .5Ti0 .5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Ti0.50Mg0.10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7c는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물질 NaNi0.40Ti0.40Mg0.10Mn0.10O2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8a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Mg0 .05Ti0 .05Al0 .1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8b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Mg0 .05Ti0 .05Al0 .1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8c는 하드 카본// NaNi0 .40Mn0 .4Mg0 .05Ti0 .05Al0 .1O2 전지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9a는 하드 카본//NaNi0 .45Mn0 .45Cu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9b는 하드 카본//NaNi0 .45Mn0 .45Cu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9c는 하드 카본// NaNi0 .45Mn0 .45Cu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a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Ca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Ca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c는 하드 카본// NaNi0 .40Mn0 .40Ca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a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Zn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b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Zn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c는 하드 카본// NaNi0 .40Mn0 .40Zn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처음 4 사이클의 충전-방전 전압 프로파일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며;
도 12a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NaNi0 .45Mn0 .45Mg0 .05Ti0 .05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b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NaNi0 .40Mn0 .40Mg0 .10Ti0 .10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c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NaNi0 .35Mn0 .35Mg0 .15Ti0 .15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d는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NaNi0 .30Mn0 .30Mg0 .20Ti0 .20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e는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NaNi0.40Mn0.4Mg0.05Ti0.05Al0.1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f는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NaNi0 .45Mn0 .45Cu0 .05Ti0 .05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g는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된 NaNi0 .40Mn0 .40Zn0 .10Ti0 .10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a는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Na0 .7MnO2 .05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b는 용량이 밸런스를 이룬(capacity balanced)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과 결합된 Na-이온 전지에서 비교 물질 Na0 .7MnO2 .05 (X1386) 활성 캐소드 물질 (P2 구조)의 처음 4 사이클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constant current cycling data)(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a는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Na0 .95Ni0 .3167Ti0 .3167Mg0 .1583Mn0 .2083O2의 XRD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b는 용량이 밸런스를 이룬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과 결합된 Na-이온 전지에서 Na0 .95Ni0 .3167Mn0 .3167Mg0 .1583Ti0 .2083O2 (X1380) 활성 물질의 처음 4 사이클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하기의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다:
일반적인 합성 방법:
전구 물질의 화학양론적 양을 직접적으로 함께 혼합한 다음 펠렛으로 압축한다. 이후, 생성 혼합물은, 반응 산물이 형성될 때까지 400℃ 내지 1500℃의 퍼너스 온도(furnace temperature)에서, 주위 공기 분위기 또는 유동 불활성 분위기 (예를 들면, 아르곤 또는 질소) 하에 튜브 퍼너스(tube furnace) 또는 챔버 퍼너스(chamber furnace)에서 가열하며; 일부 물질의 경우, 단일 가열 단계를 이용하며 다른 물질 (하기 표 1에 언급됨)의 경우, 2 이상의 가열 단계를 이용한다. 냉각 시, 반응 산물은 퍼너스로부터 제거하고 분말로 분쇄한다.
상기 방법을 이용해, 하기 표 1에 요약된 실시예 1 내지 14의 활성 물질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XRD 를 이용한 생성물 분석
바람직한 표적 물질이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고, 생성물의 상 순도(phase purity)를 설정하고, 존재하는 불순물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생성물을 지멘스 D5000 분말 회절기(Siemens D5000 powder diffractometer)를 사용하여 X-선 회절 기술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정보로부터, 단위 전지 격자 파라미터(unit cell lattice parameters)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a 내지 12g 및 도 13a 및 14a에 예시되는 XRD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 사용한 조작 조건은 다음과 같다:
슬릿 크기: 1 mm, 1 mm, 0.1 mm
범위: 2θ = 5 ° - 60 °
X-선 파장 = 1.5418 Å(옹스트롬) (구리 Kα)
속도: 0.5초/단계
단위: 0.015°
전기화학 결과
i) 리튬 금속 애노드 테스트 전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ii) 하드 카본 애노드를 사용하는 Na-이온 테스트 전지를 사용해 표적 물질을 테스트하였다. 그래파이트 애노드를 가진 Li-이온 전지를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도 있다. 전지는 하기의 절차를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Na-이온 전기화학 테스트 전지는 하기와 같이 제작한다:
하드 카본 Na-이온 전지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절차
양극은 활성 물질, 전도성 카본, 결합제 및 용매의 슬러리를 용매-캐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사용된 전도성 카본은 Super P (Timcal)이다. PVdF 코폴리머(예를 들면, Kynar Flex 2801, Elf Atochem Inc.)를 결합제로서 사용하며, 아세톤을 용매로서 사용한다. 이후, 상기 슬러리를 유리 위로 캐스팅하고,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면 프리-스탠딩 전극 필름이 형성된다. 이후, 전극을 약 80℃에서 추가로 건조한다. 상기 전극 필름은 다음 성분들: 80 중량% 활성 물질, 8 중량% Super P 카본, 및 12 중량% Kynar 2801 결합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는, 알루미늄 집전체를 사용하여 양극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음극은 하드 카본 활성 물질 (Carbotron P/J, Kureha에서 입수됨), 전도성 카본, 결합제 및 용매의 슬러리를 용매-캐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사용되는 전도성 카본은 Super P (Timcal)이다. PVdF 코폴리머 (예를 들어, Kynar Flex 2801, Elf Atochem Inc.)를 결합제로서 사용하고, 아세톤을 용매로서 사용한다. 이후, 상기 슬러리를 유리 위로 캐스팅하고,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면 프리-스탠딩 전극 필름이 형성된다. 이후, 전극을 약 80℃에서 추가로 건조한다. 상기 전극 필름은 다음 성분들: 84 중량% 활성 물질, 4 중량% Super P 카본, 및 12 중량% Kynar 2801 결합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는, 구리 집전체를 사용하여 음극을 접촉시킬 수 있다.
전지 테스트
전지들을 정전류 사이클링(Constant Current Cycling) 기술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테스트한다:
전지는 미리 정해진 전압 제한치 사이의 주어진 전류 밀도로 순환된다. Maccor Inc.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 소재)의 시판용 배터리 사이클러(battery cycler)를 사용한다. 충전 중에는, 나트륨 (리튬) 이온들이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된다. 방전 중에는, 나트륨 (리튬) 이온들이 캐소드 활성 물질로 재투입된다.
결과:
도 1a 내지 1e에 대한 설명
도 1a, 1b, 1c, 1d 및 1e는 몇몇 하드 카본//NaNi0 .5- XMn0 .5- XMgXTiX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Cathode Specific Capacity)[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캐소드 물질은 NaNi0 .5Mn0 .5O2 (도 1a, 선행 기술), NaNi0.45Mn0.45Mg0.05Ti0.05O2 (도 1b), NaNi0 .40Mn0 .40Mg0 .10Ti0 .10O2 (도 1c), NaNi0.35Mn0.35Mg0.15Ti0.15O2 (도 1d) 및 NaNi0 .30Mn0 .30Mg0 .20Ti0 .20O2 (도 1e)였다.
도 1a, 1b, 1c, 1d 및 1e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들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 .5- XMn0 .5-XMgXTiX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constant current cycling data)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이들을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이들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과정은 하기의 캐소드 비용량에 상응한다: (A) NaNi0 .5Mn0 .5O2 = 88 mAh/g; (B)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 77 mAh/g; (C) NaNi0.40Mn0.40Mg0.10Ti0.10O2 = 86 mAh/g; (D) NaNi0 .35Mn0 .35Mg0 .15Ti0 .15O2 = 116 mAh/g; 및 (E) NaNi0 .30Mn0 .30Mg0 .20Ti0 .20O2 = 109 mAh/g.
도 1a, 1b, 1c, 1d 및 1e로부터, Mg 및 Ti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방전 전압 프로파일의 스무딩(smoothing)이 존재하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이는, 방전 전압 프로파일에서 전압 '단계'를 가지는 것은 출원의 목적에 유익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인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NaNi0 .40Mn0 .40Mg0 .10Ti0 .10O2 , NaNi0.35Mn0.35Mg0.15Ti0.15O2, 및 NaNi0 .30Mn0 .30Mg0 .20Ti0 .20O2는 선행 기술의 물질인 NaNi0.5Mn0.5O2를 능가하는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은 중요한 관찰이다.
도 2a 내지 2e에 대한 설명
도 2a 내지 2e는 몇몇 하드 카본//NaNi0 .5- XMn0 .5- XMgXTiX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캐소드 물질은 NaNi0 .5Mn0 .5O2 (도 2a, 선행 기술), NaNi0.45Mn0.45Mg0.05Ti0.05O2 (도 2b), NaNi0 .40Mn0 .40Mg0 .10Ti0 .10O2 (도 2c), NaNi0.35Mn0.35Mg0.15Ti0.15O2 (도 2d) 및 NaNi0 .30Mn0 .30Mg0 .20Ti0 .20O2 (도 2e)였다.
도 2a 내지 2e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들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 .5- XMn0 .5-XMgXTiX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이들을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2a 내지 2e에 도시된 데이터는, 테스트 시 Na-이온 전지의 충전-방전 거동을 특정한다. 미분 용량 데이터는 이온 투입 시스템에서의 구조 상 변화, 순서-무질서 현상 및 반응 가역성을 특정화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NaNi0 .5Mn0 .5O2 캐소드 (도 2a)에 대한 미분 용량 데이터는, 충전 및 방전의 두 과정 동안 몇몇의 날카로운 미분 용량 피크에 의해 특정되는 매우 구조화된 충전-방전 거동을 보여준다. 미분 용량 데이터의 피크는 용량에 대한 전압 프로파일에서 평탄역(plateaux) (전압 단계)에 상응한다. 도 2b 내지 2e에서, Mg 및 Ti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미분 용량 프로파일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NaNi0 .5Mn0 .5O2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Na-이온 전지 (도 2a) 및 NaNi0.45Mn0.45Mg0.05Ti0.05O2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Na-이온 전지 (도 2b)로부터 유래되는 데이터 간의 차이를 참조함). 이는, 방전 전압 프로파일에서 전압 '단계'를 가지는 것은 출원의 목적에 유익하지 않으므로 중요한 관찰이다. 캐소드 물질 내 Ma 및 Ti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경우 (도 2c 내지 2e), 미분 용량 데이터에서 구조가 더 감소되며 캐소드 물질 구조에의 Mg 및 Ti의 투입으로 인한 전압 프로파일의 스무딩을 직접 반영한다. 이들 관찰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즉 NaNi0.45Mn0.45Mg0.05Ti0.05O2 (도 2b), NaNi0 .40Mn0 .40Mg0 .10Ti0 .10O2 (도 2c), NaNi0.35Mn0.35Mg0.15Ti0.15O2 (도 2d) 및 NaNi0 .30Mn0 .30Mg0 .20Ti0 .20O2 (도 2e)가 선행 기술의 물질인 NaNi0 .5Mn0 .5O2 (도 2a)를 능가하는 상당한 이점을 더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3a 내지 3e에 대한 설명
도 3a 내지 3e는 몇몇 하드 카본//NaNi0 .5- XMn0 .5- XMgXTiXO2 전지에 대한 처음 4개의 충전-방전 사이클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캐소드 물질은 NaNi0 .5Mn0 .5O2 (도 3a, 선행 기술),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도 3b), NaNi0 .40Mn0 .40Mg0 .10Ti0 .10O2 (도 3c), NaNi0 .35Mn0 .35Mg0 .15Ti0 .15O2 (도 3d) 및 NaNi0 .30Mn0 .30Mg0 .20Ti0 .20O2 (도 3e)였다.
도 3a 내지 3e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들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 .5- XMn0 .5-XMgXTiX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이들을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3a 내지 3e에 도시된 데이터는 나트륨 이온 추출-투입 반응의 가역성을 보여준다. Mg 및 Ti를 포함하는 캐소드 이터레이션(iteration)에 대한 전압 프로파일 (즉, 도 3b 내지 3e)이 구조화가 덜 된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전압 이력(voltage hysteresis) (즉,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 사이의 전압차)의 수준이 매우 작으며, 이는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카이네틱스(kinetics)를 의미한다. 이는, 하이 레이트(high rate) 활성 물질을 제조하는 데 유용한 중요한 특성이며,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도 3b), NaNi0 .40Mn0 .40Mg0 .10Ti0 .10O2 (도 3c), NaNi0.35Mn0.35Mg0.15Ti0.15O2 (도 3d) 및 NaNi0 .30Mn0 .30Mg0 .20Ti0 .20O2 (도 3e)는 선행 기술의 물질인 NaNi0 .5Mn0 .5O2 (도 3a)를 능가하는 이점을 여전히 더 나타낸다.
도 4에 대한 설명
도 4는,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활성 물질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됨)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0 V에서 상기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전지의 초기 충전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인 NaNi0 .45Mn0 .45Mg0 .05Ti0 .05O2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하는 것이 명백하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NaNi0 .45Mn0 .45Mg0 .05Ti0 .05O2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처음 방전 과정은 캐소드에 대한 비용량 약 87 mAh/g에 상응하며, 이는 나트륨 이온 추출-투입 과정의 가역성을 의미한다.
문헌에 보고된 Na-이온 전지는 사이클링에 대한 상대적으로 신속한 용량 페이드(capacity fade)를 보여준다. 이들 전지의 경우 처음 30 사이클에서 용량이 50%가 넘게 감소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는, 하드 카본//NaNi0.45Mn0.45Mg0.05Ti0.05O2 전지가 매우 이례적인 사이클링 거동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처음 100 사이클 동안에는 용량 페이드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캐소드에 대한 초기 비용량은 약 87 mAh/g이며, 100 사이클 후 캐소드의 비용량은 약 85 mAh/g이며, 이는 3% 미만의 용량 페이드를 의미한다.
도 5a 내지 5c에 대한 설명
도 5a 내지 5c는 몇몇 하드 카본//NaNiVMnWMgXTiY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캐소드 물질은 NaNi0 .5Ti0 .5O2 (도 5a), NaNi0 .40Ti0 .50Mg0 .10O2 (도 5b) 및 NaNi0 .40Ti0 .40Mg0 .10Mn0 .10O2 (도 5c))였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들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VMnWMgXTiY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5a 내지 5c의 조사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캐소드 활성 물질에 Mg 및 Mn을 투입하면 가역적인 캐소드 비용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과정은 하기의 캐소드 비용량에 상응한다: NaNi0.5Ti0.5O2 = 79 mAh/g (도 5a); NaNi0 .40Ti0 .50Mg0 .10O2 = 103 mAh/g (도 5b); 및 NaNi0.40Ti0.40Mg0.10Mn0.10O2 = 125 mAh/g (도 5c).
도 6a 내지 6c에 대한 설명
도 6a 내지 6c는 몇몇 하드 카본//NaNiVMnWMgXTiY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캐소드 물질은 NaNi0 .5Ti0 .5O2 (도 6a), NaNi0.40Ti0.50Mg0.10O2 (도 6b) 및 NaNi0 .40Ti0 .40Mg0 .10Mn0 .10O2 (도 6c)였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들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VMnWMgXTiY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데이터는, 테스트 시 Na-이온 전지의 충전-방전 거동을 특정한다. 미분 용량 데이터는 이온 투입 시스템에서의 구조 상 변화, 순서-무질서 현상 및 반응 가역성을 특정화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NaNi0 .5Ti0 .5O2 캐소드 (도 6a)에 대한 미분 용량 데이터는, 방전 시 약 2.85 V에서 날카로운 미분 용량 피크에 의해 특정되는 구조화된 충전-방전 거동을 보여준다. 미분 용량 데이터의 피크는 용량에 대한 전압 프로파일에서 평탄역(plateaux) (전압 단계)에 상응한다.
도 6a 내지 6c에서, Mg 및 Mn을 캐소드 물질에 투입하면, 미분 용량 프로파일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NaNi0 .5Ti0 .5O2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Na-이온 전지 (도 6a) 및 NaNi0 .40Ti0 .40Mg0 .10Mn0 .10O2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Na-이온 전지 (도 6b)로부터 유래되는 데이터 간의 차이를 참조함).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전압 프로파일에서 전압 '단계'를 가지는 것은 출원의 목적에 유익하지 않으므로 중요한 관찰이다.
도 7a 내지 7c에 대한 설명
도 7a 내지 7c는 몇몇 하드 카본//NaNiVMnWMgXTiYO2 전지에 대한 처음 4개의 충전-방전 사이클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캐소드 물질은 NaNi0 .5Ti0 .5O2 (도 7a), NaNi0.40Ti0.50Mg0.10O2 (도 7b) 및 NaNi0 .40Ti0 .40Mg0 .10Mn0 .10O2 (도 7c)였다.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들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VMnWMgXTiY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데이터는 나트륨 이온 추출-투입 반응의 가역성을 보여준다. Mg 및 Mn을 포함하는 캐소드 이터레이션에 대한 전압 프로파일 (즉, 도 7b 내지 7c)이 구조화가 덜 된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전압 이력 (즉,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 사이의 전압차)의 수준이 매우 작으며, 이는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카이네틱스를 의미한다. 이는, 하이 레이트 활성 물질을 제조하는 데 유용한 중요한 특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NaNi0.40Ti0.50Mg0.10O2 (도 7b) 및 NaNi0 .40Ti0 .40Mg0 .10Mn0 .10O2 (도 7c)는 선행 기술의 물질인 NaNi0 .5Ti0 .5O2 (도 7a)를 능가하는 이점을 여전히 더 나타낸다.
도 8a 내지 8c에 대한 설명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 .40Mn0 .40Mg0 .05Ti0 .05Al0 .1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전지를 완전히 충전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Na-이온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8a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Mg0 .05Ti0 .05Al0 .1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캐소드 비용량은 73 mAh/g에 상응한다.
도 8b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Mg0 .05Ti0 .05Al0 .1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대칭적인 데이터는, 이 Na-이온 전지에서 이온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가역성을 보여준다.
도 8c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Mg0 .05Ti0 .05Al0 .1O2 전지에 대한 처음 4개의 충전-방전 사이클(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전압 이력 (즉,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 사이의 전압차)의 수준이 매우 작으며, 이는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카이네틱스를 의미함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9c에 대한 설명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 .45Mn0 .45Cu0 .05Ti0 .05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9a는 하드 카본//NaNi0 .45Mn0 .45Cu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캐소드 비용량은 90 mAh/g에 상응한다.
도 9b는 하드 카본//NaNi0 .45Mn0 .45Cu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대칭적인 데이터는, 이 Na-이온 전지에서 이온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가역성을 보여준다.
도 9c는 하드 카본//NaNi0 .45Mn0 .45Cu0 .05Ti0 .05O2 전지에 대한 처음 4개의 충전-방전 사이클(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전압 이력 (즉,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 사이의 전압차)의 수준이 매우 작으며, 이는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카이네틱스를 의미함을 나타낸다.
도 10a 내지 10c에 대한 설명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40Mn0.40Ca0.10Ti0.10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10a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Ca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캐소드 비용량은 109 mAh/g에 상응한다.
도 10b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Ca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대칭적인 데이터는, 이 Na-이온 전지에서 이온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가역성을 보여준다.
도 10c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Ca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처음 4개의 충전-방전 사이클(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전압 이력 (즉,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 사이의 전압차)의 수준이 매우 작으며, 이는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카이네틱스를 의미함을 나타낸다.
도 11a 내지 11c에 대한 설명
도 11a 내지 11c에 도시된 데이터는, 이 캐소드 물질이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Ni0.40Mn0.40Zn0.10Ti0.10O2 활성 물질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로부터 유래된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다. 정전류 데이터는 1.50 V 내지 4.0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1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한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도 11a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Zn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방전 전압 프로파일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캐소드 비용량은 72 mAh/g에 상응한다.
도 11b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Zn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제3 사이클 미분 용량 프로파일 (Na-이온 전지 전압[V]에 대한 미분 용량[mAh/g/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대칭적인 데이터는, 이 Na-이온 전지에서 이온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가역성을 보여준다. 또한, 충전-방전 거동은 이제 구조 없이 광범위하다.
도 11c는 하드 카본//NaNi0 .40Mn0 .40Zn0 .10Ti0 .10O2 전지에 대한 처음 4개의 충전-방전 사이클(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데이터는, 전압 이력 (즉,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 사이의 전압차)의 수준이 매우 작으며, 이는 추출-투입 반응의 우수한 카이네틱스를 의미함을 나타낸다.
도 13b를 참조로, 이는, 용량이 균형을 이룬(capacity balanced)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 Na0 .7MnO2 .05 (X1386) 활성 캐소드 물질 (P2 구조)의 처음 4개의 사이클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를 보여준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었다. 정전류 데이터는 1.00 V 내지 4.2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2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2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25℃에서 수행하였다. 세포의 초기 충전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인 Na0 .7MnO2 .05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하는 것이 명백하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처음의 충전 과정은 캐소드 활성 물질에 대한 비용량인 단지 81 mAh/g에 상응한다. 처음 방전 과정은 캐소드에 대한 비용량인 47 mAh/g에 상응하며, 이는 나트륨 이온 추출-투입 과정의 가역성이 불량함을 의미한다. 명백하게는, Na0 .7MnO2 .05 물질 (P2 구조를 가짐)에 대한 비용량 성능은 O3 캐소드 물질의 성능보다 불량하다.
도 14b를 참조로, 이는, 용량이 균형을 이룬 하드 카본 (Carbotron P/J) 애노드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Na-이온 전지 내의 본 발명에 따른 Na0.95Ni0.3167Mn0.3167Mg0.1583Ti0.2083O2 (X1380) 활성 물질의 처음 4개의 사이클에 대한 정전류 사이클링 데이터 (적분 캐소드 비용량[mAh/g]에 대한 Na-이온 전지 전압[V])를 보여준다.
사용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내 NaClO4의 0.5 M 용액이었다. 정전류 데이터는 1.00 V 내지 4.20 V의 전압 한계 사이에서 0.20 mA/cm2의 대략의 전류 밀도에서 수집하였다. Na-이온 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정전류 값의 20%로 떨어질 때까지, 정전류 충전 과정의 종료 시 4.20 V에서 전지를 정전위적으로 유지시켰다. 테스트는 25℃에서 수행하였다. 세포의 초기 충전 동안, 나트륨 이온을 캐소드 활성 물질인 Na0.95Ni0.3167Mn0.3167Mg0.1583Ti0.2083O2로부터 추출한 다음 하드 카본 애노드에 투입하는 것이 명백하다. 후속한 방전 과정 동안, 나트륨 이온을 하드 카본으로부터 추출한 다음 캐소드 활성 물질에 재투입한다.
처음의 충전 과정은 캐소드 활성 물질에 대한 비용량인 단지 228 mAh/g에 상응한다. 처음 방전 과정은 캐소드에 대한 비용량인 151 mAh/g에 상응하며, 이는 나트륨 이온 추출-투입 과정의 불량한 가역성 및 우수한 활성 물질 이용가능성을 의미한다.

Claims (15)

  1. 하기 식의 화합물:
    A1-δM1 V M2 W M3 X M4 Y M5 Z O2
    상기 식에서,
    A는 나트륨 및/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부(minor) 성분인 리튬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M1은 산화 상태가 +2인 니켈이며;
    M2는 망간,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3는 마그네슘, 칼슘, 구리, 아연 및 코발트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2인 금속을 포함하며;
    M4는 티타늄, 망간 및 지르코늄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4인 금속을 포함하며;
    M5는 알루미늄, 철, 코발트, 몰리브덴, 크롬, 바나듐, 스칸듐 및 이트륨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 상태가 +3인 금속을 포함하며;
    0 ≤ δ ≤ 0.1이며;
    V는 0 < V < 0.5이며;
    W는 0 < W ≤ 0.5이며;
    X는 0 ≤ X < 0.5이며;
    Y는 0 ≤ Y < 0.5이며;
    Z는 ≥ 0이고;
    V + W + X + Y + Z = 1임.
  2. 제1항에 있어서,
    V가 0.1 ≤ V ≤ 0.45이며;
    W가 0 < W ≤ 0.5이며;
    X가 0 ≤ X < 0.5이며;
    Y가 0 ≤ Y < 0.5이며;
    Z이 ≥ 0이고;
    V + W + X + Y + Z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V가 0.3 ≤ V ≤ 0.45이며;
    W가 0.1 ≤ W ≤ 0.5이며;
    X가 0.05 ≤ X < 0.45이며;
    Y가 0 ≤ Y ≤ 0.45이며;
    Z이 ≥ 0이고;
    V + W + X + Y + Z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2 ≠ M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NaNi0.5-x/2Ti0.5-x/2Alx-O2; NaNi0.5-x/2Mn0.5-x/2Alx-O2; NaNi0.5-xMn0.5-xMgxTixO2; NaNi0.5-xMn0.5-xMgx/2Tix/2AlxO2; NaNi0 .5- xMn0 .5- xCaxTixO2; NaNi0 .5- xMn0 .5- xCoxTixO2; NaNi0 .5- xMn0 .5- xCuxTixO2; NaNi0 .5-xMn0.5-xZnxTixO2; NaNi0 .5- xMn0 .5- xMgxZrxO2; NaNi0 .5- xMn0 .25-x/2CaxTi0.25+x/2O2; NaNi0 .5- xMn0 .5CaxO2; NaNi0 .5- xMn0 .5- YCaxTiYO2; NaNi0 .5- xTi0 .5- xMgxMnxO2; NaNi0.5-xTi0.5-xCaxMnxO2; NaNi0 .5- xTi0 .5- xCuxMnxO2; NaNi0 .5- xTi0 .5- xCoxMnxO2; NaNi0 .5- xTi0 .5- xZnxMnxO2; NaNi0 .5- xMn0 .5MgxO2; NaNi0 .5-xMn0.5CaxO2; NaNi0 .5- xMn0 .5CuxO2, NaNi0 .5- xMn0 .5CoxO2; NaNi0 .5- xMn0 .5ZnxO2; NaNi0 .5- xMn0 .5-yMgxTiyO2; NaNi0 .5- xMn0 .5- yCaxTiyO2; NaNi0 .5- xMn0 .5- yCuxTiyO2; NaNi0 .5- xMn0 .5- yCoxTiyO2; NaNi0 .5-xMn0.5-yZnxTiyO2; NaNi0 .5- xMn0 .25-x/2Mg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axTi0 .25+x/2O2; NaNi0 .5- xMn0 .25-x/2CuxTi0.25+x/2O2; NaNi0 .5- xMn0 .25-x/2CoxTi0 .25+x/2O2; NaNi0 .5- xMn0 .25-x/2ZnxTi0 .25+x/2O2; NaNi0 .5- xMn0 .5-xMgx/2Tix/2AlxO2; NaNi0.5-xMn0.5-xCax/2Tix/2AlxO2; NaNi0 .5- xMn0 .5- xCux /2Tix /2AlxO2; NaNi0 .5- xMn0 .5- xCox /2Tix /2AlxO2; NaNi0.5-xMn0.5-xZnx/2Tix/2AlxO2 또는 Na0 .95Ni0 .3167Ti0 .3167Mg0 .1583Mn0 .2083O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7. 제6항에 있어서,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 및 1종 이상의 전해질 물질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물질이 수성 전해질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물질이 비-수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나트륨 및/또는 칼륨 이온 전지; 나트륨 및/또는 칼륨 금속 전지; 비-수성 전해질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이온 전지; 및 수성 전해질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이온 전지 중 1종 이상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각 경우, 선택적으로는 리튬을 부(minor)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및/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및/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및/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electrochromic device).
  15.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출발 물질을 함께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된 출발 물질을 4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퍼너스(furnace)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c) 반응 산물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03371A 2012-07-10 2013-07-10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KR102073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12261.0A GB2503896A (en) 2012-07-10 2012-07-10 Nickel doped compound for use as an electrode material in energy storage devices
GB1212261.0 2012-07-10
PCT/GB2013/051821 WO2014009722A1 (en) 2012-07-10 2013-07-10 Doped nickelate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50A true KR20150028850A (ko) 2015-03-16
KR102073785B1 KR102073785B1 (ko) 2020-02-05

Family

ID=467664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371A KR102073785B1 (ko) 2012-07-10 2013-07-10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KR20157003370A KR20150028849A (ko) 2012-07-10 2013-07-10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3370A KR20150028849A (ko) 2012-07-10 2013-07-10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774035B2 (ko)
EP (2) EP2872450B1 (ko)
JP (3) JP6407861B2 (ko)
KR (2) KR102073785B1 (ko)
CN (2) CN104428254A (ko)
DK (1) DK2872450T3 (ko)
ES (1) ES2579856T3 (ko)
GB (1) GB2503896A (ko)
HK (1) HK1206706A1 (ko)
PL (1) PL2872450T3 (ko)
WO (2) WO2014009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139A (ko) * 2013-02-11 2015-10-23 바스프 에스이 캐쏘드 활물질 및 재충전가능한 전기화학 전지에서의 이의 용도
GB201400347D0 (en) 2014-01-09 2014-02-26 Faradion Ltd Doped nickelate compounds
JP6460511B2 (ja) * 2014-03-26 2019-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GB201409163D0 (en) * 2014-05-22 2014-07-09 Faradion Ltd Compositions containing doped nickelate compounds
GB201409142D0 (en) 2014-05-22 2014-07-09 Faradion Ltd Tin-containing compounds
CN104795551B (zh) * 2014-07-17 2017-07-14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层状含铜氧化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795552B (zh) 2014-10-16 2016-08-24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层状氧化物材料、制备方法、极片、二次电池和用途
JP2016110783A (ja) * 2014-12-04 2016-06-20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料、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JP6544010B2 (ja) * 2015-04-10 2019-07-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ナトリ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ナトリ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WO2017004121A1 (en) * 2015-07-01 2017-01-0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athode additive for rechargeable sodium batteries
GB2540626A (en) * 2015-07-24 2017-01-25 Sharp Kk Sodium transition metal oxide compounds for na-ion batteries
EP3121879B1 (en) * 2015-07-24 2018-05-02 Basf Se Active cathode material and its use in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s
GB2543830A (en) * 2015-10-30 2017-05-03 Sharp Kk Formation method for sodium ion cell or battery
GB2543831A (en) * 2015-10-30 2017-05-03 Sharp Kk Method of passive voltage control in a sodium-ion battery
US11289700B2 (en) 2016-06-28 2022-03-29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VOPO4 cathode for sodium ion batteries
WO2019017736A2 (ko) * 2017-07-21 2019-01-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도핑된 나트륨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FR3087299B1 (fr) * 2018-10-11 2020-10-30 Renault Sas Materiau actif d'electrode positive pour batterie sodium-ion
KR20210090204A (ko) * 2018-11-09 2021-07-19 바스프 코포레이션 리튬화 전이 금속 산화물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입자
EP3758110A1 (en) 2019-06-24 2020-12-3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Layered active material for na-ion batteries
JP7127631B2 (ja) * 2019-10-21 2022-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CN112234200B (zh) * 2020-09-18 2022-07-26 中南大学 一种o3型层状钠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745030B (zh) * 2023-01-09 2023-05-12 浙江帕瓦新能源股份有限公司 钾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前驱体、以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5434A (ja) * 2009-03-13 2010-10-21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金属酸化物、電極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JP2011236117A (ja) * 2010-04-16 2011-11-24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金属酸化物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KR20110127220A (ko) * 2009-03-31 2011-11-24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KR20120030774A (ko) * 2010-09-20 2012-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253A (en) 1978-09-29 1981-01-20 Union Carbide Corporation MnO2 derived from LiMn2 O4
US5135732A (en) 1991-04-23 1992-08-0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for preparation of LiMn2 O4 intercalation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secondary lithium batteries
US6203946B1 (en) 1998-12-03 2001-03-20 Valence Technology, Inc. Lithium-containing phosphate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US8107223B2 (en) * 1999-06-11 2012-01-31 U.S. Nanocorp, Inc. Asymmetric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3611189B2 (ja) 2000-03-03 2005-0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387568B1 (en) 2000-04-27 2002-05-14 Valence Technology, Inc. Lithium metal fluorophosphate materials and preparation thereof
JP3649996B2 (ja) 2000-05-24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KR100709205B1 (ko) 2001-04-02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CN100372158C (zh) 2001-04-06 2008-02-27 威伦斯技术公司 钠离子电池
KR100406816B1 (ko) 2001-06-05 2003-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US7358009B2 (en) 2002-02-15 2008-04-15 Uchicago Argonne, Llc Layered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and batteries
JP2004335223A (ja) * 2003-05-06 2004-11-2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50130042A1 (en) * 2003-12-11 2005-06-16 Byd America Corporation Materials for positive electrodes of lithium ion batteries and their methods of fabrication
KR100578877B1 (ko) 2004-03-12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1250136B1 (ko) 2004-11-26 2013-04-04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비수 전해질 2 차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
JP4839633B2 (ja) 2005-02-28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US20090087740A1 (en) 2005-07-07 2009-04-02 Masaki Deguchi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5142544B2 (ja) 2006-03-20 2013-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586991B2 (ja) 2006-03-24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二次電池
JP4823275B2 (ja) 2007-06-25 2011-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AU2008325771B2 (en) 2007-11-05 2012-01-1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Nickel oxide powder material for solid oxide fuel cell, process for producing the nickel oxide powder material, and fuel electrode material, fuel electrode, and solid oxide fuel cell using the nickel oxide powder material
CN101933180B (zh) * 2008-02-04 2013-11-20 住友化学株式会社 复合金属氧化物和钠二次电池
JP2010080424A (ja) 2008-08-27 2010-04-08 Sumitomo Chemical Co Ltd 電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20028128A1 (en) * 2009-03-18 2012-02-02 Santoku Corporation All-solid-state lithium battery
CN102754253A (zh) 2010-01-21 2012-10-24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其制造方法以及使用其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
EP2541651A1 (en) 2010-02-22 2013-01-0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Electrode mixtur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2142156A (ja) 2010-12-28 2012-07-26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活物質、正極、電動工具、電動車両および電力貯蔵システム
US8835041B2 (en) 2011-01-14 2014-09-16 Uchicago Argonne, Llc Electrode materials for sodium batteries
GB201205170D0 (en) 2012-03-23 2012-05-09 Faradion Ltd Metallate electr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5434A (ja) * 2009-03-13 2010-10-21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金属酸化物、電極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KR20110127220A (ko) * 2009-03-31 2011-11-24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JP2011236117A (ja) * 2010-04-16 2011-11-24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金属酸化物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KR20120030774A (ko) * 2010-09-20 2012-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8254A (zh) 2015-03-18
US9774035B2 (en) 2017-09-26
GB2503896A (en) 2014-01-15
EP2872450B1 (en) 2016-04-27
HK1206706A1 (zh) 2016-01-15
WO2014009722A1 (en) 2014-01-16
KR20150028849A (ko) 2015-03-16
JP2015530960A (ja) 2015-10-29
DK2872450T3 (en) 2016-07-18
KR102073785B1 (ko) 2020-02-05
EP2872451A1 (en) 2015-05-20
CN104428256B (zh) 2016-11-09
JP2018172277A (ja) 2018-11-08
US20150194672A1 (en) 2015-07-09
JP6407861B2 (ja) 2018-10-17
EP2872450A1 (en) 2015-05-20
WO2014009723A1 (en) 2014-01-16
EP2872451B1 (en) 2016-04-27
JP2015531143A (ja) 2015-10-29
ES2579856T3 (es) 2016-08-17
US20150137031A1 (en) 2015-05-21
CN104428256A (zh) 2015-03-18
GB201212261D0 (en) 2012-08-22
PL2872450T3 (pl)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785B1 (ko)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
US10756341B2 (en) Metallate electrodes
KR102307224B1 (ko) 도핑된 니켈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
JP6267208B2 (ja) ドープされたニッケル酸塩化合物
EP2872452B1 (en) Doped nickelate compounds
JP6407860B2 (ja) ドープされたニッケル酸塩化合物
US10263254B2 (en) Tin-containing compounds
JP6685228B2 (ja) 硬質カーボン電極のためのドープされたニッケル酸塩化合物
JP4244427B2 (ja) 非水電解質電池
WO2022045129A1 (ja) 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および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