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089A -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089A
KR20150027089A KR20147035073A KR20147035073A KR20150027089A KR 20150027089 A KR20150027089 A KR 20150027089A KR 20147035073 A KR20147035073 A KR 20147035073A KR 20147035073 A KR20147035073 A KR 20147035073A KR 20150027089 A KR20150027089 A KR 2015002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communication method
cha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596B1 (ko
Inventor
나가타 이치토
요시후지 히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Publication of KR2015002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채팅 서비스의 멤버로부터 비멤버에 대해 최초로 메시지를 보낼 때에는, 비멤버의 메일 주소 등을 하나하나 등록할 필요가 있어, 채팅 서비스의 사용개시까지의 작업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 단말로부터 채팅 서비스의 개시 요청이 있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등록 정보로부터 가장 적절한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유저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그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한다. 송신 상대방으로의 통신 시에 적용되는 통신 방식은, 송신 상대가 등록 멤버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채팅 방식이 선택된다. 한편, 송신 상대가 비등록 멤버의 경우에는, 비등록 멤버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된 정보에 따른 방식이 선택된다.

Description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PC(Personal Computer) 단말이나 휴대단말 등의 정보처리 장치를 이용해 실시간(real-time)의 문자통신을 수행하는, 소위 채팅이라고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채팅 서비스에서는 채팅 서비스에 가입, 등록하지 않은 비멤버(non-member)에 대해 채팅을 하고싶은 경우라 하더라도 그 멤버가 채팅 서비스에 등록하지 않는 한, 채팅을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비멤버에 대해서는 별도 메일 등을 보내지 않으면 않으므로 조작이 번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에서는 제1 인터페이스로부터 이메일이나 채팅 등의 모델리티(modality)를 별도의 모델리티로 변환하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멀티 모델(multi-modal) 통신을 위한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 특표2011-525676호 공보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채팅 서비스의 멤버로부터 비멤버에 대해 처음으로 메시지를 보낼 때에는, 비멤버의 메일 주소 등을 하나하나 등록할 필요가 있고, 채팅 서비스의 사용 개시까지의 작업이 번거롭고, 장벽이 높다. 또한, 유저가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 유저 자신이 통신 방식을 선택할 필요가 있는 등,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관련된 과제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유저(non-user)와의 채팅이 있다고 해도 심리스(seamless)한 메시지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유저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통신 방법은, 정보 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에 있어,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단계,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처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나는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통신 방식이 자동설정되기 때문에, 비등록 멤버에 대해 메시지를 보낼 때의 유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통신 방법은 정보처리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연락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취득한 연락처 정보와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를 대조하는 단계, 대조 결과, 두 개의 연락처 정보에 공통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에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취득한 연락처 정보와 등록 완교된 연락처 정보를 대조한 결과, 두 개의 연락처 정보에 공통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에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사용 개시시의 유저로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통신 방법은 채팅 이외의 통신 방식에 의한 메시지를 받아들인 경우, 해당 메시지를 채팅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한 메시지를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채팅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비등록 멤버와의 사이에 메시지를 교환한 경우에도 메시지를 같은 채팅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채팅을 하고 있는 감각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 통신 방법은,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선택된 메시지에 플래그(flag)를 붙이고, 상기 유저가 선택한 메시지로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계기로 하여, 플래그와 함께 상기 유저가 과거에 선택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메시지를 웹 페이지로 엑스포트(export)하고, 소정 유저에게 열람시키는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플래그와 함께 유저가 과거에 선택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추출하여 웹 페이지로 엑스포트(웹페이지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채팅으로의 메시지 교환을 넓게 공유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통신 방법은 하나 이상의 후보 일시와, 하나 이상의 후보지를 각각 하나씩 조합한 이벤트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이벤트 정보에 관한 이벤트로의 참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선택하는 단계는, 이벤트로의 참가 여부를 문의하는 때에 있어서, 채팅 이외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 경우, 참가 여부에 관한 답변을 유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URL 정보를 송신해야 할 메시지에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참가 여부에 관한 답변을 유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URL 정보를 송신해야 할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에 의해, 비등록 유저에 대해서도 간이하게 이벤트 참가를 문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정보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에 있어,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단계,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처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로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통신 장치이다. 이 통신 장치는, 정보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통신장치에 있어,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수신부,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부, 선택된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처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요소를 임의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 교환한 것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유저와의 채팅이 있다고 해도, 심리스한 메시지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유저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채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채팅 시스템에서의 서버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서버에서의 채팅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또는 PC 단말에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3의 채팅 제어부의 제1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채팅 제어부의 제2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관한 채팅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관한 유저 단말과 서버에 의한 메시지 관리에 관한 처리수순 예를 나타내는 순서(sequence)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 관한 채팅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에 관한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의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이벤트 화면(G1)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이벤트 화면(G3)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채팅 화면(G4)의 제1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이벤트 상세화면(G5)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채팅 화면(G4)의 제2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이벤트 응답 확인 화면(G6)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본 발명의 개요를 서술한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 단말 장치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채팅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멤버(이하, "등록 멤버"라 한다)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교환을 할 때에, 상대방이 채팅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의식하는 것 없이, 그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채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채팅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멤버(이하, "비등록 멤버"라 한다)와의 사이에서 채팅을 하는 경우, 종래에는 그 비등록 멤버에 대해 등록 멤버가 되도록 촉구하거나, 또는 채팅 이외의 방법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었다. 모델리티 교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비등록 멤버과 등록 멤버의 사이에서 채팅을 하는 서비스도 존재하고 있으나, 사용시에 비등록 멤버의 정보를 차례로 입력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거나, 서비스 사용에 제한이 부과되거나 하는 등, 사용법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사용법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채팅의 상대방의 서비스 등록 상황을 유저에게 의식시키지 않고, 극히 원활하게(smooth) 채팅 서비스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3명 이상의 유저(비등록 유저를 포함해도 좋다)가 채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실시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채팅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이다. 채팅 시스템(100)은 서버(10), 서버(10)와 기지국(40)을 유선회선으로 접속하는 네트워크(30), 기지국(40)으로 대표되는 제1 기지국(40a)~제3 기지국(40c), 모바일 단말(50)로 대표되는 제1 모바일 단말(50a)~제3 모바일 단말(50c), PC 단말(7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한 사정상 기지국(40), 모바일 단말(50)은 함께 3대만 도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기지국(40), 모바일 단말(50)이 존재해도 좋다. PC 단말(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모바일 단말(50a)~제3 모바일 단말(50c)은, 각각 다른 기지국(40)과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기지국(40)에 복수의 모바일 단말(50)이 접속되어 있어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서버(10)는, 채팅 서비스를 실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서버(10)는 네트워크(30)와 기지국을 통해 모바일 단말(50)이나 PC 단말(70)의 사이에서, 채팅 처리를 위한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단지 "서버(10)와 모바일 단말(50) 내지 PC 단말(70)과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등과 같이 표현하여, 네트워크(30) 및 기지국(40)을 통하는 점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50)이나 PC 단말(70)을 통칭하여, 유저 단말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있다.
서버(10)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시킨다. 그 후에, 유저 단말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를 업로드시켜, 서버(10) 내의 메모리에 임포트(import)한다. 서버(10)는 유저 단말로부터 채팅 서비스의 개시 요청이 있으면, 채팅 서비스의 상대방으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방식의 우선도 정보에 따라, 서버(1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등록 정보로부터 가장 적절한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유저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세지를 그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한다.
송신 상대방으로의 통신 때에 적용되는 통신 방식은, 송신 상대가 등록 멤버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채팅 방식이 선택된다. 한편, 송신 상대가 비등록 멤버인 경우는, 비등록 멤버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된 정보에 따른 방식이 선택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러한 양태를 취함으로서 유저는 상대방이 비등록 멤버라 하더라도 그것을 의식하는 것 없이 채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 단말은, 채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서버(10)에 액세스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인스톨한다. 그 다음에, 서버(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단말 내에 등록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를 업로드한다. 이후,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하여 연락처를 지정하는 한편 연락처로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면 된다. 그리고, 전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의 사용자는 채팅 시스템(100)의 이용시에, 송신처의 유저가 비등록 유저인지 아닌지는 묻지 않는다.
도 2는 도 1의 채팅 시스템(100)에서의 서버(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서버(10)는 서버 수신부(12), 채팅 제어부(14), 서버 송신부(16) 및 서버 메모리(20)를 포함한다.
서버 수신부(12)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복조처리를 실시하여 채팅 제어부(14)로 복조된 신호를 보낸다. 서버 송신부(16)는 채팅 제어부(14)에서 선택된 통신 방식으로 소정 메시지를 송신 상대에게 송신한다. 서버 수신부(12) 및 서버 송신부(16)에서의 변복조 처리는 종래 이용되고 있는 변복조 기술이 이용되어도 좋고, 이러한 양태라 하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채팅 제어부(14)는 서버 수신부(1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내용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여 서버 메모리(20)에 엑세스하거나 또는 서버 송신부(16)에 대해 송신을 지시한다. 서버 수신부(1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신호이며, 예컨대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채팅 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의 다운로드 요청, 유저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정보, 송신처, 및 송신처로의 메시지 등이다.
채팅 제어부(14)는 서버 메모리(20)에 대해 유저에게 다운로드 시키기 위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읽어내거나,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락처 정보를 임포트하거나, 통신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에 액세스를 수행한다. 채팅 제어부(14)는 유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유저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시킨다. 유저 단말에 다운로드 시킨 후에 채팅 제어부(14)는 유저 단말에 대해 그 유저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해당 서버(10)로 임포트시킬지 아닐지 문의한다. 임포트의 허가가 있는 경우, 유저 단말로부터 연락처 정보가 보내져 오므로 채팅 제어부(14)는 서버 메모리(20)에 해당 정보를 기입한다.
또한, 채팅 제어부(14)는 송신처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경우에 송신처에 관해 서버 메모리(20)에 등록되어 있는 1 이상의 통신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1개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나 선택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서버(10)에서의 채팅 제어부(1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채팅 제어부(14)는 등록 제어부(22), 선택부(24), 변환부(26)를 포함한다. 등록 제어부(22)는 유저 단말로부터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서버 메모리(20)에 등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선택부(24)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채팅 요청을 계기로 하여 서버 메모리(20)에 액세스하여 송신처의 정보를 취득하고, 송신처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여 변환부(26)에 전한다. 변환부(26)는 선택부(24)로부터 전해진 통신방식의 포맷으로, 유저 단말로부터 받아들인 송신처로의 메시지를 변환한다. 변환부(26)에 의한 변환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등록 제어부(22)는, 유저 단말에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고 유저 단말 내의 연락처 정보가 업로드된 것을 계기로 하여 그 연락처 정보를 서버 메모리(20)에 등록한다. 그 때, 등록 제어부(22)는 먼저 업로드의 주체가 된 유저 단말에게 ID를 부여한다.
또한, 등록 제어부(22)는 업로드된 연락처 정보와 등록 멤버의 연락처 정보를 대조한다. 등록 멤버의 연락처 정보는 이미 채팅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멤버의 연락처 정보이다. 또한, 등록 제어부(22)는 업로드된 연락처 정보와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를 대조하여도 좋다.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는 서버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등록 유저에 의해 이미 임포트되었던 비등록 멤버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정보이다.
연락처 정보는 성명, 후리가나, 전화번호, 휴대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 멤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전화번호, 휴대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또는 SNS 정보는 복수이어도 좋다. SNS 정보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믹시(mixi), 링크드인(Linkedin)(이하 4개는 모두 등록상표임)등의 SNS에 있어서 유저를 식별하고 또는 그 유저에 대해 연락을 하기 위해 필요한 1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멤버 정보는 채팅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등록 멤버인지 비등록 멤버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플래그(flag)가 된다.
조회 결과 2개의 연락처 정보에 공통부분이 있는 경우, 등록 제어부(22)는 2개의 연락처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연락처 정보라고 하면, 양 연락처 정보에 있어서 성명과 휴대전화 번호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쌍방의 연락처 정보는 동일인물에 관련되는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업로드된 연락처 정보
성명 A
휴대전화 번호 090-XXX-YYYY
이메일 주소 b@ppp.co.jp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
성명 A
휴대전화 번호 090-XXX-YYYY
전화번호 03-mmmm-nnnn
이메일 주소 a@qqq.ne.jp
따라서, 등록 제어부(22)는 상기 2개의 연락처 정보를 통합하여 이하와 같은 1개의 연락처 정보로서 서버 메모리(20)에 저장한다.
통합후의 연락처 정보
성명 A
휴대전화 번호 090-XXX-YYYY
전화번호 03-mmmm-nnnn
이메일 주소 a@qqq.ne.jp
이메일 주소 b@ppp.co.jp
그리고 2개의 연락처 정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등록 제어부(22)는 통합처리를 하지 않아도 좋다. 서로 보간(interpolation)해야 하는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통합시에 공통부분의 개수를 갖고 통합할지 아닐지의 조건으로 해도 좋고, 1개 이상의 소정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도 좋고, 이들 조합이어도 좋다. 이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동일 인물에 관련되는 것이라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1 이상의 소정 정보를, 예컨대 성명과 휴대전화 번호와 같이 하는 것으로, 불변 또는 변경되기 힘든 연락처 정보를 판단 기준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인물에 관련되는 것이라는 확률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처리 스피드, 처리 부하의 관점과 확률을 높이는 것은 트레이드 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으나, 이들을 감안하면 상기 개수는 2 내지 3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소정 정보는 성명과 휴대전화 번호 및/또는 전화번호의 조합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부(24)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부(24)는 받아들인 송신처의 유저에 관해 서버 메모리(20)에 등록되어 있는 1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하는 통신 방식의 우선 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1개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 다만, 서버 수신부(12)로부터 받아들인 메시지가 채팅 형식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선택부(24)는 동작이 상이하다. 채팅 형식인 경우는 등록 유저로부터의 메시지이고, 채팅 형식 이외의 형식인 경우는 비등록 유저로부터의 메시지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먼저 서버 수신부(12)로부터 받아들인 메시지가 채팅 형식인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예에서, 이하의 유저 A, 유저 B, 유저 C의 연락처 정보가 서버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유저 A
성명
이메일 주소
등록 멤버
유저 B
성명
이메일 주소
SNS 정보
비등록 멤버
유저 C
성명
이메일 주소 1
이메일 주소 2
비등록 멤버
또한,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이하, 우선도 정보라 한다)가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 우선도 정보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정보가 된다. 우선도 1은 가장 우선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번호가 커질수록 우선도가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도 1 채팅 형식
우선도 2 이메일 형식
우선도 3 SNS 형식
그리고, 이 우선도 정보는 등록 유저마다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등록 유저가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항상 채팅 형식이 우선도 1이 되도록 설정되어도 좋고, 이 경우에 우선도 2 이하의 형식을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 유저 A가 송신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선택부(24)는 송신처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중 멤버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 멤버 정보에 의해, 송신처의 유저가 등록 멤버인 것이 판명되고, 이 경우 채팅 형식이 선택된다.
여기에서, 선택부(24)는 변환부(26)에 대해 받아들인 메시지를 채팅 형식으로 변환하는 뜻을 지시한다. 그리고, 등록 멤버인 경우 선택부(24)는 우선도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 없이 채팅 형식을 선택해도 좋다.
다음으로, 유저 B가 송신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유저 A의 경우와는 다르게, 유저 B는 비등록 멤버이다. 이러한 경우, 선택부(24)는 우선도 정보 중 우선도 2를 참조한다. 여기에서, 우선도 2는 이메일 형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선택부(24)는 이메일 주소가 유저 B의 연락처 정보로서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대조한다.
상기의 예에서 유저 B의 이메일 주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선택부(24)는 통신 방식으로서 이메일 형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유저 B의 이메일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음의 우선도 3인 SNS 형식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지가 판단되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저 B의 등록 정보로서 SNS 정보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부(24)는 SNS 형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유저 C가 송신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 C의 등록 정보에 의하면, 유저 C는 비등록 멤버이기 때문에 선택부(24)는 우선도 2의 이메일 형식이 선택 가능한지 어떤지를 판단하기 위해, 유저 C의 등록 정보에서 이메일 주소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유저 C의 등록 정보로서 이메일 주소가 2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선택부(24)는 휴대전화 앞으로 된 이메일 주소를 우선하여 선택한다.
그리고, 2 이상의 휴대전화 앞으로 된 이메일 주소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보다 늦은 시기에 등록되어 있는 이메일 주소를 선택해도 좋다. 보다 늦은 시기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 쪽이 보다 최근에 등록된 최신 정보일 가능성이 있어, 보다 확실하게 유저 C에게 메시지를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선도 정보로서 이메일 형식이 우선도 2에 설정되어 있으나 이것을 이하의 우선도 정보의 예 2와 같이 수신인에 따라 우선도를 설정해도 좋다.
<우선도 정보의 예 2>
우선도 1 채팅 형식
우선도 2 휴대전화 이외를 수신인으로 하는 이메일 주소
우선도 3 휴대전화 앞으로 된 이메일 주소
또한, 이하의 우선도 정보의 예 3과 같이, gmail.com이나 무료 주소와 같이 휴대전화인지 다른 수신인인지를 묻지 않는 범용 이메일 주소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우선도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보다 유연하게 송신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확실하게 송신처로 메시지를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도 정보의 예 3>
우선도 1 채팅 형식
우선도 2 범용 이메일 주소
우선도 3 휴대전화 앞으로 된 이메일 주소
우선도 4 휴대전화 이외를 수신인으로 하는 이메일 주소
변환부(26)는 송신처가 비등록 유저인 경우 서버 수신부(12)로부터 받아들인 메시지에 URL 정보를 부가한다. URL 정보는 비등록 유저에게 채팅 시스템으로의 초대를 촉구하는 웹페이지의 링크에 관한 정보이다. 비등록 유저는 이 정보를 클릭하는 것으로 서버(10)에 액세스할 수 있고, 거기로부터 채팅을 실시하기 위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변환부(26)는 선택부(24)로부터 지시된 통신 방식의 형식으로 송신해야 할 메시지를 변환하여 서버 송신부(16)로 보낸다.
다음으로, 서버 수신부(12)로부터 받아들인 메시지가 채팅 형식 이외의 형식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서의 메시지는 비등록 유저로부터 등록 유저로의 메시지가 된다. 그 때문에, 서버 메모리(20)에 있어서 수신인인 유저의 등록정보는 등록 유저가 된다. 여기에서, 채팅 형식은 등록 멤버에 관련된 우선도 정보의 우선도 1이 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부(24)는 등록 유저 앞으로의 메시지의 통신 방식으로서 채팅 형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된다.
계속하여, 변환부(26)는 비등록 멤버로부터 받아들인 메시지를 채팅 형식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메시지는 서버 송신부(16)를 통해 수신인인 유저 단말(50)로 송신된다. 유저 단말(50)에서는 단말의 디스플레이상의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에 송신된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양태에 의해, 채팅 시스템(100)에서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와 우선도 정보로부터 통신 방식을 적절하게 변환하는 것으로 등록 멤버, 비등록 멤버 간에 있어서도 유저에게 불필요한 조작을 시키는 것 없이 원활한(smooth) 채팅이 실현 가능하다.
다음으로, 유저 단말측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50) 또는 PC 단말(70)에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에서는, 설명 관계상 모바일 단말(50)의 구성으로서 설명하나 PC 단말(70)에 있어서도 같은 구성이 된다.
모바일 단말(50)은 단말 수신부(52), 단말 제어부(54), 단말 송신부(56), 유저 인터페이스(58), 단말 메모리(60)를 구비한다. 단말 수신부(52)는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버(10)로부터 송신된 다른 유저로부터의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단말 제어부(54)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아들여, 단말 메모리(60)에 액세스하면서 채팅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 제어나 단말 메모리(60)에 등록된 연락처 정보의 업로드 제어, 또는 채팅을 위한 송신처의 선택, 송신처로의 메시지 관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58)는 유저로의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키보드나 터치패널 등을 조작한 결과로서 입력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아들여, 단말 제어부(54)로 전달한다. 유저로의 메시지는, 예컨대 메모리(6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서버(10) 내에 임포트(import)해도 좋은지 아닌지의 문의나, 채팅을 수행할 때의 송신처 지정이나, 송신처로의 메시지 편집 화면 등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소정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 좋다.
이하, 유저 A가 채팅 서비스의 사용을 개시하는 장면의 일 예로서, 모바일 단말(50)의 총괄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유저 A가 유저 A의 모바일 단말(50)에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했다고 한다. 이 때에, 단말 제어부(54)는 "주소록을 임포트 하겠습니까?" 등과 같은 팝업 메시지를 유저 인터페이스(58)에 표시시키고, 이것에 대해 유저가 예 버튼을 누르면 단말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가 서버(10)의 서버 메모리(20)로 임포트된다.
그리고,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할 때에 팝업 표시 등을 내지 않고, 자동적으로 유저 A의 단말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가 서버(10)로 임포트 되어도 좋다. 또한, 정기적으로, 임포트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고, 새로운 연락처 정보가 단말 메모리(60)에 추가된 경우에 임포트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서버(10)에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과,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멤버의 연락처 정보가 대조되고, 일치하는 등록 멤버가 존재하는 경우, 등록 멤버의 연락처 정보와 임포트된 연락처 정보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면 모바일 단말(50)의 단말 메모리(60)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의 지인 등에 관한 연락처 정보가, 채팅 상대로서 자동적으로 등록된다. 그 때문에, 유저는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 없이 채팅 서비스의 사용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유저 A가 유저 B와 채팅을 통해 메시지의 교환을 하는 장면의 일 예를 설명한다.
유저 A가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면, 유저 인터페이스(58)는 송신처 후보를 표시한다. 유저 A는 표시된 후보로부터 메시지의 송신 상대로서, 예컨대 유저 B를 선택한다. 선택된 송신처는 단말 제어부(54), 단말 송신부(56)를 통해, 서버(10)로 통지된다.
다음으로, 서버(10)는 유저 B의 연락처 정보 및 우선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통신 방식(채팅, 메일, SNS)을 결정한다. 우선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지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우선도 정보가 채팅>SNS 메시지>이메일 주소>SMS의 순으로 되어 있고, 유저 B가 채팅 서비스의 등록 멤버인 경우는 통신 방식은 채팅이 된다. 또한, 유저 B가 비등록 멤버이고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만을 알고 있는 경우는,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이메일 형식에 의한 통신 방식이 선택된다.
유저 A가 유저 인터페이스(58)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의 메시지 란에 유저 B로의 메시지를 기입하고, 송신 버튼을 누르면, 그 뜻이 단말 제어부(54), 단말 송신부(56), 게다가 서버(10)를 통해 유저 B에 대해 메시지가 송신된다. 유저 B로의 통신 방식으로서 이메일 형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서버(10)가 유저 A의 채팅 메시지를 이메일 형식으로 변환하고, 단말 메모리(60)로부터 임포트된 유저 B의 메일 주소를 수신인으로 하여 메일이 서버(10)로부터 송신된다.
비등록 유저인 유저 B가 유저 A로부터의 이메일 형식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에 대해 이메일 형식으로 회신하면, 서버(10)는 먼저 유저 B로부터의 이메일을 채팅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고 유저 A의 모바일 단말(50)에 송신하며, 그 단말의 디스플레이상의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시킨다.
도 5는 도 3의 채팅 제어부(14)의 제1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1 처리수순은 유저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시킨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먼저, 채팅 제어부(14)는 서버 송신부(16)를 통해 유저 단말로 임포트 요청을 수행한다(S10). 임포트 요청은 유저 단말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를 서버(10)에 업로드시키고, 서버(10) 내의 서버 메모리(20)에 저장시켜도 좋은지 아닌지를 문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유저 단말로부터 임포트를 허가하지 않는 뜻의 신호를 서버 수신부(12)에서 받아들인 경우(S12의 아니오), 채팅 제어부(14)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유저 단말로부터 임포트를 허가하는 뜻의 신호를 받아들인 경우(S12의 예), 뒤이어 송신되어 오는 연락처 정보를 서버 수신부(12)를 통해 취득한다.
취득한 연락처 정보와 서버 메모리(2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를 대조한 결과, 공통되는 정보가 존재한 경우(S14의 예), 등록 제어부(22)는 서버 메모리(20) 내에 저장되어 있던 연락처 정보와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통합한다(S16). 한편, 공통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4의 아니오), 등록 제어부(22)는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그대로 서버 메모리(20)에 등록한다(S18). 그 때에, 연락처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ID 등을 붙여도 좋다.
여기에서, 임포트해야 할 전체 연락처 정보가 임포트된 경우(S20의 예), 채팅 제어부(14)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다른 연락처 정보가 있는 경우(S20의 아니오), 채팅 제어부(14)는 S14의 처리로 돌아가서, 임포트해야 할 연락처 정보가 없을때까지 S14~S20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6은, 도 3의 채팅 제어부(14)의 제2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2 처리수순은 유저 단말이 채팅을 개시한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채팅 제어부(14)는 서버 수신부(12)를 통해, 유저가 지정한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야 할 메시지를 취득한다(S30). 계속하여, 채팅 제어부(14)는 송신처에 관해 서버 메모리(20)에 등록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우선도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S32).
여기에서, 송신처가 미등록 유저인 경우(S34의 예), 채팅 제어부(14)는 송신해야 할 메시지에, 미등록 유저에게 채팅 시스템으로의 참가를 촉구하기 위한 URL 정보를 부가한다(S36). 등록 유저의 경우(S34의 아니오), S38의 처리로 이동한다.
채팅 제어부(14)는 송신해야 할 메시지에 대해, S32에서 선택된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시한다(S38). 계속해서, 채팅 제어부(14)는 서버 송신부(16)에 대해 변환한 메시지를 유저로부터 지정된 송신처로 송신시킨다(S40).
이상과 같은 양태에 의하면,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통신 방식이 자동 설정되기 때문에, 메시지를 보낼 때의 유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취득한 연락처 정보와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를 대조한 결과, 둘 이상의 연락처 정보에 공통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에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사용 개시시의 유저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개요를 서술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양태에 부가하여,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메시지 중에서 유저가 임의로 선택한 메시지를 서버(10)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 서버(10)는 복수의 유저에 의한 선택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된 메시지에는, 예컨대 핀 마크 등의 플래그(flag)가 붙여져, 이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핀 보드로서 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채팅 참가자는 이 핀 보드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실시예 2에서는 핀 보드를 웹 페이지로 변환하고, 웹 상으로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를 넓게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웹 페이지에 엑세스 가능한 사람을 제한하고 싶은 경우에는, 웹 페이지에 패스워드를 부여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양태를 취함으로써 실시예 2는 특히, 비즈니스에 있어서의 채팅 회의나, 이벤트 스케쥴링 등에 편리하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채팅 제어부(7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채팅 제어부(72)는 메시지 관리부(62), 웹 갱신부(64)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3의 채팅 제어부(14)에 포함된 등록 제어부(22), 선택부(24), 변환부(26)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먼저, 유저는 유저 단말(50)의 디스플레이 상의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시지에는 선택되었다는 뜻의 플래그가 표시되는 한편, 서버(10)에 대해 선택한 메시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한 메시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라 한다)는 메시지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번호라도 좋고, 그 식별번호와 대응지어진 플래그라도 좋다.
서버(10)의 메시지 관리부(62)는 서버 수신부(12)를 통해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를 취득하고, 그 메시지를 상기 유저가 선택한 것으로서 관리하기 위해 서버 메모리(20)에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와 유저 ID를 연관지어 저장시킨다. 메시지 관리부(62)는 메시지 자체도 서버 메모리(20)에 저장시켜도 좋다.
여기에서, 유저에 의해 과거에 선택된 메시지를 합쳐서 표시시키기 위한 요청을 유저가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한 경우, 유저 단말(50)은 서버(10)에 대해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요청을 수행한다. 서버(10)의 메모리 관리부(62)는 표시 요청에 관련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서버 메모리(20)에 엑세스하고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하는 메시지를 웹 갱신부(64)에 통지한다. 웹 갱신부(64)는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된 메시지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웹 갱신부(64)는 선택된 메시지를 유저에게 열람시킬 때, 유저에 대해 패스워드를 요청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선택을 수행한 유저 이외의 유저라도 패스워드를 알고 있다면 선택된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유저에 의해 메시지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시지 관리부(62)는 메시지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메시지 외의, 그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메시지 특정 정보도 합쳐서 관리해도 좋다. 이 경우, 메시지 관리부(62)는 유저 단말(50)로부터 취득한 선택 메시지 특정정보와, 그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에 관한 메시지에 이어지는 메시지 중, 몇 개의 메시지를 관리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 메모리(20)에 저장한다. 이 정보는, 유저 단말(50)에 의해 통지된다. 이러한 양태를 취하는 것에 의해, 특정 화제를 합쳐서 1개의 스레드(thread)로서 관리하고,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하여 유저 단말과 서버(10)에 의한 메시지 관리에 관한 처리 수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유저 단말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메시지를 선택한다(S50, S56). 그 다음에, 유저 단말은 선택된 메시지에 관한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를 서버(10)에 통지한다(S52, S58). 서버(10)는 유저 단말로부터 통지된 선택 메시지 특정 정보에 따라 서버 메모리(20)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관리한다(S54, S60). 그리고, 도 8에서는 두 개의 메시지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회만이어도 좋고 3회 이상 선택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유저에 의해 유저 단말이 표시 요청을 받아들인 경우(S62), 유저 단말은 과거에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를 서버(10)에 통지한다(S64). 서버(10)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지시를 계기로 하여, 서버 메모리(20)에서 관리하고 있는 메시지를 웹 페이지로 표시시키기 위한 웹 갱신 처리를 한다(S66). 마지막으로, 유저 단말은 서버(10)에 액세스하여 메시지를 열람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S68).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개요를 서술한다. 실시예 3에서는, 채팅 인터페이스상에서 이벤트 등의 스케쥴링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는 채팅 시스템 내에서 이벤트를 작성하고, 채팅 상대에 대해 이벤트의 참가 유무를 채팅 상에서 답변하도록 한다. 또한, 채팅 상대로부터 얻어진 답변은 자동 집계되고, 유저는 집계 결과를 일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히 이벤트 참가 가능여부만이 아닌, 이벤트 개최 일시나 장소 후보를 몇 개 열거하고, 후보마다 채팅 상대에게 답변하도록 해도 좋다. 채팅 서비스의 비등록 멤버에 대해서는 메일 본문 중에 이벤트 참가 가능 여부나 희망일을 선택하기 위한 웹 페이지의 URL을 기재해 둔다. 또는, 메일 본문 중에, 참가와 불참가로 각각의 URL을 붙여두고, 참가의 URL을 누르면 참가라고 답변, 불참가의 URL을 누르면 불참가라고 답변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로 해도 좋다.
이 이벤트 등의 스케쥴링 관리는 이하의 기능을 가져도 좋다.
(1) 이벤트를 주최하는 유저는 친구나 가족과의 이벤트 예정을 조정할 수 있다. 참가의 유무, 희망일시, 희망장소를 답변하도록 하여, 주최자가 집계 결과를 일람할 수 있다.
(2) 이벤트를 개최하는 일시의 투표 및 집계가 가능하다. 일시의 후보는 복수개 여도 좋다. 장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벤트를 개최하는 회장마다의 선택지여도 좋다.
(3)답변자가 각 일정마다 「○」「△」「X」 등의 복수개의 선택지로부터 답변 가능하다.
(4) 일시를 지정하지 않고, 「지금 여유 있는 사람 모집」과 같은 이벤트도 개최 가능하다.
(5) 소정 날짜까지 답변하지 않는 유저에 대해 리마인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참가 예정자에 대해, 예컨대 개최 24시간전 등에 참가자에 대해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6) 채팅 인터페이스에서 실시 가능한 것 외에도, 웹 브라우저 상에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고, 쌍방은 동기된다. 그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비등록 유저에 대해서도 간이하게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채팅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후보일시와, 하나 이상의 후보지를 각각 하나씩 조합한 이벤트 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이벤트 정보에 관한 이벤트 참가 여부를 문의한다. 이벤트 참가 여부를 비등록 유저 등에 대해 문의할 때에, 채팅 이외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 경우 참가 여부에 관한 답변을 유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URL 정보를 송신해야 할 메시지에 포함해도 좋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 1, 2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같은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채팅 제어부(7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채팅 제어부(74)는 이벤트 관리부(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의 채팅 제어부(14)에 포함된 등록 제어부(22), 선택부(24), 변환부(26)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벤트 관리부(80)는 서버 수신부(12)를 통해 받아들여진 유저로부터의 이벤트에 관한 지시에 따라 서버 메모리(20)에 액세스하고,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벤트에 관한 지시에는 유저로부터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의 입력이나, 이벤트 참가를 촉구하고 싶은 유저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벤트 관리부(80)는 유저로부터의 이벤트에 관한 지시에 따라, 소정 화면을 유저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 이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의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은 글로벌 메뉴 화면(G0), 이벤트 홈 화면(G1), 멤버 선택 화면(G2), 이벤트 작성 화면(G3), 채팅 화면(G4), 이벤트 상세 화면(G5) 및 이벤트 답변 확인 화면(G6)을 포함한다.
G0에서부터 G6까지의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은, 유저로부터 받아들인 지시에 따라 서버(10) 내의 서버 메모리(20)에서 관리되고 있는 이벤트 정보가 갱신되고, 갱신 양태에 따라 도 10에 나타나듯이 각각의 화면으로 천이해 간다.
유저가 채팅을 개시하면 먼저 채팅 시스템(100)의 초기화면인 글로벌 메뉴 화면(G0)이 유저 단말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가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요청하는 경우, 이벤트 홈 화면(G1)으로 천이한다. 이 이벤트 홈 화면(G1)을 기점으로 하여, 유저는 이벤트를 작성하거나 또는 관리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의 이벤트 화면(G1)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벤트 화면(G1)은 글로벌 메뉴 화면(G0)으로부터 천이되어, 이벤트를 일원 관리하는 화면으로서 유저는 이 화면으로부터 진행중 및 과거에 참가한 이벤트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벤트 화면(G1)에는 신규 이벤트 작성 버튼(G10)과, 이벤트란(G12)이 표시된다. 이벤트란(G12)에는 이벤트 이미지(G14)나 이벤트 참가자 이미지(G16) 등이 표시된다.
유저는 신규로 이벤트를 작성할 때에, 신규 이벤트 작성 버튼(G10)을 탭하는 것으로 이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벤트를 작성할 때에는 멤버 선택 화면(G2)으로 천이하고, 이벤트 참가를 문의할 멤버를 유저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벤트란(G12)에는 이벤트의 타이틀, 일시, 장소, 참가자 일람 등이 표시된다. 유저에 의해 개별 이벤트의 란이 탭되면, 이벤트 상세화면(G5)으로 천이한다. 신규로 작성된 이벤트는 이벤트란(G12)의 최상부에 표시되고, 과거의 이벤트일수록 하부에 표시된다. 이벤트가 종료한 경우나 이벤트 자체가 삭제된 경우, 이벤트란(G12)으로부터 삭제된다. 그리고, 하부에 표시되는 이벤트는 색조가 연하게 표시된다거나 하는 등, 신규 이벤트와 비교하여 다른 표시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이벤트 이미지(G14)에는 이벤트 작성에서 지정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지정되지 않은 경우는, 임의의 이미지가 표시되어도 좋다. 이벤트 참가자 이미지(G16)에는 그 이벤트에 대해 이미 참가의 뜻을 답변한 유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12는 도 10의 이벤트 작성화면(G3)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벤트 작성 화면(G3)은 참가 문의 멤버 이미지(G30), 멤버 편집 버튼(G31), 이벤트 설명란(G32), 후보 추가 버튼(33), 답변 후보 버튼(G34), 일정 후보란(G35), 시간 후보란(G36), 자유입력 버튼(G37), 맵 표시 버튼(G38), 검색 버튼(G39)이 표시된다.
참가 문의 멤버 이미지(G30)에는 참가를 문의한 멤버에 관련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멤버 편집 버튼(G31)은 유저가 탭하는 것에 따라 멤버 선택 화면(G2)으로 천이한다. 이벤트 설명란(G32)는 이벤트의 타이틀과, 이벤트의 설명을 기입하기 위한 란이다. 그리고, 타이틀의 입력은 필수로 된다. 후보 추가 버튼(33)은 일정, 시간 또는 장소의 후보를 늘리고 싶을 때에 유저가 탭하는 버튼이다. 유저가 탭하면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보가 추가표시된다.
답변 후보 버튼(G34)은 참가를 문의받은 멤버에 의해 탭되는 버튼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일정, 시간, 장소에 대해서 개최되는 이벤트의 참가 가능 여부 정도를 선택지로부터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버튼이다. 여기에는, ○, △, X와 같이 3가지 선택에 의한 의한 선택지를 상정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 후보란(G35), 시간 후보란(G36)은 이벤트를 개최하는 날짜 및 시간을 기입하는 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보추가 버튼(33)에 의해 후보가 복수개 있는 경우, 후보마다 기입하는 것으로 된다.
자유입력 버튼(G37)은 장소에 관해 코멘트를 기입할 때에 유저가 탭하는 버튼이다. 맵 표시 버튼(G38)은 이벤트 작성자에 있어서는 해당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고, 이벤트 참가를 문의받은 유저에 있어서는 장소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버튼이 된다. 장소 정보는 주소나 전화번호여도 좋고, 지도정보여도 좋고,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검색 버튼(G39)은 이벤트 참가를 문의받은 유저에 의해, 장소 등에 관한 정보를 소정 검색 툴에 의해 검색하도록 하기 위한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13은, 도 10의 채팅 화면(G4)의 제1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채팅 화면(G4)은 작성된 이벤트로의 참가를 문의받은 유저의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채팅 화면(G4)은 단답형 모드란(G40), 선택지형 모드란(G41), 이벤트 설명란(G42), 선택지 버튼(G43) 및 답변 버튼(G44)가 표시된다.
단답형 모드란(G40)은 작성된 이벤트에 관하여 이벤트의 일시, 장소가 하나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이벤트 설명란(G42)에는 이벤트명, 일시, 장소, 및 선택지 버튼(G43)이 표시된다. 참가를 문의받은 유저가 이벤트명을 탭하는 것으로, 이벤트 상세화면(G5)으로 천이한다. 선택지 버튼(G43)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 △, X 각각이 표시되어 있고, 이벤트로의 참가를 문의받은 유저가 어느 것인가를 탭하는 것으로 이벤트로의 참가의 의지 표명이 가능하다.
선택지형 모드란(G41)은 단답형 모드란(G40)과는 다르게, 작성된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 복수개의 일시, 장소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표시되는 화면이다. 선택지형 모드에 있어서는, 유저가 답변 버튼(G44)을 탭하는 것으로 이벤트 상세화면(G5)으로 천이하고, 유저는 이벤트 상세화면(G5)로부터 각각의 선택지에 대해 참가의 의지표시를 하는 것으로 된다.
도 14는, 도 10의 이벤트 상세화면(G5)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벤트 상세화면(G5)에는 참가 예정 유저 이미지(G50), 미답변 유저 이미지(G51), 일람표시 버튼(G52), 답변 버튼(G53), 점포 이미지(G54), 점포 링크(G55) 및 코멘트란(G56)이 표시된다.
참가예정 유저 이미지(G50)에는 이미 참가를 표명한 유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3개의 선택지에 의한 답변 형식인 경우, ○로 답변한 유저만을 표시해도 좋고, ○ 또는 △라고 답변한 유저를 합쳐서 표시해도 좋고, ○와 △에 색을 바꾸는 등 표시 양태를 바꾸어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미답변 유저 이미지(G51)에는 미답변 유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참가 예정 유저 이미지(G50)와 비교하여, 다른 표시 양태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14에 있어서는, 약간 하얀 색조로서 표시하도록 한 경우의 예이다.
일람표시 버튼(G52)은 친구 일람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이다. 답변 버튼(G53)에 있어서는, 유저가 탭을 하는 것으로 답변의 선택지가 표시되고,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으로 답변이 표시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장소가 복수개 있는 경우, 복수개의 답변 버튼(G53)이 표시된다.
점포 이미지(G54)는, 이벤트가 개최되는 점포 등이 사전에 지정하고 있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점포 링크(G55)에서는, 유저가 탭하는 것으로, 해당 점포의 정보가 나타난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 코멘트란(G56)은, 이벤트에 참가의 답변을 수행한 유저가 코멘트를 기입하기 위한 란이다.
도 15는, 도 10의 채팅 화면(G4)의 제2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2 표시예는, 도 13의 제1 표시예 또는 도 14의 이벤트 상세화면(G5)에서, 어떤 유저가 이벤트 참가 문의에 답변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제2 표시예에서는, 답변이 있는 이벤트에 따라, 단답형 모드 표시란(G60)과, 선택지형 모드란(G61)이 표시된다. 각각의 란에서, 참가를 표명한 유저에 의해 지정된 참가 예정 유저 이미지(G62)와 이벤트 상세화면(G5)으로의 천이 버튼(G63)이 표시된다.
도 16은 도 10의 이벤트 답변 확인 화면(G6)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이벤트 답변 확인 화면(G6)은, 이벤트를 작성한 이벤트 주최자에 관련되는 유저가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그 시점에서의 답변 상황이 표시되는 화면이다.
이벤트 답변 확인 화면(G6)에는, 참가 예정 유저 이미지(G64), 이벤트 작성 화면(G3)으로의 천이 버튼(G65), 이벤트 선택지 컬럼(column)(G66)이 표시된다. 이벤트 선택지 컬럼(G66)에는 이벤트의 후보수에 따라 열 방향으로 이벤트의 후보 장소, 일시가 표시된다. 행 방향으로는, 각각의 후보마다 ○, △, X를 답변한 사람 수가 표시되는 집계란(G68), 답변자마다의 답변이 표시되는 답변란(G69)이 표시된다.
이벤트 주최자는, 이벤트의 참가 여부 상황을 눈으로 확인하고, 어느 후보를 채용할지를 결정하고, 채용에 관한 후보의 란에 표시된 이벤트 확정 버튼(G67)을 탭한다. 이벤트 확정 버튼(G67)이 탭되면, 확정된 이벤트에 참가의 뜻을 답변한 유저에 그 뜻의 메시지가 통지된다. 메시지는, 등록 유저라면 채팅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된다. 비등록 유저라면, 변환된 통신 방식에 의해 통지된다. 또는, 결정된 이벤트를 알리기 위한 URL을 통지한다. 그리고, 참가 불명, 참가 불가능의 뜻을 답변한 유저에 대해서도 통지되어도 좋다. 그 경우, 이벤트 주최자는 코멘트를 모아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코멘트는 사전에 설정된 몇개인가의 정형문으로부터 선택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각 실시예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들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점,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채팅 상대방의 서비스 등록 상황을 유저에게 의식하도록 하는 것 없이, 원활하게(smoothly) 채팅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서버 12: 서버 수신부
14: 채팅 제어부 16: 서버 송신부
20: 서버 메모리 22: 등록 제어부
24: 선택부 26: 교환부
30: 네트워크 40: 기지국
40a: 제1 기지국 40b: 제2 기지국
40c: 제3 기지국 50: 모바일 단말
50a: 제1 모바일 단말 50b: 제2 모바일 단말
50c: 제3 모바일 단말 52: 단말 수신부
54: 단말 제어부 56: 단말 송신부
58: 유저 인터페이스 60: 단말 메모리
62: 메시지 관리부 64: 웹 갱신부
70: PC 단말 72: 채팅 제어부
74: 채팅 제어부 80: 이벤트 관리부
100: 채팅 시스템

Claims (7)

  1. 정보 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에 있어,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단계,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처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정보처리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연락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취득한 연락처 정보와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를 대조하는 단계,
    대조 결과, 두 개의 연락처 정보에 공통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록 완료된 연락처 정보에 취득한 연락처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채팅 이외의 통신 방식에 의한 메시지를 받아들인 경우, 해당 메시지를 채팅 형식의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한 메시지를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채팅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선택된 메시지에 플래그(flag)를 붙이고, 상기 유저가 선택한 메시지로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계기로 하여, 플래그와 함께 상기 유저가 과거에 선택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메시지를 웹 페이지로 엑스포트(export)하고, 소정 유저에게 열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후보 일시와, 하나 이상의 후보지를 각각 하나씩 조합한 이벤트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이벤트 정보에 관한 이벤트로의 참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이벤트로의 참가 여부를 문의하는 때에 있어서, 채팅 이외의 통신 방식을 선택한 경우, 참가 여부에 관한 답변을 유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URL 정보를 송신해야 할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정보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에 있어,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단계,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처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로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7. 정보처리 단말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통신장치에 있어,
    송신처와, 해당 송신처로 송신되어야 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수신부,
    받아들인 송신처에 관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부터, 적용해야 할 통신 방식의 우선순위가 나타난 정보에 따라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부,
    선택된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처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147035073A 2012-06-21 2013-05-30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808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0274 2012-06-21
JP2012140274A JP5175402B1 (ja) 2012-06-21 2012-06-21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3/065018 WO2013190972A1 (ja) 2012-06-21 2013-05-30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89A true KR20150027089A (ko) 2015-03-11
KR101808596B1 KR101808596B1 (ko) 2018-01-18

Family

ID=4818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073A KR101808596B1 (ko) 2012-06-21 2013-05-30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88858A1 (ko)
JP (1) JP5175402B1 (ko)
KR (1) KR101808596B1 (ko)
CN (1) CN104350480B (ko)
WO (1) WO2013190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9584B2 (en) 2013-02-10 2023-06-06 Wix.Com Ltd. System and method for third party application activity data collection
JP6186165B2 (ja) * 2013-04-25 2017-08-23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情報システム、第二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40391B (zh) * 2013-12-04 2020-08-04 维克斯网有限公司 用于第三方应用活动数据收集的系统和方法
US10802681B2 (en) * 2014-01-27 2020-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onable notifications
US10540063B2 (en) 2014-01-27 2020-0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ing actionable notifications
US10565219B2 (en) 2014-05-30 2020-02-18 Apple Inc.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uggested contact based on a received message
US10579212B2 (en) * 2014-05-30 2020-03-03 Apple Inc. Structured suggestions
US11025565B2 (en) 2015-06-07 2021-06-01 Apple Inc.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WO2017018016A1 (ja) * 2015-07-24 2017-02-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45425B2 (en) 2015-09-15 2019-10-15 Apple Inc. Emoji and canned responses
CN105873155B (zh) * 2016-03-30 2019-05-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142222B1 (en) 2017-06-13 2018-11-27 Uber Technologies, Inc. Customized communications for network systems
KR20190112506A (ko) * 2018-03-26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전자 메일 표시 방법
JP6480632B1 (ja) * 2018-10-31 2019-03-13 株式会社エクスリンク チャットシステム。
CN113595852A (zh) * 2020-04-30 2021-11-0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邮件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770A (ja) * 2000-04-20 2001-11-02 Taisei Corp 集団行為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WO2002027502A1 (fr) * 2000-09-26 2002-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Support d'enregistrement portant un programme d'envoi et de réception de courrier électronique
US7171190B2 (en) * 2003-06-25 2007-01-3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lligent messaging
JP4018038B2 (ja) * 2003-08-28 2007-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698368B2 (en) * 2003-12-12 2010-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dy-less email for asynchronous chat-like communications and email-chat integration
US7991636B1 (en) * 2004-02-11 2011-08-02 Aol Inc. Buddy list-based calendaring
JP2006140664A (ja) * 2004-11-11 2006-06-01 Toshiba Corp 携帯電話端末および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CN1838644A (zh) * 2005-03-22 2006-09-27 深圳市沃通通信服务有限公司 基于因特网网址和p2p技术实现即时通信和电子邮件的方法
JP2007004814A (ja) * 2006-07-24 2007-01-11 Brother Ind Ltd 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20080133742A1 (en) * 2006-11-30 2008-06-05 Oz Communications Inc. Presence model for presence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JP4991383B2 (ja) * 2007-04-27 2012-08-01 楽天株式会社 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サーバ処理プログラム、端末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CN101202716A (zh) * 2007-12-04 2008-06-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存储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US8180657B2 (en) * 2007-12-31 2012-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vent slot negotiation
US8881020B2 (en) * 2008-06-24 2014-11-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communication through modal-specific interfaces
JP2011192246A (ja) * 2010-03-11 2011-09-29 J-Grab Inc グローバルな取引におけるソーシャルなeコマース・サービスのシステム
CN102137033A (zh) * 2011-04-02 2011-07-27 北京互通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通讯录的im系统及即时通信方法
US8824645B2 (en) * 2011-09-30 2014-09-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ideo messaging systems and methods
US20130097124A1 (en) * 2011-10-12 2013-04-18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aggregating contact information
US8560367B2 (en) * 2012-02-09 2013-10-15 Mercury Holdings Llc Computer-implemented cloud-based litigation management system
US9330145B2 (en) * 2012-02-22 2016-05-03 Salesforce.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aware message tag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596B1 (ko) 2018-01-18
WO2013190972A1 (ja) 2013-12-27
CN104350480A (zh) 2015-02-11
JP5175402B1 (ja) 2013-04-03
JP2014006602A (ja) 2014-01-16
CN104350480B (zh) 2017-10-13
US20150188858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96B1 (ko)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640177B1 (ko) 서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6055731B2 (ja) メンバー追加を拡張するための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819503B2 (en) Server device for exchanging messages
KR100830634B1 (ko) 감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JP7394101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関連活動の情報をチャットルームに提供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関連活動の情報をチャットルームに提供するサーバ
JP2014063526A (ja) サー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32819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JP5175403B1 (ja) サーバ装置
CN111698147B (zh) 消息提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4006924A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58680B1 (ko) 시간 및 위치 기반의 메시지 관리 방법
JP5978070B2 (ja) 集合写真形成装置、集合写真形成方法および集合写真形成プログラム
JP2003114858A (ja) メッセージチャットシステム、メッセージチャット情報処理装置、メッセージチャッ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73175B1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49513B2 (ja) サーバ装置
KR2013009236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퍼런스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579537B1 (ja) 社会適応支援システム及び感情育成プログラム
KR102348738B1 (ko)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US20210152777A1 (en) Network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8020987A (ja) メール管理システム及びメール管理サーバ
JP2014063461A (ja) サーバ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AU2022318801A1 (en) Generation system and generation program
JP2014041562A (ja) 送受信装置、情報送受信システム、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送受信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2020048087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1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07

Effective date: 201710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