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430A - 전선 보호 부재 - Google Patents

전선 보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430A
KR20150024430A KR1020157002144A KR20157002144A KR20150024430A KR 20150024430 A KR20150024430 A KR 20150024430A KR 1020157002144 A KR1020157002144 A KR 1020157002144A KR 20157002144 A KR20157002144 A KR 20157002144A KR 20150024430 A KR20150024430 A KR 2015002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tube
wire
tube fixing
fixing portion
kno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스즈키
메구미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전선 커버(11)는 설치되는 전선(19)을 둘러싸는 커버 본체(27)의 일체부인 결합 융기 스트립과 골진 튜브 고정부(29), 골진 튜브(31)를 고정하는, 즉 밀접하게 조이는 전선 타이(43) 및 골진 튜브 고정부(29)에 제공되는 매듭 부재 제한부(49)를 갖는다. 각 매듭 부재 제한부(49)는 전선 타이(43)의 끝을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안내하는 안내벽부(55)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선 보호 부재{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본 발명은 전선 보호 부재에 관한 것이다.
골진 튜브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커버를 갖춘 커넥터들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커넥터들은 별개 부재인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커버(전선 보호 부재, 501)가 서로 탈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501)는 고정부(503) 및 튜브 삽입부(505)가 제공된다. 고정부(503)는 커넥터 하우징의 잠금부(미도시)상에 잠기게 되고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내에 혹은 커넥터 하우징과 감합된다. 튜브 삽입부(505)에는, 제 1 제한벽(509) 및 제 2 제한벽(511)에 의해 케이블 타이(매듭부재, 513)의 매듭위치를 판정하는 케이블 타이 제한부(507)가 제공된다(도 8b 참조).
두 개의 케이블 타이 삽입구멍(517)이 케이블 타이 제한부(507)의 케이블 타이 접촉부(515)를 통해 형성되어 케이블 타이(513)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다.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골진 튜브(523)는 외측 둘레 표면이,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둘레 융기 스트립(519) 및 외측 둘레 그루브(521)로 형성되는 벨로스 형상(bellows shape)을 띄도록 형성되고, 또한 가요성있게 형성되어 곡선을 이루면서도 굴곡 변형을 겪을 수 있다. 골진 튜브(523)는 제 1 잠금 돌기(525) 및 제 2 잠금 돌기(527) 양자와 결합하며, 이는 융기 스트립(519) 또는 외측 둘레 그루브(521)의 피치가 제1 잠금 돌기(525) 및 제 2 잠금 돌기(527) 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이다.
골진 튜브(523)가 커넥터 커버(501)에 부착되면, 케이블 타이(513)는 반이 되는 위치에서 케이블 타이 삽입 구멍(517)을 통해 삽입되어, 튜브 삽입부(505)의 전체 바깥 둘레 주변에 감기는 대신, 내측에 이르게 된다. 즉, 케이블 타이(513)는 일 케이블 타이 삽입 구멍(517)을 통해 삽입되어, 다음 골진 튜브(523)의 외측 둘레 표면 주변에 감기고, 대향측에 위치한 케이블 타이 삽입 구멍(517)을 통해 삽입되고,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케이블 타이(513) 및 골진 튜브(523)는 충분히 긴 접촉부가 주어지고, 골진 튜브(523)는 튜브 삽입부(505)에 적절히 고정될 수 있다.
JP-A-2008-305612
그러나, 골진 튜브(523)를 튜브 삽입부(505)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케이블 타이(513)를 일 케이블 타이 삽입구멍(517)에 삽입하고, 골진 튜브(523) 외측 둘레 표면 주위에 감고, 대향측에 위치한 케이블 타이 삽입 구멍(517)으로 삽입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공정에서, 케이블 타이(513)를 골진 튜브(523)의 대향측에 위치한 케이블 타이 삽입 구멍(517)으로 삽입하기 위해, 케이블 타이(513) 끝이 대향측에 위치한 케이블 타이 삽입구멍(517)을 향하도록 케이블 타이(513)를 구부리면서 삽입공정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대향측에 위치한 케이블 타이 삽입구멍(517)으로 케이블 타이(513)를 삽입할 때, 작업자는 시각적으로 케이블 타이 삽입구멍(517)을 인식할 수 없는데 골진 튜브(523)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케이블 타이(513)를 케이블 타이 삽입구멍(517)으로 삽입하는 것이 어렵다는 또다른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부착 공정 효율성은 낮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를 고려하여 창출되었으며, 본 발명이 목적은 따라서 부착공정 효율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전선 보호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전선 보호 부재로서, 설치되는 전선을 둘러싸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가 되는 부분이며 골진 튜브의 단부가 고정되며, 전선은 골진 튜브에 삽입되는, 반원통형 골진 튜브 고정부; 골진 튜브 고정부로부터 내부로 돌출하여 골진 튜브 고정부의 방사방향으로 연장하고, 골진 튜브의 외측 둘레 그루브와 각각 결합하는 결합 융기 스트립; 단단하게 조여 골진 튜브를 골진 튜브 고정부의 내주면에 고정하는 매듭 부재; 및 골진 튜브 고정부의 2개의 외주단부 각각에 형성되고 매듭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매듭 부재 제한부를 포함하고, 매듭부재 제한부 각각은 매듭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매듭부재 삽입구멍 및 매듭부재의 끝을 매듭부재 삽입 구멍으로 안내하는 안내벽부를 갖는다.
상기 (1)의 구성을 갖는 전선 보호 부재에서, 단부가 골진 튜브 고정부에 위치하는 골진 튜브를 골진 튜브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해, 매듭 부재는, 각 매듭 부재 제한부에 형성되는 매듭 부재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된다. 둘레에 매듭 부재를 감는 것에 의해, 외주 그루브가 골진 튜브 고정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각 결합 융기 스트립과 결합하는 골진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매듭 부재는 골진 튜브 고정부의 외측으로부터 일 매듭 부재 삽입구멍으로 삽입되고, 외주면 둘레에 감기고, 골진 튜브의, 골진 튜브 고정부의 내주면 측상에서 노출되고, 대향측에 위치하는 매듭 부재 삽입구멍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골진 튜브는 고정되고 단단하게 조여진다. 상기 문제에 있어서, 매듭 부재의 끝을, 대응하는 외주단부를 통해 형성되는 대응하는 매듭 부재 삽입 구멍의 개구로 안내하기 위한 각각의 안내벽부가 매듭 부재 삽입 구멍 인근에 형성된다. 골진 튜브외측에서 일 매듭 부재 삽입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매듭 부재가 타 측에 위치한 매듭부재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면, 타측에 위치한 매듭부재 삽입구멍은 골진 튜브 고정부의 내주면의 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는데, 골진 튜브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업자는, 매듭부재의 끝부분을 가시적인 안내벽부를 따라 움직이게 함으로써 타측에 위치한 매듭부재 삽입 구멍을 통해 용이하게 매듭부재의 끝을 골진 튜브 고정부의 외측으로 가져올 수 있다.
(2) (1)의 구성을 따르는 전선 보호 부재에서, 매듭부재의 끝이 골진 튜브 고정부 외측에서 골진 튜브 고정부 내측으로 삽입될 때, 골진 튜브 고정부의 중심축을 향해 끝부분을 구부려서 매듭부재의 끝부분을 안내하는 테이퍼부를 안내벽부가 갖는다.
상기 (2)의 구성을 갖는 전선 보호 부재에서, 골진 튜브 고정부 외측에서 일 매듭부재 삽입 구멍으로 삽입되면(즉, 골진 튜브 고정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매듭 부재의 끝은 안내벽부를 따라 테이퍼부에 삽입된다. 삽입되는 매듭부재의 끝은 규정된 각도 θ를 가지고 테이퍼부에 대해 가압되고 따라서 골진 튜브 고정부의 중심축 측을 향해 규정된 각도 θ로 구부러진다(즉,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매듭 부재가 더 밀리면, 테이퍼부에 의해 안으로 구부러지고, 매듭 부재의 끝과 타측에 위치한 매듭부재 삽입 구멍간의 거리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삽입공정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이 이상 간략하게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이하의 실시예들을 정독함으로써 명백해지며,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선 커버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전선 커버가 부착되는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전선 도출 측에서 볼 때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상대 커넥터의 연결측에서 볼 때의 모습이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전선 커버의 골진 튜브 고정부의 수평 단면도로서, 안내벽부를 통해 통과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도면이다.
도 4a는 골진 튜브가 부착되는 전선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전선 커버의 정면도로서 전선 도출측으로부터 볼때의 도면이다.
도 5의 (a) 부분은 매듭 부재의 끝이 일 안내벽부의 테이퍼부를 가격하기 직전 발생하는 작업을 도시하고, 도 5의 (b) 부분은 테이퍼부에 의해 매듭부재의 끝부분이 구부러지는 작업을 도시하며, 도 5의 (c) 부분은 매듭부재의 끝이 타 측에 위치한 매듭부재 삽입 구멍에 접근하는 작업을 도시한다.
도 6은 전선 타이 부착 전 골진 튜브 고정부에 대한 확대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종래 전선 보호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전선 보호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8a는 도 7a에 도시된 전선 보호 부재에 골진 튜브가 고정되는 상태에서 튜브 삽입부의 확대도이다.
도 8b는 골진 튜브가 고정되는 도 7b에 도시된 전선 보호부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보호 부재는 전선 커버, 하네스 보호부 등으로 사용된다. 실시예는 전선 커버(11)인 예시적 전선 보호 부재를 기술한다. 전선 커버(11)는 예를 들어, 상대커넥터(미도시)로 삽입되는데 필요한 힘을 낮추는 레버(13)를 가지는 커넥터인 저삽입력 커넥터(15, 도 2a 및 2b 참조)에 적용된다.
도 2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삽입력 커넥터(15)에서, 복수의 단자(미도시)가 커넥터 하우징(17)에 수용된다. 전선(19)은 각 단자에 연결되고 상대 커넥터로 감합되거나 상대커넥터와 감합되는 측의 대향측에 위치한 하우징 후방부(21)로부터 도출된다. 커넥터 하우징(17)의 하우징 후방부(21)는 전선 커버(11) 잠금을 위한 커버 잠금 돌기(23)와 함께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 후방부(21)로부터 도출된 복수의 전선(19)은, 커넥터 감함 방향(도 2a에서 좌우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상태에서 전선 커버(11)로 덮힌다. 즉, 전선커버(11)는 L 형상을 띄도록 구부러지는 전선 하우징 경로를 형성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버(11)의 커버 본체(27, 본체)는, 전선(19)의 도출부(즉, 하우징 후방부(21)에 막 인접한 부분들)를 하우징하기 위한 전선 하우징부(25)와 전선 하우징부(25)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전선(19)의 부분들을 커버하기 위한 골진 튜브 고정부(29)를 갖는다. 골진 튜브 고정부(29)는 전선 하우징부(25)에 연속적이다. 즉, 커버 본체(27)는 일체부로서 반원통형의 골진 튜브 고정부(29)를 갖는다. 또한 전선(19)이 삽입되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다수 종류의 골진 튜브(31) 각각의 단부(도 4a 및 도 4b 참조)는 골진 튜브 고정부(29)로 고정될 수 있다.
골진 튜브 고정부(29) 내측에 위치한 다수의 전선(19)들은 골진 튜브(31)에서 함께 삽입된다. 즉, 다수의 전선(19)은 골진 튜브(31)에 의해 보호된다.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제 1 부터 제 3 까지의 골진 튜브(35,37,39) 각각은, 외주면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둘레 융기 스트립(31) 및 외주 그루브(33)(도 4a 및 도 4b 참조)로 형성되는 벨로스 형상을 띄고, 곡선을 이루면서 굴곡 변형을 겪을 수 있도록 가요성있게 형성된다. 전선의 도출부(19, 하우징 후방부(21)에 인접함)가 골진 튜브(31)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전선 도출부(19)는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된다.
제 1 제한벽(37) 및 제 2 제한벽(39)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주면으로부터 모차챙처럼 돌출한다. 제1 제한벽(37) 및 제2 제한벽(39) 사이에서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주면부는 전선 타이 접촉부(41)로 역할한다. 즉, 제 1 제한벽(37) 및 제 2 제한벽(39)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주면에 대해 전선 타이(43, 매듭부재, 도 4a 및 도 4b 참조)의 매듭 위치를 제한한다. 제 1 제한벽(37) 또는 제 2 제한벽(39)에 의해 제한되는 전선 타이(43)는,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에 골진 튜브(31)를 고정, 즉 강하게 조여 고정한다.
반원통형 결합 융기 스트립(45)의 쌍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서로 평행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고 골진 튜브(31)의 외주 그루브(35)와 결합한다. 그 결과, 반원형 결합 융기 스트립(45)과 결합하는 골진 튜브(31)가 잠기게 되고 축방향에서 이동하지 못한다.
반원통형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두 개의 외주단부(47)에는, 전선 타이(43)의 위치를 결정하는 매듭부재 제한부(49)가 각각 제공된다. 매듭 부재 제한부(49) 각각은 전선 타이(43)가 삽입되는 매듭부재 삽입구멍(51)과 전선 타이(43)의 끝을 전선 타이 삽입구멍(5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부를 갖는다. 전선 커버(11)는, 골진 튜브(31)의 상이한 직경에 각각 대응하는 상이한 전선 타이 삽입 위치를 가지는 타 매듭 부재 삽입 구멍(57,59)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필수요소가 아닌 타 매듭부재 삽입 구멍(57,59)에 대한 기술은 생략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선 타이 삽입 구멍(51)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대응하는 외주단부(47)의 벽부를 통해 천공되어 제 1 골진 튜브(31)의 접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골진 튜브 고정부(29)는 도 3에서 바닥측 상에서 개방된 반원통형 형상을 띈다. 두 개의(즉, 한 쌍의) 외주단부(47)는 서로 대향하도록 반원통형 형상의 접선 방향에서 대략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 측으로 천공되어 두 개의 외주 단부(47)의 연장방향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각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은 두 개의 외주 단부(47)의 연장방향에서 규정된 길이를 가진다. 외주측에서, 매듭부재 삽입 구멍(51)은 전선 타이 접촉부(41)에서 개방되어 경사진 개구(61)를 형성한다. 내주측에서,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은 대응하는 외주 단부(47)의 벽부 두께에서 감소 결과로 개방된다. 대응하는 외주 단부(47)의 내면은,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 부분을 정의하는, 관련 안내벽부(55)이다. 매듭부재 삽입구멍(51)의 각 부분을 정의하고 안내벽부(55)와 대면하는 면들은 평행한 구멍 표면(63)들의 한 쌍이다.
또한, 좌우 안내벽부(55) 각각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측에서 규정된 각도 θ를 가지는 테이퍼부(65)를 가지고 형성된다. 전선 타이(43)의 끝(53)이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면, 테이퍼부(65)는 전선 타이(43)의 끝을 안내하여 끝부분이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중심축측을 향해 구부러진다(도 5의 (b)부분 참조).
테이퍼부(65)는, 전선 타이(43)의 끝부분을 안내하여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중심축 측을 향해 구부러지게 할 뿐만 아니라(상기된 바와 같이) 전선 타이(43)의 끝부분을 안내하여 끝(53)이 측면으로부터 안내벽부(55)를 가격할 때 평행한 구멍 표면(63)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해 일 안내벽부(55)를 따라 움직이게 한다(도 3 참조).
돌기부(67)는 두 개의 외주단부(47) 각각으로부터 방사방향에서 밖을 향해 돌출한다. 매듭 부재 삽입 구멍(57,59)은 각 돌기부(67)를 통해 천공되어 골진 튜브(31)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구성의 전선 커버(11)의 동작에 관해 기술한다.
골진 튜브(31)를 전선 커버(11)에 고정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진 튜브(31)의 단부가 골진 튜브 고정부(29)에 결합 융기 스트립(45)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도 1a 및 도 1b 참조).
이어서, 도 5의 (a) 내지 (c)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타이(47)의 끝(53)은 일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도 5의 (a) 부분, 좌측)으로 삽입되고, 골진 튜브(31)의 외주면 주변에 감기고, 대향측에 위치한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삽입되고, 전선 타이 접촉부(41)주변에 감기고(도 1a 및 도 1b참조), 전선 타이(43)의 버클(71)(도 4a 및 도 4b참조)로 삽입된다. 따라서, 골진 튜브(31)는 골진 튜브 고정부(29)로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커버(11)에서, 골진 튜브 고정부(29)로, 단부가 골진 튜브 고정부(29)에 위치하는 골진 튜브(31)를 고정하기 위해, 전선 타이(43)가 매듭 부재 제한부(49)에 형성되는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된다.
전선 타이(43)를 둘레에 감아서, 외주그루브(35)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 융기 스트립(45) 각각과 결합하는 골진 튜브(31)를 고정하기 위해, 전선 타이(43)는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측으로부터 일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삽입되고,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 측면에서 노출되어, 골진 튜브의, 외주면 둘레에 감기고, 대향측에 위치하는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골진 튜브(31)는 고정되고, 즉, 단단하게 조여진다.
더 구체적으로, 도 5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측으로부터 일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삽입되면(즉,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전선 타이(43)의 끝(53)은 안내벽부(55)를 따라 테이퍼부(65)로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된 전선 타이(43)의 끝부분은 기설정된 각도 θ를 갖는 테이퍼부(65)를 향해 가압되고 따라서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중심축 측으로 도 5의 (b)부분에 도시된 방식으로 기설정된 각도 θ로 구부러진다(즉, 안으로 구부러진다). 전선 타이(43)가 더 가압되면, 도 5의 (c) 부분에 도시된 방식으로 테이퍼부(65)에 의해 안으로 구부러지고, 전선 타이(43)의 끝과 타측에 위치한 매듭 부재 삽입구멍(51)간의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삽입 공정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전선 타이(43)의 끝(53)을, 대응하는 외주 단부(47)를 통해 형성되는 대응하는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의 개구로 안내하기 위한 각각의 안내벽부(55)는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골진 튜브(31) 외측에서 일 매듭 부재 삽입구멍(51)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 타이(43)가 타측에 위치한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삽입되면, 타측에 위치한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은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측에서 보이지 않는데, 골진 튜브(31)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타이(43)의 끝부분이 가시적인 안내벽부(55)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작업자는 타측에 위치한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을 통해 전선 타이(43)의 끝(53)을 쉽게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외측으로 가져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커버(11)는 골진 튜브 고정부(29)에서 골진 튜브(31)의 단부를 위치시키고, 고정시키는, 즉, 골진 튜브(31)를 골진 튜브 고정부(29)에 단단이 조여 고정하는데 있어서 부착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상기 전선 보호 부재의 특징들은 이하 간략하게 요약될 것이다.
[1] 전선 보호 부재(전선 커버,11)로서, 설치되는 전선(19)을 둘러싸는 본체(커버 본체, 27); 본체(커버 본체, 27)의 일체부이며 골진 튜브(31)의 단부가 고정되는 반원통형 골진 튜브 고정부(29)로서, 전선(19)은 골진 튜브에 삽입되는, 반원통형 골진 튜브 고정부; 골진 튜브 고정부(29)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골진 튜브 고정부의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며 골진 튜브(31)의 외주 그루브(35) 각각과 결합하는 결합 융기 스트립(45); 단단하게 조여서 골진 튜브(31)를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내주면에 고정하는 매듭 부재(전선 타이, 43); 및 골진 튜브 고정부(29)의 두개의 외주 단부(47) 각각에서 형성되고 매듭 부재(전선 타이, 43)의 위치를 결정하는 매듭 부재 제한부(49)를 포함하고, 매듭 부재 제한부(49) 각각은 매듭 부재(전선 타이, 43)가 삽입되는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과 매듭 부재(전선 타이, 43)의 끝을 매듭 부재 삽입 구멍(51)으로 안내하는 안내벽부(55)를 가진다.
[2] 문단 [1]의 구성을 따르는 전선 보호 부재(전선 커버, 11)로서, 안내벽부는, 매듭 부재의 끝이 골진 튜브 고정부 외측에서 골진 튜브 고정부 내측으로 삽입될 때 골진 튜브 고정부의 중심축을 향해 끝부분을 구부림으로써 매듭 부재의 끝부분을 안내하는 테이퍼부를 갖는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선 보호 부재는 상기 실시예를 따르는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개선등이 적절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각 구성 요소의 재료, 형상, 치수, 개수(다수개가 제공되는 경우), 위치등은 선택적이고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록 상기 실시예가 예시적 전선 보호부재로서 전선 커버(11)를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골진 튜브 고정부를 가지는 전기 접속 박스 및 하네스 보호기와 같은 다양한 전선 보호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가 예시적 전선 보호 부재로서 전선 커버(11)를 기술하지만, 본 발명이 골진 튜브 고정부를 가지는 전기 접속 박스 및 하네스 보호기와 같은 다양한 전선 보호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12년 7월 25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2-165184에 기초하며, 그 개시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선 보호 부재는 부착 공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11 : 전선 커버(전선 보호 부재)
19 : 전선
27 : 커버 본체(본체)
29 : 골진 튜브 고정부
31 : 골진 튜브
35 : 외주 그루브
43 : 전선 타이(매듭 부재)
45 : 결합 융기 스트립
47 : 두 개의 외주 단부
49 : 매듭 부재 제한부
51 : 매듭 부재 삽입 구멍
53 : 매듭 부재의 끝
55 : 안내벽부
65 : 테이퍼부

Claims (2)

  1. 전선 보호 부재로서,
    설치되는 전선을 둘러싸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가 되는 부분이며 골진 튜브의 단부가 고정되는 반원통형 골진 튜브 고정부로서, 전선이 골진 튜브에 삽입되는, 반원통형 골진 튜브 고정부 ;
    골진 튜브 고정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골진 튜브 고정부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골진 튜브의 외주 그루브 각각과 결합하는 결합 융기 스트립;
    단단하게 조여서 골진 튜브 고정부의 내주면에 골진 튜브를 고정하는 매듭 부재; 및
    골진 튜브 고정부의 2개의 외주 단부 각각에 형성되고 매듭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매듭 부재 제한부를 포함하고,
    매듭 부재 제한부 각각은 매듭 부재가 삽입되는 매듭 부재 삽입구멍 및 매듭 부재의 끝을 매듭 부재 삽입구멍으로 안내하는 안내벽부를 가지는,
    전선 보호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벽부는, 매듭 부재의 끝이 골진 튜브 고정부의 외측에서 골진 튜브 고정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골진 튜브 고정부의 중심축을 향해 끝부분을 구부려서 매듭 부재의 끝부분을 안내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전선 보호 부재.
KR1020157002144A 2012-07-25 2013-07-24 전선 보호 부재 KR201500244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5184 2012-07-25
JP2012165184A JP5934595B2 (ja) 2012-07-25 2012-07-25 電線保護部材
PCT/JP2013/070070 WO2014017547A1 (ja) 2012-07-25 2013-07-24 電線保護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430A true KR20150024430A (ko) 2015-03-06

Family

ID=4999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144A KR20150024430A (ko) 2012-07-25 2013-07-24 전선 보호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5278B2 (ko)
JP (1) JP5934595B2 (ko)
KR (1) KR20150024430A (ko)
CN (1) CN104508914B (ko)
DE (1) DE112013003658B4 (ko)
GB (1) GB2518076B (ko)
WO (1) WO2014017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9421A (ja) * 2015-09-17 2017-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
JP2017059428A (ja) * 2015-09-17 2017-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
EP3376606B1 (en) * 2017-03-17 2021-05-0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able harness plug
JP6959036B2 (ja) * 2017-06-01 202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10211562B2 (en) 2017-06-01 2019-02-1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7183871B2 (ja) * 2019-03-05 2022-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950B2 (ja) 1995-06-05 2001-05-08 弘 船越 ケーブル架台
JP3156626B2 (ja) 1997-03-11 2001-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6162085A (en) * 1999-08-19 2000-12-19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jumper cable
JP3954802B2 (ja) * 2000-04-11 2007-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JP3783847B2 (ja) 2001-05-15 2006-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
JP3678171B2 (ja) * 2001-05-29 2005-08-0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へ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外装構造
US6826837B2 (en) * 2001-09-06 2004-12-07 William M. Todd Vented sleeve for power cords
JP4089468B2 (ja) * 2003-03-03 2008-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42654B2 (ja) * 2003-07-28 2008-02-06 サクサ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ケーブルの取付構造
JP2005151676A (ja) * 2003-11-14 2005-06-0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センサハーネスの固定構造
JP4146473B2 (ja) * 2006-02-23 2008-09-10 株式会社東芝 ケーブル結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470932B2 (ja) * 2006-09-28 2010-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
JP4904131B2 (ja) * 2006-11-20 2012-03-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8062865A1 (fr) * 2006-11-24 2008-05-29 Aisin Aw Co., Ltd. Unité de commande pour transmission automatique et transmission automatique avec unité de commande
JP4682167B2 (ja) * 2007-03-19 2011-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結束バンドの装着構造
JP5075488B2 (ja) * 2007-06-06 2012-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92095B2 (en) * 2007-08-21 2010-04-06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lead-out structure of protector
JP5140414B2 (ja) * 2007-12-28 2013-02-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クランプ
US8944474B2 (en) * 2008-12-25 2015-02-03 Yazaki Corporation Holder
JP5722565B2 (ja) * 2010-07-28 2015-05-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ワイヤカバー、電線の配線方法、電気コネクタ
JP2012165184A (ja) 2011-02-07 2012-08-30 Nikon Corp 画像管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778574B2 (ja) * 2011-12-27 2015-09-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5947648B2 (ja) * 2012-07-25 2016-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護部材の水抜き構造
JP5898013B2 (ja) * 2012-07-25 2016-04-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護部材
JP5933380B2 (ja) * 2012-07-25 2016-06-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45356B2 (ja) * 2013-08-07 2017-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護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5278B2 (en) 2016-12-20
JP2014026792A (ja) 2014-02-06
WO2014017547A1 (ja) 2014-01-30
US20150136477A1 (en) 2015-05-21
JP5934595B2 (ja) 2016-06-15
DE112013003658T5 (de) 2015-04-16
CN104508914B (zh) 2017-06-13
GB2518076B (en) 2017-09-06
GB2518076A (en) 2015-03-11
GB201420583D0 (en) 2014-12-31
DE112013003658B4 (de) 2021-09-09
CN104508914A (zh)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430A (ko) 전선 보호 부재
JP650801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電線保護部材及び電線ホルダ
US9412494B2 (en) 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JP5720362B2 (ja) 仕切り付きシールドパイプ
US7371114B2 (en) Resilient plug and a watertight connector
US898604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shield braided part
US20150144378A1 (en) Grommet
JP6646874B2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2590271A1 (en) Connector with a wire cov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6337491B2 (ja) コネクタ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CN108631110B (zh) 电缆线束插头
JP6764899B2 (ja) コネクタ
US9281611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wire retainer tube
JP6287701B2 (ja) プロテクタ及び電線モジュール
JP5833940B2 (ja) 電線カバー
EP2602889A2 (en) Wire fixing member and wire fixing method
JP439238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070467B2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5659196B2 (ja) 電気接続箱
WO2022059358A1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22168881A1 (ja) コネクタ
JP5934500B2 (ja) 電線カバー
JP2021118644A (ja) ハーネス部品
JP201407846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