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912A - 차량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912A
KR20150022912A KR1020147036643A KR20147036643A KR20150022912A KR 20150022912 A KR20150022912 A KR 20150022912A KR 1020147036643 A KR1020147036643 A KR 1020147036643A KR 20147036643 A KR20147036643 A KR 20147036643A KR 20150022912 A KR20150022912 A KR 2015002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portable communication
operation state
output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972B1 (ko
Inventor
데츠오 이토
겐이치로 산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02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통신 장치는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확립하는 통신 회선 확립 장치(21)와,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장치(23)와,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조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타이밍으로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장치(24)와, 상기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송신 장치(2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통신 장치{VEHICLE COMMUNICATION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개시는 2012년 9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2―216778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주차 중인 차량의 창 개폐 상태, 등화 상태, 도어 시정 상태 등의 실제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기준 상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그 취지를 나타낸 정보를 데이터 중계국을 통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휴대 단말을 소지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차량의 창이나 도어 등의 조작 망각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데이터 중계국을 통한 휴대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따라서, 통신 비용이 비싸진다는 과제를 갖는다. 또,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에 탑재하는 통신 장치 자체가 고가이고, 나아가서는, 데이터 통신국을 통한 시스템 전체로서도 대규모이고 고가이었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을 무선의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데이터 중계국을 통한 휴대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아도 차량의 장비품(차량 장비)의 조작 망각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저가의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차량용 통신 장치와 휴대 통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훨씬 짧아져서, 사용자가 차량의 차실내에 존재하고 있을 때나 차량의 근처에 존재하고 있을 때이어도 휴대 통신 단말에 정보가 송신되어 버린다는 불합리나 또는 주변 환경에 의해 무선 통신의 전파 영역이 변동하는 등으로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차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차량의 근처에 존재하면서도 의도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시정하지 않는 것을 상정하면, 이와 같은 경우에, 도어의 시정 조작의 조작 망각이 통지되어 버리는 것은 사용하기 불편하다. 또, 반대로, 사용자가 조작 망각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조작 망각이 통지되지 않는 것도 역시 사용하기 불편하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6―33777호 공보(US 공개 공보 2005/0283286에 대응)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망각이나 조작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적절한 타이밍으로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장비품의 조작 망각이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통신 장치는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확립하는 통신 회선 확립 장치와, 상기 통신 회선 확립 장치에 의하여 상기 통신 회선이 확립된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조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타이밍으로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장치와, 상기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장치가 생성한 상기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송신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의 차량용 통신 장치는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휴대 통신 단말은, 그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타이밍, 즉, “휴대 통신 단말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에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다.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이 조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하는 타이밍, 즉,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망각(조작 상태)을 통지하는 타이밍을 “휴대 통신 단말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즉, 휴대 통신 단말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적당히 이격되었을 때에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으로 사용자에게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통지된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장비품의 조작 망각을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해서의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잇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용 통신 장치의 구성 및 휴대 통신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고,
[도 2] 도 2는 상관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도 3은 차량 주변에 있어서 전파 강도 분포선, 최적 통지 영역, 허용 통지 영역 및 한계 영역의 일례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도 4는 장비품의 조작 상태의 일례를 출력하는 휴대 통신 단말의 정면도이고,
[도 5] 도 5는 상관 데이터가 보정되지 않는 경우의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 도 6은 ACC스위치 및 도어 록 액추에이터의 동작 상태와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하는 타이밍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타임 챠트이고,
[도 7] 도 7은 상관 데이터의 임계값을 보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8] 도 8(a)는 상관 데이터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경우의, 보정 전의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b)는 보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 도 9는 상관 데이터가 보정되는 경우의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 도 10은 새로운 출력 타이밍을 보정하는 경우의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 도 11은 전파 강도가 불안정하게 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 도 12는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는 경우의 임계값과 자동적으로 절단되는 경우의 임계값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차량용 통신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통신 장치(10)(이하, “통신 장치(10)”라 부른다)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나 단독의 전용 제어 기기로 구성된다. 통신 장치(10)는 예를 들면, 차량의 차실내에 운반된 휴대 통신 단말(30) 등, 해당 통신 장치(10)의 근처에 존재하는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확립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은 상호 통신할 수 있게 접속된다.
통신 장치(10)는 제어부(11), 무선 통신 모듈(12), 기억부(13), 위치 검출부(14), 계시부(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1)는 도시하지 않는 CPU, RAM, ROM 및 I/O버스 등을 갖는 주지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는 ROM 또는 기억부(13) 등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통신 장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11)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처리부(23),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이하,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라 부른다),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송신 처리부(25)(이하, “지정 정보 송신 처리부(25)”라 부른다), 휴대 통신 단말 이간 검지 처리부(26)(이하, “이간 검지 처리부(26)”라 부른다), 상관 데이터 보정 처리부(27)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가상적으로 실현한다. 또한, 이들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처리부(23),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 지정 정보 송신 처리부(25), 이간 검지 처리부(26), 상관 데이터 보정 처리부(27)는 제어부(11)와 일체의 하드웨어로서 실현해도 좋다.
무선 통신 모듈(12)은 휴대 통신 단말(30)이 구비하는 무선 통신 모듈(32)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 그 통신 회선을 통하여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서 각종 통신을 실시한다. 기억부(13)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메모리 카드,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이 경우, 기억부(13)는 적어도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조작 상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구비한다. 또, 기억부(13)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상관 데이터(RD)가 저장되어 있다.
이 상관 데이터(RD)는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거리와,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즉, 전파 강도는 거리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또한,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거리는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격되고, 또한, 그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평균적인 이동 속도(V)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나서 경과한 시간(경과 시간)으로 환산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14)는 도시하지 않는 주지의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차속 센서, GPS수신기 등의 각종 센서류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부(14)는 이들 센서류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를 서로 보완함으로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검출부(14)는 취득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11)에 출력한다. 제어부(11)는 위치 검출부(14)에서 취득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도시하지 않는 경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안내 경로 등에 기초하여 이른바 내비게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계시부(15)는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계시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계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계시부(15)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제어부(11)가 검지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계시부(15)는 각 장비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되고나서의 경과 시간도 계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계시부(15)는 예를 들면, 「ACC스위치(221)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고, 또한, 도어 록 액추에이터(222)가 “도어를 해정한 상태”에서 “도어를 시정한 상태”로 천이하고나서의 경과 시간」, 「ACC스위치(227)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고, 또한, 도어 개폐 스위치(227)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고나서의 경과 시간」 등, 여러 가지 경과 시간을 계시한다. 이와 같이, 계시부(15)는 복수의 경과 시간을 병렬적으로 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는 통신 회선 확립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하여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을 확립하는 통신 회선 확립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는, 이 통신 회선 확립 처리를 예를 들면, 수초 정도의 짧은 주기로 반복 실행하고 있으며, 통신 장치(10)의 근처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을 자동적으로 확립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는 도 3에 부호 a로 나타낸 전파 강도 분포선보다도 내측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전파 강도 분포선(a)은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S)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장비품(차량 장비)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10)에는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전원 회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ACC스위치(221)(액세서리 스위치), 차량의 도어의 시정/해정을 제어하는 도어 록 액추에이터(222), 차량의 파워 윈도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 액추에이터(223), 차량의 해저드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해저드 램프 액추에이터(224), 차실내의 차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차내등 액추에이터(225), 엔진 스타터의 키 삽입구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온하는 키 검출 스위치(226),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가 열림 상태인 때에 온하고 닫힘 상태인 때에 오프하는 도어 개폐 스위치(227) 등의 각종 구동 장치나 스위치류가 차내 LAN이나 차량 하니스(harness) 등, 이른바 직결선(direct lines)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는 이들의 구동 장치나 스위치류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특정하고, 특정한 조작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어 록 액추에이터(222)의 동작 상태가 “도어를 해정한 상태”이면, 차량의 장비품인 도어의 조작 상태로서 “해정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도어를 시정한 상태”이면, 도어의 조작 상태로서 “시정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또, 예를 들면, 키 검출 스위치(226)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이면, 차량의 장비품인 엔진 스타터의 조작 상태로서, 키가 삽입구에 삽입된 “키 유지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오프 상태”이면, 엔진 스타터의 조작 상태로서, 키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키의 비 유지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지만, 다른 장비품(도시하지 않는 장비품도 포함한다)에 대해서도,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는 각 액추에이터의 동작 상태나 스위치류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각종 장비품의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는 예를 들면, 수초 정도의 짧은 주기로 각종 장비품의 조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그리고 조작 상태 정보 생성 처리부(22)는 생성한 조작 상태 정보를 기억부(13)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기억부(13)에는 항상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가 저장된다.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처리부(23)는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고,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에 의하여 통신 회선이 확립된 휴대 통신 단말(30)에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하여 조작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이 경우,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처리부(23)는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한, 예를 들면, 수초 정도의 짧은 주기로, 또는 기억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상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시점에서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상태 정보, 즉,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한다. 또한,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처리부(23)는 기억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상태 정보는 아니고, 제어부(11)의 ROM이나 RAM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조작 상태 정보, 즉, 기억부(13)에 저장되기 전의 조작 상태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고, 휴대 통신 단말(30)이 통신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조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타이밍, 환언하면,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사용자에 대하여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타이밍을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출력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은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이간 검지 처리부(26)에 의하여 검지된다.
지정 정보 송신 처리부(25)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송신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고,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한,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가 생성한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적절한 송신 타이밍으로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하여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한다.
이간 검지 처리부(26)는 검지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고,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처리부로서 실현되어 있다. 이 이간 검지 처리부(26)는 기본적으로는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확립된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상관 데이터(RD)에 기초하여 통신 회선을 강제적으로 절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것에 동반하여,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모듈(12)과 무선 통신 모듈(32)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S)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값(K)보다도 짧아졌을 때에 통신 회선을 강제적으로 절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임계값(K)은 과거에 얻어진 평가 시험의 데이터 등을 해석한 해석 결과, 과거에 통신 장치(10)가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서 실시한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데이터 등을 해석한 해석 결과 등에 기초하여 설정하면 좋다.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가 생성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는 출력 타이밍으로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지정하는 것인데,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은 통신 장치(10)에서 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휴대 통신 단말(30)은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그래서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가 기본적으로는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었을 때”인 것을 나타낸 부가 정보를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에 첨부한다. 또한, 지정 정보 생성 처리부(24)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가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었을 때”인 것을 나타낸 부가 정보를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에 첨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된다는 것은,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통신 회선이 확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전파 강도가 확립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신 장치(10) 또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적극적으로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10) 및 휴대 통신 단말(30)은 충분한 전파 강도가 확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경우에는,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었다고 판단한다. 한편,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된다는 것은,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통신 회선이 확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전파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되고,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통신 회선을 계속해서 확립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10) 및 휴대 통신 단말(30)은 전파 강도가 서서히 약해져서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경우에는,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 이간 검지 처리부(26)는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 차량의 위치, 환언하면, 통신 장치(10)의 위치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위치 사이의 실제 거리, 차량의 장비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되고나서의 경과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관 데이터 보정 처리부(27)는 기억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상관 데이터(RD)를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보정한다.
다음으로, 휴대 통신 단말(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통신 단말(30)은 제어부(31), 무선 통신 모듈(32), 기억부(33), 표시 출력부(34), 위치 검출부(3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1)는 도시하지 않는 CPU, RAM, ROM 및 I/O 버스 등을 갖는 주지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1)는 ROM 또는 기억부(33) 등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32)은 통신 장치(10)의 무선 통신 모듈(12)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 그 통신 회선을 통하여 통신 장치(10)와의 사이에서 각종 통신을 실시한다. 기억부(33)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이 경우, 기억부(33)는 적어도 통신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조작 상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 및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구비한다.
통신 장치(10)로부터는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한, 예를 들면, 수초 정도의 짧은 주기로, 또는 조작 상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가 송신된다. 제어부(31)는 무선 통신 모듈(32)을 통하여 조작 상태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상태 정보를 재기록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에서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한, 기억부(33)에는 항상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가 저장된다.
또, 통신 장치(10)로부터는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출력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또한, 그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보정된 경우에는, 그 보정된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송신된다. 제어부(31)는 무선 통신 모듈(32)을 통하여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재기록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에서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한, 기억부(33)에는 항상 최신의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저장된다.
표시 출력부(34)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기나 유기 EL표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31)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 출력부(34)의 화면에는 주지의 감압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또는 그들을 조합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터치 패널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 표시 출력부(34)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억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이 표시 출력부(34)에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표시되는 타이밍은 기억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다. 이 경우,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출력 타이밍으로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지정하고 있으며, 또한, 이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었을 때”인 것이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 출력부(34)는 기본적으로는 통신 장치(10)와의 사이의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었을 때에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표시한다.
위치 검출부(35)는 도시하지 않는 주지의 GPS수신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부(35)는 이들 GPS수신기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통신 단말(3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해서 제어부(31)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통신 장치(10) 및 휴대 통신 단말(30)에 의한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은 제어부(11) 및 제어부(31)가 주체로서 실행하는 것인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장치(10) 및 휴대 통신 단말(30)을 동작의 주체로서 설명한다.
(상관 데이터(RD)가 보정되지 않는 경우의 제어의 일례)
이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단계 A1), 조작 상태 정보의 송신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A2). 통신 장치(10)는 조작 상태 정보의 송신 처리를 개시하면,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의 송신을 반복한다. 한편, 휴대 통신 단말(30)은 통신 장치(10)로부터 조작 상태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한 조작 상태 정보를 기억부(33)에 저장하는 것과 함께, 조작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것을 나타낸 응답 신호를 통신 장치(10)에 송신한다.
또,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단계 A1),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의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A3). 이 경우, 휴대 통신 단말(30)에는 출력 타이밍인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로서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었을 때”를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송신된다. 또한,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의 송신 처리는 통신 회선이 확립되고나서 해당 통신 회선이 절단될 때까지의 사이에 실행하면 좋지만, 통신 회선이 절단될 때를 미리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통신 회선의 확립 후 가능한 빠른 타이밍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의 통신 회선이 절단될 때까지 휴대 통신 단말(30)에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를 반복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면(단계 A4), 휴대 통신 단말(30)은 기억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출력 타이밍, 즉, 이 예에서는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된 타이밍으로 기억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다(단계 A5). 이 경우, 휴대 통신 단말(30)은 기본적으로는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표시 출력부(34)를 통하여 표시에 의해 출력하는데, 휴대 통신 단말(30)이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에 의해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해도 좋다. 또, 휴대 통신 단말(30)은 휴대 통신 단말(30)이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하여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 것을 진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해도 좋다. 또, 휴대 통신 단말(30)은 휴대 통신 단말(30)이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램프나 LED를 구동하여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 것을 점등, 점멸 등의 빛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통신 장치(10)는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S)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값(K)보다도 낮아졌을 때에 통신 회선을 강제적으로 절단한다. 따라서, 이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파 강도(S)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졌을 때, 즉,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거리가 D1으로 되었을 때에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통지된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30)이 도 3에 나타낸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존재하는 상태로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임계값(K)을 적절히 조정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관 데이터(RD)가 보정되는 경우의 제어의 일례)
도 3에 있어서 전파 강도 분포선(a)이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주변에 있어서,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S)의 분포는 장비품의 조작 상태의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반드시 수납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예를 들면, P1, P2로 나타낸 영역(R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통신 회선이 절단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순히 통신 회선이 절단된 타이밍으로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하는 설정에서는 최적 통지 영역(R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통신 회선이 절단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해 버린다. 그 때문에,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으로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것에 추가하여, 또는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으로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것에 대신하여, 더욱 정밀하게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전파 강도(S)의 분포를 나타낸 전파 강도 분포선(a)보다도 내측의 영역은 통신 회선의 확립이 유지되는 영역이고, 전파 강도 분포선(a)보다도 외측의 영역은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는 영역이다. 또한, 이 전파 분포선을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는 경계선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장비품의 조작 상태는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고나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적 통지 영역(R1)은 ACC스위치(221)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고, 또한 도어 개폐 스위치(227)가 “온 상태”, 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오프 상태”, 즉, 도어가 “닫힌 상태”로 천이한 후에 있어서, 사전에 결정된 시간(t1)이 경과하고, 또한 사전에 결정된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상정되는 영역을 설정하면 좋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는 ACC스위치(221)가 오프하고, 또한 도어가 일단 열리고, 그 후에 닫힌 것(도어가 개폐된 것)으로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사전에 결정된 시간(t1)은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평균적인 이동 속도(V)로 이동한 경우에, 그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낸 최적 통지 영역(R1)에 도달하기까지에 요하는 추정 시간을 나타낸 것이며, 이하, 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t1)을 “최적 최소 시간(t1)”이라 부른다.
또, 사전에 결정된 시간(t2)은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평균적인 이동 속도(V)로 이동한 경우에, 그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낸 최적 통지 영역(R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오고, 또한 그 바깥쪽의 허용 통지 영역(R2)에 도달하기까지에 요하는 추정 시간을 나타낸 것이며, 이하, 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t2)을 “최적 최대 시간(t2)”이라 부른다.
또, 사전에 결정된 시간(t3)은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평균적인 이동 속도(V)로 이동한 경우에, 그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낸 허용 통지 영역(R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오고, 또한 그 바깥쪽의 한계 영역(R3)에 도달하기까지에 요하는 추정 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이하, 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t3)을 “한계 시간(t3)”이라 부른다.
또한, 허용 통지 영역(R2)과 한계 영역(R3)의 경계선(b)은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출력 타이밍의 보정 처리에 있어서, 출력 타이밍에 보정 시간을 가산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한계의 라인을 나타낸다. 즉, 경계선(b)보다도 내측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존재하는 것이면, 출력 타이밍에 보정 시간을 가산하는 것이 유효하고, 경계선(b)보다도 외측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존재하는 것이면, 출력 타이밍에 보정 시간을 가산하는 것이 거의 또는 전혀 유효하지 않다.
다음으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다시 정밀하게 검지하기 위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7에 나타낸 보정 처리는 전파 강도가 통상의 전파 강도와 다른 경우이어도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서 통신 회선을 강제적으로 절단하여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보정 처리이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전파 강도(s1)가 도 2에 나타낸 통상의 전파 강도(S)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그 전파 강도(s1)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지는 거리(D2)는 도 2에 나타낸 거리(D1)보다도 짧아지고, 따라서, 최적 통지 영역(R1)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통지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어부(11)는 전파 강도(s1)가 임계값보다도 낮아지는 거리가 거리(D1)에 일치 또는 근사하도록 임계값(K)을 임계값(K1)으로 보정한다. 이에 따라, 전파 강도가 통상보다도 낮아진 경우이어도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거리가 D1에 일치 또는 근사했을 때에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게 되고,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전파 강도(s2)가 도 2에 나타낸 전파 강도(S)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그 전파 강도(s2)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지는 거리(D3)는 도 2에 나타낸 거리(D1)보다도 길어지고, 따라서, 최적 통지 영역(R1)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통지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어부(11)는 전파 강도(s2)가 임계값보다도 낮아지는 거리가 거리(D1)에 일치 또는 근사하도록 임계값(K)을 임계값(K2)으로 보정한다. 이에 따라, 전파 강도가 통상보다도 높아진 경우이어도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거리가 D1에 일치 또는 근사했을 때에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게 되고,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또, 도 8(a)와 8(b)에 나타낸 보정 처리는 도 7에 나타낸 거리축을 시간축으로 환산할 수 있는 것에 착안한 보정 처리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상관 데이터(RD)의 거리축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의 평균적인 이동 속도(V)에 기초하여 시간축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산된 시간축은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낸 전파 강도(s1)가 도 2에 나타낸 통상의 전파 강도(S)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그 전파 강도(s1)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지는 시간(T2)은 통상의 전파 강도(S)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지는 시간(T1)보다도 짧아지고, 따라서, 최적 통지 영역(R1)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통지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경우,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이 T1이 되었을 때에 통신 회선을 강제적으로 절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시간(T2)이 시간(T1)에 일치 또는 근사하도록 시간축의 스케일을 신장하도록 보정한다. 이에 따라, 전파 강도가 통상보다도 낮아진 경우이어도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이 통상 시에 상정되는 시간(T1)에 일치 또는 근사할 때에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게 되고,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파 강도가 도 2에 나타낸 통상의 전파 강도(S)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그 전파 강도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지는 시간은 통상의 전파 강도(S)가 임계값(K)보다도 낮아지는 시간(T1)보다도 길어지고, 따라서, 최적 통지 영역(R1)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통지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어부(11)는 통상의 시간(T1)보다도 길어지는 시간이 시간(T1)에 일치 또는 근사하도록 시간축의 스케일을 압축하도록 보정한다. 이에 따라, 전파 강도가 통상보다도 높아진 경우이어도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이 통상 시에 상정되는 시간(T1)에 일치 또는 근사할 때에 통신 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게 되고,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하여 상관 데이터(RD)가 보정되는 경우의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을 확립하고(단계 B1), 조작 상태 정보의 송신 처리를 개시하고(단계 B2),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면(단계 B3), 상관 데이터(RD)가 보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0)는 상관 데이터(RD)가 보정된 경우에, 그 보정 후의 상관 데이터(RD)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임계값 이하로 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B4), 그 시점을 출력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새로이 생성하여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한다(단계 B5). 이에 따라, 이미 휴대 통신 단말(30)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로 보정된다. 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수신한 휴대 통신 단말(30)은 이미 기억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는 아니고, 새로이 수신한 보정 후의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즉시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다(단계 B6).
또한,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새로이 생성한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새로운 출력 타이밍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새로운 출력 타이밍을 보정하는 경우의 제어예를 나타낸다.
즉, 통신 장치(10)는 ACC스위치(221)가 오프되고, 또한 도어가 개폐되면(단계 C1: YES), 계시부(15)에 의한 계시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C2). 즉, 계시부(15)는 ACC스위치(221)가 오프되고, 또한 도어가 개폐되고나서의 경과 시간(T)을 계시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는 ACC스위치(221)가 오프되고, 또한 도어가 일단 열리고, 그 후에 닫힌 것으로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을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0)는 보정 후의 상관 데이터(RD)에 있어서 전파 강도가 임계값 이하로 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C3), 그 시점까지 계시부(15)가 계시한 경과 시간(T)과 최적 최소 시간(t1)을 비교한다(단계 C4). 또한, 이 단계 C3는 상기한 단계 B4에 대응한다.
통신 장치(10)는 경과 시간(T)이 최적 최소 시간(t1)보다도 작은 경우에는(단계 C4: YES),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와 함께 가산용의 보정 시간(Ha)을 나타낸 보정 시간 정보(Ia)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하고(단계 C5), 이 제어를 종료한다.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및 보정 시간 정보(Ia)를 수신한 휴대 통신 단말(30)은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보정 후의 출력 타이밍에 다시 보정 시간(Ha)을 가산한 타이밍으로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다.
통신 장치(10)는 경과 시간(T)이 최적 최소 시간(t1)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C4: NO), 경과 시간(T)과 최적 최대 시간(t2)을 비교한다(단계 C6). 통신 장치(10)는 경과 시간(T)이 최적 최대 시간(t2)보다도 작은 경우, 즉, 경과 시간(T)이 t1 이상이고 최적 최대 시간(t2) 미만인 경우에는(단계 C6: YES), 보정 시간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하지 않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통신 장치(10)는 경과 시간(T)이 최적 최대 시간(t2)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C6: NO), 경과 시간(T)과 한계 시간(t3)을 비교한다(단계 C7). 통신 장치(10)는 경과 시간(T)이 한계 시간(t3)보다도 작은 경우, 즉, 경과 시간(T)이 최적 최대 시간(t2) 이상이고 한계 시간(t3) 미만인 경우에는(단계 C7: YES),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와 함께 감산용의 보정 시간(Hb)을 나타낸 보정 시간 정보(Ib)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하고(단계 C8), 이 처리를 종료한다.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및 보정 시간 정보(Ib)를 수신한 휴대 통신 단말(30)은 새로운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보정 후의 출력 타이밍으로부터 다시 보정 시간(Ha)을 감산한 타이밍으로 조작 상태를 출력한다. 또한, 통신 장치(10)는 경과 시간(T)이 한계 시간(t3)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C7: NO), 보정 시간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하지 않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10)는 통신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동안에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휴대 통신 단말(30)에 송신하고, 휴대 통신 단말(30)은, 그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타이밍, 즉,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에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한다.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30)이 조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출력하는 타이밍, 즉,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사용자에게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망각(조작 상태)을 통지하는 타이밍을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즉,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적당히 이격되었을 때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최적 통지 영역(R1) 내에 존재하는 적절한 타이밍으로 사용자에게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통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통지된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장비품의 조작 망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는 기본적으로는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를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로서 검지한다. 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서서히 이격하여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에 장비품의 조작 상태가 통지되기 때문에 통신 회선이 절단될 정도로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적당히 이격된 적절한 타이밍으로 사용자에게 조작 망각을 통지할 수 있다.
또, 통신 장치(10)는 또한,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 차량과 휴대 통신 단말 사이의 거리, 차량의 장비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되고나서의 경과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휴대 통신 단말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다시 정밀하게 검지할 수 있어서, 한층 적절한 타이밍으로 사용자에게 조작 망각을 통지할 수 있다.
또, 통신 장치(10)는 통신 회선 확립 처리부(21)에 의하여 휴대 통신 단말(30)과의 사이에 통신 회선을 확립하면, 그 통신 회선이 절단되기까지 휴대 통신 단말(30)에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휴대 통신 단말(30)에는 항상 최신의 조작 상태 정보가 유지되게 되고, 통신 회선이 언제 절단되었다고 해도 휴대 통신 단말(30)은 최신의 조작 상태, 즉,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한 일 실시 형태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한 여러 가지 검지 처리 및 보정 처리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통신 장치(10)는 차량(통신 장치(10))과 휴대 통신 단말(30)의 사이의 실제의 거리에 기초하여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휴대 통신 단말(30)은 위치 검출부(35)에 의하여 검출되는 해당 휴대 통신 단말(30)의 실제의 위치 정보를 정기적으로 통신 장치(10)에 송신하고,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의 위치의 변화량, 즉, 휴대 통신 단말(30)의 이동량이 사전에 결정된 양을 넘었을 때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한다. 또, 통신 장치(10)는 위치 검출부(14)에 의하여 검출되는 해당 통신 장치(10)의 실제의 위치와, 휴대 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휴대 통신 단말(30)의 실제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실제의 거리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었을 때에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전파 강도에, 통신 장치(10)와 휴대 통신 단말(30)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통상 상정되는 변화량 이상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 통신 단말(30)을 무선 통신 모듈(32)을 덮도록 하여 갖고 있는 등의 가능성이 생각되고, 이와 같은 경우, 통신 장치(10)는 통상 상정되는 변화량 이상의 변화를 상쇄하도록 상관 데이터(RD)나 임계값(K) 등을 보정하게 설정하면 좋다.
또, 통신 장치(10)는 전파 강도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그 평균값에 기초하여 임계값(K)의 보정량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의 주변에 전파의 반사물이나 흡수물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통신 장치(10)의 주변에 다른 통신 기기가 존재하고 있고, 해당 통신 기기로부터 발해지는 전파와의 간섭이 일어나고 있는 경우 등, 통신 장치(10)의 주변의 환경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파 강도(s4)가 불안정한 상황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전파 강도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통신 장치(10)는 어느 정도의 긴 시간을 들여서 전파 강도를 복수회 검지하여, 상관 데이터(RD)나 임계값(K) 등의 보정값을 적절히 변경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통신 장치(10)는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예를 들면, 도어의 해정 및 시정을 원격 조작에 의해 실시하는 도시하지 않는 전자 키로부터 시정 지령 신호를 수신한 것, 도시하지 않는 착좌(seating) 센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한 것, 차량 내로의 침입을 검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침입 검지 센서나 적외선 센서가 온된 것 등에 기초하여 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은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장비품이나 센서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구성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또, 통신 장치(10)에서 설정되는 임계값(K)은 무선 통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는 전파 강도(통신 회선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의 강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하면 좋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0)는 무선의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기 전에 해당 통신 회선을 강제적으로 절단할 수 있어서,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기 전에 휴대 통신 단말(30)에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계값(K)은 무선 통신이 자동적으로 절단될 때의 전파 강도를 나타낸 임계값(Z)보다도 큰 값으로 되는 범위로 설정하면 좋다. 또, 통신 장치(10)는 통신 회선이 자동적으로 절단되었을 때를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로서 검지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어 개폐 스위치(227)는 차량의 도어가 열림 상태인 때에 오프하고, 닫힘 상태인 때에 온하는 스위치이어도 좋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도어 개폐 스위치(227)의 파형은 반대의 패턴으로 된다.
또, 통신 장치(10)는 전파 강도는 아니고, 전파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 즉, “휴대 통신 단말(30)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통신 장치(10)는 ACC스위치(221)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고, 또한 도어 개폐 스위치(227)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전파 강도가 변화했다고 해도, 그 변화를 무시하고, 각종 보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설정해도 좋다. 즉, ACC스위치(221)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했다고 해도, 도어 개폐 스위치(227)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천이하기까지는 도어가 개폐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기 때문에, 휴대 통신 단말(30)을 소지하는 사용자는 차실내에 존재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상태, 즉,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지의 여부가 불확정인 상태에서 전파 강도가 변화한 경우에 출력 타이밍을 보정하면, 출력 타이밍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보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지의 여부가 불확정인 상태에서 발생한 전파 강도의 변화를 무시하고 보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층 적절한 출력 타이밍을 휴대 통신 단말(30)에 통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서,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서는, 그들에 1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간다.

Claims (4)

  1.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확립하는 통신 회선 확립 장치(21)와,
    상기 통신 회선 확립 장치에 의하여 상기 통신 회선이 확립된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차량의 장비품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조작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장치(23)와,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조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타이밍으로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를 지정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장치(24)와,
    상기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생성 장치가 생성한 상기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출력 타이밍 지정 정보 송신 장치(25)를 구비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로서 검지하는 검지 장치(26)를 구비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휴대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
    상기 차량과 상기 휴대 통신 단말 사이의 거리,
    상기 차량의 장비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되고나서의 경과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지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상태 정보 송신 장치는 상기 통신 회선 확립 장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 통신 단말과의 상기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 해당 통신 회선이 절단되기까지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최신의 상기 조작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KR1020147036643A 2012-09-28 2013-08-01 차량용 통신 장치 KR101592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6778 2012-09-28
JP2012216778A JP5849918B2 (ja) 2012-09-28 2012-09-28 車両用通信装置
PCT/JP2013/004671 WO2014049929A1 (ja) 2012-09-28 2013-08-01 車両用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12A true KR20150022912A (ko) 2015-03-04
KR101592972B1 KR101592972B1 (ko) 2016-02-11

Family

ID=5038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643A KR101592972B1 (ko) 2012-09-28 2013-08-01 차량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1081B2 (ko)
JP (1) JP5849918B2 (ko)
KR (1) KR101592972B1 (ko)
CN (1) CN104584594B (ko)
BR (1) BR112015003263B1 (ko)
WO (1) WO2014049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7892A (zh) * 2014-05-29 2015-12-09 索尼公司 用于要保护的位置的安全系统应用
JP2016055687A (ja) * 2014-09-08 2016-04-21 富士通周辺機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方法
JP6370259B2 (ja) * 2015-05-15 2018-08-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6482147B2 (ja) * 2015-10-21 2019-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報知システム
KR101930992B1 (ko) * 2016-02-15 2018-1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 이차전지
JP6789649B2 (ja) 2016-03-24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395891A (zh) * 2017-08-03 2017-11-24 大陆汽车车身电子系统(芜湖)有限公司 用于提示用户下车时携带便携式设备的装置和方法
WO2019050043A1 (ja) * 2017-09-11 2019-03-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通信装置
JP6984281B2 (ja) 2017-09-27 2021-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状態提示システム、車両、端末装置、および、方法
JP6930380B2 (ja) * 2017-11-02 2021-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車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配車装置ならびに配車方法
JP7123594B2 (ja) * 2018-03-23 2022-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61086A (ja) * 2019-03-28 2020-10-01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制御装置および補正方法
KR20210077191A (ko) * 2019-12-17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무선 통신 연결 제어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연결 제어 방법
CN114179738A (zh) * 2021-12-17 2022-03-15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应用于洗车场景下的车辆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728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US20050283286A1 (en) * 2004-06-16 2005-12-22 Denso Corporation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2010205063A (ja) * 2009-03-04 2010-09-16 Denso Corp 車両管理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349A (ja) * 2004-02-25 2005-09-08 Denso Corp 車両操作忘れ通知システムおよび車載通知装置
JP2007076416A (ja) * 2005-09-12 2007-03-29 Tokai Rika Co Ltd 車両状態監視装置
CN101353934A (zh) * 2007-07-23 2009-01-28 贺昇股份有限公司 一种门锁状态警示系统与方法
JP4509204B2 (ja) * 2008-07-01 2010-07-2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受信装置
JP5350842B2 (ja) * 2009-03-10 2013-11-2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ペクトル拡散通信用受信機
JP5011424B2 (ja) * 2009-08-06 2012-08-2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載端末装置及び車載端末装置用の無線接続プログラム
JP5381904B2 (ja) * 2010-06-07 2014-01-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盗難警報装置
CN201995024U (zh) * 2011-02-24 2011-09-2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内信息感知控制系统
WO2012157096A1 (ja) * 2011-05-18 2012-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端末、サーバー、および、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728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US20050283286A1 (en) * 2004-06-16 2005-12-22 Denso Corporation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2006033777A (ja) 2004-06-16 2006-02-02 Denso Corp 駐車中車両の状態報知システム
JP2010205063A (ja) * 2009-03-04 2010-09-16 Denso Corp 車両管理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972B1 (ko) 2016-02-11
CN104584594B (zh) 2018-05-11
BR112015003263B1 (pt) 2022-02-08
JP2014072672A (ja) 2014-04-21
US20150243156A1 (en) 2015-08-27
CN104584594A (zh) 2015-04-29
US9401081B2 (en) 2016-07-26
BR112015003263A2 (pt) 2017-08-08
JP5849918B2 (ja) 2016-02-03
WO2014049929A1 (ja)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972B1 (ko) 차량용 통신 장치
JP5720501B2 (ja) 車載携帯端末充電装置
US10157542B2 (en) User identification system and vehicular portable device
US10315623B2 (en) Mobile electronic key device and electronic key system
JP600393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5327149B2 (ja) 車載通信装置
US9454861B2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1394036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4147947A1 (ja)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US20200258332A1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JP2019059405A (ja) 端末、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US10611303B2 (en) Portable device and vehicle
US20170140646A1 (en) In-vehicle garage door monitor
JP5779137B2 (ja) 統合受信機
JP2009013697A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102300650B1 (ko) 스마트 키 장치 및 스마트 키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
KR20160045260A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위험상황 경보 방법
US20190130657A1 (en) Communication module and occupancy counter
KR101541997B1 (ko) 자가발전형 센서모듈 및 그 제어방법
JP2006124935A (ja)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位置判別方法
WO2010109807A1 (ja) 電子機器、電子錠、およびドア遠隔制御装置
JP2014163132A (ja)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5220484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2117203A (ja) 電子錠
JP2008127877A (ja) 車両用キー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