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62A -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62A
KR20150022662A KR20140080146A KR20140080146A KR20150022662A KR 20150022662 A KR20150022662 A KR 20150022662A KR 20140080146 A KR20140080146 A KR 20140080146A KR 20140080146 A KR20140080146 A KR 20140080146A KR 20150022662 A KR20150022662 A KR 2015002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portions
connect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사사키
타카유키 나가타
야스오 나카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저코스트를 꾀할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자(C)는, 베이스(C10)와, 제1, 제2암(C20), (C30)과, 제1, 제2접점부(C40), (C5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C10)는, 판이다. 제1암(C20)은, 베이스(C10)에 형성되며, 또한, Z-Z'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제2암(C30)은, 베이스(C10)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Z-Z'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제2암(C30)의 Z-Z'방향의 치수는, 제1암(C20)의 Z-Z'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제1접점부(C40)는, 제1암(C20)으로부터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제2접점부(C50)는, 제1접점부(C40)의 Z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제2암(C30)으로부터 Y방향 또는 Y'방향 쪽으로 뻗은 판이다.

Description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TERMINAL AND CONNEC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카메라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 이 모듈은, 기판과, 접속단자와, 중계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중계단자는 기판과 접속단자를 접속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중계단자는, 베이스와, 한쌍의 암과, 한쌍의 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이며, 접속단자가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는, 관통구멍에 삽통된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암은, 베이스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암은, 제1, 제2부와, 절곡부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암의 제1부는 베이스로부터 평행으로 뻗은 판이다. 한쌍의 암의 절곡부는 제1, 제2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2부가 제1부와 대향하도록 대략 C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한쌍의 암의 제2부는, 절곡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뻗은 판이다. 한쌍의 접점부는, 한쌍의 암의 제2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접점부가 기판의 같은 전극과 접촉함으로써, 기판과 접속단자와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20511호
상기 중계단자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중계단자는, 한쌍의 암이 절곡부를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휨 공정 등이 필수가 된다. 따라서, 프레스 성형용의 금형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상기 중계단자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중계단자는, 접점부가 암의 제1부에 접근하도록 당해 암이 탄성변형함으로써, 접점부가 기판의 전극과 탄성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암은, 제2부가 제1부와 대향하도록 절곡부가 대략 C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성이기 때문에, 당해 단자의 접촉압이 약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촉압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저 비용화를 꾀할 수가 있는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단자는, 베이스와, 제1, 제2암과, 제1, 제2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베이스는 판이다. 상기 제1암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또한,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암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상기 제2암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1암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제1암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제1접점부의 상기 제1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암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이러한 형태의 단자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첫째는, 단자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단자는, 제1, 제2암이 베이스로부터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이며, 제1, 제2접점부가 제1, 제2암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뻗은 판이므로, 당해 단자는, 휨 공정을 실시하는 일 없이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당해 단자를 작성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심플하게 되어, 당해 단자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는, 제1, 제2접점부의 접속 대상에 대한 접촉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2접점부가 접속 대상과 접촉할 때에,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인 제1, 제2암이 탄성 변형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술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절연성을 가진 보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디는, 기초부와, 설부와, 슬릿과, 유지구멍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부는, 상기 기초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뻗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슬릿은, 상기 설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지구멍은, 상기 슬릿에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가 상기 유지구멍에 유지되며, 상기 제1, 제2암이 상기 슬릿 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제2접점부의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 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상기 설부가 상기 기초부에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상기 슬릿 중의 일부의 슬릿이, 상기 한쌍의 설부 중의 한쪽의 설부에 형성되고, 나머지의 슬릿이 다른 한쪽의 설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상기 유지구멍 중의 일부의 유지구멍이, 상기 일부의 슬릿에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되며, 나머지의 유지구멍이 상기 나머지의 슬릿에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단자 중의 일부의 단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일부의 유지구멍에 각각 유지되어, 상기 제1, 제2암이 상기 일부의 슬릿 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제1, 제2접점부의 상기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머지의 단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나머지의 유지구멍에 각각 유지되고, 상기 제1, 제2암이 상기 나머지의 슬릿 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제1, 제2접점부의 상기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각각 형태의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보디의 외주를 덮는 셀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셀은, 벽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암은, 상기 셀의 상기 벽을 따라서 뻗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단자의 제2암이 셀의 벽을 따라서 뻗어 있으므로, 당해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모듈과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접속 구조의 도 1중의 2A-2A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접속 구조의 도 2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상기 접속 구조의 상기 모듈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모듈의 도 3 중의 4A-4A 단면도이다.
도 4b는상기 모듈의 도 3 중의 4B-4B 단면도이다.
도 5a는 상기 모듈의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바닥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바닥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b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 7a 중의 7B-7B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접속 구조의 상기 모듈과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과정을 나타내는 도 1 중의 8A-8A 단면도이다.
도 8b는 상기 접속 구조의 상기 모듈과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과정을 나타내는 도 1 중의 8B-8B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된 모듈과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상기 접속 구조의 상기 모듈과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 9a 중의 9B-9B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모듈과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도 1∼도 8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접속 구조는, 모듈(M)과, 상대 커넥터(P)와, 고착 기구(R)을 구비하고 있다.
모듈(M)은, 부품 모듈이다. 이하, 모듈(M)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2a, 도 3, 도 4a, 도 4b, 도 6a, 도 6b,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내는 Z-Z'방향은, 모듈(M)과 상대 커넥터(C)의 삽탈 방향이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제1방향에 상당한다. 도 2a, 도 3, 도 4a, 도 6a, 도 6b 및 도 8b에 나타내는 Y-Y'방향은, 모듈(M)의 높이 방향이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제2방향에 상당한다. 도 3, 도 4b, 도 6a, 도 6b 및 도 8a에 나타내는 X-X'방향은, 모듈(M) 및 상대 커넥터(C)의 폭 방향에 상당한다. Y-Y'방향은, Z-Z'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X-X'방향은, Y-Y'방향 및 Z-Z'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Y방향 또는 Y'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2방향의 한쪽에 상당하며, Y'방향 또는 Y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상당한다.
모듈(M)은, 커넥터(100)와, 기판(200)과, 전자부품(300)과, 케이스(400)와,패킹(500)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0)는, 도 5a 및 도 5b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P)의 후술하는 통(41) 안에 끼워맞춤 가능한 육각기둥 형상의 커넥터이다. 커넥터(100)는, 도 2a∼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10)와, 셀(120)과, 복수의 단자(C)를 가지고 있다.
보디(110)는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보디(110)는, 도 6a 및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부(111)와, 한쌍의 설부(112)와, 복수의 유지구멍(113a), (113b)과, 복수의 슬릿(114a), (114b)과, 복수의 걸어맞춤볼록부(115)와, 복수의 받침대(116)을 가지고 있다. 기초부(111)는, Y-Y'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이다. 기초부(111)는, Y방향 쪽의 제1단부와, Y'방향 쪽의 제2단부를 가지고 있다.
설부(112) 중 한쪽(도 6a의 위쪽)의 설부(112)는, 기초부(111)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Z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이다. 다른 한쪽(도 6a의 아래쪽)의 설부(112)는, 기초부(111)의 상기 제2단부로부터 Z방향으로 뻗은 육각기둥 형상의 판이다. 위쪽 및 아래쪽의 설부(112)는, Z방향 쪽의 단부인 선단부(보디(110)의 선단부(11Oa))를 가지고 있다. 위쪽의 설부(112)의 선단부(110a)는, 모서리부(112a), 모서리부(112b) 및 모서리부(112c)를 가지고 있다. 아래쪽의 설부(112)의 선단부(11Oa)는, 모서리부(112d), 모서리부(112e), 모서리부(112f), 모서리부(112g) 및 모서리부(112h)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모서리부(112a)가 특허청구범위의 보디의 제3모서리부에 상당하며, 모서리부(112b) 및 (112e)가 특허청구범위의 보디의 제1모서리부에 상당하고, 모서리부(112c) 및 (112f)가 특허청구범위의 보디의 제2모서리부에 상당하고, 모서리부(112d)가 특허청구범위의 보디의 제4모서리부에 상당하고 있다.
모서리부(112a)는, 위쪽의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0a)의 Y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a)에는, 도 5a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안내부(112a1)(제3안내부)가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a1)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위쪽의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안내부(112a1)의 사이에는 수용오목부(112a2)가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112b)는, 위쪽의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X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b)에는, 안내부(112b1)(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b1)는, Z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모서리부(112c)는, 위쪽의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X'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c)에는, 안내부(112c1)(제2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c1)는, Z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위쪽의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안내부(112b1) 및 (112c1)의 Y방향 쪽의 부분에는, 수용오목부(112b2) 및 (112c2)가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112d)는, 아래쪽의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Y'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d)에는, 한쌍의 안내부(112d1)(제4안내부)가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d1)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아래쪽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안내부(112d1)의 사이에는 수용오목부(112d2)가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112e)는, 아래쪽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0a)의 X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e)에는, 안내부(112e1)(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e1)는, Z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모서리부 (112f)는, 아래쪽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Oa)의 X'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f)에는, 안내부(112f1)(제2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f1)는, Z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모서리부(112g)는, 아래쪽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의 선단부(110a)의 X 및 Y'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g)에는, 안내부(112g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g1)는 Z방향, Y방향 및 X'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모서리부(112h)는, 아래쪽 설부(112)의 선단면과 당해 설부(112) 선단부(11Oa)의 X' 및―Y방향 쪽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12h)에는, 안내부(112h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12h1)는, Z방향, Y방향 및 X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슬릿(114a)(특허청구범위의 일부의 슬릿)은, 도 6a 및 도 6b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쪽의 설부(112)에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슬릿(114a)은, Y'방향 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슬릿(114b)(특허청구범위의 나머지의 슬릿)은, 아래쪽 설부(112)에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슬릿(114b)은, Y'방향 쪽에 개구되어 있다. 슬릿(114b)은, 슬릿(114a)의 대칭 형상이다. 유지구멍(113a)(특허청구범위의 일부의 유지구멍)은, 슬릿(114a)에 연통하도록 기초부(111)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구멍(113a)은, Z'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유지구멍(113b)(특허청구범위의 나머지의 유지구멍)은, 슬릿(114b)에 연통하도록 기초부(111)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구멍(113b)은, 유지구멍(113a)의 대칭 형상이며, Z'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받침대(116)는, 도 6a 및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부(111) Z'방향의 단부면의 4개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이다. 걸어맞춤볼록부(115) 중의 X방향 쪽의 2개의 걸어맞춤볼록부(115)는, Z-Z'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이며, 기초부(111)의 X방향 쪽의 단부면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볼록부(115) 중의 X'방향 쪽의 2개의 걸어맞춤볼록부(115)는, Z-Z'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이며, 기초부(111)의 X'방향 쪽의 단부면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단자(C)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이다. 단자(C)는, 베이스(C1O)과, 제1, 제2암(C20), (C30)과, 제1, 제2접점부(C40), (C50)와, 걸어맞춤부(C60)와, 테일부(C7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C1O)는, Y-Y'방향으로 뻗은 판(상기 금속판의 일부)이다. 제1, 제2암(C20), (C30)은, 베이스(C1O)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베이스(C1O)로부터 Z방향으로 뻗은 판(상기 금속판의 일부)이다. 제2암(C30)의 Z-Z'방향의 치수는, 제1암(C20)의 Z-Z'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제1, 제2암(C20), (C30)의 정렬방향(Y-Y'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제1접점부(C40)는, 제1암(C20)의 Z방향의 단부(선단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정렬방향의 한쪽(Y방향 또는 Y'방향 쪽)으로 뻗은 판(상기 금속판의 일부)이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제1접점부(C40)는, 상기 정렬방향의 한쪽(Y방향 또는 Y'방향) 및 Z'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접점부(C50)는, 제2암(C30)의 Z방향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정렬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이며, 제1접점부(C40)의 Y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제2접점부 (C50)는, 상기 정렬방향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2접점부(C50)의 상기 정렬방향 한쪽의 선단은, 제1접점부(C40)의 상기 정렬방향 한쪽의 선단과 당해 정렬방향에 대하여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는, 제2접점부(C50)의 상기 정렬방향 한쪽의 선단은, 제1접점부(C40)의 상기 정렬방향 한쪽의 선단보다도 약간 당해 정렬방향의 한쪽에 위치하고 있다.
걸어맞춤부(C60)는, 베이스(C1O)의 상기 정렬방향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Z방향으로 뻗은 판(상기 금속판의 일부)이다. 이 걸어맞춤부(C60)에는, 상기 정렬방향의 한쪽에 볼록부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테일부(C70)는, 베이스(C10)의 상기 정렬방향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며, 당해 정렬방향의 다른 한쪽으로 뻗은 판(상기 금속판의 일부)이다.
단자(C)의 걸어맞춤부(C60)의 돌기로부터 베이스(C1O)의 정렬방향의 다른 한쪽 끝까지의 Y-Y'방향의 치수는, 유지구멍(113a),(113b)의 Y-Y'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단자(C) 중의 2개의 단자(C)(도 4a의 위쪽의 단자(C)(특허청구범위의 일부의 단자))의 베이스(C10) 및 걸어맞춤부(C60)가, 유지구멍(113a)에 각각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 단자(C)의 제1, 제2암(C20),(C30)이, 슬릿(114a)에 각각 수용되어, 당해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슬릿(114a)으로부터 Y'방향 쪽(도 4a에 도시된 아래쪽)으로 각각 돌출하고 있다. 이 단자(C)의 테일부(C70)가, 보디(110)의 Z방향 쪽의 단부면에 각각 맞닿고 있다. 단자(C) 중의 나머지 2개의 단자(C)(도 4a의 아래쪽 단자(C)(특허청구범위의 나머지의 단자))의 베이스(C1O) 및 걸어맞춤부(C60)가 유지구멍(113b)에 각각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 단자(C)의 제1, 제2암(C20),(C30)이, 슬릿(114b)에 각각 수용되어 당해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C50)가 슬릿(114b)으로부터 Y방향 쪽(도 4a에 도시된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단자(C)의 테일부(C70)가, 보디(110)의 Z방향 쪽의 단부면에 각각 맞닿고 있다. 위쪽의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C50)와, 아래쪽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대향하고 있다. 테일부(C70)의 Z'방향 쪽의 단부면의 높이 위치가, Z-Z'방향에 있어서, 보디(110)의 받침대(116)의 Z방향 쪽의 단부면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테일부(C70) 및 받침대(116)는 기판(200)의 동일한 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테일부(C70)는 기판(200)에 접속되어 있다.
셀(120)은, 도 6a 및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구성된 육각형의 통이다. 셀(120)은, 셀본체(121)와, 안내부(122a)∼(122h)와, 복수의 걸어맞춤오목부(123)과, 한쌍의 다리부(124)를 가지고 있다. 셀본체(121)는 육각형의 통이다. 셀본체(121)의 내형이 보디(110)의 외형에 대응하고 있다. 셀본체(121) 내에 보디(110)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환언하면, 셀본체(121)가 보디(110)의 외주를 덮고 있다. 셀본체(121)의 X방향 쪽의 벽과, 셀본체(121)의 X'방향 쪽의 벽과, 보디(110)의 설부(112)에 의하여, 커넥터(100)의 접속구멍이 구획되어 있다. 셀본체(121)의 외형은, 상대 커넥터(P)의 후술하는 통(41)의 내형에 대응하고 있다. 셀본체(121)가 통(41) 안에 끼워맞춤 가능도록 되어 있다. 셀본체 (121)의 Y방향 쪽의 벽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의 단자(C)의 제2암(C30)에 대해서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셀본체(121)의 Y'방향 쪽의 벽은, 아래쪽 단자(C)의 제2암(C30)에 대해서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단자(C)는, 제2암(C30)이 Y방향 쪽의 벽 또는 Y'방향 쪽의 벽을 따라서 뻗어 있기 때문에, 단자(C)의 임피던스 정합을 각각 꾀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쪽의 단자(C)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꾀할 수 있어서, 아래쪽의 단자(C)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꾀할 수 있다.
셀본체(121)는, Z방향 쪽의 테두리부(120a)와, Z'방향 쪽의 테두리부를 가지고 있다. Z방향 쪽의 테두리부(120a)는, 아래쪽을 향한 대략 U자 형상의 제1부와, 제1부 이외의 부분인 대략 U자 형상의 제2부를 가지고 있다. 제1부의 선단면의 Z-Z'방향의 높이 위치는, 제2부의 선단면의 Z-Z'방향의 높이 위치보다 Z'방향 쪽(아래쪽)에 위치하며, 또한, 보디(110)의 안내부(112a1)의 Z'방향 쪽 끝(하단)의 Z-Z'방향의 높이 위치보다 Z'방향 쪽(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2부의 선단면의 Z-Z'방향의 높이 위치는, 보디(11O)의 안내부(112b1),(112c1), (112d1),(112e1),(112f1),(112g1) 및 (112h1)의 Z'방향 쪽 끝(하단)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하다. 제1부는, 모서리부(121a),(121b) 및 (121c)를 가지고 있다. 제2부는, 모서리부(121d),(121e),(121f),(121g) 및 (121h)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모서리부(121a)가 특허청구범위의 셀의 제3모서리부에 상당하며, 모서리부(121b) 및 (121e)가 특허청구범위의 셀의 제1모서리부에 상당하고, 모서리부(121c) 및 (121f)가 특허청구범위의 셀의 제2모서리부에 상당하며, 모서리부(121d)가 특허청구범위의 제4모서리부에 상당하고 있다.
모서리부(121a)는, 테두리부(120a)의 제1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1부의 Y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a)에는, 도 6a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122a)(제3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a)는, Z방향으로 뻗은 후, Y'방향(커넥터(100)의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이다. 안내부(122a)의 선단부는, 보디(110)의 설부(112)의 수용오목부(112a2)에 수용되어 있다(도 5a 참조). 모서리부(121b)는, 테두리부(120a)의 제1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1부의 X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b)에는, 안내부(122b)(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b)는, Z방향으로 뻗은 후, X'방향(커넥터(100)의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이다. 안내부(122b)의 선단부는, 보디(110)의 설부(112)의 수용오목부(112b2)에 수용되어 있다(도 5a 참조). 모서리부(121c)는, 테두리부(120a)의 제1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1부의 X'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c)에는, 안내부(122c)(제2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c)는, Z방향으로 뻗은 후, X방향(커넥터(100)의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이다. 안내부(122C)의 선단부는, 보디(110)의 설부(112)의 수용오목부(112c2)에 수용되어 있다(도 5a 참조).
모서리부(121d)는, 테두리부(120a)의 제2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2부의 Y'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d)의 중앙부에는 안내부(122d1)(제4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121d)의 안내부(122d1)의 양쪽 단부에는 한쌍의 안내부(122d2)(제4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d1)는, Z방향으로 뻗은 후, Y'방향(커넥터(100)의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이다. 안내부(122d1)의 선단부는, 보디(110)의 설부(112)의 수용오목부(112d2)에 수용되어 있다(도 5a참조). 안내부(122d2)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안내부(122d2)는, 보디(110)의 안내부(112d1)의 Z'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서리부(121e)는, 테두리부(120a)의 제2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2부 X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e)에는 안내부(122e)(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e)는, Z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안내부(122e)는, 보디(110)의 안내부 (112b1) 및 (112e1)의 Z'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서리부(121f)는, 테두리부(120a)의 제2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2부의 X'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f)에는 안내부(122f)(제2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f)는, Z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안내부(122f)는, 보디(110)의 안내부(112c1) 및 (112f1)의 Z'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서리부(121g)는, 테두리부(120a)의 제2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2부의 X 및 Y'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g)에는 안내부(122g)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g)는, Z방향, Y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안내부(122g)는, 보디(110)의 안내부(112g1)의 Z'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서리부(121h)는, 테두리부(120a)의 제2부의 선단면과 당해 제2부의 X' 및 Y'방향의 바깥면으로 구성된 모서리부이다. 모서리부(121h)에는 안내부(122h)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22h)는, Z방향, Y방향 및 X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C면이다. 안내부(122h)는, 보디(110)의 안내부(112h1)의 Z'방향 쪽에 위치하고 있다.
걸어맞춤오목부(123) 중의 X방향 쪽의 2개의 걸어맞춤오목부(123)는, Z-Z'방향으로 뻗은 오목부이며, 셀본체(121)의 X방향 쪽의 벽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오목부(123)에 X방향 쪽의 걸어맞춤볼록부(115)가 각각 끼워맞춤되어 있다. 걸어맞춤오목부(123) 중의 X'방향 쪽의 2개의 걸어맞춤오목부(123)는, Z-Z'방향으로 뻗은 오목부이며, 셀본체(121)의 X'방향 쪽의 벽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오목부(123)에 X'방향 쪽의 걸어맞춤볼록부(115)가 각각 끼워맞춤되어 있다.
다리부(124) 중의 X방향 쪽의 다리부(124)는, 셀본체(121)의 X방향 쪽 벽의 X방향 쪽 걸어맞춤오목부(12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셀본체(121)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다리부(124) 중의 X'방향 쪽의 다리부(124)는, 셀본체(121)의 X방향 쪽 벽의 걸어맞춤오목부(12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셀본체(121)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다리부(124)가 기판(200)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200)은, 도 4a 및 도 4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이다. 기판(200)은, 제1면과, 제1면(210)의 반대 쪽의 제2면을 가지고 있다. 기판(2O0)의 제1면에 커넥터(100)가 실장되어 있다. 기판(200)의 제2면에 전자부품(300)이 실장되어 있다.
전자부품(300)은, 기판(200)의 제1면(210) 위에 실장된 자동차 전장부품이다. 예를 들면, 전자부품(300)은, 자동차의 후방 및/또는 자동차 주위를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카메라유닛이다.
케이스(400)는, 도 3∼도 4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케이스 (410)와, 제2케이스(420)를 가지고 있다. 제1케이스(4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상자이다. 제1케이스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둘레가장자리 부분에 입설된 둘레벽부를 가지고 있다. 제1케이스(410)의 바닥부에는, 당해 바닥부를 관통한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11)의 모양은, 커넥터(100)의 외형 및 상대 커넥터(P)의 후술하는 통(41)의 외형보다 크다. 관통구멍(411)은, Y-Y'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벽(411a),(411b)(제3, 제4내벽)과, X-X'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벽(411e),(411d)(제1, 제2내벽)을 가지고 있다. 내벽(411a)이,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a1) 및 셀(120)의 안내부(122a)의 근방에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내벽(411b)이,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d1) 및 셀(120)의 안내부(122d1),(122d2)의 근방에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내벽(411c)이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b1),(112e1) 및 셀(120)의 안내부(122b),(122e)의 근방에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내벽(411d)이, 커넥터 (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c1),(112f1) 및 셀(120)의 안내부(122c),(122f)의 근방에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모듈(M)의 상기 제1내벽(내벽(411e))과 상기 제2안내부(보디(110))의 안내부(112c1),(112f1) 및 셀(120)의 안내부(122c),(122f))와의 위치 관계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통(41)의 벽(41c)(제1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1내벽과 맞닿을 때, 통(41)의 벽(41b)(제2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2안내부 위에 배치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관계이다. 모듈(M)의 상기 제2내벽(내벽(411d))과 상기 제1안내부(보디(110)의 안내부(112b1),(112e1) 및 셀(120)의 안내부(122b),(122e))와의 위치 관계는, 통(41)의 벽(41b)(제2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2내벽과 맞닿을 때, 통(41)의 벽(41c)(제1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1안내부 위에 배치 가능하도록 한 위치 관계이다. 모듈(M)의 상기 제3내벽(내벽(411a))과 상기 제4안내부(보디(110)의 안내부(112d1) 및 셀(120)의 안내부(122d1),(122d2))와의 위치 관계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41)의 벽(41a)(제3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3내벽과 맞닿을 때, 통(41)의 벽(41d)(제4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4안내부 위에 배치 가능하도록 한 위치 관계이다. 모듈(M)의 상기 제4내벽(내벽(411b))과 상기 제3안내부(보디(110)의 안내부(112a1) 및 셀(120)의 안내부(122a))와의 위치 관계는, 통(41)의 벽(41d)(제4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4내벽과 맞닿을 때 통(41)의 벽(41a)(제3내벽 쪽 부분)이 상기 제3안내부 위에 배치 가능하도록 한 위치 관계이다.
제1케이스(410)의 바닥부의 관통구멍(411)의 주위에는,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오목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관통구멍(411)이 오목부(412) 안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412)에는, 링형상의 패킹(500)이 수용되어 있다. 패킹(500)의 두께 치수는, 오목부(412)의 깊이 치수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패킹(500)의 Z방향의 단부가, 오목부(412)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제1케이스(410)의 바닥부의 오목부(412)의 X방향 쪽 및 X'방향 쪽의 부분에는, 원기둥형상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413)(제1걸어맞춤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케이스(420)는 제1케이스(410)에 Z-Z'방향으로 결합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상자이다. 제2케이스(420)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테두리부분에 입설된 둘레벽부를 가지고 있다. 제2케이스(420)의 둘레벽부가 제1케이스(410)의 둘레벽부와 용착 되어 있다. 결합된 제1, 제2케이스(410),(420)의 내부 공간에, 커넥터(100), 기판(200) 및 전자부품(300)이 수용되어 있다. 기판(200)은,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설부(112)의 선단부 및 셀(120)의 Z방향 쪽의 테두리부(120a)의 제2부가 제1케이스(410)의 관통구멍(411) 안에 배치되도록, 제1, 제2케이스(410),(420)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어 있다. 이하, 기판(200)은 제2케이스(420)에 고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모듈(M)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부품(300)이 카메라 모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100)를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보디(110) 및 복수의 단자(C)를 준비한다. 그 후, 단자(C) 중의 2개의 단자(C)를 보디(110)의 유지구멍(113a)에 각각 밀어 넣는다. 그러면, 단자(C)의 베이스(C1O) 및 걸어맞춤부(C60)가, 유지구멍(113a)에 각각 유지된다. 이때,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슬릿(114a)에 각각 삽입되어 제1, 제2접점부(C40), (C50)의 선단부가 슬릿(114a)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즉, 제1, 제2접점부(C40), (C50)의 선단부가 커넥터(100)의 접속구멍 안에 각각 배치된다. 단자(C)의 제1, 제2암(C20), (C30)이, 슬릿(114a)에 각각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의 단자(C)를 보디(110)의 유지구멍(113b) 및 슬릿(114a)에 삽입하여, 당해 단자(C)를 보디(110)에 장착한다. 그 후, 셀(120)을 준비한다. 그 후, 보디(110)를 셀(12O) 안에 끼워맞춤시킨다. 그러면, 안내부(122a),(122b) 및 (122c)가, 보디(110)의 수용오목부(112a2), (112b2) 및 (112c2)에 수용된다. 단자(C)의 제2암(C30)이 셀(120)의 Y방향 쪽의 벽 또는 셀(120)의 Y'방향 쪽의 벽을 따라서 배치된다.
그 후, 조립된 커넥터(100), 기판(200) 및 전자부품(300)을 준비한다. 그 후, 기판(200)의 제2면 위에 전자부품(300)을, 기판(200)의 제1면 위에 커넥터 (100)를 실장한다. 이때, 커넥터(100)의 단자(C)의 테일부(C70)를 기판(200)의 제1 면 위의 전극에 각각 접속시킴과 동시에, 셀(120)의 다리부(124)를 기판(200)의 제1면 위의 접지용의 전극과 땜납 접속시킨다.
그 후, 제2케이스(420)를 준비한다. 그 후, 기판(200)의 제2면을 제2케이스 (420)의 바닥부 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당해 기판(200), 전자부품(300) 및 커넥터(100)를 제2케이스(420) 안에 수용시킨다. 그 후, 전자부품(300)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CCD나 CMOS 등)의 중심이, 제2케이스(42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렌즈의 광축에 맞도록, 기판(200)을 제2케이스(420)에 고착시킨다. 그 후, 제1케이스(410)를 준비한다. 그 후, 제1케이스(410)를 제2케이스(420)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케이스(410)의 둘레벽부와 제2케이스(420)의 둘레벽부를 맞댄다. 이 제1, 제2케이스(410),(420)의 결합 시에, 커넥터(100)의 선단부(보디(110)의 설부(112)의 선단부(11Oa) 및 셀(120)의 Z방향 쪽의 테두리부(120a)의 제2부)가, 제1케이스(410)의 관통구멍(411) 안에 배치된다. 그러면,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a1) 및 셀(120)의 안내부(122a)가 관통구멍(411) 안의 내벽(411a) 쪽에 배치된다.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d1) 및 셀(120)의 안내부(122d1),(122d2)가 관통구멍(411) 안의 내벽(411b) 쪽에 배치된다.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b1),(112e1) 및 셀(120)의 안내부(122b),(122e)가 관통구멍(411) 안의 내벽(411c) 쪽에 배치된다. 커넥터(10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c1),(112f1) 및 셀(120)의 안내부(122c),(122f)가 관통구멍(411) 안의 내벽(411d) 측에 배치된다. 그 후, 제1케이스(410)의 둘레벽부와 제2케이스(420)의 둘레벽부를 용착시킨다.
이하, 상대 커넥터(P)에 대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대 커넥터(P)는, 몰드부(10)와, 보디(20)와, 복수의 단자(30)와, 실드케이스(40)와, 케이블(50)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20)는, 절연 수지이다. 보디(20)는, 도 7b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1)와, 돌출부(22)와, 지지부(23)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21)는 Y-Y'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이다. 돌출부(22)는, 베이스(21)의 Z방향의 단부면에 형성되며 또한 Z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돌출부(22)의 외형은, 모듈(M)의 커넥터(100)의 접속구멍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22)가, 모듈(M)의 커넥터(100)의 접속구멍 안에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22)의 Y방향 쪽의 면에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홈(22a)이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2)의 Y'방향 쪽의 면에도, 한쌍의 홈(22a)이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3)는, 베이스(21)의 Z'방향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Z'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각각의 단자(30)는, 도 7b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Z-Z'방향으로 뻗은 금속판이다. 단자(30)는, 중간부(31)와, 접점부(32)와, 접속부(33)을 가지고 있다. 중간부(31)는 보디(20)의 베이스(21)에 유지되어 있다. 접점부(32)는, 중간부(31)의 Z방향 끝으로부터 Z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보디(20)의 돌출부(22)의 홈(22a)에 삽입되어 있다(도 7a도 참조). 접속부(33)는, 중간부(31)의 Z'방향의 끝으로부터 Z'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보디(20)의 지지부(23) 위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50)은, 도 7b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선(51)과, 이 신호선(51)을 피복하는 외부쪽 절연체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신호선(51)은, 심선(52)과, 이 심선(52)을 덮는 안쪽 절연체를 가지고 있다. 신호선(5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외부쪽 절연체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심선(5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신호선(5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 심선(52)의 돌출부분이 단자(30)의 접속부(33)와 땜납 접속되어 있다.
실드케이스(40)는, 도 7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드케이스(40)는, 통(41)과, 커버(42)를 가지고 있다. 통(41)은, 그 내형이 커넥터(100)의 외형에 대응한 육각형의 통이다. 통(41) 안에는 보디(20)의 베이스(21)가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돌출부(22) 및 단자(30)의 접점부(32)가 수용되어 있다. 통(41)이 모듈(M)의 케이스(400)의 관통구멍(411)에 삽입되고 또한 커넥터(100)에 바깥쪽 끼우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41)은 벽(41a), (41b), (41c), (41d), (41e) 및 (41f)를 가지고 있다. 벽(41a)은, 통(41)의 Y방향 쪽의 벽이다. 벽(41b)은, 통(41)의 X'방향 쪽의 벽이다. 벽(41c)은, 통(41)의 X방향 쪽의 벽이다. 벽(41d)은, 통(41)의 Y'방향 쪽의 벽이다. 벽(41e)은, 통(41)의 X' 및 Y'방향 쪽의 벽이다. 벽(41f)은, 통(41)의 X 및 Y'방향 쪽의 벽이다. 커버(42)는, 통(41)에 연결 설치된, 단면도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판이다. 커버(42)가, 보디(20)의 지지부(23), 단자(30)의 접속부(33) 및 케이블(50)의 신호선(51)의 상기 일단부를 덮고 있다.
몰드부(10)는, 커버(42) 주위를 덮음과 동시에, 커버(42) 안에 충전된 절연 수지이다. 몰드부(10)는, 탭(11)과, 본체부(1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2)는, 절연 수지제의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이며, 통(41)의 길이방향(Z-Z'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각인 방향(Y-Y'방향)으로 뻗어 있다. 본체부(12) 안에는, 보디(20)의 지지부(23), 단자(30)의 접속부(33) 및 케이블(50)의 신호선(51)의 상기 일단부 및 커버(42)가 매설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12) 내에, 보디(20)의 지지부(23), 단자(30)의 접속부(33) 및 케이블(50)의 신호선(51)의 상기 한쪽 단부 및 커버(42)가 인서트성형되어 있다. 또는, 보디(20)의 지지부(23), 단자(30)의 접속부(33) 및 케이블(5O)의 신호선(51)의 상기 일단부 및 커버(42)에, 절연 수지를 포팅하고(potting), 이것들을 절연 수지(본체부(12)) 내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상대 커넥터(P)자체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탭(11)은, 본체부(1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탭(11)에는, 모듈(M)의 케이스(400)의 걸어맞춤구멍(4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걸어맞춤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11a)의 직경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구멍(413)의 직경보다 크다.
고착 기구(R)는 모듈(M)의 케이스(400)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413)과, 상대 커넥터(P)의 몰드부(10)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11a)과, 한쌍의 핀(R1)(걸어맞춤부(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핀(R1)이 걸어맞춤구멍(11a) 및 걸어맞춤구멍(413)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상대 커넥터(P)를 모듈(M)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대 커넥터(P)의 통(41)을 모듈(M)의 케이스(400)의 관통구멍(411)에 삽입시킨다. 이 삽입 시에,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41)의 벽(41a)을 관통구멍(411)의 내벽 (411a)과 맞닿도록 하면, 통(41)의 벽(41d)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d1) 및 셀(120)의 안내부(122d1),(122d2) 위에 배치된다. 그 후, 상대 커넥터(P)의 통(41)을 모듈(M)의 케이스(400)의 관통구멍(411)에 더욱 삽입시키면, 통(41)의 벽(41d)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d1) 및 셀(120)의 안내부(122d1),(122d2)와 맞닿게 되어서 안내된다. 이로써 통(41)에 커넥터 (10O)가 끼워맞춤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커넥터(P)의 보디(20)의 돌출부(22)가 커넥터(100)의 접속구멍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P)의 단자(30)의 접점부(32)가 커넥터(100)의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 (C50)와 접촉한다. 이때,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접점부(32)에 압압되어(하중이 부가되어), 단자(C)의 제1, 제2암(C20), (C30)의 접점부(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기 제1, 제2암(C20), (C30)의 정렬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로써, 제1, 제2접점부(C40), (50)가 접점부(32)에 소정의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대 커넥터(P)가 몰드(M)의 커넥터(10O)와 접속된다.
상기 삽입 시에, 통(41)의 벽(41d)을 관통구멍(411)의 내벽(411h)과 맞닿도록 하면, 통(41)의 벽(41a)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a1) 및 셀 (120)의 안내부(122a) 위에 배치된다. 그 후, 상대 커넥터(P)의 통(41)을 모듈(M)의 케이스(400)의 관통구멍(411)에 더욱 삽입시키면, 통(41)의 벽(41a)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a1) 및 셀(120)의 안내부(122a)와 맞닿게 되어서, 안내된다. 이로써, 통(41)에 커넥터(100)가 끼워맞춤되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P)가 모듈(M)의 커넥터(100)와 접속된다.
상기 삽입 시에,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41)의 벽(41c)을 관통구멍(411)의 내벽(411e)와 맞닿도록 하면, 통(41)의 벽(41h)이 모듈(M)의 보디(110)의 보디(110)의 안내부(112c1),(112f1) 및 셀(120)의 안내부(122c),(122f)의 위에 배치된다. 그 후, 상대 커넥터(P)의 통(41)을 모듈(M)의 케이스(400)의 관통구멍(411)에 더욱 삽입시키면, 통(41)의 벽(41h)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c1), (112f1) 및 셀(120)의 안내부(122c),(122f)와 맞닿게 되어서, 안내된다. 이로써, 통(41)에 커넥터(100)가 끼워맞춰지고, 위의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P)가 모듈(M)의 커넥터(100)와 접속된다.
상기 삽입 시에, 통(41)의 벽(41b)을 관통구멍(411)의 내벽(411d)과 맞닿도록 하면, 통(41)의 벽(41c)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b1), (112e1) 및 셀(120)의 안내부(122b), (122e)의 위에 배치된다. 그 후, 상대 커넥터(P)의 통(41)을 모듈(M)의 케이스(400)의 관통구멍(411)에 더욱 삽입시키면, 통(41)의 벽(41c)이 모듈(M)의 보디(110)의 안내부(112b1), (112e1) 및 셀(120)의 안내부(122b), (122e)와 맞닿게 되어서, 안내된다. 이로써, 통(41)에 커넥터(100)가 끼워맞춤되고, 위의 설명과 같이, 상대 커넥터(P)가 모듈(M)의 커넥터(100)와 접속된다.
상대 커넥터(P)가 모듈(M)의 커넥터(100)과 접속되면, 상대 커넥터(P)의 탭(11)의 걸어맞춤구멍(11a)과 모듈(M)의 케이스(400)의 걸어맞춤구멍(413)이 연통한다. 그 후, 핀(R)을 걸어맞춤구멍(11a) 및 걸어맞춤구멍(413)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대 커넥터(P)를 모듈(M)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P)를 케이스(400)에 고착시킨다. 이로써, 패킹(500)이 모듈(M)의 케이스(400)와 상대 커넥터(P)의 몰드부(10)에 끼워져 유지된다. 이로써, 패킹(500)이 압축된다. 또한, 모듈(M)의 조립 시에, 전자부품(300)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CCD나 CMOS 등)의 중심을 제2케이스(42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렌즈의 광축에 맞추면, 커넥터(100)가 제1케이스(410)의 관통구멍(411) 안의 소정 위치로부터 약간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 커넥터(100)에 상대 커넥터(P)가 접속되면, 상대 커넥터(P)의 탭(11)의 걸어맞춤구멍(11a)이, 모듈(M)의 케이스(400)의 걸어맞춤구멍(413)에 연통하는 소정 위치로부터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다. 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구멍(11a) 및 걸어맞춤구멍(413)의 중심축이 불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걸어맞춤구멍(11a)의 직경은, 걸어맞춤구멍(41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걸어맞춤구멍(11a) 및 걸어맞춤구멍(413)의 중심축이 불일치하게 되었다고 해도, 걸어맞춤구멍(413)이 걸어맞춤구멍(11a)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막힐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 설명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어도, 걸어맞춤구멍(413)이 걸어맞춤구멍(11a)에 핀(R1)을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모듈(M)의 커넥터(100)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첫째, 단자(C)의 저비용화를 꾀할 수가 있다. 단자(C)의 베이스(C1O)는, Y-Y'방향으로 뻗은 판이며, 제1, 제2암(C20), (C30)은 베이스(C1O)로부터 Z-Z'방향으로 뻗은 판이고,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제1, 제2암(C20), (C30)으로부터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뻗은 판이며, 걸어맞춤부(C60)는 Z방향으로 뻗은 판이고, 테일부(C70)는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뻗은 판이다. 이와 같이, 단자(C)는, 각 부분이 X-X'방향으로 뻗거나 절곡되지 않기 때문에, 휨 공정을 실시하는 일 없이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C)를 작성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심플하게 되어, 당해 단자(C)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둘째는, 제1, 제2접점부(C40), (C50)의 상대 커넥터(P)의 단자(30)에 대한 접촉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단자(30)에 Y방향 또는 Y'방향으로부터 접촉할 때, Z-Z'방향으로 뻗은 판인 제1, 제2암(C20), (C30)이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단자(C)와 상대 커넥터(P)의 단자(30)와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한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단자(C)의 제1, 제2접점부(C40), (C50)의 쌍방이 상대 커넥터(P)의 단자(30)와 접촉하고 있다. 제1, 제2접점부(C40), (C50)가 Z-Z'방향으로 정렬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P)가 몰드(M)에 대해서 Z-Z'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켰다고 해도, 제1, 제2접점부(C40), (C50)의 적어도 한쪽이 상대 커넥터(P)의 단자(3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향상한다. 또한, 단자(C)의 제1, 제2암(C20), (C30)은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제1, 제2암(C20), (C30)의 고유 진동수가 상위하다. 따라서, 접속 구조에 진동이 부가되었다고 해도, 제1, 제2암(C20), (C30)의 진동이 다르기 때문에, 제1, 제2접점부(C40), (C50)의 어느 한쪽이 상대 커넥터(P)의 단자(3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된 모듈과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도 9a∼도 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접속 구조는, 상대 커넥터(P')의 구성이, 실시예 1의 상대 커넥터(P)의 구성과 상위한 것 이외에, 실시예 1의 접속 구조와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대 커넥터 및 그 서브 구성요소의 일부의 부호에 대해서는, "'"를 부가해서 실시예 1의 상대 커넥터 및 그 서브 구성요소의 일부와 구별한다
상대 커넥터(P')는, 몰드부(10')의 본체부(12')의 형상이 몰드부(10)의 본체부(12)의 형상과 상위하며 또한 실드케이스(40')의 커버(42')의 형상이 실드케이스(40)의 커버(42)의 형상과 상위한 것 이외에, 상대 커넥터(P)와 같은 구성이다.
커버(42')는, 통(41)에 연설되고 또한 Z-Z'방향으로 뻗어 있다. 커버(42')는, 보디(20)의 지지부(23), 단자(30)의 접속부(33) 및 케이블(50)의 신호선(51)의 상기 일단부를 덮고 있다. 본체부(12')는, 절연 수지제의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이며, 통(41)의 길이방향(Z-Z'방향)을 따라서 뻗어 있다. 본체부(12') 안에는, 보디(20)의 지지부(23), 단자(30)의 접속부(33) 및 케이블(50)의 신호선(51)의 상기 일단부 및 커버(42')가 매설되어 있다.
상술한 상대 커넥터(P')는, 실시예 1의 상대 커넥터(P)와 마찬가지로 모듈(M)의 커넥터(100)와 접속된다.
또한, 상술한 단자 및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자는, 후술하는 베이스, 제1, 제2암 및 제1, 제2접점부를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자의 베이스는, 도전성을 가진 판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베이스의 형상은, Z-Z'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또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뻗은 판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자의 제1암은, 베이스에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암은, 베이스로부터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또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뻗는 판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자의 제2암은, 제1암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베이스에 형성되고,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이며, 상기 제1암의 제2방향의 치수보다 큰 제2방향의 치수를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암은, 베이스로부터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또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뻗은 판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자의 제1접점부는, 제1암으로부터 적어도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접점부는, 제1 암으로부터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또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뻗은 판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접점부는, 제1암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자의 제2접점부는, 제1접점부의 제1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도록 제2암으로부터 적어도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접점부는, 제2암으로부터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 또는, Z'방향 및 Y'방향 성분을 가진 방향으로 뻗은 판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접점부는, 제2암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제2접점부의 선단의 높이 위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위하여도 된다. 환언하면, 제1, 제2접점부의 선단의 어느 한쪽의 높이 위치가, 제2방향에 있어서, 다른 한쪽의 높이 위치보다 높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단자의 테일부는 생략 가능하다. 단자의 베이스를 기판이나 케이블 등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자의 걸어맞춤부도 생략 가능하다. 단자의 베이스 만이 커넥터의 보디의 유지구멍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단자와, 이 단자를 유지한 절연성을 가진 보디를 구비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디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뻗은 설부와, 상기 설부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에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된 유지구멍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단자의 베이스가 유지구멍에 유지되고, 단자의 제1, 제2암이 슬릿 안에 수용되며, 단자의 제1, 제2접점부의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디의 설부는, 상대 커넥터의 접속구멍 또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설부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유지구멍은, 대응하는 슬릿에 연통하도록 기초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의 베이스가 유지구멍에 유지되고, 단자의 제1, 제2암이 슬릿 안에 수용되며, 단자의 제1, 제2접점부의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의 보디는, 유지구멍이 형성되는 대신에, 단자의 베이스가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매설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셀은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모듈에 내장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전자기기에 내장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대 커넥터는, 단자를 대신하여, 기판(접속 대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판의 면 위의 도전부가 상술한 커넥터의 단자의 제1, 제2접점부와 접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자 및 커넥터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이상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방향은, 단자의 제1, 제2암이 뻗는 방향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고 있는 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방향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M 모듈
100 커넥터
110 보디
11Oa 선단부
112a∼112h 모서리부
112a1∼112h1 안내부
113a, 113b 유지구멍
114a, 114b 슬릿
120 셀
120a 테두리부
121a∼121h 모서리부
122a∼122h 안내부
C 단자
C1O 베이스
C20 제1암
C30 제2암
C40 제1접점부
C50 제2접점부
C60 걸어맞춤부
C70 테일부
200 기판
300 전자부품
400 케이스
410 제1케이스
411 관통구멍
411a∼411d 내벽
420 제2케이스
500 패킹
P 상대 커넥터
10 몰드부
20 보디
30 단자
40 실드케이스
41 통
41a∼41f 벽
50 케이블
R 고착 기구
413 걸어맞춤구멍
11a 걸어맞춤구멍
R1 핀

Claims (6)

  1. 판인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또한 제1방향으로 뻗은 판인 제1암과,
    상기 제1암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뻗은 판으로서, 상기 제1암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상기 제1방향의 치수를 가지는 상기 제2암과,
    상기 제1암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인 제1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의 상기 제1방향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암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판인 제2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2.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절연성을 가지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뻗은 설부와,
    상기 설부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에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된 유지구멍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상기 유지구멍에 유지되어, 상기 제1, 제2암이 상기 슬릿 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제2접점부의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설부가 상기 기초부에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슬릿 중 일부의 슬릿이, 상기 한쌍의 설부 중 한쪽의 설부에 형성되고, 나머지 슬릿이 다른 한쪽의 설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유지구멍 중 일부의 유지구멍이, 상기 일부의 슬릿에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되고, 나머지의 유지구멍이 상기 나머지의 슬릿에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단자 중 일부의 단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일부의 유지구멍에 각각 유지되며, 상기 제1, 제2암이 상기 일부의 슬릿 안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1, 제2접점부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나머지의 단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나머지의 유지구멍에 각각 유지되며, 상기 제1, 제2암이 상기 나머지의 슬릿 안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1, 제2접점부의 상기 선단부가 당해 슬릿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보디의 외주를 덮은 셀을 부가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암이, 상기 셀의 상기 벽을 따라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40080146A 2013-08-23 2014-06-27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KR20150022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3428A JP2015041592A (ja) 2013-08-23 2013-08-23 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JP-P-2013-173428 2013-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62A true KR20150022662A (ko) 2015-03-04

Family

ID=5142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0146A KR20150022662A (ko) 2013-08-23 2014-06-27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43835B2 (ko)
EP (1) EP2840662A1 (ko)
JP (1) JP2015041592A (ko)
KR (1) KR20150022662A (ko)
CN (1) CN104425944A (ko)
TW (1) TW2015240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3079B4 (de) * 2014-07-04 2021-10-07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Elektrischer Steckkontakt mit leitfähigem Kunststoff und verringertem Kontaktwiderstand
JP6765243B2 (ja) * 2016-07-14 2020-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8189801A (ja) * 2017-05-02 2018-1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D941778S1 (en) * 2017-12-07 2022-01-2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ocket for coaxial cables
TWI658950B (zh) * 2018-02-02 2019-05-1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車載自動診斷系統及其端子及製造方法
USD941250S1 (en) * 2018-05-28 2022-01-1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onnecting plug for coaxial cables
CN110086017B (zh) * 2019-04-01 2020-09-2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7232142B2 (ja) * 2019-07-09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グ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CN114243391B (zh) * 2020-09-08 2024-04-0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供应装置及其导电弹片
JP7473456B2 (ja) * 2020-11-13 2024-04-2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7495B (de) * 1958-07-22 1959-10-22 Kupfer Asbest Co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fuer gedruckte Schaltungen
DE1590632C3 (de) * 1965-02-13 1979-02-22 Bunker Ramo Corp., Oak Brook, Ill. (V.St.A.) Elektrischer Buchsenkontakt
US3631381A (en) 1970-04-02 1971-12-28 Ind Electronic Hardware Corp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US4418475A (en) * 1979-11-19 1983-12-06 Elfab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card edge connector having a pull through bellows contact a lay-over insulator
US5498166A (en) * 1994-06-30 1996-03-12 The Whitaker Corporation Interconnect system
JPH10228966A (ja) * 1997-02-12 1998-08-25 Hirose Electric Co Ltd 中間電気コネクタ
JP3406180B2 (ja) * 1997-04-21 2003-05-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間電気コネクタ
US6149467A (en) * 1998-09-08 2000-11-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tact arrangement for use with high speed transmission
JP3825614B2 (ja) 2000-08-08 2006-09-27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6604950B2 (en) * 2001-04-26 2003-08-12 Teledyne Technologies Incorporated Low pitch, high density connector
SG104969A1 (en) * 2002-05-24 2004-07-3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An electrical connector
JP2004095552A (ja) * 2002-08-30 2004-03-2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6877992B2 (en) * 2002-11-01 2005-04-12 Airborn, Inc. Area array connector having stacked contacts for improved current carrying capacity
JP2005294036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9192B2 (ja) 2006-02-17 2009-04-02 Smk株式会社 モジュール機器用電気機器
JP5001193B2 (ja) * 2008-02-19 2012-08-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97216B2 (ja) * 2008-08-05 2013-05-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接点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5039690B2 (ja) * 2008-12-25 2012-10-0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7914301B2 (en) * 2008-12-26 2011-03-29 Concraft Holding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221592A (ja) * 2011-04-04 2012-11-12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JP5220888B2 (ja) * 2011-06-03 2013-06-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接点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5827574B2 (ja) * 2012-01-23 2015-12-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板付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6871A1 (en) 2015-02-26
JP2015041592A (ja) 2015-03-02
CN104425944A (zh) 2015-03-18
EP2840662A1 (en) 2015-02-25
US9343835B2 (en) 2016-05-17
TW201524017A (zh)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662A (ko)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CN110800169B (zh) 电连接器装置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9281594B2 (en) Connector
JP7207975B2 (ja) コネクタ
CN107851941B (zh) 连接器及连接器的制造方法
US7488200B2 (en) Connector assembly
JP4030954B2 (ja)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JP6123004B1 (ja) コネクタ
US11605911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201417072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KR102202043B1 (ko) 모듈 및 모듈과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10516226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6970928B2 (ja) 電気コネクタ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9225135B2 (en) Contact impedance adjusting method, contact,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CN114175409A (zh) 连接器
US11626676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05586B1 (ko) 커넥터 모듈
CN110518380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8073536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41864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部
JP202007207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